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99475A1 - 차량용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99475A1
WO2015199475A1 PCT/KR2015/006517 KR2015006517W WO2015199475A1 WO 2015199475 A1 WO2015199475 A1 WO 2015199475A1 KR 2015006517 W KR2015006517 W KR 2015006517W WO 2015199475 A1 WO2015199475 A1 WO 201519947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housing
air
vehicle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5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청용
신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83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6286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835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6287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834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6777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6250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6317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to EP15811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63066A4/en
Priority to US15/321,869 priority patent/US10641215B2/en
Priority to CN201580034565.4A priority patent/CN106662048A/zh
Publication of WO201519947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99475A1/ko
Priority to US16/839,498 priority patent/US20200248659A1/en
Priority to US16/839,421 priority patent/US20200232426A1/en
Priority to US16/839,358 priority patent/US113397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18Air cleaners acting by absorption or adsorption; trapping or removing vapours or liquids, e.g. originating from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91Flat filter elements, e.g.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42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combined with other devices, e.g. heaters ; for use other than engine air intake cleaning, e.g. air intake filters arranged in the fuel vapour recovery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cleaner which is installed in an intake system of a vehicle to filter air supplied to an engine system and to effectively collect evaporated gas.
  • the engine of a vehicle generates power by mixing and combusting fuel and air.
  •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passes through various fuel supply devices, is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jected into the cylinder of the engine, and the engine repeatedly generates the intake, compression, explosion, and exhaust planets to generate power. do.
  • the intake system for supplying air to the engine system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duct structure for providing a flow path of air, a resonator for reducing noise, and an air cleaner for filtering the intake air.
  • the air cleaner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to inhale necessary air into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ngine negative pressure, etc., and supplies the sucked air to the engine system through the element.
  • the vehicle air cleaner as described above is originally intended to supply air to the engine system, but because i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ir, it may act as a passage through which evaporated gas such as hydrocarbons generated in the engine system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includes a body 1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 intake port 2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 and an upper end side of the body 1. It comprises an outlet 3 formed, the inside of the body 1 so that the element 4 for filtering the air and the boil-off gas adsorption filter 5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ment 4 is disposed Configured.
  • boil-off gas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 through the outlet port 3, and this boil-off gas is adsorbed by the boil-off gas adsorption filter 5, so as not to escape to the outside.
  • the element 4 and the boil-off gas adsorption filter 5 are vertically positioned vertically, so that the structure becomes large.
  •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bove-mentioned evaporation gas adsorption filter (5) is made of a filter type, the foreign matter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filter (5) when used continuously, the negative air intake pressure is lowered, the performance is reduced, Activated carbon powder for adsorbing boil-off gas is sucked into the engine by the absorption pressure.
  •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ised a vehicle air cleaner that can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 the air cleaner even when the air cleaner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e air can be effectively collected while simultaneously filtering the air, thereby minimizing the discharge of the outside air of the evaporated gas, and preventing the intake underpressure from dropping even when continuously us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n which there is no problem in the engine performance of the vehicl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ir cleaner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during intak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air cleaner that has a vapor evaporation trap portion detachable to the outlet of the air cleaner to collect the boil-off gas backflow from the engine, thereby minimizing the discharge of outside air of the boil-off gas To provid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engine to improve the adsorption efficiency and noise reduction effect of the hydrocarbon, the structure of the hydrocarbon collec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to freely control the capacity of the activated carbon to adsorb the hydrocarbon
  •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having a device is provided.
  •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let for sucking air, an exhaust port for supplying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 the air cleaner comprising an element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cleaner
  • the air clean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vehicle air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for collecting the evaporation gas.
  •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let for sucking air, an exhaust port for supplying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 An air cleaner comprising an element for filtering air sucked through the air cleaner, wherein the air cleaner includes an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on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includes activated carbon.
  •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for sucking air, an exhaust port for supplying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 the air cleaner comprising an element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cleaner
  • the air cleaner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mprises an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for collecting the boil-off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provides a vehicle air cleaner further includes a noise reduction member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air intake.
  •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for sucking air, an exhaust port for supplying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 An air cleaner comprising an element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cleaner, wherein the air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capable of collecting the evaporated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system to an air hose connecting the exhaust port of the housing to the engine.
  •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ir inlet for sucking air, an exhaust port for supplying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 An air cleaner comprising an element for filtering air sucked through the air cleaner, wherein the air clean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haust port, and the vehicle air cleaner further includes an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evaporated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do.
  • the hydrocarbon collection device one end is first body connected to the air hose connected to the air cleaner of the vehicle; A second bod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body; And a hydrocarbon adsorption unit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body of the first body to reduce intake noise and to prevent hydrocarbon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er.
  •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forms an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evaporated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system in the air cleaner, thereby preventing the evaporated ga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preventing the engine from being exhaus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free space because it does not have to provide a separate evaporation gas collection unit in the room.
  •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noise attenuating member to perform the role of the resonator in the air cleaner, it is possible to cancel the noise generated during intake.
  • the air cleaner for a vehicle can effectively remove the evaporation gas backflow from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by allowing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let side of the housing.
  •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formed of a compression-molded nonwoven fabric containing the activated carbon inside the first and second body is modularized and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 the hydrocarbon collection efficiency and noise reduction effect can be improved.
  • by effectively collecting the hydrocarbon from the oil vapor generated during the engine stop it can effectively block the leakage of the hydrocarb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 of the air cleaner.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leaner.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with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removed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shown in FIG. 2.
  •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removing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illustrated in FIG. 5.
  •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removing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removing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shown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il-off gas collect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ide of a housing in which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is removed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illustrated in FIG. 14.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arbon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6.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FIG. 16.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arbon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carbon adsorption unit connected to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9.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includes a housing 110 including a body portion 110a having an inlet 111 and a cover 110b having an exhaust port 112 formed therein. It can be provided.
  • the housing 110 may form an overall appearance of the vehicle air cleaner 100,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space for mounting the element 120 or the flow of intake air therein.
