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1857A1 -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 - Google Patents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1857A1
WO2016021857A1 PCT/KR2015/007779 KR2015007779W WO2016021857A1 WO 2016021857 A1 WO2016021857 A1 WO 2016021857A1 KR 2015007779 W KR2015007779 W KR 2015007779W WO 2016021857 A1 WO2016021857 A1 WO 20160218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cooling
cooling water
white smoke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7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상무
이현호
최성수
최영아
전영신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53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110607B/zh
Publication of WO20160218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18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4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using a gas-liquid mixing column or t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moving liquid and gas in counter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F28C2001/145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with arrangements of adjacent wet and dry pass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이 개시된다. 개시된 냉각탑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외기와 접촉시켜 저온의 냉각수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서로 간에 물질 이동이 제한 또는 차단된 습식부와 건식부를 포함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냉각부의 습식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배부, 상기 습식부로부터 배출된 제1 공기와 상기 건식부로부터 배출된 제2 공기가 접촉하여 백연이 발생하는 백연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연 발생부에서 발생한 백연을 포집하는 백연 포집부, 및 상기 백연 포집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된 배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탑 내에서 백연 생성을 촉진시켜, 그 결과로 생성된 백연을 대기로 배출하기 전에 제거하는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과 같은 설비에는 냉방을 위한 냉동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냉동기의 응축기에는 저온의 냉각수가 사용된다. 상기 저온의 냉각수는 냉동기가 작동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여 고온의 냉각수로 전환된다.
냉각탑은 냉동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외기와 접촉시켜 냉각시킴으로써 냉동기에 재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냉각탑으로는 대향류형 냉각탑과 직교류형 냉각탑이 있다. 대향류형 냉각탑에서는 냉각수가 중력방향으로 흐르고 공기는 냉각수의 흐름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흐르며, 직교류형 냉각탑에서는 냉각수가 중력방향으로 흐르고 공기는 냉각수와 수직한 방향으로 흐른다.
종래의 냉각탑은 겨울철에 차가운 외기(예를 들어, -10℃의 온도 및 70%의 상대습도)를 공급 받아 온도와 상대습도가 증가한 고온다습의 공기(예를 들어, 21℃의 온도, 100%의 상대습도)를 생성하면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켜 저온의 냉각수를 얻는다. 이때, 냉각탑에서 생성된 고온다습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차가운 외기(예를 들어, -10℃의 온도 및 70%의 상대습도)와 접촉하여 백연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백연은 냉각수의 응축에 의해 발생한 것이므로 물이 주성분이어서 인체에 무해하기는 하지만, 외관상 해로운 물질 또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민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49,114호는 냉각탑 내에서 고온의 냉각수와 외기의 직접 접촉에 의해 수증기를 형성한 후, 상기 형성된 수증기에 포함된 미스트를 대전시켜 포집함으로써 백연을 저감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548,503호는 굴뚝 또는 배기관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대전시키고, 상기 대전된 수증기를 포획함으로써 백연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0,326,722호는 습식풍로와 건식풍로를 서로 교대로 병렬 배치하여 습식풍로에서 배출되는 고온다습의 공기를 건식풍로에서 배출되는 고온저습의 공기로 가열하여 상대습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백연을 저감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냉각탑 내에서 백연 생성을 촉진시켜, 그 결과로 생성된 백연을 대기로 배출하기 전에 제거하는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외기와 접촉시켜 저온의 냉각수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서로 간에 물질 이동이 제한 또는 차단된 습식부와 건식부를 포함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배부;
상기 습식부로부터 배출된 제1 공기와 상기 건식부로부터 배출된 제2 공기가 접촉하여 백연이 발생하는 백연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연 발생부에서 발생한 백연을 포집하는 백연 포집부; 및
상기 백연 포집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된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냉각탑을 제공한다.
상기 냉각탑은 상기 냉각부와 상기 냉각수 분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 분배부에서 분사된 냉각수가 상기 건식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각수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식부 및 상기 건식부는 각각 10~300c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습식부와 상기 건식부는 1:0.2~0.2: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의 상대습도 및 온도는 상기 제2 공기의 상대습도 및 온도 보다 각각 높을 수 있다.
