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798B1 -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 - Google Patents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1798B1 KR102021798B1 KR1020170166923A KR20170166923A KR102021798B1 KR 102021798 B1 KR102021798 B1 KR 102021798B1 KR 1020170166923 A KR1020170166923 A KR 1020170166923A KR 20170166923 A KR20170166923 A KR 20170166923A KR 102021798 B1 KR102021798 B1 KR 1020217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mpurities
- duct
- chamber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3—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fire or explosion
-
- B01D46/006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집진기는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에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용융된 금속을 운반하는 레이들(ladle)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구동부 및 상기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가 구비되는 챔버유닛, 상기 챔버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불순물이 유동하는 덕트유닛, 상기 불순물에 의해 상기 챔버유닛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재와 관련한 신호를 입력 받는 신호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 내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를 제거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발적으로 소화가 가능한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설치되는 집진기에 대하여 댐퍼에 의한 구조적인 방법 및 센서를 이용한 소화부의 작동 등을 이용하여 다중적인 소화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조공정에 있어 용융된 금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결과물에 대한 신뢰를 담보하고 특히 작업자의 건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관한 집진기는 용융된 금속을 옮기는 레이들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실시간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상단에 설치되어 레이들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집진기의 사용에는 항상 흡입하는 불순물에 의한 발화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작업현장의 상단에 구비되는 이유로 인해 집진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 시, 이를 소화할 수 있는 소화장치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불순물에 의한 발화가능성을 낮추고, 발화 발생 시에 이를 능동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집진장치의 발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레이들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직접적으로 흡입하고 챔버유닛 내부에 모이는 불순물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챔버유닛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챔버유닛 내부에 불순물에 의한 화재 발생을 억제하고, 화재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는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에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용융된 금속을 운반하는 레이들(ladle)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구동부 및 상기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가 구비되는 챔버유닛, 상기 챔버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불순물이 유동하는 덕트유닛, 상기 불순물에 의해 상기 챔버유닛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재와 관련한 신호를 입력 받는 신호유닛 및 상기 챔버유닛 내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를 제거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챔버유닛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에 잔존하는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에어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진 상기 불순물이 포집되는 공간인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포집되는 불순물을 가압하여 상기 불순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보조하는 제2에어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이 흡입되고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 및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1덕트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에 포집된 불순물을 배출하는 제2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에 포집되는 상기 불순물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2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챔버유닛과 상기 제1덕트가 연통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모듈에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챔버유닛 내로의 상기 불순물의 흡입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불순물에 의한 불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챔버유닛 내부의 화염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신호유닛에 상기 화재와 관련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가스를 배출하여 상기 화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레이들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직접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작업현장의 대기환경을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다.
둘째, 흡입되는 불순물에 의해 집진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자발적으로 소화할 수 있어 편리하게 관리하고 안전한 집진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레이들을 따라 이동하며 불순물을 흡입하는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챔버유닛 및 덕트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챔버유닛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하기 위한 다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부의 그물형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덕트를 통해 불순물이 배출되는 과정 및 에어펄스를 이용하여 필터부 및 저장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챔버유닛 및 덕트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챔버유닛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하기 위한 다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부의 그물형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덕트를 통해 불순물이 배출되는 과정 및 에어펄스를 이용하여 필터부 및 저장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레이들(10)과 함께 이동하며 불순물(30)을 흡입하는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챔버유닛(100) 및 덕트유닛(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는 챔버유닛(100), 덕트유닛(200), 신호유닛(300) 및 제어유닛(400)을 포함한다.
챔버유닛(100)은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50)에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레일(50)에는 주조공장에서 용융된 금속을 운반하는 레이들(10) (ladle)도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50)은 모노레일(monorail) 또는 호이스트(hoist)와 같이 이동하며 거중기 역할을 같이 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50)에는 레이들(10)과 챔버유닛(100)이 인접하도록 연결되어 챔버유닛(100)은 레이들(10)에서 배출되는 불순물(30)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는 레이들(10)과 인접하게 이동하며 불순물(30)을 흡입하므로, 종래의 경우보다 저전력으로 사용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불순물(30)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주조공정 간에 대표적으로 집진 취약 공정으로 여겨지는 출탕, 용탕 및 이송과 주입 공정에서 레이들(10)과 함께 챔버유닛(100)이 이동하며 직접 불순물(30)을 흡입할 수 있어 작업현장의 대기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챔버유닛(100)은 구동부(120), 저장부(160) 및 필터부(130)를 포함한다.