  • the element 120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0 is for filtration of intake air, and has been known in the art, and has a distance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intake port 111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air, and an exhaust port 112 for discharging the intake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o supply the engine to the engine.
  • the inlet port 111 is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10, that is, the body portion (110a)
  • the exhaust port 112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end, that is, the cover portion (110b)
  • the arrangement of the intake port 111 and the exhaust port 112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cessary.
  • an air duct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ir or the engine system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111 and the exhaust 112, respectively, and the housing 110 may be assembled or installed as necessary.
  • 1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for the convenience of replacement.
  • the divided structure of the air duct or the housing 110 may also be changed in various designs as necessary.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as described above may suck outside air through the intake port 111, and the sucked air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ment 1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 the filtered air is again discharged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100 through the exhaust port 112 is supplied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through the air duct. This overall operation can be made similar to a conventionally known vehicle air cleaner.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with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removed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shown in FIG. 2.
  • an element 120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such an element 12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It may be mounted to partition the top, bottom.
  •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11 passes through the element 120 while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o the upper side, and intake air can be filtered in this process.
  •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element 120, the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etc. may be changed in design as necessary.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preferably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portion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10b) 13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130 is to collect the evaporated gas flow back into the housing 110, the casing 132 is formed to have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 active carbon) and a compressed sponge 136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from leaking to the outside.
  • the casing 132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is fus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10b), the air passes through, but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therein is a fine ventilation hole so as not to flow out It is made to have.
  • the casing 132 fused to the cover 110b is fixedly installed through ultrasonic fusion, but if it is a fusion method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activated carbon 134 therein,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thermal fusion and vibration fusion. Changes are possible.
  • the compressed sponge 136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34 from flowing out of the casing 132 by the impact and vibration at the same time activated carbon ( 134) prevents agglomeration into one place so that it can be distributed evenly.
  • the boil-off gas flowing back into the housing 110 in particular, the hydrocarbon component is ad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so that the boil-off gas can be effectively removed.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removed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shown in FIG. 5.
  • an element 120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the element 12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to provide a housing ( 110 may be mounted to partition the interior into upper, lower.
  •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11 passes through the element 120 while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o the upper side, and intake air can be filtered in this process.
  •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element 120, the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etc. may be changed in design as necessary.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to 7,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of the cover portion (110b) 13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130 is to collect the evaporated gas flow back into the housing 110, the casing 132 is formed to have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 active carbon) and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may be composed of a shielding member 139 to prevent the outflow.
  • the casing 132 is formed in a shape of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is positioned to protrude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cover 110b. At this time,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casing 132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ortion 110b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 the casing 13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10,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through fusion.
  • the casing 132 may be fused by any one method of ultrasonic fusion or thermal fusion or vibration fus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xed through the ultrasonic fusion by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 the activated carbon 134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and removes the boil-off gas, in particular, the hydrocarbon component by allowing the boil-off ga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to be ad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34.
  • the blocking member 139 divides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ing 132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prevents the activated carbon 134 in the casing 132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and allows air to pass therethrough. It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fine vent holes.
  • the shielding member 139 is fixed to the casing 132 by fus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132 is formed so that the stepped portion 133 is form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139.
  • a firm fixing is performed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34 in the casing 132 from being separated.
  • the boil-off gas when the boil-off gas flows back into the housing 110, the boil-off gas passes through the fine vent of the screen member 139 and into the casing 132. After the inlet and the boil-off gas passes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34, the boil-off gas is adsorbed on the activated carbon 134 to prevent it from flowing ou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housing by removing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130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10a of the housing 110. can do.
  • the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130 is to collect the evaporated gas flow back into the housing 110, the casing 132 is formed to have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 an active carbon, and the shielding member 139 and the shielding member 139 for preventing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space. And a noise reduction member 138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 the casing 132 is formed in a housing shape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is located to protrude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10b). At this time,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casing 132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ortion 110b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 the casing 13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10,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through fusion.
  • the casing 132 may be fused by any one method of ultrasonic fusion or thermal fusion or vibration fus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xed through the ultrasonic fusion by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 the activated carbon 134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132 and removes the boil-off gas, in particular, the hydrocarbon component by allowing the boil-off ga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to be ad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34.
  • the shielding member 139 is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34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ing 132 from leaking out of the casing 132, and a plurality of fine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 the shielding member 139 is fixed to the casing 132 by fus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132 is formed so that the stepped portion 133 is form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edge of the shielding member 139.
  • a firm fixing is performed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34 in the casing 132 from being separated.
  • the boil-off gas when the boil-off gas flows back into the housing 110, the boil-off gas passes through the fine vent of the screen member 139 and into the casing 132. After the inflow and the boil-off gas passes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34, the boil-off gas may be adsorbed on the activated carbon 134 to prevent it from flowing out.
  • the noise attenuation member 138 is formed in an enclosure shape to have a receiving space therein, similarly to the casing 132, and is formed to ope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casing 132 through fusion.
  • the noise reduction member 138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to allow the air in the housing 110 to be introduced or discharged.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housing 110 of the air cleaner and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130 may collect the evaporated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34.
  •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130 may collect the evaporated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34.
  • a noise reducing member 138 to attenuate the noise generated during intake negative press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of the vehicle.
  • the existing vehicl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sonator to reduce the noise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ise reduction member 138 corresponding to the resonator, so tha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resonator of the engine space, the space for utilization of the engine room can be secur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with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removed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shown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il-off gas collect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ular air cleaner 100 evaporates from the engine system to the air hose 150 connecting the exhaust port 112 of the housing 110 to the eng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140 that can collect the gas is installed.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forms a perforation part 151 in a portion of the air hose 150 and then into the air hose 150 through the perforation part 151.
  • the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140 may be inserted.
  • the perforation part 151 penetrates throug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air hose 150, and the coupling jaw 152 is protruded from the outside.
  • the evaporation gas capture unit 140 is located in the air hose 150 through the perforation unit 151 and the non-woven fabric 142 to accommodate the activated carbon 144 therein, and in the coupling jaw 152 And a stopper 146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44 in the nonwoven fabric 142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a stopper positioned in the nonwoven fabric 142 and the coupling jaw 152 located in the perforation part 151.
