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56922A1 -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56922A1
WO2015056922A1 PCT/KR2014/009463 KR2014009463W WO2015056922A1 WO 2015056922 A1 WO2015056922 A1 WO 2015056922A1 KR 2014009463 W KR2014009463 W KR 2014009463W WO 2015056922 A1 WO2015056922 A1 WO 20150569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ease
composition
extract
disorder
new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4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수
이지원
노유헌
김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미니티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미니티,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미니티
Publication of WO20150569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56922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Definitions

  •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b)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e, ethane, propanol, butane, etc.), (c) the lower Mixed solvent of alcohol with water, (d) acetone, (e) ethyl acetate, (f) chloroform, (g) butyl acetate, (h) 1, 3- butylene glycol, (i) nucleic acid and (j) di Ethyl ether.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treating New Green with water, ethane or a combination thereof.
  • 'brain nerve disease' includes neurodegenerative diseases, diseases caused by ischemia or reperfusion, and mental disorders.
  • the New Gree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fficacy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spatial memory capacity through experiments with Morris underwater in normal m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뉴그린(Brassica olera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신경 세포 보호 작용이 우수하여 알츠하이머,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이나 뇌경색과 같은 허혈성 뇌 질환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인지기능 증진 및 정신 장애 개선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뉴그린 (Brassica oleracea) 남유럽과 서유럽의 해안에서 자생하는 배추속 식물이다. 야생의 뉴그린은 이년생 식물이며, 수천년간 재배되어 왔다. 뉴그린은 케일 (Brassica oleracea Acephala Group) , 카이란 (Brassica oleracea Alboglabra Group), 꽃양배추 (콜리플라워, 브로코플라워, Brassica oleracea Botrytis Group), 양배추 (적채 Brassica oleracea Capitata Group) , 방울양배추 (brussels sprout , Brassica oleracea Gemmi fera Group) , 콜라비 (Brassica oleracea Gongy lodes Group) 및 브로콜리 (Brassica oleracea Italica Group)의 일곱 가지 품종군으로 나뉜다.
뉴그린과 관련된 국내 특허로는, 공개특허 제 10-2011-0122735 호
"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 PV. 캄페스트리스 저항성 브라시크 식물 및 그의 제조" , 공개특허 제 10-2005-0026012 호 "근류병에 내성이 있는 브라시카 올레라체아 식물" , 등록특허 제 10-0531679 호 "녹색꽃양배추의 단인자 우성 웅성불임성 계통과 그의회복유전자 계통 및 이들의 육성방법" 및 공개특허 제 10-2010-0016165 호 "제초제-저항성 브라시카 식물 및 사용 방법" 등이 있으며, 국외 특허로는 US6340784 "Method for selective increase of the ant i carcinogenic glucosinolates in Brassica sp. " , US5811536 "Cauliflower floral meristem identity gen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70033675A1 "Brassica plants with high levels of antivarcinogenic glucosinolates" 및 W02012033422 "Medical cosmetic
l herbal compos i t ion on the bas i s of herbal mixture and the procedure for i t s obtent ion" 등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자들은 화학적 합성 의약보다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적고, 용이하게 제조 및 섭취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신경계 장애 또는 정신 장애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뉴그린 (Brass i ca o leracea) 추출물이 신경 세포 보호작용이 우수하고, 신경퇴행성 질환이나 인지기능 증진에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뉴그린 (Brass i ca ol era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적 합성 의약보다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적고, 용이하게 제조 및 섭취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신경계 장애 또는 정신 장애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뉴그린 (Brass i ca ol eracea) 추출물이 신경 세포 보호작용이 우수하고, 신경퇴행성 질환이나 인지기능 증진에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뉴그린 추출물은 뉴그린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수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ᅳ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 물, ( Π ) 알코을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을, 부탄올, 노말 -프로판을, 이소 -프로판올, 노말-부탄올ᅳ
1 펜탄을, 2-부톡시에탄을 또는 에틸렌글리콜), ( i i i ) 아세트산, (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0( dimethyl sul foxi 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핵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 클로로펜탄, 0-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ᅳ클로로프로판, 를루엔 , 1- 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을, 에탄을, 프로판올, 부탄을 등) , (c) 상기 저급 알코을과 물과의 흔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 f )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 , 3- 부틸렌글리콜, ( i ) 핵산 및 ( j )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을 또는 이의 조합을 뉴그린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은 극성용매를 뉴그린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은 알코을 (바람직하게는, 메탄을, 에탄을,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 -프로판올, 이소 -프로판올, 노말-부탄을,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뉴그린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알코을을 뉴그린에 처리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 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 (crude extract )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 ( fract ionat 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뉴그린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 -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뉴그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란 하기의 뉴그린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뉴그린으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뉴그린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뇌신경질환의 개선 ,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상" 은 동물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포유동물을 포함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보다 더 구체적으로 환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용어, '뇌신경질환' 은 신경 퇴행성 질환,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질환 및 정신 장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신경 퇴행성 질환은 파킨슨 병, 헌팅턴 병, 알츠하이머 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즉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 s) ,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Spinocerebel lar Atrophy) , 뚜렛 증후군 (Tourette s Syndrome) , 프리드리히 보행실조 (Fr iedr icl^ s Ataxia) , 마차도 -조셉 병 (Machado- Joseph' s di sease) , 루이 소체 치매 (Lewy Body Dement i a) , 근육긴장이상 (Dystoni a) , 진행성 핵상 마비 (Progressive Supranuc l ear Pal sy) 및 전두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 i 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신경성 질환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질환은 허혈성 뇌졸중, 뇌일혈, 뇌경색, 두부손상 및 뇌순환 대사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정신 장애는 불안, 우울증, 기분 장애, 불면증, 망상 장애, 강박 장애, 편두통, 스트레스, 기억 장애, 인지 장애,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Al zheimer ' s di sease) 관련 장애, 파킨슨병 (Parkinson ' s di sease) 관련 장애, 주의력 장애, 불면증 장애 및 허혈 또는 뇌 외상 관련 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 장애이다. 본 발명의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신경 세포의 보호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 세포의 보호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경도인지장애 및 노인성 치매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인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신경 세포의 보호 작용은 대개 뇌 신경 세포의 보호 작용이다. 뇌 신경 세포 보호란, 대사성 원인, 독성 원인, 신경독성원인 및 물리, 화학적 원인 등에 의해 초래되는 신경 세포 또는 신경 조직의 손상을 경감 또는 개선하거나 이러한 손상을 입은 신경 세포를 보호 또는 회복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
본 명세서에서, 용어 '뇌 신경 세포' 는 뇌, 뇌간 및 척수를 구성하는 뉴런 , 신경지지 세포 , 글리아 및 슈만 세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뇌 신경 세포 보호는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예컨대, 신경 세포의 세포 사멸 (apoptosi s )을 억제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인지 기능 및 기억력 개선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지' 는 뇌에서 어떤 정보를 받아들여서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찾고 사용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하며, 생각하고, 말하고, 기억하고, 판단하고 실행하는 모든 과정올 수반한다. 인지 기능이란 뇌가 정보를 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찾아 사용하는 모든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인지기능은 크게 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실행 (또는 관리) 기능을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 기능은 학습능력, 기억능력 및 집중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기억 감퇴 모델에서 인지기능을 1.5-4.0 배, 1.8-3.8배 또는 2.0-3.5배 완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정상 실험군에서 인지기능을 1 , 0— 2 0 배; 1. 2-1 , 8 배 또는 1.3-1.7 배 완화한다. 본 발명의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불안감 또는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불안감 또는 스트레스를 0.2-2.5 배, 0.3-2.3 '배 또는 0.4-2. 1배 완화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을 유효성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뉴그린 추출물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을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를, 소르비를, 에리트리를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 글리시르히진 등] )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층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둥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뉴그린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력토오스 등) ; 디사카라이드 (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 (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 및 당알코을 (예컨대, 자일리를, 소르비를, 에리쓰리틀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게 (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 (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 은 상술한 뉴그린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층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를, 만니를,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샐를로스, 폴리비닐피를리돈, 샐를로스, 물, 시럽, 메틸 셀를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 ' s Pharmaceut i cal Sciences ( 19th ed . ,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웅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ᅳ 100 nig/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갑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뉴그린 (Brass i ca o l era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신경 세포 보호 작용을 갖으므로, 신경 퇴행성 질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 )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지기능 증진에 우수한 효능을 갖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신경모세포종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Αβ)를 처리하여 뉴 그린 추출물의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에 뉴그린 추출물을 투여하여 니슬 및 해마부위의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파킨슨 동물 모델에 뉴그린 추출물을 투여하여 일측성 회전반 웅 실험 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스코폴아민으로 기억력 감퇴를 유도한 마우스에서 모리스 수 중미로를 이용한 기억력 유지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스코폴아민으로 기억력 감퇴를 유도한 마우스에서 수동회피능 력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정상 마우스에서 모리스 수중미로 실험을 통한 공간기억능력 결과를 보여준다.
