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722B1 -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 Google Patents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722B1
KR100326722B1 KR1019990040011A KR19990040011A KR100326722B1 KR 100326722 B1 KR100326722 B1 KR 100326722B1 KR 1019990040011 A KR1019990040011 A KR 1019990040011A KR 19990040011 A KR19990040011 A KR 19990040011A KR 100326722 B1 KR100326722 B1 KR 10032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et
cooling water
d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988A (ko
Inventor
구제병
Original Assignee
구제병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제병,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구제병
Priority to KR101999004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7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F28C2001/145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with arrangements of adjacent wet and dry pass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요의 수의 건식풍로(21)와 습식풍로(11)가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충진재내에 횡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1)와 교차되게 흐르는 방식으로 냉각수를 냉각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와 냉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식풍로(21)를 둘러 싸는 냉각판(31)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습식풍로(11)로 흐르는 냉각수(40) 유량의 일부를 건식풍로(21)로 유도하여 습식냉각을 행하기 위해 역전라인(35)을 따라 냉각수 유도부을 형성함으로써 건식풍로(21)의 공기에서 습식풍로(11)의 냉각수로 열이 전달되는 역전현상을 제어하여 냉각탑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에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Crossflow colling tower filler with reduced vapor cloud and cooling method}
본 발명은 소요의 수의 건식풍로와 습식풍로가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충진재내에 횡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교차되게 흐르는 방식으로 냉각수를 냉각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와 냉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식풍로를 둘러 싸는 냉각판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습식풍로로 흐르는 냉각수 유량의 일부를 상기 건식풍로로 유도하여 습식냉각을 행하기 위해 역전라인을 따라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건식풍로의 공기에서 습식풍로의 냉각수로 열이 전달되는 역전현상을 제어하여 냉각탑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와 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류와 산업의 발전은 인류에게 쾌적함과 풍요로움을 주지만 그러한 산업공정이 효율적으로 운전되기 위해서는 발생되는 열을 지속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이러한 산업용 냉각기기나 건물의 냉방에서 필수적인 열의 배출은 냉각수를 매체로 최종적으로 대기로 방출된다. 이러한 냉각수는 세계적인 물부족 추세에 따라 냉각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냉각탑이 석유화학, 제철, 식품제조, 냉동, 공기조화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기존의 냉각탑에서 발생되는 환경 문제들, 즉 소음 및 진동, 백연 문제 등에 대해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관련법규의 강화로 인해 이들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중에서 특히 공항이나 도로 근처 또는 주택 밀집 지역에 설치된 냉각탑의 경우 시각적 공해의 윈인이 되는 백연은 냉각탑의 설계시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인자가 되었으며 최근까지 백연을 감소 내지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실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 습/건식 냉각탑(wet/dry type cooling tower)인데,이의 구성을 도 4내지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냉각탑은 충진재(Fill)(30)영역인 습식열교환부(wet section)에서 나온 고온다습한 습공기(거의 포화상태 이다.)를 팬(2)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기 전에 팬(2)과 충진재(30)사이에 건식열교환부(Dry section)(20)를 설치하여 습공기의 상대습도를 낮춤으로써 백연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각탑은 건식열교환부의 설치에 따른 냉각탑내의 공간의 증대 및 고가의 자재로 인해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가열코일(22)의 부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식열교환부를 설치하는 대신 충진재 자체에 습식과 건식이 결합된 충진재를 사용한 냉각탑이 여러 특허 문헌에 개시 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평3-75495, 평8-145579, 평8-75378, 평9-61086 등)
