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30388A1 -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30388A1
WO2015030388A1 PCT/KR2014/007437 KR2014007437W WO2015030388A1 WO 2015030388 A1 WO2015030388 A1 WO 2015030388A1 KR 2014007437 W KR2014007437 W KR 2014007437W WO 2015030388 A1 WO2015030388 A1 WO 20150303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itanium carbide
carbide powder
calcium
titanium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4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현호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테크
Publication of WO20150303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303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90Carbides
    • C01B32/914Carbides of single elements
    • C01B32/921Titanium carb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solid meta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3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decomposition of metal compounds, e.g.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carb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spherical ultrafine titanium carbide powder through a metal thermal reduction method.
  • Titanium carbide (TiC) is kn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utting performance, weight reduction, and durability when used in tool materials, and the amount of titanium carbide (TiC)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 titanium carbides due to their high hardness, thermal stability due to high melting point (3065 to 3257 ° C), low electrical resistance (60 to 250 ⁇ cm), and good wear and corrosion resistance.
  • this SHS method is a reaction of a mixture of solid metal titanium and solid carbon.
  • the heat of reaction is so large that the temperature rises to the melting point of the titanium carbide after the reaction. It was. Therefore, when a fine particle size of several microns or less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C powder having a high hardness is crushed again by a ball mill method for a long time.
  • Korean Patent No. 0546040 has proposed a method of preparing titanium carbide powder by mixing titanium dihydrate with carbon.
  • titanium dihydride which is a starting material, is rarely high and manufacturing costs are too high,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it.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carbide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carbide on a large scale easily throug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large-scale titanium carbide.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carbide in the form of ultra-fine particles.
  •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dioxide and calcium may be more than 2 mol to 6 mol of calcium per 1 mol of titanium dioxide.
  •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dioxide and carbon may be 1 mol to 5 mol of carbon per 1 mol of titanium dioxide.
  • the mixing step may be performed under an inert atmosphere.
  • the mixing may be performed dry.
  •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at a maximum temperature of 600 ° C to 1500 ° C, and more preferably at or above the melting point of calcium.
  •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after the mixture is contained in a carbonaceous container.
  • the heating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mixture to mold.
  • the washing step is preferably a step of dissolving the calcium oxide mixed with titanium carbide in water to separate.
  •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titanium carbide powder may be 10nm to 1 ⁇ m.
  • the titanium carbid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acid treatment of the washed titanium carbide (acid).
  • the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carbid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it is easy to control the agglomeration of the powder.
  • the method for producing titanium carbid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calcium as a reducing agent facilitates the distribution of the material is possible to uniform reaction overall.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itanium carbid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high production cost using titanium dioxide and calcium, which are very common materials.
  •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titanium carbid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advantageous for commercializa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titanium carbide having a uniform shape and particle size on a large scale.
  • Figure 2 is a FE-SEM picture of the TiC powder and by-product CaO before washing in Examples 1 and 3.
  • Example 3 is a graph of the XRD analysis of the TiC powder of Example 1.
  • FIG. 4 is an FE-SEM photograph of the TiC powder of Example 1.
  • Titanium dioxide TiO 2
  • calcium (Ca) and carbon (C) are mixed.
  • Titanium dioxide can be used in both anatase or rutile types, but the anatase type is easier to react than rutile type, and preferably anatase type can be used.
  • titanium dioxide is preferable to use a powder having the smallest possible particle size, since it is easy to obtain ultrafine titanium carbide.
  • Calcium reduces titanium dioxide, causing titanium to react with carbon.
  •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dioxide and calcium is more than 2 mol-6 mol or less of calcium with respect to 1 mol of titanium dioxide. If the amount of calcium is less than 2 moles, unreacted titanium dioxide may remain, and if it is more than 6 moles, the amount of calcium present around titanium may increase, leading to the formation of coarse particles and the formation of aggregated powder. The production of uniform powders can be difficult. Theoretically, if 2 moles of calcium is used compared to 1 mole of titanium dioxide, the entire titanium dioxide can be reacted. However, since calcium is oxidized due to the high reactivity of calcium, it is preferable to use more than theoretical amount. Do.
  • Carbon is a carbon source of titanium carbide, and may be appli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used as a carbon source in the art.