구동부(160)는 레이들(10)에서 배출되는 불순물(30)을 흡입하는 구성으로써, 흡입모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챔버유닛(100)의 내부의 하부 공간의 일 영역으로써, 구동부(160)를 통해 흡입된 불순물(30)을 배출하기 전까지 포집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즉, 챔버유닛(100) 내로 유입된 불순물(30)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모이게 되고, 저장부(160)는 불순물(30)이 배출되기 전까지 역류하지 않도록 보관하는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130)는 구동부(160)에 불순물(30)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불순물(30)이 구동부(160)에 유입되는 경우 구동부(160)의 고장이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덕트유닛(200)을 통해 흡입된 불순물(30)이 포함된 공기는 필터부(130)를 거치고 정화된 공기는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필터부(130)는 필터부(130)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30)이 중력에 의해 저장부(160)에 포집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필터부(130)는 구동부(160)와 덕트유닛(200)을 통해 챔버유닛(100)으로 유입되는 공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챔버유닛(100)은 필터부(130)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1에어펄스(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펄스(280)는 필터부(130)에 압축공기를 가하여 필터부(130)에 잔존하는 불순물(30)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에어펄스(280)는 필터부(130)의 상단에 구비되어 필터부(13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불순물(30)이 필터부(130)에서 저장부(160)쪽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는 상부에 설치되어 지상의 집진기와 비교하여 유지 보수에 힘이 든다.
제1에어펄스(280)는 필터부(130)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부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의 필터부(130)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에어펄스(280)에 의해 필터부(130)는 사용주기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부(130)는 여러 개의 필터가 박스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의 집진기능을 극대화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필터부(130)의 구성은 방염처리되고, 그물형의 커버(140)가 필터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가 흡입하는 불순물(30)의 경우 레이들(1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상태이므로 챔버유닛(100)의 내부에 화재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그물형의 커버(140)가 필터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온의 불순물(30)이 필터부(130)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덕트유닛(200)은 챔버유닛(100)에 연결되어 불순물(30)이 유동하는 구성이다.
이 때, 덕트유닛(2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덕트유닛(200)은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통로를 일체화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덕트유닛(200)은 위와 같이 통로를 일체화함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가 레일(50)을 따라 이동하는 기능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챔버유닛(100)과 덕트유닛(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덕트(220)를 통해 불순물(30)을 흡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덕트(260)를 통해 불순물(30)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덕트유닛(200)은 제1덕트(220) 및 제2덕트(260)를 포함한다.
덕트유닛(200)은 실리콘 코팅이 이루어진 유리질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내열의 덕트유닛(200)의 구성을 위함이다. 위와 같은 재질에 의해 덕트유닛(200)은 고온의 레이들(10)에 견딜 수 있다.
즉, 상기 재질에 의해 덕트유닛은(200) 고온의 불순물(30)이 덕트유닛(200)을 통해 챔버유닛(100)으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화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덕트(220)는 챔버유닛(100)과 연결되어 레이들(10)에서 배출되는 불순물(30)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통로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집진기는 제1덕트(220)를 통해 불순물(30)이 챔버유닛(100)으로 흡입되고 배출되도록 본 발명의 유로가 일체화 되므로, 전체적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덕트유닛(200)은 댐퍼부(210)를 포함할 수 있따.