  • 146 may include a clamp 148 to prevent spaced apart from the air hose 150.
  • the nonwoven fabric 14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ne ventilation holes so that the activated carbon 144 therein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while the outside air can flow.
  • the activated carbon 144 located in the nonwoven fabric 142 serves to adsorb the boil-off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system.
  • the evaporated gas flowing into the air hose 15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air hose 150 in a form wrapp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142 passes through the nonwoven fabric 142 and passes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44 to evaporate. To capture the gas.
  • the stopper 146 is formed to have a "c" shape, and is formed to have a flange 147 bent in both ends at the ends, a part of the stopper 152 formed in the air hose 150 The bent flange 147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jaw 152.
  • the stopper 146 serves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44 located in the nonwoven fabric 142 from leaking out.
  • the clamp 148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to prevent the stopper 146 located in the engaging jaw 152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air hose 150.
  • the clamp 148 by fixing using the clamp 148 in a state where a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142 is located between the coupling jaw 152 and the stopper 146, the nonwoven fabric 142 and the stopper (at the air hose 150) 146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paced apart.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passes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44 of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140 provided in the air hose 150 when the evaporation gas flows back from the engine system, and the evaporated gas is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 144 may effectively remove the evaporated gas.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housing by removing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from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illustrated in FIG. 14.
  • the vehicle air cleaner 100 has a boil-off gas flowing back from the engine system to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purified by an element in the housing 110 to the engine 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vaporization gas collecting unit 160 to collect the.
  • the evaporation gas collecting unit 160 is attached to the exhaust port 112 to capture the evaporated gas, that is, carbon monoxide discharged from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housing ( Coupling member 162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exhaust port 112 of the 110, and activated carbon 164 fused to the coupling member 162 and can collect the evaporated gas flows into the coupling member therein is accommodated It may include a collecting member 166 and a nonwoven fabric 168 to prevent the activated carbon 164 contained in the collecting member 166 from flowing out and to allow air in the coupling member 162 to flow.
  • the coupling member 162 may be composed of a tubular tubular body 162a having a hollow therein and a flange 162b formed to exten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tubular body 162a.
  • a plurality of threaded holes 163 may be formed in the flange 162b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bolted to the exhaust port 112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threaded holes 163.
  • the collecting member 166 is fused to the tubular body 162a of the coupling member 162.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collecting member 166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at both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tubular body 162a.
  • the activated carbon 164 capable of collecting boil-off gas is provided.
  • the nonwoven fabric 168 prevents the activated carbon 164 provided in the collecting member 166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and the evaporated gas flowing into the coupling member 162 is activated carbon 164 in the collecting member 166. By allowing flow to the microscopic vent holes are formed.
  • the boil-off gas flows back from the engine system, the boil-off gas flows into the coupling member 162 installed at the exhaust port 112, and the boil-off gas is a nonwoven fabric ( Adsorbed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64 in the collecting member 166 through the 168,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evaporated gas, such as to prevent the evaporated gas outflow to the outside.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arbon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6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FIG. 16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ocarbon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carbon adsorption unit connected to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9. to be.
  • the hydrocarbon collect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body 10, a second body 20, and a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 first body 10 may be connected to an air hose 50 connected to an air cleaner (not shown) of the vehicle.
  • first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portion 11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2.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air hose 50, the purified ai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air cleaner.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outwar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hose 50. have.
  • the air hose 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but not show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the air hose 50 may be fixedly coupled with a clamp or the like. It may be.
  •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 is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body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fourth connection part 22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econd and fourth connectors 12 and 22 may be fixed through mutual coupling, and may be fixedly coupled in various ways. This is explained later.
  • the first locking portion 15 may be formed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10.
  • the first locking portion 15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That is, a donut shape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tching portion 15 so that one end of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may be inserted therein.
  • One end of the second body 20 may be connected to the engine 30 of the vehicle. In this case, it may be connected to the turbocharger instead of the engine 30.
  • the second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connecting portion 21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22.
  • the third connector 21 may be connected to the engine 30 to supply purified air to the engine 30 through the air cleaner.
  •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outward,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1 may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 Can be.
  • the coupling part 31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21 of the engine 30 are provided in a complementary shape, and after the first fixing by fitting engage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secondary with the clamp 32 or the like. Can be fix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bond and decomposable structure.
  • the fourth connector 22 is provided for coupling with the first body 10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second connector 12. That is, the second and fourth connectors 12 and 22 may be fixed through mutual coupling,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ixed through fusion after surface contact or line contact. However,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provided in the flange shape.
  • the second catching part 25 may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20.
  •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ide thereof. That is, a donut shaped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 so that one end of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may be inserted therein.
  •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adsorption part 210, a second adsorption part 220, and activated carbon particles 230.
  • the first adsorption part 210 may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adsorption part 220 may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20.
  •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parts 210 and 2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rough complementary coupling, and flange-shaped first and second contact parts 211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17. )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by combining them by a method such as fusion.
  •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parts 210 and 220 may both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parts 210 and 220 may be formed of a compression molded nonwoven fabric having breathability. That is, the nonwoven fabric including a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particles 230 is compression molded into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7, but inserted into the first adsorption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20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0. After injection molding by dividing into the second adsorption unit 220, these may be individually combined to form a module, or may be separately assembled by insert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respectively. .
  • the filling amount and volume of the activated carbon particles 230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intake system that needs to be installed, thereby improving assembly performance. have.
  • the cylindrical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parts 210 and 220 air corresponding to the flow path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is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parts 210 and 220.
  • a flow path can be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parts 210 and 220.
  • a flow path can be formed.
  • the air flow path is formed of the breathable nonwoven fabric described above, and is configured to allow hydrocarbons in the air to be adsorbed on activated carbon.
  • the hydrocarbon collection device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most of the above described first embodiment. 19 and 20,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300 is slightly different.
  •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300 may be provided a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single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portion 310 and an inner diameter portion 320. That is,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300 is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outer diameter portion 310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10, 20, the inner diameter portion 320 is the first And it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1, 21), it can form an air flow path.