  • activated carbon, carbon black, and the like can be cited, but carbon black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particle size of titanium carbide to be produced.
  •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dioxide and carbon 1 mol-5 mol of carbon are preferable with respect to 1 mol of titanium dioxide. If less than 1 mole of carbon, unreacted titanium dioxide may remain and incomplete titanium carbides such as Ti 8 C 5 may be produced. If more than 5 moles of excess carbon interferes with the contact of titanium dioxide with calcium, inhibiting the reduction of titanium. can do.
  • the mix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wet mixing or dry mixing. However, wet mixing may be more preferable because dry mixing is not easy to inhibit the oxidation of calcium.
  • the mixing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tarting materials can be sufficiently mixed, and may be various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le size or mixing method of the starting materials used.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for 10 minutes to 48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eating step is to synthesize titanium carbide by forming a reaction atmosphere of each starting material.
  • the reaction scheme for synthesizing titanium carbide is as follows.
  • Heating is carried out at an appropriate rate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reaction proceeds effectively and for a sufficient time once the desired temperature is reached.
  • the maximum temperature is preferably 600 ° C to 1500 ° C, because titanium carbide can be obtained in high yield.
  • the maximum temperature is preferably at least the melting point of calcium and thus may be from the melting point of calcium to 1500 ° C.
  • the calcium is present in the liquid phase to increase the fluidity,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distribution effect of the material present in the reaction system. Uniform distribution of the material results in uniform, spherical titanium carbide.
  • the container of the reaction mixture upon heat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the reaction temperature.However, when using a glass or ceramic container, a carbonaceous container may be used because a local reaction may be caused by heat of reaction to contaminate the powder. It is desirable to.
  • reaction mixture may be pressurized before heating.
  • pressure molding the reaction mixture By pressure molding the reaction mixture, the contact area of the particles can be enlarg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 it may further comprise an acid treatment of the washed titanium carbide (acid).
  • acid treatment of the washed titanium carbide (acid).
  • Trace impurities present after washing with water can be removed using sulfuric acid, nitric acid, hydrochloric acid, acetic acid, and the like to obtain high-purity titanium carbide.
  • the particle size of the titanium carbide powder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10 nm to 1 ⁇ m, preferably 10 nm to 500 nm, titanium carbide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can be obtained.
  • the mixed powder was molded by press under a pressure of 1350 kgf / mm 2 or more, and after molding, it was placed in a carbon crucible and placed in an electric furnace. Prior to heating the sample through an electric furnace, a vacuum was drawn and argon gas was flowed out and the argon gas atmosphere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 Heat was applied at an elevated temperature of 5 ° C./min by an electric furnace, and 850 ° C. was set as the peak temperature.
  • the sample was induced for 1 hour, and the sample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five times.
  • the washed sample was subjected to impurity removal with the last diluted hydrochloric acid, and finally, TiC powder was obtained.
  • This powder was found to be pure TiC through XRD analysis and FE-SEM analysis, and the particle size was less than 300 nm.
  • the mixed powder was molded by press under a pressure of 1150 kgf / mm 2 or more, and after molding, it was placed in a carbon crucible and placed in an electric furnace. The vacuum was removed prior to heating the sample through the electric furnace and maintained in high vacuum throughout the experiment. Heat was applied at an elevated temperature of 5 ° C./min by an electric furnace, and 880 ° C. was set as the peak temperature.
  • the reaction was induced over 2 hours at the peak temperature and the sample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seven times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 the washed sample was subjected to impurity removal with the last diluted hydrochloric acid, and finally, TiC powder was obtained.
  • This powder was found to be pure TiC through XRD analysis and FE-SEM analysis, and the particle size was 250 nm or less.
  • TiC powd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powder was found to be pure TiC through XRD analysis and FE-SEM analysis, and the particle size was 370 nm or less.