도 7은 정상 마우스에서 수동회피능력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도 8은 십자 미로 실험을 통한 항불안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머 무른 시간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9는 십자 미로 실험을 통한 항불안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열 려있는 공간으로의 출입횟수의 변화를 보여준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뉴그린 추출물의 제조
뉴그린 (Brassi ca oleracea var . botyt i s aut i tal iana ᄂ. )을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한 후 전기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뉴그린은 선별하여 분쇄한 되, 분쇄물 중 8 배 부피량 (w/v)의 50% 에틸알코을 수용액으로 10시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5회 반복 추출한다. 본 추출물을 바로 여과하여 진공농축한 후 배합비율에 의해 덱스트린을 흔합하여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이 때, 구성성분의 분해 및 가수분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농축시 온도를 45°C 이하로 유지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함으로써 아그리콘 (aglycon)에 결합된 당 (단당류에서 다당류) 및 메틸기 (-CH3) 등의 모든 치환기들이 분해되지 않은 형태로 모두 추출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알츠하이머병 예방 효과
세포배양 사람 신경모세포종 (neuroblastoma cell)인 SK-N-SH 세포를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보층한 DMEM을 배양액으로 배양하였다. 실험하기 2시간 전에 저혈청 배양액 (DMEM with 1% FBS)로 바꾸어주었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Αβ 1-42)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Α 1-42)을 BiosourceCCalifornia, USA)에서 구입하였고, 인산염완층식염수 (PBS, pH 7.4)로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A β 1-42를 사용하기 전에 37°C에서 2시간 배양하여 에이징 단계를 거쳤다. Αβ1-42는 10 uM로 사용하였고ᅳ 이 농도는 36시간에 55% 정도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세포생존율 측정 (Alamarblue assay)
SK-N-SH 세포를 96-well(Nunc, SI anger up, Denmark)에 15,000 cells/well의 밀도로 씨딩 (seeding)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을 1% FBS가 들어있는 DMEM으로 갈아주고 2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뉴그린 추출물을 10 μΜ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인산염완층식염수 (pH 7.4)를 동일한 양 첨가하여 2시간을 추가로 배양하였다. 이후 각 군의 배양액에 Αβΐ— 42를 20 μΜ이 되도록 첨가하고 2시간을 추가로 배양하였다. Αβ 1-42처리에 대한 음성대조군으로는 인산염완층식염수 (pH 7.4)를 동일한 양으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alamarblue(Serotec, Oxford, UK)를 10 μΐ 처리한 후 3시간 배양하고, ELISA 리더기 (Molecular Divices, Sunnycale, CA, USA)를 이용하여 570 ran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배경 흡광도 (blank count)는 600 ran에서 측정한 값을 사용하였다.
