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1814A1 - 인트라오랄 센서 - Google Patents

인트라오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1814A1
WO2016021814A1 PCT/KR2015/004658 KR2015004658W WO2016021814A1 WO 2016021814 A1 WO2016021814 A1 WO 2016021814A1 KR 2015004658 W KR2015004658 W KR 2015004658W WO 2016021814 A1 WO2016021814 A1 WO 20160218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raoral
case
intraoral sensor
sens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46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성근
전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식회사 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식회사 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ublication of WO20160218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18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5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detecto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 A61B6/51

Abstract

본 발명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휘어질 수 있는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트라오랄 센서
본 발명은 인트라오랄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휘어질 수 있는 X-선 인트라오랄 센서에 관한 것이다.
구강 내 치아 및 치아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한 구강 내 X선 촬영에서 기존에는 필름을 이용한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필름 방식의 경우 구강 내에서 과도하게 휘어져 영상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촬영된 필름의 현상 및 보관상의 문제 등에 기인하여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의 인트라오럴 센서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의 인트라오럴 센서는 일반적으로 딱딱한(rigid) 재질의 구성품들로 이루어져 휘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된다. 때문에, 구강 내 X선 촬영 시 영상왜곡의 상대적으로 가능성은 낮지만 환자는 이물감이나 통증을 크게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에 삽입되어 그에 접하는 치아 등 구조물의 위치 관계를 따라 휘어짐 정도가 가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물감이나 통증을 경감할 수 있는 휘어짐 특성을 갖는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휘어질 수 있는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인트라오랄 센서는 장방형을 가지며, 장축 방향의 양단 부분이 인트라오랄 센서의 중심부 보다 더 잘 휘어질 수 있다.
구강 내에서 그에 접하는 구조물에 따라 휘어짐 정도가 다를 수 있다.
구강 내에서 그에 접하는 구조물에 따라 외형면이 변화할 수 있다.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휘어질 수 있는 센서패널과; 상기 X선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센서패널의 전방에서 상기 센서패널의 전면을 덮어 수납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센서패널 배면에 밀착되는 배면 지지부와; 상기 센서패널과 제1 케이스의 실질적인 외면 전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의 외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휘어짐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센서패널의 전면이 안착되는 기저부와; 상기 센서패널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 측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기 측벽에 상기 장축 방향과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중심 부분에서 양단 부분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패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면 지지부는, 몸체 및 상기 몸체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밀착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 지지부를 관통해서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송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 전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의 외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휘어질 수 있는 이미지 센서와; 그 내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휘어짐 정도를 제한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인트라오랄 센서는 장방형을 가지며, 장축 방향의 양단 부분이 인트라오랄 센서의 중심부 보다 더 잘 휘어질 수 있다.
구강 내에서 그에 접하는 구조물에 따라 휘어짐 정도가 다를 수 있다.
구강 내에서 그에 접하는 구조물에 따라 외형면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는 구강내 구조물과의 위치관계에 따라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어 환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트라오랄 센서는, X-선을 감지하는 센서패널 전면과 측면을 덮으며 센서패널보다 휘어짐 정도가 적은 제1 케이스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인트라오랄 센서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어지며, 영상 왜곡을 최소하면서 환자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트라오랄 센서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센서의 제1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홈을 형성하여 위치에 따라 센서패널과 제1 케이스의 휨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인트라오랄센서의 휘어짐에 따른 제1 케이스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패널 후방에 센서패널 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배면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배면 지지부에 의해 눌려지는 센서패널의 중앙 부분은 주변 부분에 비해 휨 정도가 제한됨으로써,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고 환자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면 지지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를 사용하여 인트라오랄 센서의 구성들의 결합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전송 케이블과 인트라오랄 센서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질 특성의 하우징을 사용하여 인트라오랄 센서의 외부를 덮어 씌움으로써, 구강 내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한된 휘어짐 특성을 갖는 인트라오랄 센서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전송 케이블과 인트라오랄 센서의 전기적 접속 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센서패널과 