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3930A1 -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3930A1
WO2015083930A1 PCT/KR2014/009293 KR2014009293W WO2015083930A1 WO 2015083930 A1 WO2015083930 A1 WO 2015083930A1 KR 2014009293 W KR2014009293 W KR 2014009293W WO 2015083930 A1 WO2015083930 A1 WO 20150839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lding material
less
weight
resistance
arc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2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봉근
한일욱
김정길
이상철
이동렬
김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US15/034,32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79436B2/en
Priority to CN201480066680.5A priority patent/CN105792981B/zh
Priority to CA2929524A priority patent/CA2929524C/en
Publication of WO20150839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3930A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23K35/0266Rods, electrodes, wires flux-c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07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1Alumina or alu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2Selection of compositions of flux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xcored arc weld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 Oil sand was originally used to mean sand or sandstone containing crude oil, but is now a term used to refer to all rocks including sedimentary rocks containing crude oil existing in the oil layer.
  • the petroleum production method for extracting crude oil from the oil sands is a new petroleum production method replacing the crude oil extraction method in the conventional liquid oil field, and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 view of lowering production costs.
  • oil sands generally contain high levels of impurities in crude oil. Therefore, the process of removing such impurities in the crude oil acquisition process is essentially included.
  • the oil sand In order to extract crude oil from the collected oil sand, the oil sand is transported to a certain distance with a separator, and a separation pipe for separating the transported oil sand into impurities and crude oil is required.
  • the pipe serves to float and separate the crude oil and impurities (rock, gravel, sand, etc.) charged into the water while rotating with water.
  • Such pipes are not only required to have high strength, but also require impac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to withstand the impact of rocks and gravel, and have toughness to withstand external temperatures at -29 ° C.
  • pipes commonly used to collect oil sands include API X65 and X70, and in order to connect the pipes to each other in the field, a welding material capable of electric field welding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xcellent weldability, but also to provide a welding material capable of providing a welded joint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wear resistanc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weight, C: 0.1-0.75%, Si: 0.2-1.2%, Mn: 15-27%, Cr: 2-7%, S: 0.01% or less, P: 0.018% or less , TiO 2 : 4.3 ⁇ 15%, SiO 2 , ZrO 2 and Al 2 O 3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0.01 to 9%, residual impact Fe and other inevitable impurities containing fluxcore excellent flux score Provides arc welding materials.
  • a welding joint having excellent weldability,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wear resistance while being capable of electron fine welding, thereby providing a welding material which can be very preferably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pipes used in the oil sand industry. can do.
  • the present inventors provide the welding material which can provide the welding joint which has the outstanding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abrasion resistance so that it can apply suitably at the time of welding of the high manganese pipe for oil sand separation us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rude oil through oil sand.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recognizing that not only the weldability but also the above characteristics can be secured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alloy composition, and that the type of welding material preferable for the electric field welding is a fluxcored arc welding material.
  • the fluxcored arc weld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lloy composition described as follows includes both the metal strip which is the outer part of the welding wire and the flux filled therein.
  • Carbon (C) is the most powerful element existing as an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capable of securing the strength of the weld metal and securing the cryogenic impact toughness of the weld metal, and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 austenite is not form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ughness is lowered.
  • carbon dioxide gas may be generated during welding, which may cause defects in the weld joint, and carbides of MC, M 23 C 6, etc. may be combined with alloying elements such as Mn and Cr.
  • the content of C preferably has a range of 0.1 to 0.75% by weight.
  • Silicon (Si) is an element added for the deoxidation effect in the weld metal.
  • the content is less than 0.2% by weight, the deoxidation effect is insufficient and the fluidity of the weld metal may be reduced.
  • the content of Si exceeds 1.2% by weight, it causes segregation in the weld metal, thereby deteriorating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adversely affecting weld cracking sensitivity. Therefore, the content of Si preferably has a range of 0.2 to 1.2% by weight.
