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4135A1 -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 Google Patents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4135A1
WO2014204135A1 PCT/KR2014/005191 KR2014005191W WO2014204135A1 WO 2014204135 A1 WO2014204135 A1 WO 2014204135A1 KR 2014005191 W KR2014005191 W KR 2014005191W WO 2014204135 A1 WO2014204135 A1 WO 20142041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ture
skin
sheet
s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1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훈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제약
(주)에이치비메디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667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8253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제약, (주)에이치비메디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제약
Priority to CN201480035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491961A/zh
Publication of WO20142041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41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8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elliptical or 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5Kidney-shaped, e.g. bean-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17Angular sha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39H-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28Shapes in the form of latin or greek characters
    • A61F2230/0058X-shap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for lifting (lifting) the skin or inflating the volume of skin tissue, wherein the skin is inserted into the skin layer to lift the skin and the skin tissue is formed to induce skin interlayer adhesion to remove the wrinkles by maintaining the lifted state o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for expanding skin tissue volume to improve elasticity and the like and to promote volume.
  • wrinkles appear on the surface of their face or body, and the principle of wrinkles is the contraction of muscles and the striking of the skin and fat layers by gravity. Wrinkles are made perpendicular to the contraction direction of the muscles and become deeper with age.
  • Wrinkle removal can be divided into 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 botox paralysis of the muscles that provide the cause of wrinkles is widely used, but an unnatural expression is created, and it is difficult to use under the eyes, lower lip, or wrinkles of the eyes, and there are limitations on thick or deep wrinkl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nly lasts 3-6 months.
  • One of the physical methods is to use a filler to get out the inlet area.
  • the liquid filler is convenient to inject, but every time the muscle moves after injection into the skin, the movement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contraction of the muscle so that the indentation is relatively higher. It brings about the phenomenon of getting into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ecomposed and absorbed after a certain period (about 1-2 years).
  • Another physical method is to insert a very thin gold threa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which causes a foreign body reaction to create a new tissue around the gold thread, but is limited to use in coarse wrinkles. There is a risk of bending or protruding out of the skin and remains permanent, causing interference when X-rays, CT, MRI, etc. are taken, which may cause problems in diagnosis.
  • Another physical method is facial cohesion, which pulls the skin away to remove parts of the sagging skin, but these methods are more likely to recur over time and deliver forces on each part of the three-dimensionally configured facial contours. Because of this different wrinkle removal may not be even. In addition, the skin is very stretched and the wrinkles are severe when the effect is the greatest, if the skin is th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gical method is not effective.
  •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u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skin to lift the skin to improve or remove skin wrinkles.
  • a lifting effect of improving or removing wrinkles is to provide a skin lifting suture that can be (semi) permanently persisted.
  •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one or more through-holes for lifting the skin to improve or remove the skin wrinkles and allow the surrounding tissue cells to grow into the tissue formation and interlayer adhesion, and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A suture having the shape of a sheet is provided.
  • the present disclosure also provides a kit comprising a suture for lifting the skin.
  • the sutu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kin layer to physically remove wrinkles formed on the skin by lifting the skin, and the surrounding tissue cells of the inserted suture grow into the suture to induce new tissues to form in the skin to lift the skin.
  • the effect of removing wrinkles is to be sustained (semi) permanently.
  • the sutu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preven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new skin tissue is firmly formed so that the suture is struck and the wrinkles are struck again by gravity and recur.
  • the su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rotrusions located at each corner of the upper, lower, side, or cross-s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rotrusions in these positions may allow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lower protrusion to lift the fascia layer. Can be. Due to this, the su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uture, can deliver a force to each skin layer properly to lift the skin more reliably, and exhibit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lifting or wrinkle removal effect of the applied skin lasts for a long time.
  • the skin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layer struck by gravity have elasticity similar to that of the underlying skin muscles, thereby improving or removing skin wrinkles.
  • the su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effectively improve or remove wrinkles by lifting the skin in accordance with three-dimensional facial contours, and it is applied to adults who have a very thin wrinkles or those who have relatively early wrinkles because the skin is very thin. The effect is to continuously improve or remove wrinkles.
  • the suture herein has the effect of inflating the volume of skin tissue by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tissue cells to improve or eliminate wrinkles.
  • FIG. 1 shows two perspective views of a suture including a through hole and having a shape of a sheet whose length is long compared to its width.
  •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of the cross-section dumbbell-shaped to both sides are in the shape of a tube.
  • 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 including a through-hole in the form of a mesh hole.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through holes in the form of mesh holes.
  • Figure 5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polygon and the modified polygon of the various types of suture cross-section.
  • Figure 6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 elliptical, modified oval and dumbbell shape of the various types of suture cross section.
  • FIG. 7 is a plan view of a suture including one or more knots.
  • FIG. 8 shows a cross section of a suture thicker on both sides.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ture including one or more clasps at their longitudinal ends.
  •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through holes included in a suture.
  • FIG 11 illustrates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s in the suture when the cross section is polygonal.
  • Figure 12 shows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s in the suture when the cross section is hexagonal.
  • Figure 13 shows the location of the projections in the suture when the cross section is a hexagonal cross-section in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cave curved and pointed cross section, and when the cross section is a dumbbell shape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projections.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ture including protrus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sheet.
  •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uture in which at least one protrusion having a decalcomania structure is present.
  • FIG. 16 illustrates an arrangement or position of one or more protrusions included in a suture.
  • 17 is a longitudinal section showing the shape of one or more protrusions included in a suture.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71199 filed June 20, 2013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66759 filed June 2, 2014
  • This application also claims the benefit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10-2013-0071199 and 10-2014-0066759,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comprising, in one aspect, one or more apertures and having the shape of a sheet whose length is long compared to its width.
  • skin refers to an organ that covers the exterior of an organism and is composed of the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layer and includes the scalp and hair as well as tissues covering the outside of the face or the entire body. to be.
  • suture means a threa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kin for medical or cosmetic purposes, without limiting its shape.
  • tissue formation means that new skin tissue is formed to fill in scarcity or repair damaged skin tissue in the skin layer.
  • skin layer refers to one or more layers that make up the skin and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the epidermal layer, the dermal layer, the subcutaneous fat layer, as well as the skin fascia layer and the skin muscle layer.
  • attachment herein is meant that one or more skin layers that have been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 insertion of the suture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and are organically bonded due to tissue formation between the layers.
  • lifting means pulling or pulling up the skin by a suture, and the lifting may be performed by protrusions, knots or clasps included in the suture.
  • the suture herein may have the effect of physically improving or removing wrinkles on the skin surface by lifting.
  • the suture is inserted in the epidermis, dermis or subcutaneous fat layer in the sagging or crumpled skin and lifts the wrinkled skin layer by the protrusions, knots or clasps that the suture contains. I can lose it.
  • the suture can induce the formation of new skin tissue by the tissue cells surrounding the suture to grow into the suture through the pores included in the suture so that wrinkles do not recur after lifting, thereby forming a new skin tissue This tightly formed can prevent the sutures from struck and the wrinkles can be struck again by gravity to prevent the recurrence.
  • the suture is not only inserted into the skin and lifted as described above, but also by inserting into the skin without lifting to induce the formation of new tissue cells to expand the volume of skin tissue to improve wrinkles or It can have the effect of removing.
  • volume may refer to a volume, volume, or volume of the skin layer surface or inside, and may refer to a sense of volum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 volume may refer to a volume, volume, or volume of the skin layer surface or inside, and may refer to a sense of volum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 the skin when the skin is damaged due to an external force, a wound, a burn, or a burn, the resulting scar, a dent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kin, or an incision in the skin or tissue due to surgery, etc.
  • the volume When the volume is expanded, the volume of the tissue and the skin layer of the damaged part may be increased, and the skin or tissue may be repaired to have an effect of approaching the original state.
  • expansion may mean that the volume of the skin layer is increased and increased, or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kin may mean that the feeling of volume is enhanced and taut, which is healthy. Therefore, when the volume of the skin tissue is expanded, the volume of the portion of the skin layer which has been increased due to aging is increased, and the surface of the skin is stretched together to remove wrinkles.
  • wrinkle is the broadest concept including wrinkles that may occur due to elongation of the skin surface due to aging or ultraviolet light.
  • sheet means that the thickness may be less than the length,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kin.
  • Length as used herein means the longest part of the sheet and means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sheet to the opposite end.
  • width means the longest of the segments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transverse cross section of the sheet
  • thickness means the longest of the segments connecting the two longitudinal end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Width and thickness may be the same length.
  • through means a hole that penetrates one side of the suture having the shape of a sheet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suture.
  • the aperture may be to allow the surrounding tissue cells to grow into tissue formation and skin interlayer adhesion can occur.
  • the perforations may allow the surrounding tissue cells to grow into new tissues to prevent the suture from sagging and the recurrence of wrinkles.
  • the aperture may be polygonal, modified polygonal, circular, hole shape of the mesh, oval or modified oval.
  • the through hole may be in the form of a hole in the mesh.
  • the hole of the mesh may be a horizontal or vertical is acute or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ture.
  • polygon refers to a shape having three or more faces, and polygonal forms a convex or concave curve at both ends of a triangle, a square, a rectangle, a parallelogram, a trapezoid, a rhombus, a pentagon, a hexagon, and a hexagonal longitudinal direction. Pointed hexagons (see c, d of FIG. 13), convex unevenness (concave), concave unevenness ( ⁇ ) and one or more cross-overlapping shape (+ or ++)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deformed polygon means a figure consisting of one or more straight faces and one or more curved lines.
  • one side of the triangle is concave
  • one side of the triangle is convex
  • one side of the square is convex
  • one side of the square is concave
  • one or more sides of the polygon are concave.
  • convex shape, and convex unevenness may be a convex shape of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toge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ircular means a set of points at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one point and their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diameter.
  • elliptic means a set of points where the sum of distances from two vertices on a plane is constant, and the size of the ellipse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m.
