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46935A1 -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46935A1
WO2015046935A1 PCT/KR2014/008996 KR2014008996W WO2015046935A1 WO 2015046935 A1 WO2015046935 A1 WO 2015046935A1 KR 2014008996 W KR2014008996 W KR 2014008996W WO 2015046935 A1 WO2015046935 A1 WO 20150469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cb
battery pack
module case
battery cell
open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9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미금
윤형구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480052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765765B/zh
Priority to US15/023,941 priority patent/US10170802B2/en
Priority to EP14847593.2A priority patent/EP3035414B1/en
Priority to JP2016544299A priority patent/JP6174818B2/ja
Publication of WO20150469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469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잉여부를 포함하는 일측면에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을 포함하고, 밀봉 잉여부에 PCM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팩으로서, PCM은 PCB 및 안전소자가 장착되는 전기절연성의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듈 케이스의 외면들 중에서 2개의 외면은 외부로 개방되어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형성하고 있고, 모듈 케이스의 내부는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PCM은 모듈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본 발명은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에 보호회로 모듈(PCM)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팩으로서, 상기 PCM은 PCB, 안전소자,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상기 PCB 및 안전소자가 장착되는 전기절연성의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외면들 중에서 2개의 외면은 외부로 개방되어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형성하고 있고 내부는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PCM은 전지셀의 전극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로 대표되는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삽입과 이탈이 자유로운 탈착식 구조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는 외부기기의 내부에 매립되는 형태의 내장형 구조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노트북과 같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지의 삽입과 이탈이 가능한 반면에, 일부 휴대폰 등과 같은 디바이스는 그 구조 및 용량의 문제로 내장형 전지팩의 사용이 요구되기도 한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에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전소자로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보호회로 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등이 전지셀에 접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내장형 구조의 이차전지 팩은 전기적 연결 구조에 적합한 판상형 전지셀을 사용하며, PCM 등은 도전성 니켈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용접 또는 솔더링 방식으로 전지셀에 연결된다. 즉, 니켈 플레이트를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각각 용접 또는 솔더링 하고, 양면 테이프의 일측에는 F(flexible)-PCB를 용접하고 타측에는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여 전지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F-PCB의 전극탭과 니켈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방법으로 PCM을 전지셀에 연결하여 전지팩을 제조한다.
이러한 PCM을 포함한 안전소자들은 전극단자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전지셀의 다른 부분과는 전기적 절연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PCM을 비롯한 각각의 부재에 대해 절연성 테이프를 부착하고, 그 외에도 전지셀을 내장하고 있는 전지 케이스의 실링부 일부를 절곡하여 절연성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바코드를 프린트하는 등의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한 접속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절연성 테이프 또는 다수의 부품들이 요구되므로, 전지팩의 조립공정을 복잡하게 만들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전지팩은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절연성 테이프의 사용으로 인해, PCM이 파손되거나, 치수 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지셀에 장착되는 부재들의 수를 감소시켜 조립공정을 간소화하고, 전지셀에 탑재되는 부재들을 상호간 안정적으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PCM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팩에 소요되는 부품 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간소화하고,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구조의 모듈 케이스를 전지팩에 적용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 동일 규격의 전지팩에서 전기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구조의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밀봉 잉여부를 포함하는 일측면에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잉여부에 보호회로 모듈(PCM)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팩으로서,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판상형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PCM은 PCB(보호회로 인쇄 기판), 전지셀의 일측 전극단자와 PCB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PCB 상에 탑재된 안전소자, 상기 PCB의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가 외부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PCB 및 안전소자가 장착되는 전기절연성의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외면들 중에서 2개의 외면은 외부로 개방되어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는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PCM은 전지셀의 전극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팩은, 외부로 개방된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포함하고, 내부에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PCB 수납부에 PCB를 수납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는 구조의 모듈 케이스 구조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전지팩의 부품 및 결합 구조를 간소화시켜 전지팩 제조 공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팩은, 상기와 같은 특정한 구조의 모듈 케이스를 전지팩에 적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제공하면서 동일 규격의 전지팩에서 전기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구체적으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전해액과 함께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의 기타 구성 요소들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음극은 또한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은, 비수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수 전해액으로는 액상 비수 전해액,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집전체,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분리막, 전해액, 리튬염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을 삽입하고 거기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양극은, 예를 들어, 활물질로서 앞서 설명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함유한 슬러리를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탄소 활물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함유한 슬러리를 얇은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 잉여부는 전지케이스의 열융착 밀봉에 의해 형성된 상단 실링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가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밀봉될 때 형성되는 밀봉된 외주면들 중, 일 면에 형성된 여분의 공간을 지닌 밀봉부를 밀봉 잉여부라 한다. 