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43383A1 - 메탄올 자화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메탄올 자화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43383A1
WO2016043383A1 PCT/KR2014/011866 KR2014011866W WO2016043383A1 WO 2016043383 A1 WO2016043383 A1 WO 2016043383A1 KR 2014011866 W KR2014011866 W KR 2014011866W WO 2016043383 A1 WO2016043383 A1 WO 20160433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ic acid
carbon dioxide
methylobacterium
electron
m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8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효진
이수미
장민지
조대행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60433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433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ynthesizing carbon dioxide from formic acid from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using electricity as a reducing agent, and specifically, the carbon dioxide is electrochemically reduced using the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an electron source and an electron transporter. It relates to a method for synthesizing formic acid.
  • Formic acid the basic substance of C1 petrochemicals,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other petrochemicals and is valuable as a relatively high value added substance.
  • FDH formate dehydrogenase
  • E. coli genetically engineered E. coli
  • US 20070042479 discloses a method of synthesizing formic acid using a formate dehydrogenase (FDH), regenerating NAD + by a biological method, and synthesizing formic acid and methanol using FDH as a catalyst. Also disclosed are biological NADH regeneration methods (JP 2002233395, US 7087418) and electrochemical NADH regeneration methods (JP 06153904) for converting carbon dioxide to formic acid or methanol using FDH.
  • FDH formate dehydrogenas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elect a specific strain that can convert carbon dioxide to formic acid using electricity as a reducing agent among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that are easy to handle and mass-produced, and economically from these strai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synthesis method capable of converting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to formic aci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ynthesizing formic acid which electrochemically reduces carbon dioxide using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an electron source, and an electron transporter using electricity as a reducing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used for formic acid synthesis by reducing the carbon dioxide using electricity as a reducing agent.
  • the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um is a strain of the genus Methylobacterium, characterized by synthesizing carbon dioxide as formic acid by receiving an electron source obtained by water decomposition in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pparatus from an electron transporter.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pparatus used in the formic acid synthesis re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synthesizing formic acid from carbon dioxide using electrons provided from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ducing agent.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synthesis of formic acid from carbon dioxide continuously injected with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ic acid is synthesized, and carbon dioxide is reduced to electrochemistry using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an electron source, and an electron transporter using electricity as a reducing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hotovoltaic cell system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photoactivity from an electrochemical reaction device or electricity to produce electrons and hydrogen ions from water decom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redox couple electrons reduced from electrons. And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that reduce carbon dioxide from a carrier and hydrogen ions.
  • the solar cell system may use a silicon solar cell,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 organic solar cell and the like.
  • a semiconductor photoactive material having a required potential difference may be used, and the photoactive material may include SrTiO 3 , GaP, (Oxy) nitride, and the like.
  • the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use a carbon compound composed of one carbon such as methanol (CH 3 OH) and methane (CH 4 ) as a carbon source.
  • the specific strain of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is used to synthesize formic acid from carbon dioxide (CO 2 )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rains.
  •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target strains of the genus Methylobacterium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strain banks, and select strains that are easy to handle and easy to mass-produce.
  • the strain of Methylobacterium genus is preferably cultured in a nutrient medium while supplying methanol as a carbon source, each cultured strain cells can be recovered and used for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having excellent ability of synthesizing carbon dioxide to formic acid using electron reducing power among various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is preferable.
  • the electron source is obtained from electrons and hydrogen ions generated during water decomposition at the platinum electrode of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pparatus.
  • th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platinum electrode may be in the range of 1.6 to 4.0 eV, preferably in the range of 1.8 to 3.0 eV.
  • the pH of the electrolyte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8.0,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7.0.
  • the electron transporter receives electrons from the surface of the cathode and serves to reduce electrons by transferring electrons to the strain cells, thereby enhancing the reaction for synthesizing formic acid from carbon dioxide of the strain cells.
  • the cathod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 copper electrode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electron transporter must have a value lower than that of carbon dioxide to reduce carbon dioxid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o formic acid has a reduction potential of -0.43 V when the pH is 7.0.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terial having a reduction potential of -0.43 V or less can be used as the electron transporter without limitation.
