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0456A1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0456A1
WO2015080456A1 PCT/KR2014/011402 KR2014011402W WO2015080456A1 WO 2015080456 A1 WO2015080456 A1 WO 2015080456A1 KR 2014011402 W KR2014011402 W KR 2014011402W WO 2015080456 A1 WO2015080456 A1 WO 20150804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block
adhesive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4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민기
윤성수
김수정
홍상현
윤정애
지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480052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593328B/zh
Priority to US15/022,357 priority patent/US10545367B2/en
Priority to EP14865741.4A priority patent/EP3075810B1/en
Priority to JP2016524518A priority patent/JP6253069B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660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40996B1/ko
Publication of WO20150804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0456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08G18/8029Masked arom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28Isocyanates; Thio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 optical member, 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CD device"), which is a typical large display device, typically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and an optical film containing a liquid crystal component injected between two transparent substrates. do.
  • an optical film there exists a polarizing film, retardation film, a brightness improving film, etc., and the adhesive for optical films is used in many cases, in order to laminate
  • the main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n optical film include cohesive force, adhesive force, reworkability, low light leakage property, stress relaxation property, and the like.
  •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hysical properties is proposed.
  • the above patent documents do not pay attention to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optical film.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839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171976
  • 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171977
  •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n adhesive composition, an optical member, 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 Exemplar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block copolymer.
  • block copolymer may refer to a copolymer including blocks of different polymerized monomers.
  • the block copolymer may include a first block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50 ° C. or more and a second block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 10 ° C. or less.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 predetermined block" of a block copolymer may mea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or calculated from a polymer formed only of monomers included in the block.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block may be, for example, 60 ° C or higher, 65 ° C or higher, or 70 ° C or higher.
  •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bloc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150 ° C, 140 ° C, 130 ° C or 120 ° C.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econd block may be, for example, -20 ° C or less, -30 ° C or less, -35 ° C or less, or -40 ° C or less.
  • the low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econd bloc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80 ° C, -70 ° C, -60 ° C, -55 ° C, or -50 ° C.
  • the block copolymer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blocks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above range may form an appropriate fine phase separation structur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ing the phase separation structure may have an appropriate level of cohesion and stress relaxation property. It has excellent durability, light leakage prevention and reworkability.
  • th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block in the block copolymer, can be controlled.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 n ) of the first block may be adjusted within a range of 2,500 to 100,000.
  • the term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block" may mean, for example,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 polymer produced by polymerizing only the monomer forming the first block.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meas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using, for example,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irst block may be about 5,000 to 75,000 or 10,000 to 50,000 in another example.
  • the first block has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Mw / Mn), that is, a ratio (Mw / Mn) of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1.0 to 2.0, 1.1 to 1.75, or 1.2 to 1.5. It may be within a range of degrees.
  • the block copolymer may hav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to 300,000.
  •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may be about 25,000 to 250,000, 50,000 to 200,000 or 75,000 to 180,000 in another example.
  • the block copolymer may have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 the range of about 1.0 to 2.5, 1.2 to 2.5 or 1.4 to 2.5.
  • the block copolymer may be a crosslinkable copoly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mean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reacting with at least the functional group of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described later as a functional group provided to the side chain, the terminal, or the like of the polymer.
  •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 glycidyl group, etc. can be illustrated.
  • a hydroxy group or a carboxyl group is used, and a hydroxy group may be suitabl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when included in the block copolymer,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be included in, for example, a block having a relatively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t is, a second block.
  •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not be included in the first block but may be included only in the second block.
  •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included in the second block having a relatively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form an adhesive that exhibits appropriate cohesion force and stress relaxation property and maintain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light leakage resistance, and reworkability. have.
  • the type of monomers forming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in the block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abov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secur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onomers.
  • the first block may comprise, for example, polymerized units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s.
  • “monomer is contained in a polymer or a block in a polymerized unit” may mean that the monomer forms a backbone, for example, a main chain or a side chain of the polymer or block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ion.
  •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an alkyl (meth) acrylate can be used, for example.
  •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can be used.
  •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 Such monomers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isobor Nil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or lauryl (meth) acrylate, etc. may be exemplifie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secured to one or more of the above. It can be selected to use.
  • a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such as alkyl methacrylate, for example,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can be used.
  • the second block may include, for example, 90 parts by weight to 99.9 parts by weight of polymerized units of alkyl (meth) acrylate and 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ed units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 the unit "parts by weight” may mean a ratio of weight between components.
  • the second block includes 90 parts by weight to 99.9 parts by weight of polymerized units of alkyl (meth) acrylate and 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ed units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 the ratio (A: B) based on the weight of the alkyl (meth) acrylate (A) and the copolymerizable monomer (B) which has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which forms the polymerized unit of is 90-99.9: 0.1-10 It may mean.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ch as adhesion and durability in the range of this weight ratio can be maintained excellent.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above-described range can be secured finally through copolymerization with the copolymerizable monomer among the monomers included in the first block.
  • kinds of monomers can be selected and used.
  • the alkyl (meth) acrylate forming the second block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ontrol and the like is, for example,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among the monomers described above.
  • Alkyl (meth) acrylate which has a C1-C12, C1-C8, or C1-C4 alkyl group can be used.
  • copolymerizable monomer which has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which forms a 2nd block it has a site
  • the compound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can be used.
  • Copolymerizable monomers having such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s are variously known in the field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all of these monomers may be used in the polymer.
  • a copolymerizable monomer which has a hydroxyl group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 Hydroxyalkyl (meth) acrylates such as hexyl (meth) acrylate or 8-hydroxyoctyl (meth) acrylate, or 2-hydr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or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 Hydroxy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such as an acrylate, etc.
  • first block and / or the second block may further include any other comonomer if necessary, for example, for the control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he monomer may be included as a polymerization unit.
  • the monomer may be included as a polymerization unit.
  • it is (meth) acrylonitrile, (meth) acrylamide, N-methyl (meth) acrylamide, N-butoxy methyl (meth) acrylamide, N-vinyl pyrrolidone, or N-vinyl capro Nitrogen-containing monomers such as lactams and the like; Styrene-based monomers such as styrene or methyl styren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Or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Such comonomers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by selecting one or more kinds thereof as necessary. Such comonomers may be included in the block copolymer, for example, in a ratio of 20 parts by weight or less, or 0.1 to 1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the weight of other monomers in each block copolymer.
