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871A - 분진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871A
KR20130107871A KR1020120030013A KR20120030013A KR20130107871A KR 20130107871 A KR20130107871 A KR 20130107871A KR 1020120030013 A KR1020120030013 A KR 1020120030013A KR 20120030013 A KR20120030013 A KR 20120030013A KR 20130107871 A KR20130107871 A KR 2013010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ladle
dust collection
collection hood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심주
홍창표
김태석
이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3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871A/ko
Publication of KR2013010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분진 흡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는 래들을 기울여 내용물을 배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흡입 장치에 있어서, 래들의 기울어진 상부의 전방 일측에 인접되고, 흡기설비와 연계되어 래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흡기하는 제1집진 후드; 및 제1집진 후드의 일측에 연계되어 래들의 상부를 덮도록 연장되며 분진을 흡기하는 제2집진 후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진 흡입 장치 {DUST S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래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 등을 흡입하는 분진 흡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래들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그를 배재하기 위해 기울어진 래들의 중앙부 상부로 배출되는 분진을 집진할 수 있도록 개선된 분진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용강의 생성시 슬래그(slag)가 발생되며, 이러한 슬래그는 래들의 상부로 부상된다.
한편, 래들에 저장된 용강을 배출할 때, 슬래그의 혼입을 막기 위해 슬래그를 먼저 배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레인 등의 이동수단(20)을 이용하여 래들(10)을 들어올려 슬래그 배출위치로 이동한 후, 래들(10)을 하부에 위치된 슬래그 배재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스키머(skimmer)(30)를 래들(10)로 이동시킨 후, 이 스키머(30)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배재장(40)으로 떨어뜨려 슬래그를 제거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래들(10) 상부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분진이 비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종래에는 래들(10)에서 비산하는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분진 흡입 장치(50)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분진 흡입 장치(50)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설비가 제공되며, 일례로 집진설비와 연결된 집진 후드(52)를 래들(10)의 기울어진 방향의 전면 상부로 이동시킨 후, 래들(10)로부터 비산하는 분진을 집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분진 흡입 장치(50)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래들(10)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스키머(30)가 슬래그를 배재할 때 래들(10)의 중앙부분에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고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분진 중 무게가 가벼운 카본 슬래그 등은 외부로 쉽게 비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진 흡입 장치(50)는 래들(10)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진입시, 래들(10)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등에 간섭되어 진입이 제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래들(10)의 기울어진 상부의 전방 일측에 인접된 상태에서 분진을 흡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분진 흡입 장치(50)는 집진 후드(52)가 래들(10)의 중앙부 상부로 진입될 수 없는 구조적인 제약으로 인해 래들(10)의 중앙부 상부와는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분진을 흡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분진의 흡기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래들(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래그를 배재하기 위해 래들(10)이 경사지게 위치되는데, 이때 집진 후드(52)는 래들(1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래들(10)의 기울어진 전방의 일측만을 덮은 상태에서 분진을 흡입하고 있어 래들(10)의 중앙부 상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래들(10)은 이동수단(20)에 의해 들려진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고, 슬래그의 배재시 기울여지는 등의 동작으로 인해 래들(10)의 상부에 돔형 구조의 집진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분진 흡입 장치(50)의 집진효율 저하로 많은 비산 먼지가 발생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산 먼지에 의한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비산 먼지는 분진 흡입 장치(50)에서 집진 후드(52)를 이동시키는 장치, 예컨대 이동을 위한 롤러 또는 바퀴 또는 롤러 또는 바퀴의 주행경로상에 쌓여 주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래들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해 분진을 흡입하는 후드가 래들의 상부를 덮도록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분진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는 래들을 기울여 내용물을 배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흡입 장치에 있어서, 래들의 기울어진 상부의 전방 일측에 인접되고, 흡기설비와 연계되어 래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흡기하는 제1집진 후드; 및 제1집진 후드의 일측에 연계되어 래들의 상부를 덮도록 연장되며 분진을 흡기하는 제2집진 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집진 후드의 전방에는 적어도 제2집진 후드가 삽입되는 구멍이 제공되고, 제2집진 후드는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집진 후드 또는 제2집진 