뉴그린 (Brassica oleracea var . botytis aut i t a 1 i ana L. ) 주줄물의 흔합조성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모세포종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Αβ )을 첨가하였다. 신경모세포종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Αβ)을 첨가로 어포토시스 형태의 세포사멸이 일어났다. 그러나 뉴그린 (Brassica oleracea var . botytis aut i t a 1 i ana ᄂ.) 주줄물을 처리한 경우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Αβ)을 처리하지 않은 것과 유사한 정도의 세포 생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하지 아니한 경우 세포의 생존율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한 경우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뉴그린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한 세포 자멸사에 대한 신경세포의 생존율이 거의 약 83% 까지 회복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알츠하이머병 유도 모델 제작
평균 무게 25 g의 수컷 ICR 생쥐에 실험동물을 케타민 (Ketamine, 40 mg/kg)과 자일라진 (Xylazine, 20 rag/kg)을 이용하여 마취를 한 뒤, 마취동물을 뇌정위수술기구 (stereotaxic frame, David Kopf , USA)를 이용하여 두개골을 천공하고, 알츠하이머병을 유도할 수 있는 Αβ1-42를 가쪽뇌실 (lateral ventricle)에 주입하여 알츠하이머병 유도 모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뉴그린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Αβ1-42 투여 3일 전부터 50 mg/kg 용량으로 3일간 매일 1회 복강주사로 투여하였다. 뇌조직 염색을 통한 뉴그린 추출물의 알츠하이머병 예방 효과 확인 실시예 '알츠하이머병 유도 모델 제작' 에서 제작한 동물 모델을 케타민 (40 rag/kg)과 자일라진 (20 mg/kg)을 이용하여 마취를 한 뒤에 심장을 통하여 생리식염수 100 ^을 관류하고 1 M 포스페이트 버퍼 (pH7.4) 에 녹인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관류하여 고정한 뒤에 뇌를 적출하였다.
같은 고정액에서 4°C에서 24시간 고정을 더한 뒤에 1 M 포스페이트 버퍼 (pH7.4)에 녹인 15% 수크로스에 옮겨서 24시간 동안 탈수과정을 진행하였다. 샘플을 20%, 25% 및 30% 수크로스에 각각 24시간동안 추가로 탈수과정을 진행하였다. 탈수된 샘플은 넁동절편제작기 (Leica,
Germany)를 사용하여 35 로 절단하였다. 절편된 조직은 니슬소체를 염색하는 cresyl violet을 이용하여 니슬 염색 (Nissle staining)을 진행하고, 해마부위의 신경세포 사멸을 관찰하기 위해 세포사멸 확인용 키트인 ApopTag CHEMICON, CA, USA)를 이용하여 TUNEL 염색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듯이 Αβ1-42로 인한 니슬소체의 손상이 뉴그린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보호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해마부위의 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사멸 확인용 키트를 이용하여 염색한 도 2의 결과 역시 Αβ 1-42로 인한 신경세포 사멸이 뉴그린 추출물 투여로 인해 효과적으로 보호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 파킨슨병 예방 효과
진행성 파킨슨병 동물 모델의 구축
파킨슨병 유발 약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산화도파민 (6- hydroxydopamine , 6-0HDA)을 백서 뇌의 편측 선조체 (str iatum)에 주입하여 도파민 신경세포의 점진적 퇴행변성을 일으키는 Joo 등의 방법 (Joo WS et al . , Neuroreport , 9( 18), 4123-4126 , 1998)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물모델을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체중 200-250 g의 수컷 스프라그-돌리계의 백서에 케타민 ( 100 mg/kg)과 자일라진 (50 nig/kg)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마취동물을 뇌정위수술기구 (stereotaxi c frame , David Kopf , USA)를 이용하여 두개골을 천공하고 대조군 (sham group)에는 0.2 rag/ m 아스코르빈산을 사용하고, 변병군 ( lesioned group)에는 수산화도파민 (20zg/5 μί free base in 0.2 mg/m£ 아스코르빈산)을 오른쪽 선조체에 해밀턴 주사기 (10/^, 26G 바늘)를 사용하여 분당 1 ^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Paxinos et al ., J . Neurosci . Methods . 3(2) , 129-249 , 1980) . 약물 주입 후 5분 동안 바늘을 그대로 두고, 분당 1 國의 속도로 바늘을 빼낸 후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6-0HDA 투여 3일 전부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뉴그린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회석하여 50 mg/kg 용량으로 3일간 매일 1회 복강주사로 투여하였다. 아포몰핀에 의한 일측성 회전반웅 실험