도 5a 및 5b에는 상기와 같은 냉각탑에 사용되는 종래의 충진재(30)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이중 습식충진재부분(습식풍로)(11)으로는 항상 냉각수(40)가 통과되도록 하고 반면에 건식충진재부분(건식풍로)(21)으로는 백연방지를 위해 대기에서 유입된 공기만을 통과하도록 하면서 냉각수(40)는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이 부분이 습공기의 가열부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한 것이다. 즉 건식풍로(21)를 형성하여 백연방지를 위한 공기가열부(dry heating section)로 활용하여, 백연을 방지하게끔 하는 것이다.그러나 직교류형 냉각탑의 백연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건식풍로 (21)를 습식풍로(11)의 소요의 위치에 설치하여 충진재(30)를 구성하는 것은 냉각효율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즉, 습식풍로(11)에서는 외부로 부터 유입된 공기가 냉각수와 직접 접촉하여 현열 또는 잠열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데 반해 건식풍로(21)에서는 냉각판(31)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수(40)를 냉각하게 되어 냉각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대한한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995-0019602(발병의 명칭: 피냉각수의 냉각방법 및 냉각탑)에서는 백연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모든 흐름통로로 냉각수를 흐르게 하여 냉각수를 직접냉각하고 백연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에서는 냉각수가 흐르지 않는 통로(건식풍로)에서 건식냉각이 행해지도록 하여 백연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6a 와 도 6b 와 같이 상부에는 습건식, 하부에는 습식으로 충진재를 나누는 방식에 있어서는 상부 습건식충진재부분을 통과한 냉각수가 하부의 습식충진재에 골고루 분배되기가 매우 어려워 심한 성능저하가 일어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습건식충진재와 하부 습식충진재사이에 중간물분배판(105)을 설치하는 경우 중간물분배판(105)이 공기 유동에 장애가 되어 하부 충진재의 공기 흡입상단과 공기 출구하단의 충진재 영역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중간물분배판(105)의 노즐점검과 청소가 운전중 불가능하여 실용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상부 습건식충진재와 하부 습식충진재부분으로 분리하는 방식은 충진재의 조립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냉각 및 백연 발생 방지 등의 여러조건에 맞는 설계 적응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상부 습건식 충진재의 냉각능력 향상을 위하여 백연발생의 우려가 없는 경우 도 7a내지 도 7b와 같이 냉각판 사이의 흐름통로 사이로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분배하기위한 장치를 구비하여 건식풍로와 습식풍로를 구획 조정하는 방법은 자동제어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므로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냉각수 스케일등에 의한 고장이 잦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직교류형 냉각탑의 백연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건식풍로 (21)를 습식풍로(11)의 소요의 위치에 설치하여 충진재(30)를 구성하는 것은 냉각효율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즉, 습식풍로(11)에서는 외부로 부터 유입된 공기가 냉각수와 직접 접촉하여 현열 또는 잠열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데 반해 건식풍로(21)에서는 냉각판(31)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수(40)를 냉각하게 되어 냉각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습식풍로(11)에서 냉각수와 공기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냉각수의 냉각을 습식냉각(wet cooling of the water or wet heating of the air)이라고 하고 건식풍로(21)를 지나는 공기와 냉각판의 판체상을 흐르는 냉각수가 냉각판을 사이에 두고 이루어 지는 열전달에 의한 냉각수의 냉각을 건식냉각(dry cooling of the water or dry heating of the air)이라 하기로 한다.
건식풍로(21)가 많으면 많을 수록 외부로 방출되는 습공기의 상대습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백연의 발생 방지는 효과적인 것이 되지만 냉각수의 냉각이라는 냉각기 본래의 기능은 필연적으로 저하되게 되므로 실제에 있어서는 습식풍로와 건식풍로의 배치는 백연방지와 냉각효율의 양측면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건식풍로의 배치는 백연 발생을 방지하기위해 피할 수 없는 조건이지만, 충진재의 하단부분(도 2 의 빗금친 라인의 아래부분)에서는 오히려 건식풍로(21)를 통해 외부로 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습식풍로(11)를 지나 냉각된 냉각수의 온도보다 높게 되어 건식풍로(21)의 공기로부터 습식풍로(11)의 냉각수로 열이 전달되는 역전현상이 생기게 된다.
