WO2016104894A1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4894A1
WO2016104894A1 PCT/KR2015/006478 KR2015006478W WO2016104894A1 WO 2016104894 A1 WO2016104894 A1 WO 2016104894A1 KR 2015006478 W KR2015006478 W KR 2015006478W WO 2016104894 A1 WO2016104894 A1 WO 20161048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lithium
lithium secondary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4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종호
고주환
서진아
김진희
조성님
유태환
조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61048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48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including lithium nitrate (lithium nitrate) as an electrolyte additive to reduce the interfacial resistance of the electrode can improve the high rat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It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 lithium nitrate lithium nitrate
  •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lithium salt is impregnated in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rous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on which an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an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lithium salt is impregnated in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rous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on which an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electrolyte solution generally contains an organic solvent and an electrolyte salt, for example, in a mixed solvent of a highly viscous linear carbonate such as propylene 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and a low viscosity chain carbonate such as dieth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and dimethyl carbonate.
  • a highly viscous linear carbonate such as propylene 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 a low viscosity chain carbonate such as dieth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and dimethyl carbonate.
  • lithium salts such as LiPF 6 , LiBF 4 , and LiClO 4 are commonly used.
  • Lithium-containing halogen salts such as lithium-containing fluoride salts and lithium-containing chloride salts, which are mainly used as the electrolyte salts, react very sensitively to moisture, and thus react with water present in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or in the battery to form HX, which is a strong acid.
  • X F, Cl, Br, I
  • LiPF 6 lithium salts are unstable at high temperatures so that anions can be thermally decomposed to produce acidic materials such as hydrofluoric acid (HF). Such acidic substances are necessarily accompanied by undesirable side reactions when present in the cell.
  • the anode interface resistance may increase due to adsorption of the surface of the anode of lithium fluoride (LiF), which is a by-product of the formation of hydrofluoric acid (HF), the anode interface resistance may increase.
  • the HX may cause a rapid oxidation reaction in the battery to dissolve and degrad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particularly when the transition metal cation contained in the lithium metal oxide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eluted.
  • the cations are deposited on the cathode, an additional cathode film is formed to further increase the cathode resistance.
  • the SEI film is a polar non-aqueous solvent of the carbonate syste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by reacting with lithium ions in the electrolyte during the initial charging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o stabilize the battery by inhibiting decomposition of the carbonate-based electrolyte on the negative electrode surface It serves as a protective film.
  • the SEI film produced only by the organic solvent and the lithium salt is somewhat insufficient to serve as a continuous protective film, so that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is continuously progressed or increased electrochemical energy, especially at high temperature storage in a full charge state. It can be disintegrated slowly by heat energy. Due to the collapse of the SEI film, side reactions in which the exposed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lyte solvent react to decompose continuously occur, which may cause an increase in resistance of the negative electrode.
  • the interfacial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ay be increased by various causes, and if the interfacial resistance is increased in this way,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battery, such as output characteristics, may occur.
  • an increase in the resistance of a battery may cause a change in the average voltage during charge and discharge, that is, an increase in the average voltage during charge and a decrease in the average voltage during discharge, and consequently, charge and discharge with a constant current.
  • the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indicating the discharge capacity with respect to the capacity may be lowered.
  •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13088 describes a method of improving the resistanc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by containing vinylene carbonate (VC) in an electrolyte solution.
  • VC vinylene carbonate
  • Patent Document 2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2012-0011209 discloses an electrolyte solutio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an alkylene sulfate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n ammonium compound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nd a vinylene carbonate. 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SEI film produced by the sulfate-based compound has the advantage of low resistance, the low-temperatur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but there is no improvement in initial efficiency or high rate characteristics. This is necessary.
  •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5-13088
  • Patent Document 2 KR2012-0011209 A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that can reduce the interfac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to suppress the change in the average voltage generated during charge and discharge, and can improve the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and high rate characteristics .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ly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comprising a lithium salt and an organic solvent, the electrolyte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lithium nitrate (lithium nitrate).
  • the content of the lithium nitrate may be 0.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lithium salt and the organic solv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lyte.