후드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며 구멍과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제1집진 후드 또는 제2집진 후드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어 가이드레일에 구름되는 다수의 롤러부와, 제2집진 후드를 제1집진 후드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롤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계되는 구동모터 또는 제1집진 후드와 제2집진 후드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 또는 롤러부 사이에 쌓이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보조 흡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보조 흡기부는 가이드레일 또는 롤러부와 인접하게 제공되어 배관부재를 매개로 흡기설비와 연계되는 복수의 흡기노즐과, 흡기노즐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들은 작업영역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된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에 구속되어 이동되고, 제2집진 후드는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 사이를 통과하여 래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더불어, 작업영역의 일측에 제공되어 래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감지센서와, 제2집진 후드의 일측에 제공되어, 제2집진 후드가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 사이로 진입시 지지부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돌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집진 후드가 래들의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래들 상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므로, 분진의 포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진의 누출에 의한 대기 환경 오염 및 이로 인한 민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래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누출된 분진에 의한 작업영역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분진의 저감으로 인해 작업자의 근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비산된 분진 등이 설비에 고착됨에 의해 발생하는 설비작동 이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의 과부하 및 이로 인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설비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가 래들의 분진을 포집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Ⅰ-Ⅰ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가 변형되어 도시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구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구동수단을 변형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Ⅰ-Ⅰ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100)는 제1집진 후드(110)와, 제2집진 후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진 흡입 장치(100)는 래들(10)에 형성된 슬래그를 배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진 흡입 장치(100)는 래들(10)이 슬래그를 배재하는 슬래그 배재장(40)에 인접하여 제공되며, 래들(10)이 슬래그를 배재하기 위해 경사지게 위치될 때 래들(10)과 인접되어 슬래그 배재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한다.
한편, 래들(10)은 작업영역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동수단(20)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20)으로는 크레인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래들(10)의 양측에는 이동수단(20)에 연계되기 위한 걸이부재(12)가 제공되고, 이동수단(20)에는 래들(20) 양측의 걸이부재(12)를 구속하는 한 쌍의 지지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래들(10)은 양측의 걸이부재(12)가 이동수단(20)의 지지부(22)에 구속된 상태로 이동되며, 슬래그의 배재시 래들(10)의 하측에 연계된 승강 수단(24)에 의해 하부가 들려짐에 따라 래들(10)이 지지부(22)에 구속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부에 형성된 슬래그를 배재할 수 있다.
또한, 래들(10)의 상부 전방에는 래들(10)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슬래그를 긁어 배재시키는 스키머(3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래들(10)로부터 슬래그를 배재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발생한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분진 흡입 장치(100)가 래들(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래들(10)의 전면 상부로 이동되어 래들(10)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제1집진 후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집진 후드(110)는 배관부재(105)를 매개로 일측이 (도시되지 않은) 흡기설비와 연계되며, 이에 따라 흡기설비에서 제공되는 흡입압에 의해 래들(10) 전면 상부의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배관부재(105)의 일부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관(106)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1집진 후드(110)는 래들(10)의 상부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래들(10) 상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제1집진 후드(110)의 전방에 연계되어 래들(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2집진 후드(12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분진 흡입 장치(100)는 제2집진 후드(120)가 래들(10)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분집을 1차적으로 흡입하도록 제공되며, 제1집진 후드(110)에 의해 분진을 2차적으로 흡입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집진 후드(120)는 제1집진 후드(110)의 전면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분진 흡입 장치(100)는 제1집진 후드(110)가 작업영역의 상부에 제공되는 프레임(107) 등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집진 후드(110)에는 프레임(107)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이동롤러(112)가 제공될 수 있다.