  • the electron transporter may be methyl viologen, alkyl viologen and benzyl viologen, preferably methyl viologen, as a viologen-based compound. Methyl viologen.
  • an electron carrier having a reduction potential of ⁇ 0.43 V or more may be used.
  • the reduction reaction of carbon dioxide may be affected by the pH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electrochemical reactor.
  • the buffer solution may be sodium acetate buffer (sodium acetate buffer).
  • the pH of the available buffer solution may be 1.0 to 8.0, preferably 2.0 to 7.0.
  • the concentration of the formic acid reduced from the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arbon dioxide is finely injected into the buffer solution at atmospheric pressure in a gaseous state.
  • Methanobacterium was selected from strains of Methylobacterium genus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strain banks (ATCC and KCTC). The selected Methylobacterium genus strain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Methylbacterium sp. Strain was cultured at 30 ° C. using Nutrient Broth (Difco Laboratories, USA) as a medium while supplying 120 mM methanol as a carbon source. Cultured strains were further fed with up to 0.3 uM of Na 2 WO 4 and (NH 4 ) Mo 7 O 21 , and cultured each strain by 250 mL using a shake incubator rotating at 200 rpm in an oxygen atmosphere. It was. Cultured strain cells were recovered using a centrifuge (5,000 rpm) and washed with 0.1 M phosphate buffer (pH 7.0) to remove the culture components from the strain cells.
  • Example 2 the strain cells recovered in Example 2 were added to a solution containing 100 mM sodium acetate buffer (pH 7.0) and 5 mM methyl viologen, respectively.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a time. The volume of the reactor was 10 mL each, and the size of the copper electrode was 2 cm X 1.5 cm and the voltage was -0.7 V compared to the Ag / AgCl electrode.
  • the methyl viologen is an electron carrier added to enhance the formic acid synthesis reaction, which may be ethyl viologen and benzyl viologen.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gilent 1200 series was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synthesized formic acid.
  • the column was HPX-87H (Bio-Rad, 300 mm x 7.8 mm) and detection was done at 210 nm using an ultraviolet diode array (UV) detector.
  • UV ultraviolet diode array
  • the analysis was performed at 30 ° C., 0.6 ml / min, 8 mM H 2 SO 4 was used as the solvent, and the injection volume was 20 ul.
  •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atalytic ability to convert and synthesize formic acid from carbon dioxide by a carbon dioxide reductase derived from Methylobacterium sp.
  •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derived carbon dioxide reductase showed the highest formic acid synthesis capacity. From this,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of the carbon dioxide reductase produced by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among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was the highest, and furth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est Example 2 below.
  • Electron transporter (2.5 mM) Formic acid synthesis concentration after 20 hours (mM) Relative activity (%) Methyl viologen 1.6 100 FMN 0 0 Neutral red 0 0
  • Formic acid concentration synthesized from carbon dioxide wa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methyl viologen, which is the electron carrier showing the highest activity in Test Example 2.
  • the formic acid synthesis rate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methyl viologen (methyl viologen)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apparatus increases. This means that the amount of electrons supplied from the copper electrode influences the rate of formic acid synthesis, and also means that the activity of the strain-derived carbon dioxide reductase is not limited.
  • the concentration of methyl viologen (methyl viologen) at 10-20 mM no longer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ate of formic acid synthesis, and at 100 mM, too much electron transporter was shown to inhibit the rate of formic acid synthesis.
  • the reaction was performed by continuously injecting carbon dioxide gas.
  • th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copper electrode is fixed at -750 mV compared to the Ag / AgCl standard electrode, and the results of the reaction are shown in FIG. 3.
  • the formic acid synthesis rate is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that the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strain among various methanol magnetization bacteria has excellent ability to synthesize carbon dioxide as formic acid by using the electron supplied from the electrochemical reactor as a reducing power. Therefore, formic acid can be mass-produced from carbon dioxide using the strain-derived carbon dioxide reductase as a biocatalyst.
  • the reaction is possible under mild conditions of normal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there is no risk of the process.
  • the formic acid synthe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velop an energy and resource production system using less environmental pollutants, high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biomimetic technology.