즉 냉각판을 따라 흘러 내리는 냉각수는, 습식풍로에서의 습식냉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습구온도(wet-bulb temperature)를 최대냉각한계로 하여 냉각되며 건식풍로에서의 건식냉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건구온도 (dry-bulb temperature)를 최대 냉각한계로 하여 냉각되게 된다. 따라서 냉각된 냉각수의 온도가 건식풍로를 지나온 공기의 온도보다 낮아지는 지점이 생기게 되며 이 지점에서 역전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역전현상의 의미는 냉각수로부터 공기로 열이 전달되는 정상적인 열전달방향과는 반대로 건식풍로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로부터 냉각수로 열이 전달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완전한 역전이 아니더라도 냉각수와 공기의 온도차가 적어 비경제적인 열전달이 발생하는 영역도 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는 백연 발생 방지의 측면에서나 냉각탑의 냉각효율의 측면에서나 결코 바람직 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역전현상을 제어하는 것은 냉각탑 전체의 성능을 개선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이와 같은 역전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은 냉각수와 건식풍로의 공기의 온도분포에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이를 도 2 에 표현하였다. 도 2 는 충진재로 유입되는 공기의 건구온도가 30.5℃, 습구온도가 26℃ 인 경우 습식풍로(11)와 건식풍로(21)의 사이에 위치하는 냉각판(31) 표면에 공기(1)와 냉각수(40)의 온도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습식풍로(11)상의 냉각수(40) 온도와 건식풍로(21)상의 공기(1)온도차가 0.75℃ 인 지점을 역전라인(35)으로 설계한 경우이다.
실선은 냉각수의 등온선을 나타내고 이점쇄선은 공기의 등온선을 나타낸다. 빗금친 라인(35)은 역전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최상부지점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역전라인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전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습식풍로(11)를 지나온 냉각수(40) 유량의 일부를 건식풍로(21)로 유도하여 역전현상을 제어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백연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추가적인 부대설비(건식풍로로의 냉각수 유도를 위한 구동장치나 중간물분배판 등)없이도 냉각탑의 냉각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라 냉각판 표면에 역전라인을 따라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한 충진재의 수직단면 측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냉각판 표면에 역전라인을 따라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한 충진재의 사시도
도 1c는 도 1b 에서 A 부분의 확대도
도 2는 냉각판 표면의 공기와 냉각수의 온도분포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충진재의 실험을 위한 시험장치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백연방지 냉각탑의 구성도
도 5a는 습건식 충진재를 사용한 종래의 다른 백연방지 냉각탑의 구성도
도 5b는 도 5a에서 충진재 부분의 발췌 사시도
도 6a 및 6b는 상부에는 습건식충진재, 하부에는 습식충진재를 2단으로 형성한 종래의 백연방지 냉각탑의 구성도 및 충진재 부분 발췌도
도 7a 내지 7d는 냉각판 사이의 흐름통로 사이로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분배하기위한 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의 일부 발췌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 2: 팬
11: 습식풍로 20: 건식열교환부21: 건식풍로 22: 가열코일30: 충진재 31: 냉각판35: 역전라인 39: 파이프 관통공38: 간격유지돌기 40: 냉각수50: 구멍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역전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습식풍로를 지나온 냉각수의 일부를 건식풍로로 유도하기 위해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하여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 이후부터(도2의 역전라인 아래부분)는 습식냉각만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즉, 일견지에서 본 발명은 소요의 수의 건식풍로와 습식풍로가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충진재내에 횡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교차되게 흐르는 방식으로 냉각수를 냉각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에 있어서, 건식풍로를 둘러싸는 냉각판의 한 쪽 또는 양 쪽으로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의 상기 냉각판 표면에 습식풍로를 흐르는 냉각수 유량의 일부를 상기 건식풍로로 유도하여 습식냉각을 행하기 위해 상기 냉각판 표면에 역전라인을 따라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를 제공한다.다른 견지에서는 본 발명은 소요의 수의 건식풍로와 습식풍로가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충진재내에 횡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교차되게 흐르는 방식으로 냉각수를 냉각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에 있어서의 냉각수 냉각방법에 있어서, 건식풍로를 둘러싸는 냉각판의 한 쪽 또는 양 쪽으로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의 상기 냉각판 표면에 역전라인을 따라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함으로써 습식풍로를 흐르는 냉각수 유량의 일부를 상기 건식풍로로 유도하여 습식냉각이 이루어지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에 있어서의 냉각수 냉각방법을 제공한다.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은 냉각수와 건식풍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분포에 따라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냉각판의 치수와 형상에 따른 특성에 따라 달라지나 냉각수의 온도조건, 공기의 온도조건과 수공기비 등과의 함수 관계가 된다.