  • FIGS. 1 and 2 For reference, XRD graphs and FE-SEM photographs when the TiC powders before washing with water of Examples 1 and 3 were mixed with CaO are shown in FIGS. 1 and 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타이타늄(TiO2), 칼슘(Ca) 및 탄소(C)를 혼합하는 단계;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타이타늄 카바이드(TiC)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타늄 카바이드와 산화 칼슘(CaO)을 분리하기 위해 수세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균일한 형상 및 입도로 제조가 가능한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타이타늄 카바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열환원법을 통해 구형화된 초미립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타늄 카바이드(TiC)는 공구재료에 사용될 때 절삭능 향상이나 경량화 및 내구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최근에는 그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타이타늄 카바이드의 우수한 절삭 특성은 높은 경도와 더불어 높은 용융점(3065 내지 3257℃)에 의한 열적 안정성과 낮은 전기 저항(60 내지 250μΩ㎝) 그리고 내마모성 및 내침식성이 우수함에 기인한 것으로 원료로 사용된 탄화티타늄의 순도 및 입도가 미세할수록 그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1 내지 1.5 미크론 크기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보다 더 미세한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을 얻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탄화티타늄 분말의 제조방법은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을 탄소와 혼합한 후 질소가 없는 고순도 수소분위기 하에서 약 2100 내지 2300℃로 가열하여 얻거나, 또는 이산화타이타늄을 염소와 반응시켜 사염화타이타늄(TiCl4)을 제조한 다음 이를 마그네슘이나 나트륨으로 환원시켜 얻은 타이타늄(스펀지 티탄)을 다시 탄소와 혼합하여 고온자전 합성(SHS:Self-propagation High temperature Synthesis) 공정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방법 중 특히 SHS법은 경제적이면서도 고순도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을 합성할 수 있다는 잇점때문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SHS방법은 고체인 금속 타이타늄과 고체 탄소를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으로서 그 반응열이 너무 커서 반응 후 거의 타이타늄 카바이드의 융점까지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생성입자가 확산, 성장하여 미세한 분말을 얻기가 거의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수미크론 이하의 미세한 입도가 요구되는 경우, 경도가 높은 TiC 분말을 다시 볼밀(ball mill) 등의 방법으로 오랜 시간 분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SHS반응시 냉각제로서 Ni 등의 천이원소를 첨가하여 3210℃의 반응온도를 천이금속의 용융잠열을 이용하여 탄화티타늄의 확산온도인 1500℃로 낮추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 30% 이상의 천이금속의 첨가가 필요하고 또 반응 후 여분의 금속을 산으로 녹여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SHS 방법으로 제조된 조대한 TiC 분말을 볼밀로 분쇄하는 경우에도 TiC가 취약하여 잘 부서지기는 하나 경도가 볼밀에서 사용되는 볼의 재료인 초경(WC)보다도 높아 분쇄 중 불순물의 함량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외에도, 졸-겔법(Sol-Gel process), 기계적 합금화(Mechanical Alloying) 등의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불순물이 혼입되기 용이하거나 반응변수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규모 분말생산을 하는데 있어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0546040호는 이수소화타이타늄을 탄소와 혼합하여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출발물질인 이수소화타이타늄 자체가 희소성이 높아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높으므로 상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대규모로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대규모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초미립자 형태의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산화타이타늄(TiO2), 칼슘(Ca) 및 탄소(C)를 혼합하는 단계;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타이타늄 카바이드(TiC)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타늄 카바이드와 산화 칼슘(CaO)을 분리하기 위해 수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타이타늄과 칼슘의 혼합비는 이산화타이타늄 1몰에 대하여 칼슘 2몰 초과 내지 6몰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산화타이타늄과 탄소의 혼합비는 이산화타이타늄 1몰에 대하여 탄소 1몰 내지 5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건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600℃ 내지 1500℃의 최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칼슘의 용융점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탄소질 용기에 담은 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성형한 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세하는 단계는 타이타늄 카바이드와 혼합된 산화칼슘을 물에 용해시켜 분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입도는 10nm 내지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수세된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산(acid)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은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수행되므로, 분말의 응집현상을 제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은 칼슘을 환원제로 사용함으로써 물질의 분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반적으로 균일한 반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은 매우 흔한 재료인 이산화타이타늄 및 칼슘을 사용하여 제조 원가가 높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은 대규모로 균일한 형상 및 입도를 갖는 타이타늄 카바이드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상용화에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실시예 1 및 3에서 수세 전에 TiC 분말과 부산물인 CaO 의 XRD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3에서 수세 전에 TiC 분말과 부산물인 CaO 의 FE-SEM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TiC 분말의 XRD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TiC 분말의 FE-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이산화타이타늄(TiO2), 칼슘(Ca) 및 탄소(C)를 혼합한다. 이산화타이타늄은 아나타제(anatase)형 또는 루타일(rutile)형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아나타제형이 루타일형보다 반응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아나타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산화타이타늄은 가능한 작은 입도를 갖는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초미립자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얻을 수 있는데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이산화타이타늄의 입도가 작을수록 타이타늄 카바이드의 입도가 작아질 수 있다.