  • Manganese (Mn) is a main element that stably improves the work hardening and stably generates austenite even at low temperatures, and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weld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acts as a carbide generating element together with C, and acts as an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similarly to nickel. If the Mn content is less than 15% by weight, sufficient austenite is not produced,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when the Mn content exceeds 27% by weight, a large amount of fume is generated during welding. In addition, when plastic deformation, slip phenomenon occurs rather than tweep phenomenon, and wear resistance is deteriorated. Therefore, the content of M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27% by weight.
  • Chromium (Cr) is a ferrite stabilizing element, by adding Cr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content of the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 Cr serves as a key component in the formation of carbides, such as MC, M 23 C 6 .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Cr is added, a higher level of precipitation hardening can be obta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 of austenite stabilizing element may be lowe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d a predetermined amount of Cr.
  • Cr is a strong anti-oxidation element and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degree of oxid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oxidation atmosphere. When the Cr content is less than 2% by weight, carbide formation of MC, M 23 C 6, etc.
  • the content of Cr is preferably limited to 2 to 7% by weight or less.
  • Sulfur (S) is preferably an element as low as possible because it is an impurity element that promotes high temperature cracks when welding together with phosphorus.
  • the content of S is preferably controlled to 0.01% by weight or less.
  • Phosphorus (P) is preferably an element as low as possible because it is an impurity element that promotes high temperature cracking during welding.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racking at high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pper limit to 0.018% or less.
  • Titanium dioxide serves as a slag forming agent to solidify before the liquid weld metal is solidified to enable electron fine welding, thereby preventing the liquid weld metal from flowing down.
  • the TiO 2 is preferably added at 4.3% by weight or more.
  • the content of TiO 2 preferably has a range of 4.3 to 15% by weight.
  • the content of at least one of SiO 2 , ZrO 2 and Al 2 O 3 is less than 0.01% by weight, the slag coating and peelability and arc stability are poor, resulting in poor electric field welding workability and weld bead formation, and 9% by weight.
  • the amount of molten slag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viscosity of the slag is also increased, resulting in poor electric field weldability and bead shape.
  • the transfer of Si, Al, etc. to the weld metal increases, and the impact toughness is lowered. Therefore, the content of one or more of SiO 2 , ZrO 2 and Al 2 O 3 preferably has a range of 0.01 to 9% by weight.
  • the fluxcored arc welding materi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remaining Fe and other impurities inevitably contain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o the alloy composition described above, and the weldability basically required in the welding material by satisfying the alloy composition described above. Not only can secure the but also can provide a welded joint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n fine welding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pipe welding in the industrial field. On the other hand, the weld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further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by additionally including the alloying ele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 system.
  • N Nitrogen
  • the nitride when the nitride is combined with other alloying component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ear resistance can be obtained. The abov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when a small amount is added.
  • the content of N preferably has a range of 0.5% by weight or less.
  • Nickel (Ni) is an advantageous component for improving toughness at low temperatures by forming austenite by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the addition of Ni promotes the formation of austenite, thereby increasing the toughness of the welded joint, and has the advantage of suppressing brittle fracture of the welded joint having a high degree of curing.
  • the toughness is greatly improved, but the wear resistance is drastically lowered by increasing the stacking defect energy.
  • the content of Ni preferably has a range of 10% by weight or less.
  • V 5 wt% or less
  • Vanadium (V) is a component that is dissolved in steel and retards phase transformation rates of ferrite and bainite to facilitate martensite formation. In addition, it acts as a major element causing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ffect and precipitation strengthening. However, when the content is excessive, the effect is saturated, toughness and weld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as the cause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steel, the content of V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by weight or less. Do.
  • Niobium (Nb) is a component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welded joint through the precipitation strengthening effect. However, if the content is excessive, coarse precipitates are produced, and thus, rather, may reduce wear resistance, which may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of steel, so the Nb cont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by weight or less.
  • Molybdenum (Mo) is a component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welded joint through known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vanadium (V) acts as a major element causing precipitation hardening.
  • Mo cont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7% or less.
