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748A -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 Google Patents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748A
KR20090036748A KR1020070101963A KR20070101963A KR20090036748A KR 20090036748 A KR20090036748 A KR 20090036748A KR 1020070101963 A KR1020070101963 A KR 1020070101963A KR 20070101963 A KR20070101963 A KR 20070101963A KR 20090036748 A KR20090036748 A KR 2009003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lifting
lifting tool
yar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581B1 (ko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11/797,13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275502A1/en
Application filed by 박재영 filed Critical 박재영
Priority to KR1020070101963A priority patent/KR1009395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관한 것이다.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는, 소정의 피부 조직에 결합되어 해당 피부 조직을 실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1.0 ~ 2.3 mm의 굵기를 가지는 실(Thread); 및 상기 실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활과 같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되 직선방향의 길이가 40 ~ 140 mm인 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신체의 어떠한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되 수술 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simple)하고, 의사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수술 결과(result)를 얻을 수 있어 환자나 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수술 효과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후의 빠른 회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주름 제거를 위한 리프팅 후에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게되며,
실을 일정두께 범위의 것을 사용하고, 특히 근육에 고정되는 부위에서는 편평한 형태의 눌림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실에 과도한 텐션(tension)이 가해지더라도 피부(tissue)가 찢어지는(sawing or eating phenomenon)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주름, 리프팅, 실, 바늘, 키토산,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Description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Lift instrument for removing fold}
본 발명은,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어떠한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되 수술 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simple)하고, 의사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수술 결과(result)를 얻을 수 있어 환자나 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수술 효과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후의 빠른 회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관한 것이다.
성형 수술이란 주로 인체의 부분 손상이나 기형의 교정 또는 미용을 위하여 하는 외과적 수술의 총칭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미용을 위한 수술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성형수술을 받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자신의 신체에서 부족한 부분을 교정하여 자신감을 갖고 사회생활을 영위함으로서 보다 많은 것을 얻고 성취하려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사람들인 것으로 조사에서 나타났으며, 비정상적인 모습을 정상적으로 고치려 하거나, 조화된 아름다움을 갖기 위한 노력은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의 인지상정이다.
성형 수술은 여러 가지의 목적으로 행해지지만, 특히 특정 부위의 피부가 처지는 경우나 지방이 축척되어 있어 체형이 보기 좋지 않게 변화된 경우, 다시 말해 특정 부위에 주름이 생긴 경우에도 실시되어 해당 부위를 팽팽하게 복원시킨다.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법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피부를 크게 절개한 후에 처진 조직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invasive surgery와, 그다지 절개가 필요치 않고 단순하게 해당 부위에 실(thread)을 걸어 리프팅(lifting)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하는 non-invasive surgery로 대별된다.
물론, 전자의 경우, 피부를 과다하게 절개해야 하므로 수술이 힘들 뿐만 아니라 수술 후의 완치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후자의 수술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후자의 수술법은 소위, APTOS라는 주름 제거술로도 불린다.
APTOS는 피부를 절개하지 않는 대신에 특수 처리된 실, 예컨대 가시(cog)가 결합되어 있거나 혹은 실리콘(silicon)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섬유로 된 직경(diameter) 0.5 mm 정도의 실(thread)을 이용하여, 겉으로 나타난 노화된 피부와 피부 속에 노화된 연부조직(SMAS)을 함께 끌어올려 주름을 제거하고 팽팽하게 되살려주는 수술 방법으로 간단한 국소 마취를 통해 바늘을 사용함으로서 메스로 수술하는 방법의 최대 단점인 흉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수술 받은 부위의 자극이나 손상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수술로 인한 출혈이나 그로 인한 부기도 적을 수밖에 없고, 수술 후 자연스러운 긴장도를 주어 피부가 탄력 있고 젊어 보이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합성섬유로 된 직경(diameter) 0.5 mm 정도의 실(thread)을 이용하는 경우, 실에 과도한 텐션(tension)이 가해지면 피부(tissue)가 찢어지는 등(sawing or eating phenomenon)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 개시된 실은 시간이 지나면서(대략 6개월 이내임) 그 리프팅(lifting)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을 보여 왔다.
특히, 단순하게 가시(cog)가 결합되어 있는 종래의 실은, 시술 초기에는 그 효과가 좋으나 이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대략 6개월 이내임) 자연스럽게 가시(cog)가 미끄러지면서 리프팅(lifting)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을 보여 왔다.
따라서 기존에 알려진 통상의 실을 이용하여 주름 제거 수술을 행할 경우,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result)가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나 의사 모두에게 만족할 만한 수술 결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술 효과가 그다지 길게 유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술 후의 회복 속도 역시 길어지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어떠한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되 수술 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simple)하고, 의사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수술 결과(result)를 얻을 수 있어 환자나 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수술 효과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후의 빠른 회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및 그를 이용한 주름 제거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주름 제거를 위한 리프팅 후에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한편, 실을 일정두께 범위의 것을 사용하고, 특히 근육에 고정되는 부위에서는 편평한 형태의 눌림부를 형성해줌으로써, 실에 과도한 텐션(tension)이 가해지더라도 피부(tissue)가 찢어지는(sawing or eating phenomenon)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세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주름살 제거 리프팅시에 사용하는 수술용 실을, 체내에서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 키토산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수술후에 전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데 네 번째 목적이 있으며, 실을 PE(폴리에스테르)의 재질로 구성하되 근육에 고정되어지는 중간부위는 실리콘부로 구성함으로써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물감도 적어지도록 하는데 다섯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피부 조직에 결합되어 해당 피부 조직을 실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키는 실(Thread); 및 상기 실의 양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의 굵기는 1.0 mm ~ 2.3 mm의 범위가 되어야 하는데, 1.0 mm 미만이 될 경우에는 실에 과도한 텐션(tension)이 가해질 경우 피부(tissue)가 찢어지거나 실이 끊어질 위험이 있고, 2.3 mm 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술부위가 부자연스러워질 위험이 있으므로, 실의 굵기는 1.0 mm ~ 2.3 mm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실의 소재로는, PE(폴리에스테르), 실리콘, PTFE(일반적으로, 고어텍스라고 호칭된다)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체내에서 분해되는 용도로서는 키토산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실의 굵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텐션이 가해지더라도 피부의 찢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술부위가 부자연스러워지지 않게되는 범위내에서 결정되어야 할 것이므로, 소재에 관계없이 직경이 1.0 mm ~ 2.3 mm의 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폴리에스테르)는 현재 수술용 사(絲)의 재질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내구성이 우수하고 체내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은 있지만 신축성과 부드러움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실리콘 사의 경우에는 부드럽고 신축성이 우수하므로 수술후 이물감이 적게 느껴지는 장점이 있지만, 체내에서 젤 상태로 존재할 경우 인체의 면역기능을 떨어뜨릴 가능성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사(絲)는 젤 상태가 아닌 고체 상태로서,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는 재질이다.
