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550B1 -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 Google Patents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550B1
KR102333550B1 KR1020190169725A KR20190169725A KR102333550B1 KR 102333550 B1 KR102333550 B1 KR 102333550B1 KR 1020190169725 A KR1020190169725 A KR 1020190169725A KR 20190169725 A KR20190169725 A KR 20190169725A KR 102333550 B1 KR102333550 B1 KR 10233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lifting
binding
thread
wir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053A (ko
Inventor
이지형
Original Assignee
이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형 filed Critical 이지형
Priority to KR102019016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5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은 일명 '실리프팅 시술'이라 일컫는 미용성형 시술 시에 사용되는 리프팅실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리프팅실의 본체를 이루는 일자형 와이어 본체;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앞쪽에 형성되며,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형성되고 후방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결착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결착구간; 상기 결착구간에 연결되고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피부 내지 연부 조직과의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연장구간; 및 상기 연장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형성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종래 일자형 리프팅실에 비하여 눈가 내지 입술 주변과 같은 국소 부위를 숙련된 기술없이도 용이하게 거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국소 부위가 거상되는 방향의 주변 피부 내지 연부 조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대적으로 강하게 거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거상하려는 조직을 강하게 견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 피부 내지 연부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 리프팅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 및 높은 결착력과 고정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Sectional lifting wire for local area lifting procedures}
본 발명은 일명 '실리프팅 시술'이라 일컫는 피부 시술 시에 사용되는 리프팅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인부, 연장부, 고정부로 나뉘어 소정의 국소 부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리프팅을 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돌기형 리프팅실에 관한 것이다.
리프팅 시술은 주름 제거와 피부 처짐을 개선하기 위해 시술되는 다양한 시술 방법 중 하나로 최근 '안티에이징'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면서 시술의 효과가 즉각적으로 발휘되는 리프팅 시술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 1 종래 리프팅실의 예를 보인 도면 및 도 2 종래 대칭 구조의 'U'자형 리프팅실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리프팅실을 이용하는 실리프팅 시술은 피부의 절개없이 케뉼라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피부 속에 리프팅실을 삽입한 후, 삽입된 리프팅실을 견인하면 리프팅실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피부 조직이 리프팅실의 견인과 함께 당겨지고, 이렇게 견인된 리프팅실을 고정시키면 피부 조직의 당겨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처지거나 주름진 피부 조직은 처지지 않은 상태가 되거나 주름이 개선된다.
이와 같은 실리프팅 시술 방법은 얼굴 부위의 섬세한 교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케뉼라를 사용함으로써 피부를 절개하는 수술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정상 생활이 가능하며, 흉터 문제를 비롯하여 수술로 인해 야기되는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실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리프팅실은 실리콘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섬유로 된 직경 0.5 mm 가량의 실에 피부 조직과 결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다.
그러나, 기존의 리프팅실은 상기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직경의 실의 외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가시 형태의 돌기를 형성함에 따라 리프팅실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면 피부 조직이 찢어지거나 일부 피부 조직이 상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돌기가 실 전체에 형성됨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부위의 조직 함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리프팅 시술 초기에는 효과가 좋은 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조직에서 돌기가 조금씩 밀려나거나 돌기의 형상 변형 등으로 인해 리프팅 효과가 점차적으로 감쇄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단단한 돌기 자체를 리프팅실에 성형하는 방법으로 리프팅실을 제조하여 돌기의 형태 변화를 방지하는 리프팅실이 개시된 바 있고, 출원번호 10-2015-0052112호 발명의 명칭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3 출원번호 10-2015-0052112호 발명의 명칭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 제거용 리프팅 시술시 주름 개선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형태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그립코그를 구비하는 그립파트 및 상기 지주부의 타측에서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되고 그립코그와 반대의 경사를 가지는 복수의 리텐션코그를 구비하는 리텐션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리텐션파트는 지주부의 삽입 및 시술 과정에서 그립파트에 대하여 피부 조직이 당겨진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하며, 시술 후 시간이 흐르는 과정에서 중력 및 조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팅용 실은 시술과정의 신뢰성과 주름제거의 효과의 지속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팅실 역시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U'자형 리프팅실과 마찬가지로 리프팅실 전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일자형 리프링실로 이용함에 따라 전체에 돌기가 형성되는 위치를 90도 간격과 180도 간격으로 하여 돌기의 위치와 밀도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여 