하지만, 동일한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라면, 상기 밀봉 잉여부는 실링 잉여부, 열융착 잉여부, 실링 테라스, 밀봉 테라스 등과 같은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안전소자는 전지팩의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소자로서, 안전소자의 예로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퓨즈(fuse) 또는 TCO(Thermal Cutoff, Cutout) 등이 있다.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는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기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지셀로 전류를 공급하거나 또는 전지셀로부터 휴대폰 등의 디바이스에 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장형 전지팩에서 바람직하게는 판상형 또는 와이어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개방면과 제 2 개방면은 서로 일직선 상으로 연통되어 있는 터널(tunnel) 구조이고, 모듈 케이스가 밀봉 잉여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의 위치가 전지셀의 전극조립체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모듈 케이스는, 제 1 개방면과 제 2 개방면의 양측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을 통해 용이하게 PCB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 둘 중 어느 방향으로도 PCB를 장착할 수 있는 터널 구조이므로, 모듈 케이스의 PCB 수납부에 PCB를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모듈 케이스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향상된 생산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 잉여부에 대면하는 모듈 케이스의 양단 부위들은 밀봉 잉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케이스의 양단 부위의 돌출 길이는,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에 형성된 전극 단자 실링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모듈 케이스는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더욱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직육면체 구조의 박스형 구조일 수 있으며,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PCB 고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특정한 구조의 제 1 개방면, 제 2 개방면, PCB 수납부 및 PCB 고정돌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PCB 및 안전소자를 PCB 수납부에 용이하게 수납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는 추가적인 고정부재 또는 보호부재가 필요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간소화된 조립공정에 의해 향상된 생산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PCB 및 안전소자는 모듈 케이스의 PCB 수납부에 수납되어 PCB 고정돌출부에 의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 및 보호될 수 있으므로, PCM의 전체적인 기계적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종래의 내장형 전지팩과 비교하여, 절연성 테이프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PCB 수납부를 포함하는 모듈 케이스는, 예를 들어, 외관이 매끄러운 직육면체 구조이므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종래와 비교하여 더욱 콤팩트 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PCM 고정부재 또는 PCM 보호부재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전기 용량의 확대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동일 규격의 전지팩에서 전기적 용량 증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외부 입출력 단자를 제외한 PCM과 전지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절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PCB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의 구성에 사용되는 특정한 구조의 보호회로 모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회로 모듈은, 판상형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 전극단자들이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는 보호회로 모듈(PCM)로서,
PCB(보호회로 인쇄 기판), 전지셀의 일측 전극단자와 PCB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PCB 상에 탑재된 안전소자, 상기 PCB의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가 외부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PCB 및 안전소자가 장착되는 전기절연성의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외면들 중에서 2개의 외면은 외부로 개방되어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는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PCM은 전지셀의 전극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내장형 전지팩의 조립 과정에서는 접속부재, F-PCM 등을 결합하고 각 단계마다 절연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전지셀 상에 PCM 어셈블리를 설치한다. 따라서, 다수의 부품들을 사용하여 PCM 어셈블리를 전지셀 상에 장착하므로, 다수의 공정이 요구되며, 기계적 강성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들이 유발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보호회로 모듈은, 안전소자가 PCB에 결합된 상태에서 모듈 케이스에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지팩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전지팩의 제조공정을 크게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개방면과 제 2 개방면은 서로 일직선 상으로 연통되어 있는 터널 구조이고, 모듈 케이스가 밀봉 잉여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의 위치가 전지셀의 전극조립체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는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기 등과 같은 디바이스로부터 전지셀로 전류를 공급하거나, 또는 전지셀로부터 휴대폰 등과 같은 디바이스에 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장형 전지팩에서 바람직하게는 판상형 또는 와이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모듈 케이스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구조이고,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PCB 고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을 제조하는 방법은,
(a) PCB에 외부 입출력 단자를 용접 또는 솔더링에 의해 연결하는 과정;
(b) 전지셀 전극단자들과 PCB를 용접 또는 솔더링에 의해 연결하는 과정;
(c) 모듈 케이스의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을 통해 PCB 수납부에 PCB를 장착하는 과정;
(d) PCM을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하는 과정; 및
(e) 외부 입출력 단자를 제외한 PCM과 전지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라벨을 부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용접은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는 용접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스폿 용접(spot welding),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 또는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일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종래의 내장형 전지팩의 제조공정과 비교하여, 작업공정 수를 감소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이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넷북,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 내지 장치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팩(600)은, 일 측면의 밀봉 잉여부(130)에 전극단자들(110, 120)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00), 및 PCB(200)를 수납하는 전기절연성 모듈 케이스(400)를 포함하고, 판상형 전지셀(100) 및 모듈 케이스(400)는 보호 라벨(500)에 의해 감싸져 있다.
