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63328A1 -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63328A1
WO2014163328A1 PCT/KR2014/002612 KR2014002612W WO2014163328A1 WO 2014163328 A1 WO2014163328 A1 WO 2014163328A1 KR 2014002612 W KR2014002612 W KR 2014002612W WO 2014163328 A1 WO2014163328 A1 WO 20141633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inseng fruit
fruit extract
composition
weigh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26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현정
박찬웅
김수환
서대방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EP14779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82376B1/en
Priority to JP2016506227A priority patent/JP6648004B2/ja
Priority to US14/781,146 priority patent/US10555983B2/en
Publication of WO20141633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6332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Brain activating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fruit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n activation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ing brain activation, including ginseng fruit extract.
  • This cognitive impairment can be caused by various causes. These cognitive impairments include, for example, cognitive impairment due to degenerative brain diseases including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and Huntington's disease, alcoholic cognitive impairment, cognitive impairment due to aging, accidental brain function Loss, disorders due to cerebral hemorrhage, ADHIX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hizophrenia, and cognitive impairment due to chronic fatigue syndrome.
  • Dementia a representative degenerative brain and disease, is a brain disease that indicates a general cognitive impairment. It is usually caused by chronic or progressive brain disease and impairs many senior cerebral functions such as memory, thinking, understanding, calculation, learning, and language judgment. appear.
  • the brain function is gradually deteriorat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cognitive ability.
  • Chronic Fatigue Syndrome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symptoms in modern people. This chronic fatigue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severe fatigue symptoms that make patients very debilitating and do not improve after rest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ukuda et al. 1994).
  • Chronic Fatigue Syndrome is one of four symptoms, including fatigue symptoms, memory or one concentration disorder, sore throat, lymphatic tenderness, muscle pain, joint pain, new headache, not refreshing sleep, and severe boredom after exercise.
  • the ideals should be accompanied.
  • impaired cognitive function such as concentration disorder, attention disorder and memory disorder, these symptoms suggest that chronic fatigue syndrome is accompanied by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
  • SPECT S i ng 1 e-hot 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 the present inventors While research using ginseng and ground ginseng fruit, ginseng fruit (ginseng fruits) having a different composition and composition than the general ginseng root ) Confirmed that the extract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cognitive function,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chronic fatigue syndrome improvement, treatment or prevention or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comprising a ginseng fruit extract.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chronic fatigue syndrome improvement, or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comprising ginseng frui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in smoothing the brain blood flow and activating the brain to reduce chronic fatigue and feeling of depression, an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solution of problem solving in the cognitive area. .
  • the same stress black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sponse and coping ability to the stimulus, thereby reducing the daily mental and physical fatigue and increasing the stress resistance.
  •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alyzing ginsenoside components of ginseng fruit extract and ginseng root extract.
  • Figure 2 is a graph compar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epression of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ake of ginseng fruit extract.
  • 3 is a graph compar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hronic fatigue of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ake of ginseng fruit extract.
  • Figure 4 is a graph compar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rrect rate of the stroop test results of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ingesting the ginseng fruit extract.
  • 5 is a graph compar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action rate of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ingesting the ginseng fruit extract.
  • Figure 6a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cerebral blood flow through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of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ginseng fruit extract intake.
  • FIG. 6B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measured blood blood flow throug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ingesting ginseng fruit extract.
  • the part marked 20 by an arrow indicates the part of the brain activation scale having the largest value, and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activation gradually decreases as the part moves to the dark part.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33892 filed March 24,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for all purposes. This application also claims the benefit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10-2013-0035600 and 10-2014-0033892,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comprising ginseng frui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brain activation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method for activating a brain comprising administering a ginseng fruit extract to a subject requiring brain activation.
  •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the use of ginseng fruit extract brain activation It may be.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ginseng fruit extract for use in brain activation.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ginseng frui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may be a 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
  •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ay mean improve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due to various diseases, aging, accidents, and the like, and specifically,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and Huntington's disease in various diseases.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degenerative brain diseases.
  • cognitive impairment is alcoholic cognitive impairment, cognitive impairment due to cerebral hemorrhage, brain function loss due to accidents, cognitive impairment due to aging, schizophrenia,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Or cognitive impairment caused by chronic fatigue syndro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the broadest concept that includes cognitive impairment due to various causes.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ginseng fruit extract to an individual in need of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use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of ginseng fruit extract.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ginseng fruit extract for us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treating, or preven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including symptoms of chronic fatigue syndrome, including ginseng frui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herapeutic or prophylactic composi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irected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or improving symptoms of chronic fatigue syndrome, including ginseng frui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prevention.
  •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or improving symptoms of chronic fatigue syndrome including ginseng frui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prevention.
