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7854A1 -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7854A1
WO2016017854A1 PCT/KR2014/009568 KR2014009568W WO2016017854A1 WO 2016017854 A1 WO2016017854 A1 WO 2016017854A1 KR 2014009568 W KR2014009568 W KR 2014009568W WO 2016017854 A1 WO2016017854 A1 WO 20160178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dle
dust
dust collection
hood
flexibl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5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준호
이상환
이상목
이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60178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78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system for ladle to inhale, dust, discharge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gas and dust generated in the workplace, such as a melting furnace or a factory.
  • a dust collection system is a facility that inhales, collects, and discharges harmful substances such as gases and dusts generated in a workplace such as a furnace or a factory.
  • Pests are mainly generated when molten castings are transferred from ladles or when castings are cast into molds.
  • Conventional dust collectors are fixedly installed in factory structures or melting furnaces, so that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 the discharge facility in order to finally discharge the harmful substances collected from the factory structure or the furnace, the discharge facility should be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factory.
  • the dust collecting hood provided for dust collection is not replaceable or deformable, it cannot be actively applied to ladles of various shapes or capaciti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system for the ladle that efficiently collects and discharges the harmful substances collected in the plant structure or the melting furnace, etc. without having a separate discharge facility outside the factory. There is thi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system for a ladle in which a dust collecting hood provided for dust collection can be applied to replace or deform so as to be actively applied to ladles of various shapes or capacities.
  • the dust collection system for the ladle to move along the ladle containing the molten metal, the ladle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to the coupling of the ladle
  • a base plate capable of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dust collecting hood expand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adle while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ladl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moving the base plate and the dust collecting hood up and down
  • a flexible duct that can be expanded and relaxed, and a dust coll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flexible duct and moving along a rail, movement of the dust collector, dust collection operation and condi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expansion of the flexible duct.
  •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laxation operation.
  • the base plate may include a hook for coupling the ladle from below, a weight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ladle, and a connector.
  • the weight is changed along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provided on the base plate to adjust the weight balance.
  •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may be coupled to the weight and the gear is provid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eight in a predetermined length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eight.
  • the flexible duc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 the dust collection hood includes a discharge hol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adle, the discharge hole may be detachably coupled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 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damper disposed on the connector to cover the sparkle generated from the ladle.
  • the dust collecting hood has a hood part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ladle, an expansion panel provided to be expandable from the hood par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adle, and a discharge hol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adle. It may include.
  • the dust collection hood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wind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part to secure the view to the ladle.
  • the monitoring window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ilt bars for adjus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ladle.
  • the expansion panel may be hinged to the rim of the hood portion to be foldable to the out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 the expansion panel may be slidably coupled up and down at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hood portion.
  • the expansion panel may be coupled to be slidable in multiple stages in the outer portion or the inner portion.
  • 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damper disposed in the discharge hole to cover the sparkle generated from the ladle.
  • the dust collector may be seated on a cradle that moves along the rail.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radle for the movement of the dust collector.
  • the dust collect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der.
  •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o restrict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uct when expanding and relaxing the flexible duct.
  • the support bar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duct while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lexible duct.
  • the support bar may pass through a plurality of ring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duct, i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ring provided on the top.
  • the dust collector is a dust bag for filtering dust from the inlet gas introduced by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vibration means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dust bag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dust bag, and separated from the dust bag to fall It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dust, and a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dust from the receiving space.
  • the discharge mean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lexible duct while transferring the dust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in the receiving space.
  • 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rotation of the screw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is turned off.
  •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effectively preventing contamination due to harmful substances such as gas and dust, which are mainly generated when molten castings are transferred from ladles or when castings are cast into molds. This als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 the dust collector and the discharge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inside the factory through a dust collector mounted on the cradl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discharge facility outside the facto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facility cost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factory.
  • the dust collection hood provided for dust collection is expandably provided in various forms, it can be actively applied to ladles of various shapes or capacities, an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also improved.