분진 흡입 장치(100)는 이동롤러(112)가 회전 구동함에 따라 제1집진 후드(110) 및 이에 일체로 연계된 제2집진 후드(120)가 프레임(10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집진 후드(120)는 제1집진 후드(110)에 일체로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집진 후드(120)와 제1집진 후드(110)의 연계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제2집진 후드(120)는 제1집진 후드(1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인출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집진 후드(110)의 전방은 개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제2집진 후드(120)가 연계되는 부분에는 제2집진 후드(120)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집진 후드(120)는 이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이에 따라 래들(10)로부터 분진 발생시 제1집진 후드(11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분진을 흡입하고,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제1집진 후드(110)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집진 후드(120)는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래들(10)의 상부 영역으로 진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집진 후드(120)는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22) 사이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2집진 후드(122)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해 래들(10) 또는 제2집진 후드(120)의 위치 및 충돌 여부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래들(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152, 154)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152, 154)는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작업영역의 일측에 제공되어 래들(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감지센서(152, 154)는 수평위치를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센서(152)와 래들(10)의 높낮이를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152, 154)들은 래들(10)이 슬래그 배재영역으로 진입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이와 같이 감지된 래들(10)의 위치정보가 제어부(150)로 전달됨에 따라 래들(1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치감지센서(152, 154)에 의해 래들(10)의 위치가 판단되면, 제2집진 후드(120)가 이동수단(20)의 지지부(22) 사이로 진입된다.
여기서, 제2집진 후드(120)에는 이동수단(20)의 양측 지지부(22) 사이로 진입시 지지부(22)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156)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충돌감지센서(156)는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집진 후드(120)의 일측에 제공되어 지지부(22)와의 근접 또는 충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충돌감지센서(156)는 초음파센서 또는 자기센서 등과 같은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식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집진 후드(120)는 충돌감지센서(156)에 감지된 지지부(22)와의 근접 여부 또는 충돌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제어부(150)는 이 감지된 신호를 통해 근접 또는 충돌 여부를 판단하여 제2집진 후드(120)의 진입위치 또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집진 후드(110)에는 개방된 전면 또는 구멍으로부터 연계되는 가이드레일(114)이 제공되며, 이 가이드레일(114)은 제1집진 후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집진 후드(120)에는 이 가이드레일(114)에 구름되며 이동하는 다수의 롤러부(122)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집진 후드(120)는 롤러부(122)가 가이드레일(114)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마찰 저항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신축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집진 후드(110)의 하부에 제공된 이동롤러(112)에는 분진 등이 쌓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분진은 이동롤러(112)의 마찰저항을 증가시키게 되고, 심할 경우 이동롤러(112)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고장 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롤러(112)와 프레임(107) 사이에 쌓이는 분진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자가 청소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자가 청소 시스템은 제1집진 후드(110)에 제공되어 프레임(107) 또는 이동롤러(112)에 쌓인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다수의 집진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집진 후드(120)의 하단부 일측이 제1집진 후드(110)의 내측면으로 인접되도록 연장되며, 연장부의 일측에 집진홀(111)과 대응되는 다수의 작동홀(12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집진 후드(120)가 제1집진 후드(110)의 전방으로부터 이동시 단속적으로 집진홀(111)과 작동홀(121)이 개폐되며 분진을 흡입하게 되고, 제2집진 후드(12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집진홀(111)과 작동홀(121)이 막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집진홀(111)과 대응하는 작동홀(121)은 제2집진 후드(120)의 연장부에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집진 후드(110)의 내측에는 별도의 부재로 제공된 작동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플레이트는 제1집진 후드(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동에 의해 집진홀(11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플레이트에는 집진홀(111)에 대응하는 작동홀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플레이트는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집진홀(111)과 작동홀이 일치하게 되면 유로가 개방되며 분진을 흡입하게 되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집진홀(111)과 작동홀이 일치하지 않게 되면 유로가 막히며 분진을 흡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플레이트를 구동시키는 수단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자가 청소 시스템은 제1집진 후드(110) 및 제2집진 후드(120)에 작용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 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자가 청소 시스템의 변형된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집진 후드(120)와 제1집진 후드(110)의 이동구조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114) 및 롤러부(122)는 제1집진 후드(110) 및 제2집진 후드(120) 내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집진 후드(110) 및 제2집진 후드(120)를 통해 유입되는 분진 등이 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114) 또는 롤러부(122)에 쌓이는 분진 등은 구동계통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114) 또는 롤러부(122) 사이에 쌓이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자가 청소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가 청소 시스템의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흡기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흡기부(130)는 