  • Tungsten is a component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welded joint through known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 the niobium (Nb), vanadium (V), molybdenum (Mo) similarly acts as a major element causing precipitation hardening.
  • W content preferably has a range of 6% or less.
  • Alkali metals such as K, Na, and Li lower the ionization potential of the arc during welding, thereby facilitating generation of the arc, and maintaining a stable arc during welding.
  • the K, Na and Li is preferably added at least 0.01% by weight.
  • the content exceeds 1.7% by weight, excessive welding fume may occur due to the high vapor pressure.
  • At least one of F and Ca 0.01 to 1.5% by weight
  • the fluorine (F) and potassium (Ca) react with hydrogen in a high temperature arc during welding to cause a dehydrogenation reaction, the fluorine (F) and potassium (Ca) effectively reduce the diffusive hydrogen,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 and Ca are preferably contained in 0.01% by weight or more in the welding wire.
  • the content of one or more of the F and Ca preferably has a range of 0.01 to 1.5% by weight.
  • the weld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secure electron welding and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of 27J or more at -29 ° C.
  • Comparative Examples 1 to 13 that do not satisfy the alloy composi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ow temperature impact toughness or wear resistance is lower tha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7 to 9 Poor or crack occurs in the welded joints o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lag is difficult to peel off.
  • Comparative Examples 10 to 13 welding itself was difficult due to unstable arc generation or excessive spatter generation, and thus, low-temperature impact toughness and wear resistance evaluation could not be perfor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C: 0.1~0.75%, Si: 0.2~1.2%, Mn: 15~27%, Cr: 2~7%, S: 0.01%이하, P: 0.018%이하, TiO2: 4.3~15%, SiO2, ZrO2 및 Al2O3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0.01~9%,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세 용접이 가능면서도 용접성, 저온 충격인성 및 내마모특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어 오일샌드 산업 분야 등에서 이용되는 파이프 제조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용접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유가 지속 추세에 따라 저비용의 석유 생산 방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대규모 원유 분리공정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오일샌드산업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오일샌드란 최초에는 원유를 함유한 모래 또는 사암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현재는 유층 중에 존재하는 원유를 함유한 퇴적암 등 모든 암석에 대한 지칭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러한 오일샌드에서 원유를 추출하는 석유 생산 방법은 종래의 액체 유전에서의 원유 추출방식을 대신하는 새로운 석유 생산 방법으로서, 생산 비용을 낮춘다는 측면에서 개발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일샌드의 경우 높은 수준의 불순물이 원유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원유 획득 과정에서 이러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채취한 오일샌드에서 원유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오일샌드를 분리장치가 있는 일정한 거리까지 수송하게 되며, 수송된 오일샌드를 불순물과 원유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파이프가 필요하다. 상기 파이프는 그 내부에 장입되는 원유와 불순물(바위, 자갈, 모래 등)을 물로 회전시키면서 원유를 부상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는 고강도가 필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내부의 바위나 자갈 등에 의한 충격을 견디기 위하여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요구되고, -29℃에서의 외부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충격인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특히 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물성이 떨어지는 용접이음부에서 더욱 요구된다. 이는, 모재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열처리나 압연 및 제어냉각 등으로 그 용도에 적합한 물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첨가되는 합금조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대의 내마모성 및 충격인성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용접이음부는 주로 용접재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될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해 내부조직이 주조 조직과 매우 유사해져 원하는 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한편, 현재 오일샌드를 채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는 API X65와 X70 등이 있는데, 이러한 파이프를 현장에서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전자세 용접이 가능한 용접재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용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저온 충격인성 및 내마모특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는 용접재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C: 0.1~0.75%, Si: 0.2~1.2%, Mn: 15~27%, Cr: 2~7%, S: 0.01%이하, P: 0.018%이하, TiO2: 4.3~15%, SiO2, ZrO2 및 Al2O3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0.01~9%,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세 용접이 가능면서도 용접성, 저온 충격인성 및 내마모특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어 오일샌드 산업 분야 등에서 이용되는 파이프 제조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용접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오일샌드를 통한 원유 획득과정 등에서 사용되는 오일샌드 분리용 고망간 파이프의 용접시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는 용접재료에 대해 연구하던 중, 합금조성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용접성뿐만 아니라 상기 특성들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과 전자세 용접에 바람직한 용접재료의 종류가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임을 인지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한편, 하기와 같이 설명되는 합금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는 용접 와이어의 외피 부분인 금속 스트립과 그 내부에 충진되는 플럭스를 모두 포함한다.