  • a "deformed oval” means a shape in which one side protrudes in a circle or oval, a shape in which two sides protrude in a circle or oval, a shape in which three sides protrude in a circle or oval, a circle or It refers to a shape in which four sides protrude from an oval, a shape having one or more dents in a circular or oval shape, or a shape in which the edge of the figure is curved only.
  • the term "polygon” or “deformed polyg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only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sharply angled, but also inevitably curved or convex or round in ang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the concept also includes forms.
  • the suture in which the surface is curved or convex and rounded in shape, the suture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3C, but is not limited thereto. Such a shape i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both sutures.
  • the term "subtle form” refers to a shape having a shape of a straight or curved line in the middle of the figure and including a polygon, a modified polygon, a circle, an ellipse, and a modified oval at both ends of the straight line or the curve.
  • the suture may be one of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polygon, modified polygon, circular, oval, modified oval, and dumbbell.
  • mesh is meant herein a shape in which one or more straight lines or curves are arranged parallel, oblique or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to form one or more apertures.
  • the width or length may be acute or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ture.
  • the horizontal or vertical forms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it may exhibit a shape like a lattice pattern.
  • modulus of elasticity refers to the degree of strain that occurs when the elastic material is stressed and refers to the modulus of elasticity measured by conventional methods used in the art.
  • the mesh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may be a high elastic material, and the mesh por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may be a low elastic material.
  • the high elastic material may have an elastic modulus of at least 300 MPa, at least 350 MPa, at least 400 MPa, at least 450 MPa, at least 500 MPa, at least 550 MPa, at least 600 MPa, at least 650 MPa, or at least 700 MPa.
  • the low elastic material has an elastic modulus of 200 MPa or less, 180 MPa or less, 160 MPa or less, 140 MPa or less, 100 MPa or less, 50 MPa or less, 30 MPa or less, 10 MPa or less, 5 MPa or less, 1 MPa or less, or 0.1 MPa or less Can be.
  • the high elastic material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eflon
  • the low elastic material may be polypropylene or nyl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ture may be a cross-section polygonal, modified polygonal, circular, oval, modified oval or dumbbell.
  • not refers to a node included in a suture having a sheet shape, and the suture itself is bundled to form a node, or a suture is made by making a node by dipping into a frame or integrally with a suture. It may be formed by making a node, or by making a suture and inserting a separately made node into the su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ture may be one or more knots.
  • the suture may be thicker on both sides of the width than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sheet.
  •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sheet may be 1% to 100%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dth of the sheet.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sheet is at least 5%, at least 10%, at least 15%, at least 20%, at least 25%, at least 30%,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width of the sheet. It may be 35% thicker, 40% thicker, or 45% thicker.
  • the thickness of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sheet is 95% or less, 90% or less, 85% or less, 80% or less, 75% or less, 70% or less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sheet's width Thicker, at most 65%, at most 60%, at most 55%, or at most 50%.
  • the suture may be tube-shap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 the tube may be filled inside or empty inside and may have a circular, elliptical, modified oval, polygonal, modified polygon, or dumbbell shape in cross section.
  • the "average dimension" means the average length of all sides or the average length of all diagonal lines in the case of a polygon, and the length of the longest as a line segmen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deformed polygon, and the circle in the case of a circle or an ellipse.
  •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is the length of the longest one
  • the deformed oval means the average length of five arbitrary line segments including the longest and the shortest as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means the length of the longest.
  • the through hole may have an average dimension of 0.01mm to 10mm.
  • the through hole has an average dimension of 0.01mm to 4mm, 0.05mm to 9mm, 0.1mm to 8mm, 0.5mm to 7mm, 1mm to 6.5mm, 1.5mm to 6mm, 2mm to 5.5mm, 3mm to It may be 5mm, or 3.5mm to 4.5mm.
  • the through hole has an average dimension of at least 0.01 mm, at least 0.05 mm, at least 0.1 mm, at least 0.15 mm, at least 0.2 mm, at least 0.3 mm, at least 0.5 mm, at least 1 mm, at least 2 mm, at least 3 mm.
  • the width of the suture may be from 0.1mm to 50mm. 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suture may be 0.5mm to 10mm.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width of the suture may be at least 0.1mm, 0.5mm or more, 1mm or more, 2mm or more, 3mm or more, 4mm or more, 5mm or more, 10mm or more, 15mm or more, 20mm or more, or 25mm or more. .
  • the width of the suture is 50mm or less, 45mm or less, 40mm or less, 30mm or less, 27mm or less, 25mm or less, 20mm or less, 15mm or less, 10mm or less, 5mm or less, 1mm or less, or 0.1mm or less Can be.
  • the thickness of the suture may be from 0.001mm to 10mm. In addition,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uture may be 0.1mm to 5mm.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uture may be 0.005mm or more, 0.01mm or more, 0.05mm or more, 0.1mm or more, 0.5mm or more, 1mm or more, 2mm or more, or 3mm or more.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uture may be 10mm or less, 9mm or less, 8mm or less, 7mm or less, 6mm or less, 5mm or less, 4mm or less, 3mm or less, 2mm or less, 1mm or less, or 0.1mm or less.
  • protrusions are shaped so that when the sheet is inserted into the skin, it can be fixed or hooked to the inserted skin layer and can be made integrally as an incision in both sides of the sheet or as a separate form on both sides of the shee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rusions may be fixed to each layer after lifting up or pulling up the fascia layer and subcutaneous fat layer at the same time, and thus the su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rts a force on each skin layer. It can be delivered well to effectively lift or remove wrinkles, and this effect lasts for a long time.
  •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a method produced from a suture, a method of making a unitary body by a mold, or a method of making a protrusion separately and binding to a su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hod of raising the projections from the suture may be a method of cutting, cutting or cutting the portion where the projections are to be placed.
  •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by cutting or cutting each corner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s polygonal or deformed polyg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s circular, elliptical, modified oval, or dumbbell-shaped.
  • the thickness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thicker than other portions.
  •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s hexagonal, projections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S. 12 (f) and 14 (n) to (q), and when the cross section is dumbbell type, projections are formed as shown in FIG. 13 (d). Can be.
  • the suture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protrusions.
  •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kin to lift the skin layer.
  • the protrusion may be equal to or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suture width.
  • the protrusion may be 1% to 100% of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suture width.
  • the projections are at least 5%, at least 10%, at least 15%, at least 20%, at least 25%, at least 30%, at least 35%, at least 40%, or at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suture width, or
  • the protrusions may be at least 45% thick and the protrusions may be no greater than 95%, no greater than 90%, no greater than 85%, no greater than 80%, no greater than 75%, no greater than 70%, no greater than 65%, no greater than 60%, 55% of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suture width. Or less than or equal to 50%.
  • the protrusion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suture is a polygon, the protrusion may be located on one or more sides, vertices or corners of the polygon.
  •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may be to include a square or a rectangle.
  • the suture projections may include upper projections, lower projections, and side projections.
  • the upper projections, the lower projections and the side projections mean all the projections located on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and the side part of the suture, for example, the upper projection is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olygo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s polygonal or Or it may be located at the vertex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lygon, which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bottom and side projections.
  • the projection may be located on one or more of the two sides 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and may be additionally located at one or more vertices of the polygo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s a polygon.
  • the protrusion may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protrusion is a subcutaneous fat layer, the lower protrusion may simultaneously lift the fascia layer, Due to this, the force can be properly transmitted to give an effective lifting or wrinkle removal effect and the effect can last for a long time.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urfaces based on the longest line segmen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heet.
  • the protrusion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sheet, 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may be located 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 the side protrus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pull up the fibrous tissue between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fascia layer.
  • the cross section when the cross section is a rectangular projections may be locat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oss section is a rectangular projection may be locat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ojection of the sheet It may be located at both the corner of the upper side and the edge of both sides.
  • the projections are located in all directions, the upper projections are the subcutaneous fat layer, the lower projections are the fascia layer, and the lateral projections on both sides can simultaneously lift the fibrous tissue between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fascia layer. Lifting together can result in more effective and significant lifting or wrinkle removal.
  • the protrusion when the protrusion has a decalcomania structure, the lower part in contact with the portion to be lifted is the upper protrusion subcutaneous fat layer, the lower protrusion simultaneously lifts the fascia layer and faces the lower part.
  • the upper projections facing in the viewing direction can be fixed to the fascia and subcutaneous layers of the upper face or temporal fascia portion after lifting the lower portion.
  • the protrusion may have one or more decalcomania structure.
  • the protrusion may have one or more, two or more, three or more, four or more, five or more, six or more, seven or more, eight or more, nine or more, or ten or more decalcomania structures.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suture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one or more decalcomania structure.
  • the skin may be evenly lifted instead of partially lifting the skin.
  • the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having two decalcomania structures may be in the shape of FIG. 15,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 "decalcomania structure” means that one or more protrusions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or the back of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ecalcomania structure.
  • the protrusion may have one or more such decalcomania structures.
  • the projection may be a pointed shape, hook shape, curved shape, modified polygonal shape or polygonal shape.
  • the hook shape may be bent end.
  • the protrusions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heet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sheet in the same direction or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projection is opposite to that on the opposite side, the projection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sheet or on the lower side of the width or at one or more corners of the sheet. It may be.
  • any protrusion may be fixed to the upper skin layer with respect to the skin incision surface, and the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lower skin layer with respect to the incision surface.
  • one of the protrusions may be fixed to the subcutaneous fat layer of the skin to lift the skin to smooth out the wrinkles, and the other of the protrusions may be fixed to the fascia after pulling out the skin to prevent the skin from striking again.
  • the "clasp" is different from the protrusion, and in the case of the protrusion, one or more sides or edges of the suture width are fixed in the skin, and the clasp is present at the longitudinal end, and the size and thickness thereof are larger than the protrusion. It means big.
  • the clasp included in the suture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integrally forming by the frame or by a method of making a separate clasp to couple to the su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ture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clasps at the longitudinal ends.
  • the latch may be located in the same place where the projection is located.
  • the clasp may be inserted into the skin to lift the skin layer.
  • Growth factor herein refers to a platelet-derived growh factor (PDGF), angiogenesis factor (AGF),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 (TGF- ⁇ ),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 (TGF- ⁇ ).