가이드레일(114) 또는 롤러부(122)와 인접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흡기노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기노즐(132)은 배관부재(134) 등을 매개로 흡기설비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흡기부(130)는 상시적으로 분진을 흡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소정 기간 또는 분진이 쌓인 상태를 고려하여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흡기부(130)는 흡기노즐(132)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개폐부(136)는 배관부재(134)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개폐부(136)의 개폐작동에 의해 분진의 흡입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보조 흡기부(130)는 제2집진 후드(120)가 제1집진 후드(11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소정의 주기, 예컨대 한주 또는 한달 단위로 주기적으로 작동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자가 청소 시스템은 가이드레일(114) 또는 롤러부(122)에 쌓이는 분진을 흡입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자가 청소 시스템은 가이드레일(114) 또는 롤러부(122)로 공기를 분사하여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세척수 등을 공급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가 변형되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레일부(212)는 제1집진 후드(11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집진 후드(110)에는 레일부(212)가 장착되는 가이드프레임(21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집진 후드(120)는 레일부(212)에 안착된 상태에서 레일부(212)의 구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자가 청소 시스템은 가이드프레임(211)에 제공되어 제2집진 후드(120)의 저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스크래퍼(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래퍼(240)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제2집진 후드(12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211)에는 스크래퍼(240)에 의해 탈락된 분진 및 롤러부 또는 제2집진 후드(120)의 저면에 부착된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보조 흡기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 흡기부(250)는 흡기노즐(252)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흡기노즐(252)은 배관부재(254)를 매개로 흡기설비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배관부재(254)의 일측에는 보조 흡기부(250)의 개폐를 위한 제어하기 위한 개폐부(256)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집진 후드(12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는 제2집진 후드(120)를 제1집진 후드(110)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구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은 다수의 롤러부(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되는 구동모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24)는 체인이나 벨트 등의 연결부재(126)에 의해 롤러부(122)에 연계되어 롤러부(122)를 가이드레일(114)에 대해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집진 후드(120)를 진퇴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124)는 롤러부(122)의 회전축에 직접 연계되어 롤러부(122)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공지된 다양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제2집진 후드(120)를 진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은 롤러부(112)에 연계되는 구동모터(1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구동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흡입 장치의 구동수단을 변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구동수단은 제1집진 후드(110)와 제2집진 후드(120) 사이에 제공된 액츄에이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140)는 실린더(142)와, 이 실린더(142)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작동로드(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142)로 유입된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로드(144)가 신축되며 제2집진 후드(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래들 12: 걸이부재
20: 이동수단 22: 지지부
24: 승강 수단 30: 스키머
40: 배재장 100: 분진 흡입 장치
105: 배관부재 106: 플렉시블관
107: 프레임 110: 제1집진 후드
111: 집진홀 112: 이동롤러
114: 가이드레일 120: 제2집진 후드
121: 작동홀 122: 롤러부
124: 구동모터 130: 보조 흡기부
132: 흡기노즐 134: 배관부재
136: 개폐부 150: 제어부
152: 제1위치감지센서 154: 제2위치감지센서
156: 충돌감지센서

Claims (8)

  1. 래들을 기울여 내용물을 배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들의 기울어진 상부의 전방 일측에 인접되고, 흡기설비와 연계되어 상기 래들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을 흡기하는 제1집진 후드; 및
    상기 제1집진 후드의 일측에 연계되며 상기 래들의 상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분진을 흡기하는 제2집진 후드;
    를 포함하는 분진 흡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 후드의 전방에는 적어도 상기 제2집진 후드가 삽입되는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제2집진 후드는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 후드 또는 상기 제2집진 후드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되며 상기 구멍과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집진 후드 또는 상기 제2집진 후드 중 다른 한 쪽에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구름되는 다수의 롤러부와,
    상기 제2집진 후드를 상기 제1집진 후드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롤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되는 구동모터 또는 상기 제1집진 후드와 상기 제2집진 후드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제공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롤러부 사이에 쌓이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보조 흡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흡기부는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롤러부와 인접하게 제공되어 배관부재를 매개로 상기 흡기설비와 연계되는 복수의 흡기노즐과,
    상기 흡기노즐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들은 작업영역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제공된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에 구속되어 이동되고,
    상기 제2집진 후드는 상기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래들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업영역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래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제2집진 후드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2집진 후드가 상기 이동수단의 양측 지지부 사이로 진입시 상기 지지부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흡입 장치.