  • formic acid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added material widely used in the industry, it can create added value as well as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는 메탄올 자화균, 전자공급원 및 전자전달체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산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탄올 자화균은 Methylobacterium 속 균주로서,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물 분해로 얻어진 전자공급원을 전자전달체로부터 전달받아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탄올 자화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
본 발명은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여 메탄올 자화균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탄올 자화균, 전자공급원 및 전자전달체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산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원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대체에너지 개발 등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온실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바이오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온실가스 중에서 심각한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이산화탄소는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감축문제는 단순히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에너지와 경제 분야 등 여러 사회 분야에서 주목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해 탄소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실정에서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저감 방법 중 하나로서,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C1 석유화학의 기초 물질로서 개미산은 다른 석유화학제품의 원료로 이용되며 비교적 고부가화 물질로서 가치가 크다.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종래 기술로는 효소인 FDH(formate dehydrogenase), 혐기성 미생물 또는 유전자 조작된 대장균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로서, US 20070042479에는 FDH(formate dehydrogenase)를 활용하여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NAD+를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재생하여 FDH를 촉매로 개미산 및 메탄올을 합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또한, FDH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이나 메탄올로 전환하기 위한 생물학적 NADH 재생방법(JP 2002233395, US 7087418) 및 전기화학 NADH 재생방법(JP 06153904)이 발표되었다. 이와 같이, 개미산을 이산화탄소로 산화하는 FDH를 이용한 반응은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환원하는 효소촉매시스템에서 NADH의 농도 및 pH의 조절에 의해 역반응으로 수행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반응이다. 또한, 이러한 반응 시스템은 NADH 및 FDH의 가격이 매우 높아, 현실적으로 상용화 단계까지 가기 어려운 시스템이다.
또한, 혐기성 미생물의 일종인 Moorella thermoacetica, Clostridium, formicoaceticum 균주에 전기를 환원제로 공급하여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ChemSusChem, 2011, 4, 587-590). 그러나, 상기 미생물은 절대 혐기성 미생물들이며, 이산환탄소에 산소가 조금이라도 포함된 경우에는 전혀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는 탄소자원을 산소로 연소시키는 공정에서 발생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이산화탄소보다 더 높은 농도의 산소가 포함되어 있는 현실을 고려할 경우, 절대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최근에는 유전자 조작이 된 대장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Bioresource Technology, 2014, 164, 7-11). 이 연구는 이산화탄소를 환원하기 위하여 별도의 수소를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소를 환원제로 이용하는 방법은 미생물이 존재하는 수중에 수소를 용해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운반이 어려운 수소 가스를 환원제로 이용하기 때문에 산소가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전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 이유는 산소가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전환하기 위해 수소 가스를 주입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다루기 쉽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메탄올 자화균 중에서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특정 균주를 선발하고, 이러한 균주로부터 경제적으로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신규 합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는 메탄올 자화균, 전자공급원, 및 전자전달체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개미산의 합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 개미산 합성에 사용되는 메탄올 자화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탄올 자화균은 Methylobacterium 속 균주로서,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물 분해로 얻어진 전자공급원을 전자전달체로부터 전달받아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미산 합성 반응에 사용되는 전기화학 반응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화학 반응 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자를 환원제로 이용하여 메탄올 자화균이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메탄올 자화균이 시간 경과에 따라 연속적으로 주입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의 합성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개미산을 합성하되,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는 메탄올 자화균, 전자공급원, 및 전자전달체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 반응 장치로부터 광활성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시스템 또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물 분해로부터 전자 및 수소 이온을 생산하고, 동시에 전자로부터 환원된 레독스 커플(redox couple) 전자전달체 및 수소 이온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환원시키는 메탄올 자화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 시스템은 실리콘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한 전위차를 갖는 반도체형 광활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활성 물질로는 SrTiO3, GaP, (Oxy)nitride 등이 있다.