  • PDGF platelet-derived growh factor
  • AGF angiogenesis factor
  • FGF fibroblast growth factor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he suture may be to include a growth factor on or inside the sheet.
  • the suture may be part or all made of a biodegradable polymer, a non-biodegradable polymer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suture is polyglycolic acid (PGA), hyaluronic acid (HA), polylactic acid (PLA), polyglyco-lactic acid (poly (lactic-co) -glycolic acid): PLGA) and may be made of one or more biodegradabl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dioxanone (P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DS polydioxanone
  • the suture may be made of one or more non-biodegradabl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propylethylene, nylon, silicone and Teflon (Tefl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suture In the case of a su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nserted into the skin layer by a method that may be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suture may be made in one piec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 comprising a suture and a need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it may further comprise an attachment mean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fascia.
  • the attachment means may include a mesh (mesh), gauze, or plate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be attached to the fascia to secure the suture.
  • the kit may further comprise a description of how to use the suture.
  • the method of using the suture is as follows.
  • Figure 1 (a) is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or more through-holes to allow the surrounding tissue cells to grow into tissue formation and skin interlayer adhesion and to prevent the suture is struck and recurrence of skin wrinkles 10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uture having a shape of a sheet whose length is long compared to its width.
  • Suture 10 has a shape of a long sheet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kin, the surrounding tissue cells grow into a tissu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kin and the suture is struck accordingly And through-holes 100 to prevent recurrence of wrinkles on the skin and to cause skin interlayer adhesion to expand in overall skin volume.
  • Figure 1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uture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s 200 as a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s 200, and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kin, the protrusions may be fixed to one or more skin layers so that the suture 10 may not be moved by external force. In addition, through the protrusions 200, the suture 10 may be fixed to one or more skin layers and then lift the skin, thereby spreading the wrinkles visi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kin.
  • Figure 2 is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500 includes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and protrusions 210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ircular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uture of the dumbbell-shaped including.
  • the protrusion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both ends of the sutur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the protrusion 200 shown in FIG. 1B, or the suture longitudinal direction amount as the protrusion 210 shown in FIG. 2. It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ds.
  • FIG. 3 is a suture 1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specification, both sides of the sheet 10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5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10, the through-hole 110 and the projection 210 in the form of one or more mesh hole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uture containing.
  • the tube locat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10, as shown in Figures 5 and 6 as well as circular, polygonal, such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heet except the protrusions, modified It may be polygonal, elliptical, or modified elliptical.
  • Figure 4 is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lan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through-holes in the form of mesh holes.
  • a shows a through-hole 120 in the form of a mesh hole consisting of only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 b shows a through hole 130 in the form of a mesh hole consisting of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 c it shows a through-hole 140 in the form of a mesh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upper right corner
  • (d) shows the through-hole 150 in the form of a mesh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ower right corner.
  • e shows a through-hole 160 in the form of a mesh mesh hole made by overlapping two diagonal lines.
  • the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ormed of a curved portion or a combination of curved lines and straight lines as well as portions of the mesh as well as the through-holes in the form of mesh holes shown in FIGS. 3 and 4.
  • FIG. 5 is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ws that the polygon of the various forms of the suture cross-section including one or more projections 210.
  • the hatched portion is a portion of the suture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100 does not pass and the portion without the hatch means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 the cross section is square for (a),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for (b), the cross section is rhombus for (c), the cross section is parallelogram for (d), and (e)
  • the cross section is trapezoidal, (f) is pentagonal in cross section, (g) is hexagonal in cross section, (h) is convex and irregular in cross section, and (i) is It is cross-shaped, and in case of (j), the cross section shows the shape of overlapping two crosses.
  • FIG. 6 is a suture 1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one or more protrusions 210 of the various forms of the suture cross-section showing a circular, elliptical and modified oval.
  • (a) is a circular cross section
  • (b) i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 (c) is a straight cross section of a dumbbell shape
  • (d) is a curved cross section of a dumbbell shape.
  • (e) is a deformed oval cross section with one end protruding sharply
  • (f) is a deformed oval cross section with two pointed protruding prongs
  • (g) is a deformed oval with three pointed protruding protruding ends.
  • (H) is a deformed elliptical cross section with four points protruding sharply
  • (i) is a deformed elliptical cross section with a curved edge only
  • (j) is a curved elliptical cross section. Another modified oval cross section is shown.
  • FIG. 7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 suture including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and one or more knots 300. This figure shows that the knot may be formed by tying the suture itself to form a knot as a node.
  • a suture 10 compris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and one or more protrusions 21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thicker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compared to the center of the sheet. It is shown.
  • the hatched portion is a portion of the suture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100 does not pass and the non-hatched portion means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 (a) is a cross section in which the center of the suture is concave to thicken the thickness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 (c) show the cross section which is a shape in which both sides were convex shape in (a).
  • the cross-section of the suture thicker than the center of th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et may be a dumbbell-like as shown in Figure 6 (c) and (d).
  • suture 10 comprising one or more apertures 1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sutures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clasps 400 at longitudinal ends.
  • the suture 10 includes a clasp 400 at one end
  • the suture 10 includes a clasp 410 at both ends
  • a suture comprising two clasps 430 at both ends one clasp with a longitudinal upper face and the other clasp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and facing each other
  • e) represents the shape of the suture including two clasps 440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ture of the rectangular shape.
  • FIG. 10 is a suture 10 includ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ws a plan view of a suture including various types of through holes.
  • (a) is a circular through hole 100
  • (b) is a small circular through hole 101
  • (c) is a triangular through hole 102
  • (d) is a triangular through hole arranged side by side 103 )
  • (e) is a rectangular through hole 104
  • (f) is a rhombic through hole 105
  • (g) is a pentagonal through hole 106
  • (h) is a hexagonal through hole 107
  • (i) One of the shape of the modified polygon, one side of the rectangle is concave through holes (108),
  • (j) is an elliptical through hole (109),
  • (k) is a modified ellipse with one end pointed through (111),
  • ( l) shows the through hole 112 of the grid pattern in the form of the mesh hole, and (
  • Figure 11 is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cross section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s in the suture when the rectangle of the polygon.
  • (a) is a cross section of the suture where the protrusions 220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ame side
  • (b) is a cross section of the suture where the protrusions 220 are opposite to each other
  • (c) is a protrusion at all corners It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suture 220 is located.
  • (d) shows the cross-section of the suture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in addition to the protrusion 220 is located at all corners.
  • FIG. e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ncluding the protrusions 220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n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 (f)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220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protrusions 221 located on both sides when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 the cross-sectional shape is rectangular, but any polygonal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protrusions of this arrangement.
  • FIG. 12 is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cross section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s in the suture when the hexagon.
  • this feature has the advantage that can easily generate a projection in the later generation of the projection.
  • (a) i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where the protrusions 220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ame side
  • (b) i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where the protrusions 220 are opposite to each other
  • (c) is except the sides It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projections 220 are located at all vertices.
  • (d)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further including protrusions 22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ture in addition to the protrusions 220 are located at all vertices.
  • (e)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220 locat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nd protrusions 221 located on both sides.
  • (f)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n which both sides protruding sharp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are cut by a dotted line to form protrusions 221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cutting can be done not only at the vertices on both sides but also at all vertices to create new projections.
  • Figure 13 is a sutu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suture and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accordingly.
  • (a) is a suture having a concave curved pointed cross-section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hexagonal cross s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220 located at a vertex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 (b) is In the suture of (a) shows a cross-section of the suture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221 located at the vertices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c) is a concept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polygon” or “deformed polyg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u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is curved or convex when the cross section is a polyg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orm which was finished and the angle was rounded off.
  • the cross section shows a suture in which a dumbbell-shaped suture is cut, and a portion of the suture is newly generated by cutting the dumbbell portion by a dotted line and a protrusion 220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 protrusion 221 extending in both sides.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ture including suture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protrusions 230 disposed at both side surfaces, upper and lower surfaces, or each corner of the sutur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is a suture thicker on both sides than the center of the sheet, the center of which is concave, the suture comprising one or more protrusions 230 on its side
  • (b) i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on both sides Suture including one or more projections 230
  •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ture including one or more projections 230 on both sides as a straight cross-section of the dumbbell shape.
  • FIG. 14 (d) to (k) show a perspective view of a sutur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 (d) shows a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230 and a through hole 100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otrus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ture represent the sutures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 (e) shows the suture including the protrusions 230 and the through-hole 100 located at each corner of the suture, showing the sutures with the projections located at each corner in the same direction.
  • (f) shows the suture including the protrusion 230 and the through-hole 100 located in the upper low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like (d) indicates a suture that is a decalcomania structure of the protrusions on the lower surface facing each other .
  • (g) shows a suture including the protrusions 230 and the through holes 100 located at each corner, and the sutures having the decal commania structures facing each other.
  • (h) shows the suture including the protrusion 230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ojection 231 and the through hole 10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tures of which the projections face in the same direction It is shown.
  • the upper protrusions when the protrusions are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upper protrusions can simultaneously lift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lower protrusions of the fascia layer, in particular, the protrusions have one or more decalcomania structures. If the low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part to be lifte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ubcutaneous fat layer, and the lower part is lifting the fascia layer at the same time. It can be fixed to the fascia layer and subcutaneous layer of the temporal fascia portion. As such, when the protrusion has one or more decalcomania structures, the suture is prevented from being struck again by gravity after the procedure, and thus the lifting or wrinkle removal effect may be more effectively and continuously.
  • FIG. 14 shows a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230 positioned a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otrusion 231 and a through hole 100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ojections facing each other.
  • the suture which has a substructure is shown.
  • (j)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protrusion 231 and a through hole 100 locat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suture represents a suture facing the same direction.
  • (k)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projections 231 and through holes 100 locat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which has a decalcomani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Suture.
  • FIG. 14 (l) to (q) show perspective views of a suture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 (l)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ture and protrusions 231 and the through holes 100 locat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tures facing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 (m)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and upper sides, and a projection 231 and a through hole 100 located at the edges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which has a decalcomani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The suture which has is shown.