  • the weight adjustment can be easily manipulated, providing convenience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each time a variety of shapes or capacities are used.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ng system for a l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 configuration + monitoring window + tilt bar);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h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nge coupled expansion panel + monitoring window + tilt bar);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h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ide coupled expansion panel + monitoring window + tilt bar);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exibl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lexible duct and a support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cradle and th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ng system for a l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ust collecting system for ladle is a system for collecting dust while moving along a ladle containing molten metal, and includes a base plate 100, a dust collecting hood 200, a flexible duct 300, a dust collector 400, and It consists of a controller 500.
  • the ladle dust collecting system may suck, collect, and discharge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apping and pouring while moving the ladle 10 by a hoist or a crane.
  • the base plate 100 is provided with means for coupling the ladle 10 from below, and means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as the ladle 10 is coupled.
  • Base plate 100 may also be provided with means coupled with major surface components for inhalation, dust collection and discharge of harmful substances.
  • the hook 110 and the weight 120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coupling the ladle 10.
  • the base plate 100 may include a connector 130.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plate 100 includes a hook 110 for coupling the ladle 10 from below, a weight 120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ladle 10, and
  • the coupling hood 130 to which the dust collecting hood 200 and the flexible duct 300 described later may be basically provided.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ight 120 provided in the base plate 100 is configured to balance the weigh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adle 10 coupled from the lower side, and loads discs having different weights on the rod. It may be balanc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adle 10 while lowering or lowering.
  • the base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the weight 120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position along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have.
  • the weight 120 may be changed in position along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and the weight balance may be adjusted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 the weight 120 and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gear, so that the weight 120 is rotated while the weight 120 is a predetermined length unit in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The position can be changed. As the weight 120 and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are gear-coupled and changed in posi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unit, the weight may be relaxed when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may be formed with a guide hole perpendicular to the lower direction in which the ladle 10 is coupled, and the weight 1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hrough the guide hole.
  • the weight balance may be adjusted as the inserted and combined weight 120 rotates left and right along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140.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ng h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ust collection hood 200 shown in Figure 4 covers the periphery of the ladle 10 to prevent the leakage of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 the ladle 10 and 210, the operator directly checks the progress of the work
  • a monitoring window 2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portion 210, the ladle 10, the discharge hole 230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certain distance.
  • the hood 2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xpanded to cover the ladle 10 more widely.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monitoring window 22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od 210 to secure a view to the ladle 10 even if the ladle 10 is covered by the hood 210.
  • the monitoring window 2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tilt bars 221 for adjusting a viewing angle to the ladle 10.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plurality of tilt bars 221, the amount of heat and light emitted to the operator can be adjusted.
  • the discharge hole 2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130 provided in the base plate 100, the discharge hole 2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130.
  • the discharge hole 230 is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unit 130 to form a harmful suction path to the flexible duct 300.
  • the connector 130 of the base plate 100 or the discharge hole 230 of the dust collection hood 200 may cause a fire such as sparkle (metal fume) generated from the ladle 10.
  • a fire damper 6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substance.
  • Fire damper 600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or 130 of the base plate 100 or the discharge hole 230 of the dust collection hood 200, the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400 or the ladle 10 is It may be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00. For example, when the dust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400 through the flexible duct 300 while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400 is off, the fire damper 600 may be in a closed state.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fir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a fire damper 600 provided in the connector 130.
  • the base plate 100 and the dust collection hood 200 are describ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but they may be configured in one piece. Accordingly, the connector 130 and the discharge hole 230 may be an integral configuration.
  •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on h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on h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further include expansion panels 240 and 241 provided in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hood 200 shown in FIG. 4 so as to extend from the hood portion 210.
  • expansion panel 240 illustrated in FIG. 5 is a hinge coupled structure
  • expansion panel 241 illustrated in FIG. 6 is a slide coupled structure slidably coupled from the hood portion 210.
  • the expansion panels 240 and 241 may be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od part 100.
  • the expansion panel 240 of FIG. 5 may be hinged to the edge of the hood 210 to be foldable to the outer side of the hood 210, and hinge or hinge as a whole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hood 210. Can be connected via.
  • the expansion panel 240 is provided to be collapsible, the expansion panel 240 is normally kept fol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od 210, and the size of the ladle 10 is changed so that the ladle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10 and the hood 210 is changed to expand the expansion panel 24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od 210 to facilitate dust collection.