  • the interfacial resistance of an electrode can be reduced by providing an electrolyte solutio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lithium nitrate as an additive.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charging and discharging efficiency and high rate characteristics can be provided.
  • 1 is 0.5C, 1.0C compared to the 0.5C-rate discharge capacity of the coin cell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t is a graph comparing the ratio of 1.5C and 2.0C rate discharge capacit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comprising a lithium salt and an organic solvent, the electrolyte further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lithium nitrate (lithium nitrate).
  •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depends largely on the basic electrolyte composition and the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film formed by the reaction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 the SEI film refers to a film formed at an interface of an anode by reacting with an anode when lithium ions deintercalated from an anode are moved and intercalated into an anode during initial charging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SEI film serves to prevent organic solvents of a large molecular weight electrolyte that move together by selectively passing only lithium ions to intercalate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o decay the structure of the negative electrode. Avoid side reactions between different substances.
  • SEI membranes formed by conventional carbonate organic solvents, fluorine salts or other inorganic salts are weak, porous and not dense, and thus have not played such roles.
  • lithium nitrate which is included as an additive in the electroly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prior to other components in the electrolyte during initial charging of the battery, so that the SEI membrane is not only rigid and dense, but also excellent in high voltage and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 the conventional carbonate solvent prevents side reactions in which the carbonate solvent is co-intercalated or decomposed into the layered active material layer,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initial efficiency of the battery but also prevents the SEI film from collapsing and regenerating, thereby suppressing the increase of the interfacial resistance of the electrode. can do.
  • the content of the lithium nitrate is preferably 0.01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lithium salt and the organic solvent.
  •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the effect of lowering the interfac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whereas when it exceeds 2.0 parts by weight, the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may be lowered.
  • the lithium salt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0.6M to 2.0M, more preferably may be used in the range of 0.7M to 1.6M. If the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is less than 0.6M, the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may be lower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lyte may decre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exceeds 2.0M, the viscosity of the electrolyte may increase, thereby reducing the mobility of lithium ions.
  • the lithium salt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an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 the anion of the lithium salt may be F ⁇ , Cl ⁇ , Br ⁇ , I ⁇ , NO 3 ⁇ , N (CN) 2 -, BF 4 -, ClO 4 -, PF 6 -, (CF 3) 2 PF 4 -, (CF 3) 3 PF 3 -, (CF 3) 4 PF 2 -, (CF 3) 5 PF -, ( CF 3) 6 P -, CF 3 SO 3 -, CF 3 CF 2 SO 3 -, (CF 3 SO 2) 2 N -, (FSO 2) 2 N -, CF 3 CF 2 (CF 3) 2 CO - , (CF 3 SO 2) 2 CH -, (SF 5) 3 C -, (CF 3 SO 2) 3 C -, CF 3 (CF 2) 7 SO 3 -, CF 3 CO 2 -, CH 3 CO 2 - , SCN - and (CF 3 CF 2 SO 2 ) 2 N -It can be any one selected from
  • organic solvent includ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for example, ethers, esters, amides, linear carbonates, and cyclic carbonates may be used alone or by mixing two or more kinds. Can be used.
  • carbonate compounds which are typically cyclic carbonates, linear carbonates, or mixtures thereof may be included.
  • cyclic carbonate compound include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PC), 1,2-butylene carbonate, 2,3-butylene carbonate, 1,2-pentylene carbonate, 2,3-pentylene carbonate, vinylene carbonate, and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alides thereof or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 linear carbonate compound examples include dimethyl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EMC), methyl propyl carbonate and ethyl propyl carbonate Any one selecte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representatively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thylene carbonate and propylene carbonate which are cyclic carbonates among the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s, are highly viscous organic solvents, and thus may be preferably used because they dissociate lithium salts in the electrolyte well, such as dimethyl carbonate and diethyl carbonate.
  • an electrolyte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made, and thus it can be used more preferably.
  •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yl ether, diethyl ether, dipropyl ether, methylethyl ether, methylpropyl ether, and ethylpropyl ether,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It is not limited to this.