상기 냉각탑은 상기 건식부 내의 공기의 일부를 상기 습식부로 이송하거나 상기 습식부 내의 공기 및 액체의 일부를 상기 건식부로 이송하는 물질 이송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식부는 제1 건식부 및 제2 건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건식부는 상기 냉각수 분배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건식부는 상기 백연 포집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건식부는 그 상단부가 상기 백연 포집부의 상단부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건식부는 그 상단부가 상기 백연 포집부의 하단부, 상기 백연 포집부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어느 일 부분, 또는 상기 백연 포집부의 상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습식부 및 상기 제1 건식부는 각각 10~300c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건식부는 5~60c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백연 포집부는 전기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연 포집부는 상기 냉각수 분배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탑은 상기 습식부 및 상기 건식부로 각각 유입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공기 분배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탑은 상기 외기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후 상기 백연 발생부, 상기 냉각수 분배부 및 상기 백연 포집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탑은 상기 외기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후 상기 냉각수 분배부를 통하지 않고 상기 백연 발생부 및 상기 백연 포집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탑은 대향류형 냉각탑, 직교류형 냉각탑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의 냉각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은 냉각탑 내에서 다량의 백연을 생성시키고, 그 결과로 생성된 백연을 대기로 배출하기 전에 제거함으로써 냉각탑에서 배출된 공기가 대기로 방출될 때 백연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대기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일부를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대향류형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대향류형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대향류형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대향류형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직교류형 냉각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외기(A) 및 공기가 흐르는 방향, 또는 고온의 냉각수(HW) 및 저온의 냉각수(CW)가 흐르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탑(10)은 하우징(11), 외기 유입/집수부(12), 냉각부(13), 백연 발생부(15), 냉각수 분배부(16), 백연 포집부(17) 및 배기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외기 유입/집수부(12), 냉각부(13), 백연 발생부(15), 냉각수 분배부(16), 상기 배기수단 및 선택적으로 백연 포집부(17)를 수용한다. 또한, 냉각탑(10)이 후술하는 냉각수 차단부(14)를 포함하는 경우, 하우징(11)은 냉각수 차단부(14)도 수용한다.
하우징(11)은, 비록 도 1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기(A)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 백연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 고온의 냉각수(HW)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 및 저온의 냉각수(CW)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 유입구는 하우징(11)의 하부 및/또는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는 하우징(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기 유입구는 하우징(11)의 하부 둘레를 따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온의 냉각수(HW)는 반도체 공정 등에 설치된 냉동기(미도시)에서 배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온의 냉각수(HW)의 온도는 10~60℃일 수 있다.
외기 유입/집수부(12)는 하우징(11)내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A)를 흡입하고, 이와 동시에 냉각부(13)에서 배출된 저온의 냉각수(CW)를 모으는 공간이다. 상기 외기(A)의 온도 및 상대습도는 각각 -20~50℃ 및 20~80%일 수 있다.
냉각부(13)는 외기 유입/집수부(12)와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고온의 냉각수(HW)를 외기 유입/집수부(12)에서 유래된 외기(A)와 접촉시켜 저온의 냉각수(CW)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부(13)는 서로 간에 물질 이동이 제한 또는 차단된 1개 이상의 습식부(W) 및 1개 이상의 건식부(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온의 냉각수(CW)의 온도는 0~40℃일 수 있다.
고온의 냉각수(HW) 및 외기 유입/집수부(12)의 외기(A)는 냉각부(1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일례로서, 고온의 냉각수(HW)는 습식부(W)를 중력방향으로 통과하고, 외기(A)의 일부는 습식부(W)를 중력의 역방향으로 통과하고, 외기(A)의 잔부는 건식부(D)를 중력의 역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냉각탑(10)은, 습식부(W) 및 건식부(D)로 각각 유입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외기 유입/집수부(12)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공기 분배량 조절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물질 이동이 제한 또는 차단된다」는 것은 냉각수 및 공기의 이동이 제한 또는 차단되며, 물질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습식부(W) 및 건식부(D) 사이에 격벽을 배치할 수도 있고, 그러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습식부(W) 및 건식부(D)의 구조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는 별개로 열의 이동은 제한 또는 차단되거나 다르게는 원활하게 일어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중력의 역방향에 위치한 부분 또는 단부를 의미하고, 「하부 또는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중력방향에 위치한 부분 또는 단부를 의미한다.