  • a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particles 3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diameter portion 310 and the inner diameter portion 320 to adsorb hydrocarbons.
  • each module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containing only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ctivated carbon particles therein
  • the modules to be replaced may be arranged radially.
  • the second and fourth connecting portions 12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may be thermally or ultrasonically fuse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provided in a complementary shape to be combined.
  • the second body 20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engine 30 of the vehicle and the turbocharger not shown, the second body 20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air cleaner. ) And the distance of any one of the engine 30 and the turbocharger may be arranged closer.
  •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 200, 300 formed of a compression-molded nonwoven fabric containing the activated carbon particles 230, 330 insid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20, Since it is modularized and inserted, the hydrocarbon adsorption units 200 and 300 can be modularized in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 and 20.
  • the hydrocarbon collection efficiency and noise reduction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e engine 30 By effectively collecting the hydrocarbons from the oil vapor generated during the stop, the hydrocarbon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leaking out through the air inlet of the air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클리너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흡기계통에 설치되어 엔진계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동시에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료와 공기가 혼합 연소하면서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기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화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 행성을 반복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을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일정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게 되며, 통상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외기로부터 차내로 흡입되어 엔진 계통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엔진 계통으로의 공기 공급을 위한 흡기 계통은 통상 공기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덕트 구조, 소음 저감을 위한 레조네이터, 흡기된 공기를 여과시키는 에어클리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클리너는 외기와 연통되어 엔진 부압 등에 따라 필요한 공기를 장치 내부로 흡입하게 되며, 흡입된 공기를 엘리먼트 등을 통해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본래 엔진 계통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나, 외기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계통에서 발생되는 탄화수소와 같은 증발가스가 외기로 배출되는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엔진 계통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덕트 구조 등을 통해 에어클리너로 역류되는 경우, 에어클리너의 흡기구를 통해 증발가스가 외기로 방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에어클리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1), 상기 바디(1)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2) 및 상기 바디(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1)의 내부에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4)와 상기 엘리먼트(4)의 상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증발가스 흡착필터(5)가 배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2)를 통해 바디(1)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바디(1)를 따라 통과하여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3)로 빠져나가는데, 이때, 상기 엘리먼트(4)와 상기 증발가스 흡착필터(5)를 차례로 통과하여 지나가며 내부에 먼지가 걸러짐으로써, 깨끗한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로부터 생성된 증발가스는 상기 배출구(3)를 통하여 상기 바디(1) 내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증발가스는 상기 증발가스 흡착필터(5)에 의하여 흡착되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클리너는 엘리먼트(4)와 증발가스 흡착필터(5)가 상하로 수직하게 위치됨으로써, 구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클리너는 상술한 증발가스 흡착필터(5)가 필터식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이물질이 흡착필터(5)에 흡착됨으로써, 흡기 부압이 떨어져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과 함께, 증발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가루가 흡압에 의해 엔진으로 빨려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에어클리너를 소형으로 제작하여도 공기를 여과하는 동시에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발가스의 외기 배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흡기 부압이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엔진 성능에 문제가 없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흡기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에어클리너의 배출구에 탈부착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구비하여 엔진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발가스의 외기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엔진과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탄화수소의 흡착효율과 소음 감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탄화수소를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의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탄화수소 포집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어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가스포집부에는 활성탄이 구비되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엔진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가스포집부에는 공기 흡입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감쇄부재가 더 포함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배기구와 엔진을 연결하는 에어호스에 엔진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증발가스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배기구에 탈부착되어 차량의 엔진 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화수소 포집장치는 일단은 차량의 에어 클리너와 연결되는 에어호스와 연결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상기 제 2 몸체와 결합되는 연결부의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어,흡기소음을 저감하고 에어클리너로 탄화수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화수소 흡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화수소 흡착유닛은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 1 흡착부; 상기 제 2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흡착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활성탄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제 2 흡착부는 상호 결합된 후 모듈화 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 내에 엔진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증발가스포집부를 형성함으로써, 증발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엔진룸 내에 별도의 증발가스포집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에 레조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음감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흡기시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하우징의 배출구측에 증발가스포집부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엔진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몸체의 내측에 활성탄을 수용하고 있는 압축 성형 부직포로 형성된 탄화수소 흡착유닛을 모듈화하여 삽입하므로, 제 1 및 제 2 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탄화수소 흡착유닛을 모듈화 구성하고, 탄화수소 흡착유닛의 제 1 및 제 2 몸체의 장착 위치를 에어클리너보다 엔진이나 터보챠져 등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탄화수소 포집효율 및 소음 감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엔진 정지 중에 발생되는 유증기로부터 탄화수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탄화수소가 에어클리너의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구비된 증발가스 포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증발가스포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탄화수소 포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탄화수소 포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탄화수소 흡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흡기구(111)가 형성된 바디부(110a)와, 배기구(112)가 형성된 커버부(110b)로 이루어진 하우징(110)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차량용 에어클리너(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엘리먼트(120, 도 3 참고)의 장착이나 흡기 공기의 유동을 위한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게 된다.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는 엘리먼트(120)는 흡기된 공기의 여과를 위한 것으로, 종래 공지된 바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는 거리가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110)은 외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111)와, 흡기된 공기를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하여 엔진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1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단부 즉 바디부(110a)에 흡기구(111)가 배치되고, 상단부 즉 커버부(110b)의 좌측에 배기구(112)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흡기구(111) 및 배기구(112)에는 각각 외기 또는 엔진 계통과 연통되는 에어덕트(미도시)가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우징(110)은 조립성이나 엘리먼트(120)의 교체 편의를 위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에어덕트나 하우징(110)의 분할 구조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흡기구(111)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게 되며, 흡입된 공기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엘리먼트(120)를 거치면서 여과될 수 있다. 