배면 지지부, 센서패널과 제1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보인 인트라오랄 센서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 변환 방식 센서패널의 광변환을 위한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의 휘어짐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가 구강내 위치에 따라 그 외형면이 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를 이용한 치근단 촬영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촬영대상을 투과한 X-선 감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써 제공하는 센서패널(110)과, 제1 케이스(120)와, 배면 지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20), 센서패널(110)은 X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도 3 및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90)이 생략된 인트라오럴 센서의 구조를 도시하였고, 또한 도 3에서는 제2 케이스(200)가 생략된 인트라오럴 센서의 구조를 도시하였으며, 도 3의 구조를 갖는 인트라오럴 센서 구조에 대해 도면번호 100a를 부여하였고, 도 4의 구조를 갖는 인트라오럴 센서의 구조에 대해 도면번호 100b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센서패널(110)과, 제1 케이스(120)와, 배면 지지부(180)를 결합하여 모듈화하는 제2 케이스(200)과, 제2 케이스(200)를 덮어 감싸는 하우징(19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전면(front face)으로 X-선을 수광하는 센서패널(110)에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유효영역, 즉 액티브 영역에 횡방향과 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정의된다. 각 화소에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전변환소자와 스위칭 소자가 구성되어,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전송하게 된다. 스위칭 소자는 CMOS 트랜지스터 또는 TFT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패널(110)의 후방에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 케이블(210)로 출력하기 위한 패드부(112)가 구성된다.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휘어짐 특성의 구현을 위해, 센서패널(110) 또한 휘어짐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센서패널(110)이 반도체, 세라믹, 유리 등의 취성 기판을 사용한 것을 전제로, 해당 기판은 100 um 이하, 일례로 30um~70u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위와 같은 두께로 기판을 형성하게 되면, 센서패널(110)의 휘어짐 강도(bending strength)가 최적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두께의 센서패널(110)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판의 배면 측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광전변환소자가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배면에 대해, 그라인딩(grinding) 등의 공정을 진행하여 기판의 두께를 전술한 바와 같은 정도로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패널(110)로서 입사된 X선을 전기적 신호로 직접 변환하는 직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나, 입사된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110)이 사용되는 경우,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의 단면 구조(110a)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센서패널의 기판(111) 일면, 즉 광전변환소자 상에는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scintillator)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센서패널(110)에서 X선 입사면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른 예로서 X선 입사면의 반대면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될 수 있다. 형광체층(140)의 일면은, 예를 들면, 접착제(145)를 통해 기판(111)에 부착될 수 있다. 형광체층(140) 다른 면 상에는, 형광체층(140)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투과성의 보호막(150)이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145)는 광투과도가 높은 연성의 접착제, 일례로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보호막(150)은 방사성 투과성과 습기 차단성이 높은 수지재질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제(145)는 기판(111)의 취성을 완화하도록 10~50um, 바람직하게는 OCA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을 전제로 15~4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형광체층(140)을 구성하는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면, CsI를 사용한 형광체나, 개독스(Gadox: Gd2O2:Tb)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휘어짐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주상 결정 구조의 CsI 형광체 보다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독스 형광체는 미립자 구조를 갖게 되므로,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게 되더라도 파손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층(140)은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참고로, 개독스를 이용한 형광체층(140)은 충분한 광량을 얻기 위해 250~500um, 바람직하게는 300~40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형광체층(140)를 향하는 면이 아닌 기판(111)의 반대면에는 플렉서블층(15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플렉서블층(155)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층(155)은 센서패널(110)의 휘어짐에 대해 센서패널(110)의 취성을 완화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 예를 들면 50~150 u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도 1 내지 4와 함께 참조하면, 제1 케이스(120)는 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제1 케이스(120)는 그 배면 면이 센서패널(110)의 전면과 접하고 그 전면 면은 촬영대상을 사이에 두고 X-선 소스를 향하는 기저부(121)와, 기저부(121)의 가장자리 측변에서 후방으로(안쪽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의 측벽(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20)의 기저부(121)와 측벽(123)이 이루는 공간에는 센서패널(110)이 수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20)의 배면은 센서패널(110)의 정면과 접하여 센서패널(1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120)는 그 재질/형상 등에 따라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휘어짐 정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1 케이스(120)는 휨 특성을 가지면서도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케이스(120)는 