  • (n) is a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230 and a through hole 100 newly formed by cutting both sid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230 and the sutures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side, and the protrusions in the same direction.
  • (o) is a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230 and a through hole 100 newly formed by cutting both sid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ture 230 and the sutures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rusions facing each other.
  • Sutures having a decalcomania structure are shown.
  • the new projections generated by cutting both sides are protrusions of the type that can be applied to each corner of the suture, and these newly formed projections may be generated by cutting both sides, It may also be produced by attaching sutures having a horizontal length equal to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sutur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Rather than attaching the projections, cutting to create new projections will be superior in terms of suture firmness, stability, and lifting effect.
  • (p) is a projection 230 located at the upper edg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utures protruding both side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wly formed projections 232, the projections newly formed in a more pointed shape by cutting the projections again And a suture including the through hole 100, each suture represents a suture facing the same direction.
  • (q) is a projection 230 located at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sutures protruding both side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wly formed projections 232, the projections newly formed in a more pointed shape by cutting the projections again And a suture comprising a through hole 100, each suture represents a suture having a decalcomani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 the projections are cut more sharply to further maximize the fixing force and lifting effect of the suture, and these projections can be applied to all edges of the suture. .
  • FIG. 14 (r) to (u) show a sutur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suture is a curved cross-section point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hexagonal cross section concave and curved.
  • (r)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and a through hole 100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represents a suture with each protrusion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sutures such as n) to (q).
  • (s)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and a through hole 100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each suture has a decalcomani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 (t) is a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 protrusion 231 located at the edges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rough hole 100, and each suture represents a suture facing the same direction.
  • (u)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lower surface, a projection 231 located at the corners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rough hole 100, each of which has a decalcomani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Phosphorus suture.
  • the protrusions 231 located at the edges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by cutting or cutting the edges of both sides.
  • FIG. 14 (v) and (w) show perspective views of a suture having a cross section in FIG. 13 (c). This cross section corresponds to a convex and rounded angl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v) is a suture includ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protrusion 231 locat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rough hole 100, and the sutures of which each protrusion faces in the same direction.
  • (w) is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3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protrusion 231 locat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hrough hole 100, each suture having a decalcomani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Indicates.
  • a su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decalcomania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s of the projections face each other, and shows a suture having two such decalcomania structures.
  • (a) is a suture comprising a projection 230 and a through hole 100 located at each corner of the suture,
  • the decalcomania shape as shown in this figure may be applied to a su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nd the suture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two or more decalcomania structures.
  • FIG. 16 is a suture 10 includ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ws an arrangement or position of one or more protrusions 240 included in the suture.
  • (a) is a decalcomania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s of the protrusions 240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sheet length
  • (b) is a decalcomani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240 do not face each other
  • (d) is decalcomania structure in which projections on one side and the projections on the other side face in opposite directions
  • (e) is a projection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projections 240 on each surface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 (f) is a projectio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heet is rectangular, 240 is located at each corner and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tures of the upper projections 240 and the lower proj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 FIG. 17 is a longitudinal section showing the shape of one or more projections included in the suture 10, including one or more through hol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a)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50 having a narrow and pointed curved shape
  • (b)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a suture comprising a protrusion 251 having a hooked shape bent at an end thereof
  • (c)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uture including the projection 252 having a rectangular shape
  • (d)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uture including a projection 253 having a parallelogram shape
  •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uture comprising a suture having a curved shape with a curved end, and (g) a projection 256 having a shape of one of the deformed polygons. It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uture comprising 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피부 속으로 들어가 피부를 리프팅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봉합사로서, 피부 조직이 새로이 형성되어 피부를 리프팅 하여 주름을 제거한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유도하는 통공을 포함하며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피부 속에 들어가 피부의 전체적인 볼륨감을 팽창시키는 봉합사로서, 피부의 조직이 새로이 형성되고 피부 층간 결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을 포함하며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피부를 리프팅하는 봉합사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며, 피부의 전체적인 볼륨감을 팽창 또는 증진시킬 수 있는 봉합사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본 발명은 피부를 리프팅(lifting) 하거나 피부 조직 볼륨을 팽창시키는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피부층에 삽입되어 피부를 리프팅하고 피부 조직이 형성되어 피부 층간 부착을 유도하여 리프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거나, 피부 조직 볼륨을 팽창시켜 탄력 등을 개선하고 볼륨감을 증진시키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얼굴이나 신체의 피부 표면에 주름이 생기게 되는데, 주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근육이 수축하는 것과, 이외에 피부와 지방층이 중력에 의해 쳐지는 것이다. 주름은 근육의 수축방향에 직각으로 만들어지며 나이가 들수록 깊어지게 된다.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크게 화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화학적 방법의 하나로, 주름의 원인을 제공하는 근육을 보톡스로 마비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자연스러운 표정이 만들어지며 눈 밑이나 아랫입술, 팔자주름 등에 사용하기가 어렵고 굵거나 깊은 주름에는 한계가 있으며 효과가 3-6개월밖에 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물리적 방법의 하나로, 들어간 부위를 나오게 하는 필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액체 필러는 주입하기는 편리하나, 피부에 주입 후 근육이 움직일 때마다 근육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일어나서 들어간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들어가 보이는 현상을 가져오게 되며 일정기간(최대 1-2년 정도)이 지나면 분해 흡수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물리적 방법으로, 매우 가는 금실을 피하층에 삽입하는 방법이 있는데 금실은 이물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조직이 금실 주위에 만들어지는 효과를 가져오나, 굵은 주름에 사용하는데 제한적이며 삽입된 금실이 외부 힘에 의해 휘어지거나 피부 밖으로 돌출될 위험이 있고 영구적으로 남아 X선, CT, MRI 등의 촬영시 간섭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진단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또 다른 물리적 방법으로, 피부를 잡아당겨 늘어진 피부의 부분을 제거하는안면 거상술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에 지남에 따라 점차 재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3차원적으로 구성된 얼굴 윤곽에 대해 각 부분마다 전달되는 힘이 상이하여 주름제거가 고르게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피부가 아주 많이 늘어져 주름이 심한 경우에 효과가 가장 크며 피부가 얇은 경우에는 수술법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주름이 아주 심한 경우뿐 아니라 20대 내지 40대의 성인에게도 적용될 수 있으며 피부가 얇은 경우에도 시술될 수 있는 것으로서 봉합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피부에 삽입하여 피부를 리프팅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 또는 제거하는 봉합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은 피부에 삽입된 후 피부 조직 형성 및 피부 층간 부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통하여 피부에서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봉합사 자체가 분해 흡수되더라도 새로 형성된 조직이 유지되어 주름을 개선 또는 제거하는 리프팅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 될 수 있게 하는 피부 리프팅 봉합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은 피부에 삽입되어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피부 조직의 볼륨이 팽창되는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피부 리프팅 봉합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피부를 리프팅하여 피부 주름을개선 또는 제거하고 주변 조직 세포가 자라 들어가 조직 형성 및 피부 층간 부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며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피부를 리프팅하는 봉합사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봉합사는 피부층에 삽입되어 피부를 리프팅하여 피부에 형성된 주름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삽입된 봉합사의 주변 조직 세포가 봉합사 안으로 자라 들어가 피부에서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피부를 리프팅하여 주름을 제거한 효과가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봉합사는 새로운 피부조직이 단단하게 형성되어 봉합사가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주름이 중력에 의해 다시 쳐져 재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봉합사는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 옆면 또는 단면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에 있는 돌기들은 위 돌기가 피하지방층 및 아래 돌기가 근막층을 리프팅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명세서의 봉합사는 종래의 봉합사와 달리 각 피부층에 힘을 제대로 전달하여 피부를 더 확실하게 리프팅 할 수 있으며 힘을 받은 피부의 리프팅 또는 주름 제거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피부 리프팅 및 새로운 피부조직의 형성으로 인하여 중력에 의해 쳐진 피부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을 그 아래의 피부근육과 비슷한 탄력을 가지게 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 또는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의 봉합사는 3차원적으로 구성된 얼굴 윤곽에 맞추어 피부를 리프팅하여 주름을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주름이 매우 깊지 않은 연령대의 성인이나 피부가 매우 얇아 상대적으로 일찍 주름이 생기는 사람들에게 적용되어 주름을 지속적으로 개선 또는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봉합사는 새로운 조직 세포의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피부 조직의 볼륨을 팽창시켜 주름을 개선 또는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통공을 포함하며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의 두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양 측면이 튜브의 형상인 것으로 횡단면이 아령형인 봉합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메쉬 구멍 형태의 통공을 포함하는 봉합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은 봉합사 횡단면의 다양한 형태 중 다각형 및 변형된 다각형인 것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봉합사 횡단면의 다양한 형태 중 원형, 타원형, 변형된 타원형 및 아령형인 것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매듭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양 측면의 두께가 더 두꺼운 봉합사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길이 방향 말단에 하나 이상의 걸쇠를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봉합사에 포함된 통공의 여러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횡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봉합사에서 돌기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횡단면이 육각형인 경우 봉합사에서 돌기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횡단면이 육각형의 횡단면에서 길이방향의 양 끝이 오목한 곡선을 이루며 뾰족하게 된 횡단면인 경우 봉합사에서 돌기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횡단면이 아령형인 경우 봉합사의 돌기의 생성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은 시트의 너비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돌기들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봉합사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봉합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돌기의 배열 또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봉합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이다.