이 분야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을 이론적 혹은 실험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론적으로는 냉각판 표면을 여러섹션으로 나누어 다음의 두공식을 이용하여 냉각수와 공기의 등온(또는 등엔탈피)선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미국의 냉동공조 공학회에서 발간한 ASHRAE HANDBOOK 1983 EQUIPMENT VOLUME(CHAPTER 21)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수학식>
L CLdt = G dh = K a dV (h'- ha) - - - - - - - - - - - - - - ①
L CLdt dx = G dh dy = K a dx dy(h'- ha) - - - - - - - - -②
여기서,
L = 순환수량(Kg/hr) CL =순환수 비열(Kcal/Kg℃)
G = 공기량(Kg/hr) dt =순환수 온도차(℃)
dh = 공기엔탈피변화(Kcal/Kg) K =총괄열전달계수(Kcal/㎡hr℃)
a = 충진재 표면적(㎡) V = 충진재 체적(㎥)
h'= 순환수 엔탈피(Kcal/Kg) ha =공기 엔탈피(Kcal/Kg)
dx = 섹션의 가로변길이(m) dy = 섹션의 세로변길이(m)
을 의미한다.
습식풍로를 흐르는 냉각수를 건식풍로로 유도하기 위한 냉각수 유도부는 단순히 다수의 구멍일 수 있다. 각수 유도부의 형태는 냉각판 표면의 형상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건식풍로(21)로 유도되어야 할 냉각수의 유량은 습식풍로(11)를 따라 흐르는 냉각수 유량의 대략 절반 정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은 본 발명을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냉각수 유도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건식풍로의 공기와 습식풍로상의 냉각수의 온도가 같거나 건식풍로의 공기 온도가 습식풍로상의 냉각수 온도보다 높은 지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은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에서 습식풍로로 흐르는 물을 건식풍로로 유도하기 위해 여러가지 수단을 도입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에서는 도 1C 에서와 같이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의 냉각판 표면에 역전라인(35)을 따라 단순히 다수의 구멍(50)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구멍은 건식풍로를 둘러싸고 있는 냉각판(31)의 한 쪽(일면) 또는 양 쪽(양 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에 의한 냉각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에서와 같이 냉각수(40)가 수분배판(미도시)에서 건식풍로 (21)와 습식풍로(11)가 적정한 수로 배분된 충진재(30) 표면을 따라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내리는 동안 외부로 부터 횡방향으로 유입된 공기(1)에 의해 습식풍로(11)에서는 습식냉각, 건식풍로(21)에서는 건식냉각 작용을 각각 받게 된다.
그리고 냉각판을 따라 흐르는 냉각수 유량의 대략 절반 정도(40')는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의 냉각판 표면에 역전라인(35)을 따라 형성해 놓은 구멍(50)을 통해 그 이후 부터는 건식풍로(21)로 유도되어 습식냉각 작용을 받게 된다. 물론 나머지 절반(40")은 습식풍로(11)를 따라 계속 흐르면서 습식냉각 작용을 받게된다. 이에 따라 백연발생을 방지 하면서도 역전현상이 제어되어 냉각수에서 공기로의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의 작용효과는 다음의 실험예에 의해 더욱 명확해 진다.