  • the expansion panel 241 of FIG. 6 may be coupled to be slidably up and down at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hood 210.
  • the expansion panel 241 is provided to overlap the outer or inner portion of the hood portion 210, it may be coupled to be slidably in multiple stages when expanding.
  • the guide rail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able the multi-stage sliding of the expansion panel 241.
  • the expansion panel 241 is provided to be slidable in multiple stages, the expansion panel 240 is normally maintained in the state overlapped with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hood 210, and the size of the ladle 10 is changed.
  • the expansion panel 241 extends the expansion panel 241 at least one step below the hood 210. Expand to ensure optimal dust collectio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exibl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lexible duct and a support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exible duct 3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130 provided in the base plate 100.
  • the detachable structure between the flexible duct 300 and the connector 130 may be a structure for fastening the hook to the ring as shown in FIG.
  • the flexible duct 300 is expanded and relaxed to allow the base plate 100 and the dust collecting hood 200 to move up and down. Since the expansion and relaxation of the flexible duct 300 is moved from the ladle 10 to the hoist or crane for the work for tapping or pouring, or the height from the ground is changed during the work for tapping or pouring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height of such work.
  • the support bar 310 for supporting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uct 300 is restrained.
  • the support bar 310 may be coupled through a plurality of rings along the outside of the flexible duct 300.
  • the support bar 310 restrains deformation to the side of the flexible duct 300 when expanding and relaxing the flexible duct 300, whil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lexible duct 300 by the ring coupling is Free
  • the support bar 310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flexible duct 300,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ring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duct (300).
  • the support bar 310 is preferably fixedly coupled to the ring provid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ring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lexible duct 300.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ust collector 4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duct 300,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plate 100 is coupled.
  • the dust collector 400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700 that moves along the rail as shown in FIG. 11.
  • the dust collector 4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lder 700.
  • the cradle 700 has a fastening structure 710 to prevent the fall when moving along the rail, examples of the fastening structure are shown in FIG.
  • wheels 711 and 712 provided for the movement of the cradle 700 are fastened in a form of wrapping a bar-shaped rail or a cylindrical rail at one side.
  • the dust collector 400 basically generates suction force for introducing a harmful substance through a harmful substance suction path from the discharge hole 230 of the dust collecting hood 200 to the flexible duct 300, and the dust bag 410, vibration Means 420, receiving space 430, and the discharge means 440 may be provided.
  • the driving motor and the fan will be provided as the source of the suction force
  • the driving motor and the fan will be provided essentially for dust collection,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dust bag 410 filters the dust from the inlet gas introduced by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 the vibration means 420 vibrates the dust bag to release the dust from the dust bag 410.
  • the accommodation space 430 receives the dust falling from the dust bag 410 by the vibration applied by the vibration means 420.
  • the discharge means 440 discharges dust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30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430.
  • the discharge means 440 is provided with a screw 441 in the receiving space (430). Discharge means 440 may be discharged to the flexible duct 300 while transporting dust in the receiving space 430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441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motor (M). Therefore, the outlet of the discharge means 44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flexible duct 300, the flexible duct 300 may serve as the discharge of the filtered dust as well as the suction of harmful substances. As another example, the discharge means 44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ischarge passage instead of the flexible duct 300 to discharge the dust filter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 the controller 500 performs a control for moving the holder 700 on which the dust collector 400 is mounted along the rail, controls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and the dust collecting state of the dust collector 400, and expands the flexible duct 300. And the relaxation operation.
  • One task may be repeatedly performed in a movement path having a certain pattern. Accordingly, the ladle 10 may also repeatedly move the same section periodically. As such,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radle 700 along the rails corresponding to the path in which the ladle 10 repeatedly moves.
  • controller 50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sensors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system.
  •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harmful substances (dust and gas, etc.) inside the dust collecting hood 200 or a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weight of the ladle 10.
  • the controller 500 may perform a control to turn on or off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400 by detecting that a harmful object is detected from the sensor or the weight of the ladle 10 is changed b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that can measure the amount of dust in the receiving space 430 of the dust collector 400 or whether the dust is accommodat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500 may perform a control to turn on or off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means 440 by detecting that the dust is measur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from the sensor or the dust is accommodated.