또한, PTFE(일반적으로 고어 텍스로 호칭되고 있음)는 인체조직에 대한 조직 적합성(Biocompatible)이 매우 양호한 재질로서 실리콘과는 달리 인체내에서 거의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재질이므로 2.0mm 정도의 두께가 되더라도 수술부위가 전혀 부자연스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물감이 느껴지지않으므로, 주름 제거용 성형용도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재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PE(폴리에스테르), 실리콘사 및 PTFE(일반적으로 고어 텍스로 호칭되고 있음)는 모두 체내에서 분해되지않는 재질이지만, 수술후에 이물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내에서 분해되는 사(絲)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체내에서 분해되는 사(絲)로서 키토산 재질의 것을 이용하고 있는데, 키토산은 인체에 무해한 무미, 무취의 천연 고분자 다당류이므로 의료용 인공피부나 수술용 봉합사 등의 의료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키토산은 새우, 게 등의 생물의 생합성에 의해 생산되는 천연 고분자 물질로 고갈 가능성이 없으며, 인간, 동물, 식물 등의 조직이나 체내에서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쉽게 생분해되어 환경 친화적이고, 독성이 거의 없으며, 분말, 섬유, 막, 스폰지 등 성형성이 우수하고, 점성, 보습성, 금속 흡착성, 항균, 항곰팡이 활성 등 기능성을 보유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체내에서 분해되는 사(絲)로서 키토산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는 실과, 실 양단중 어느 한쪽에 구 비되어진 바늘로 구성되는데, 실은 위에서 설명한 PE(폴리에스테르), 실리콘사, PTFE, 및 키토산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겠으나, 실의 재질에 관계없이 직경은 1.0 mm ~ 2.3 mm의 범위가 되어야 하며, 바늘은 특이한 형태로 구부러진 것을 사용해야한다.
즉, 상기 실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활과 같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되 직선방향의 길이가 40 ~ 140 mm인 바늘이 결합되는데, 바늘은 수술의 편의성을 위해 그 양단에 결합한 된 채로 사용하며 수술 후에는 당연히 실로부터 분리되어야 할 것이다.
바늘은 수술시에 표피하부에 위치한 진피의 깊이까지 찔러 실을 진피하부 공간을 통해 삽입하기 위한 것이므로, 수술부위에 따라 그 형태와 길이가 달라져야 할 것이지만, 진피깊이까지는 바늘을 수직방향으로 찔러 삽입한 후에 그 하부공간에서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삽입하여야하므로, 바늘을 활처럼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바늘의 길이는 수술 대상 부위인 얼굴, 가슴, 힙, 배 및 질 부위의 진피조직의 두께 및 형태를 고려하여 직선방향의 길이가 40 ~ 140 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바늘은 수술대상 부위에 따라 곡률반경을 달리 할 수 있으며, 양단에 결합된 바늘을 서로 동일한 곡률반경의 것을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프팅 도구가 얼굴(face) 주름 제거용인 경우, 상기 실은 1.0 ~ 1.5 mm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50 ~ 9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팅 도구가 바디(body) 주름 제거용인 경우, 상기 실은 1.2 ~ 1.7 mm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100 ~ 14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팅 도구가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용인 경우, 상기 실은 1.8 ~ 2.3 mm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80 ~ 12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팅 도구가 질 리프팅(vagina lifting)용인 경우, 상기 실은 1.0 ~ 1.5 mm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40 ~ 6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실의 굵기와 바늘 길이의 범위를 정한 이유는 수술부위의 진피층까지의 깊이 및 수술의 범위를 고려한 것으로서, 얼굴이나 질부위에서는 진피층의 두께가 깊지 않으므로 실은 되도록 가는 것(tension이 가해질때 tissue가 찢어지지 않을 정도의 범위)을 사용하여야 하며, 바디부위(가슴과 힙)와 배부위에서는 진피층의 두께가 깊으므로 실은 되도록 굵은 것(조직내에서 만져지거나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범위)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므로, 위에서의 수치범위내로 결정된 것이다.