2013년 6월 20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13-0071199호 및 2014년 6월 2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14-0066759호는 모든 목적으로서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13-0071199호 및 10-2014-0066759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며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는 생물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얼굴 또는 몸 전체의 외부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봉합사"는 의학 또는 미용 목적으로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실로서 그 형상에 제한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조직 형성"은 새로운 피부조직이 형성되어 피부층 내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거나 손상되었던 피부 조직을 수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층"은 피부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의미하며,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뿐 아니라 피부 근막층, 피부 근육층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부착"은 봉합사의 삽입으로 인해 서로 떨어지게 된 하나 이상의 피부층이 다시 원래 상태로 수복되어 층 간의 조직 형성으로 인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리프팅(lifting)"은 피부를 봉합사에 의해 잡아당기거나 끌어 올리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리프팅은 봉합사에 포함된 돌기, 매듭 또는 걸쇠 등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봉합사는 리프팅에 의해서 피부 표면의 주름을 물리적으로 개선 또는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늘어지거나 쭈글쭈글한 피부에 있어서 그 표피, 진피 또는 피하지방층에 삽입되어 봉합사가 포함하고 있는 돌기, 매듭 또는 걸쇠 등에 의해 늘어진 피부층을 리프팅하여 주름이 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리프팅 후에 주름이 재발하지 않도록 봉합사에 포함된 통공으로 봉합사 주변 조직 세포가 봉합사 안으로 자라 들어가 새로운 피부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피부조직이 단단하게 형성되어 봉합사가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주름이 중력에 의해 다시 쳐져 재발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상기와 같이 피부에 삽입되어 리프팅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리프팅 없이 피부에 삽입되는 것 만으로도 새로운 조직 세포의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피부 조직의 볼륨을 팽창시켜 주름을 개선 또는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볼륨"은 피부층 표면 또는 내부의 체적, 용적, 또는 양감을 의미하며 겉표면으로 드러나는 부피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볼륨이 팽창되거나 증진된 피부의 경우 겉보기 모양이 탱탱하고 건강하며 젊게 보이게 될 것이다. 또한 피부 탄력이 저하되는 등의 원인으로 주름이 진 부분의 경우 피부 조직의 볼륨이 팽창하게 되는 경우 주름이 생겼던 부분에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어 피부층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고 그 효과로 인해 주름이 생긴 부분이 팽창하여 피부가 펴지면서 주름이 제거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외력으로 인한 외상, 창상, 또는 화상 등으로 인해 피부에 손상이 생긴 경우, 그로 인한 흉터, 피부 겉 표면이 움푹 패인경우, 수술 등으로 인해 피부 또는 조직을 절개한 경우 등의 경우에서 피부 조직의 볼륨이 팽창하게 되는 경우 손상되었던 부분의 조직과 피부층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고 피부 또는 조직이 수복되어 원 상태에 가까워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팽창"은 피부층의 볼륨이 늘어나고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또는 피부 겉표면의 모양이 볼륨감이 증진되고 팽팽해져 건강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조직의 볼륨이 팽창하게 되는 경우 노화 등으로 인해 늘어났던 피부층의 부분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피부 표면이 함께 펴지게 되어 주름이 제거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주름"은 노화 또는 자외선 등으로 인해 피부 표면이 늘어남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시트"는 두께가 길이 보다 작고, 너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는 것이며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는 시트의 가장 긴 부분을 의미하며 시트의 한쪽 말단에서 반대편 말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너비"는 시트의 횡단면의 가로방향 양끝을 잇는 선분 중에서 가장 긴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두께"는 시트의 횡단면의 세로방향 양끝을 잇는 선분 중에서 가장 긴 것을 의미한다. 너비와 두께는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공"은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의 한쪽 면과 그 정반대 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통공은 주변 조직 세포가 자라 들어가 조직 형성 및 피부 층간 부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통공은 주변 조직 세포가 자라 들어가 새로운 조직이 형성되어 봉합사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주름이 재발하는 것을 방지 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통공은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원형, 메쉬의 구멍 형태, 타원형 또는 변형된 타원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통공은 메쉬의 구멍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메쉬의 구멍은 가로 또는 세로가 봉합사의 너비 방향에 대해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각형"은 3개 이상의 면을 갖는 도형을 의미하며, 다각형에는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육각형 길이방향의 양 끝이 볼록 또는 오목한 곡선을 이루며 뾰족하게 된 육각형(도 13의 c, d 참조), 볼록한 요철(凸), 오목한 요철(凹) 및 하나 이상의 십자가가 겹쳐진 모양(+ 또는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변형된 다각형"은 하나 이상의 직선으로 된 면과 하나 이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삼각형 중 한 면이 오목한 형상인 것, 삼각형 중 한 면이 볼록한 형상인 것, 사각형 중 한 면이 볼록한 형상인 것, 사각형 중 한 면이 오목한 형상인 것, 다각형에서 하나 이상의 면이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인 것, 및 볼록한 요철에서 밑면과 옆면이 함께 볼록한 형상인 것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원형"은 한 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직경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달라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타원형"은 평면위의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그 합의 크기에 따라서 타원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변형된 타원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에서 한 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형상, 원형 또는 타원형에서 두 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형상, 원형 또는 타원형에서 세 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형상, 원형 또는 타원형에서 네 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형상, 원형 또는 타원형에서 하나 이상의 움푹 찌그러진 부분을 갖는 형상 또는 도형의 테두리가 곡선으로만 이루어진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각형” 또는 “변형된 다각형”은 면이 직선으로 형성되고 각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제조공정 상 불가피하게 면이 곡선 또는 볼록하게 마무리되거나 각이 둥그스름하게 마무리된 형태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면이 곡선 또는 볼록하게 마무리되고 각이 둥그스름하게 마무리 된 형태로 된 봉합사의 경우 도 13c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령형"은 도형의 가운데가 직선 또는 곡선의 형상을 가지고 직선 또는 곡선의 양 말단에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변형된 타원형의 도형을 포함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길이방향의 말단의 종단면이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변형된 타원형, 및 아령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쉬(mesh)"는 하나 이상의 직선 또는 곡선이 시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 사선 또는 수직으로 배열되어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메쉬를 구성하는 직선 또는 곡선의 경우 가로 또는 세로가 봉합사의 너비 방향에 대해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가로 또는 세로가 너비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격자무늬와 같은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는 탄성물질이 응력을 받았을 때 일어나는 변형률의 정도를 의미하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해 측정되는 탄성계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봉합사에 있어서, 시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메쉬부위는 고탄성 재질일 수 있고, 시트의 길이방향과 평행인 메쉬 부위는 저탄성 재질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고탄성 재질은 300MPa 이상, 350MPa 이상, 400MPa 이상, 450MPa 이상, 500MPa 이상, 550MPa 이상, 600MPa 이상, 650MPa 이상 또는 700M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저탄성 재질은 200MPa 이하, 180MPa 이하, 160MPa 이하, 140MPa 이하, 100MPa 이하, 50MPa 이하, 30MPa 이하, 10MPa 이하, 5MPa 이하, 1MPa 이하 또는 0.1M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고탄성 재질은 테프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저탄성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횡단면이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변형된 타원형 또는 아령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듭(knot)"은 시트 형상을 갖는 봉합사에 포함된 마디를의미하는 것이며, 봉합사 자체를 묶어 마디를 이루거나, 봉합사를 제작한 뒤 틀에 찍어 마디를 만들거나, 봉합사와 일체형으로 마디를 만들거나, 또는 봉합사를 제작한 뒤 별도로 만든 마디를 봉합사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하나 이상의 매듭(knot)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시트의 너비의 중앙에 비해 너비의 양 측면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시트의 너비의 양 측면의 두께는 시트의 너비의 중앙부분의 두께에 비해 1% 내지 100% 더 두꺼운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시트의 너비의 양 측면의 두께는 시트의 너비의 중앙부분의 두께에 비해 5%이상, 10%이상, 15%이상, 20%이상, 25%이상, 30%이상, 35%이상, 40%이상, 또는 45%이상 더 두꺼운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시트의 너비의 양 측면의 두께는 시트의 너비의 중앙부분의 두께에 비해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5% 이하, 또는 50% 이하로 더 두꺼운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이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튜브는 내부가 채워진 것 또는 내부가 비어있는 것으로서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변형된 타원형,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또는 아령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치수"는 다각형의 경우 모든 변의 평균 길이 또는 모든 대각선의 평균 길이를 의미하며, 변형된 다각형의 경우 그 중심을 지나는 선분으로서 가장 긴 것의 길이를 의미하며, 원 또는 타원의 경우 원의 중심을 지나는 선분으로서 가장 긴 것의 길이를 의미하며, 변형된 타원형의 경우 그 중심을 지나는 선분으로서 가장 긴 것과 가장 짧은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선분 5개의 길이의 평균을 의미하며, 아령형의 경우 그 중심을 지나는 선분으로서 가장 긴 것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통공은 평균치수가 0.01mm 내지 10mm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통공은 평균치수가 0.01mm 내지 4mm, 0.05mm 내지 9mm, 0.1mm 내지 8mm, 0.5mm 내지 7mm, 1mm 내지 6.5mm, 1.5mm 내지 6mm, 2mm 내지 5.5mm, 3mm 내지 5mm, 또는 3.5mm 내지 4.5mm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통공은 평균치수가 0.01mm이상, 0.05mm이상, 0.1mm이상, 0.15mm이상, 0.2mm이상, 0.3mm이상, 0.5mm이상, 1mm이상, 2mm이상, 3mm이상, 3.5mm이상, 4mm이상, 4.5mm이상, 5mm이상, 6mm이상, 7mm이상, 8mm이상, 9mm이상, 10mm이상, 또는 15mm이상일 수 있으며, 20mm이하, 15mm이하, 13mm이하, 10mm이하, 9mm이하, 8mm이하, 7mm이하, 6mm이하, 5mm이하, 4mm이하, 3mm이하, 2mm이하, 1mm이하, 0.5mm이하, 0.1mm이하, 또는 0.01mm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너비는 0.1mm 내지 50mm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너비는 0.5mm 내지 10m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너비는 0.1mm 이상, 0.5mm 이상, 1mm 이상, 2mm 이상, 3mm 이상, 4mm 이상, 5mm 이상, 10mm 이상, 15mm 이상, 20mm 이상, 또는 25m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너비는 50mm 이하, 45mm 이하, 40mm 이하, 30mm 이하, 27mm이하, 25mm이하, 20mm이하, 15mm이하, 10mm이하, 5mm이하, 1mm이하, 또는 0.1mm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두께는 0.001mm 내지 10m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두께는 0.1mm 내지 5mm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두께는 0.005mm 이상, 0.01mm 이상, 0.05mm 이상, 0.1mm 이상, 0.5mm 이상, 1mm 이상, 2mm 이상, 또는 3m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두께는 10mm 이하, 9mm 이하, 8mm 이하, 7mm 이하, 6mm 이하, 5mm 이하, 4mm 이하, 3mm 이하, 2mm 이하, 1mm 이하, 또는 0.1m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돌기"는 시트가 피부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피부 층에 고정되거나 걸릴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시트의 양 측면을 절개하거나 시트의 양 측면에 별개의 형태로서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근막층과 피하지방층을 동시에 끌어올리거나 끌어올린 후 각 층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는 각 피부층에 힘을 잘 전달하여 효과적으로 리프팅 또는 