댐퍼부(210)는 레이들(10)에서 배출되는 불순물(30)에 혼합되어 있는 불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덕트유닛(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뎀퍼부(210)는 덕트유닛(200)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반원형의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부재가 반복하면서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위의 형상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유닛(100)과 제1덕트(220) 사이에 불순물(30)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신호유닛(300)과의 연동에 의해 차단부(180)가 구동되는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덕트(260)는 챔버유닛(100) 내의 저장부(160)와 제1덕트(220)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은 제2덕트(260)를 지나, 제2덕트(260)와 연통되는 제1덕트(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60)는 불순물(30)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2덕트(26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덕트(260)도 저장부(160)와 마찬가지로 저장부(160)와 제1덕트(220)를 연통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중력의 법칙에 따라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저장부(160)는 챔버유닛(100)이 불순물(30)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불순물(30)이 역류하지 않도록 밸브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260)는 저장부(160)와 제2덕트(260) 사이에 구비되어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의 유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밸브부(260)는 제1덕트(220)를 통해 불순물(30)이 포함된 공기가 챔버유닛(100)으로 흡입되고 있는 동안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1덕트(220)를 통한 불순물(30)의 흡입이 종료되면 밸브부(260)가 오픈되어 저장부(160)의 불순물(30)이 제2덕트(260) 및 제1덕트(2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덕트유닛(20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60)는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제2에어펄스(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에어펄스(290)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을 가압하여 불순물(30)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60) 및 제2덕트(260)의 기울어진 형상에 의해 중력의 법칙에 따라 제1덕트(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불순물(30)은 불순물(30) 간의 정전기 및 불순물(30)과 챔버유닛(100), 덕트유닛(200) 내의 정전기 현상 등에 의해 깨끗하게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에어펄스(290)는 저장부(160)의 내부 및 덕트유닛(200)에 잔존하는 불순물(3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불순물(30)이 종래의 집진기보다 더욱 깨끗하게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상술한 제1에어펄스(280) 및 제2에어펄스(290)는 서로 연동하여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60)에 포집된 불순물(30)이 배출될 시, 제1에어펄스(280)와 제2에어펄스(290)에 의해 챔버유닛(100)을 깨끗하게 함과 동시에 불순물(30)을 배출할 수 있다.
신호유닛(300)은 불순물(30)에 의해 챔버유닛(100)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와 관련한 신호를 입력 받는 구성이다.
즉, 고온의 불순물(30)이 챔버유닛(100) 내부로 유입되어 화재를 일으키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챔버유닛(100) 및 제어유닛(4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신호유닛(300)은 챔버유닛(10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또는 챔버유닛(100) 내부의 화염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신호유닛(300)에 챔버유닛(100) 내부의 화재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챔버유닛(100) 내의 차단부(180)가 작동할 수 있다.
차단부(180)는 상기 신호에 의해 고온의 불순물(30)이 챔버유닛(1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차단부(180)는 챔버유닛(100)과 제1덕트(220)가 연통되는 부분에 원형의 일부가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호유닛(300)에 화재와 관련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원형의 차단부(180)의 일부가 접혀 반원형의 형태를 유지하며 챔버유닛(100)은 불순물(30)을 흡입한다.
그리고, 신호유닛(300)에 고온의 불순물(30)에 의한 챔버유닛(100) 내에 화재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1덕트(220)를 막는 원형의 형태로 차단부(180)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180)는 챔버유닛(100)과 제1덕트(220)가 연통되는 부분에 힌지 결합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결합을 통하여 차단부(180)는 신호유닛(300)에 화재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챔버유닛(100)과 제1덕트(220)가 연통되는 부분을 오픈한다.
그리고, 신호유닛(300)에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차단부(180)는 챔버유닛(100)과 제1덕트(220)가 연통되는 부분을 차단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차단부(180)의 구성에 의해 고온의 불순물(30)이 챔버유닛(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유닛(400)은 신호유닛(300)에 챔버유닛(100) 내의 화재에 관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챔버유닛(100) 내부에 가스를 배출하여 화재를 제거하는 구성이다.
즉, 제어장치(400)는 소화장치가 구비되어 챔버유닛(100) 내부에 가스를 배출하여 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스는 할론(halon)가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챔버유닛(100) 내부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의 소화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기는 상부에 거치되므로 자발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덕트유닛(200)의 흡입부분에 구비되는 댐퍼부(210)가 화재 방지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내열의 소재로 구비되는 덕트유닛(200) 및 필터부(130)의 소재와 필터부(130)의 그물형 커버(140)가 불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방지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집진기는 신호유닛(300)에 구비되는 화염감지카메라 또는 온도 감지 센서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제어유닛(400)을 통해 다중적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레이들 30: 불순물