수산화도파민을 이용하여 제작한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행동학적 변화를 병변 제작 후 14일에 아포몰핀 (0.5 mg/kg)을 뒷목에 피하 주사하고 60분 동안 일측성 회전반웅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도파민성 신경 세포가 사멸되어 선조체 내 도파민의 농도가 감소되면, 선조체 내 도파민 수용체의 과민성이 유발되어 아포몰핀은 도파민 수용체에 효현제로 작용하여 과민성이 유발된 선조체를 과도하게 흥분시킴으로써 동물은 손상측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Ungerstedt, Brain Res. 24, 485-493 , 2970). 회전운동은 Ungerstedt의 상기 논문에 기재된 자동화된 회전운동 측정기 (rotometer)를 이용하였으며, 각 회전수는 [순 회전수 (net turns) = 비병변측 회전수 (contralateral) ᅳ 병변측 회전수 (ipsilateral )]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듯이 0.2 mg/ 아스코르빈산을 선조체에 투여한 정상 대조군의 일측성 순 회전수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산화도파민만을 투여한 병변 대조군에서는 일측성 순회전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한편, 뉴그린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병변 대조군에 비해 일측성 순 회전수가 감소하였다. 이로서 본 발명의 뉴그린 추출물이 파킨슨병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기억력 감퇴 예방 효과
기억력 감퇴 동물 모델 제작 및 뉴그린 추출물의 투여
무스카리닉 (Muscarininc) 수용체의 길항체인 스코폴라민을 흰쥐에 투여하면 전시넵스 (presynapse)에서 유리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후시넵스 (postsynapse)에 있는 그 수용체인 무스카리닉 수용체에 결합하여 정보전달을 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학습과 기억력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스코폴라민을 투여하여 기억력감퇴동물모델을 만들어 학습과 기억력 증진효과를 검증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뉴그린 추출물 흔합물의 기억력 증진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스코폴라민 1 mg/kg을 마우스에 투여하여 기억력 감퇴 동물모델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스코폴라민 투여 2시간 후부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뉴그린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회석하여 50 rag/kg 용량으로 4일 동안 복강주사로 투여하였다. 모리스의 수중미로를 이용한 기억력 유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뉴그린 추출물이 스코폴라민 (Scopolamine)으로 기억력 감퇴를 유도한 실험쥐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기억력 감퇴 동물 모델' 의 마우스를 상대로 수중미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모리스 수중미로 실험은 일반적으로 공간 능력 기억을 보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험이다. 실험방법은 등그런 검은색 수조 (60 cm 직경 및 40 cm 깊이)에 28士 1 °C 물을 30 cm 깊이만큼 채워 수조의 사등분 면중 한쪽 면에 플랫품을 넣어두었다. 수조의 각기 다른 네 방향에서 실험동물을 넣어주고 수영하여서 플랫폼을 찾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플랫품에 올라간 뒤 15초 동안 쉬게 한 후에 수조에서 건져주고 만일 300초가 넘어서도 플랫품을 찾지 못하면 , 동물이 플랫품에 올라갈 수 있도록 실험자가 인도하여 주었다. 4일 동안 학습을 시키고 난 뒤에 하루를 쉬고 하고, 6일째에 다시 플랫품까지 찾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Manschot et al . , Brain Res . 966(2) 274-282. 2003) . 그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코폴라민에 의한 기억력 저하가 뉴그린 추출물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저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뉴그린 추출물이 기억력 감퇴 보호에 월등히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수동회피능력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뉴그린 추출물이 스코폴라민 (Scopol amine)으로 기억력 감퇴를 유도한 실험쥐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기억력 감퇴 동물 모델' 의 마우스를 상대로 수동회피능력시험을 시행하였다.
수동회피 실험 기구는 2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가운데 문을 통하여 서로 이동할 수 있도톡 되어 있으며, 바닥은 철망으로 이루어져 실험동물이 어두운 곳에서 90초 동안의 적웅기간을 두고 난 뒤에 빛과 소음의 요소가 작용하면 열린 문을 통하여 다른 어두운 구역으로 이동하여 빛과 소음을 피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훈련 시 빛과 소음의 자극을 주어서 어두운 구역으로 이동하면, 1.5 mA의 전류가 2초가 흐르는 풋 쇼크를 받게 하였다. 훈련을 받은 지 24시간 경과 후, 마우스를 처음 구역에 넣고 90초 동안의 적웅기간이 지나고 난 뒤 빛과 소음의 자극을 주어서 어두운 구역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최대 시간은 300초로 하였다 (Sonkusare et al . , Li fe Sc L 77( 1) . 1-14. 2005) .