  • the block copolymer may include 1 part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block and 70 parts by weight to 99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block.
  • the ratio of the weight between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ratio of the weight between the blocks may be adjus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ratio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n adhesive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 the block copolymer may be, in another example, 5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block and 70 parts by weight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block, or 5 parts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block and 85 parts by weight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block. It may include parts by weight.
  • the block copolymer may be a diblock copolymer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that is, a block copolymer including only two block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 a diblock copolymer By using a diblock copolymer, the durability, stress relaxation property, and reworkability of an adhesive can be maintained more excellently.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lock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 the block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for example, LRP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for example, an organic rare earth metal complex may be us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n organic alkali metal compound may be us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 LRP 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 an organic rare earth metal complex may be us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 an organic alkali metal compound may be us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 ATRP Atomic radical polymerizat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poxy compound and an aziridine compound.
  • the compound may be, for example, a multifunctional compound. That is, in the above, the epoxy compound means a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glycidyl group, and the polyfunctional epoxy compound means a compound including at least two, for example, two to five glycidyl groups. Can be.
  • the aziridine compound means an aziridine or aziridine derivative
  • the polyfunctional aziridine compound may mean a compound including two, for example, two to five aziridine rings or aziridine derivative rings. Can be.
  • Such a compound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dhesiveness of an optical film, especially the optical film which a carboxyl group exists in the surface, and an adhesive layer as mentioned later.
  • the carboxy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may be a material included in the optical film itself, or artificially introduced by a method such as corona treatment.
  • epoxy compound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glycidyl ether,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N, N, N ', N'- tetraglycidyl ethylenediamine or glycerin di
  • glycidyl ether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glycidyl ether,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N, N, N ', N'- tetraglycidyl ethylenediamine or glycerin di
  • aziridine compound examples include N, N'-toluene-2,4-bis (1-aziridinecarboxamide), N, N'-diphenylmethane-4,4'-bis (1-aziridinecarboxamide), triethylenemelamine, bisisoprotaloyl-1- (2-methylaziridine) or tri-1-aziridinyl
  • phosphine oxide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such as phosphine oxid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poxy compound or the aziridine compound may be included, for example, in an amount of 0.001 to 10 parts by weight, 0.01 to 5 parts by weight, or 0.025 to 2.5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 this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carboxyl groups present on the surface of an optical film or the lik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 a crosslinking agent the compound which has at least 2 functional groups which can react with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of a block copolymer, for example, about 2-5, can be used.
  • the kind of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present in the block copolymer, and for example, a poly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 that is,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for example, two to The compound which has about five can be used.
  • isocyanate compound For example,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borone diisocyanate, tetramethyl xylene diisocyanate, or naphthalene diisocyanate, or the said A compound obtained by reacting a diisocyanate compound with a polyol can be used.
  • the polyol for example, trimethylol propane can be used.
  •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y be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01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0.01 parts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or 0.01 parts by weight to 1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 the ratio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degree of crosslinking, cohesion, adhesion and durability.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 a silane coupling agent for example, a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 beta-cyano group or an acetoacetyl group can be used.
  • Such a silane coupling agent can mak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med by a copolymer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for example, exhibit excellent adhesion and adhesion stability, and can also maintain excellent durability and the like in heat and moisture resistant conditions. .
  • silane coupling agent which has a beta-cyano group or an acetoacetyl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or (2) can be used, for example.
  • R 1 is a beta-cyanoacetyl group or a beta-cyanoacetylalkyl group
  • R 3 is an acetoacetyl group or acetoacetylalkyl group
  • R 2 is an alkoxy group
  • n is 1 to 3 Is the number of.
  • the 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and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have.
  • the alkoxy group may be an alkoxy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and the alkoxy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have.
  • N in Formula 1 or 2 may be, for example, 1 to 3, 1 to 2, or 1.
  •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2) include acetoacetylpropyl trimethoxy silane, acetoacetylpropyl triethoxy silane, beta-cyanoacetylpropyl trimethoxy silane, beta-cyanoacetylpropyl triethoxy silane, and the like. It may be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parts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or 0.01 parts by weight to 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and may effectively impart desired properties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in this rang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tackifier as necessary.
  • a tackifier for example, a hydrocarbon resin or a hydrogenated substance thereof, a rosin resin or a hydrogenated substance thereof, a rosin ester resin or a hydrogenated substance thereof, a terpene resin or a hydrogenated substance thereof, a terpene phenol resin or a hydrogenated substance thereof, a polymerized rosin resin or One kin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such as a polymerized rosin ester resin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ackifier may be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0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also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ring agents, ultraviolet stabilizers, antioxidants, colorants, reinforcing agents, fillers, antifoaming agents, surfactants and plasticizers, if desir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Representative applicati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pplication to optical films and the like. Application to the optical film in the above, for example, may mea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laminating the optical film to each other, or to attach the optical film or a laminate thereof to other parts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
  •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for example, for an adhesive optical memb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member may include an optical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 the kind of optical film that can be included in the adhesive optical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arizing plates, polarizers, polarizer protective films, protective films of optical films, retardation films,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s, brightness enhancement films, and the like.
  • polarizer and polarizer refer to object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polarizer refers to the film, sheet or device itself exhibiting a polarizing function, and the polarizing plate means an optical element including other elements together with the polarizer.
  •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layer may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carboxyl group may b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included in the optical memb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where the carboxyl group exists.
  • the carboxyl group may be naturally present on the surfac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optical film.
  • the carboxyl groups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may be artificially introduced by corona treatment. Accordingly, a corona treatment layer may be present between the optical film of the optical member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corona treatment layer.
  • Corona treatment is a treatment method of increasing wettability on a surface to be treated by high frequency electric discharge.
  • the corona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irradiating the surface to be treated with corona generated by applying a high frequency high voltage between two electrodes.
  •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may be introduced to the surface.
  • the method of performing corona treatm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general method in this field can be used without a restriction.
  •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polarizer; And it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 the kind of polarizer contained in a polarizing plat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 the polarizer is a functional film capable of extracting only light vibrating in one direction from incident light while vibrating in various directions.
  • a polarizer may be, for example, a for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 Polyvinyl alcohol-type resin which comprises a polarizer can be obtained by gelatinizing polyvinylacetate-type resin, for example.