  • esters in the organic solvent inclu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propyl propionate, ⁇ -butyrolactone, ⁇ -valerolactone, ⁇ -caprolactone, ⁇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lerolactone and ⁇ -caprolacto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lyte solutio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ly known additive for forming an SEI film without departing fro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nventionally known additive for forming an SEI film for forming an SEI film
  • vinylene carbonate, vinylethylene carbonate, fluoroethylene carbonate, cyclic sulfite, saturated sultone, unsaturated sultone, acyclic sulfone,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yclic sulfites include ethylene sulfite, methyl ethylene sulfite, ethyl ethylene sulfite, 4,5-dimethyl ethylene sulfite, 4,5-diethyl ethylene sulfite, propylene sulfite, 4,5-dimethyl propylene sulfide Pite, 4,5-diethyl propylene sulfite, 4,6-dimethyl propylene sulfite, 4,6-diethyl propylene sulfite, 1,3-butylene glycol sulfite, and the like.
  • 1,3-propane sultone, 1,4-butane sulto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unsaturated sultone include ethene sultone, 1,3-propene sultone, 1,4-butene sultone, 1-methyl-1,3-prop Pen sulfone etc. are mentioned, As acyclic sulfone, divinyl sulfone, dimethyl sulfone, diethyl sulfone, methyl ethyl sulfone, methyl vinyl sulfone, etc. are mentioned.
  • the additive for forming the SEI film may be included in an appropriate amount according to the specific type of the additive, for example,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ectroly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lyte.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epared by injecting an electrolyt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de structure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mixing an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agent with a solvent to prepare a slurry, applying the slurry to a current collector such as aluminum, and drying and compressing the slurry.
  • a lithium-containing transition metal oxide may be preferably used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 Li x Co 1 - y Mn y O 2 (0.5 ⁇ x ⁇ 1.3, 0 y ⁇ 1)
  • a carbon material lithium metal, silicon, tin, or the like, which can normally occlude and release lithium ions, may be used, and a metal oxide such as TiO 2 and SnO 2 having a potential of less than 2 V may be used.
  • a carbon material may be used, and as the carbon material, both low crystalline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 may be used.
  • Soft crystalline carbon and hard carbon are typical low-crystalline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 i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Kishgraphite, pyrolytic carbon, liquid crystal pitch system.
  • High-temperature calcined carbon such as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eso-carbon microbeads, mesophase pitches and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are typical.
  • the binder binds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agent to fix the current collector,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olypropylene, carboxymethyl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vinyl alcohol, styrene butadiene Those commonly used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such as rubber, can be used.
  • Examples of the conductive agent include artificial graphite, natural graphite,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lamp black, thermal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metal powders such as aluminum and nickel, and the like. This can be used.
  • a single olefin or a complex of olefins such as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polyamide (PA), polyacrylonitrile (PAN), polyethylene oxide (PEO), and polypropylene oxide (PPO) ,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A),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vinyl chloride (PVC) and the like can be used.
  • PE polyethylene
  • PP polypropylene
  • PA polyamide
  • PAN polyacrylonitrile
  • PEO polyethylene oxide
  • PPO polypropylene oxide
  • PEGA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PVC polyvinyl chloride
  • the external shap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cylindrical, square, pouch type, or coin type using a can.
  • Ethylene carbonate and dimethyl carbonate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3: 7 to prepare an organic solvent.
  • LiPF 6 as a lithium salt was dissolved in the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LiPF 6 mixed solution having a lithium salt concentration of 1M.
  • lithium nitrate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at 0.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to prepare an electrolyte solution.
  • An electroly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thium nitrate was added in an amount of 0.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 An electroly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thium nitrate was added in an amount of 0.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 An electroly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thium nitrate was added in an amount of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 An electroly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thium nitrate was added in an amount of 1.0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 Example 1 lithium nitrate (lituium nitate) was not added, and the rest of the electroly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 An electrolyte solu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thium difluorophosphate was added in an amount of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solution instead of lithium nitrate.