그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코폴라민만을 투여한 마우스는 금방 훈련의 기억을 잊고 어두운 방을 찾아가는 것에 비하여 뉴그린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는 더 오랜 시간을 기억하며 혹은 최대측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어두운 방을 찾아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스코폴라민에 의한 기억력 저하가 뉴그린 추출물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저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함 결과는 뉴그린 추출물의 섭취가 기억력 감퇴 보호에 월등히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 정상 동물에서 뉴그린 추출물의 기억력 및 인지기능 향상 효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실시한 동물 행동실험을 정상 쥐에 똑같이 실시하였다. 단, 실시예 '수동회피능력시험' 의 측정 최대 시간을 800초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뉴그린 추출물을 정상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정상 마우스에서의 모리스 수중미로 실험을 통한 공간기억능력 (도 6)과 수동회피능력시험을 통한 기억력 (도 7)이 투여 전에 비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및 도 7) . 이는 뉴그린 추출물은 정상 쥐에서도 기억력과 인지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6 : 상승된 십자 미로 실험을 통한 뉴그린 추출물의 항불안 등의 정신건강 개선 효능 확인
EPM 동물 행동실험을 위한 뉴그린 추출물의 정신건강 개선 효과 불안과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과 연관된 행동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상승된 십자 미로 행동실험방법 (El evated Plus-Maze(EPM) )을 이용하였다 (G. R. Dawson, Trends Pharmacol . Sci . 16 , pp33-36. 1995) .
본 발명에서는 뉴그린 추출물의 항불안 및 정신건강 증진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물 행동실험 2시간 전에 약물 투여가 종료되도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뉴그린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50 nig/kg 용량으로 4일동안 복강주사로 투여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0.9% NaCl을 경구 투여하였다. 각 실험군은 10마리로 하였다. 약물 투여가 종료된 후, 항불안 효과의 측정은 제조된 EPM을 이용하였으며, EPM을 간접 조명이 있는 암실 (20 Lux)에 설치하고, EPM의 각각 팔 길이를 30 on로 직각으로 교차시키고 한쪽은 합성수지로 막아 벽 높이를 20 cm로 하였으며 다른 한쪽은 열어놓았다. 각 판의 폰은 7 cm로 하였으며 중심의 판은 가로 7 cm 및 세로 7 cm로 하였고, 각 팔은 지상에서 50 cm 떨어진 위치에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머리는 미로 (maze)의 중심 플랫폼에서 닫힌 팔쪽으로 향하게 높은 다음 미로를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였다. 행동은 5분 동안 관찰하였으며, 마우스가 열¾ 팔과 닫힌 팔에 머문 시간, 각 팔의 출입 횟수 및 총 이동거리 등을 에쏘비견 프로그램 (Etho Vi si on program ; Noldus Ingormat ion Technology, Wageningen , Nether l ands)으로 측정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
모든 행동 실험 결과는 일원변량분석 (AN0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SPSS를 사용하여 PO .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머무른 시간의 변화 측정에 따른 불안감 감소 효능 측정
실험동물이 열려있는 공간 내에서 머무른 시간을 보면 특정 상황에서 불암감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음성대조군의 경우 38.85 士 4.32초로 나타난 것에 반해, 뉴그린 추출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경우는 79. 19 士 8.33초 (PO .001)로 나타나서 유의성 있게 열려있는 공간 내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뉴그린 추출물을 섭취한 경우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2배 정도로 불안감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도 8)
한편, 닫혀있는 공간에서 머무른 시간의 경우, 음성대조군은 182. 16 士 6.21초인데 반해, 뉴그린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108.33 土 4. 19초로 나타나서 유의성있게 머무른 시간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Ρ<0 · 05) . 이것은 대조군과 비교해보았을 때 뉴그린 추출물을 섭취한 경우 약 40.5% 정도로 닫힌 공간에 머문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
상기 결과들로부터, 뉴그린 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열린 공간에서의 머무른 시간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고 닫힌 공간에서 머무른 시간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항불안, 항우울증 및 항우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려있는 공간으로의 출입횟수 변화 측정
실험 동물이 열려있는 공간에 출입한 횟수는 항불안 및 스트레스 감소 효능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 대조군은 18.12 士 1.26 회 출입한 것에 반해, 뉴그린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는 25.72 士 1.93회로 나타나 유의성 있는 횟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PO.001). 이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약 41.9%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한편, 닫혀있는 공간의 출입횟수는 음성대조군의 경우 31.05 士
1.08회인 것에 반해, 뉴그린 추출물의 출입횟수는 20.02 士 0.81회로 나타나 유의성 있는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PO.001). 이는 음성대조군과 비교시 약 25.5¾>가량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던 결과이다 (도 9).