상기 메탄올 자화균은 메탄올(CH3OH), 메탄(CH4) 등 하나의 탄소로 이루어진 탄소화합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균주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CO2)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데 메탄올 자화균 중 특정 균주를 사용한다. 메탄올 자화균은 균주은행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Methylobacterium 속 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다루기 쉽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균주를 선발한다. 이때, Methylobacterium 속 균주는 메탄올을 탄소원으로 공급하면서 영양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된 각각의 균주 세포는 회수하여 전기화학 반응에 이용할 수 있다. 전기화학 반응에 이용되는 균주로는 다양한 메탄올 자화균 중에서 전자 환원력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합성하는 능력이 뛰어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공급원은 전기화학 반응 장치의 백금전극에서 물 분해시 생성되는 전자 및 수소 이온으로 얻어진다. 이때, 백금전극의 전위차는 1.6 ~ 4.0 eV 범위에서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8 ~ 3.0 eV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전위차가 1.6 eV 보다 작으면 물 분해로부터 전자와 수소 이온이 발생되지 않으며, 4.0 eV 보다 크면 전해질 및 전자전달체가 과도하게 환원되어 이산화탄소의 전환 수율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전해액의 pH는 1.0 ~ 8.0 범위에서 가능하며, 바람직하게 2.0 ~ 7.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전자전달체는 환원전극 표면에서 전자를 받아 균주 세포에 전자를 전달하여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균주 세포의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반응을 높여줄 수 있다. 이때, 환원전극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리전극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전달체는 이산화탄소의 환원전위보다 낮은 값을 가져야 이산화탄소를 환원시킬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환원시키는 반응은 pH가 7.0일 때, 환원전위가 -0.43 V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전달체로서 -0.43 V 이하의 환원전위를 갖는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자전달체는 비올로겐 계열의 화합물로서,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 알킬 비올로겐(alkyl viologen) 및 벤질 비올로겐(benzyl viologen)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이다. 상기 전자전달체의 pH가 7.0 보다 낮은 경우, -0.43 V 이상의 환원전위를 갖는 전자전달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의 환원 반응은 전기화학 반응 장치 내 pH 및 이산화탄소 농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pH를 조절하기 위해 버퍼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버퍼용액은 소듐 아세테이트 버퍼(sodium acetate buffer)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버퍼용액의 pH는 1.0 ~ 8.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 7.0이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메탄올 자화균으로부터 환원된 개미산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가스상태로 버퍼용액에 상압 조건으로 미세하게 분사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아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탄올 자화균 선발
메탄올 자화균은 Methylobacterium 속 균주 중에서 균주은행(ATCC 및 KCTC)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균주를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Methylobacterium 속 균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균주명 ATCC No. KCTC No.
Methylobacterium suomiense BAA-713 12963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14718
Methylobacterium platani 12901
Methylobacterium adhaesivum 22099
Methylobacterium soli 22810
Methylobacterium chloromethanicum 32005
<실시예 2> Methylobacterium 속 균주 배양 및 균주 세포 회수
Methylbacterium 속 균주는 120 mM 농도의 메탄올을 탄소원으로 공급하면서 Nutrient Broth(Difco Laboratories, USA)를 배지로 이용하여 30 ℃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균주에 최대 0.3 uM의 Na2WO4 및 (NH4)Mo7O21를 추가로 공급하여 배양하였으며, 산소 분위기하에서 200 rpm으로 회전하는 진탕 배양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균주를 250 mL씩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주 세포는 원심분리기 (5,000 rpm)를 이용하여 회수하였으며, 0.1 M 인산염 버퍼(phosphate buffer) (pH 7.0)로 세척하여, 배양액 성분을 균주 세포로부터 제거하였다.
Methylbacterium 속 균주의 개미산 합성 반응은 도 1의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진행하였으며, 합성된 개미산의 농도는 하기 시험예 1 및 2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예 1> Methylobacterium 속 균주 유래 이산화탄소 환원효소에 의한 개미산 합성반응
먼저, 100 mM 소듐 아세테이트 버퍼(sodium acetate buffer) (pH 7.0) 및 5 mM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을 혼합한 용액에 상기 실시예 2에서 회수한 균주 세포를 각각 넣어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1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장치의 부피는 각각 10 mL이며, 구리 전극의 크기는 2 cm X 1.5 cm 및 전압은 Ag/AgCl 전극 대비 -0.7 V를 인가하였다. 상기 메틸 비올로겐은 개미산 합성 반응을 높여주기 위해 첨가하는 전자전달체이며, 이는 에틸 비올로겐(ethyl viologen) 및 벤질 비올로겐(benzyl viologen)일 수 있다.