습식부(W) 및 건식부(D)는 각각 다양한 개수가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습식부(W)의 개수와 건식부(D)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1개 이상의 습식부(W)와 1개 이상의 건식부(D)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습식부(W)가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습식부(W)를 모두 둘러싸도록 1개의 건식부(D)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복수개의 건식부(D)가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건식부(D)를 모두 둘러싸도록 1개의 습식부(W)가 배치될 수 있다.
습식부(W) 및 건식부(D)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 자기,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 등과 같은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습식부(W) 및 건식부(D)는 각각 10~300c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부(W)의 두께(tW) 및 건식부(D)의 두께(tD)는 각각 50cm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습식부(W)의 두께(tW)는 습식부(W)를 통과하는 고온(예를 들어, 28℃)의 냉각수(HW)가 저온(예를 들어, -10℃)의 외기(A)와의 접촉에 의해 미리 결정된 온도(예를 들어, 22℃) 이하로 냉각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건식부(D)의 두께(tD)는 건식부(D)를 통과하는 외기(A)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예를 들어, 5℃)까지 증가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다만, 습식부(W)의 두께(tW) 및 건식부(D)의 두께(tD)는 냉각탑(10)의 냉각효율 및 백연 발생 정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습식부(W) 및 건식부(D)는 1:0.2~0.2: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부(W) 및 건식부(D)는 1:1의 두께비를 가질 수 있다.
습식부(W)의 상부 및 하부로는 제1 공기 및 저온의 냉각수(CW)가 각각 배출되고, 건식부(D)의 상부로는 제2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습식부(W)의 하부로 배출된 저온의 냉각수(CW)는 외기 유입/집수부(12)를 거쳐 냉동기(미도시)로 유입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의 상대습도 및 온도는 상기 제2 공기의 상대습도 및 온도 보다 각각 높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공기는 고온의 냉각수(HW)로부터 다량의 열 및 습기를 전달 받아 외기(A)에 비해 온도 및 상대습도가 매우 높고, 상기 제2 공기는 고온의 냉각수(HW)로부터 미량의 열을 전달 받아 외기(A)에 비해 온도는 약간 높거나 비슷하고 상대습도는 약간 낮거나 비슷하다.
냉각수 분배부(16)는 냉각부(1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적어도 냉각부(13)의 습식부(W)에 고온의 냉각수(HW)를 분사한다.
일례로서, 냉각수 분배부(16)는 고온의 냉각수(HW)를 냉각부(13)의 습식부(W)에는 분사하지만, 냉각부(13)의 건식부(D)에는 분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냉각수 분배부(16)는 냉각부(13)의 습식부(W)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지만, 냉각부(13)의 건식부(D)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분사 노즐을 전혀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냉각수 분배부(16)는 냉각부(13)의 습식부(W) 및 건식부(D) 모두의 상부에 고온의 냉각수(HW)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탑(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차단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 차단부(14)는 냉각부(13)와 냉각수 분배부(16)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수 분배부(16)에서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HW)가 건식부(D)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냉각수 차단부(14)는 적어도 하나의 평판 또는 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백연 발생부(15)는 냉각부(13)와 백연 포집부(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습식부(W)의 상부로 배출된 제1 공기와 건식부(D)의 상부로 배출된 제2 공기가 접촉하여 백연이 발생하는 공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기는 외기(A)에 비해 온도 및 상대습도가 매우 높고, 상기 제2 공기는 외기(A)에 비해 온도 및 상대습도가 약간 높거나 비슷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공기와 상기 제2 공기가 접촉하게 되면 백연이 급격하게 발생하여 백연 발생부(15)를 형성한다.
백연 포집부(17)는 하우징(11)의 내부 또는 외부로서 냉각수 분배부(16)의 상부에 배치되어 백연 발생부(15)에서 발생한 백연을 포집한다.
백연 포집부(17)는 전기 집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집진기는 아크 방전 또는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백연을 전하로 대전시키고, 상기 대전된 백연을 이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극판(미도시)에 흡착시켜 포집한다.
냉각탑(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백연 포집부(17)를 통과한 후 대기로 배출되게 된다.