또한, 여과된 공기는 배기구(112)를 통해 다시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로부터 배출되어 에어덕트 등을 통해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반적인 동작은 종래 공지된 차량용 에어클리너와 유사하게 이뤄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엘리먼트(120)가 장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엘리먼트(12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고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10) 내부를 상, 하부로 구획하도록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기구(111)로 흡입된 공기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부측으로 유동되면서 엘리먼트(120)를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흡기 공기가 여과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엘리먼트(120)의 형태 및 구조, 흡기 공기의 유동 방향 등은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10b)의 내측 상부에 증발가스포집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포집부(130)는 하우징(110) 내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는 케이싱(132)과,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134 : active carbon) 및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134)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스폰지(136)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132)은 부직포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부(110b)의 내측 상부에 융착되는 것으로, 공기는 통과하되, 내부에 수용되는 활성탄(134)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미세한 통기공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10b)에 융착되는 상기 케이싱(132)은 초음파 융착을 통해 고정설치되나, 내부의 활성탄(134)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융착방법이라면 열융착 진동융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압축스폰지(136)는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134)의 상측에 설치되어 충격 및 진동에 의해 활성탄(134)이 케이싱(132)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활성탄(134)이 한 곳으로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 내로 역류하는 증발가스 특히, 탄화수소 성분이 활성탄을 통과하면서 흡착되어 증발가스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증발가스포집부(130)를 에어클리너(100)의 하우징(110)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엔진룸 내에 별도의 증발가스 포집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엘리먼트(120)가 장착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엘리먼트(12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고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10) 내부를 상, 하부로 구획하도록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기구(111)로 흡입된 공기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부측으로 유동되면서 엘리먼트(120)를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흡기 공기가 여과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엘리먼트(120)의 형태 및 구조, 흡기 공기의 유동 방향 등은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10b)의 상부 외측에 증발가스포집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포집부(130)는 하우징(110) 내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는 케이싱(132)과,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134 : active carbon) 및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134)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부재(139)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132)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110b)의 외측 상부에 돌출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10b)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케이싱(132)의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32)은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융착을 통해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132)는 초음파융착 또는 열융착 또는 진동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융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작업의 편의성을 의해 초음파융착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활성탄(134)은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증발가스가 상기 활성탄(134)을 통과하면서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가스 특히, 탄화수소 성분을 제거한다.
가림부재(139)는 상기 케이싱(132)의 수용공간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132) 내의 활성탄(134)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는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미세한 통기공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림부재(139)는 케이싱(132)에 융착을 통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132)의 내주면에는 측벽을 따라 단턱부(133)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림부재(139)의 테두리부분이 상기 단턱부(133)와 융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케이싱(132) 내의 활성탄(13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하우징(110) 내로 증발가스가 역류되면, 증발가스가 상기 가림부재(139)의 미세한 통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132) 내로 유입되고 이후 증발가스가 활성탄(134)을 경유하면서 상기 활성탄(134)에 증발가스가 흡착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커버부(110a) 상부 외측에 증발가스포집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포집부(130)는 하우징(110) 내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는 케이싱(132)과,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134 : active carbon)과,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134)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부재(139) 및 상기 가림부재(139)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소음감쇄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132)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110b)의 외측 상부에 돌출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10b)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케이싱(132)의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32)은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융착을 통해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케이싱(132)는 초음파융착 또는 열융착 또는 진동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융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작업의 편의성을 의해 초음파융착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활성탄(134)은 상기 케이싱(132)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증발가스가 상기 활성탄(134)을 통과하면서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증발가스 특히, 탄화수소 성분을 제거한다.
가림부재(139)는 상기 케이싱(132)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탄(134)이 케이싱(132)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미세하게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림부재(139)는 케이싱(132)에 융착을 통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132)의 내주면에는 측벽을 따라 단턱부(133)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가림부재(139)의 테두리부분이 상기 단턱부(133)와 융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케이싱(132) 내의 활성탄(13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하우징(110) 내로 증발가스가 역류되면, 증발가스가 상기 가림부재(139)의 미세한 통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싱(132) 내로 유입되고 이후 증발가스가 활성탄(134)을 경유하면서 상기 활성탄(134)에 증발가스가 흡착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음감쇄부재(138)는 상기 케이싱(132)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32)과 융착을 통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소음감쇄부재(138)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의 공기가 인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에어클리너(100)의 하우징(110) 내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흡기 부압시 하우징(110) 내의 공기 일부가 상기 소음감쇄부재(138)의 수용공간으로 흡입되어 압력이 저감됨으로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에어클리너의 하우징(110)과 연통되는 증발가스포집부(130)는 엔진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활성탄(134)을 통해 포집할 수 있는 동시에 흡기부압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감쇄부재(138)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차량의 경우 소음을 절감시키기 위해 레조네이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레조네이터에 상응하는 소음감쇄부재(138)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레조네이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엔진룸의 활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구비된 증발가스 포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배기구(112)와 엔진을 연결하는 에어호스(150)에 엔진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증발가스포집부(1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상기 에어호스(150)의 일 부분에 천공부(151)를 형성한 후 상기 천공부(151)를 통해 에어호스(150) 내로 상기 증발가스포집부(140)를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부(151)는 상기 에어호스(150)의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되, 외부에는 결합턱(15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발가스포집부(140)는 상기 천공부(151)를 통해 상기 에어호스 (150)내에 위치되며 내부에 활성탄(144)이 수용되는 부직포(142)와, 상기 결합턱 (152)내에 위치되며 상기 부직포(142) 내의 활성탄(144)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마개(146)와, 상기 천공부(151) 내에 위치되는 부직포(142) 및 결합턱(152) 내에 위치되는 마개(146)가 상기 에어호스(15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클램프(148)를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142)는 내부의 활성탄(144)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는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142) 내에 위치되는 활성탄(144)은 엔진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부직포(142)를 통해 감싸진 형태로 상기 에어호스(15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에어호스(150) 내로 유동되는 증발가스가 상기 부직포(142)를 통과하여 활성탄(144)을 거치면서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것이다.