또한, PCB(200)는 판상형의 외부 입출력 단자(300)의 연결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입출력 단자(300)는 모듈 케이스(40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외부 입출력 단자(300)의 단부에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32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400)는 양측면이 일직선으로 관통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1 개방면(411) 및 제 2 개방면(412)을 포함하는 터널 구조이다. 또한, 모듈 케이스(400)는 제 1 개방면(411)과 제 2 개방면(412)의 양측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이다.
도 3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PCB(200)의 단자접속부들(210, 220)과 판상형 전지셀(100)의 전극단자들(110, 120)이 스폿 용접(spot welding, 111, 121)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CB(200)와 전극단자들(110, 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PCB(200)는 판상형 전지셀(100)의 상하부면과 평행한 방향에 놓이도록 단자접속부들(210, 220)의 인접 부위들이 절곡(201)된다.
도 4를 참조하면, PCB(200)의 외부 입출력 단자 접속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입출력 단자 연결부(310)는 단자접속부들(210, 220)의 절곡에 의해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는 PCB(200)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PCB(200)는 모듈 케이스(400)에 수납된 후, 전극단자들(110, 120)의 절곡(202)에 의해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 상에 탑재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도 9와 함께 참조하면, 밀봉 잉여부(130)에 대면하는 모듈 케이스(400)의 양단 부위들(431)은 밀봉 잉여부(1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 길이는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에 형성된 전극 단자 실링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모듈 케이스(400)는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 상에 더욱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400)가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에 탑재됨으로 인해, 모듈 케이스(40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도출된 외부 입출력 단자(300)는 위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때,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에 탑재된 모듈 케이스(400)의 폭과 길이는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의 폭과 길이에 대략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전지셀(100)의 밀봉 잉여부(130) 상에 탑재된 모듈 케이스(400)의 높이는 전지셀(100)의 두께와 동일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400)는 추가적인 부재가 없는 매끄러운 면을 갖는 직육면체 구조의 박스형 구조이다. 또한, 모듈 케이스(400)의 내부에는 다수의 PCB 고정돌출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PCB(200) 및 안전소자(도시하지 않음)는 모듈 케이스(400)의 PCB 수납부(411)에 수납되어 PCB 고정돌출부들(421)에 의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 및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케이스(400)는 추가적인 고정부재 또는 보호부재가 필요없는 조립식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간소화된 조립공정에 의해 향상된 생산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400)의 외부면은 매끄러운 면을 갖는 구조이므로, 전지팩의 매끄러운 외부면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한 치수의 전지팩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외부 미려함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400)는, 외관이 매끄러운 직육면체 구조이므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용이하게 탑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종래와 비교하여 더욱 콤팩트 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PCM, PCM 고정부재 또는 PCM 보호부재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전기 용량의 확대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지팩의 전기적 용량 증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입출력 단자(300)를 제외한 전지셀(100)의 외부면 및 모듈 케이스(400)의 외부면이 보호 라벨(500)에 의해 감싸지고 있다.