  • the polyvinylacetate resin which can be used may include not only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but also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e above.
  • Examples of the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a mixture of one or two or more kinds of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but are not limited thereto. no.
  • the degree of gel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mol%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further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about 1,000 to 10,000 or about 1,500 to 5,000.
  • the polarizer is a step of stretching (ex. Uniaxial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s described above, a step of dye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with a dichroic dye, adsorbing the dichroic dye, and a dichroic dye adsorbed.
  •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produced through a process of treating with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and a process of washing with water after treating with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 the dichroic dy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may be used.
  •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in which ca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 the type of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a cellulose film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ster film such as polycarbonate film or PET (poly (ethylene terephthalet)); Polyether sulfone-based film; Or a film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of on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such as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or a polyolefin-based film produced using a resin having a cyclo or norbornene structure,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or the like.
  • a cellulose film such as TAC can be used.
  • a carboxyl group may exist in the surface of a protective film,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That is, in the polarizing plat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a carboxyl group exists on the surfa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having the carboxyl group.
  • such a carboxyl group may be one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included in itself, or may be introduced by corona treatment or the like. Accordingly, in the polarizing plat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a corona treatment layer may be present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corona treatment layer.
  • the method of forming a corona treatment layer in a protective film in the abov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 the polarizer may also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unctional lay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tective layers, reflective layers, antiglare layers, retardation plates, wide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s, and brightness enhancement films.
  • the method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polarizing plate or the optical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method of directly coating and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realize a crosslinked structure or releasing treatment of a release film After coating and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surface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such a method of transferring it may be used.
  • the method of co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method of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conventional means such as a bar coater may be used.
  • 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controlled from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functional group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ing a uniform coating process, whereby the crosslinking agent crosslinks in the curing and aging process after the coating operation.
  •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improved, and adhesive properties and cuttability may be improved.
  • the coating process is also preferably carried out after sufficiently removing the bubble-inducing components such as volatile components or reaction residue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o that the crosslinking density or molecular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too low to lower the elastic modulus, at a high temperature Bubbles existing between the glass plate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increased to prevent a problem of forming scatterers therein.
  •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an LCD device.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optical member or polarizing plate.
  • the display device is an LCD
  • the device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polarizing plate or the optical member attach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 the polarizing plate or the optical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by the adhesive described above.
  • liquid crystal panels applied to LCDs include passive matrix panels such as twisted nematic (TN) type, super twisted nematic (STN) type, ferroelectic (F) type, or polymer dispersed (PD) type; Active matrix panels, such as two-terminal or three-terminal; All known panels, such as an In Plane Switching (IPS) panel and a Vertical Alignment (VA) panel, can be applied.
  • passive matrix panels such as twisted nematic (TN) type, super twisted nematic (STN) type, ferroelectic (F) type, or polymer dispersed (PD) type
  • Active matrix panels such as two-terminal or three-terminal
  • All known panels such as an In Plane Switching (IPS) panel and a Vertical Alignment (VA) panel, can be applied.
  • IPS In Plane Switching
  • VA Vertical Alignment
  • types of upper and lower substrates such as color filter substrates or array substrates in LCD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figurations known in the art can be employed without limitat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excellent in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ating property and durability, and can also form a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can maintain the physical properties stably for a long tim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particular, can be applied to various optical films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hibiting excellent adhesion with the optical film, and when applied to a polarizing plate can effectively prevent the bending characteristics.
  •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PDI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the bending characteristic of the polarizing plate was measured in the following order.
  • the specimen is prepared to have a width of about 35 mm and a length of about 400 mm by lengthening the MD (machine direction)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coated with the coating liquid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Samples were prepared by attaching the specimen prepared in 2) to the center of the STN soda lime glasses prepared in 1) using a laminator.
  • the measured degree of warpage ( ⁇ W)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each block of the block copolymer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 Wn is a weight fraction of the monomer used in each block and the like, and Tn represent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at appears when the monomer used forms a homopolymer.
  • the right side of the above formula is the sum of the calculated values after calculating all the monomers (Wn / Tn) divided b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hen the monomer forms the homopolymer (Wn / Tn). to be.
  • MMA Conversion Rate (%) 100 ⁇ B / (A + B)
  • A is the area of the peak derived from the methyl group derived from the MMA contained in the polymer in the 1H-NMR spectrum (approximately 3.4 ppm to 3.7 ppm)
  • B is the peak derived from the methyl group of the unpolymerized MMA (3.7 ppm). Area). That is, the conversion rate of the monomer wa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hift position of the methyl group peak in the structure of the MMA.
  • the ratio of the 1st and 2nd block of a block copolymer is a following formula based on the ratio of methyl methacrylate (MMA) and butyl acrylate (BA) which are the main monomers used in forming a 1st block and a 2nd block. Calculated based on
  • % Content of MMA in block copolymer 100 x MMA peak area / BA peak area
  • the MMA peak area is the area value per 1 H proton of the 3.4 to 3.7 ppm peak in 1 H-NMR (a peak observed by -CH 3 derived from MMA), and the BA peak area is 3.8 to 4.2 ppm in 1 H-NMR. Area value per 1 H proton of the near peak (the peak observed by -OCH 2 -present in the polymer formed by BA).
  •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lative values of the -CH 3 peak of the MMA structure and the -OCH 2 -peak of the polymer formed from BA.
  • EBiB ethyl 2-bromoisobutyrate
  • MMA methyl methacrylate
  • EAc ethyl acetate
  • the flask containing the mixture was sealed with a rubber membrane, purged with nitrogen at about 25 ° C. for about 30 minutes, and dissolved oxygen was removed by bubbling. Thereafter, 0.002 g of CuBr 2 , 0.005 g of tris (2-pyridylmethyl) amine) and 0.017 g of V-65 (2,2'-azobis (2,4-dimethyl valeronitrile)) were added to the deoxygenated mixture.
  • the reaction was started by immersing in a reactor at about 67 ° C. (polymerization of the first block).
  • a mixture of 155 g of butyl acrylate (BA), 0.8 g of hydroxybutyl acrylate (HBA) and 250 g of ethyl acetate (EAc) previously bubbled with nitrogen at a time when the conversion rate of methyl methacrylate is about 75% was added in the presence of nitrogen.