  •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discharge means 440 to be turned off by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400 when the discharge means 440 is turned on to discharge the dust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430. That is, as the controller 500 is detected as a state in which dust is discharged from the sensor, the controller 500 may turn on the rotation of the screw provided in the discharge means 440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400 is turned off.
  • the controller 500 is discharged in any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400 by detecting that the harmful substance is detected from the sensor or the weight of the ladle 10 is changed by a certain level or more.
  • the operation of the means 440 should be turned off.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turn off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means 440 during the dust collect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400.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 용해로 또는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분진 등의 유해물을 흡입, 집진, 배출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용해로에서 용융된 주물을 레이들로부터 옮겨 담을 때나 주형에 주물을 주탕할 때 주로 발생하는 가스 및 분진 등의 유해물로 인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본 발명은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해로 또는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분진 등의 유해물을 흡입, 집진, 배출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 시스템은 용해로 또는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분진 등의 유해물을 흡입, 집진, 배출하는 설비이다.
유해물은 용해로에서 용융된 주물을 레이들로부터 옮겨 담을 때나 주형에 주물을 주탕할 때 주로 발생하는데, 종래의 집진 설비는 공장 구조물이나 용해로 등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집진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이나 호이스트를 집진 설비에 적용하여 레이들 이동을 추적하면서 집진하는 설비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설비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첫 째, 공장 구조물이나 용해로 등에서 집진된 유해물을 최종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공장 외부에 배출설비를 더 구비해야 한다.
둘 째, 집진을 위해 구비되는 집진후드가 교체 또는 변형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 또는 용량의 레이들에 능동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
셋 째, 다양한 형태 또는 용량의 레이들이 사용될 때마다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기에 불편함이 많다.
상기한 단점들로 인해 레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에 대한 집진 효율과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있다.
집진 시스템의 개발은 작업자의 건강 등과 같은 보건 문제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최적 설계를 통한 최적의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장 외부에 배출설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공장 구조물이나 용해로 등에서 집진된 유해물을 효율적으로 집진 배출해 주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 또는 용량의 레이들에 능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집진을 위해 구비되는 집진후드가 교체 또는 변형 가능하게 적용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 또는 용량의 레이들이 사용되더라도 무게 밸런스를 쉽고 빠르게 조정하도록 해주는데 적당한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의 특징은, 용탕이 담긴 레이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집진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으로, 상기 레이들을 하측에서 결합하며, 상기 레이들의 결합에 따른 무게 밸런스의 조정이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레이들의 주변을 커버하면서 상기 레이들의 크기에 따라 확장 가능한 집진후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집진후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확장 및 이완되는 플랙시블 덕트와, 상기 플랙시블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의 이동, 상기 집진기의 집진 동작 및 상태,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확장 및 이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레이들을 하측에서 결합하기 위한 후크, 상기 레이들의 결합에 따른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무게추, 그리고 연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게추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위치 조절 가이드를 따라 위치 변경되어 상기 무게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조절 가이드는 상기 무게추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의 회동에 따라 상기 무게추를 일정 길이 단위로 위치 변경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랙시블 덕트는 상기 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후드는 상기 레이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배출공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공이 상기 연결구에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구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스파클을 커버하는 방화댐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후드는 상기 레이들의 주변을 커버하는 후드부, 상기 레이들의 크기에 따라 상기 후드부로부터 확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확장판넬, 그리고 상기 레이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후드는 상기 레이들로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감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창은 상기 레이들로의 시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 틸트 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장판넬은 상기 후드부의 외측부로 접철 가능하게 상기 후드부의 테두리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장판넬은 상기 후드부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판넬은 상기 외측부 또는 상기 내측부에서 다단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공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스파클을 커버하는 방화댐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기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거치대에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집진기의 이동을 위해 상기 거치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기는 상기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확장 및 이완 시에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변형을 구속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랙시블 덕트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외측에 고정되는 다수 고리를 관통하되, 최상부에 구비되는 고리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집진 동작에 의해 유입된 유입가스로부터 분진을 여과시키는 분진 백과, 상기 분진 백으로부터 분진을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분진 백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수단과, 상기 분진 백에서 이탈되어 낙하하는 분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내설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진을 이송하면서 상기 플랙시블 덕트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집진기의 집진 동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의 회전을 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째, 용해로에서 용융된 주물을 레이들로부터 옮겨 담을 때나 주형에 주물을 주탕할 때 주로 발생하는 가스 및 분진 등의 유해물로 인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발휘한다.