플렉서블 유리(flexible glass) 재질이나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케이스(120)는 대략 0.4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재질로 제1 케이스(120)를 형성함에 따라, 센서패널(110)의 휘어짐은 제1 케이스(120) 휘어짐 정도에 따라 그 휨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센서패널(110)이 과도하게 휘어져 파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게 되는바,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기저부(121)는 실질적으로 육각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123)은, 기저부(121)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이웃하는 가장자리 측변의 측벽들(123)은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 즉 이웃하는 측벽(123) 사이에는 틈새공간(129)이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측벽(129)이 가장자리 측변 전체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측변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틈색공간(129)이 마련됨으로써,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는 경우에 제1 케이스(120)의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제1 케이스(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센서패널(110)은 방사선 투과성을 갖는 연질의 접착제(113)로서, 예를 들면, 폼 테이프(foam tape)를 사용하여 제1 케이스(120)의 기저부(121)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113)는 대략 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케이스(120)의 측벽(123)의 높이는, 센서패널(110)을 제1 케이스(120)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센서패널(110)과 접착제(113)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측벽(123)의 높이는 대략 2.5mm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케이스(120)의 측벽(123)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125)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장방 형상의 제1 케이스(120)에 있어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123)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홈(125)이 구성되는데, 특히 이와 같은 홈(125)은 해당 측벽(123)의 중심에서 양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 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홈(125)을 구성하게 되면,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에 따라 휘는 정도가 변화하게 된다. 즉, 홈(125)의 간격이 좁을수록 해당 부분은 더 휘게 되고, 홈(125)의 간격이 넓을수록 해당 부분은 덜 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케이스(120)는 x축 방향에 있어 중심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휨 정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게 되며, 이와 같은 휨 특성이 인트라오랄 센서(100)에 부여된다. 이처럼, 위치에 따라 휨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구강 내 촬영시 환자의 불편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구강 내 촬영 시에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중심 부분에 비해 장축 방향의 양단 부분이 구강 내 조직과 대부분 접촉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장축 방향의 양단 부분이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중심부 보다 더 잘 휘는 특성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더욱 더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보다 덜 휘는 특성을 갖게 되는바, 전체적으로 볼 때 휨에 의한 영상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측벽(123)에 형성된 홈(125)은 측벽(123)의 길이방향에 교차 형성된다. 홈(125)은 측벽(123)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거나 그리고 홈(125)은 측벽(123)의 길이방향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편의상, 기저부(121) 측을 측벽(123)의 하단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측벽(123)의 상단이라 하면, 홈(125)은 측벽(123)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1폭(w1)을 갖는 제1홈부(125a)와, 제1홈부(125a)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홈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홈부(125b)의 적어도 일부는 제1홈부(125a)의 제1폭(w1)에 비해 넓은 제2폭(w2)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홈부(125b)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홈부(125b)가 둥근 원의 형태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든다. 측벽(123)의 제2홈부(125b)를 상대적으로 넓은 폭(w2)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휘는 경우에 측벽(123)의 홈(125)의 하단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인트랄오랄 센서(100)가 휘어질 때 홈(125)이 보다 더 벌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이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장축 방향의 측벽(123)에 홈(125)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 단축 방향의 측벽(123)에도 홈(125)이 형성되고 홈(125)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배면 지지부(180)는 센서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구강 내 X선 촬영시 인트라오랄 센서(10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거나 기구물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배면 지지부(180)는 몸체(181)와, 몸체(181)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181)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밀착단(183)과, 몸체(181)의 일측에서 밀착단(183)까지 배면 지지부(180)를 관통하는 인입구(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면 지지부(180)는 몰딩(moling)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몸체(181)는 상부(181a)와, 그 아래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요입된 하부(181b)로 구성되어, 즉, 상부(181a)의 폭이 하부(181b)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배면 지지부(180)의 측면은 단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밀착단(183)은 몸체(181)의 하부(181b)와 연결되며, 센서패널(110)의 중심 부분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밀착단(183)의 전면은 센서패널(110)의 배면에 밀착되어 센서패널(110)의 후방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착단(183)에 의해 지지되는 센서패널(110) 중심 부분의 휨 정도가 밀착단(183)에 의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밀착단(183)에 대응되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중심 부분은 덜 휘어지고 그 주변 부분은 상대적으로 더 휘는 특성을 갖게 되어, 환자의 불편감이 완화되고 영상 왜곡 또한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밀착단(183)을 통해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휘어짐 정도를 제한하고 또한 위치에 따라 휘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인입구(185)에는 전송 케이블(210)이 삽입된다. 