  • 0.006 g of CuBr 2 , 0.012 g of TPMA, and 0.05 g of V-65 were added to the reaction flask, and a chain extension reaction was performed (polymerization of the second block).
  • the block copolymer (A1) is prepared by exposing the reaction mixture to oxygen and terminating the reaction by diluting in a suitable solvent (in the process, V-65 has a half-life thereof).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it was appropriately divided until the end of the reaction.
  • MMA methyl methacrylate
  • n-butyl acrylate 87.3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and 2.7 parts by weight of 4-hydroxybutyl acrylate
  • n-dodecyl mercaptan was added in an amount of 200 ppm as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and then 12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was added as a solvent.
  • a crosslinking agent (Coronate L, manufactured by Japan NPU), 0.05 part by weight of an epoxy compound (T-746L, manufactured by Soken Company), and DBTDL (Dibutylti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lock copolymer (A1)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 dilaurate 0.1 parts by weight and 0.2 parts by weigh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 ⁇ -cyanoacetyl group was mixed, and ethyl acetate was added as a solvent to adjust the coating solid content to about 25% by weight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adhesive composition).
  • the prepared coating solution was coated on a release treated surface of release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MRF-38, manufactured by Mitsubishi) having a thickness of 38 ⁇ m, which was release-treated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was about 23 ⁇ m. And held for about 3 minutes.
  • release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 MRF-38 poly (ethylene terephthalate)
  • TAC triacetyl cellulose
  • PVA polyvinyl alcohol-based polarizing film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ating liqui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nents and the ratio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ating liquid) were adjusted as shown in Table 4 be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코팅성 및 내구 신뢰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물성이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특히 다양한 광학 필름에 적용되어 상기 광학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고 편광판에 적용될 경우 휨 특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는 다양한 광학 필름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대스플레이 장치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 「LCD 장치」)는, 통상적으로 2장의 투명 기판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 성분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과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 등이 있고, 이러한 광학 필름간의 적층이나,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 등의 피착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광학 필름용 점착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주요 물성은 응집력, 점착력, 재작업성, 저빛샘 특성 및 응력 완화성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서는 상기와 같은 물성을 달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들에서는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간의 밀착성에 관해서는 주목하고 있지 않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39호
특허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1976호
특허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1977호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점착제 조성물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블록 공중합체」라 함은, 서로 상이한 중합된 단량체들의 블록들(blocks of different polymerized monomers)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지칭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인 제 1 블록 및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인 제 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소정 블록의 유리전이온도」라 함은, 그 블록에 포함되는 단량체들만으로 형성된 중합체로부터 측정되거나 계산되는 유리전이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블록의 유리전이온도는, 예를 들면, 60℃ 이상, 65℃ 이상 또는 70℃ 이상일 수도 있다. 제 1 블록의 유리전이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50℃, 140℃, 130℃ 또는 120℃ 정도일 수 있다. 제 2 블록의 유리전이온도는, 예를 들면, -20℃ 이하, -30℃ 이하, -35℃ 이하 또는 -40℃ 이하일 수도 있다. 제 2 블록의 유리전이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80℃, -70℃, -60℃, -55℃ 또는 -50℃ 정도일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제 1 및 제 2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는 점착제 내에서 적절한 미세 상분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상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적정 수준의 응집력과 응력 완화성을 가지며, 내구 신뢰성, 빛샘 방지 특성 및 재작업성 등이 우수하다.
블록 공중합체에서 제 1 블록, 즉 유리전이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블록의 분자량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블록의 수평균분자량(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이 2,500 내지 100,000의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제 1 블록의 수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제 1 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단량체만을 중합시켜 제조되는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수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 1 블록의 수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는 5,000 내지 75,000 또는 10,000 내지 50,000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은 분자량 분포(PDI; Mw/Mn), 즉 중량평균분자량(Mw)과 수평균분자량(Mn)의 비율(Mw/Mn)이 1.0 내지 2.0, 1.1 내지 1.75 또는 1.2 내지 1.5 정도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블록, 즉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블록의 분자량의 특성을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하여 우수한 물성의 점착제 조성물 또는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10,000 내지 300,000의 수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는 25,000 내지 250,000, 50,000 내지 200,000 또는 75,000 내지 180,000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는 1.0 내지 2.5, 1.2 내지 2.5 또는 1.4 내지 2.5 정도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분자량 특성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에 의해서 우수한 물성의 점착제 조성물 또는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가교성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교성 관능기」라 함은, 중합체의 측쇄 또는 말단 등에 제공되어 있는 관능기로서 적어도 후술하는 다관능성 가교제의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의미할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로는,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글리시딜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교성 관능기로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복실기가 사용되고, 본 출원에서는 적절하게 히드록시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 공중합체에 가교성 관능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블록, 즉 제 2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가교성 관능기는 제 1 블록에는 포함되지 않고, 제 2 블록에만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를 유리전이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 2 블록에 포함시키면, 적절한 응집력과 응력 완화성을 나타내어서 내구 신뢰성, 빛샘 방지 특성 및 재작업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에서 제 1 블록과 제 2 블록을 형성하는 단량체의 종류는 각 단량체의 조합에 의해 상기와 같은 유리전이온도가 확보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블록은,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가 중합된 단위로 중합체 또는 블록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그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그 중합체 또는 블록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성의 조절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확보되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 조절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제 1 블록을 형성하는 단량체로는 상기 단량체 중에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예를 들면, 탄소수가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블록은,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 90 중량부 내지 99.9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중합 단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블록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 90 중량부 내지 99.9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중합 단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제 2 블록의 중합된 단위를 형성하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A)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B)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A:B)이 90 내지 99.9:0.1 내지 10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 비율의 범위에서 점착제의 물성, 예를 들면 접착력과 내구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 2 블록을 형성하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제 1 블록에 포함될 수 있는 단량체 중에서 상기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 등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기술한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확보할 수 있는 종류의 단량체를 선택 및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전이온도 조절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제 2 블록을 형성하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상기 기술한 단량체 중에서 예를 들면, 탄소수가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블록을 형성하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이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다른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는 부위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의 제조 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량체는 모두 상기 중합체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카복실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블록 및/또는 제 2 블록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의 조절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다른 임의의 공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량체는 중합 단위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스티렌 또는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공단량체들은 필요에 따라 적정한 종류가 일종 또는 이종 이상 선택되어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단량체는, 예를 들면 각각의 블록 공중합체 내에서 다른 단량체의 중량 대비 20 중량부 이하, 또는 0.