50: 레일
100: 챔버유닛 120: 구동부
130: 필터부 140: 그물형 커버
160: 저장부 180: 차단부
200: 덕트유닛 210: 댐퍼부
220: 제1덕트 240: 제2덕트
260: 밸브부 280: 제1에어펄스
290: 제2에어펄스
300: 신호유닛
400: 제어유닛
50: 레일
100: 챔버유닛 120: 구동부
130: 필터부 140: 그물형 커버
160: 저장부 180: 차단부
200: 덕트유닛 210: 댐퍼부
220: 제1덕트 240: 제2덕트
260: 밸브부 280: 제1에어펄스
290: 제2에어펄스
300: 신호유닛
400: 제어유닛
Claims (9)
-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에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용융된 금속을 운반하는 레이들(ladle)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구동부 및 상기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가 구비되는 챔버유닛;
상기 챔버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불순물이 유동하는 덕트유닛;
상기 불순물에 의한 화재와 관련된 신호를 입력 받는 신호유닛; 및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를 제거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이 흡입되고 배출되는 통로인 제1덕트; 및
저장부와 상기 제1덕트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에 포집된 불순물을 배출하는 제2덕트;
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진 상기 불순물이 포집되는 공간인 저장부; 및
상기 챔버유닛과 상기 제1덕트가 연통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유닛에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챔버유닛 내로의 상기 불순물의 흡입을 차단하는 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에 포집되는 상기 불순물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2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상기 챔버유닛과 상기 제1덕트가 연통되는 부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형 집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에 잔존하는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에어펄스;
를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포집되는 불순물을 가압하여 상기 불순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보조하는 제2에어펄스;
를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불순물에 의한 불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부;
를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챔버유닛 내부의 화염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형 집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신호유닛에 상기 화재와 관련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가스를 배출하여 상기 화재를 제거하는 이동형 집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923A KR102021798B1 (ko) | 2017-12-06 | 2017-12-06 |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923A KR102021798B1 (ko) | 2017-12-06 | 2017-12-06 |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981A KR20190066981A (ko) | 2019-06-14 |
KR102021798B1 true KR102021798B1 (ko) | 2019-11-04 |
Family
ID=6684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6923A KR102021798B1 (ko) | 2017-12-06 | 2017-12-06 |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179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6817A (ja) * | 2000-12-19 | 2002-07-02 | Daihen Corp | 溶接ヒューム用集塵機の焼損防止方法及び防止装置 |
KR101520022B1 (ko) * | 2014-08-01 | 2015-05-1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
KR101664383B1 (ko) * | 2014-03-27 | 2016-10-12 | (주)대호산업 |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4714U (ja) * | 1992-09-02 | 1994-04-05 |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 濾布回収装置付パルスジェット式バグフィルタ |
JP2009279571A (ja) | 2008-05-21 | 2009-12-03 | Shinyo Industries Co Ltd | 防火集塵機。 |
-
2017
- 2017-12-06 KR KR1020170166923A patent/KR1020217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6817A (ja) * | 2000-12-19 | 2002-07-02 | Daihen Corp | 溶接ヒューム用集塵機の焼損防止方法及び防止装置 |
KR101664383B1 (ko) * | 2014-03-27 | 2016-10-12 | (주)대호산업 |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
KR101520022B1 (ko) * | 2014-08-01 | 2015-05-1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981A (ko) | 2019-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256925U (zh) | 一种适用于隧道施工使用的移动式除尘降害设备 | |
US9399184B2 (en) | Deflagration suppression screen for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or/vacuum cleaner | |
US20170182528A1 (en) | A Flow Cabinet System For Cleaning At Least One Object | |
CN113262585A (zh) | 一种激光焊接除尘器的抑爆控制系统 | |
KR102021798B1 (ko) | 소화기능이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 | |
CN105499547B (zh) | 一种铸造落砂机 | |
CN205925249U (zh) | 一种布袋除尘器在线监控系统 | |
CN215585797U (zh) | 一种防火防爆抑爆泄爆除尘净化装置 | |
KR20130137921A (ko) | 집진기 | |
KR20190065562A (ko) | 이동형 집진기 | |
US20230284852A1 (en) | Hazardous dust collection system | |
CN102641870A (zh) | 真空清洁系统 | |
CN109395512A (zh) | 一种高效火星捕捉器 | |
JP6313125B2 (ja) | 集塵装置 | |
KR200420609Y1 (ko) | 안전 커버를 가지는 용접 토치 | |
JP7013147B2 (ja) | 煙検知装置 | |
CN209502514U (zh) | 一种金属加工车间除尘设备 | |
CN110370066A (zh) | 一种大型切割设备的除尘装置 | |
CN202724953U (zh) | 火化炉专用高效除尘器 | |
CN206703070U (zh) | 一种安全系数高的焊接机 | |
CN207324309U (zh) | 一种工业中央除尘系统 | |
CN104315868B (zh) | 一种电炉烟气除尘中烟气火花捕集混合器 | |
CN203591221U (zh) | 耐高温吸尘器 | |
CN208320190U (zh) | 电炉除尘用火花捕集器 | |
CN209761873U (zh) | 一种用于消防机器人的排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