또한, 질부위는 수술의 범위(진피층 하부로 실을 연결해야하는 직선길이)가 크지 않으므로 바늘을 짧은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바디부위(가슴과 힙)와 배 부위에서는 수술의 범위(진피층 하부로 실을 연결해야하는 직선길이)가 훨씬 크므로 바늘을 긴 것을 사용해야 하며, 얼굴부위에서는 수술의 범위(진피층 하부로 실을 연결해야하는 직선길이)는 크지만 진피층의 두께는 깊지 않으므로 일측의 바늘은 짧은 것을 사용하고 타측의 바늘은 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의 길이는 수술의 범위(진피층 하부로 실을 연결해야하는 직선길이)에 따라 충분한 길이가 되면 무방할 것이므로 굳이 한정할 필요는 없겠으나, 얼굴(face) 주름 제거용인 경우에는 30 ~ 60 cm 정도가 바람직하고, 바디(body) 주름 제거용인 경우에는 70 ~ 90 cm가 바람직하며,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용인 경우에는 110 ~ 130 cm가 바람직하고, 질 리프팅(vagina lifting)용인 경우에는 35 ~ 55 cm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리프팅 도구를 이용한 주름 제거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름 제거 대상의 위치에 각질화된 외피, 다층의 표피 및 표피 하부의 진피층까지 수직으로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개부를 통해 인장의 기준점을 형성하는 앵커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앵커에 1.0 mm ~ 2.3 mm의 굵기를 갖는 실의 일단을 걸고, 타단은 표피 하부의 진피를 통해 처짐 대상 부위까지 이르도록 한 다음 피부 조직 근막에 고정하여 당긴 후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도구를 이용한 주름 제거 성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은 안정된 힘의 전달을 위해 외줄 형태가 아닌 쌍줄의 형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술부위에 적합한 형태로 둘러주고, 최종적으로는 양단부를 서로 만 나거나 만날 정도로 근접시켜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양단부가 연결되어 외줄이 아닌 쌍줄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줄이 아닌 쌍줄의 형태가 되면, 당겨줄 때 양쪽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어 한쪽이 과도하게 신장되어 추후에 절단되거나 신장되지 않은 쪽이 늘어나 수술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은 쌍줄의 형태로 구성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닥의 줄이 중간부에서 1회 이상 상호 교차(cross)되도록 시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의 어떠한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되 수술 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simple)하고, 의사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수술 결과(result)를 얻을 수 있어 환자나 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수술 효과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후의 빠른 회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참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주름 제거 성형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면, 본 발명의 주름 제거 성형 방법은 실질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실을 이용 하여 처짐 대상의 피부 조직 근막을 들어올리는 과정이다.
이는 우선 주름 제거 대상의 위치에 과도하지 않은 절개부를 내고 절개부를 통해 인장의 기준점을 형성하는 앵커를 고정시킨 후, 앵커에 1.0 mm ~ 2.3 mm의 굵기를 갖는 실의 일단을 걸고, 타단은 처짐 대상의 피부 조직 근막(단단한 조직)에 고정지지하여 실을 팽팽하게 당김으로써 간단하게 완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주름 제거 성형 방법은 인체의 몸에서 중력 때문에 아래로 처질 수 있는 모든 조직, 예컨대, 얼굴(face), 바디(body) 및 질(vagina) 영역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면, 얼굴(face), 몸통(body) 및 질(vagina)의 각 해당 부위에 대한 성형 방법에 대해 해당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얼굴(face) 주름 제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굴(face)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으로써, 도 1a는 뺨 리프팅(cheek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b는 목 리프팅(neck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c는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나이가 들어 얼굴의 연부 조직(soft tissue)이 아래로 처지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비구순 주름(nasolabial fold)과 아래 입술 옆의 뺨 주름(jowl)이다.
비구순 주름(nasolabial fold)은 콧날개 옆에서 입가로 내려가는 비스듬한 주름이다. 여덟팔자(八) 같아 보인다고 해서 팔자주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 한 비구순 주름(nasolabial fold)은 상당히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예컨대, 타고난 얼굴에서 이곳 피하 지방이 없어서 깊은 골이 생기거나, 이곳 뼈가 함몰되어 있어서 골이 생기거나, 입이 나옴으로 인해서 생기거나, 나이가 들면서 볼 살이 쳐짐으로 인해서 골이 깊어지는 등의 요인이 있다.
그런데, 만약에 자신의 양을 구레나룻 정도에 대고, 이 부분을 머리 쪽으로 하여 위로 당겨주기면 하면 비구순 주름(nasolabial fold)과 아래 입술 옆의 뺨 주름(jowl)이 모두 해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구레나룻 부위 머리카락 안에서 약간의 절개를 통해 근막(SMAS)을 위로 힘 있게 당겨주면, 마치 양 손으로 당겼을 때처럼 한 순간에 비구순 주름(nasolabial fold)과 아래 입술 옆의 뺨 주름(jowl)이 해결된다.
최근까지도 가시(cog)가 있는 합섬섬유 실(thread)을 이용한 리프팅 방법이 소개되어 기존의 피부를 절제하는 리프팅 수술을 대신하여 왔으나 리프팅 효과가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아 근자에는 약간 주춤한 상태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여러 개의 실을 피부 밑에 삽입하여 가시로 당겨주기 때문에 숙련의 의사가 시술한다 하더라도 한두 군데 집히는 현상(Dimple)이 생겨 한동안 일상생활을 하기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얼굴(face) 주름 제거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은 리프팅 도구(100)가 사용되어 시술되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은 쉽게 해소될 수 있다.
얼굴(face) 주름 제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리프팅 도구(100)는 도 1에 도 시된 바와 같이, 피부 조직에 결합되어 해당 피부 조직을 실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키는 1.0 mm ~ 1.5 mm의 굵기를 갖는 실(110)과, 실(110)의 양쪽에 구비되며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바늘(111,112)로 이루어져 있다.
얼굴(face) 주름 제거 시 실(110)의 굵기와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1.2 mm 굵기를 가지며 대략 30 ~ 60 cm의 길이를 갖는 실(110)을 사용하고 있다.