칼슘은 이산화타이타늄을 환원하여 타이타늄이 탄소와 반응하도록 한다. 이 때, 이산화타이타늄과 칼슘의 혼합비는 이산화타이타늄 1몰에 대하여 칼슘 2몰 초과 내지 6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이 2몰 이하이면 미반응 이산화티탄이 잔존할 수 있으며, 6몰 초과이면 국부적으로 타이타늄 주변에 존재하는 칼슘의 양이 많아질 수 있고, 이는 조대한 입자의 생성 및 응집된 분말의 생성으로 이어져 균일한 분말의 생성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이산화타이타늄 1몰 대비 칼슘이 2몰이면 이산화타이타늄 전체가 반응이 가능하나, 실제적으로는 칼슘의 높은 반응성 때문에 산화되는 칼슘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론적인 양보다 많은 양의 칼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은 입도가 작을수록 반응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취급에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TiO2 에 비해 다소 큰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탄소는 타이타늄 카바이드의 탄소원이며, 당분야에서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탄,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으나, 제조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의 입도를 고려할 때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타이타늄과 탄소의 혼합비는 이산화타이타늄 1몰에 대하여 탄소 1몰 내지 5몰이 바람직하다. 탄소가 1몰 미만이면 미반응 이산화티탄이 잔존할 수 있고 Ti8C5 같은 불완전한 타이타늄 카바이드가 생성될 수 있으며, 5몰 초과이면 잉여 탄소가 이산화타이타늄과 칼슘의 접촉을 방해하여 타이타늄의 환원을 저해할 수 있다.
탄소의 경우도 지나치게 조대한 분말은 혼합에 있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칼슘보다는 작은 입도의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칼슘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공정은 습식 혼합 또는 건식 혼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습식 혼합은 칼슘의 산화를 억제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건식 혼합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혼합 시간은 출발 물질들이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출발 물질들의 입도나 혼합 방식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 분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타이타늄 카바이드(TiC)를 합성한다. 가열하는 단계는 각 출발물질의 반응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합성하는 단계이다. 타이타늄 카바이드가 합성되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TiO2+xCa+C → TiC+xCaO
가열은 적절한 속도로 상기 반응이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온도까지 승온하며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충분한 시간 동안 수행된다. 이 때, 최대 온도는 600℃ 내지 1500℃인 것이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온도는 칼슘의 용융점 이상이 것이 좋으며 그에 따라 칼슘의 용융점 내지 1500℃일 수 있다. 칼슘의 용융점 이상에서 반응을 진행시키게 되면, 칼슘이 액상으로 존재하게 되어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반응계에 존재하는 물질의 분배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물질의 분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면 균일하고 구형화된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얻을 수 있다.
가열 시 반응 혼합물의 용기는 반응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유리질 또는 세라믹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반응열에 의해 국부적인 반응이 유발되어 분말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탄소질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가열 전에 반응 혼합물을 가압하여 성형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을 가압 성형함으로써 입자들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여 반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타이타늄 카바이드와 산화 칼슘(CaO)을 분리하기 위해 수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의 부산물로는 산화 칼슘이 생성된다. 산화 칼슘은 물에 쉽게 용해되므로 수세를 통해 간단하게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산물 제거 공정이 쉽고 간단하므로, 본 발명은 고순도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수세된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산(acid)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세 이후 존재하는 미량의 불순물을 황산, 질산, 염산, 아세트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고순도의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입도는 10nm 내지 1㎛,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500nm이므로, 미립자 형태의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Anatase TiO2 9 mole 과 칼슘 23.4 mole, 탄소 9.0 mole 을 준비하였다. 이때 모든 시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가진 것으로 준비됐다.