주름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봉합사로부터 일으키는 방법, 틀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만드는 방법 또는 별도로 돌기를 제작하여 봉합사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를 봉합사로부터 일으키는 방법은 돌기를 위치시키고 싶은 부분을 깎거나 절개 또는 절단하는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봉합사의 횡단면이 다각형 또는 변형된 다각형인 경우, 각 모서리를 절개 또는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봉합사의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 변형된 타원형, 또는 아령형인 경우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의 횡단면이 육각형인 경우 도 12(f) 및 도 14(n) 내지 (q)와 같이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횡단면이 아령형인 경우 도 13(d)와 같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피부에 삽입되어 피부층을 리프팅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봉합사 너비 양 말단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봉합사 너비 양 말단의 두께의 1%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봉합사 너비 양 말단의 두께의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35% 이상, 40% 이상, 또는 45%이상인 두께 일 수 있으며 또한 돌기는 봉합사 너비 양 말단의 두께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5% 이하, 또는 50% 이하인 두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횡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돌기는 다각형의 하나 이상의 면, 꼭지점 또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횡단면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돌기는 위 돌기, 아래 돌기, 및 옆 돌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 돌기, 아래돌기 및 옆 돌기는 봉합사의 윗부분, 아랫부분, 및 옆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돌기들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위 돌기는 봉합사의 횡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다각형의 윗면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각형의 윗면의 꼭지점에 위치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아래 돌기 및 옆 돌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 또는 위 아랫면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봉합사의 횡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다각형의 하나 이상의 꼭지점에 추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 또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위 돌기는 피하지방층, 아래 돌기는 근막층을 동시에 리프팅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힘을 제대로 전달해 효과적인 리프팅 또는 주름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그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은 시트의 중심을 지나는 가장 긴 선분을 기준으로 하여 윗면과 아랫면으로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한 옆 돌기는 피하지방층과 근막층 사이의 섬유조직을 끌어 올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에 모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과 양측면 모두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위 아랫면의 모서리와 양 측면의 모서리 모두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모든 방향에 돌기가 위치하는 경우, 위 돌기는 피하지방층, 아래 돌기는 근막층, 그리고 양 측면의 옆 돌기는 피하지방층과 근막층 사이의 섬유조직을 동시에 리프팅할 수 있으며, 이러한 봉합사는 섬유조직도 함께 리프팅 하므로 더 효과적이고 현저한 리프팅 또는 주름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가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경우, 리프팅 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촉되는 아래 부분은 위 돌기가 피하지방층, 아래 돌기가 근막층을 동시에 리프팅하고, 아래 부분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향해있는 위 부분의 돌기들은 아래 부분을 리프팅 한 후에 안면 상단부 또는 측두근막 부분의 근막층 및 피하지방층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가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경우 봉합사가 시술 후 중력에 의해서 다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리프팅 또는 주름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하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하나 이상, 둘 이상, 셋 이상, 넷 이상, 다섯 이상, 여섯 이상, 일곱 이상, 여덟 이상, 아홉 이상, 또는 열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하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돌기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경우 피부를 리프팅하는데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리프팅 하는 것이 아니라 피부 전체를 고르게 리프팅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갖는 돌기를 포함하는 봉합사는 도 15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데칼코마니아 구조”는 하나 이상의 돌기들이 데칼코마니아 구조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방향 또는 서로 등을 진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이러한 하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끝이 뾰족한 모양, 갈고리 모양, 곡선형 모양, 변형된 다각형 모양 또는 다각형 모양일 수 있다. 상기 갈고리 모양의 경우 끝이 굽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한쪽 면에 위치하는 것과 그 면의 정반대 면에 위치하는 것이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반대방향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돌기의 방향이 그 반대면에 위치하는 것과 서로 반대방향인 경우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너비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것 또는 너비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것 또는 시트의 하나 이상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돌기가 너비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경우, 임의의 돌기는 피부 절개면을 기준으로 위의 피부층에, 다른 반대면의 돌기는 절개면을 기준으로 아래 피부층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한쪽 돌기들은 피부의 피하지방층에 고정되어 피부를 리프팅하여 주름을 펴게하고 반대쪽 돌기들은 피부를 잡아당긴 후 근막에 고정되어 피부가 다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걸쇠"는 돌기와는 상이한 것으로서 돌기의 경우 봉합사 너비의 양 측면 또는 모서리 등에 하나 이상 존재하여 피부 내에서 고정 작용을 하는 것이나 걸쇠는 길이 방향 말단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와 굵기가 돌기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에 포함된 걸쇠는 틀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만드는 방법 또는 별도로 걸쇠를 제작하여 봉합사에 결합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길이 방향 말단에 하나 이상의 걸쇠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걸쇠는 상기 돌기가 위치하는 곳에 동일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걸쇠는 피부에 삽입되어 피부층을 리프팅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성장인자"는 PDGF(platelet-derived growh factor), AGF(angiogenesis factor), FGF(fibroblast growth factor), TGF-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EGF(epidermal growth factor), CTGF(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시트 표면 또는 내부에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생분해성 고분자, 비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PGA),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락틱산(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및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로 만들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에틸렌, 나일론, 실리콘 및 테프론(Teflo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생분해성 고분자로 만들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의 경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피부층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 및 바늘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키트는 근막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망(mesh), 거즈, 또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근막에 부착되어 봉합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키트는 봉합사의 사용방법이 기재된 설명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봉합사의 사용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절개된 피부의 피하지방층과 근막의 사이 공간으로 봉합사가 들어갈 수 있는 바늘을 삽입한다.
2. 삽입된 바늘의 위치가 봉합사를 넣어 처리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며, 한 손으로는 피부 겉면을 다른 손으로는 바늘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절한다.
3. 처리하고자 하는 피부 위치에 바늘을 위치시킨 뒤 바늘을 통해 봉합사를 피부에 삽입한다.
4. 삽입된 봉합사가 자리를 잡을 수 있게 조절하고 봉합사의 끝 부분이 피부에 고정되면 바늘만을 피부에서 제거한다.
5. 피부에 삽입된 봉합사를 손으로 당기면서 피부 겉면의 주름이 당겨질 수 있게 조절한다.
6. 봉합사의 위치가 고정되면 이를 측두근막에 붙인 부착수단과 결합시켜 봉합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흘러 내려가지 않게 고정시킨다.
7. 피부 절개면을 봉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되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있어서 봉합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것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a)는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주변 조직 세포가 자라 들어가 조직 형성 및 피부 층간 부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봉합사가 쳐지는 현상 및 피부 주름의 재발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100)을 포함하며,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는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삽입된 후에 주변 조직 세포가 자라 들어가 조직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봉합사가 쳐지는 현상 및 피부 주름의 재발을 방지하고 피부 층간 부착이 일어나게 하여 전체적으로 피부 볼륨을 팽창시키게 하는 통공(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b)는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로서, 하나 이상의 돌기(200)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는 하나 이상의 돌기(200)를 더 포함하여 피부에 삽입되었을 때 하나 이상의 피부 층에 돌기가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서 봉합사(1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돌기(200)를 통해 봉합사(10)는 하나 이상의 피부 층에 고정된 뒤 피부를 리프팅 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피부 겉 표면에 보이는 주름을 펴지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이 원형의 튜브(500) 형상인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통공(100) 및 돌기(210)를 포함하며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는 아령형인 봉합사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돌기(200)는 도 1의 (b)에 나타난 돌기(200)와 같이 봉합사 길이방향 양 말단의 두께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도 2에 나타난 돌기(210)와 같이 봉합사 길이방향 양 말단의 두께보다 얇은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시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이 원형의 튜브(500)형상인 것이고, 하나 이상의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110) 및 돌기(210)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시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에 위치하는 튜브의 경우 원형뿐 아니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돌기를 제외한 시트의 외면과 같은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타원형, 또는 변형된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a)의 경우 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인 직선으로만 구성된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120)을 나타낸 것이다. (b)의 경우 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직선으로 구성된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130)을 나타낸 것이다. (c)의 경우 오른쪽 모서리 위쪽방향인 직선으로 구성된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140), (d)의 경우 오른쪽 모서리 아래방향인 직선으로 구성된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150)을 나타낸 것이다. (e)의 경우 2 방향의 사선 모양이 겹쳐져 만들어진 그물 모양의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160)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 뿐 아니라 메쉬를 구성하는 부위가 곡선 또는 곡선과 직선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하나 이상의 돌기(210)를 포함하는 봉합사 횡단면의 다양한 형태 중 다각형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각 도면에서 빗금이 쳐진 부분은 통공(100)이 지나가지 않는 봉합사의 부분이며 빗금이 없는 부분은 하나 이상의 통공(100)을 의미한다. (a)의 경우 횡단면이 정사각형인 것, (b)의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것, (c)의 경우 횡단면이 마름모인 것, (d)의 경우 횡단면이 평행사변형인 것, (e)의 경우 횡단면이 사다리꼴인 것, (f)의 경우 횡단면이 오각형인 것, (g)의 경우 횡단면이 육각형인 것, (h)의 경우 횡단면이 볼록한 요철(凸)인 것, (i)의 경우 횡단면이 십자가 모양인 것, 및 (j)의 경우 횡단면이 십자가 두 개를 겹친 모양인 것을 나타낸다. 