  • the symptoms of chronic fatigue syndrome is a symptom of chronic fatigue syndrome is a decrease in brain activation, cerebral blood flow and reduced ⁇ cognitive function, central nervous disorders, concentration disorders, attention disorders, memory disorders, feeling of depression , And group consisting of reduced stress resistanc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treating or preven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or chronically administering ginseng fruit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of improving, treating or preven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or improving symptoms of chronic fatigue syndrome. It may be related to a method for improving fatigue syndrome symptoms.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chronic fatigue syndrome improvement, prevention or treatment use, or improve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symptoms of ginseng fruit extract.
  •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late to ginseng fruit extract for use in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or for use in improving symptoms of chronic fatigue syndrome.
  • ginsenoside Re contained in a large amount in the ginseng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 ginseng fruit extract ginseng ginseng Re It may include 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ruit extract, specifically it may include 7 to 20% by weight.
  • ginsenoside Re included in the ginseng fruit extract is at least 0.1% by weight, at least 1% by weight, at least 5% by weight, at least 7% by weight, at least 10% by weight, at least 1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inseng fruit extract.
  • the ginseng fruit extract is a weight ratio (PD / PT) of the protopanoxydiol-based ginsenosides (PD) and the protopanacrytri-based ginsenosides (PT) of 0.1 to 1.5 It may be.
  • the weight ratio (PD / PT) of the protopanac cidiol-based ginsenoside (PD) and the protopanaccitriol-based ginsenoside (PT) is 0.1 or more, 0.15 or more, 0.2 or more, or 0.25.
  • the weight ratio (PD / PT) of the protopanacidilide-based ginsenoside (PD) and the protopanaccitriol-based ginsenoside (PT) may be 0.69 or 0.73.
  • the ginseng fruit extrac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10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ginseng fruit extract is at least 0.01% by weight, at least 0.1% by weight, at least 1% by weight, at least 5% by weight, at least 10% by weight, at least 20% by weight, at least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ginseng fruit extract may be 2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inseng fruit extract of the irradiated ginseng.
  • the irradiated ginseng fruit content of ginseng fruit extract is ginseng fruit extract 20% by weight, 22% by weight 3 ⁇ 4, 24% by weight 3 ⁇ 4, 26% by weight, at least 28% by weight, 30% by weight, 31% by weight, 32% by weight, 3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 35% by weight, 37% by weight, 40% by weight of 3 ⁇ 4, or 45% by weight of 3 ⁇ 4 or more, 50% by weight, 46% by weight, 44% by weight), 42% by weight, 40% by weight, 38 It may be up to 36% by weight, up to 34% by weight, up to 32% by weight), up to 30% by weight, up to 28% by weight, up to 26% by weight, or up to 24% by weight.
  • the ginseng fruit extract may be an extract of water or a lower alcohol of d ⁇ C 6 .
  • the lower alcohol of (: ⁇ (: 6)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alcohol, acetone, ether, ethyl acetate, diethyl ether, ethyl methyl ketone and chlorofor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is.
  • the ginseng fruit extract may be a ginseng fruit irradiated ponin extract.
  • ginseng fruit irradiated ponnin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an organic solvent by removing the fat-soluble component from the ginseng fruit extract.
  • the organic solvent may be an organic solvent having a low polarity, such as nucleic acid,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 Therefore,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fruit irradiated ponnin extract may be a soluble fraction of the organic solvent extracted with the low polarity organic solvent.
  • the composition is not being may be a dosage form selected from powders, granules, tablets, soft or hard capsules, and the group consisting of drinks, limited.
  • extract includes all materials obtained by extracting the components of natural products, regardless of the extraction method, extraction solvent, extracted component or form of extract, and also refers to materials obtained by extracting components of natural products.
  • the processing or treatment may be to further fermentation or enzymatic treatment of the extract. Therefore, the extract herein is a broad concept, including fermentation, concentrates, dry matter, specifically, the extract herein may be a fermentation.
  • ginseng fruit extract includes all substances obtained by extracting the components of ginseng fruit, regardless of the extraction method, extraction solvent, extracted component or extract form, an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mponents. It includes materials obtained through extraction methods including treatment with heat, acid, base, enzyme, etc. It i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all materials that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the ingredients of one ginseng fruit and then processing or processing them in another way. Specifically, the processing or processing may be to perform additional fermentation or enzyme treatment of ginseng fruit extract. Therefore, the ginseng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fermented product.
  • the ginseng fruit extract herein may be an extract of the following ginseng fruit, specifically, it may be an extract of raw ginseng fruit or an extract of dried ginseng fruit.
  • raw ginseng fruit, dried products of ginseng fruit or other processed products of ginseng fruit for example, fermented products, dried ground products, etc.
  • the same composition or the same or the same as the dried ginseng fruit or dried products of ginseng fruit or other processed products of the ginseng fruit may represent the same effect and use of the ginseng fruit extract disclosed herein.