백연 포집부(17)에서 포집된 백연(즉, 응축수)은 저온의 냉각수(CW)와 함께 냉동기(미도시)로 다시 유입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기수단은 상기 외기 유입구 부근이나 상기 공기 배출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수단은 배기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수단은 백연 포집부(17)의 상부 또는 하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탑(20)은 하우징(21), 외기 유입/집수부(22), 냉각부(23), 백연 발생부(25), 냉각수 분배부(26), 백연 포집부(27) 및 배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수단은 도 1의 냉각탑(10)에 구비된 배기수단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냉각탑(20)은 냉각수 차단부(24) 및/또는 전술한 공기 분배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하우징(21), 외기 유입/집수부(22), 냉각부(23), 냉각수 차단부(24), 백연 발생부(25), 냉각수 분배부(26) 및 백연 포집부(27)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 외기 유입/집수부(12), 냉각부(13), 냉각수 차단부(14), 백연 발생부(15), 냉각수 분배부(16) 및 백연 포집부(17)와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냉각탑(20)이 도 1의 냉각탑(10)과 다른 점은 건식부(D)에서 습식부(W)로 및/또는 그 역으로 물질을 이송하는 물질 이송 수단(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멍(h))을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상기 물질 이송 수단은 냉각 효율 및 백연 발생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질 이송 수단은 백연 발생부(25)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각부(23) 내에서 건식부(D)의 공기와 습식부(W)의 공기가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추가적인 백연 저감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탑(30)은 하우징(31), 외기 유입/집수부(32), 냉각부(33), 백연 발생부(35), 냉각수 분배부(36), 백연 포집부(37) 및 배기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수단은 도 1의 냉각탑(10)에 구비된 배기수단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냉각탑(30)은 냉각수 차단부(34) 및/또는 전술한 공기 분배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하우징(31), 외기 유입/집수부(32), 냉각부(33), 냉각수 차단부(34), 백연 발생부(35), 냉각수 분배부(36) 및 백연 포집부(3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 외기 유입/집수부(12), 냉각부(13), 냉각수 차단부(14), 백연 발생부(15), 냉각수 분배부(16) 및 백연 포집부(17)과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냉각탑(30)이 도 1의 냉각탑(10)과 다른 점은 건식부(D, Z)가 제1 건식부(D) 및 제2 건식부(Z)로 구분되고, 제1 건식부(D)는 외기 유입/집수부(32) 및 백연 발생부(35)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건식부(Z)는 외기 유입/집수부(32)에서부터 백연 포집부(37)까지 연장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건식부(Z)의 하단부는 외기 유입/집수부(32)와 접촉하고, 제2 건식부(Z)의 상단부는 백연 포집부(37)의 상단부 위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2 건식부(Z)로부터 배출된 제3 공기(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음)가 백연 포집부(37)로부터 배출된 제4 공기(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음)와 혼합되어 상기 제4 공기(즉, 백연 포집부(37)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상대습도를 추가로 낮추어 줌으로써, 상기 혼합 공기가 대기로 배출될 경우 백연 발생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습식부(W)의 두께(tW) 및 제1 건식부(D)의 두께(tD)는 각각 10~300cm일 수 있으며, 제2 건식부(Z)의 두께(tZ)는 5~60c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부(W)의 두께(tW) 및 제1 건식부(D)의 두께(tD)는 각각 50cm일 수 있고, 제2 건식부(Z)의 두께(tZ)는 10cm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습식부(W)의 두께(tW)는 습식부(W)를 통과하는 고온의 냉각수(HW)가 외기(A)와의 접촉에 의해 미리 결정된 온도(예를 들어, 22℃) 이하로 냉각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제1 건식부(D)의 두께(tD)는 건식부(D)를 통과하는 외기(A)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예를 들어, 0℃)까지 증가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제2 건식부(Z)의 두께(tZ)는 제2 건식부(Z)를 통과하는 외기(A)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예를 들어, 10℃) 이상으로 증가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다만, 습식부(W)의 두께(tW), 제1 건식부(D)의 두께(tD) 및 제2 건식부(Z)의 두께(tZ)는 냉각탑(30)의 냉각효율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도 3에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3의 냉각탑(30)은 제1 건식부(D)에서 습식부(W)로 및/또는 그 역으로 물질을 이송하는 물질 이송 수단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각탑(40)은 하우징(41), 외기 유입/집수부(42), 냉각부(43), 백연 발생부(45), 냉각수 분배부(46), 백연 포집부(47) 및 배기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수단은 도 1의 냉각탑(10)에 구비된 배기수단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냉각탑(40)은 냉각수 차단부(44) 및/또는 전술한 공기 분배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하우징(41), 외기 유입/집수부(42), 냉각부(43), 냉각수 차단부(44), 백연 발생부(45), 냉각수 분배부(46) 및 백연 포집부(47)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 외기 유입/집수부(12), 냉각부(13), 냉각수 차단부(14), 백연 발생부(15), 냉각수 분배부(16) 및 백연 포집부(17)와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냉각탑(40)은 도 3의 냉각탑(30)의 변형예이다.