제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500)은 전지셀(100)과 절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지셀(100)의 전극단자들(110, 120)과 PCB(200)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담보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외부로 개방된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포함하고, 내부에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PCB 수납부에 PCB를 수납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는 구조의 모듈 케이스 구조를 전지팩에 적용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향상된 생산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지팩의 콤팩트 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고, 동일 규격의 전지팩에서 전기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Claims (18)

  1. 밀봉 잉여부를 포함하는 일측면에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잉여부에 보호회로 모듈(PCM)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팩으로서,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는 판상형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PCM은 PCB(보호회로 인쇄 기판), 전지셀의 일측 전극단자와 PCB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PCB 상에 탑재된 안전소자, 상기 PCB의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가 외부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PCB 및 안전소자가 장착되는 전기절연성의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외면들 중에서 2개의 외면은 외부로 개방되어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는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PCM은 전지셀의 전극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파우치형 이차전지로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구조이고, 전해액과 함께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잉여부는 전지케이스의 열융착 밀봉에 의해 형성된 상단 실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소자는 PTC소자, 퓨즈(fuse) 및 TCO(Thermal Cutoff, Cutou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는 판상형 또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면과 제 2 개방면은 서로 일직선 상으로 연통되어 있고, 모듈 케이스가 밀봉 잉여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의 위치가 전지셀의 전극조립체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잉여부에 대면하는 모듈 케이스의 양단 부위들은 밀봉 잉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양단 부위의 돌출 길이는,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에 형성된 전극 단자 실링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직육면체 구조의 박스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PCB 고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를 제외한 PCM과 전지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3. 판상형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 전극단자들이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는 보호회로 모듈(PCM)로서,
    PCB(보호회로 인쇄 기판), 전지셀의 일측 전극단자와 PCB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PCB 상에 탑재된 안전소자, 상기 PCB의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가 외부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PCB 및 안전소자가 장착되는 전기절연성의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외면들 중에서 2개의 외면은 외부로 개방되어 제 1 개방면 및 제 2 개방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는 PCB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PCM은 전지셀의 전극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로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회로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면과 제 2 개방면은 서로 일직선 상으로 연통되어 있고, 모듈 케이스가 밀봉 잉여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의 위치가 전지셀의 전극조립체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회로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PCB에 외부 입출력 단자를 용접 또는 솔더링에 의해 연결하는 과정;
    (b) 전지셀 전극단자들과 PCB를 용접 또는 솔더링에 의해 연결하는 과정;
    (c) 모듈 케이스의 제 1 개방면 또는 제 2 개방면을 통해 PCB 수납부에 PCB를 장착하는 과정;
    (d) PCM을 전지셀의 밀봉 잉여부 상에 탑재하는 과정; 및
    (e) 외부 입출력 단자를 제외한 PCM과 전지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라벨을 부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스폿 용접(spot welding),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 또는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넷북, 태플릿 PC 또는 스마트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PCT/KR2014/008996 2013-09-27 2014-09-26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50469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52044.7A CN105765765B (zh) 2013-09-27 2014-09-26 具有保护电路模块外壳的电池组
US15/023,941 US10170802B2 (en) 2013-09-27 2014-09-26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EP14847593.2A EP3035414B1 (en) 2013-09-27 2014-09-26 Battery pack compris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case
JP2016544299A JP6174818B2 (ja) 2013-09-27 2014-09-26 保護回路モジュールケースを含む電池パ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48A KR101619926B1 (ko) 2013-09-27 2013-09-27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13-0115148 2013-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935A1 true WO2015046935A1 (ko) 2015-04-02

Family

ID=5274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996 WO2015046935A1 (ko) 2013-09-27 2014-09-26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70802B2 (ko)
EP (1) EP3035414B1 (ko)
JP (1) JP6174818B2 (ko)
KR (1) KR101619926B1 (ko)
CN (1) CN105765765B (ko)
TW (1) TWI568059B (ko)
WO (1) WO2015046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332B1 (ko) * 2017-06-16 2021-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670805B2 (en) 2017-10-31 2023-06-06 Snap Inc. Nested PCM battery pack
US10985358B2 (en) * 2018-02-16 2021-04-20 Apple Inc. Direct placement battery pack modul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644A (ja) * 2003-11-14 2005-06-23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09099320A (ja) * 2007-10-15 2009-05-07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6774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KR101227870B1 (ko) * 2011-08-12 2013-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20130018577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9499B2 (ja) * 1998-11-18 2007-03-28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US6803144B2 (en) 2001-11-01 2004-10-12 Nokia Corporation Battery pack for electronic device