마개(146)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끝단에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147)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부가 상기 에어호스(150)에 형성되는 결합턱(152) 내로 삽입되게 위치되며 절곡된 플랜지(147)가 상기 결합턱(152)과 접촉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마개(146)는 상기 부직포(142) 내에 위치되는 활성탄(144)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148)는 상기 결합턱(152) 내에 위치되는 마개(146)가 상기 에어호스(15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턱(152)과 마개(146) 사이에 부직포(142)의 일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클램프(148)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에어호스(150)에서 상기 부직포(142) 및 마개(146)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엔진계통에서 증발가스가 역류되면 에어호스(150)에 마련된 증발가스포집부(140)의 활성탄(144)을 거치면서 증발가스가 활성탄(144)에 흡착됨으로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서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증발가스포집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의 엘리먼트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엔진측으로 배출하는 배기구에 엔진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증발가스포집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포집부(160)는 상기 배기구(112)에 탈부착되어 증발가스 즉, 차량의 엔진계통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게 하여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배기구(112)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결합부재(162)와, 상기 결합부재(162)와 융착되며 내부에 상기 결합부재로 유동된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활성탄(164)이 수용된 포집부재(166)와, 상기 포집부재(166) 내에 수용된 활성탄(164)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162) 내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부직포(1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62)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형상의 관체(162a)와, 상기 관체(162a)의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16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162b)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나사공(163)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공(163)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배기구(112)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포집부재(166)는 상기 결합부재(162)의 관체(162a)에 융착되는 것으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162a)의 측면 양측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활성탄(164)이 마련된다.
부직포(168)는 상기 포집부재(166) 내에 마련되는 활성탄(164)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162) 내로 유동된 증발가스는 상기 포집부재(166) 내의 활성탄(164)으로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엔진계통에서 증발가스가 역류되면 배기구(112)에 설치된 결합부재(162) 내로 증발가스가 유동되고, 유동된 증발가스는 부직포(168)를 통과하여 상기 포집부재(166) 내의 활성탄(164)을 거치면서 흡착됨으로 증발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등 증발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탄화수소 포집장치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탄화수소 포집장치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된 탄화수소 흡착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21은 도 1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화수소 포집장치는 제 1 몸체(10), 제 2 몸체(20), 탄화수소 흡착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몸체(10)는 일단은 차량의 에어 클리너(미도시)와 연결되는 에어호스(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몸체(10)에는 제 1 연결부(11), 제 2 연결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11)는 에어호스(50)와 연결되어,상기 에어클리너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부(11)의 내주면은 에어호스(50)의 내측 지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호스(50)는 상기 제 1 연결부(11)의 내측에 삽입 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연결부(11)의 외주면에 삽입된 후에, 클램프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제 2 연결부(12)는 후술할 제 2 몸체(20)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 4 연결부(22)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및 제 4 연결부(12)(22)는 상호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결합이 가능하다. 이는 뒤에 다시 설명한다.
한편, 제 1 몸체(10)의 내측에는 제 1 걸림부(15)가 안쪽 공간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부(15)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외주면 측으로 후술할 탄화수소 흡착유닛(2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몸체(10)의 내주면과 제 1 걸림부(15)의 외주면의 사이에 도넛 형상의 링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이 곳에 탄화수소 흡착유닛(2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몸체(20)는 일단은 차량의 엔진(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엔진(30) 대신 터보챠져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 2 몸체(20)에는 제 3 연결부(21), 제 4 연결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 3연결부(21)는 엔진(30)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클리너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엔진(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3연결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3연결부(21)의 내주면의 지름은 상기 제 1 연결부(11)의 내주면의 지름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엔진(30)의 결합부(31)와 제 3 연결부(21)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하여, 끼워맞춤 결합으로 1차 고정한 후, 외주면을 클램프(32) 등으로 2차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및 분해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든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4연결부(22)는 제 1몸체(10)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연결부(12)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및 제 4 연결부(12)(22)는 상호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면접촉 또는 선 접촉 후에 융착을 통해 고정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하여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 2몸체(20)의 내측에는 제 2걸림부(25)가 안쪽 공간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걸림부(25)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외주면 측으로 후술할 탄화수소 흡착유닛(2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몸체(20)의 내주면과 제 2 걸림부(25)의 외주면의 사이에 도넛 형상의 링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이 곳에 탄화수소 흡착유닛(2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탄화수소 흡착유닛(200)은 제 1 흡착부(210)와 제 2 흡착부(220) 및 활성탄 입자(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흡착부(210)는 제 1 몸체(10)의 내측 공간부에 삽입되고, 제 2 흡착부(220)는 제 2 몸체(20)의 내측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흡착부(210)(220)는 상보적인 결합을 통해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연결부에 플랜지 형상의 제 1 및 제 2 접촉부(211)(221)를 형성하여 이들을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원통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흡착부(210)(220)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성을 가지는 압축성형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활성탄 입자(230)를 포함한 부직포를 도 17과 같은 원통형상으로 압축 성형하되, 제 1 몸체(10)에 삽입되는 제 1 흡착부(210)와 제 2 몸체(20)에 삽입되는 제 2 흡착부(220)로 구분하여 사출 성형한 후에, 이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거나, 각각 따로 제 1 및 제 2 몸체(10)(20)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흡착부(210)(220)로 모듈화하면, 활성탄 입자(230)의 충진량 및 부피 등을 설치가 필요한 흡기 시스템의 조건에 따라 손쉽게 가변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흡착부(210)(22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탄화수소 흡착유닛(200)의 내측에는 제 1 및 제 2 몸체(10)(20)의 유로 지름과 대응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로는 앞서 설명한 통기성 부직포로 형성되어, 공기 중의 탄화수소가 활성탄 등에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화수소 포집장치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대부분의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화수소 흡착유닛(300)의 구조가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탄화수소 흡착유닛(300)은 외경부(310)와 내경부(320)를 가지는 단일 형상의 원통형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탄화수소 흡착유닛(300)은 중공 형상의 원통형으로 마련되어, 외경부(310)는 제 1 및 제 2 몸체(10)(20) 각각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내경부(320)는 제 1 및 제 3 연결부(11)(21)와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경부(310)와 내경부(320)의 사이에는 다수의 활성탄 입자(330)가 삽입되어, 탄화수소를 흡착할 수 있다.