둘 째,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대에 안착된 집진기를 통해 공장 내부에서 집진과 배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장 외부에 별도의 배출설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공장의 환경 개선을 위한 설비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셋 째, 집진을 위해 구비되는 집진후드가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다양한 형태 또는 용량의 레이들에 능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집진 효율 또한 향상된다.
넷 째, 무게추 조정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또는 용량의 레이들이 사용될 때마다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기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다섯 째, 집진을 위한 구성에서 레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스파클(금속흄)을 커버하는 방화댐퍼를 더 구비하여, 화재에 대한 예방 효과도 발휘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무게 밸런스 조정을 위한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기본 구성 + 감시창 + 틸트 바);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힌지 결합형 확장판넬 + 감시창 + 틸트 바);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슬라이드 결합형 확장판넬 + 감시창 + 틸트 바);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댐퍼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덕트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덕트와 지지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와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와 레일 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은 용탕이 담긴 레이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집진하는 시스템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0), 집진후드(200), 플랙시블 덕트(300), 집진기(400), 그리고 제어기(500)로 구성된다.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은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으로 레이들(10)을 이동시키면서 출탕 및 주탕 시에 발생하는 유해물을 흡입, 집진 및 배출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레이들(10)을 하측에서 결합하기 위한 수단과, 레이들(10)이 결합함에 따른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유해물의 흡입, 집진 및 배출을 위한 주면 구성 요소들과의 결합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이들(10)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후크(110) 및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무게추(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연결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레이들(10)을 하측에서 결합하기 위한 후크(110), 레이들(10)의 결합에 따른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무게추(120), 그리고 이후에 설명되는 집진후드(200)와 플랙시블 덕트(300)가 결합되는 연결구(130)를 기본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무게 밸런스 조정을 위한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구비되는 무게추(120)는 하측에서 결합되는 레이들(10)의 중량에 따라 균형을 맞추기 위한 구성으로, 서로 다른 중량을 가지는 디스크를 로드에 올리거나 내리면서 레이들(10)의 중량에 따른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위치 조절 가이드(140)를 구비하고, 무게추(120)가 위치 조절 가이드(140)를 따라 위치 변경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무게추(120)는 위치 조절 가이드(140)를 따라 위치 변경될 수 있으며, 위치가 변경될 때 무게 밸런스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무게추(120)와 위치 조절 가이드(140)는 기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무게추(120)가 회동하면서 그 무게추(120)는 위치 조절 가이드(140)에서 일정 길이 단위로 위치 변경될 수 있다. 무게추(120)와 위치 조절 가이드(140)는 기어 결합되어 일정 길이 단위로 위치 변경됨에 따라, 무게 밸런스를 조정할 시에 민감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조절 가이드(140)는 레이들(10)이 결합되는 하측 방향에 수직하게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그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무게추(12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삽입 결합된 무게추(120)가 위치 조절 가이드(140)를 따라 좌우로 회동함에 따라 무게 밸런스가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집진후드(200)는 레이들(10)의 주변을 커버하여 레이들(10)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후드부(210)와, 작업자가 작업 진행 사항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드부(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감시창(220)과, 레이들(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배출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드부(210)는 레이들(10)에 대해 보다 넓게 커버할 수 있게 확장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상세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다.