도 4의 냉각탑(40)이 도 3의 냉각탑(30)과 다른 점은 제2 건식부(Z)의 하단부가 외기 유입/집수부(42)의 상단부와 접촉하고, 제2 건식부(Z)의 상단부가 백연 포집부(47)의 하단부와 접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건식부(Z)의 상단부는 백연 포집부(47)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어느 일부분, 또는 백연 포집부(47)의 상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4의 냉각탑(40)은 제1 건식부(D)에서 습식부(W)로 및/또는 그 역으로 물질을 이송하는 물질 이송 수단(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5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냉각탑(50)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냉각탑(50)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냉각탑(50)은 하우징(51), 집수부(52), 냉각부(53), 백연 발생부(55), 냉각수 분배부(56), 백연 포집부(57) 및 배기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수단은 도 1의 냉각탑(10)에 구비된 배기수단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냉각탑(50)은 냉각수 차단부(54) 및/또는 전술한 공기 분배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하우징(51), 냉각부(53), 냉각수 차단부(54), 백연 발생부(55), 냉각수 분배부(56) 및 백연 포집부(57)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 냉각부(13), 냉각수 차단부(14), 백연 발생부(15), 냉각수 분배부(16) 및 백연 포집부(17)와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의 냉각탑(50)이 도 1의 냉각탑(10)과 다른 점은 외기 유입/집수부(12) 대신에 집수부(52)를 구비하고, 외기(A)가 냉각부(53)의 하부가 아닌 냉각부(53)의 바깥 측면으로부터 유입되고, 냉각부(53)를 통과한 후 냉각수 분배부(56)를 통하지 않고 백연 발생부(55) 및 백연 포집부(57)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백연 발생부(55)는 냉각부(53)와 백연 포집부(5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습식부(W)에서 배출된 제1 공기와 건식부(D)에서 배출된 제2 공기가 접촉하여 백연이 발생하는 공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기는 외기(A)에 비해 온도 및 상대습도가 매우 높고, 상기 제2 공기는 외기(A)에 비해 온도 및 상대습도가 약간 높거나 비슷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공기와 상기 제2 공기가 접촉하게 되면 백연이 급격하게 발생하여 백연 발생부(55)를 형성한다.
백연 포집부(57)는 하우징(51)의 내부 또는 외부로서 백연 발생부(55)의 상부에 배치되어 백연 발생부(55)에서 발생한 백연을 포집한다. 백연 포집부(57)에서 백연이 제거된 공기는 대기로 배출된다.
백연 포집부(57)는 전기 집진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집진기는 아크 방전 또는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백연을 전하로 대전시키고, 상기 대전된 백연을 이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극판(미도시)에 흡착시켜 포집한다.