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제 1 블록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제 2 블록 7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블록과 제 2 블록간의 중량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블록간 중량의 비율을 상기 비율과 같이 조절하여, 우수한 물성의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제 1 블록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제 2 블록 7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또는 상기 제 1 블록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및 제 2 블록 8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으로 되는 디블록 공중합체(diblock copolymer), 즉 상기 제 1 및 제 2 블록의 2개의 블록만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디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의 내구 신뢰성, 응력 완화성 및 재작업성 등을 보다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LRP(Living Radical Polymerization) 방식으로 중합할 있고, 그 예로는 유기 희토류 금속 복합체를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거나,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 등의 무기산염의 존재 하에 합성하는 음이온 중합, 유기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하여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 하에 합성하는 음이온 중합 방법, 중합 제어제로서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제를 이용하는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 중합 제어제로서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제를 이용하되 전자를 발생시키는 유기 또는 무기 환원제 하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ARGET(Activators Regenerated by Electron Transfer)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 ICAR(Initiators for continuous activator regeneration)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법(ATRP), 무기 환원제 가역 부가-개열 연쇄 이동제를 이용하는 가역 부가-개열 연쇄 이동에 의한 중합법(RAFT) 또는 유기 텔루륨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 중에서 적절한 방법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과 아지리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면 다관능성 화합물일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에폭시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글리시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은, 적어도 2개, 예를 들면, 2개 내지 5개의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 화합물은, 아지리딘 또는 아지리딘 유도체를 의미하고, 다관능성 아지리딘 화합물은, 2개, 예를 들면, 2개 내지 5개의 아지리딘 고리 또는 아지리딘 유도체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학 필름, 특히 표면에 카복실기가 존재하는 광학 필름과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의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상기에서 광학 필름 표면의 카복실기는 재료상 광학 필름이 자체적으로 포함하는 것이거나, 혹은 코로나 처리 등의 방식으로 인위적으로 도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지리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아지리딘 화합물은, 예를 들면,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0.02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학 필름 등의 표면에 존재하는 카복실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블록 공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적어도 2개, 예를 들면, 2개 내지 5개 정도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관능성 가교제의 종류는 블록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즉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예를 들면, 2개 내지 5개 정도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또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폴리올과 반응시킨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롤 프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가교제는, 예를 들면,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목적하는 가교도, 응집력, 점착력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베타-시아노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란 커플링제는, 예를 들면 분자량이 낮은 공중합체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가 우수한 밀착성 및 접착 안정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내열 및 내습열 조건에서의 내구 신뢰성 등이 우수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베타-시아노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R1)nSi(R2)(4-n)
[화학식 2]
(R3)nSi(R2) (4-n)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은, 베타-시아노아세틸기 또는 베타-시아노아세틸알킬기이고, R3은 아세토아세틸기 또는 아세토아세틸알킬기이며, R2는 알콕시기이고, n은 1 내지 3의 수이다.
화학식 1 또는 2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고, 이러한 알킬기는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일 수 있다.
화학식 1 또는 2에서,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일 수 있고, 이러한 알콕시기는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n은, 예를 들면 1 내지 3, 1 내지 2 또는 1일 수 있다.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베타-시아노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베타-시아노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 조성물 내에서 실란 커플링제는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목적하는 물성을 효과적으로 점착제에 부여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점착성 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점착성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히드로카본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에스테르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페놀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중합 로진 수지 또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성 부여제는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필요한 경우,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용도로는 광학 필름 등으로의 적용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광학 필름으로의 적용은, 예를 들면, 광학 필름끼리를 서로 적층하거나, 혹은 광학 필름 또는 그 적층체를 액정 패널 등의 다른 부품에 부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예를 들면, 점착형 광학 부재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점착형 광학 부재는,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점착제층은, 상기 기술한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면, 가교 구조가 구현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형 광학 부재에 포함될 수 있는 광학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편광판, 편광자, 편광자 보호 필름, 광학 필름의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편광자와 편광판은 서로 구별되는 대상을 지칭한다. 즉, 편광자는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 그 자체를 지칭하고,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함께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와 함께 광학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요소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학 부재에 포함되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는 카복실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점착제층이 상기 카복실기가 존재하는 표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점착제층에 존재하는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아지리딘 화합물과 상기 카복실기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양자 간의 밀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카복실기는 광학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는 표면에 자연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광학 필름 표면의 카복실기는 코로나 처리에 의해 인위적으로 도입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부재의 광학 필름과 점착제층의 사이에 코로나 처리층이 존재하고, 점착제층이 상기 코로나 처리층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코로나 처리는 고주파수의 전기 방전에 의해 피처리 표면에 젖음성(wettability)을 증가시키는 처리 방법이고, 예를 들면, 2개의 전극 사이에 고주파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발생한 코로나를 피처리 표면에 조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표면에 히드록시기 또는 카복실기 등의 관능기가 도입될 수 있다. 코로나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형 편광판에 대한 것이다. 상기에서 점착제층은, 상기 기술한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면, 가교 구조가 구현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등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종류를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이다. 이와 같은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겔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독 중합체는 물론, 비닐 아세테이트 및 상기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에는, 불포화 카르본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겔화도는, 통상 85몰% 내지 100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추가로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 또는 1,500 내지 5,000 정도일 수 있다.