한편, 탄화수소 흡착유닛(30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모듈이 교번배치 될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모듈은 부직포만으로 구성되는 모듈과 내부에 상기 활성탄 입자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모듈이 방사상으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예 공통적으로, 제 1 및 제 2 몸체(10)(20)의 제 2 및 제 4 연결부(12)(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몸체(20)는 차량의 엔진(30) 및 미도시된 터보챠져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되, 상기 제 1 몸체(10)와 상기 에어클리너와의 거리 보다 상기 제 2 몸체(20)와 엔진(30) 및 터보챠져 중 어느 하나의 거리가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엔진 측에서 역류되는 유증기 속의 탄화수소가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으며, 엔진(3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에 따른 소음을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는 탄화수소 흡착유닛(200)(300)이 흡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몸체(10)(20)의 내측에 활성탄 입자(230)(330)를 수용하고 있는 압축성형 부직포로 형성된 탄화수소 흡착유닛(200)(300)을 모듈화하여 삽입하므로, 제 1 및 제 2 몸체(10)(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탄화수소 흡착유닛(200)(300)을 모듈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 흡착유닛(200)(300)의 장착 위치를 에어클리너보다 엔진(30)이나 터보챠져 등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하므로, 탄화수소 포집효율 및 소음 감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엔진(30)의 정지 중에 발생되는 유증기로부터 탄화수소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탄화수소가 에어클리너의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가스포집부에는 활성탄이 구비되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포집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된 상기 활성탄이 상기 케이싱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림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 측벽을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에 테두리부가 융착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우징과 초음파 또는 열 또는 진동융착 중 어느 하나로 융착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6.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엔진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증발가스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가스포집부에는 공기 흡입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감쇄부재가 더 포함된 차량용 에어클리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포집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활성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부재 및
    상기 가림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소음감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 측벽을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에 테두리부가 융착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우징과 초음파 또는 열 또는 진동융착 중 어느 하나로 융착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기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배기구와 엔진을 연결하는 에어호스에 엔진계통에서 역류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증발가스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포집부는
    상기 에어호스의 일부분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의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턱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활성탄이 수용되는 부직포와,
    상기 결합턱 내에 위치되며 상기 부직포 내의 활성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마개와,
    상기 천공부 내에 위치되는 부직포 및 결합턱 내에 위치되는 마개가 상기 에어호스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클램프로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탄성력을 갖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4.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및
    상기 제 1 몸체의 상기 제 2 몸체와 결합되는 연결부의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어,흡기소음을 저감하고 에어클리너로 탄화수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화수소 흡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화수소 흡착유닛은,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 1 흡착부;
    상기 제 2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 2 흡착부;및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활성탄 입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제 2 흡착부는 상호 결합된 후 모듈화 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몸체의 일단이 에어호스와 연결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15.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탄화수소 흡착유닛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되,내주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유로 지름과 대응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부는 내부에 활성탄 입자를 포함한 상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내부 공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압축성형되는 압축 성형 부직포인 차량용 에어 클리너.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부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18.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및
    상기 제 1 몸체의 상기 제 2 몸체와 결합되는 연결부의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어,흡기소음을 저감하고 에어클리너로 탄화수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탄화수소 흡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탄화수소 흡착유닛은,
    일단은 상기 제 1 몸체 내부에 삽입되고,타단은 상기 제 2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외경부;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유로 지름과 대응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내경부;및
    상기 제 1 및 제 2 흡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활성탄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이 에어호스와 연결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탄화수소 흡착유닛은,
    부직포만으로 구성되는 모듈과 내부에 상기 활성탄 입자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모듈이 방사상으로 교번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몸체의 연결부는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21.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차량의 엔진 및 터보챠져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되,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에어클리너와의 거리 보다 상기 제 2 몸체와 엔진 및 터보챠져 중 어느 하나의 거리가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PCT/KR2015/006517 2014-06-20 2015-06-25 차량용 에어클리너 WO2015199475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11056.9A EP3163066A4 (en) 2014-06-25 2015-06-25 Air cleaner for vehicle
US15/321,869 US10641215B2 (en) 2014-06-20 2015-06-25 Air cleaner for vehicle
CN201580034565.4A CN106662048A (zh) 2014-06-25 2015-06-25 汽车空气滤清器
US16/839,498 US20200248659A1 (en) 2014-06-25 2020-04-03 Air cleaner for vehicle
US16/839,421 US20200232426A1 (en) 2014-06-25 2020-04-03 Air cleaner for vehicle
US16/839,358 US11339752B2 (en) 2014-06-25 2020-04-03 Air clea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41 2014-06-20
KR10-2014-0078352 2014-06-20
KR1020140078348A KR101562869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2014-0078348 2014-06-25
KR20140078341 2014-06-25
KR1020140078355A KR101562872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2014-0078355 2014-06-25
KR10-2014-0078344 2014-06-25
KR20140078352 2014-06-25
KR1020140078344A KR101567778B1 (ko) 2014-06-25 2014-06-25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2015-0062503 2015-05-04