실(110)의 재료로는, 앞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PE(폴리에스테르), 실리콘, PTFE(일반적으로, 고어텍스라고 호칭된다) 및 키토산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PTFE(일반적으로, 고어텍스라고 호칭된다)의 경우에는 아주 미세한 구멍(micro pore)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실(110)을 사용하여 도 1a의 뺨 리프팅(cheek lifting), 도 1b의 목 리프팅(neck lifting), 그리고 도 1c의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을 행한 경우, 해당 부위의 조직들이 자라면서 실(110)의 미세 구멍(micro pore) 내로 침투하기 때문에(ingrowth) 인체 조직과 융화가 쉽게 될 수 있다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효과는 0.5 mm 이하의 굵기를 가지는 합성섬유로 된 종래의 실을 사용하여 시술할 때에 제공할 수 없던 효과에 해당한다 볼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주름 제거를 위해 사용해 왔던 통상의 실은 합성섬유였고, 또한 그 실의 굵기는 대략 0.5 mm 이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을 이용하여 예컨대, 도 1a의 뺨 리프팅(cheek lifting), 도 1b의 목 리 프팅(neck lifting), 그리고 도 1c의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을 행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만약 이러한 합성섬유 실에 과도한 텐션(tension)이나 인장력이 가해지면 피부(tissue)가 찢어지는 등(sawing or eating phenomenon)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1.0 mm ~ 1.5 mm의 굵기를 갖는 실(110)을 사용하는 경우, 위와 같이 피부(tissue)가 찢어지는 등(sawing or eating phenomenon)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심지어 2 mm 이상의 실을 사용하더라도 조직 내에서 만져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얼굴(face) 주름 제거 시 실(110)의 양단부에는 바늘(111,112)이 마련된다.
물론, 이러한 바늘(111,112)은 시술의 편리함을 위해 마련되는 것일 뿐, 시술 후에는 제거되는 요소이다. 도 1과 같이, 실(110)의 양단부에 바늘(111,112)이 구비되는 경우, 종래기술과 같이, 별도의 수술용 송곳(awl)이나 스파이널 바늘(spinal needle)을 이용하여 실을 심는 방법보다 훨씬 조직에 외관 장애(trauma)를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이 훨씬 편리해지고 시술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 때의 바늘(111,112)은 마치 활과 같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데, 얼굴(face)의 구조 상 양쪽의 바늘(111,112)은 그 곡률 반경이 동일하게 제작되며, 직선길이가 50 ~ 90 mm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길이가 약 80 mm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얼굴(face) 주름 제거를 위한 리프팅 도구(100)를 이용하여 도 1a의 뺨 리프팅(cheek lifting), 도 1b의 목 리프팅(neck lifting), 그리고 도 1c의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을 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뺨 리프팅(cheek lifting)을 행하고자 할 경우, 우선 도 1과 같은 리프팅 도구(100)를 준비한 후,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의 소정 부위에 절개부(115, temporal excision)를 낸다. 절개부(115)는 뺨에 근접한 어느 부위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자놀이(temporal) 쪽 부근에 아주 미세한 절개부(115)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절개부(115)는 주름 제거 대상의 위치에 각질화된 외피, 다층의 표피 및 표피 하부의 진피층까지 수직으로 절개한다.
절개부(115)를 형성한 후에는, 절개부(115) 내에 인장의 기준이 되는 앵커(P1)를 심는다. 그리고는 바늘(111,112)을 이용하여 실(110)의 일단을 각기 무거운 볼 조직(Check tissue) 중에서 비구순 부분(A, nasolabial), 입술 옆의 뺨 부분(B, jowl), 아래턱 부분(C, mandible) 영역의 조직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 후(이 영역에도 별도의 앵커를 심을 수 있음), 실(110)의 타단을 앵커(P1)에 걸고 당겨 고정한다. 이 때는, 각기 3 방향, 즉 비구순 부분(A, nasolabial), 입술 옆의 뺨 부분(B, jowl), 아래턱 부분(C, mandible) 영역에서 앵커(P1) 쪽으로 당겨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3 방향에 각기 개별적으로 실(110)을 사용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실(110)은 안정된 힘의 전달을 위해 외줄 형태가 아닌 쌍줄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즉, 수술 부위에 적합한 형태로 둘러주고, 최종적으로는 양단부가 서로 만나거나 만날 정도로 근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양단부가 연결되어 외줄이 아닌 쌍줄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외줄이 아닌 쌍줄의 형태가 되면, 당겨줄 때 양쪽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어 한쪽이 과도하게 신장되어 추후에 절단되거나 신장되지 않은 쪽이 늘어나 수술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뺨 리프팅(cheek lifting)을 위해 3 방향에서 조직을 당겨야 하는 경우에 고르게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된 것과는 달리, 실(110)은 쌍줄의 형태로 구성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가닥의 줄이 중간부에서 1회 이상 상호 교차(cross)되도록 시술하여도 좋다.
도 1a와 같이, 시술하는 경우, 실(110)이 비구순 부분(A, nasolabial), 입술 옆의 뺨 부분(B, jowl), 아래턱 부분(C, mandible) 영역의 3 방향에서 앵커(P1) 쪽으로 조직을 당겨주기 때문에 뺨 리프팅(cheek lifting)이 구현되어 뺨 주름이 없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목 리프팅(neck lifting)에 대해 설명한다. 도 1b와 같은 목 리프팅(neck lifting) 수술 방법은 실질적으로 최근까지도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보톡스(botox)나 필러(filler)를 이용하여 잠시 좋아보이게 할 수는 있으나 그다지 유효한 방법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목은 많이 움직이는 부위이기 때문에 피부를 절제하는 수술은 큰 상처 때문에 생각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sterior hair line 쪽의 단단한 부위(G)에 앵커(P3)를 만든 후, 실(110)의 일단은 SCM muscle 근막(fascia) 주위 조직(F)에 걸고 타단은 앵커(P3)에 걸어 당김으로써 SCM muscle 근막(fascia) 주위 조직(F)이 posterior hair line 쪽의 단단한 부위(G) 쪽으로 끌어 올려지면서 주름이 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목 리프팅(neck lifting)을 실시할 경우, 목을 많이 움직여도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며 효과도 반영구적으로 지속된다.