편광자는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연신(ex.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boric acid)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iodine)나 이색성의 유기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은, 또한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TAC(Triacetyl cellulose)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수지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의 일층 또는 이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AC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보호 필름이 존재하는 구조에서 보호 필름의 표면에 카복실기가 존재하고, 그 표면에 점착제층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편광판에서 편광자와 점착제층의 사이에는 표면에 카복실기가 존재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존재하고, 점착제층은 상기 카복실기가 존재하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카복실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재의 특성상 보호 필름이 자체적으로 포함하는 것이거나, 혹은 코로나 처리 등에 의해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편광판에서는 편광자와 점착제층의 사이에는 표면에 코로나 처리층이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존재하고, 점착제층은 상기 코로나 처리층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보호 필름에 코로나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판은 또한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편광판 또는 광학 부재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혹은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시켜서 가교 구조를 형성시킨 후에 이를 전사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 코터(bar coater) 등의 통상의 수단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코팅 과정에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다관능성 가교제는 작용기의 가교 반응이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균일한 코팅 공정의 수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가교제가 코팅 작업 후의 경화 및 숙성 과정에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점착 물성 및 절단성(cuttability)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 과정은 또한, 점착제 조성물 내부의 휘발 성분 또는 반응 잔류물과 같은 기포 유발 성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점착제의 가교 밀도 또는 분자량 등이 지나치게 낮아 탄성률이 떨어지고, 고온 상태에서 유리판 및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들이 커져 내부에서 산란체를 형성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LCD 장치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언급한 광학 부재 또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LCD인 경우에 상기 장치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상기 편광판 또는 광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또는 광학 부재는 상기 기술한 점착제에 의해 액정 패널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LCD에 적용되는 액정 패널로는,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구성, 예를 들면, LCD에서의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과 같은 상하부 기판 등의 종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코팅성 및 내구 신뢰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물성이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특히 다양한 광학 필름에 적용되어 상기 광학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고 편광판에 적용될 경우 휨 특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분자량 평가
수평균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PDI)는 GPC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으며, 검량선의 제작에는 Agilent system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환산하였다.
<측정 조건>
측정기: Agilent GPC (Agilent 1200 series, U.S.)
컬럼: PL Mixed B 2개 연결
컬럼 온도: 40℃
용리액: THF(Tetrahydrofuran)
유속: 1.0mL/min
농도: ~ 1mg/mL (100μL injection)
2. 코팅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MRF-38, 미쯔비시제)의 이형 처리면에 코팅하는 과정에서의 코팅성은 코팅층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코팅층에 기포 및 줄 무늬 등이 육안에 의해 확인되지 않음
B: 코팅층에 기포 및/또는 줄 무늬 등이 육안으로 미세하게 관찰됨
C: 코팅층에 기포 및/또는 줄 무늬가 육안으로 현저하게 관찰됨
3. 계면밀착력 평가
계면밀착력 평가는 다음의 순서로 평가하였다.
<계면밀착력 평가 순서>
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을 7cm × 12cm(가로×세로)의 크기로 재단한다.
2) 상기 재단된 편광판 중 점착제면에 부착된 이형 필름을 벗겨내고 벗겨낸 면에 점착제 박리를 측정하기 위한 테이프를 5cm × 10cm(가로×세로) 크기로 라미네이션시킨다.
3) 라미네이션 상태를 5분간 유지시킨 후, 상기 라미네이션된 테이프를 떼어낸 후 박리된 편광판의 점착제면에 잔류하는 점착제의 양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잔류하는 점착제의 양이 전체 점착제의 90% 이상인 경우
B: 잔류하는 점착제의 양이 전체 점착제의 50% 이상 내지 90% 미만인 경우
C: 잔류하는 점착제의 양이 전체 점착제의 50% 미만인 경우
4. 휨 특성의 평가
편광판의 휨 특성은 하기의 순서로 측정하였다.
<휨 특성 측정 순서>
1) 폭이 40㎜정도이고 길이가 410㎜정도이며 두께가 0.7mm인 STN 소다 라임 유리(soda lime glass)를 준비한 후, 이물이 없도록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편광판을 MD(machine direction) 방향을 길게하여 폭이 35㎜ 정도이고, 길이가 400㎜정도인 크기로 시편을 준비한다.
3) 1)에서 준비된 STN 소다 라임 유리들의 정중앙에 2)에서 준비된 시편을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샘플들을 제조한다.
4) 25℃의 내열 조건에서 상기 샘플들의 한쪽 편을 자석으로 고정시킨 뒤 고정시킨 반대 방향의 휨 정도를 기준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S0)로서 측정한다.
5) 초기 휨 정도를 측정한 후 60?의 내열 조건에서 72시간을 보관한다.
6) 이 후, 60℃의 내열 조건을 유지한 채, 챔버(chamber) 내에서 샘플들의 휨 정도를 4)와 같은 방식, 즉 한쪽 편을 자석으로 고정시킨 뒤 고정시킨 반대 방향의 휨 정도를 기준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S1)로서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휨 정도(△W)를 하기 수식으로 나타내어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수식>
△W = S1 - S0
<평가 기준>
A: △W ≤ 9㎜일 경우
B: △W ≤ 11㎜일 경우
C: △W > 11㎜일 경우
5. 유리전이온도의 산정
블록 공중합체의 각 블록 등의 유리전이온도(Tg)는 하기 수식에 따라서 산출하였다.
<수식>
1/Tg = ∑Wn/Tn
상기 수식에서 Wn은 각 블록 등에서 사용된 단량체의 중량 분율이고, Tn은 사용된 단량체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낸다.
즉, 상기 수식에서 우변은 사용된 단량체의 중량 분율을 그 단량체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나타내는 유리전이온도로 나눈 수치(Wn/Tn)를 단량체별로 모두 계산한 후에 계산된 수치를 합산한 결과이다.
6. 단량체의 전환율 및 조성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블록 공중합체에서 제 1 블록을 형성하는 주요 단량체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와 제 2 블록을 형성하는 주요 단량체인 부틸 아크릴레이트(BA)의 중합 과정에서의 전환율 및 블록 공중합체 내에서의 조성 함량은 1H-NMR의 결과에 따라서 이하의 수식으로 산출하였다.
<MMA의 전환율>
MMA 전환율(%) = 100 × B/(A+B)
상기에서 A는 1H-NMR 스펙트럼에서 중합체에 포함되어 있는 MMA로부터 유도된 메틸기로부터 유래하는 피크(3.4ppm 내지 3.7ppm 부근)의 면적이고, B는 중합되지 않은 MMA의 메틸기로부터 유래하는 피크(3.7 ppm 부근)의 면적이다. 즉, MMA의 구조에서 메틸기 피크의 이동 위치를 고려하여 단량체의 전환율을 산출하였다.
<BA의 전환율>
BA 전환율(%) = 100 × C/(C+D)
상기에서 D는 1H-NMR 스펙트럼에서 BA의 이중 결합 말단의 =CH2로부터 유래하는 피크(5.7ppm 내지 6.4ppm 부근)의 면적이고, C는 BA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중합체에 존재하는 -OCH2-로부터 유래하는 피크(3.8ppm 내지 4.2ppm 부근)의 면적이다. 즉, BA의 =CH2 피크와 중합체의 -OCH2- 피크의 상대값을 계산하여 BA의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조성비 산정>
블록 공중합체의 제 1 및 제 2 블록의 비율은,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을 형성하는 것에 사용한 주요 단량체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A)의 비율에 근거하여 하기 수식에 기초하여 산정하였다.