모든 시료는 건식혼합을 통해 3hr 동안 혼합되었으며 혼합 중 칼슘의 산화를 막기 위해 내부에 아르곤 가스를 채워 넣었다.
혼합이 끝난 분말은 Press에 의해 1350 kgf/mm2 이상의 압력 하에서 성형되었으며 성형 후 탄소 도가니에 담겨 전기로 안에 넣어졌다. 전기로를 통해 시료에 열을 가하기 이전에 진공을 뽑고 아르곤 가스를 흘려보내주었으며 아르곤 가스 분위기를 실험 내내 유지하였다. 전기로에 의해 승온속도 5℃/min 로 열이 가해졌으며 850℃를 peak 온도로 설정하였다.
peak 온도에서 시료는 1시간에 걸쳐 반응이 유도되었으며 반응이 끝난 시료는 5회에 걸쳐 증류수에 의해 수세처리되었다. 수세처리된 시료는 마지막으로 희석된 염산에 의해 불순물 제거공정을 거쳤으며, 최종적으로 TiC 분말이 얻어졌다. 이러한 분말은 XRD 분석과 FE-SEM 분석을 통해 순수한 TiC 로 나타났으며 입도는 300nm 이하였다.
실시예 2
Anatase TiO2 4.5 mole 과 칼슘 11.7 mole, 탄소 5.0 mole 을 준비하였다. 이때 모든 시료는 99% 이상의 순도를 가진 것으로 준비됐다. 모든 시료는 습식혼합을 통해 30분 동안 혼합되었으며 혼합 중 칼슘의 산화를 막기 위해 혼합용 용기 내부에 아르곤 가스를 채워 넣었다.
혼합이 끝난 분말은 Press 에 의해 1150 kgf/mm2 이상의 압력 하에서 성형되었으며 성형 후 탄소 도가니에 담겨 전기로 안에 넣어졌다. 전기로를 통해 시료에 열을 가하기 이전에 진공을 뽑고 실험 내내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였다. 전기로에 의해 승온속도 5℃/min 로 열이 가해졌으며 880℃를 peak 온도로 설정하였다.
peak 온도에서 시료는 2시간에 걸쳐 반응이 유도되었으며 반응이 끝난 시료는 7회에 걸쳐 증류수에 의해 수세처리되었다. 수세처리된 시료는 마지막으로 희석된 염산에 의해 불순물 제거공정을 거쳤으며, 최종적으로 TiC 분말이 얻어졌다. 이러한 분말은 XRD 분석과 FE-SEM 분석을 통해 순수한 TiC 로 나타났으며 입도는 250nm 이하였다.
실시예 3
칼슘을 28.8 mol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TiC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분말은 XRD 분석과 FE-SEM 분석을 통해 순수한 TiC 로 나타났으며 입도는 370nm 이하였다.
참고로, 실시예 1 및 3의 수세 전 TiC 분말이 CaO와 혼합되어 있는 경우의 XRD 그래프와 FE-SEM 사진을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칼슘의 함량에 따라 TiC 입자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TiC 분말의 XRD 그래프와 FE-SEM 사진을 각각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이산화타이타늄(TiO2), 칼슘(Ca) 및 탄소(C)를 혼합하는 단계;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여 타이타늄 카바이드(TiC)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타늄 카바이드와 산화 칼슘(CaO)을 분리하기 위해 수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타이타늄과 칼슘의 혼합비는 이산화타이타늄 1몰에 대하여 칼슘 2몰 초과 내지 6몰 이하인,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타이타늄과 탄소의 혼합비는 이산화타이타늄 1몰에 대하여 탄소 1몰 내지 5몰인,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건식으로 수행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600℃ 내지 1500℃의 최대 온도에서 수행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칼슘의 용융점 이상에서 수행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탄소질 용기에 담은 후 수행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가압하여 성형한 후 수행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하는 단계는 타이타늄 카바이드와 혼합된 산화칼슘을 물에 용해시켜 분리하는 단계인,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입도는 10nm 내지 1㎛인,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된 타이타늄 카바이드를 산(acid)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PCT/KR2014/007437 2013-08-27 2014-08-11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WO20150303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611 2013-08-27
KR20130101611A KR101494340B1 (ko) 2013-08-27 2013-08-27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388A1 true WO2015030388A1 (ko) 2015-03-05

Family

ID=5258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437 WO2015030388A1 (ko) 2013-08-27 2014-08-11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64094A1 (ko)
KR (1) KR101494340B1 (ko)
WO (1) WO2015030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653A (zh) * 2019-07-12 2019-10-08 北京科技大学 一种碳化钛颗粒的表面改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677B1 (ko) 2018-08-23 2020-02-11 주식회사 나노테크 텅스텐과 티타늄 복합 탄화물 분말의 제조 방법