  • LiNi 0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5 Co 0 . 2 Mn 0 . 3 O 2, the carbon black,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91.5: 4.4: 4.1 were dispersed in and mixed with a weight ratio of, N- methyl-2-pyrrolidone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slurry After coating the slurry on an aluminum current collector, it was dried and roll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 a lithium metal manufactured by CHEM METAl having a thickness of 1 mm was used as the cathode.
  • a porous polyethylene membrane manufactured by Tonen was used as a separator together with the prepared anode and cathode, and the coin cell was prepared by pouring the prepared electrolyte solution.
  • Charge / discharge efficiency (%) (discharge capacity / charge capacity) ⁇ 100
  • the manufactured coin cell was charged and discharged at a range of 3.0 to 4.2 V at a 0.2C rate, and a voltage (average charge voltage) and a 50% depth of discharge at a 50% depth of discharge (DOC). , DOD) and the voltage (discharge average voltage)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charging voltage and the average discharge voltage was calculated and expressed as a voltage difference.
  • Table 2 shows the discharge capacities according to the c-rates after charging and discharging in the 3.0 to 4.2 V region at 0.5 C, 1.0 C, 1.5 C, and 2.0 C for the manufactured coin cells.
  • the ratio of the discharge capacities at 0.5C, 1.0C, 1.5C, and 2.0C when the c-rate is 0.5C is shown in FIG. 1.
  • the discharge capacity at 2.0C to the discharge capacity at 0.5C of c-rat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and are shown in Table 2 as rate characteristics.
  • Rate characteristic (%) (discharge capacity at 2.0C / discharge capacity at 0.5C) ⁇ 100
  • Example 1 4.987 4.377 87.76% 3.803 3.758 0.045
  • Example 2 4.994 4.401 88.13% 3.801 3.759 0.042
  • Example 3 4.993 4.385 87.83% 3.810 3.761 0.049
  • Example 4 4.984 4.285 87.55% 3.811 3.759 0.052
  • Example 5 4.884 4.250 87.01% 3.805 3.750 0.055 Comparative Example 1 4.883 4.241 86.86% 3.811 3.746 0.065 Comparative Example 2 5.596 4.301 76.86% 3.800 3.723 0.077
  • 0.1C / 0.1C, 0.2C / 0.2C means charged and discharged at 0.1C, 0.2 C / 0.2C means charged and discharged at 0.2C.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을 전해액 첨가제로 포함함으로써 전극의 계면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의 계면 저항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충방전시 평균전압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충방전 효율 및 고율특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을 전해액 첨가제로 포함함으로써 전극의 계면저항을 감소시켜 전지의 고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 집전체 상에 각각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의 분리막이 개재된 전극조립체에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충전 시에는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활물질 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음극 활물질 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역할을 한다.
상기 전해액은 일반적으로 유기용매와 전해질염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고유전성 환상 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등의 저점성 쇄상 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에, LiPF6, LiBF4, LiClO4 등의 리튬염을 첨가한 것이 범용되고 있다.
상기 전해질 염으로 주로 사용되는 리튬 함유 불화염, 리튬 함유 염화염 등의 리튬 함유 할로겐염은 수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전지의 제조 과정 중 또는 전지 내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하여 강산의 일종인 HX(X=F, Cl, Br, I)를 생성하게 된다. 특히, LiPF6 리튬염은 고온에서 불안정하므로 음이온이 열 분해되어 불산(HF)과 같은 산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산성 물질이 전지 내에 존재시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을 필수적으로 동반하게 된다.