<수식>
블록 공중합체 내의 MMA의 함량(%) = 100 × MMA 피크 면적/BA 피크 면적
상기에서 MMA 피크 면적은 1H-NMR 내 3.4 내지 3.7ppm 부근 피크(MMA로부터 유래된 -CH3에 의해 관찰되는 피크)의 1H proton 당 면적값이고, BA 피크 면적은 1H-NMR 내 3.8 내지 4.2ppm 부근 피크(BA에 의해 형성되는 중합체에 존재하는 -OCH2-에 의해 관찰되는 피크)의 1H proton 당 면적값이다.
즉, 제 1 및 제 2 블록의 중량비는 MMA 구조의 -CH3 피크와 BA로부터 형성된 중합체의 -OCH2- 피크의 상대 값을 계산하여 산정하였다.
제조예 1. 블록 공중합체(A1)의 제조
EBiB(ethyl 2-bromoisobutyrate) 0.1 g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14.2 g을 에틸 아세테이트(EAc) 6.2 g에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담긴 플라스크를 고무막으로 밀봉하고, 약 25℃에서 약 30 분 동안 질소 퍼징 및 교반을 하고, 버블링을 통해 용존 산소를 제거하였다. 그 후, CuBr2 0.002 g, TPMA(tris(2-pyridylmethyl)amine) 0.005 g 및 V-65 (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0.017 g을 산소가 제거된 상기 혼합물에 투입하고, 약 67℃의 반응조에 담구어서 반응을 개시시켰다(제1블록의 중합).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전환율이 약 75% 정도인 시점에서 미리 질소로 버블링하여 둔 부틸 아크릴레이트(BA) 155 g,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0.8 g 및 에틸 아세테이트(EAc) 250 g의 혼합물을 질소의 존재 하에서 투입하였다. 그 후, 반응 플라스크에 CuBr2 0.006 g, TPMA 0.012 g 및 V-65 0.05 g을 넣고, 사슬연장 반응(chain extention reaction)을 수행하였다(제2블록의 중합). 단량체(BA)의 전환율이 80%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반응 혼합물을 산소에 노출시키고, 적절한 용매에 희석하여 반응을 종결시킴으로써 블록 공중합체(A1)를 제조하였다(상기 과정에서 V-65는 그 반감기를 고려하여 반응 종료 시점까지 적절하게 분할하여 투입하였다.).
제조예 2 내지 5. 블록 공중합체(A2 내지 A3 및 B1 내지 B2)의 제조
제 1 블록의 중합 시에 사용된 원료 및 첨가제 등의 종류를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고, 제 2 블록의 중합 시에 사용된 원료 및 첨가제 등의 종류를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1
구분 원료 EBiB EA CuBr2 TPMA V-65
MMA BMA HPMA
블록공중합체 A1 14.2 - - 0.1 6.2 0.002 0.005 0.017
A2 11.2 2.8 - 0.08 6.1 0.002 0.005 0.016
A3 9.4 6.3 - 0.07 6.8 0.002 0.005 0.016
B1 11.6 2.4 0.4 0.08 6.2 0.002 0.005 0.016
B2 5.8 - - 0.1 2.5 0.001 0.002 0.007
함량 단위: g MMA: methyl methacr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110℃) BMA: butyl methacrylate(단독 중합체 Tg: 약 27℃) HPMA: 2-hydroxypropyl methac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26℃) EBiB: ethyl 2-bromoisobutyrate EA: Ethyl acetate TPMA: tris(2-pyridylmethyl)amine V-65: 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표 2
구분 원료 EA CuBr2 TPMA V-65
BA HBA
블록공중합체 A1 115 0.8 250 0.006 0.01 0.05
A2 151 4.7 250 0.006 0.01 0.05
A3 146 9.3 250 0.006 0.01 0.05
B1 156 - 250 0.006 0.01 0.05
B2 163 0.8 250 0.006 0.01 0.05
함량 단위: g BA: butyl acr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45℃) HBA: 4-hydroxybutyl ac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80℃) EA: Ethyl acetate TPMA: tris(2-pyridylmethyl)amine V-65: 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각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3
구분 블록 공중합체
A1 A2 A3 B1 B2
제1블록 MMA 비율 100 80 60 81 100
BMA 비율 0 20 40 16 0
HPMA 비율 0 0 0 3 0
Tg(℃) 110 90 72 90 110
Mn(×10000) 1.9 2.3 2.9 2.3 0.8
PDI 1.27 1.34 1.38 1.36 1.18
제2블록 BA 비율 99.5 97.0 94.0 100.0 99.5
HBA 비율 0.5 3.0 6.0 0.0 0.5
Tg(℃) -47 -46.2 -47.5 -45 -47.0
블록공중합체 Mn(×10000) 10.6 12.3 14.1 12.4 10.1
PDI 1.7 1.8 2.1 1.8 1.6
제1블록:제2블록(중량비) 10.5:89.5 10.1:89.9 11.2:88.8 10.1:89.9 4.2:95.8
단량체 비율 단위: 중량부 MMA: methyl methacr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110℃) BMA: butyl methacrylate(단독 중합체 Tg: 약 27℃) HPMA: 2-hydroxypropyl methac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26℃) BA: butyl acr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45℃) HBA: 4-hydroxybutyl acylate (단독 중합체 Tg: 약 -80℃) Tg: 유리전이온도 Mn: 수평균분자량 PDI: 분자량 분포
제조예 6. 랜덤 공중합체(C1)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10 중량부, n-부틸 아크릴레이트 87.3 중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2.7 중량부를 투입하고, 분자량 조절제로서 n-도데실 메르캅탄을 200ppm의 양으로 첨가한 후 용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12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산소 제거를 위해서 질소 가스를 약 60분간 퍼징하고, 온도를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0.05 중량부를 투입하고, 약 8 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랜덤 공중합체(B4)의 수평균분자량(Mn)은 약 132000이었으며, 분자량 분포(PDI)는 약 4.6이었다.