<실험예>
본 실험예에서 사용한 시험장치를 도 3 에 도식적으로 표현 하였다.
원 안에 숫자는 냉각탑 각 구성기기에서의 공기와 냉각수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① 냉각수 입구수온 ② 냉각수 출구 수온
③ 입구 공기 습구온도 ③' 입구 공기 건구온도
④ 출구 공기 습구온도 ④' 출구 공기 건구온도
미설명부호 100은 순환수 펌프, 101은 열교환기, 102는 밸브를 표시한다.
시험충진재는 가로가 2m, 세로가 1m 인 냉각판을 너비 2m 가 되도록 충진하였으며, 건식풍로(21)를 둘러 싸는 냉각판(31) 표면의 양쪽에 역전라인(35)을 따라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였다. 상기 구멍들의 면적의 합은 역전라인(35)의 빗금친 면적에 대략 절반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역전라인(35)은 본 실험예에서 사용한 냉각판에서 공기 입구측 하단으로부터 대략 0.9m, 공기 출구측 하단으로부터 대략 0.3m 지점을 이은 라인에 형성 되었다. 충진된 냉각판(FILL)은 93개이며 건식풍로와 습식풍로를 교대로 형성 시켜 건식풍로와 습식풍로를 각각 46개씩 형성 하였다.
비교재로는 건식풍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습식충진재(비교재A)와 건식풍로가 형성된 습건식충진재(비교재B)를 상기의 시험충진재와 동일한 크기로 준비하였으며, 모두 동일한 장치에서 실험을 하였다.
다음의 표는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표>
구분 순환수량(㎥/hr) 입구수온(℃) 출구수온(℃) 입구공기온도(℃) 동력 (KW) 냉각능력(상당CRT) 백연방지능력 (절대습도g/kg)
비교재A 110 37.45 29.37 18.78 WBT19.40 DBT 6.5 141.1 +백연발생
비교재B 131 39.83 33.63 18.63 WBT19.29 DBT 6.62 91.7 -0.33
본 발명 130 39.52 33.12 18.91 WBT19.55 DBT 6.62 98.7 -0.40
* WBT(wet bulb temperature), DBT(dry bulb temperature)
환산냉각능력 1 CRT는 습구온도 27℃ 인 입구공기가 0.78㎥/hr 순환수량으로 입구수온 37℃인 냉각수를 출구수온 32℃로 냉각할 때의 냉각능력을 의미한다.
백연방지능력은 습공기 선도에서 포화선(상대습도 100%)과 입구공기의 상태와 출구공기의 상태의 두점을 이은 직선(출구공기의 냉각선)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의 절대습도와의 차이로서 그 수치의 절대값이 크면 클 수록 백연발생방지의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포화선과 출구공기의 냉각선이 교차하는 경우에 응축에 의한 백연이 발생되며 이를 절대습도의 차이(+)로 표시하고, 서로 교차되지 않는경우에는 백연이 발생되지 않고 이를 절대습도의 차이(-)로 표시한다.