예컨대, 음극 표면에 존재하는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막이 상기 HX(X=F, Cl, Br, I)의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쉽게 파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SEI막의 계속적인 재생성이 유도되어 음극의 피막량 증가로 인한 음극의 계면 저항증가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산(HF) 형성시의 부산물인 불화리튬(LiF)의 양극 표면 흡착으로 인해 양극 계면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HX는 전지 내에서 급격한 산화 반응을 일으켜 양 전극 활물질을 용출(dissolution) 및 퇴화시킬 수 있고, 특히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 금속 산화물에 포함되어 있던 전이금속 양이온이 용출될 경우, 이들 양이온이 음극에 전착되면서 부가적인 음극 피막을 형성하여 음극저항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SEI막은 리튬 이차 전지의 초기 충전시 카보네이트 계통의 극성 비수계 용매가 전해액 내의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음극 표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음극 표면에서 카보네이트 계열 전해액의 분해를 억제하여 전지를 안정화시키는 보호막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유기 용매와 리튬염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SEI막은 지속적인 보호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다소 불충분하여, 전지의 충방전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거나, 특히 만충전 상태에서의 고온 저장시, 증가된 전기 화학적 에너지와 열 에너지에 의해 서서히 붕괴될 수 있다. 이러한 SEI막의 붕괴로 인해 노출된 음극활물질 표면과 전해액 용매가 반응하여 분해되는 부반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음극의 저항 증가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한 원인 이외에도, 전극-전해질 간의 계면저항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증가될 수 있고, 이렇게 계면저항이 증가될 경우 출력특성 등의 전지의 제반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전지의 저항 증가는 충방전시 평균전압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고, 즉 충전시 평균전압이 상승하고 방전시 평균전압이 하락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일정 전류로 충방전시 충전용량에 대한 방전용량을 나타내는 충방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공보 평5-13088호)은 전해액에 비닐렌카보네이트(VC)를 함유시켜 리튬 이차전지의 저항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피막은 여전히 높은 저항을 나타내므로, 전지의 저항 상승을 억제하는 점에 있어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2(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12-0011209호)는 특정 구조의 알킬렌 설페이트, 특정 구조의 암모늄 화합물 및 비닐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페이트계 화합물에 의해 생성된 SEI막은 저항이 적게 걸리는 장점이 있으므로 전지의 저온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초기효율이나 고율특성 면에서 개선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바, 더욱 더 개량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5-13088호
(특허문헌 2) KR2012-0011209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극의 계면저항을 감소시켜 충방전시 발생되는 평균전압의 변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며, 충방전 효율 및 고율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튬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의 함량은 상기 리튬염 및 유기 용매의 총합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2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을 첨가제로 포함시킨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함으로써 전극의 계면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의 계면저항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충방전시 평균전압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즉 충전시의 평균전압과 방전시의 평균전압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정전류로 충방전 하였을 때의 충방전 효율 및 고율특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의 0.5C-rate 방전용량 대비 0.5C, 1.0C. 1.5C 및 2.0C rate 방전용량의 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리튬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전지의 성능은 기본 전해액 구성과 상기 전해액과 전극이 반응하여 형성하는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막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SEI막이란, 리튬이차전지의 초기 충전시 양극에서 탈리(Deintercalation)된 리튬이온이 이동하여 음극에 삽입(Intercalation)될 때, 전해액이 음극과 반응하여 음극 계면에 형성한 피막을 일컫는다. 상기 SEI막은 리튬이온 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함께 이동하는 분자량이 큰 전해질의 유기 용매들이 음극에 함께 삽입(Intercalation)되어 음극의 구조를 붕괴시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계속되는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이온과 다른 물질간에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불소염 또는 기타 무기염에 의해 형성된 SEI 막은 약하며 다공성(porous)이고 조밀하지 못하여,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전해액 중에 첨가제로서 포함되는 질산리튬은 전지의 초기 충전시 전해액 내의 다른 성분 보다 먼저 음극재 표면상에 환원되어, 견고하고 조밀할 뿐만 아니라 고전압 및 고온 환경하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SEI 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카보네이트 용매가 층상 구조의 활물질층 내 삽입(co-intercalation)되거나 또는 분해되는 부반응을 막아 전지의 초기 효율 증대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SEI막의 붕괴 및 재생성을 막아 전극의 계면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의 함량은 상기 리튬염 및 유기 용매의 총합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1중량부를 미만일 경우 전극의 계면저항이 저하되는 효과를 얻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반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충방전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해액에 포함되는 리튬염은 0.6M 내지 2.0M의 농도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M 내지 1.6M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리튬염의 농도가 0.6M미만이면 전해액의 전도도가 낮아져 전해액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반면 