CN109279606A (zh) * 2018-10-31 2019-01-29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促进熔渣中TiC长大的方法
CN114890423B (zh) * 2022-04-30 2024-04-09 浙江万畅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合成碳化钛/碳的方法
CN115818646A (zh) * 2022-12-14 2023-03-21 昆明理工大学 一种碳化钛粉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1775A (en) * 1991-12-03 1993-05-18 Rmi Titanium Company Removal of oxide layers from titanium castings using an alkaline earth deoxidizing agent
KR20100113092A (ko) * 2008-01-23 2010-10-20 트라듐 게엠베하 무감각화된 금속 분말 또는 합금 분말 및 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반응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1775A (en) * 1991-12-03 1993-05-18 Rmi Titanium Company Removal of oxide layers from titanium castings using an alkaline earth deoxidizing agent
KR20100113092A (ko) * 2008-01-23 2010-10-20 트라듐 게엠베하 무감각화된 금속 분말 또는 합금 분말 및 이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반응 용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V. KASIMTSEV ET AL., THE MECHANISM AND KINETICS OF PRODUCING SINGLE-CRYSTAL POWDERS OF TITANIUM CARBIDE VIA A HYDRIDE-CALCIUM METHOD, 2008 *
D. V. BAVBANDE ET AL., STUDIES ON THE KINETICS OF SYNTHESIS OF TIC BY CALCIOTHERMIC REDUCTION OF TI02 IN PRESENCE OF CARBON, 200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653A (zh) * 2019-07-12 2019-10-08 北京科技大学 一种碳化钛颗粒的表面改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340B1 (ko) 2015-03-04
US20150064094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0388A1 (ko) 타이타늄 카바이드 분말의 제조방법
WO2016024689A1 (ko) 탄질화티타늄 분말의 제조 방법
Xue et al. Decomposition kinetics of titanium slag in sodium hydroxide system
US4241037A (en) Process for purifying silicon
KR100583702B1 (ko) 가스상의 환원제로 산화물을 환원시켜 금속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금속 분말
EP2618087B1 (en) Distillation equipment for producing sponge titanium
JP2000119710A (ja) ニオブ粉末、及びニオブ粉末及び/又はタンタル粉末の製造方法
JP2634210B2 (ja) 粉末状チタン酸バリウムの製造方法
WO2012148034A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 탄화규소 제조방법
CN109721357A (zh) 一种单分散粒度可控的纳米钇稳定的氧化锆粉末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673396B (zh) 一种高纯硫化亚铜的制备方法
US4152281A (en) Molten salt synthesis of lead zirconate titanate solid solution powder
EP3494241A1 (en) A method of producing titanium from titanium oxides through magnesium vapour reduction
WO2020040353A1 (ko) 텅스텐과 티타늄 복합 탄화물 분말의 제조 방법
CN113292076B (zh) 一种冷氢化工艺后四氯化硅渣浆冶炼回收技术
CN109778349B (zh) 超高温ZrSi/ZrC复合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
CN111039322A (zh) 一种高活性氧化锆的制备方法
CN110228819A (zh) 一种纳米氧化锆粉体的水热制备方法
JPH0280318A (ja) あらかじめ決められた粒子寸法を有する耐火性金属ホウ化物の合成法
US2723182A (en) Method of producing alkali metal titanium double fluorides in which the titanium has a valence of less than four
JPH1072253A (ja) 高密度ito焼結体の製造方法および高密度ito焼結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itoスパッタターゲット
CN111410197B (zh) 多面体硅晶的制备方法
WO2020130531A1 (ko) 칼슘 하이드라이드의 제조 방법
WO2016028009A1 (ko) 전해채취법을 이용한 티타늄의 제조방법
CN110002407B (zh) 一种碳热反应合成金属硫化物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06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406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