기존 돌기로 인한 문제는 여전히 가지고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종래 일자형 리프팅실은 리프팅실 전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눈가 주름이나 입술 주변과 같은 국소 부위를 강하게 당기기 위하여 리프팅실에 상대적으로 큰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피부 조직의 거상을 위해 리프팅실이 삽입되어 정착된 위치에서 당겨지는 방향으로 피부 조직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함에 따라 리프팅실의 견인과 함께 리프팅실이 삽입되어 있는 전체 조직이 함께 리프팅되는 문제가 있어 원하는 국소 부위만의 거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국소 부위 거상을 위한 실리프팅 시술의 경우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강한 견인으로 이로 인해 주변 피부 조직이 상하거나 리프팅실이 삽입된 부위의 피부에 주름 및 함몰이 생겨 피부 평탄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즉, 종래의 리프팅실은 처진 볼이나, 이마 내지 목 주름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안면 조직을 거상하는데 최적화되어 있어 국소 부위만을 강하게 견인하는데 사용하기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리프팅하려는 국소 부위의 피부 조직에만 결착이 이루어지고, 리프팅실의 고정 역시 고정 부위의 피부 조직에만 결착되어 리프팅 부위의 피부 조직과 고정 부위의 피부 조직 사이에 피부 조직과의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스러운 리프팅 효과를 발휘하면서 기존 리프팅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팅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자형 리프팅실에 있어서 눈가 내지 입술 주변과 같은 국소 부위에 대한 거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국소 부위 거상용 리프팅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소 부위만 상대적으로 강한 장력으로 거상할 수 있는 리프팅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상하려는 피부 및 연부 조직 이외의 주변 피부 및 연부 조직의 손상을 줄이는 리프팅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 시술 위치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리프팅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결착력과 고정력이 높은 리프팅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리프팅실의 본체를 이루는 일자형 와이어 본체;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앞쪽에 형성되며,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형성되고 후방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결착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결착구간; 상기 결착구간에 연결되고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조직과의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연장구간; 및 상기 연장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형성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은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전체 길이(L)를 기준으로 상기 결착구간과 고정구간은 0.6L ~ 0.3L의 길이를 갖고, 상기 연장구간은 나머지 0.4L ~ 0.7L의 길이를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을 한다.
또한,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상기 결착용 돌기 또는 고정용 돌기는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에 따른 평면상에 복수 개가 배열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을 한다.
또한,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상기 고정구간에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는 상기 결착구간에 형성되는 결착용 돌기에 비해 단위 면적당 1.5배 ~ 2배의 갯수 만큼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을 한다.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은 상기와 같이 결착구간과 고정구간을 연장구간을 통해 이격시키고, 이렇게 분리된 결착구간과 고정구간의 일측에만 결착 또는 고정을 위한 돌기를 형성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종래 일자형 리프팅실에 비하여 눈가 내지 입술 주변과 같은 국소 부위를 숙련된 기술없이도 용이하게 거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소 부위가 거상되는 방향의 주변 피부 내지 연부 조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대적으로 강하게 거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상하려는 피부 내지 연부 조직을 강하게 견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 거상하려는 국소 부위와 견인된 리프팅실이 고정되는 고정 부위의 위치 차이에 따라 연장구간이 다양한 길이로 되어있는 리프팅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돌기가 형성된 종래 일자형 리프팅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결착력과 고정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리프팅실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대칭 구조의 'U'자형 리프팅실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출원번호 10-2015-0052112호 발명의 명칭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돌기 형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결착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연장구간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은 국소 부위를 리프팅하기 위한 시술용 리프팅실에 관한 것으로 도 4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를 결착구간(120), 연장구간(130) 및 고정구간(140)으로 구분한다.
상기 결착구간(120)에는 거상하려는 피부 내지 연부 조직과 결착되는 결착용 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구간(130)에는 피부 내지 연부 조직과의 결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가 없는 매끈한 표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간(140)에는 견인된 리프팅실을 피부 내지 연부 조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14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의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과 함께 상기 결착용 돌기(121)와 고정용 돌기(141)는 도 5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돌기 형성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형성되는 기술적 특징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은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구간을 결착구간(120), 연장구간(130) 및 고정구간(140)으로 나누고, 상기 결착구간(120)의 일측인 180도 영역에만 결착용 돌기(12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간(140) 역시 일측인 180도 영역에만 고정용 돌기(141)를 형성한다.