물론, posterior hair line 쪽의 단단한 부위(G)에 앵커(P3)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 영역에 도 1a에서 소개한 절개부 등을 형성해야 하며, 실(110) 역시 쌍줄로 사용되고 교차 배열되는 등의 구조를 가져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a에서 설명한 것을 그대로 준용하도록 하면 반복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에 대해 설명한다. 기존의 이마(forehead)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은, 머리카락 안에서 두피를 절개하고 아래쪽 이마 피부를 당겨주어 봉합해주는 시술이 전부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술 후 절개 부위 주위에 넓이 1 센티미터(cm) 정도의 머리카락이 나지 않아 문제가 많았으며, 또한 얼마 가지 않아 재발하는 경우도 많았다. 최근 non-invasive 한 시술로 가시(cog)가 있는 실로 걸어주기도 하였으나 효과가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하지만, 도 1의 리프팅 도구(100)를 사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피의 일부를 절개한 후, 이 곳에 앵커(P4)를 만든다. 그리고는 도 1의 리프팅 도구(100)를 사용하여 실(110, Gore-tex thread)의 일단을 눈썹(3) 영역 내의 조직에 걸고 타단은 앵커(P4)에 걸어 당김으로써 눈썹(3) 영역 내의 조직이 앵커(P4) 쪽으로 끌어 올려지면서 이마 주름이 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술을 행하는 경우, 눈썹(3)이 많이 처졌을 때, 눈썹(3)이 확실하게 리프팅 되어 blepharoplasty를 하지 않고도 가려져 있던 쌍꺼풀이 드러나면서 시원한 모습이 만들어 지는 효과를 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리프팅 도구(100)를 이용하는 경우, 얼굴(face) 중에서도 도 1a의 뺨 리프팅(cheek lifting), 도 1b의 목 리프팅(neck lifting), 그리고 도 1c의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을 행할 수 있는데, 그 수술 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simple)하고, 의사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수술 결과(result)를 얻을 수 있어 환자나 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수술 효과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후의 빠른 회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만약 시간이 많이 경과하여 리프팅된 뺨이나 목, 이마 등이 이완(relax)되면 앵커 쪽의 고정 부위에서 실(110)을 조금 더 당긴 상태에서 다시 고정해주면 되기 때문에 사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도 하나의 효과가 될 수 있다.
바디 ( body ) 주름 제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디(body)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으로써, 도 2a는 가슴 리프팅(breast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b는 힙 리프팅(hip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c는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d는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위한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body)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200) 역시 전술한 얼굴(face)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100,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거의 유사하다.
즉, 피부 조직에 결합되어 해당 피부 조직을 실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키는 1.2 mm ~ 1.7 mm의 굵기를 갖는 실(210)과, 실(210)의 양쪽에 구비되며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바늘(211,212)을 구비한다.
실(21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1.4 mm 굵기를 가지며 대략 80 cm의 길이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실(210)의 양쪽에 구비된 바늘(211,212) 모두는 120 mm 정도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도 2와 같은 리프팅 도구(200)를 이용할 경우, 도 2a 내지 도 2d와 같이, 가슴 리프팅(breast lifting), 힙 리프팅(hip lifting) 및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행할 수 있다.
참고로, 가슴 리프팅(breast lifting), 힙 리프팅(hip lifting) 및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 시 사용되는 실(210)은, 전술한 얼굴(face) 성형 시 사용되 던 실(110)과 굵기 및 길이만 다를 뿐 물성, 구조 및 기능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와 관련해서는 실(210)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가슴 리프팅(breast lifting)을 행할 경우, 우선 도 2와 같은 리프팅 도구(200)를 준비한다. 다음, 도 2a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대흉근 근막(H, pectoralis fascia) 쪽에 앵커(미도시)를 만든다.
그리고는 도 2의 리프팅 도구(200)를 사용하여 실(210)의 일단을 처진 유방조직(1b, glandular tissue)에 걸고 타단은 대흉근 근막(H, pectoralis fascia) 쪽 앵커에 걸어 당김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가슴 리프팅(breast lifting)을 행할 수 있다.
실(210)의 타단을 대흉근 근막(H, pectoralis fascia) 쪽 앵커에 걸고자 할 때는, 도 2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줄의 실(210a)은 유방조직(1b, glandular tissue)을 관통하도록 하고 다른 한 줄의 실(210b)은 피하 조직(subcutaneous tissue)을 관통하도록 한 후, 유방조직(1b)을 감싸서 묶은 다음 대흉근 근막(H, pectoralis fascia)에 고정해주어야 보다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하면 쉽고 간단하게 유두(1a)가 리프팅된다. 실질적으로 도 2a의 (b)와 같이 수술할 경우, 유두(1a)가 높이 L 만큼 위로 올라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힙 리프팅(hip lifting)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 위쪽의 골반뼈 가장자리 근처의 단단한 막 근처에 앵커(미도시)를 만든다. 그리고는 도 2의 리프팅 도구(200)를 사용하여 실(210)의 일단을 처진 힙 조직에 걸고 타단은 상기 앵커에 걸어 당김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힙 리프팅(hip lifting)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는 가슴 리프팅과 대략 마찬가지로 한 줄의 실(210a)은 피하조직을 관통하도록 하고, 다른 한 줄의 실(210b)은 근막 가까이까지 길게 관통한 후 골반뼈 가장자리 근처의 단단한 막에 고정해줄 수도 있다. 더하여, 또한 원으로 한바퀴 돌며 힙 조직을 가운데로 모아줄 경우에는 쉽게 볼록한 모양의 힙 업(up)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다음으로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에 대해 설명한다. 도 2c는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d는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위한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이다.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리프팅 도구(200)가 사용되어도 좋지만, 도 2d에 도시된 리프팅 도구(300)가 사용되는 편이 유리하다. 물론,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용 리프팅 도구(300)는 실질적으로 바디(body)용 리프팅 도구(200, 도 2 참조)와 거의 흡사하다.