2.0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으로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은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용매로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환형 카보네이트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는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중 환형 카보네이트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형 카보네이트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 중 에테르로는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메틸에틸 에테르, 메틸프로필 에테르 및 에틸프로필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유기 용매 중 에스테르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σ-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은 종래 알려진 SEI막 형성용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SEI막 형성용 첨가제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환형 설파이트, 포화설톤, 불포화 설톤, 비환형 설폰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환형 설파이트로는 에틸렌 설파이트, 메틸 에틸렌 설파이트, 에틸 에틸렌 설파이트, 4,5-디메틸 에틸렌 설파이트, 4,5-디에틸 에틸렌 설파이트, 프로필렌 설파이트, 4,5-디메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4,5-디에틸 프로필렌설파이트, 4,6-디메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4,6-디에틸 프로필렌 설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설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포화 설톤으로는 1,3-프로판 설톤, 1,4-부탄 설톤 등을 들 수 있으며, 불포화 설톤으로는 에텐설톤, 1,3-프로펜 설톤, 1,4-부텐 설톤, 1-메틸-1,3-프로펜 설톤 등을 들 수 있으며, 비환형 설폰으로는 디비닐설폰, 디메틸 설폰, 디에틸 설폰, 메틸에틸 설폰, 메틸비닐 설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SEI막 형성용 첨가제는 첨가제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해액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 구조체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양극 및 음극은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제를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슬러리를 알루미늄 등의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xCoO2(0.5<x<1.3), LixNiO2(0.5<x<1.3), LixMnO2(0.5<x<1.3), LixMn2O4(0.5<x<1.3), Lix(NiaCobMnc)O2(0.5<x<1.3, 0<a<1, 0<b<1, 0<c<1, a+b+c=1), LixNi1-yCoyO2(0.5<x<1.3, 0<y<1), LixCo1-yMnyO2(0.5<x<1.3, 0=y<1), LixNi1-yMnyO2(0.5<x<1.3, O=y<1), Lix(NiaCobMnc)O4(0.5<x<1.3, 0<a<2, 0<b<2, 0<c<2, a+b+c=2), LixMn2-zNizO4(0.5<x<1.3, 0<z<2), LixMn2-zCozO4(0.5<x<1.3, 0<z<2), LixCoPO4(0.5<x<1.3) 및 LixFePO4(0.5<x<1.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은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이나 금속산화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oxide) 외에 황화물(sulfide), 셀렌화물(selenide) 및 할로겐화물(halide)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음극 활물질로는 통상적으로 리튬이온이 흡장 및 방출될 수 있는 탄소재, 리튬금속, 규소 또는 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리튬에 대한 전위가 2V 미만인 TiO2, SnO2와 같은 금속 산화물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탄소재로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흑연, 인조흑연, 키시흑연(Kish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제를 결착시켜서 집전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제로는 인조 흑연, 천연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램프 블랙, 써멀 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산화물, 알루미늄, 니켈 등의 금속 분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리막으로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단일 올레핀이나올레핀의 복합체, 폴리아미드(P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해액의 제조>
실시예 1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를 3: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유기용매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용매에 리튬염인 LiPF6을 용해시켜 리튬염 농도가 1M인 LiPF6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에 질산리튬(lituium nitate)를 상기 혼합용액 100 중량부 대비 0.05중량부로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질산리튬(lituium nitate)을 혼합용액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질산리튬(lituium nitate)을 혼합용액 100 중량부 대비 0.3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질산리튬(lituium nitate)을 혼합용액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질산리튬(lituium nitate)을 혼합용액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질산리튬(lituium nitate)을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는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질산리튬(lituium nitate) 대신에 리튬 디플루오로포스페이트(lithium difluorophosphate)를 혼합용액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전지의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Ni0 . 5Co0 . 2Mn0 . 3O2,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및 도전재로 카본블랙을 91.5:4.4:4.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를 알루미늄 집전체에 코팅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음극으로 두께가 1mm인 리튬메탈(CHEM METAl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과 함께 분리막으로 다공성 폴리에틸렌막(Tonen사 제조)을 사용하고, 상기 제조된 전해액을 주액하여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평가 방법>
(1) 충방전효율
상기 제조된 코인셀을 25℃ 항온에 24시간 방치한 후, 리튬 이차전지 충방전기(Toyo-System Co., LTD, TOSCAT-3600)를 사용하여, 0.1C로 4.2V까지 정전류로 하는 조건 및 0.05C를 종료전류로 한 정전압 조건으로 충전하고, 0.1C로 3.0V까지 정전류 조건으로 방전하여 첫번째 사이클의 충방전 용량을 측정하였으며, 하기의 식에 따라 충방전효율을 계산하여 표 1에 충방전 용량과 효율을 나타내었다.