그 뒤로는 변형된 다각형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k)의 경우 삼각형 중 한쪽 면이 오목한 형상인 횡단면, (l)의 경우 사각형 중 한 면이 볼록한 형상인 횡단면, (m)의 경우 사각형 중 한 면이 오목한 형상인 횡단면, 및 (n)의 경우 볼록한 요철에서 밑 면과 양 옆면이 함께 볼록한 형상인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하나 이상의 돌기(210)를 봉합사 횡단면의 다양한 형태 중 원형, 타원형 및 변형된 타원형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원형인 횡단면, (b)는 타원형인 횡단면, (c)는 가운데가 직선인 아령형의 횡단면, (d)는 가운데가 볼록한 곡선인 아령형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e)는 한 쪽 끝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변형된 타원형인 횡단면, (f)는 두 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변형된 타원형인 횡단면, (g)는 세 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변형된 타원형인 횡단면, (h)는 네 쪽이 뾰족하게 튀어나온 변형된 타원형인 횡단면, (i)는 도형의 테두리가 곡선으로만 이루어진 변형된 타원형인 횡단면, 및 (j)는 도형의 테두리가 곡선으로만 이루어진 다른 변형된 타원형인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하나 이상의 통공(100)과 하나 이상의 매듭(300)을 포함하는 봉합사의 일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도면의 경우 매듭이 형성될 수 있는 것 중 봉합사 자체를 묶어 마디로서 매듭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따른 하나 이상의 통공(100) 및 하나 이상의 돌기(210)를 포함하는 봉합사(10)로서, 시트의 길이방향에서 시트의 중앙에 비해 양 측면의 두께가 더 두꺼운 봉합사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에서 빗금이 쳐진 부분은 통공(100)이 지나가지 않는 봉합사의 부분이며 빗금이 없는 부분은 하나 이상의 통공(100)을 의미한다. (a)는 봉합사의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어 시트의 길이방향에 대한 양 측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인 횡단면, (b)는 시트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이 오목한 요철로 되어 양 측면의 두께가 두꺼운 형상인 횡단면, 및 (c)는 (a)에서 양 측면이 볼록한 모양으로 된 형상인 횡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시트의 길이방향에서 시트의 중앙에 비해 양 측면의 두께가 더 두꺼운 봉합사의 횡단면은 도 6의 (c) 및 (d)와 같은 아령형일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따른 하나 이상의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10)로서, 길이 방향 말단에 하나 이상의 걸쇠(400)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a)는 봉합사(10) 한쪽 말단에 걸쇠(400)를 포함하는 것, (b)는 봉합사(10) 양쪽 말단에 걸쇠(410)를 포함하는 것, (c)는 말단이 기역 모양인 봉합사에 있어서, 말단에 두 개의 걸쇠(420)를 포함하는 봉합사, (d)는 양쪽 말단에 두 개의 걸쇠(430)를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하나의 걸쇠는 길이방향의 위쪽 면으로, 나머지 하나의 걸쇠는 아래쪽 면으로 부착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상인 것, 및 (e)는 직사각형 모양인 봉합사의 한쪽 말단의 좌우 양 끝에 두 개의 걸쇠(440)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따른 하나 이상의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10)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통공이 포함된 봉합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a)는 원형인 통공(100), (b)는 작은 원형인 통공(101), (c)는 엇갈린 배열로 된 삼각형인 통공(102), (d)는 나란히 배열된 삼각형인 통공(103), (e)는 사각형인 통공(104), (f)는 마름모인 통공(105), (g)는 오각형인 통공(106), (h)는 육각형인 통공(107), (i)는 변형된 다각형의 형태 중 하나로서 사각형의 한쪽 면이 오목한 것인 통공(108), (j)는 타원형인 통공(109), (k)는 한쪽 끝이 뾰족한 변형된 타원인 통공(111), (l)은 메쉬 구멍의 형태 중 격자무늬인 통공(112), 및 (m)은 메쉬 구멍의 형태 중 2 방향의 사선 모양이 겹쳐져 만들어진 그물 모양의 메쉬 구멍 형태인 통공(113)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횡단면이 다각형 중 직사각형인 경우 봉합사에서 돌기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a)는 돌기(220)가 서로 같은 면의 양 끝에 위치한 봉합사의 단면, (b)는 돌기(220))가 서로 다른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봉합사의 단면, (c)는 모든 모서리에 돌기(220)가 위치한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d)는 모든 모서리에 돌기(220)가 위치한 것에 더하여 봉합사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위치한 돌기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e)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윗면과 아랫면에 위치한 돌기(220)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f)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윗면 및 아랫면에 위치한 돌기(220)와 양 측면에 위치한 돌기(221)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단면의 모양은 직사각형이나,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의 횡단면의 형태 중 다각형인 것은 모두 이러한 배열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횡단면이 육각형인 경우 봉합사에서 돌기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횡단면의 경우 봉합사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추후 옆방향의 돌기 생성에 있어서 간편하게 돌기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는 돌기(220)가 서로 같은 면의 양 끝에 위치한 봉합사의 단면, (b)는 돌기(220))가 서로 다른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봉합사의 단면, (c)는 양 옆을 제외한 모든 꼭지점에 돌기(220)가 위치한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d)는 모든 꼭지점에 돌기(220)가 위치한 것에 더하여 봉합사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위치한 돌기(221)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e)는 횡단면이 윗면 및 아랫면에 위치한 돌기(220)와 양 측면에 위치한 돌기(221)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f)는 봉합사의 길이방향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온 양 측면을 점선 부분만큼 절단하여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돌기(221)가 생성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절단의 경우 양 옆의 꼭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꼭지점에서 이루어져, 새로운 돌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봉합사의 횡단면과 그에 따른 돌기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a)는 육각형의 횡단면에서 길이방향의 양 끝이 오목한 곡선을 이루며 뾰족하게 된 횡단면을 가지는 봉합사로서, 그 위 아랫면의 꼭지점에 위치한 돌기(220)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이며, (b)는 (a)의 봉합사에서 길이방향 양 끝의 꼭지점에 위치한 돌기(221)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c)의 경우 육각형의 횡단면에서 길이방향의 양 끝부분의 면이 볼록하게 마무리되고, 각이 둥그스름하게 마무리된 형상을 가지는 봉합사로서, 그 위 아랫면의 끝부분에 위치한 돌기(220)와 양 옆면에 위치한 돌기(221)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c)의 도면의 경우 본 명세서의 “다각형” 또는 “변형된 다각형”의 정의에 포함되는 개념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가, 그 횡단면이 다각형인 경우에 면이 곡선 또는 볼록하게 마무리되고, 각이 둥그스름하게 마무리 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면이 볼록하게 마무리되고, 각이 둥그스름하게 마무리되는 것은 제조 공정 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d)의 경우 횡단면이 아령형인 봉합사로서, 그 아령 부분을 점선 부분만큼 절단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뻗어있는 돌기(220)와 양 옆으로 뻗은 돌기(221)가 새롭게 생성되는 봉합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따른 봉합사(10)로서, 봉합사 시트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 위 아랫면, 또는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를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a)는 시트의 중앙에 비해 양 측면의 두께가 더 두꺼운 봉합사로서 중앙이 오목하게 들어간 것으로 그 옆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230)를 포함하는 봉합사, (b)는 횡단면이 타원인 것으로서 양 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230)를 포함하는 봉합사, 및 (c)는 가운데가 직선인 아령형의 횡단면인 것으로서 양 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230)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4(d) 내지 (k)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봉합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d)는 봉합사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위 아랫면의 돌기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있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이다. (e)는 봉합사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있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이다. (f)는 길이 방향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으로서, (d)와 달리 각 위 아랫면의 돌기들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g)는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모서리의 돌기들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h)는 길이 방향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길이 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돌기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있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14(e) 및 (g)와 같이 돌기가 위 아래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우 위 돌기는 피하지방층, 아래 돌기는 근막층을 동시에 리프팅 할 수 있으며, 특히 돌기가 하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경우 리프팅 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촉되는 아래 부분은 위 돌기가 피하지방층, 아래 돌기가 근막층을 동시에 리프팅하고, 아래 부분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향해있는 위 부분의 돌기들은 아래 부분을 리프팅 한 후에 안면 상단부 또는 측두근막 부분의 근막층 및 피하지방층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가 하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경우 봉합사가 시술 후 중력에 의해서 다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리프팅 또는 주름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i)는 길이 방향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길이 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돌기들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j)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 있는 봉합사를 나타낸다. (k)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도 14(l) 내지 (q)는 횡단면이 육각형인 봉합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l)은 봉합사의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길이방향 양 측면에 위치하는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 있는 봉합사를 나타낸다. (m)은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길이방향 양 측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n)은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과 봉합사 길이방향의 튀어나온 양 측면을 절단하여 새롭게 형성된 돌기(232)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 있는 봉합사를 나타낸다. (o) 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과 봉합사 길이방향의 튀어나온 양 측면을 절단하여 새롭게 형성된 돌기(232)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상기 (n) 및 (o)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절단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돌기는 봉합사의 각 모서리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는 형태의 돌기이며, 이러한 새롭게 형성된 돌기는 양 측면을 절단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횡단면이 사각형인 봉합사의 양 측면에 옆면의 높이와 동일한 가로 길이를 갖는 봉합사를 부착시켜 생성될 수 도 있다. 다만 돌기를 부착시키는 것 보다는 절단하여 새로운 돌기를 생성하는 것이 봉합사의 견고성,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하고 리프팅 효과도 더 우수할 것이다. (p)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봉합사 길이방향의 튀어나온 양 측면을 절단하여 새롭게 형성된 돌기(232), 상기 돌기를 다시 절단하여 더 뾰족한 모양으로 새롭게 형성한 돌기(233)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있는 봉합사를 나타낸다. (q)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돌기(230)와 봉합사 길이방향의 튀어나온 양 측면을 절단하여 새롭게 형성된 돌기(232), 상기 돌기를 다시 절단하여 더 뾰족한 모양으로 새롭게 형성한 돌기(233)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들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p) 및 (q)의 경우 (n) 및 (o)의 도면에서 봉합사의 고정력과 리프팅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하기 위해 돌기를 한층 더 날카롭게 절단한 것으로서, 이러한 돌기는 봉합사의 모든 모서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r) 내지 (u )는 봉합사의 횡단면이 육각형의 횡단면에서 길이방향의 양 끝이 오목한 곡선을 이루며 뾰족하게 된 횡단면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r)은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0)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있는 봉합사를 나타내며, 이러한 봉합사의 양 측면을 절단하게 되면 상기 도 14(n) 내지 (q)와 같은 봉합사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s)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0)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t)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0), 길이방향 양 측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있는 봉합사를 나타낸다. (u)는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0), 길이방향 양 측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도 14(t) 및 (u)에서 길이방향 양 측면의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1)는 양 측면의 모서리를 절단 또는 절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4(v) 및 (w)는 도 13(c)의 횡단면을 가지는 봉합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횡단면은 제조공정 상 불가피하게 면이 볼록하게 마무리되고 각이 둥그스름하게 마무리된 것에 해당한다. (v)는 위 아랫면의 양 끝에 위치한 돌기(230), 길이방향 양 측면에 위치한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해있는 봉합사를 나타낸다. (w)는 위 아랫면의 양 끝에 위치한 돌기(230), 길이방향 양 측면에 위치한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각 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인 봉합사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로서 돌기의 방향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그러한 데칼코마니아 구조가 두 개 존재하는 봉합사를 나타낸 것이다. (a)는 봉합사의 각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0) 및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이며, (b)는 봉합사의 각 모서리에 위치한 돌기(230), 길이방향 양 측면에 위치한 돌기(231) 및 통공(100)을 포함한 봉합사를 나타낸다. 