합성된 개미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gilent 1200 series)를 이용하였다. 컬럼은 HPX-87H (Bio-Rad, 300 mm X 7.8 mm)를 사용하였으며, 검출은 ultraviolet diode array (UV) detector를 사용하여 210 nm 파장에서 이루어졌다. 분석은 30 ℃, 0.6 ml/min의 조건에서 수행되었고, 용매로는 8 mM H2SO4를 이용하였으며 주입 용량(injection volume)은 20 ul였다.
하기 표 2는 Methylobacterium 속 균주 유래 이산화탄소 환원효소에 의한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전환 및 합성하는 촉매 능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표 2
균주명 15 시간 후 합성된 개미산의 농도 (mM)
Methylobacterium suomiense 1.1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6.2
Methylobacterium platani 1.3
Methylobacterium adhaesivum 0.5
Methylobacterium soli 2.5
Methylobacterium chloromethanicum 3.0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유래 이산화탄소 환원효소가 가장 높은 개미산 합성능력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메탄올 자화균 중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이 생산하는 이산화탄소 환원효소의 활성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하기 시험예 2에서 이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2> 전자전달체의 선정
개미산 합성 반응에서 전자전달체의 최적화를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균주를 이용하여 전자전달체로는 2.5 mM의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 FMN 및 뉴트럴 레드(neutral red)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전자전달체 (2.5 mM) 20시간 후 개미산 합성 농도 (mM) 상대적 활성도 (%)
Methyl viologen 1.6 100
FMN 0 0
Neutral red 0 0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을 전자전달체로 이용했을 경우, 20 시간 후에 1.6 mM의 개미산으로 가장 많은 양을 합성하였다. 이는 각각의 전자전달체와 이산화탄소/개미산의 산화환원전위에너지(redox potential energy)를 비교해 보았을 때,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이 산화될 때 가장 많은 에너지를 만들어내어 개미산 합성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유래 이산화탄소 환원효소의 3차원 입체 구조가 알려져 있지 않아 정확한 해석은 어려우나, 효소에서 전자를 전달받는 부분의 구조가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과 가장 높은 친화도를 보이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시험예 3>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에서 이산화탄소로부터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의 농도 변화에 따른 개미산 합성
상기 시험예 2에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던 전자전달체인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이산화탄소로부터 합성되는 개미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4와 같이,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개미산 합성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구리전극에서 공급되는 전자의 양이 개미산 합성 속도를 좌우하는 것을 의미하며, 균주 유래 이산화탄소 환원효소의 활성이 제한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의 농도가 10 ~ 20 mM에서는 더 이상 개미산 합성 속도가 크게 늘지 않으며, 100 mM에서는 지나치게 많은 전자전달체가 개미산 합성 속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나치게 많은 메틸 비올로겐(methyl viologen)이 서로 반응을 통하여 비활성형 전자전달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후 합성된 개미산과 전자전달체의 분리 용이성 및 초기 주입된 전자전달체의 경제성을 고려할 때, 과량의 전자전달체를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 4
Methyl viologen 농도 (mM) 20시간 후 개미산 합성 농도 (mM)
0 0
0.5 0.2
2.5 1.5
5 6
10 12
20 14
100 7
<시험예 4> 전기화학 시스템에 의한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 합성
상기 시험예 3의 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반응을 수행하였다. 구리전극의 전위차는 Ag/AgCl 표준전극대비 -750 mV로 고정된 상태이며, 반응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경우, 개미산 합성 속도가 월등히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메탄올 자화균 중에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균주가 전기화학 반응 장치에서 공급된 전자를 환원력으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개미산으로 합성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균주 유래 이산화탄소 환원효소를 생물촉매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것으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특정 메탄올 자화균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공정과는 달리 상온 상압의 온화한 조건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공정의 위험성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미산 합성방법에 의하여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이 적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친환경적인 생체모방기술을 이용한 에너지 및 자원생산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개미산은 공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고부가화 물질로서, 이산화탄소의 감소뿐만 아니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는 메탄올 자화균; 전자공급원; 및 전자전달체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산의 합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자화균은 Methylobacterium 속 균주인 개미산의 합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자화균은 Methylobacterium suomiense,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Methylobacterium platani, Methylobacterium adhaesivum, Methylobacterium soli 및 Methylobacterium chloromethanic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개미산의 합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공급원은 물 분해에 의해 얻어지며, 그 전위차는 1.6 내지 4.0 eV 범위인 개미산의 합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체는 pH 7에서 -0.43V 이하의 표준환원전위를 갖는 개미산의 합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체는 메틸 비올로겐, 에틸 비올로겐 및 벤질 비올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개미산의 합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달체의 농도는 0.1 내지 100 mM 범위인 개미산의 합성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는 상압 조건하에서 가스 상태로 분산시켜 도입되는 개미산의 합성방법.