충방전 효율 (%) = (방전 용량 / 충전 용량) × 100
(2) 평균전압
제조된 코인셀에 대하여 0.2C rate로 3.0 ~ 4.2V 영역에서 충방전을 실시하고, 50% 충전상태(depth of discharge, DOC)에서의 전압(충전 평균전압) 및 50% 방전상태(depth of discharge, DOD)에서의 전압(방전 평균전압)를 측정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충전 평균전압과 방전 평균전압의 차이를 계산하여 전압차이로 표기하였다.
(3) 율특성
제조된 코인셀에 대하여 0.5C, 1.0C, 1.5C 및 2.0C로 3.0~4.2V 영역에서 충방전을 실시한 후 각각의 c-rate에 따른 방전용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c-rate가 0.5C일 때의 방전용량 대비 0.5C, 1.0C, 1.5C 및 2.0C일 때의 방전용량의 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c-rate가 0.5C일 때의 방전용량에 대한 2.0C일 때의 방전용량을 하기의 식에 따라 계산하여, 하기의 표 2에 율특성으로 나타내었다.
율특성(%) = (2.0C일 때의 방전용량 / 0.5C일 때의 방전용량) × 100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전해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인셀의 충방전 효율 및 평균전압을 상기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0.1C/0.1C (mAh) 0.2C/0.2C (V)
충전용량 방전용량 충방전 효율 충전평균전압 방전평균전압 전압차이
실시예 1 4.987 4.377 87.76% 3.803 3.758 0.045
실시예 2 4.994 4.401 88.13% 3.801 3.759 0.042
실시예 3 4.993 4.385 87.83% 3.810 3.761 0.049
실시예 4 4.984 4.285 87.55% 3.811 3.759 0.052
실시예 5 4.884 4.250 87.01% 3.805 3.750 0.055
비교예 1 4.883 4.241 86.86% 3.811 3.746 0.065
비교예 2 5.596 4.301 76.86% 3.800 3.723 0.077
* 0.1C/0.1C, 0.2C/0.2C : 0.1C/0.1C는 0.1C로 충전 및 방전한 것을 의미하고, 0.2 C/0.2C은 0.2C로 충전 및 방전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를 전해액에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의 코인셀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충방전시의 발생하는 평균전압의 차이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전지 계면 저항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저항이 감소됨에 따라, 일정한 전류로 충방전시 충방전 효율이 개선되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전해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코인셀의 율특성을 상기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방전용량(mAh) 율특성(2.0C/0.5C)
0.5C 1.0C 1.5C 2.0C
실시예 1 4.176 4.042 3.854 1.641 39.3%
실시예 2 4.177 4.010 3.826 1.483 35.5%
실시예 3 4.133 3.947 3.645 1.079 26.1%
실시예 4 4.128 3.880 3.397 0.921 22.3%
실시예 5 4.119 3.843 3.299 0.869 21.1%
비교예 1 4.114 3.669 1.502 0.499 12.1%
비교예 2 4.119 2.863 0.482 0.194 4.7%
상기 표 2 및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의 코인셀의 경우 비교예 1 및 2의 코인셀에 비해 율특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리튬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2. 상기 질산리튬(Lithium nitrate)의 함량이 상기 리튬염 및 유기 용매의 총합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2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은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및 환형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비닐렌 카보네이트, 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환형 설파이트, 포화 설톤, 불포화 설톤 및 비환형 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해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PCT/KR2015/006478 2014-12-22 2015-06-25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61048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906 2014-12-22
KR1020140185906A KR20160077266A (ko) 2014-12-22 2014-12-22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894A1 true WO2016104894A1 (ko) 2016-06-30

Family

ID=5615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478 WO2016104894A1 (ko) 2014-12-22 2015-06-25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77266A (ko)
WO (1) WO201610489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1916A (zh) * 2020-10-30 2021-02-05 香河昆仑化学制品有限公司 一种电解液及其应用
CN112993400A (zh) * 2019-12-17 2021-06-18 张家港市国泰华荣化工新材料有限公司 一种锂电池非水电解液及其应用
CN113675469A (zh) * 2021-07-19 2021-11-19 华南理工大学 一种含硝酸锂的碳酸酯类电解液及其制备方法与在锂金属电池中的应用
CN114284558A (zh) * 2021-12-29 2022-04-05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及锂离子电池
CN114447438A (zh) * 2020-10-30 2022-05-06 泰星能源解决方案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用非水电解液的制造方法和使用该非水电解液的锂离子二次电池的制造方法
CN114552001A (zh) * 2020-11-24 2022-05-27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提高三元锂离子电池高温搁置性能的电解液及应用