본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칼코마니아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합사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봉합사는 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갖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따른 하나 이상의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10)로서, 봉합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돌기(240)의 배열 또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a)는 시트 길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돌기(240)의 방향이 서로 마주보는 데칼코마니아 구조인 것, (b)는 돌기(240)가 서로 마주보지 않는 데칼코마니아 구조인 것, (c)는 한 측면의 돌기(240)와 다른 옆면의 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있는 것, (d)는 한 측면의 돌기(240)와 다른 옆면의 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있는 것이 데칼코마니아 구조인 것, (e)는 돌기가 길이 방향의 윗면과 아랫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각 면의 돌기(240)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있는 것의 종단면, 및 (f)는 시트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에 있어서, 돌기(240)가 각 모서리에 위치하고 윗면의 돌기(240)와 아랫면의 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인 봉합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는 본 명세서에 따른 하나 이상의 통공(100)을 포함하는 봉합사(10)로서, 봉합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이다. (a)는 끝이 좁고 뾰족한 곡선의 형상을 갖는 돌기(250)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종단면, (b)는 끝이 구부러지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 돌기(251)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종단면, (c)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252)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종단면, (d)는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253)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종단면, (e)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254)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종단면, (f)는 끝이 구부러진 곡선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255)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종단면, 및 (g)는 변형된 다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돌기(256)를 포함하는 봉합사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봉합사
100 ~ 113, 120, 130, 140, 150, 160, - 통공
200, 210, 220, 221, 230, 231, 232, 233, 240, 250~256 - 돌기
300 - 매듭
400, 410, 420, 430, 440 - 걸쇠
500 - 튜브

Claims (30)

  1. 봉합사로서, 주변 조직 세포가 자라 들어가 조직 형성 및 피부 층간 부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며,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봉합사.
  2. 제1항에 있어서, 통공은 메쉬의 구멍 형태인 것인 봉합사.
  3. 제2항에 있어서, 메쉬의 구멍은 가로 또는 세로가 봉합사의 너비방향에 대해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것인 봉합사.
  4.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횡단면이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변형된 타원형 또는 아령형인 것인 봉합사.
  5.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하나 이상의 매듭(knot)을 더 포함하는 봉합사.
  6.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너비의 중앙에 비해 너비의 양 측면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인 봉합사.
  7. 제6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시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이 튜브 형상인 봉합사.
  8. 제1항에 있어서, 통공은 평균 치수가 0.01mm 내지 4mm인 것인 봉합사.
  9.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너비는 0.5mm 내지 10mm인 것인 봉합사.
  10.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두께는 0.1mm 내지 5mm인 것인 봉합사.
  11.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길이 방향 말단에 하나 이상의 걸쇠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
  12. 제1항에 있어서, 통공은 다각형, 변형된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변형된 타원형인 것인 봉합사.
  13. 제1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PGA),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락틱산(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및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에틸렌, 나일론, 실리콘 및 테프론(Teflo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것인 봉합사.
  14. 제2항에 있어서, 시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메쉬 부위는 300M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 고탄성 재질이고, 시트의 길이방향과 평행인 메쉬 부위는 200MPa 이하의 탄성계수를 갖는 저탄성 재질인 것인 봉합사.
  15. 제14항에 있어서, 고탄성 재질은 테프론이고, 저탄성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인 것인 봉합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더 포함하는 봉합사.
  17. 제16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돌기는 다각형의 하나 이상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것인 봉합사.
  18. 제17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것인 봉합사.
  19. 제16항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의 위 아랫면에 위치하는 것인 봉합사.
  20. 제19항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길이방향 위 아랫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인 봉합사.
  21. 제20항에 있어서, 윗면에 위치한 돌기는 피하지방층, 아랫면에 위치한 돌기는 근막층을 리프팅 하는 것인 봉합사.
  22. 제20항에 있어서, 돌기는 봉합사의 모서리를 절개 또는 절단하여 형성된 것인 봉합사.
  23. 제16항에 있어서, 돌기는 하나 이상의 데칼코마니아 구조를 갖는 것인 봉합사.
  24. 제16항에 있어서, 돌기는 끝이 뾰족한 모양, 갈고리 모양 또는 다각형모양인 것인 봉합사.
  25. 제16항에 있어서, 돌기는 시트의 한쪽 면에 위치하는 것과 그 면의 정반대 면에 위치하는 것이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것인 봉합사.
  26. 제16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인 봉합사.
  27. 제16항에 따른 봉합사 및 바늘을 포함하는 키트.
  28. 제27항에 있어서, 키트는 근막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키트.
  29. 제28항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근막에 부착될 수 있는 망(mesh), 거즈, 또는 플레이트(plate)인 것일 수 있다.
  30. 제27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사용방법이 기재된 설명서를 더 포함하는 키트.
PCT/KR2014/005191 2013-06-20 2014-06-13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WO20142041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35528.0A CN105491961A (zh) 2013-06-20 2014-06-13 用于皮肤提拉或扩张皮肤组织体积的缝合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199 2013-06-20
KR10-2013-0071199 2013-06-20
KR1020140066759A KR101682534B1 (ko) 2013-06-20 2014-06-02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KR10-2014-0066759 2014-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4135A1 true WO2014204135A1 (ko) 2014-12-24

Family

ID=5210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191 WO2014204135A1 (ko) 2013-06-20 2014-06-13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20413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2502A (ja) * 2015-11-05 2019-01-31 ジェイワール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700708A (zh) * 2020-06-29 2020-09-25 杭州爱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双排凹槽锯齿线
US20210259686A1 (en) * 2017-12-28 2021-08-26 Medi Futures Co., Ltd.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494A (ko) * 2004-05-12 2005-11-17 김영복 돌기를 가지는 성형외과용 수술실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US20070293892A1 (en) * 2006-06-16 2007-12-20 Katsuya Takasu Surgical thread for plastic surgery and method of imparting tension to skin
KR20090036748A (ko) * 2007-05-01 2009-04-15 박재영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KR101192308B1 (ko) * 2012-02-23 2012-10-17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494A (ko) * 2004-05-12 2005-11-17 김영복 돌기를 가지는 성형외과용 수술실
KR100745571B1 (ko) * 2006-06-15 2007-08-03 이정일 성형수술용 선형인장재
US20070293892A1 (en) * 2006-06-16 2007-12-20 Katsuya Takasu Surgical thread for plastic surgery and method of imparting tension to skin
KR20090036748A (ko) * 2007-05-01 2009-04-15 박재영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KR101192308B1 (ko) * 2012-02-23 2012-10-17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2502A (ja) * 2015-11-05 2019-01-31 ジェイワール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69848A4 (en) * 2015-11-05 2019-07-03 Jworld Co., Ltd.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918378B2 (en) 2015-11-05 2021-02-16 Jworld Co., Ltd.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U2020203009B2 (en) * 2015-11-05 2022-09-08 Jworld Co., Ltd.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210259686A1 (en) * 2017-12-28 2021-08-26 Medi Futures Co., Ltd.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US11583271B2 (en) * 2017-12-28 2023-02-21 Medi Futures Co., Ltd. Medical thread based on ultrasonic production
CN111700708A (zh) * 2020-06-29 2020-09-25 杭州爱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双排凹槽锯齿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534B1 (ko)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WO2014204135A1 (ko)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KR101182337B1 (ko) 의료용 메쉬 구조
WO2013065923A1 (ko)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060722B1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WO2013169075A1 (ko) 주름제거용 충전체
KR100724706B1 (ko)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US20140276995A1 (en) 4D Dynamically Contouring Mesh and Sutures
JP2011505897A (ja) 美容における電気活性材料アクチュエータの使用
JP2019503832A (ja) 皮膚増強外科用縫合糸
WO2019132164A1 (ko) 초음파 제작 기반의 의료용 실
KR100679160B1 (ko) 성형수술용 수술실
JP2018531748A (ja) 外科用インプラントとその製造プロセス
Molea et al. Progressive skin extension: clinical and histological evaluation of a modified procedure using Kirschner wires
Burm et 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wide scar and alopecia in the scalp: wedge excision and double relaxation suture
KR102333550B1 (ko)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KR102346662B1 (ko) 의료용 실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35601A (ja) 創離開防止用補助具
US20170119515A1 (en) Surgical Implant
KR20190107369A (ko) 주름 제거용 리프팅 테이프
WO2017217742A1 (ko)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Horibe et al. Pronounced nasolabial fold: a surgical correction
KR102314301B1 (ko) 수술용 실 구조체
JP2004313277A (ja) ストレッチ・テープ
KR102536890B1 (ko) 개량형 리프팅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35528.0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135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135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