C: 0.1~0.75중량%
탄소(C)는 용접금속의 강도를 확보하고, 용접금속의 극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만, C의 함량이 0.1중량%미만일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가 형성되지 않아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C의 함량이 0.7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시 이산화탄소 가스 등이 발생하여 용접이음부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Mn, Cr 등의 합금원소와 결합하여 MC, M23C6 등의 카바이드를 생성하여 저온에서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C의 함량은 0.1~0.75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0.2~1.2중량%
실리콘(Si)은 용접금속내 탈산 효과를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탈산효과가 불충분하고 용접금속의 유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 Si의 함량이 1.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금속 내 편석 등을 유발하여 저온 충격인성을 저하시키고 용접균열감수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Si의 함량은 0.2~1.2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15~27중량%
망간(Mn)은 가공경화도를 높임과 동시에 저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오스테나이트를 생성시키는 주요 원소로서, 본 발명의 용접재료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성분이다. 또한, C과 함께 탄화물 생성원소로 작용함과 동시에, 니켈과 유사하게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Mn의 함량이 15중량%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오스테나이트가 생성되지 않아 저온 충격인성이 저하는 문제가 있으며, Mn의 함량이 27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용접시 다량의 흄(Fume)이 발생하고, 소성변형시 트윕현상이 아닌 슬립현상이 일어나 내마모 특성이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Mn의 함량은 15~27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2~7중량%
크롬(Cr)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Cr을 첨가함으로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함량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Cr은 MC, M23C6과 같은 탄화물 생성에 핵심적인 성분으로 작용한다. 즉, 일정량의 Cr이 첨가되면 보다 높은수준의 석출 경화도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함량을 낮추어도 되기 때문에, 일정량의 Cr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Cr은 강력한 내산화방지 원소로 외부의 산화분위기에 대응하는 대산화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상기 Cr의 함량이 2중량%미만인 경우에는 용접이음부에 MC, M23C6 등의 탄화물생성이 억제되어 내마모 특성이 낮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마모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Cr의 함량이 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동시에, 내마모 특성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Cr의 함량은 2~7중량%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1중량%이하
황(S)은 인과 함께 용접시 고온 균열(Crack)을 조장하는 불순 원소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도에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그 함량이 0.0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FeS 등의 저융점 화합물을 형성시켜 고온 균열(Crack)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균열 방지를 위하여 S의 함량은 0.01중량%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18중량%이하
인(P)은 용접시 고온 균열(Crack)을 조장하는 불순 원소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도에서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온에서의 균열 방지를 위하여그 상한을 0.018%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O2: 4.3~15중량%
이산화티타늄(TiO2)은 슬래그 형성제로서 전자세 용접이 가능하도록 액상의 용접금속이 응고되기 이전에 응고되어 액상의 용접금속이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상기 TiO2는 4.3중량% 이상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금속 내에 산화물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극저온 충격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TiO2의 함량은 4.3~15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SiO2, ZrO2 및 Al2O3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0.01~9중량%
SiO2, ZrO2 및 Al2O3 중 1종 이상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슬래그 도포 및 박리성과 아크 안정성이 열악해져 전자세 용접 작업성 및 용접비드 형성이 열악해지며, 9중량%를 초과하면 용융 슬래그의 양이 급속히 증대되고 슬래그의 점성도 증대되어 전자세 용접성과 비드형상이 열악해진다. 또한 Si, Al 등이 용착금속으로 이행되는 것이 증가하게 되어 충격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SiO2, ZrO2 및 Al2O3 중 1종 이상의 함량은 0.01~9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는 전술한 합금조성 외에 잔부 Fe와 기타 제조공정상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함으로써 용접재료에 있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용접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세 용접이 가능하여 산업현장에서 파이프 용접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용접재료는 전술한 성분계에 더하여 하기 설명되는 합금원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N: 0.5중량%이하