KR1020120030013A 2012-03-23 2012-03-23 분진 흡입 장치 KR20130107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13A KR20130107871A (ko) 2012-03-23 2012-03-23 분진 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13A KR20130107871A (ko) 2012-03-23 2012-03-23 분진 흡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871A true KR20130107871A (ko) 2013-10-02

Family

ID=4963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013A KR20130107871A (ko) 2012-03-23 2012-03-23 분진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87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657B1 (ko) * 2013-09-16 2015-01-20 (주) 대한환경이엔지 후드 이동식 집진장치
KR101520022B1 (ko) * 2014-08-01 2015-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KR20180085102A (ko) 2017-01-17 2018-07-26 (주)유진에코씨엘 키쉬카본 집진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2181263B1 (ko) 2019-05-28 2020-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들용 회전형 집진 후드
KR20210099923A (ko) 2020-02-05 2021-08-13 곽윤석 지문인식을 통한 안전 취약계층 출입통제 시스템
CN113263169A (zh) * 2021-04-07 2021-08-17 河北新兴铸管有限公司 一种铁水罐翻铁系统
CN115401191A (zh) * 2022-09-05 2022-11-29 钟金平 一种高防护性铸造用浇包及其使用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657B1 (ko) * 2013-09-16 2015-01-20 (주) 대한환경이엔지 후드 이동식 집진장치
KR101520022B1 (ko) * 2014-08-01 2015-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WO2016017854A1 (ko) * 2014-08-01 2016-02-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KR20180085102A (ko) 2017-01-17 2018-07-26 (주)유진에코씨엘 키쉬카본 집진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2181263B1 (ko) 2019-05-28 2020-1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들용 회전형 집진 후드
KR20210099923A (ko) 2020-02-05 2021-08-13 곽윤석 지문인식을 통한 안전 취약계층 출입통제 시스템
CN113263169A (zh) * 2021-04-07 2021-08-17 河北新兴铸管有限公司 一种铁水罐翻铁系统
CN115401191A (zh) * 2022-09-05 2022-11-29 钟金平 一种高防护性铸造用浇包及其使用方法
CN115401191B (zh) * 2022-09-05 2023-10-10 湖南省正德耐磨材料有限公司 一种高防护性铸造用浇包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7871A (ko) 분진 흡입 장치
KR101544800B1 (ko)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CN209613754U (zh) 一种连铸中间包除尘装置
KR101373531B1 (ko) 협잡물 찌꺼기 자동제거유닛을 갖는 로터리식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380351B1 (ko) 주입장용 이동식 집진장치
KR101148971B1 (ko) 용탕 주입용 이동식 집진장치
KR101185294B1 (ko) 철 분진 자동 회수 장치
KR101532336B1 (ko) 집진설비 및 분진 처리 방법
CN205616262U (zh) 一种自移式卸料车
CN111521030B (zh) 一种镁锭冶炼还原炉前收尘装置及方法
KR20130032051A (ko) 노체 냉각을 위한 프로세스 펌프용 여과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CN217417510U (zh) 炉下渣倾倒池收尘装置
KR101709692B1 (ko) 도금욕조의 도금액 자동배출장치 및 자동배출방법
CN1942556B (zh) 焦炉操作机
JP2010099696A (ja) 切断装置
KR100997406B1 (ko) 용해로 배출물질 포집장치
CN210304965U (zh) 一种翻转式除尘装置
CN109834090B (zh) 桥式起重机轨道清灰装置
CN107289790B (zh) 一种窑炉废气控制及灰垢清除装置
CN219151109U (zh) 一种热修包捕集罩
CN208649231U (zh) 一种上升管清扫装置
WO2020022460A1 (ja) 転炉排ガス処理装置
KR100907432B1 (ko) 상하수도관 비굴착 갱생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JP4178388B2 (ja) バグフィルタろ布回収方法および装置
CN114012084B (zh) 地接移动式铁水浇包吸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