인입구(185)의 일단은 몸체(181)의 일측에 위치하고, 인입구(185)의 타단은 밀착단(183)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인입구(185)의 타단은 센서패널(110)의 패드부(112)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인입구(185)에 삽입된 전송 케이블(210)은, 인입구(185)의 타단에서 센서패널(110)의 패드부(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송 케이블(210)과 패드부(112)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 ACF),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솔더링(solder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착단(183)은 센서패널(110)에 배면에 밀착되어 그 후방을 지지하게 되는바, 전송 케이블(210)과 센서패널(11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서, 센서패널(110)과 그 전방의 제1 케이스(120) 그리고 센서패널(110) 후방의 배면 지지부(180)는 서로 결합되어 모듈화된다. 이들 구성들의 결합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해, 제2 케이스(200)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는 몰드 케이스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200)는 제1 케이스(120)의 전면 및 외측면과, 센서패널(110)의 배면과, 밀착단(183)의 배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배면 지지부(180) 밀착단(183)의 배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가져 하부(181b)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면 지지부(180)의 하부(181b) 일부를 제외한 부분은 노출되도록 제2 케이스(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200)는, 예를 들면, UV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제한된 범위에서 휘어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몰드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재질로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대략 D 10~2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제2 케이스(200)를 구비함으로써, 센서패널(110)과 제1 케이스(120)와 배면 지지부(180)를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센서패널(110)과 전송 케이블(210) 간의 전기적 접속은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어지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 제2 케이스(200)를 형성하게 되면,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전체적인 휘어짐 정도를 목적에 따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케이스(200)가 적용된 인트라오랄 센서(100)에 대해 몰딩 방법을 적용하여, 도 1과 같이 하우징(190)에 의해 배면 지지부(180)의 일부를 제외한 외면 전체가 하우징(190)으로 덮여진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90)은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외부를 둘러싸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190)은, 제2 케이스(200)를 모두 덮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우징(190)은 제1 케이스(120) 외부와, 센서패널(110) 후방을 모두 감싸게 구성된다.
하우징(190)은 배면 지지부(180)의 인입구(185)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90)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몸체(18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인입구(185)의 일단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90)은 인입구(185)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전송 케이블(210)에 대해, 인입구(185) 일단에서 일정 길이까지의 전송 케이블(210)의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90)은, 전송 케이블(210)을 감싸는 연장부(191)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구(185)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전송 케이블(210)의 일부가 하우징(190)과 동종 계열의 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피복으로 덮힐 경우, 이 피복은 연장부(191)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게 된다. 피복은 전송 케이블(210)과 센서패널(110)의 접속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송 케이블(210) 중 센서패널(110)의 접속부분으로부터 인입구(185)를 지나는 전송 케이블(210)의 일부 길이는 피복으로 덮힐 수 있다.
하우징(190)과 피복이 동종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는 경우에, 하우징(190)과 피복의 접합 특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전송 케이블(210)과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접속은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90)은 연질 특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우레탄(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하우징(190)을 구성하는 연질 재질로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대략 A 30~5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질 특성을 갖는 하우징(190)을 사용하게 되면, 구강내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상당한 정도로 완화될 수 있게 된다. 즉, 구강내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최외부 구성인 몰드 하우징(190)에 대해 연질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인트라오랄 센서(100)와의 접촉시 환자는 부드러운 질감을 느끼게 되어,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몰드 하우징(190)으로 덮어 싸여진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그 특성을 감안하여, 배면 지지부(180)를 제외하고 대략 5mm 내외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구강 내 구조물, 즉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촬영을 위해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휘어질 수 있고, 구강 내 위치에 따라 외형면이 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a 및 8b를 참조할 수 있다.