감시창(220)은 후드부(210)에 의해 레이들(10)이 커버되더라도 레이들(10)로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후드부(2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감시창(220)은 내열성이 강한 유리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레이들(10)로의 시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 틸트 바(221)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 틸트 바(221)의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에게 방출되는 열과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출공(2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는 연결구(13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출공(230)은 연결구(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출공(230)은 연결부(130)와 결합되어 플랙시블 덕트(300)로의 유해물 흡입 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 예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연결구(130) 또는 집진후드(200)의 배출공(230)은 레이들(10)로부터 발생하는 스파클(금속흄) 등의 화재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는 물질을 커버하는 방화댐퍼(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방화댐퍼(6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연결구(130) 또는 집진후드(200)의 배출공(2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집진기(400)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거나 레이들(10)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 집진기(400)의 동작이 오프되면서 집진기(400)로부터 플랙시블 덕트(300)를 통해 분진이 배출될 시에는 방화댐퍼(600)가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7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댐퍼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으로, 연결구(130)에 구비되는 방화댐퍼(60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별도의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집진후드(200)를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되나 그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연결구(130)과 배출공(230)이 일체의 구성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진후드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예들은 도 4에 도시된 집진후드(200)의 구조에 후드부(210)로부터 확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확장판넬(240,241)을 더 포함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확장판넬(240)은 힌지 결합형 구조이고, 도 6에 도시된 확장판넬(241)은 후드부(210)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형 구조이다.
확장판넬(240,241)은 후드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확장판넬(240)은 후드부(210)의 외측부로 접철 가능하게 후드부(210)의 테두리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후드부(210)의 하단면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힌지 또는 경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판넬(240)이 접철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평상 시에 확장판넬(240)은 후드부(210)의 측면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레이들(10)의 크기가 변경되어 레이들(10)의 상단부와 후드부(21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확장판넬(240)을 후드부(210)의 하방으로 펼쳐서 집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6의 확장판넬(241)은 후드부(210)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확장판넬(241)의 확장 범위를 보다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확장판넬(241)이 후드부(210)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에 중첩되어 구비되며, 확장 시에는 다단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판넬(241)의 다단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판넬(241)이 다단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평상 시에 확장판넬(240)은 후드부(210)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에 중첩된 상태로 유지되고, 레이들(10)의 크기가 변경되어 레이들(10)의 상단부와 후드부(21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 레이들(10)의 크기에 따라 확장판넬(241)을 후드부(210)의 하방으로 적어도 한 단으로 확장하여 최적의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덕트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랙시블 덕트와 지지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플랙시블 덕트(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되는 연결구(13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플랙시블 덕트(300)와 연결구(130) 간의 착탈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를 고리에 체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플랙시블 덕트(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집진후드(20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확장 및 이완된다. 플랙시블 덕트(300)의 확장 및 이완은 출탕이나 주탕 등을 위한 작업을 위해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으로 레이들(10)을 이동시키거나 출탕이나 주탕 등을 위한 작업 시에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러한 작업에 따른 높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플랙시블 덕트(300)의 변형 특성이 상하 이외에 측부로의 변형 특성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덕트(300)의 변형을 구속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바(310)를 플랙시블 덕트(300)의 외측에 결합되게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310)는 플랙시블 덕트(300)의 외측을 따라 다수 고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310)는 플랙시블 덕트(300)의 확장 및 이완 시에 그 플랙시블 덕트(300)의 측부로의 변형을 구속하면서, 고리 결합에 의해 플랙시블 덕트(300)의 상하 이동은 자유롭게 해준다.
한편, 지지바(310)는 플랙시블 덕트(300)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플랙시블 덕트(300)의 외측에 고정되는 다수 고리를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310)는 플랙시블 덕트(300)의 외측에 고정되는 다수 고리 중 최상부에 구비되는 고리에는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와 거치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집진기(400)는 플랙시블 덕트(300)의 타측 즉,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집진기(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거치대(700)에 안착될 수 있다. 집진기(400)는 거치대(7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치대(700)는 레일을 따라 이동 시에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구조(710)를 구비하며, 그 체결 구조의 예들은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700)의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바퀴(711,712)가 바(Bar)형 레일이나 원통형 레일을 일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체결된다.