KR1020150062503A KR101663177B1 (ko) 2015-05-04 2015-05-04 탄화수소 포집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321,869 A-371-Of-International US10641215B2 (en) 2014-06-20 2015-06-25 Air cleaner for vehicle
US16/839,358 Division US11339752B2 (en) 2014-06-25 2020-04-03 Air cleaner for vehicle
US16/839,498 Division US20200248659A1 (en) 2014-06-25 2020-04-03 Air cleaner for vehicle
US16/839,421 Division US20200232426A1 (en) 2014-06-25 2020-04-03 Air clean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475A1 true WO2015199475A1 (ko) 2015-12-30

Family

ID=5493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517 WO2015199475A1 (ko) 2014-06-20 2015-06-25 차량용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641215B2 (ko)
EP (1) EP3163066A4 (ko)
CN (1) CN106662048A (ko)
WO (1) WO20151994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7769A (zh) * 2017-01-12 2018-08-28 丰田纺织株式会社 用于内燃机的空气滤清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7385A1 (en) * 2019-03-15 2020-09-24 Volvo Truck Corporation An air cleaner housing for a vehicle
IT201900022800A1 (it) * 2019-12-03 2021-06-03 Bmc Srl Dispositivo filtrante per l'aria aspirata da un motore di una automobile ed automobile provvista del dispositivo filtrante
KR20210150754A (ko) * 2020-06-04 2021-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클리너
CN112049741B (zh) * 2020-09-10 2021-11-02 燕山大学 一种超声强化辅助式低阻高效多级空气滤清器
CN112112747B (zh) * 2020-09-10 2021-10-22 蚌埠市浩宇滤清器有限公司 一种汽车的滤清器
KR20230090089A (ko) * 2021-12-14 202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흡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63U (ja) * 1992-06-23 1994-01-21 豊田紡織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JP2003120445A (ja) * 2001-10-05 2003-04-23 Tokyo Roki Co Ltd エアクリーナ
JP2003214264A (ja) * 2002-01-22 2003-07-30 Nippon Soken Inc 蒸発燃料吸着装置
JP2007056878A (ja) * 2006-10-12 2007-03-08 Nippon Soken Inc 蒸発燃料吸着材
KR20070083883A (ko) * 2004-11-01 2007-08-24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증발 방출 필터
KR20140036768A (ko) * 2012-09-18 2014-03-26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통기저항 없는 탄화수소 트랩을 갖춘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5930C3 (de) * 1973-09-12 1978-08-17 Adam Opel Ag, 6090 Ruesselsheim Ansaugfilter mit Geräuschdämpfer für Brennkraftmaschinen
US5120334A (en) * 1991-05-23 1992-06-09 Ford Motor Company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906189A (en) * 1997-01-31 1999-05-25 Suzuki Motor Corporation Evaporative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90073B1 (en) * 1999-08-26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Evaporative emission storage canister with integral filter and vent solenoid
US6758885B2 (en) * 2002-02-07 2004-07-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creened carbon trap protection
US6692551B2 (en) * 2002-07-17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Air cleaner assembly and process
DE10306017A1 (de) 2003-02-13 2004-09-09 Siemens A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Kompensationseinstellung für ein Wirbelstromfeld
US7182802B2 (en) * 2003-03-19 2007-0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vaporative emissions filter
DE102005016393A1 (de) * 2005-04-09 2006-05-04 Daimlerchrysler Ag Luftfiltersystem
JP2007032409A (ja) * 2005-07-26 2007-02-08 Toyota Boshoku Corp エアクリーナ
JP4675269B2 (ja) * 2006-03-30 2011-04-2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気化燃料吸着装置
US7976619B2 (en) * 2007-11-09 2011-07-12 Mann & Hummel Gmbh Hydrocarbon adsorber with purge airflow channel
US10065481B2 (en) * 2009-08-14 2018-09-04 Freudenberg Filtration Technologies, L.P. Non-woven air exhauster and filter
US8485311B2 (en) * 2011-03-04 2013-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duct assembly for engine
DE102013203013A1 (de) * 2012-03-02 2013-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saugsystem mit einer Kohlenwasserstofffalle mit passiver Adsorption
US9121373B2 (en) * 2012-03-02 2015-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uction system including a passive-adsorption hydrocarbon trap
WO2014153333A1 (en) * 2013-03-18 2014-09-25 Enverid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cleaning cabin air in a transportation vehicle
JP2018071424A (ja) * 2016-10-28 2018-05-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筒形エアクリーナ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63U (ja) * 1992-06-23 1994-01-21 豊田紡織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JP2003120445A (ja) * 2001-10-05 2003-04-23 Tokyo Roki Co Ltd エアクリーナ
JP2003214264A (ja) * 2002-01-22 2003-07-30 Nippon Soken Inc 蒸発燃料吸着装置
KR20070083883A (ko) * 2004-11-01 2007-08-24 허니웰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증발 방출 필터
JP2007056878A (ja) * 2006-10-12 2007-03-08 Nippon Soken Inc 蒸発燃料吸着材
KR20140036768A (ko) * 2012-09-18 2014-03-26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통기저항 없는 탄화수소 트랩을 갖춘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163066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7769A (zh) * 2017-01-12 2018-08-28 丰田纺织株式会社 用于内燃机的空气滤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2425A1 (en) 2020-07-23
EP3163066A4 (en) 2018-05-02
US20200248659A1 (en) 2020-08-06
CN106662048A (zh) 2017-05-10
EP3163066A1 (en) 2017-05-03
US20200232426A1 (en) 2020-07-23
US20170138322A1 (en) 2017-05-18
US11339752B2 (en) 2022-05-24
US10641215B2 (en)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9475A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2562254B1 (ko) 원뿔형 공기 필터
WO2011010787A1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WO2019009458A1 (ko) 활성탄의 재생과 교체가 가능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US7472694B2 (en) Carbon canister with filter system
JP3589840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6475255B1 (en) Serviceable air filter/oil separator assembly
AU2016340619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2091369A2 (en) Humidification apparatus
WO201811091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3180414A1 (ko) 오일미스트 집진기
KR100813765B1 (ko) 에어클리너 하우징에 결합 되는 탄화 수소 트랩
WO2017222241A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0944025B1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에어펄스 타입 집진기
WO2018043900A1 (ko) 진공 펌프 및 그 어레이
KR100302468B1 (ko) 이동식 납연 제거장치
WO2022097900A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CN218780511U (zh) 一种通风管道内的降噪装置
CN220487697U (zh) 一种黑烟净化装置以及内燃机系统
CN212548673U (zh) 碳罐用端口式灰尘过滤器
CN116658336B (zh) 一种功能型通用空气滤清器
CN215566178U (zh) 一种高捕集效率的汽油机颗粒捕集器
KR102228376B1 (ko) 공냉식 가솔린 엔진용 에어 클리너 장치
CN112237398B (zh) 电动吸尘器
JP4005767B2 (ja) 集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110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2186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110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1105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