질소(N)는 첨가시 내식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성분으로서, 탄소와 거의 유사한 물성을 가져오는 원소이다. 따라서, 상기 N은 탄소의 성분을 그대로 대체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합금성분과 결합하여 질화물을 생성하는 경우 내마모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효과는 소량을 첨가하는 경우라도 얻어질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인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상기 N의 함량은 0.5중량%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10중량%이하
니켈(Ni)은 고용강화에 의해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여 저온에서의 인성 향상에 유리한 성분이다. Ni를 첨가하게되면 오스테나이트의 생성을 촉진하여 용접이음부의 인성을 증가시켜, 경화도가 높은 용접이음부의 취성 파괴를 억제하는 장점이있다. 그러나,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성은 크게 향상되나, 적층결함에너지를 증가시켜 내마모 특성이 급격히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Ni는 가격이 높기 때문에 다량 첨가되는 경우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Ni의 함량은 10중량%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V: 5중량%이하
바나듐(V)은 철강에 고용되어,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상변태속도를 지연시켜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쉽게하는 성분이다. 또한, 고용강화효과 및 석출강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 그 효과가 포화되며, 인성 및 용접성 악화현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강재의 제조원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으로 상기 V의 함량은 5중량%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Nb: 5중량%이하
니오븀(Nb)는 석출강화효과를 통해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 조대한 석출물이 생성되므로, 오히려 내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강재의 제조원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상기 Nb 함량은 5중량%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7중량%이하
몰리브덴(Mo)은 기지의 고용강화를 통해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다. 아울러, 상기 니오븀(Nb), 바나듐(V)과 유사하게 석출경화를 일으키는 주요원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다만, Mo의 함량이 과도하면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인성 및 용접성 열화를 야기하고 강재의 제조원가를 현저히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Mo의 함량은 7%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W: 6중량%이하
텅스텐(W)은 기지의 고용강화를 통해 용접이음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다. 아울러, 상기 니오븀(Nb), 바나듐(V), 몰리브덴(Mo) 유사하게 석출경화를 일으키는 주요원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다만, W의 함량이 과도하면 그 효과가 포화되며, 인성 및 용접성 열화를 야기하고 강재의 제조원가를 현저히 증가시키게된다. 따라서, 상기 W의 함량은 6%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K, Na 및 Li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0.01~1.7중량%
상기 K, Na 및 Li와 같은 알카리 금속은 용접 중 아크의 이온화 포텐셜을 저하시켜 아크의 발생을 용이하게 해주며, 용접 중 안정된 아크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위하여, 상기 K, Na 및 Li은 0.01중량%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그 함량이 1.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증기압으로 인하여 용접흄(Fume)이 과다하게 발생할수 있다.
F 및 Ca 중 1종 이상: 0.01~1.5중량%
불소(F) 및 칼륨(Ca)은 용접 중 고온의 아크에서 수소와 반응하여 탈수소 반응을 일으키게 되므로 확산성 수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위해서 상기 F 및 Ca는 용접 와이어 내부에 0.01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높은 증기압의 특성으로 용접 흄(Fume)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TiO2가 주요 슬래그 성분인 루타일계에서 용융풀의 슬래그 점도를 과도하게 감소시켜 불안정한 비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F 및 Ca 중 1종 이상의 함량은 0.01~1.5중량%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용접재료는 전자세 용접이 가능면서도 우수한 용접성과 -29℃에서 27J이상의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STM(미국 재료 시험 협회)의 G65 규정에 따른 마모시험시 마모량이 2g이하로서 높은 내마모특성을 갖는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물성이 매우 중요시되는 오일샌드 산업 분야 등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합금조성을 갖는 플럭스코어드 와이어를 제조한 뒤, 상기 와이어를 이용하여 헤드필드계 강재를 용접하여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파이프의 용접이음부에 대하여 용접성, 저온 충격인성 및 내마모성을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용접성 평가는 크랙 또는 기공 발생여부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크랙 또는 기공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양호로 표현하였고, 기공 또는 크랙 등이 나타나거나 슬래그 박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 불량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상기 내마모성 평가는 ASTM(미국 재료 시험 협회)의 G65 규정에 따라 마모시험을 행한 뒤, 마모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오일 산업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PI-X70 강재의 마모량은 2.855g이다.