도 12에서 (1)은 H형 바퀴(711)가 바형 레일에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2)는 중앙 함몰형 바퀴(712)가 원통형 레일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도 10을 참조하여 집진기(4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집진기(400)는 기본적으로 집진후드(200)의 배출공(230)에서 플랙시블 덕트(300)까지의 유해물 흡입 경로를 통해 유해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는 것으로, 분진 백(410), 진동 수단(420), 수용공간(430), 그리고 배출 수단(4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력을 발생원으로 구동모터와 팬(fan)이 구비될 것이나, 그 구동모터와 팬은 집진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될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분진 백(410)은 집진 동작에 의해 유입된 유입가스로부터 분진을 여과시킨다.
진동 수단(420)은 분진 백에 진동을 가하여 분진 백(410)으로부터 분진을 이탈시킨다.
수용공간(430)은 진동 수단(420)에서 가해진 진동에 의해 분진 백(410)에서 이탈되어 낙하하는 분진을 수용한다.
배출 수단(440)은 수용공간(430)에 수용된 분진을 그 수용공간(430)으로부터 배출한다.
한편, 배출 수단(440)은 수용공간(430) 내에 스크류(441)를 구비한다. 배출수단(440)은 모터(M) 구동에 따른 스크류(441)의 회전에 의하여 수용공간(430)에서 분진을 이송시키면서 플랙시블 덕트(3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수단(440)의 배출구가 플랙시블 덕트(3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랙시블 덕트(300)는 유해물의 흡입로 역할 뿐만 아니라 여과된 분진의 배출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출 수단(440)은 플랙시블 덕트(300)가 아닌 별도의 배출로를 구비하여 그 배출로를 통해 여과된 분진을 배출할 수 있다.
제어기(500)는 집진기(400)가 안착되는 거치대(700)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집진기(400)의 집진 동작 및 집진 상태를 제어하고, 플랙시블 덕트(300)의 확장 및 이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작업은 일정 패턴을 가지는 이동 경로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레이들(10)도 동일한 구간을 주기적으로 반복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들(10)이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상응하게 거치대(70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동작을 제어기(500)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0)는 시스템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들과 연동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집진후드(200) 내측에 유해물(분진 및 가스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구비하거나, 레이들(10)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기(500)는 감지센서로부터 유해물이 감지되거나 레이들(10)의 무게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한 것을 감지하여 집진기(400)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집진기(400)의 수용공간(430)에 분진의 양을 측정 또는 분진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기(500)는 감지센서로부터 분진이 일정 양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분진이 수용됨을 감지하여 배출 수단(440)을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0)는 배출 수단(440)이 수용공간(430)으로부터 분진을 배출시키기 위해 온 상태일 때, 집진기(400)의 동작으로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기(500)는 감지센서로부터 분진 배출이 요구되는 상태로 감지됨에 따라, 집진기(400)의 집진 동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배출 수단(440)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회전을 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기(500)는 감지센서로부터 유해물이 감지되거나 레이들(10)의 무게가 일정 수준 이상 변화한 것을 감지하여 집진기(400)의 집진 동작을 온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배출 수단(440)의 동작을 오프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집진기(400)의 집진 동작 중에는 배출 수단(440)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해로에서 용융된 주물을 레이들로부터 옮겨 담을 때나 주형에 주물을 주탕할 때 주로 발생하는 가스 및 분진 등의 유해물로 인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작업환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용탕이 담긴 레이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집진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을 하측에서 결합하며, 상기 레이들의 결합에 따른 무게 밸런스의 조정이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레이들의 주변을 커버하면서 상기 레이들의 크기에 따라 확장 가능한 집진후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집진후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확장 및 이완되는 플랙시블 덕트;
    상기 플랙시블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집진기; 그리고
    상기 집진기의 이동, 상기 집진기의 집진 동작 및 상태,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확장 및 이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레이들을 하측에서 결합하기 위한 후크, 상기 레이들의 결합에 따른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무게추, 그리고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위치 조절 가이드를 따라 위치 변경되어 상기 무게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가이드는 상기 무게추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무게추의 회동에 따라 상기 무게추를 일정 길이 단위로 위치 변경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덕트는,
    상기 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후드는,
    상기 레이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배출공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공이 상기 연결구에 대응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스파클을 커버하는 방화댐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후드는,
    상기 레이들의 주변을 커버하는 후드부, 상기 레이들의 크기에 따라 상기 후드부로부터 확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확장판넬, 그리고 상기 레이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후드는,