상기 결과로부터, 뉴그린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열린 공간으로의 출입횟수는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닫힌 공간으로의 출입횟수는 극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스트레스 및 불안감등의 정신적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열린 공간에서의 운동성 활성 측정
본 실험은 뉴그린 추출물의 행동 변화가 정신적 건강 개선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운동성 변화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열린 공간 시험 (open fileld test)를 통해서 연구 대상 마우스의 운동능력 (locomotor activity)를 측정하였다.
로코모토 활성은 제작된 열린 공간 시험용 박스에서 측정하였는데 이 박스는 가로 41.5cm, 세로 41.5cm, 높이 43cm가 되도록 만들었으며, 하나의 박스에서 한 마리당 5분씩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수행결과, 음성대조군과 뉴그린 추출물을 섭취한 실험군의 총 운동에 의한 이동거리는 각각 2172.84 士 104.2 cm, 2212.31 ± 98.2 cm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머무른 시간의 변화 측정에 따른 불안감 감소 효능 측정' 및 '열려있는 공간으로의 출입횟수 변화 측정' 에서의 결과가 단순한 운동능력 개선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정신 건강의 개선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1
뉴그린 (Brassica olera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뇌신경질환은 신경 퇴행성 질환,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질환 및 정신 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ᅳ 상기 신경 퇴행성 질환은 파킨슨 병, 헌팅턴 병, 알츠하이머 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Spinocerebellar Atrophy), 뚜렛 증후군 (Tourette s Syndrome), 프리드리히 보행실조 (FriedriclTs Ataxia), 마차도—조셉 병 (Machado- Joseph's disease) , 루이 소체 치매 (Lewy Body Dement i a) , 근육긴장아상 (Dystonia), 진행성 핵상 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및 전두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i 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신경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질환은 허혈성 뇌졸중, 뇌일혈, 뇌경색, 두부손상 및 뇌순환 대사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신 장애는 불안, 우울증, 기분 장애, 불면증, 망상 장애, 강박 장애, 편두통 스트레스, 기억 장애, 인지 장애,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관련 장애, 파킨슨병 (Parkinson ' s di sease) 관련 장애, 주의력 장애, 불면증 장애 및 허혈 또는 뇌 외상 관련 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 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 세포의 보호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7]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인지 기능 및 기억력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불안감 또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청구항 10】
대상 ( subj ect )에 뉴그린 (Brass i ca ol eracea)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 .