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상기 구조물을 향하여 가하지는 지지력과 구조물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위치 별로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는데, 인트라오랄 센서(100)는 구강 내 구조물의 위치별 배열관계에 따라 탄성한계 내에서 휘어짐 정도가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과 고통은 크게 경감되고, 이미지 왜곡의 가능성도 낮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를 사용하여 치근단을 X선 촬영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치근단 X선 촬영 시 적어도 일부가 치아(T)의 치근(R)을 덮는 잇몸(G)에 실질적으로 밀착되거나 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로 근접하도록 휘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인트라오럴 센서(100)의 적어도 일단은 치아(T) 및 상기 치아(T)의 상단(상악의 경우) 또는 하단(하악의 경우)의 잇몸(G)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딱딱한 재질의 인트라오럴 센서와 비교하면 치근단 X선 촬영시 촬영대상인 치근단(R)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면서도 환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는바, 치근단에 대해 보다 정확한 X선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앞서 도 8a,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오럴 센서(100)는 교합상태의 X선 촬영 시 구강 내에서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치아에 적어도 일 단이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한편, 인트라오럴 센서(100)의 적어도 일부는 이들 치아 사이에 있는 또 다른 치아에 실질적으로 밀착되거나 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로 근접하도록 휘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딱딱한 재질의 인트라오럴 센서와 비교하면 촬영대상인 치아들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면서도 환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는바, 교합에 대해 보다 정확한 X선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트라오랄 센서(100)가 제2 케이스(200)을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2 케이스(20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몰드 하우징(190)에 의해 전송 케이블(210)과 인트라오랄 센서(100)의 전기적 접속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오랄 센서는, 센서패널 전방에 이를 수납하며 휨 특성을 제한적으로 갖는 제1 케이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트라오랄 센서는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휘어지게 되어, 영상 왜곡을 최소하면서 환자 불편감을 상당 정도 완화할 수 있는 휘어짐 가능한 X-선 인트라오랄 센서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1 케이스의 측벽에 홈을 형성하여 위치에 따라 휨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패널 후방에 배면 지지부를 구성함으로써, 배면 지지부에 의해 눌려지는 센서패널의 중앙 부분은 주변 부분에 비해 휨 정도가 제한됨으로써,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고 환자 불편감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몰드 방식의 제2 케이스를 사용하여 인트라오랄 센서의 구성들의 결합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전송 케이블과 인트라오랄 센서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질 특성의 하우징을 사용하여 인트라오랄 센서의 외부를 덮어 씌움으로써, 구강 내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어짐 특성을 갖는 인트라오랄 센서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전송 케이블과 인트라오랄 센서의 전기적 접속 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휘어질 수 있는 인트라오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인트라오랄 센서는 장방형을 가지며, 장축 방향의 양단 부분이 인트라오랄 센서의 중심부 보다 더 잘 휘어지는 인트라오랄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구강 내 구조물의 위치별로 휘어짐 정도가 다른 인트라오랄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구강 내 구조물을 따라 외형면이 변화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적어도 일부는 치아의 치근을 덮는 잇몸에 실질적으로 밀착되는 인트라오럴 센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휘어질 수 있는 센서패널과; 상기 X선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센서패널의 전방에서 상기 센서패널의 전면을 덮어 수납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센서패널 배면에 밀착되는 배면 지지부와; 상기 센서패널과 제1 케이스의 실질적인 외면 전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의 외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휘어짐 정도를 제한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센서패널의 전면이 안착되는 기저부와; 상기 센서패널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 측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측벽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기 측벽에 상기 장축 방향과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중심 부분에서 양단 부분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홈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패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면 지지부는, 몸체 및 상기 몸체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밀착단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 지지부를 관통해서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송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 전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의 외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12.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휘어질 수 있는 이미지 센서와;
    그 내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휘어짐 정도를 제한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랄 센서는 장방형을 가지며, 장축 방향의 양단 부분이 인트라오랄 센서의 중심부 보다 더 잘 휘어지는 인트라오랄 센서.
  14. 제 12 항에 있어서, 구강 내에서 그에 접하는 구조물에 따라 휘어짐 정도가 다른 인트라오랄 센서.
  15. 제 12 항에 있어서, 구강 내에서 그에 접하는 구조물에 따라 외형면이 변화하는 인트라오랄 센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적어도 일부는 치아의 치근을 덮는 잇몸에 실질적으로 밀착되는 인트라오럴 센서.