KR20060105208A (ko) * 2005-04-01 2006-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매우 얇은 두께의 전지팩
KR100686815B1 (ko) * 2005-04-2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8120B1 (ko) * 2007-11-07 2009-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142810B2 (en) * 2007-11-07 2015-09-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EP2212940B1 (en) * 2007-11-23 2015-02-25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providing excellent productivity and structural stability
US8808883B2 (en) * 2007-11-29 2014-08-19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KR100947972B1 (ko) * 2007-12-14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042766B1 (ko) * 2009-02-05 2011-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JP4985671B2 (ja) * 2009-02-09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030906B1 (ko) * 2009-06-18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10039128A1 (en) * 2009-08-11 2011-02-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070906A (ja) 2009-09-25 2011-04-07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ホルダー
US8518569B2 (en) * 2010-03-01 2013-08-27 Apple Inc. Integrated frame battery cell
US20110250474A1 (en) * 2010-04-13 2011-10-1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20110300414A1 (en) * 2010-06-07 2011-12-08 Woonseong Baek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KR101222397B1 (ko) * 2010-06-08 2013-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818990B2 (en) * 2010-08-27 2017-11-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shock absorber
US9685681B2 (en) * 2010-11-16 2017-06-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962178B2 (en) * 2011-05-25 2015-02-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30016035A (ko) 2011-08-04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20130018477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101371364B1 (ko) 2011-10-25 2014-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블록을 포함하는 탑 캡 어셈블리
US20130115481A1 (en) * 2011-11-09 2013-05-09 Youn-gu Kim Battery pack
KR20130053000A (ko) 2011-11-14 2013-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20130087968A (ko) * 2012-01-30 2013-08-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20130280558A1 (en) * 2012-04-19 2013-10-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40101164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2014209525A (ja) * 2013-03-26 2014-11-06 ローム株式会社 電気キャパシタ、電気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電気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028172B1 (ko) * 2013-06-25 2019-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619925B1 (ko) * 2013-09-27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고정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650027B1 (ko) * 2013-09-27 2016-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102314081B1 (ko) * 2014-11-26 2021-10-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탭을 갖는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644A (ja) * 2003-11-14 2005-06-23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09099320A (ja) * 2007-10-15 2009-05-07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6774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KR20130018577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101227870B1 (ko) * 2011-08-12 2013-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03541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926B1 (ko) 2016-05-12
CN105765765B (zh) 2018-09-28
CN105765765A (zh) 2016-07-13
JP6174818B2 (ja) 2017-08-02
JP2016534541A (ja) 2016-11-04
EP3035414B1 (en) 2020-04-15
US20160218402A1 (en) 2016-07-28
TWI568059B (zh) 2017-01-21
EP3035414A1 (en) 2016-06-22
EP3035414A4 (en) 2016-10-12
US10170802B2 (en) 2019-01-01
KR20150035040A (ko) 2015-04-06
TW201535835A (zh)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46723A1 (ko) 보호회로모듈 고정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3024989A2 (ko) 이차전지 팩
WO2013022211A2 (ko) 이차전지 팩
WO2013019066A2 (ko) 이차전지 팩
WO2013019067A2 (ko) 이차전지 팩
WO2010128812A2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WO2013022210A2 (ko) 이차전지 팩
WO2013024990A2 (ko) 이차전지 팩
WO2013022208A2 (ko) 이차전지 팩
WO2011149224A2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WO2015046745A1 (ko)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WO2010098571A2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WO2011149223A2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
WO2013119003A1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WO2015046832A1 (ko)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89299A1 (ko) 비돌출 구조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팩
WO2015046725A1 (ko) 전기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1093638A2 (ko) 대용량의 전지팩
WO2012074220A1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WO2012008745A2 (ko) 신규한 구조의 팩 케이스
WO2015046733A1 (ko) 전기 절연성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5167033A1 (ko) 보호회로모듈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3118994A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WO2013118989A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제조방법
WO2010044587A2 (ko) 이차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7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47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4429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2394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