표 1
구분 합금조성(중량%)
C Mn Si Cr S P TiO2 SiO2+ZrO2+Al2O3
발명예1 0.25 23 0.5 3 0.01 0.01 6.8 0.01
발명예2 0.7 23 0.75 3 0.003 0.05 4.8 2
발명예3 0.1 15 0.2 3 0.01 0.012 15 6
발명예4 0.2 23 0.4 3 0.01 0.016 8.9 0.2
발명예5 0.1 25 0.5 3 0.01 0.012 12 8
발명예6 0.3 25 0.4 3 0.01 0.012 5.8 0.5
발명예7 0.3 25 0.2 3 0.01 0.012 5.8 0.5
발명예8 0.3 25 0.3 3 0.01 0.012 4.5 0.5
발명예9 0.3 23 0.4 3 0.01 0.01 6.3 1
발명예10 0.3 24 0.5 2 0.01 0.012 6.5 0.5
발명예11 0.3 22 0.2 7 0.01 0.01 4.5 0.5
비교예1 0.1 15 0.2 3 0.01 0.02 13 4
비교예2 0.1 23 0.4 3 0.01 0.01 16 6
비교예3 0.3 23 0.4 3 0.01 0.01 4.5 0.5
비교예4 0.3 25 0.4 3 0.01 0.01 4.5 0.5
비교예5 0.3 23 0.4 3 0.005 0.012 4.3 0.5
비교예6 0.3 25 0.5 3 0.005 0.012 6.5 0.5
비교예7 0.02 25 0.6 3 0.01 0.012 4.1 0.2
비교예8 1.2 22 1.5 3 0.015 0.025 4 0.2
비교예9 0.3 25 0.4 3 0.01 0.012 17 1
비교예10 0.3 25 0.4 3 0.01 0.012 8.9 10
비교예11 0.3 25 0.4 3 0.01 0.012 2 1
비교예12 0.3 25 0.4 3 0.01 0.012 7 1
비교예13 0.3 25 0.4 3 0.01 0.012 7 1
표 2
구분 합금조성(중량%) 물성
N Ni V Nb Mo W K+Na+Li F+Ca 용접성 충격인성(@-29℃) 마모량(g)
발명예1 - - - - - - 0.3 0.2 양호 29 1.34
발명예2 - - - - - - 0.01 0.01 양호 79 1.01
발명예3 - 10 - - - - 1 1.2 양호 85 1.78
발명예4 0.1 - - - - - 0.5 0.3 양호 32 1.23
발명예5 0.25 - - - - - 1.5 0.5 양호 43 1.32
발명예6 - - 4 - - - 0.2 0.2 양호 35 1.19
발명예7 - - - 4 - - 0.2 0.2 양호 34 1.12
발명예8 - - - - 7 - 0.1 0.1 양호 27 1.02
발명예9 - - - - - 4.5 0.3 0.3 양호 42 1.42
발명예10 - - - - - - 0.2 0.3 양호 29 1.35
발명예11 0.01 - - - - - 0.1 0.1 양호 35 0.92
비교예1 - 15 - - - - 1 0.6 양호 89 2.09
비교예2 - - - - - - 0.7 0.9 양호 18 0.82
비교예3 - - 6 - - - 0.1 0.1 양호 25 1.04
비교예4 - - - 6 - - 0.1 0.1 양호 21 1.01
비교예5 - - - - 8 - 0.1 0.1 양호 19 0.92
비교예6 - - - - - 7 0.2 0.3 양호 26 1.52
비교예7 0.5 - - - - - 0.1 0.1 불량(기공) - -
비교예8 - - - - - - 0.1 0.1 불량(크랙) - -
비교예9 - - - - - - 0.1 0.1 불량(박리) - -
비교예10 - - - - - - 0.1 0.1 용접 불가 - -
비교예11 - - - - - - 0.1 0.1 용접 불가 - -
비교예12 - - - - - - 0.1 1.7 용접 불가 - -
비교예13 - - - - - - 1.5 0.1 용접 불가 - -
상기 표 1 및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11의 경우에는 우수한 용접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29℃에서의 저온 충격인성이 27J이상으로서 매우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용접이음부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마모량이 2g이하로서 기존에 사용되던 API-X70 강재에 비하여 우수한 내마모성 또한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13의 경우에는 본 발명예들에 비하여 저온충격인성 또는 내마모성이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고, 특히 비교예 7 내지 9의 경우에는 용접성이 불량하여 용접이음부에서 기공 또는 크랙이 발생하거나 슬래그 박리가 곤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0 내지 13의 경우에는 불안정한 아크 발생이나 과도한 스패터 발생으로 인해 용접 자체가 곤란하였으며, 이로 인해 저온충격인성 및 내마모성 평가를 행할 수 없었다.

Claims (6)

  1. 중량%로, C: 0.1~0.75%, Si: 0.2~1.2%, Mn: 15~27%, Cr: 2~7%, S: 0.01%이하, P: 0.018%이하, TiO2: 4.3~15%, SiO2, ZrO2 및 Al2O3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0.01~9%,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재료는 N: 0.5%이하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재료는 Ni: 10%이하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재료는 V: 5%이하, Nb: 5%이하, Mo: 7%이하 및 W: 6%이하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재료는 