집수부(52)는 냉각부(53)에서 배출된 저온의 냉각수(CW)를 모으는 공간이다. 집수부(52)로는 외기(A)가 유입될 수도 있고 유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냉각탑(50)은 건식부(D)에서 습식부(W)로 및/또는 그 역으로 물질을 이송하는 물질 이송 수단(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냉각탑(50)은, 도 3의 냉각탑(30) 및 도 4의 냉각탑(40)과 유사하게, 건식부(D)가 제1 건식부 및 제2 건식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 건식부는 습식부(W)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2 건식부는 백연 포집부(57)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건식부는 그 상단부가 백연 포집부(57)의 상단부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들로서, 상기 제2 건식부는 그 상단부가 백연 포집부(57)의 하단부, 백연 포집부(57)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어느 일 부분, 또는 백연 포집부(57)의 상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5a에서, 도면 부호 MB 및 BF는 각각 본체 및 배플을 지칭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온의 냉각수를 외기와 접촉시켜 저온의 냉각수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서로 간에 물질 이동이 제한 또는 차단된 습식부와 건식부를 포함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배부;
    상기 습식부로부터 배출된 제1 공기와 상기 건식부로부터 배출된 제2 공기가 접촉하여 백연이 발생하는 백연 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연 발생부에서 발생한 백연을 포집하는 백연 포집부; 및
    상기 백연 포집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된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냉각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냉각부와 상기 냉각수 분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수 분배부에서 분사된 냉각수가 상기 건식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각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냉각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부 및 상기 건식부는 각각 10~300cm의 두께를 갖는 냉각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부와 상기 건식부는 1:0.2~0.2:1의 두께비를 갖는 냉각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의 상대습도 및 온도는 상기 제2 공기의 상대습도 및 온도 보다 각각 높은 냉각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건식부에서 상기 습식부로 또는 그 역으로 물질을 이송하는 물질 이송 수단을 더 포함하는 냉각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부는 제1 건식부 및 제2 건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건식부는 상기 냉각수 분배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건식부는 상기 백연 포집부까지 연장된 냉각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식부는 그 상단부가 상기 백연 포집부의 상단부 위로 돌출된 냉각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식부는 그 상단부가 상기 백연 포집부의 하단부, 상기 백연 포집부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어느 일 부분, 또는 상기 백연 포집부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냉각탑.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부 및 상기 제1 건식부는 각각 10~300c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건식부는 5~60cm의 두께를 갖는 냉각탑.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연 포집부는 전기 집진기를 포함하는 냉각탑.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연 포집부는 상기 냉각수 분배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각탑.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습식부 및 상기 건식부로 각각 유입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공기 분배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냉각탑.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외기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후 상기 백연 발생부, 상기 냉각수 분배부 및 상기 백연 포집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냉각탑.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상기 외기가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후 상기 냉각수 분배부를 통하지 않고 상기 백연 발생부 및 상기 백연 포집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냉각탑.
PCT/KR2015/007779 2014-08-04 2015-07-27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 WO20160218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53664.7A CN107110607B (zh) 2014-08-04 2015-07-27 具有白烟降低装置的冷却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9979 2014-08-04
KR10-2014-0099979 2014-08-04
KR1020140130336A KR101535232B1 (ko) 2014-08-04 2014-09-29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
KR10-2014-0130336 2014-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857A1 true WO2016021857A1 (ko) 2016-02-11

Family

ID=5379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779 WO2016021857A1 (ko) 2014-08-04 2015-07-27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99403B2 (ko)
KR (1) KR101535232B1 (ko)
CN (1) CN107110607B (ko)
WO (1) WO20160218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398A (zh) * 2016-06-12 2016-08-24 无锡市科巨机械制造有限公司 闭式干湿两项同程冷却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834B1 (ko) 2014-11-12 2015-11-30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수평식 가스 세정기
ES2961331T3 (es) * 2015-07-16 2024-03-11 Borealis Ag Componente catalítico
KR101619464B1 (ko) 2015-09-01 2016-05-10 주식회사 오티티 백연 현상 발생 방지를 위한 대향류식 냉각탑