위와 같이 상기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실(100)의 본체를 이루는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는 리프팅실을 제조함에 사용되는 통상의 원료를 이용하여 리프팅실을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리프팅실과 동일한 소재와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어느 특정된 원료 내지 소재로 특수한 시설을 통해 제조되는 리프팅실에 국한되지 않고, 리프팅실을 제조함에 사용되는 다양한 원료 내지 소재를 통해 통상의 리프팅 제조 장치를 통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는 인체 내에서 녹는 소재 또는 녹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폴리디옥사논(PDO- polydioxanone) 소재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착용 돌기(121)와 고정용 돌기(141) 역시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는 상기 도 5에 결착구간(120, L1), 연장구간(130, L2) 및 고정구간(140, L3)으로 목적에 따른 구간을 분리하고, 각 구간은 소정의 길이(L1, L2, L3)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의 각 구간들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전체 길이(L)를 기준으로 상기 결착구간과 고정구간은 0.6L ~ 0.3L의 길이를 갖고, 상기 연장구간은 나머지 0.4L ~ 0.7L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을 한다.
예를 들어, 일자형 와이어본체의 전체 길이(L)가 10 cm 일 때, 결착구간(120)과 고정구간(140)의 길이(L1+L2)는 최소 3 cm에서 최대 6 cm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연장구간(130)의 길이(L2)는 최소 4 cm ~ 7 cm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착구간(120))의 길이(L1)에 비해 상기 고정구간(140))의 길이(L4)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착구간(120)과 고정구간(140)에 형성되는 결착용 돌기(121)와 고정용 돌기(141)의 갯수 역시 상기 고정구간에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141)가 상기 결착구간(120)에 형성되는 결착용 돌기(121)에 비해 단위 면적당 1.5배 ~ 2배의 갯수 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결착구간(120)의 길이 1 cm 당 6개의 결착용 돌기(121)가 형성된다면, 상기 고정구간(140)에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141)는 1 cm 당 9개에서 12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용 돌기(121)는 후방으로 약 45도 가량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141)는 전방으로 약 45도 가량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용 돌기(121) 또는 고정용 돌기(141)는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단면에 따른 평면상에 복수 개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착용 돌기(121)를 동일 평면 상에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실(100)을 견인할 때, 동일 평면 상에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결착용 돌기(121)는 하나의 돌기처럼 작용하여 피하지방 조직이나 근육 조직과 좀더 단단히 결착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갯수의 돌기로도 상대적으로 무거운 피부 조직을 거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착구간(120)은 상기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앞쪽(F)에 형성되며,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결착용 돌기(121)를 형성하여, 도 6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결착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 조직 내에 케뉼라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거상 하려는 피부 조직(T1)과 결착된다.
이때,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착구간(120)에 형성된 결착용 돌기(121)가 피부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피하지방 조직과 체결되고, 반대로 결착구간(120)에 형성된 결착용 돌기(121)가 피부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육 등과 같은 연부 조직과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실(100)의 리프팅 시술 과정에서 거상하려는 조직에 따라 피하지방 조직 또는 근육 조직에 선택적으로 결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특징은 종래 리프팅실에서 전혀 고려된 바 없는 기술적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결착용 돌기(121)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0 부위에 한정된 외주면을 따라 3개씩 3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구간(130)은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구간(120)에 연결되고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피부 내지 연부 조직과의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장구간(130)의 목적은 거상하려는 조직과 리프팅실을 고정하는 조직 사이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거상하려는 조직과 리프팅실이 고정되는 조직 사이의 피부 내지 연부 조직에 대한 리프팅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구간(130)의 일자형 와이어 본체(110)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함으로써 연장구간(130)에서는 피부 조직과의 부착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연장구간(130)은 도 7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연장구간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착구간(120)과 고정구간(140)의 길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연장구간(1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길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은 거상 부위의 위치와 고정 부위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끝으로, 상기 고정구간(140)은 상기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구간(130)에 연결되고 상기 결착구간(120)과 마찬가지로 180도 영역에만 전방(F)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고정용 돌기(14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고정구간(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착구간(12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고정용 