K, Na 및 Li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0.01~1.7%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재료는 F 및 Ca 중 1종 이상: 0.01~1.5%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PCT/KR2014/009293 2013-12-06 2014-10-02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WO20150839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34,326 US10279436B2 (en) 2013-12-06 2014-10-02 Flux-cored arc welding material having remarkable impac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CN201480066680.5A CN105792981B (zh) 2013-12-06 2014-10-02 耐冲击性及耐磨性优异的药芯焊丝电弧焊接材料
CA2929524A CA2929524C (en) 2013-12-06 2014-10-02 Flux-cored arc welding material having remarkable impac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808 2013-12-06
KR1020130151808A KR20150066369A (ko) 2013-12-06 2013-12-06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3930A1 true WO2015083930A1 (ko) 2015-06-11

Family

ID=5327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293 WO2015083930A1 (ko) 2013-12-06 2014-10-02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9436B2 (ko)
KR (1) KR20150066369A (ko)
CN (1) CN105792981B (ko)
CA (1) CA2929524C (ko)
WO (1) WO2015083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2378B2 (en) * 2015-12-10 2019-04-09 Caterpillar Inc. Hybrid laser cladding composition and component therefrom
RU2018141292A (ru) 2016-05-02 2020-06-03 ЭкссонМобил Рисерч энд Энджиниринг Компани Технология сварки кольцевым швом в полевых условиях шламопроводов из высокомарганцовистой стали
US11130204B2 (en) 2016-05-02 2021-09-2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ield dissimilar metal welding technology for enhanced wear resistant high manganese steel
WO2018087812A1 (ja) * 2016-11-08 2018-05-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溶接継手の製造方法、及び溶接継手
US11426824B2 (en) 2017-09-29 2022-08-30 Lincoln Global, Inc. Aluminum-containing welding electrode
US11529697B2 (en) * 2017-09-29 2022-12-20 Lincoln Global, Inc.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luminum-containing wire
JP2019171457A (ja) * 2018-03-29 2019-10-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速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及び高速アーク溶接方法
CN109623202B (zh) * 2019-01-30 2020-12-18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高锰低温钢气体保护焊的实芯焊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477B1 (ko) * 2001-12-18 2003-12-18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용접용 메탈 코어드 와이어
JP4265604B2 (ja) * 2003-06-10 2009-05-2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鋼溶接継手
JP2009195980A (ja) * 2008-01-25 2009-09-03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材料および溶接継手構造体
KR100925608B1 (ko) * 2007-08-13 2009-11-06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95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용접이음부
KR20130003686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6663B2 (ja) 2001-07-06 2006-12-13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低熱膨張係数Fe−Ni合金用溶接ワイヤ