CN105258530B (zh) * 2015-11-26 2017-11-17 广州览讯科技开发有限公司 冷却塔节水消雾用换热器
CN106643205B (zh) * 2016-12-28 2018-10-23 山东大学 环形填料布置的干湿混合大型冷却塔及火电厂冷却系统
CN106610232B (zh) * 2016-12-28 2019-02-26 山东大学 连续填料布置的干湿混合大型冷却塔、冷却系统及方法
KR101918207B1 (ko) * 2018-01-18 2018-11-14 신상무 소각 설비
CN111271987A (zh) * 2018-12-05 2020-06-12 国家电投集团远达环保工程有限公司重庆科技分公司 一种湿式冷却塔
CN111947481B (zh) 2019-05-14 2023-03-24 斗山重工业建设有限公司 冷却塔用集尘装置及包含该集尘装置的冷却塔
CN110296615A (zh) * 2019-06-26 2019-10-01 高全 一种冷却塔消雾填料及应用该填料的消雾冷却塔
CN110319715B (zh) * 2019-07-08 2021-01-19 济南蓝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冷热风道可调的消雾节水冷却塔流道设计
KR102287037B1 (ko) 2021-04-01 2021-08-06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응축기형 백연 및 미세먼지 저감용 전기집진기
CN116481344B (zh) * 2023-06-21 2023-09-22 山东蓝想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消雾冷却塔
CN117776348A (zh) * 2024-02-27 2024-03-29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一种用于深海采矿羽流快速混凝沉降的电化学装置与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347U (ko) * 1987-08-06 1989-02-13
KR20110047623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경인기계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냉각탑
KR20140053048A (ko) * 2014-03-10 2014-05-07 (주)풍천엔지니어링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고효율 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0603A (en) * 1951-11-06 1954-06-08 Foster Wheeler Corp Cooling tower
SE420764B (sv) * 1977-09-22 1981-10-26 Munters Ab Carl Anordning vid en evaporativ kylare
JPS54139148A (en) * 1978-03-27 1979-10-29 Babcock Hitachi Kk Wet type cooling tower
JPS6086381A (ja) * 1983-10-19 1985-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乾・湿式冷水塔
JPH06159954A (ja) * 1992-11-18 1994-06-07 Kuken Kogyo Kk 冷却塔用充填材ユニット
ES2185851T3 (es) * 1997-08-27 2003-05-01 Balcke Duerr Gmbh Elemento incorporado para instalaciones de refrigeracion.
KR100326722B1 (ko) * 1999-09-17 2002-03-04 구제병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KR100548503B1 (ko) 2003-05-30 2006-02-02 (주)플라즈마텍 백연 제거장치
CN2709906Y (zh) * 2004-04-28 2005-07-13 张燕平 燃煤发电锅炉冷却塔水雾回收装置
KR20110047622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방지 냉각탑
CN201706963U (zh) * 2010-03-18 2011-01-12 陈远 冷却塔回收水装置
CN103307904A (zh) * 2012-03-09 2013-09-18 康普思创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消雾回收水型冷却塔
KR101349114B1 (ko) * 2013-03-18 2014-01-16 주식회사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백연 저감 냉각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347U (ko) * 1987-08-06 1989-02-13
KR20110047623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경인기계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냉각탑
KR20140053048A (ko) * 2014-03-10 2014-05-07 (주)풍천엔지니어링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고효율 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398A (zh) * 2016-06-12 2016-08-24 无锡市科巨机械制造有限公司 闭式干湿两项同程冷却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9403B2 (en) 2017-03-21
CN107110607B (zh) 2020-04-10
US20160033203A1 (en) 2016-02-04
CN107110607A (zh) 2017-08-29
KR101535232B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1857A1 (ko)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냉각탑
WO2015163561A1 (ko) 서버실 냉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의 제조 방법
WO2016006906A1 (e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N109395882B (zh) 一种除尘换热消白设备及系统
WO201701886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9107677A1 (ko) 정전분무 싸이클론 공기청정기
WO2014007559A1 (en) Ionizer
WO2014104575A1 (ko) 복수의 잠열 열교환부를 갖는 콘덴싱 보일러
WO2015102247A1 (ko) 서버실 냉각 장치, 외기 도입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데이터 센터의 공조 시스템
WO2020139004A1 (ko) 백연저감 냉각탑
WO2014058099A1 (ko) 물 증발식 냉풍기
KR20050025291A (ko) 수냉식 백연 제거방법 및 장치
WO2015122696A1 (ko) 배기가스 처리를 위한 파우더 발생장치
WO2016167425A1 (ko) 연도 가스 폐열 회수 및 백연 저감 장치
WO2013137650A1 (ko) 콤바인 배기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WO2021040448A1 (ko)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WO2014142531A1 (ko) 가스 냉각 장치
WO2016093654A1 (en) Gas scrubber that generates no plumes and method of scrubbing gases
CN202909591U (zh) 一种复合式高温烟气冷却及净化装置
SU1274165A1 (ru)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WO2021020642A1 (ko) 열교환기 세정 시스템 및 열교환기 세정 방법
WO2015111861A1 (ko) 제습기
JPS57176312A (en) Exhaust gas complete reflux equipment for engine
WO2020027468A1 (ko) 다기능 실내 공기조화기
JP2591197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0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6.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0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