즉, 피부 조직에 결합되어 해당 피부 조직을 실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키는 1.8 mm ~ 2.3 mm의 굵기를 갖는 실(310)과, 실(310)의 양쪽에 구비되며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바늘(311,312)을 구비한다.
실(31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2.0 mm 굵기를 가지며 대략 120 cm의 길이를 갖도록 하고 있다.
아무래도 복부(abdomen)의 경우에는 당기는 힘이 다른 곳에 비해 커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310)의 양쪽에 구비된 바늘(311,312) 모두는 100 mm 정도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복직근(rectus abdominis)과 옆의 기타 복근이 만나는 곳에 세로로 단단한 근막층이 형성되는데, 이곳에 앵커(P5)를 우선 만들어야한다. 반복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앵커(P5)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 영역을 일부 절개한다.
앵커(P5)를 만든 후, 도 2의 리프팅 도구(200)를 사용하여 실(310)의 일단을 처진 복부 조직에 걸고 타단은 앵커(P5)에 걸어 당김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행할 수 있다.
이 때, 실(310)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배꼽(n)을 기준으로 윗배와 아랫배를 동시에 연결하여 한꺼번에 모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지방이 많은 경우라면 지방 흡입을 먼저 해서 피부와 복직근 사이를 가깝게 만든 후에 시술할 수도 있다.
특히, 실(310)은 안정된 힘의 전달을 위해 외줄 형태가 아닌 쌍줄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즉, 수술 부위에 적합한 형태로 둘러주고, 최종적으로는 양단부가 서로 만나거나 만날 정도로 근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양단부가 연결되어 외줄이 아닌 쌍줄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외줄이 아닌 쌍줄의 형태가 되면, 당겨줄 때 양쪽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어 한쪽이 과도하게 신장되어 추후에 절단되거나 신장되지 않은 쪽이 늘어나 수술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 이,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위해 조직을 당기는 힘이 다른 곳에 비해 커야하는 경우에 고르게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의 리프팅 도구(200)를 이용하는 경우, 바디(body) 중에서도 도 2a의 가슴 리프팅(breast lifting), 도 2b의 힙 리프팅(hip lifting), 그리고 도 2c의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행할 수 있는데, 그 수술 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simple)하고, 의사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수술 결과(result)를 얻을 수 있어 환자나 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수술 효과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후의 빠른 회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만약 시간이 많이 경과하여 리프팅된 가슴이나 힙, 복부 등이 이완(relax)되면 앵커 쪽의 고정 부위에서 실(210,310)을 조금 더 당긴 상태에서 다시 고정해주면 되기 때문에 사후 서비스가 가능하다 것도 하나의 효과가 될 수 있다.
질( vagina ) 축소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vagina)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으로써, 도 3a는 질 리프팅(vagina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vagina)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400), 다시 말해 질(vagina) 축소용 리프팅 도구(400) 역시 전술한 얼굴(face) 및 바디(body)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100,200 도 1 및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거의 유사하다.
즉, 피부 조직에 결합되어 해당 피부 조직을 실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키는 1.0 mm ~ 1.5 mm의 굵기를 갖는 실(410)과, 실(410)의 양쪽에 구비되며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바늘(411,412)을 구비한다.
실(41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1.2 mm 굵기를 가지며 대략 45 cm의 길이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실(410)의 양쪽에 구비된 바늘(411,412) 모두는 42 mm 정도가 되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질(vagina) 축소 시술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 외측 벽(vaginal lateral wall)에 앵커(P6)를 만든다. 그리고는 도 3의 리프팅 도구(400)를 사용하여 실(410)의 일단을 질 내측 벽(vaginal inferior wall)에 걸고 타단은 앵커(P6)에 걸어 당김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질 홀(vaginal orifice)을 좁혀줄 수 있게 된다. 이 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 홀(vaginal orifice)의 둘레를 따라 실(410)이 상호 대칭되게 시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도 3의 리프팅 도구(400)를 이용하는 경우, 질(vagina) 축소 시술을 행할 수 있는데, 그 수술 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단(simple)하고, 의사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수술 결과(result)를 얻을 수 있어 환자나 의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으며, 만족할 만한 수술 효과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수술 후의 빠른 회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일상생활로의 복귀 를 신속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상이한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으로서,
먼저 도 4에서 보면, 실(610)과 바늘(611,612)로 구성된다는 점에서는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지만, 실(610)의 중간부에 편평한 단면형태를 가지는 눌림부(613)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눌림부(613)는 리프팅시에 피부조직에 닿는 부분으로서,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크게함으로써 실에 의한 피부조직의 끊어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눌림부(613)의 폭은 실의 직경(1.2~2.3mm)보다 커야하므로, 1.5~5.0mm 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림부(613)의 길이는 수술부위에 따라 임의 조절 가능하며, 대개의 경우 5 ~ 10cm 정도의 범위내에서 사용하게 된다.