상기의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건식풍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습식충진재(비교재A)의 경우에는 냉각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백연이 발생되었고, 냉각수 유도부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습건식 충진재의 경우에는 냉각수 유도부가 없는 습건식 충진재(비교재B)에 비하여 냉각능력은 7.6%, 백연발생 방지능력은 21% 각각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는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백연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역전현상을 제어하여 추가적인 부대설비(건식풍로로의 냉각수 유도를 위한 구동장치나 중간물분배판 등)없이도 냉각탑의 냉각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소요의 수의 건식풍로(21)와 습식풍로(11)가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충진재(30)내에 횡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1)와 교차되게 흐르는 방식으로 냉각수(40)를 냉각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에 있어서, 건식풍로(21)를 둘러싸는 냉각판(31)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역전라인(35)를 따라 또는 역전라인(35)의 하부지점에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하여 습식풍로(11)를 흐르는 냉각수(40) 유량의 일부를 상기 건식풍로(21)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상기 건식풍로(21)와 상기 습식풍로(11)가
    충진재(30)내에서 서로 교대로 병렬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도부는 다수의 구멍(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풍로(11)를 따라 흐르는 냉각수(40)로부터 상기 건식풍로(21)로 유도되는 냉각수의 유량은 상기 습식풍로(11)를 따라 흐르는 냉각수(40) 유량의 대략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5. 소요의 수의 건식풍로(21)와 습식풍로(11)가 병렬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충진재(30)내에 횡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1)와 교차되게 흐르는 방식으로 냉각수(40)를 냉각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에 있어서의 냉각수 냉각방법에 있어서, 건식풍로(21)를 둘러싸는 냉각판(31)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역전라인(35)을 따라 또는 역전라인(35)의 하부지점에 냉각수 유도부를 형성하여 습식풍로(11)를 흐르는 냉각수(40) 유량의 일부를 상기 건식풍로(21)로 유도하여 습식냉각이 이루어지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에 있어서의 냉각수 냉각방법.
KR1019990040011A 1999-09-17 1999-09-17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KR10032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011A KR100326722B1 (ko) 1999-09-17 1999-09-17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011A KR100326722B1 (ko) 1999-09-17 1999-09-17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988A KR20010027988A (ko) 2001-04-06
KR100326722B1 true KR100326722B1 (ko) 2002-03-04

Family

ID=1961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011A KR100326722B1 (ko) 1999-09-17 1999-09-17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7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121B1 (ko) * 2014-11-12 2016-02-2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가스 세정기
US9599403B2 (en) 2014-08-04 2017-03-21 Samsung Engineering Co., Ltd. Cooling tower having plume abating means
KR20190125089A (ko)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오티티 냉각수 분배 제어가 가능한 직교류형 백연저감 냉각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9403B2 (en) 2014-08-04 2017-03-21 Samsung Engineering Co., Ltd. Cooling tower having plume abating means
CN107110607A (zh) * 2014-08-04 2017-08-29 Jse&E 株式会社 具有白烟降低装置的冷却塔
CN107110607B (zh) * 2014-08-04 2020-04-10 Jse&E 株式会社 具有白烟降低装置的冷却塔
KR101598121B1 (ko) * 2014-11-12 2016-02-2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백연 저감 수단을 구비하는 가스 세정기
KR20190125089A (ko)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오티티 냉각수 분배 제어가 가능한 직교류형 백연저감 냉각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988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7054B2 (ja) 熱交換方法及び熱交換装置
US6938885B2 (en) Hybrid type cooling tower
US733783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10047623A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냉각탑
KR100631273B1 (ko) 송풍 팬과의 거리차에 따라 서킷의 패턴이 다른 열교환기를구비한 공기 조화기
CN111829074B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US4967830A (en) Arcuate tubular evaporator heat exchanger
US5538075A (en) Arcuate tubular evaporator heat exchanger
JPH02213624A (ja) 空調装置の熱交換ユニット
KR100326722B1 (ko) 직교류형 백연방지 냉각탑용 충진재 및 냉각방법
US3808832A (en)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JP2008036552A (ja) 除湿装置
EP4215863B1 (en) Heat exchanger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US3718008A (en)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JP6764599B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895937B1 (ko) 압입송풍형 대향류냉각탑
KR200315236Y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US3251406A (en) Air conditioning units
US11460221B2 (en) Diverter plate for furnace of HVAC system
KR200235343Y1 (ko) 옥외용통신장비를위한케이스
KR102350168B1 (ko)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냉각탑
JP7431500B2 (ja) 空調機の空気温度均一化構造
KR20080084530A (ko) 초고속용 공기조화기
US20240102738A1 (en) Cool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oling a Water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