    상기 레이들로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감시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창은 상기 레이들로의 시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 틸트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넬은 상기 후드부의 외측부로 접철 가능하게 상기 후드부의 테두리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넬은 상기 후드부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넬은 상기 외측부 또는 상기 내측부에서 다단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스파클을 커버하는 방화댐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거치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집진기의 이동을 위해 상기 거치대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상기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확장 및 이완 시에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변형을 구속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랙시블 덕트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랙시블 덕트의 외측에 고정되는 다수 고리를 관통하되, 최상부에 구비되는 고리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집진 동작에 의해 유입된 유입가스로부터 분진을 여과시키는 분진 백과,
    상기 분진 백으로부터 분진을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분진 백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수단과,
    상기 분진 백에서 이탈되어 낙하하는 분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내설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진을 이송하면서 상기 플랙시블 덕트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집진기의 집진 동작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의 회전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PCT/KR2014/009568 2014-08-01 2014-10-13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WO201601785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053 2014-08-01
KR1020140099053A KR101520022B1 (ko) 2014-08-01 2014-08-01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7854A1 true WO2016017854A1 (ko) 2016-02-04

Family

ID=5339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568 WO2016017854A1 (ko) 2014-08-01 2014-10-13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0022B1 (ko)
WO (1) WO20160178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5235A (zh) * 2021-01-23 2021-06-11 广东省润杰服饰有限公司 一种锌合金压铸生产线
CN112933749A (zh) * 2021-05-06 2021-06-11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一种炼钢钢包热修环保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98B1 (ko) * 2017-12-06 2019-1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
KR102230852B1 (ko) * 2019-02-11 2021-03-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CN112705697B (zh) * 2020-12-31 2022-03-04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用于铸造区域的吸尘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419U (ko) * 1984-11-26 1986-06-19
KR200167523Y1 (ko) * 1999-08-26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강기중기에 설치되는 자동 집진장치
KR20030022973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 슈트 집진후드의 게이트 개폐장치
KR20130107871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 흡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109B1 (ko) * 2001-05-04 2007-06-14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의 더스트 재활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419U (ko) * 1984-11-26 1986-06-19
KR200167523Y1 (ko) * 1999-08-26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강기중기에 설치되는 자동 집진장치
KR20030022973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 슈트 집진후드의 게이트 개폐장치
KR20130107871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포스코 분진 흡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5235A (zh) * 2021-01-23 2021-06-11 广东省润杰服饰有限公司 一种锌合金压铸生产线
CN112933749A (zh) * 2021-05-06 2021-06-11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一种炼钢钢包热修环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022B1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7854A1 (ko)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AU2018210706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WO2020091360A1 (ko) 전자동 로봇 청소장치
WO2014175548A1 (ko) 여과 장치
SU557775A3 (ru) Установка дл получени металлов
JPH1019475A (ja) 溶解炉用の集塵装置
US4309200A (en) Baghouse with collapsible bag filter assembly
WO2019231131A1 (en) Cleaner
JPH105984A (ja) 取鍋耐火物の解体補修用集塵装置
WO2017022989A1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WO2022169147A1 (ko) 원전구조물 건식 절단 장비
WO2020111553A1 (ko)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JP5647055B2 (ja) 煙突内部の調査装置
JP2007098466A (ja) 取鍋を用いた溶湯搬送装置
RU2440174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и очистки газовых выбросов от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WO2022097900A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KR100530061B1 (ko) 이물질제거기능이 있는 코일냉각장치
ES2962819T3 (es) Instalación para el reciclaje de chatarra contaminada
JP3911143B2 (ja) 転炉炉口金物交換装置
JPH06327923A (ja) パルスジェット方式のバグフィルタ集塵装置
WO2019231167A1 (en) Cleaner
WO2022169041A1 (ko) 집진필터의 청소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집진기 그리고 집진기의 제어방법
WO2021167438A1 (ko) 공기청정기
WO2019231170A1 (en) Cleaner
WO2022005078A1 (ko) 무인로봇을 이용한 액세스플로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8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8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