도 5는 PE(폴리에스테르)사 중간에 실리콘부가 결합되어진 사(絲)를 이용한 리프팅 도구에 대한 것으로서, 중간에는 실리콘부(713)가 위치하고 상기 실리콘부의 양단에는 PE(폴리에스테르)사(714)가 결합되어져서 일체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PE사(714)는 용융상태의 실리콘부(713)가 굳어지는 과정에서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PE사(714)와 실리콘부(713)간의 결합상태를 양호하게 하기위해, 상기 실리콘부(713)와 닿는 PE사(714)의 단부에는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루프(71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실리콘부(713)는 실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리프팅시에 피부조직에 닿게되는데, 실리콘부(713)는 신축성이 있고 부드러울뿐만 아니라 직경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크므로, 실을 걸었을 때 피부조직이 끊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리콘부(713)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사(絲)로 구성하거나,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띠로 구성할 수 있는데, 실리콘부(713)의 직경 또는 폭은 PE사(714)보다 크게 만들어져야 할 것이고, 길이는 수술부위에 따라 임의 조절 가능하겠으나 대개의 경우 5 ~ 10cm 정도의 범위내에서 사용하게 된다.
도 6은 키토산 재질의 실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실이 키토산 재질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이며, (b)는 실이 PE사에 의한 심재와, 이를 피복한 키토산으로 구성되어진 경우이며, (C)는 심재가 꼬아만든 PE사로서, 키토산은 심재의 빈 공간을 채워 원형의 단면형태가 되도록 구성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먼저, 도 6의 (a)에서 보면 실(110)이 키토산(113)만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인간 조직이나 체내에서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키토산 고유의 특성에 의해, 수술후에는 부작용 없이 체내에서 분해될 것이며, 이물감을 거의 느끼지 않게될 것이다.
도 6의 (b)에서는 실(110)이 PE(폴리에스테르)재질의 심재(114)와, 상기 심재(114)를 에워싸도록 피복되어진 키토산(113)으로 구성되므로, 수술 당시에는 실(110)에 심재(114)와 키토산(113)이 모두 존재하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키토산(113)은 분해되므로 심재(114)만 남게되는데, 심재(114)는 피부조직에 텐션을 가하기 위한 최소한의 힘으로서 작용하게된다.
도 6의 (C)의 경우에도 도 6의 (b)와 마찬가지로, PE(폴리에스테르)재질의 심재(114)와, 상기 심재(114)를 에워싸도록 피복되어진 키토산(113)으로 구성되어있으나, 상기 심재(114)는 꼬아서 만든 실이며, 키토산(113)은 상기 심재(114)의 빈틈을 채워 실(110)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수술 당시에는 실(110)이 심재(114)에 키토산(113)이 피복되어진 상태로 존재하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심재(114)만 남게된다.
수술후에 남게되는 심재(114)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피부조직에 텐션을 가하기 위한 최소한의 힘으로서 작용하게되며,
꼬아 만든 실로서 표면이 다소 거칠므로 수술후에 해당 부위의 조직들이 자라면서 실(110)의 거친 표면 내로 침투하기 때문에(ingrowth) 인체 조직과 융화가 쉽게 될 수 있다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굴(face)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으로써,
도 1a는 뺨 리프팅(cheek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b는 목 리프팅(neck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c는 이마 리프팅(forehead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디(body)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으로써,
도 2a는 가슴 리프팅(breast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b는 힙 리프팅(hip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c는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d는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을 위한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질(vagina)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으로써,
도 3a는 질 리프팅(vagina lifting)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PTFE 재질의 실을 사용한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
도 5는 PE사 중간에 실리콘부가 결합된 실을 사용한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
도 6은 키토산 재질의 실을 사용한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에 대한 도면으 로서, (a)는 실이 키토산 만으로 구성된 예이고, (b)는 실이 PE사에 의한 심재와, 이를 피복한 키토산으로 구성되어진 예이며, (C)는 심재가 꼬아만든 PE사로서, 키토산은 심재의 빈 공간을 채워 원형의 단면형태가 되도록 구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400 : 리프팅 도구 110~410 : 실
111~411,112~412 : 바늘 113, 113' : 키토산
114, 114' : 심재 613 : 눌림부
713 : 실리콘부 714 : PE사
715 : 루프

Claims (11)

  1. 소정의 피부 조직에 결합되어 해당 피부 조직을 실질적으로 리프팅(lifting)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1.0 ~ 2.3 mm의 굵기를 가지는 실; 및
    상기 실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활과 같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되 직선방향의 길이가 40 ~ 140 mm 인 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상기 실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이들은 서로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도구가 얼굴(face) 주름 제거용인 경우,
    상기 실은 1.0 ~ 1.5 mm 의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50 ~ 9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도구가 바디(body) 주름 제거용인 경우,
    상기 실은 1.2 ~ 1.7 mm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100 ~ 14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도구가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용인 경우,
    상기 실은 1.8 ~ 2.3 mm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80 ~ 12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도구가 질 리프팅(vagina lifting)용인 경우,