CN114583294A (zh) * 2022-02-21 2022-06-03 浙江锋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固液混合电解质界面添加剂组合、锂金属电池及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249A (ko) * 2016-09-19 2018-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17939B1 (ko) * 2016-12-16 2019-10-14 울산과학기술원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19013541A2 (ko) * 2017-07-11 2019-01-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KR20230108580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기화학소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6804A (ko) * 1999-06-23 2001-01-26 윌슨 그레이트뱃치 리미티드 비수성 전해질 재충전가능한 전기화학 전지용 유기니트라이트 첨가제
KR20080067003A (ko) * 2005-11-10 2008-07-17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비수성 전해질
KR20130010440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수 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20130137941A (ko) * 2012-06-08 2013-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20140038676A (ko) * 2012-09-21 2014-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7266T2 (de) 1990-12-12 1998-03-12 Sanyo Electric Co Zelle mit nichtwässrigem Elektrolyten
KR101538485B1 (ko) 2010-07-28 2015-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한 리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6804A (ko) * 1999-06-23 2001-01-26 윌슨 그레이트뱃치 리미티드 비수성 전해질 재충전가능한 전기화학 전지용 유기니트라이트 첨가제
KR20080067003A (ko) * 2005-11-10 2008-07-17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비수성 전해질
KR20130010440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수 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20130137941A (ko) * 2012-06-08 2013-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20140038676A (ko) * 2012-09-21 2014-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3400A (zh) * 2019-12-17 2021-06-18 张家港市国泰华荣化工新材料有限公司 一种锂电池非水电解液及其应用
CN112331916A (zh) * 2020-10-30 2021-02-05 香河昆仑化学制品有限公司 一种电解液及其应用
CN114447438A (zh) * 2020-10-30 2022-05-06 泰星能源解决方案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用非水电解液的制造方法和使用该非水电解液的锂离子二次电池的制造方法
CN114447438B (zh) * 2020-10-30 2023-11-10 泰星能源解决方案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用非水电解液的制造方法和使用该非水电解液的锂离子二次电池的制造方法
CN114552001A (zh) * 2020-11-24 2022-05-27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提高三元锂离子电池高温搁置性能的电解液及应用
CN113675469A (zh) * 2021-07-19 2021-11-19 华南理工大学 一种含硝酸锂的碳酸酯类电解液及其制备方法与在锂金属电池中的应用
CN114284558A (zh) * 2021-12-29 2022-04-05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及锂离子电池
CN114583294A (zh) * 2022-02-21 2022-06-03 浙江锋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固液混合电解质界面添加剂组合、锂金属电池及制备方法
CN114583294B (zh) * 2022-02-21 2024-04-30 浙江锋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固液混合电解质界面添加剂组合、锂金属电池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266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608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610489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5034257A1 (ko)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첨가제
WO2013073901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3168882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610490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3191476A1 (ko)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30077708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25826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168327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10489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10242583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20080831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10234369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104901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610490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6104896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6104903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10242582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356937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70047659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70047658A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4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4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