  9. 전기를 환원제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 개미산 합성에 사용되는 메탄올 자화균.
  10. 제 9 항에 있어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ATCC 14718)인 메탄올 자화균.
PCT/KR2014/011866 2014-09-18 2014-12-05 메탄올 자화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 WO201604338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202 2014-09-18
KR1020140124202A KR101655939B1 (ko) 2014-09-18 2014-09-18 메탄올 자화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3383A1 true WO2016043383A1 (ko) 2016-03-24

Family

ID=5553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866 WO2016043383A1 (ko) 2014-09-18 2014-12-05 메탄올 자화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5939B1 (ko)
WO (1) WO20160433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1478A (zh) * 2021-10-09 2022-01-28 河北工业大学 介孔材料固定化酶进行生物电催化二氧化碳还原的方法及应用
CN114015620A (zh) * 2021-12-13 2022-02-08 青岛农业大学 一株高效利用甲酸的扭脱甲基杆菌进化菌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208B1 (ko) * 2016-04-24 2018-01-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름산 합성용 미생물 쉬와넬라 오네이덴시스 및 이를 이용하여 포름산을 합성하는 방법
KR101976691B1 (ko) * 2017-11-15 2019-05-09 울산과학기술원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개미산 제조 방법
KR20240030388A (ko) * 2022-08-30 2024-03-07 울산과학기술원 고정화된 이산화탄소 환원 효소를 이용한 연속적인 개미산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326A (ko) * 2012-10-12 2014-04-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조합 미생물, 이로부터 발현된 재조합 포름산 탈수소효소 및 이를 이용한 포름산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49B1 (ko) * 2002-07-26 2005-01-24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포름산의 전기화학적 제조 방법
KR20130121559A (ko) * 2012-04-27 2013-11-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미산의 합성에 사용되는 변이 대장균 및 그를 이용한 개미산 합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326A (ko) * 2012-10-12 2014-04-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조합 미생물, 이로부터 발현된 재조합 포름산 탈수소효소 및 이를 이용한 포름산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GARWAL, ARUN S. ET AL.: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o formate/formic acid: Engineering and economic feasibility", CHEMSUSCHEM, vol. 4, no. 9, 2011, pages 1301 - 1310, XP055244501, DOI: doi:10.1002/cssc.201100220 *
CHOE, HYUNJUN ET AL.: "Expression of the NAD-dependent FDH1 B-subunit from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 1 in Escherichia coli and its characterization",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 19, no. 4, July 2014 (2014-07-01), pages 613 - 620 *
HWANG, HYOJIN ET AL.: "Electro-biocatalytic production of formate from carbon dioxide using an oxygen-stable whole cell biocatalyst", BIORESOURCE TECHNOLOGY, vol. 185, June 2015 (2015-06-01), pages 35 - 39 *
REDA, TORSTEN ET AL.: "Reversible interconversion of carbon dioxide and formate by an electroactive enzym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5, no. 31, 2008, pages 10654 - 10658, XP055051452, DOI: doi:10.1073/pnas.0801290105 *
SCHUCHMANN, K. ET AL.: "Direct and reversible hydrogenation of C02 to formate by a bacterial carbon dioxide reductase", SCIENCE, vol. 342, no. 6164, 2013, pages 1382 - 1385, XP002730518, DOI: doi:10.1126/science.1244758 *
SRIKANTH, SANDIPAM ET AL.: "Enzymatic electrosynthesis of formate through C02 sequestration/reduction in a bioelectrochemical system (BES", BIORESOURCE TECHNOLOGY, vol. 165, 8 February 2014 (2014-02-08), pages 350 - 354, XP028848414, DOI: doi:10.1016/j.biortech.2014.01.12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1478A (zh) * 2021-10-09 2022-01-28 河北工业大学 介孔材料固定化酶进行生物电催化二氧化碳还原的方法及应用