PCT/KR2015/004658 2014-08-08 2015-05-08 인트라오랄 센서 WO20160218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97 2014-08-08
KR1020140102297A KR102325337B1 (ko) 2014-08-08 2014-08-08 인트라오랄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814A1 true WO2016021814A1 (ko) 2016-02-11

Family

ID=5526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4658 WO2016021814A1 (ko) 2014-08-08 2015-05-08 인트라오랄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36071B2 (ko)
KR (1) KR102325337B1 (ko)
WO (1) WO2016021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21B1 (ko) 2014-12-02 2019-03-28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
KR101954262B1 (ko) 2016-08-31 2019-03-06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용 마우스피스
US10595797B2 (en) 2017-01-31 2020-03-24 Teledyne E2V Semiconductors Sas Dental intraoral radiological image sensor
US11191497B2 (en) * 2018-10-16 2021-12-07 Shayda Cull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device having a rounded housing including a radio transceiver
US11134903B2 (en) * 2018-10-16 2021-10-05 Shayda Cull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device having a rounded housing
US10506992B1 (en) * 2018-10-16 2019-12-17 Shayda Cull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device having a rounded housing
USD1021094S1 (en) * 2022-02-24 2024-04-02 Shenzhen Xpectvision Technology Co., Ltd. Intraoral detector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670Y1 (ko) * 2002-11-23 2003-02-11 주식회사바텍 실리콘 커버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센서
US20030031296A1 (en) * 2001-07-27 2003-02-13 Martin Hoheisel X-ray diagnostics installation with a flexible solid state X-ray detector
KR200396821Y1 (ko) *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인트라오럴 센서
JP2006043465A (ja) * 2004-08-06 2006-02-16 Gendex Corp 歯科用口内x線撮影用画像センサ
US20070053498A1 (en) * 2005-09-08 2007-03-08 Schick Technologies, Inc. Flexible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6993A (en) 1985-03-29 1989-08-15 Tekscan, Inc. Pressure and contact sensor system for measuring dental occlusion
US4734034A (en) * 1985-03-29 1988-03-29 Sentek, Incorporated Contact sensor for measuring dental occlusion
JP3836208B2 (ja) * 1997-04-09 2006-10-2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医療用小型x線画像検出装置
DE10346287A1 (de) 2003-03-24 2004-10-07 Kaltenbach & Voigt Gmbh & Co. Kg Intraoraler Röntgensensor
WO2004084730A2 (de) 2003-03-24 2004-10-07 Kaltenbach & Voigt Gmbh & Co. Kg Intraoraler röntgensensor
GB0504415D0 (en) * 2005-03-03 2005-04-06 E2V Tech Uk Ltd Non-planar x-ray sensor
FR2883719B1 (fr) * 2005-04-01 2007-06-01 Atmel Grenoble Soc Par Actions Capteur d'image dentaire intra-oral et systeme radiologique utilisant ce capteur
KR101102823B1 (ko) 2007-04-23 2012-01-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드에 따른 상황추론 사례기반 음악추천시스템 및 그 방법
JP5053793B2 (ja) * 2007-10-16 2012-10-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撮像素子
FR2931055B1 (fr) 2008-05-16 2010-05-21 E2V Semiconductors Capteur radiologique dentaire a structure minimisant l'encombrement
JP2010078415A (ja) * 2008-09-25 2010-04-08 Fujifilm Corp 放射線検出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1075390A (ja) * 2009-09-30 2011-04-1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シンチレータパネル、フラットパネル型放射線ディテクタ、シンチレータ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3015347A (ja) 2011-06-30 2013-01-24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検出装置
KR101473531B1 (ko) 2012-11-13 2014-12-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형 센서유닛, 그를 이용한 x-선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20250B1 (ko) * 2012-11-26 2014-07-17 한국전기연구원 플렉서블 엑스레이 디텍터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엑스레이 디텍터를 갖는 방사선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1296A1 (en) * 2001-07-27 2003-02-13 Martin Hoheisel X-ray diagnostics installation with a flexible solid state X-ray detector
KR200303670Y1 (ko) * 2002-11-23 2003-02-11 주식회사바텍 실리콘 커버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센서
JP2006043465A (ja) * 2004-08-06 2006-02-16 Gendex Corp 歯科用口内x線撮影用画像センサ
KR200396821Y1 (ko) *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인트라오럴 센서
US20070053498A1 (en) * 2005-09-08 2007-03-08 Schick Technologies, Inc. Flexible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39A (ko) 2016-02-17
US20160038104A1 (en) 2016-02-11
US9636071B2 (en) 2017-05-02
KR102325337B1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1814A1 (ko) 인트라오랄 센서
WO2016089113A2 (ko) 구강내 센서
WO2016022007A1 (ko) 인트라오랄 센서
WO2016022006A1 (ko) 구강센서장치
KR102339606B1 (ko) 인트라오랄 센서
WO2016022005A1 (ko) 이미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센서장치
KR102554082B1 (ko) 구강 내 센서, 및 구강 내 센서의 제조 방법
KR20160014267A (ko) 구강센서장치
KR101748280B1 (ko) 인트라오랄 센서
KR102557424B1 (ko) 구강 내 센서, 및 구강 내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294934B1 (ko) 구강센서장치
KR20170045562A (ko) 엑스선 디텍터
JPH04106974A (ja) 固体撮像装置
KR20190015457A (ko) 구강내 센서
KR102361124B1 (ko) 엑스선 영상센서장치
JP2004311622A (ja) 固体撮像素子、電子内視鏡
KR20160018136A (ko) 구강센서장치
JP2004267593A (ja) 固体撮像素子、電子内視鏡
KR20210121761A (ko) 인트라오랄 x선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60364A (ko) 구강센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02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02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