    상기 실은 1.0 ~ 1.5 mm 굵기를 가지며, 상기 실의 양측에 위치한 바늘 모두는 40 ~ 60 mm의 직선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PE(폴리에스테르), 실리콘, PTFE(일반적으로, 고어텍스라고 호칭함) 및 키토산 재질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PTFE(일반적으로, 고어텍스라고 호칭함)재질로 구성되고, 실의 중간부에는 편평한 단면형태를 가진 눌림부(613)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중간에는 실리콘부가 위치하고 상기 실리콘부의 양단에는 PE(폴리에스테르)사가 결합 구성되어지되, 상기 PE사는 용융상태의 실리콘부가 굳어지는 과정에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리콘부와 닿는 PE사의 단부에는 루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PE(폴리에스테르)재질의 심재와, 상기 심재를 에워싸도록 피복되어진 키토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꼬아서 만든 실이며, 키토산은 상기 심재의 빈틈을 채워 실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KR1020070101963A 2007-05-01 2007-10-10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KR10093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97,134 US20080275502A1 (en) 2007-05-01 2007-05-01 Lifting instrument for removing skinfolds and plasty method of removing skinfolds using the same
KR1020070101963A KR100939581B1 (ko) 2007-05-01 2007-10-10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97,134 US20080275502A1 (en) 2007-05-01 2007-05-01 Lifting instrument for removing skinfolds and plasty method of removing skinfolds using the same
KR1020070101963A KR100939581B1 (ko) 2007-05-01 2007-10-10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748A true KR20090036748A (ko) 2009-04-15
KR100939581B1 KR100939581B1 (ko) 2010-02-01

Family

ID=5246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963A KR100939581B1 (ko) 2007-05-01 2007-10-10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275502A1 (ko)
KR (1) KR1009395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923A1 (ko) * 2011-10-31 2013-05-10 Kim Jong Woo 조직거상용 이식물
WO2014204135A1 (ko) * 2013-06-20 2014-12-24 주식회사 태평양제약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CN105491961A (zh) * 2013-06-20 2016-04-13 株式会社瑗丝特兰 用于皮肤提拉或扩张皮肤组织体积的缝合线
KR20200111377A (ko) 2019-03-19 2020-09-29 서현승 리프팅 시술용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시술세트 및 이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방법
KR102234637B1 (ko) * 2020-02-26 2021-04-01 윤영묵 피부 주름 제거 시술유닛
KR20230020200A (ko) * 2021-08-03 2023-02-10 유성식 피부 주름제거 성형용 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18B1 (ko) 2012-06-07 2014-05-20 홍유리 매선용 탄성실
KR101273792B1 (ko) * 2012-10-16 2013-06-11 박민재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CN104994807A (zh) * 2012-10-16 2015-10-21 朴民宰 体内植入用部件的表面加工装置和方法,体内植入用部件及将其注入体内的注入装置
KR101403979B1 (ko) * 2013-12-09 2014-06-10 윤인모 성형수술용 리프트 재료
KR20210044770A (ko) * 2018-06-22 2021-04-23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조합된 확대 시술들의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701A (en) * 1990-12-24 1993-05-04 American Cyanamid Company Surgical needle-suture combin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JP2006320618A (ja) 2005-05-20 2006-11-30 Katsuya Takasu 皮膚の引伸し用糸部材
KR100761921B1 (ko) * 2006-03-13 2007-10-04 양현진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0724706B1 (ko) * 2006-03-29 2007-06-07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923A1 (ko) * 2011-10-31 2013-05-10 Kim Jong Woo 조직거상용 이식물
EP2774579A1 (en) * 2011-10-31 2014-09-10 Jong Woo Kim Graft for tissue lifting
EP2774579A4 (en) * 2011-10-31 2015-03-25 Jong Woo Kim GRAFT FOR TISSUE RHYTIDECTOMY
RU2573804C2 (ru) * 2011-10-31 2016-01-27 Чен Ву КИМ Имплантат для подтяжки ткани
US11045299B2 (en) 2011-10-31 2021-06-29 Jong Woo Kim Implant for tissue lifting
WO2014204135A1 (ko) * 2013-06-20 2014-12-24 주식회사 태평양제약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CN105491961A (zh) * 2013-06-20 2016-04-13 株式会社瑗丝特兰 用于皮肤提拉或扩张皮肤组织体积的缝合线
KR20200111377A (ko) 2019-03-19 2020-09-29 서현승 리프팅 시술용 니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팅 시술세트 및 이를 이용한 리프팅 시술방법
KR102234637B1 (ko) * 2020-02-26 2021-04-01 윤영묵 피부 주름 제거 시술유닛
KR20230020200A (ko) * 2021-08-03 2023-02-10 유성식 피부 주름제거 성형용 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581B1 (ko) 2010-02-01
US20080275502A1 (en)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581B1 (ko) 주름 제거용 리프팅 도구
KR100629404B1 (ko) 눈꺼풀 정형용 스트레치 테이프
KR100724706B1 (ko) 미세기공을 갖는 수술용 실
KR20140147683A (ko)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Binder et al. Malar and submalar augmentation
CN201759700U (zh) 一种下颌假体
RU2135122C1 (ru) Способ омолаживания кожи
CN201404310Y (zh) 整形手术用的空心锥悬提线
Antia Reconstruction of the Face in Leprosy: Hunterian Lecture delivered at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 on 17th April 1962
CN201436996U (zh) 一种可吸收的医用除皱垫膜
KR100701431B1 (ko) 실리콘 보형물
KR20190107369A (ko) 주름 제거용 리프팅 테이프
JP3525338B2 (ja) 皺取粘着シート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US20210068825A1 (en) Eight-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CN111053585A (zh) 一种微创眉部整形装置及其使用方法
RU2524610C1 (ru)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ий набор для лифтинга мягких тканей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езоните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арианты)
RU2186529C2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возрастных изменений кожи лица и шеи
CN213642117U (zh) 一种面部用针灸针
KR102074756B1 (ko) 주름 개선을 위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8282684B2 (en) Instant face-lifter
KR20140071885A (ko) 피부재생용 금사 주입 장치
Hong et al. Filler procedures based on the facial area
KR20150104393A (ko) 성형수술용 탄력실
CN215192625U (zh) 一种鼻整形手术植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