실시예 1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A1)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Coronate L, 일본 NPU제) 0.1 중량부, 에폭시 화합물(T-746L, 소켄사(제)) 0.05 중량부, DBTDL(Dibutyltin dilaurate) 0.1 중량부 및 β-시아노아세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 0.2 중량부를 혼합하고, 용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배합하여 코팅 고형분이 약 2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편광판의 제조
제조된 코팅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3㎛ 정도가 되도록 이형 처리된 두께 38㎛의 이형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MRF-38, 미쯔비시제)의 이형 처리면에 코팅하고, 110℃의 오븐에서 약 3분 동안 유지하였다. 건조 후에 편면에 WV(Wide View) 액정층이 코팅된 편광판(TAC/PVA/TAC의 적층 구조: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PVA=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의 WV 액정층에 상기 이형 PET상에 형성된 코팅층을 라미네이트하여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비교예 1 내지 5
점착제 조성물(코팅액)의 제조 시에 각 성분 및 비율을 하기 표 4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 조성물(코팅액) 및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표 4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블록공중합체 종류 A1 A1 A2 A3 A2 A3 B1 B2 C1
함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가교제 함량 0.1 0.1 0.1 0.1 0.1 0.3 0.2 0.1 0.2
에폭시 화합물 함량 0.05 - 0.2 - - - 0.5 - -
아지리딘 화합물 함량 - 0.05 - 2.0 - - - - -
DBTDL 함량 0.1 0.1 0.1 0.1 0.1 0.1 0.1 0.1 0.1
SCA 함량 0.2 0.2 0.2 0.2 0.2 0.2 0.2 0.2 0.2
함량 단위: 중량부 가교제: Coronate L, 일본 NPU제) DBTDL: Dibutyltin dilaurate SCA: β-시아노아세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 (M812, LG 화학제) 에폭시 화합물: T-746L, 소켄사(제) 아지리딘 화합물: XAMA7, 바이엘사(제)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코팅성 A A A A A A B A A
계면밀착력 A A A A C B B C B
휨 특성 A A A A A C C C C

Claims (20)

  1.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인 제 1 블록 및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이고, 가교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제 2 블록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과 아지리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블록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는 제 1 블록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고, 제 2 블록에만 포함되어 있는 점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가 히드록시기 또는 카복실기인 점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블록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단위 90 중량부 내지 99.9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중합 단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블록은 수평균분자량이 2,500 내지 100,000인 점착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블록은 분자량 분포가 1.0 내지 2.0인 점착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는 수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0인 점착제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가 1.0 내지 2.5인 점착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는 제 1 블록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제 2 블록 7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는, 제 1 블록 및 제 2 블록으로 되는 디블록 공중합체인 점착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및 아지리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4.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가교 구조가 구현된 제 1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형 광학 부재.
  15. 제 14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표면에는 카복실기가 존재하고, 점착제층이 상기 카복실기가 존재하는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부재.
  16. 제 14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과 점착제층의 사이에 코로나 처리층이 존재하고, 점착제층이 상기 코로나 처리층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부재.
  17.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되고, 가교 구조가 구현된 제 1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형 편광판.
  18. 제 17 항에 있어서, 편광자와 점착제층의 사이에는 표면에 카복실기가 존재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존재하고, 점착제층은 상기 카복실기가 존재하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형 편광판.
  19. 제 17 항에 있어서, 편광자와 점착제층의 사이에는 표면에 코로나 처리층이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존재하고, 점착제층은 상기 코로나 처리층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형 편광판.
  20. 제 14 항의 점착형 광학 부재 또는 제 17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4/011402 2013-11-26 2014-11-26 점착제 조성물 WO201508045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52707.5A CN105593328B (zh) 2013-11-26 2014-11-26 压敏粘合剂组合物
US15/022,357 US10545367B2 (en) 2013-11-26 2014-11-26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P14865741.4A EP3075810B1 (en) 2013-11-26 2014-11-26 Pres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6524518A JP6253069B2 (ja) 2013-11-26 2014-11-26 粘着剤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07 2013-11-26
KR20130144607 2013-11-26
KR1020140166085A KR101640996B1 (ko) 2013-11-26 2014-11-26 점착제 조성물
KR10-2014-0166085 2014-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456A1 true WO2015080456A1 (ko) 2015-06-04

Family

ID=5319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402 WO2015080456A1 (ko) 2013-11-26 2014-11-26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0804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7967A (ja) * 2016-07-29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6644A (ja) * 1997-08-11 1999-04-27 Nippon Shokubai Co Ltd ブロックコポリマー及びその重合方法
JP2001131250A (ja) * 1999-11-04 2001-05-15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共重合体、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及び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
US7255920B2 (en) * 2004-07-29 2007-08-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acrylate block copolym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101023839B1 (ko) 2008-07-24 2011-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171977B1 (ko) 2008-06-05 2012-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101171976B1 (ko) 2007-12-29 2012-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JP2013054516A (ja) * 2011-09-02 2013-03-21 Nitto Denko Corp 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3082772A (ja) * 2011-10-06 2013-05-09 Nitto Denko Corp 光学用粘着剤、粘着剤層、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6644A (ja) * 1997-08-11 1999-04-27 Nippon Shokubai Co Ltd ブロックコポリマー及びその重合方法
JP2001131250A (ja) * 1999-11-04 2001-05-15 Sekisui Chem Co Ltd アクリル系共重合体、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及び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
US7255920B2 (en) * 2004-07-29 2007-08-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acrylate block copolym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101171976B1 (ko) 2007-12-29 2012-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101171977B1 (ko) 2008-06-05 2012-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101023839B1 (ko) 2008-07-24 2011-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2013054516A (ja) * 2011-09-02 2013-03-21 Nitto Denko Corp 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3082772A (ja) * 2011-10-06 2013-05-09 Nitto Denko Corp 光学用粘着剤、粘着剤層、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075810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7967A (ja) * 2016-07-29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80524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09088191A2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4204251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1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1105874A2 (ko) 편광판
WO2011105876A2 (ko) 편광판
WO201709953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1105878A9 (ko) 점착제 조성물
WO2010120105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09091162A2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17A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640996B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3012273A2 (ko) 터치 패널
WO2014204254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11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49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12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3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2128594A2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WO201609918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2128595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5076548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21060876A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3697A (ko) 점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57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22357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657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657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2451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