【청구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뇌신경질환은 신경 퇴행성 질환,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질환 및 정신 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퇴행성 질환은 파킨슨 병, 헌팅턴 병, 알츠하이머 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근위축성 즉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Spinocerebellar Atrophy), 뚜렛 증후군 (Tourette s Syndrome), 프리드리히 보행실조 (Friedrich s Ataxia), 마차도ᅳ조셉 병 (Machado- Joseph s disease) , 루이 소체 치매 (Lewy Body Dementia), 근육긴장이상 (Dystonia), 진행성 핵상 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및 전두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i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신경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질환은 허혈성 뇌졸중, 뇌일혈, 뇌경색, 두부손상 및 뇌순환 대사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1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신 장애는 불안, 우울증, 기분 장애, 블면증, 망상 장애, 강박 장애, 편두통, 스트레스ᅳ 기억 장애, 인지 장애,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관련 장애,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관련 장애, 주의력 장애, 불면증 장애 및 허혈 또는 뇌 외상 관련 장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 장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 세포의 보호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인지 기능 및 기억력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뉴그린 추출물은 불안감 또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청구항 19】
뇌신경질환의 개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뉴그린 (Brass i ca ol era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14/009463 2013-10-16 2014-10-08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569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332A KR101643737B1 (ko) 2013-10-16 2013-10-16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3-0123332 2013-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6922A1 true WO2015056922A1 (ko) 2015-04-23

Family

ID=5282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463 WO2015056922A1 (ko) 2013-10-16 2014-10-08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3737B1 (ko)
WO (1) WO2015056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4540A (zh) * 2018-10-01 2021-07-23 株式会社阿斯特罗捷恩斯 包含朝鲜当归提取物或朝鲜当归和西兰花的混合提取物的预防或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668B1 (ko) * 2017-11-29 2021-11-22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176184B1 (ko) * 2017-11-29 2020-11-0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칠해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402315B1 (ko) * 2020-03-23 2022-05-26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기억력, 인지기능 개선용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67285B1 (ko) 2020-06-01 2022-11-16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우황청심환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12168A (ko) 2022-01-18 2023-07-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뇌기능 개선용, 뇌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958A (ja) * 2005-07-06 2007-01-25 Unitika Ltd 神経成長因子産生促進剤
JP2009126826A (ja) * 2007-11-22 2009-06-11 Atsuo Sekiyama 抗ストレス剤
JP2009155341A (ja) * 2009-04-07 2009-07-16 Fancl Corp γ−アミノ酪酸受容体作動化剤
KR20120054946A (ko) * 2010-11-22 2012-05-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로콜리 유래 글루코시놀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20110719A (ko) * 2011-03-30 2012-10-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배추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3,3'-다이인돌일메탄 또는 그 전구체인 인돌-3-카르비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의 저하 또는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958A (ja) * 2005-07-06 2007-01-25 Unitika Ltd 神経成長因子産生促進剤
JP2009126826A (ja) * 2007-11-22 2009-06-11 Atsuo Sekiyama 抗ストレス剤
JP2009155341A (ja) * 2009-04-07 2009-07-16 Fancl Corp γ−アミノ酪酸受容体作動化剤
KR20120054946A (ko) * 2010-11-22 2012-05-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브로콜리 유래 글루코시놀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20110719A (ko) * 2011-03-30 2012-10-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배추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3,3'-다이인돌일메탄 또는 그 전구체인 인돌-3-카르비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의 저하 또는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4540A (zh) * 2018-10-01 2021-07-23 株式会社阿斯特罗捷恩斯 包含朝鲜当归提取物或朝鲜当归和西兰花的混合提取物的预防或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86A (ko) 2015-04-27
KR101643737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56922A1 (ko)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94605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946818B1 (ko) 기억력 개선, 인지기능장애 및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Gupta et al. Aqueous extract of wood ear mushroom, Auricularia polytricha (Agaricomycetes), demonstrated antiepileptic activity against seizure induced by maximal electroshock and isoniazid in experimental animals
EP2685998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s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807953B1 (ko)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8521839A (ja) 大葉(叶)蒟抽出物の調製方法、抽出物及びその応用
KR20100136713A (ko)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472325B (zh) 包含蜂斗菜叶提取物的用于改善记忆力的组合物
EP346148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acanthoside b extracted from glasswort
CN102935100A (zh) 一种大花罗布麻叶总黄酮的制备方法和用途
EP3235502B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bark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1120736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zheimer&#39;s disease, comprising mountain-cultivated ginseng extract
KR102402315B1 (ko) 기억력, 인지기능 개선용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Selvi et al. Antistress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leaves of Centella asiatica. Linn by in vivo methods.
KR101509056B1 (ko) 인삼 복합 생약 추출물, 진세노사이드 Rg2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3360451A (zh) 葫芦素类化合物的制备及其药物用途
Agarwal et al. An in-vitro evaluation of anthelmintic activity of Morus alba bark
KR20100125843A (ko) 후박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뇌 또는 인지기능 증진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377949B (en) A chinese herb extract for treating dement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642465A (zh) 广东海风藤多糖在制备预防和/或治疗老年性痴呆症药物中的应用
KR20190005244A (ko) 기억력 개선, 인지기능장애 및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5694B1 (ko) 사이프러스 에센셜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과 알츠하이머병 예방 및 치료용 방향성 약학적 조성물
RU2575832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растений,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аруш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48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48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