돌기(141)의 밀도 역시 상기 결착구간(120)에 형성되는 결착용 돌기(121)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용 돌기(141) 역시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결착용 돌기(121)와 마찬가지로 피하지방 조직에 결착되어 고정되거나, 근육 등과 같은 연부 조직 또는 골막 조징 등에 결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돌기(141)는 상기 결착용 돌기(121)와 같은 180도 측면에 형성되거나 반대의 180도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은 도 8 본 발명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상하려는 조직(T1)과 리프팅실이 고정되는 조직(T3) 사이에 있는 거상 방향의 조직(T2)에 대하여 매끈하게 형성된 연장구간(13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100)의 견인 시에 견인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거상을 목적으로 하는 국소 부위의 조직(T1) 만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견인하여 이격되어 있는 조직(T3)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결착과 고정을 위한 돌기가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어 불필요하게 타측면과 접하는 조직이 돌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110: 일자형 와이어 본체
120 : 결착구간
121 : 결착용 돌기
130 : 연장구간
140 : 고정구간
141 : 고정용 돌기

Claims (4)

  1.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리프팅실의 본체를 이루는 일자형 와이어 본체;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앞쪽에 형성되며,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형성되고 후방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결착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결착구간; 상기 결착구간에 연결되고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피부 조직과의 결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연장구간; 및 상기 연장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만 형성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다수의 고정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전체 길이(L)를 기준으로 상기 결착구간과 고정구간은 0.6L ~ 0.3L의 길이를 갖고, 상기 연장구간은 나머지 0.4L ~ 0.7L의 길이를 갖고,
    상기 결착용 돌기 및 고정용 돌기는 상기 일자형 와이어 본체의 단면에 따른 평면상에 복수 개가 배열되며, 상기 고정구간에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는 상기 결착구간에 형성되는 결착용 돌기에 비해 단위 면적당 1.5배 ~ 2배의 갯수 만큼 형성되는 것으로 하되, 상기 결착용 돌기는 3개씩 3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69725A 2019-12-18 2019-12-18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KR10233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25A KR102333550B1 (ko) 2019-12-18 2019-12-18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25A KR102333550B1 (ko) 2019-12-18 2019-12-18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53A KR20210078053A (ko) 2021-06-28
KR102333550B1 true KR102333550B1 (ko) 2021-11-30

Family

ID=7660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725A KR102333550B1 (ko) 2019-12-18 2019-12-18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397B1 (ko) 2023-02-17 2023-05-09 김정민 리프팅 실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890B1 (ko) 2021-12-09 2023-05-26 장두열 개량형 리프팅실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049A1 (en) * 2016-04-22 2017-10-26 Promoitalia Group Spa Modular surgical wire for plastic surgery, dermatological surgery, cosmetic surgery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908A (ko) * 2004-01-08 2005-07-13 황연희 다방향 다중밀도 주름제거용 봉합사
KR20170072180A (ko) * 2017-06-19 2017-06-26 (주)투엘바이오 시술용 매선 및 그 제조방법
KR102013877B1 (ko) * 2017-12-27 2019-08-23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리프팅 실, 리프팅 실 삽입기 및 리프팅 실 삽입 유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049A1 (en) * 2016-04-22 2017-10-26 Promoitalia Group Spa Modular surgical wire for plastic surgery, dermatological surgery, cosmetic surgery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397B1 (ko) 2023-02-17 2023-05-09 김정민 리프팅 실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53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8587B (zh) 自锚式组织提拉装置、制造该装置的方法以及使用该装置进行面部整形手术的方法
KR102333550B1 (ko) 국소 부위 리프팅 시술용 구간 분리형 리프팅실
EP1734870B1 (en) Surgical thread
KR101773774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CN106163464A (zh) 具有粘附优化边缘条件的手术器械
US20080046094A1 (en) Linear tension material for plastic surgery
US20050267532A1 (en) Surgical thread
KR101682534B1 (ko) 피부 리프팅 또는 조직의 볼륨 팽창용 봉합사
KR101440224B1 (ko) 매선용 로프
KR101695339B1 (ko) 굵기를 달리하는 성형수술용 실
KR101679813B1 (ko) 주름개선 리프팅 시술을 위한 각뿔형 돌기와 공간이 형성된 의료용 코그실
KR200492218Y1 (ko) 결합 리프팅 실
WO2005096956A1 (en) Surgical thread
KR101533074B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US20220370182A1 (en) Lifting thread with stretchable variable portion
JP2007503228A (ja) 高い剥離角度で解放される多重フィラメントの鼻ストリップ
KR100679160B1 (ko) 성형수술용 수술실
WO2007111407A1 (en) Thread with open pore for plastic surgery
KR20170029444A (ko) 입체형 리프팅 메쉬
KR20050074342A (ko) 수술용 실
KR102111776B1 (ko) 관통부를 갖는 의료용 실
KR101874065B1 (ko) 성형 시술용 실
KR102205020B1 (ko) 실 삽입기
KR102069250B1 (ko) 안면 리프팅용 니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