JP3934399B2 (ja) * 2001-11-05 2007-06-20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凝固結晶粒を微細にす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US8629374B2 (en) * 2005-04-05 2014-01-14 Lincoln Global, Inc. Modified flux system in cored electrode
JP5218200B2 (ja) 2009-03-26 2013-06-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接金属および溶接材料
KR101271866B1 (ko) 2011-03-31 2013-06-07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금속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477B1 (ko) * 2001-12-18 2003-12-18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용접용 메탈 코어드 와이어
JP4265604B2 (ja) * 2003-06-10 2009-05-2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鋼溶接継手
KR100925608B1 (ko) * 2007-08-13 2009-11-06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95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용접이음부
JP2009195980A (ja) * 2008-01-25 2009-09-03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材料および溶接継手構造体
KR20130003686A (ko) * 2011-06-30 2013-01-09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79436B2 (en) 2019-05-07
KR20150066369A (ko) 2015-06-16
CN105792981A (zh) 2016-07-20
US20160279742A1 (en) 2016-09-29
CA2929524A1 (en) 2015-06-11
CN105792981B (zh) 2019-05-28
CA2929524C (en)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3930A1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플럭스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WO2015083928A1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아크용접 및 가스금속아크용접용 용접재료
JP4502012B2 (ja) ラインパイプ用継目無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947571C (en) A submerged and gas metal arc welding material
CN102260827B (zh) 一种钻铤钢的制备方法
CN107312937B (zh) 一种耐高温浓硫酸用高硅不锈钢制造方法及其设备
JP5792050B2 (ja) 低温用鋼の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
CN111975245B (zh) 免涂装耐候钢桥用抗拉强度650MPa级埋弧自动焊焊丝及盘条
WO2015083931A1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CA2644892C (en) Steel plate for submerged arc welding
CN108907494B (zh) 核电ag728钢焊条及制备方法
CN108436322B (zh) 一种桥梁钢用高强高韧铁粉型药芯焊丝及其应用
WO2014030454A1 (ja) 低水素系被覆アーク溶接棒
WO2015099218A1 (ko) 내열강용 용접재료
CN110293332A (zh) 一种高强耐候、耐火钢焊接用碱性药芯焊丝
CN110802342A (zh) 一种高强耐候钢Q550NQR1、Q550qNH配套电焊条
CN102534422B (zh) 一种天然气输送管道用耐腐蚀钢管的制备方法
CN110184534B (zh) 一种100~150mm厚具有优异模焊处理后性能的特厚钢板及其生产方法
KR102322430B1 (ko) 내기공성 및 전착 도장성이 우수한 극 저 실리콘 용접용 와이어 및 이를 통하여 얻어지는 용착금속
JP6760758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ワイヤ
KR101568642B1 (ko)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아크용접 및 가스금속아크용접용 용접재료
CN103114248B (zh) 一种钻具用钢以及冶炼钻具用钢的方法
CN107598414A (zh) 一种耐海洋大气腐蚀钢用焊条
CN104439759A (zh) 一种焊接双相不锈钢的钛钙焊条
CN102441745A (zh) 一种用于高速列车转向架的耐候气体保护焊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73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929524

Country of ref document: C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3432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73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