CN113981478B (zh) * 2021-10-09 2024-03-19 河北工业大学 介孔材料固定化酶进行生物电催化二氧化碳还原的方法及应用
CN114015620A (zh) * 2021-12-13 2022-02-08 青岛农业大学 一株高效利用甲酸的扭脱甲基杆菌进化菌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939B1 (ko) 2016-09-08
KR20160033411A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jas et al. Effect of the electric supply interruption on a microbial electrosynthesis system converting inorganic carbon into acetate
WO2016043383A1 (ko) 메탄올 자화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부터 개미산을 합성하는 방법
Liu et al. Microbial electrosynthesis of organic chemicals from CO2 by Clostridium scatologenes ATCC 25775T
CN105755058B (zh) 醇的制备方法
McCormick et al. Hydrogen production through oxygenic photosynthesis using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PCC 6803 in a bio-photoelectrolysis cell (BPE) system
Martins et al. Sulfate-reducing bacteria as new microorganisms for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Kumar et al. Photosensitization of electro-active microbes for solar assisted carbon dioxide transformation
Yang et al. Mixed-culture biocathodes for acetate production from CO2 reduction in the microbial electrosynthesis: Impact of temperature
Chen et al. Bioelectrochemical fixation of nitrogen to extracellular ammonium by Pseudomonas stutzeri
Satar et al. Production of hydrogen by Enterobacter aerogenes in an immobilized cell reactor
Zhan et al. Ammonia as carbon-free substrate for hydrogen production in bioelectrochemical systems
Atilano-Camino et al. Evaluation of dissolved and immobilized redox mediators on dark fermentation: Driving to hydrogen or solventogenic pathway
Shin et al. Hydrogen production from formic acid in pH-stat fed-batch operation for direct supply to fuel cell
Jeon et al. Conversion of carbon dioxide to metabolites by Clostridium acetobutylicum KCTC1037 cultivated with electrochemical reducing power
US20200172850A1 (en) Electrochemical control of redox potential in bioreactors
Li et al. Combining metal-microbe and microbe-microbe dual direct electron transfer on Fe (0)-cathode of bio-electrochemical system to enhance anaerobic digestion of cellulose wastewater
KR840002904A (ko) 슈도모나스속의 미생물 및 수용액내에서 메틸그룹을 함유한 화합물을 분해시키는 방법
WO2020071631A1 (ko) 생물학적 c1 가스 전환 공정을 위한 생물전기화학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공정방법
Rathinam et al. Rewiring extremophilic electrocatalytic processes for production of biofuels and value-added compounds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Khater et al. Overcoming the Bottlenecks of Cellulose Utilization in Microbial Fuel Cells via Bioaugmentation Strategy with Cellulose‑Degrading Isolates
CN106430568B (zh) 一种厌氧氨氧化生物膜的电化学富集培养方法
Manchon et al. Fluid-like electrodes and purple phototrophic bacteria: bridging the gap in wastewater biorefineries
US20130209986A1 (en) Method for enhancing butyrate production by clostridium tyrobutyricum
Lu et al. Novel energy utilization mechanisms of microorganisms in the hydrosphere
CN106754457B (zh) 混合菌群及其用途、含有该混合菌群的微生物产电体系和微生物燃料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9018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18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