  • the "ginseng fruit” is in the form of an extract, raw ginseng fruit, ground powder of the herbal medicine, dried product of the herbal medicine, dry ground powder of the herbal medicine, fermented product of ginseng fru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inseng fruit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obtaining, and may be used by cultivating or purcha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one.
  • the ginseng fru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manufactured through drying, an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raw material suitable for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of ginseng fruit.
  • raw ginseng fruit may refer to ginseng fruit that is not processed after drying ginseng fruit.
  • the ginseng fruit extract is
  • c52> It can be prepa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ginseng fruit with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combination thereof to obtain a ginseng fruit extrac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2) concentrating the extract after step (1).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step (2), (3) removing the fat-soluble component from the concentrate.
  • step (3) of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an organic solvent after removing the fat-soluble componen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step (3), concentrating the product of step (4) (3), specifically, the product of step (3). Extract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 after removal of concentrate or fat-soluble component It can be water.
  • the ginseng fruit extract is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step (ii), (iii) removing the fat-soluble component and extracting it with an organic solvent.
  •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iv) concentrating the extract after step (iii).
  • the ginseng fruit extract is
  • the pretreatment may be to dry the ginseng fruit, in the case of the drying method may be used to dry the fruit of the plant, such as ginseng fruit is not limited if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o not.
  • the drying may be sun drying, hot air drying, evaporation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sun drying or hot air drying.
  • the pretreatment step of separating, removing the seed of the ginseng fruit; Drying the pulp and skin of the ginseng fruit; may be to includ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a ginseng fruit extract by concentrating the extract (C) after step (b).
  • the concentration may be reduced pressure concentration, bu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centrating the extract. Specifically,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centration may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such reduced pressure concentration may be performed at 40 to 45 ° C.
  • step (C) the method after step (C),
  • (D) may further comprise removing the fat-soluble component.
  • the removal of the fat-soluble component is to dissolve the ginseng fruit extract in water, and then to remove using a fraction funnel by adding diethyl ether It may be.
  • step (d) the method after step (d),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by adding an organic solvent after removing the fat-soluble component.
  • step (e)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ginseng fruit extract by concentrating the extract after extracting by adding an organic solvent.
  • water includes distilled water or purified water
  • the organic solvent includes d-C 6 lower alcohols such as alcohol, acetone, ether, ethyl acetate, diethyl ether, and ethyl.
  • d-C 6 lower alcohols such as alcohol, acetone, ether, ethyl acetate, diethyl ether, and ethyl.
  • methyl ketone, chloroform, nucleic acid,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and n-butan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ganic solvent for extracting ginseng fruit may be water, ethanol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n the case of an organic solvent for removing fat-soluble components, lower polarity than the organic solvent for extracting ginseng fruit It may be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n-butanol may be used.
  • the extraction may be used,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heat extraction, capping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if the extract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is no
  • the extraction may b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but for more efficient extraction,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under heating conditions. Specifically, the extraction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100 ° C, more specifically about 80 ° C. It is not limited. Extraction time may be specifically performed for about 2 to 4 hours, more specifically about 3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conditions such as an extraction solvent and an extraction temperature, and specifically, the solvent may be water.
  • the solvent is ethanol it may be carried out at 65 ⁇ 70 ° C.
  • the extraction may be extracted several times or more times in order to obtain a larger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specifically 1 to 5 times, more specifically three times can be used to extract the combined extract.
  • the extraction may be reflux extraction may b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 the ginseng fruit extract may be prepared by extracting the ginseng fruit under reflux at room temperature using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then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 the organic solvent may be ethanol.
  • ginseng fruit extract is, for example, raw ( ⁇ ) After removing the seed from the ginseng fruit, hot-drying the pulp of the ginseng fruit to produce a ginseng fruit raw material; Water or alcohol (ethane) 2L to 4L in 500 g to 1.5 kg of ginseng fruit raw material was extracted under reflux at room temperature, filter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40 to 45 ° C; can be prepared through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oral dosage form.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and surfactants which are commonly used.
  • Solid form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soft or hard capsules, and the like form at least one excipient in one or more compound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It is prepared by mixing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suppositories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s herein may be used in the form of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may also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as well as in a suitable collection.
  • the sal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d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fluoric acid, hydrobrom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tartar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methanesulfonic acid , Benzene sulfonic acid, toluene sulfonic acid, naphthalene sulfonic acid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or orally as desired, and may be administered in one to several times so as to be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0.1 to 500 mg, specifically 1 to 100 mg per kg of body weight per day. have.
  • Dosage for a specific patient The body weight, age, sex, health status, diet, time of administration, method of administration, rate of excretion, and severity of the disease may vary with age.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soft or hard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drinks, aerosols, oral formulations, ointments, creams, etc. It may be used in any form suitable f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cluding external skin preparations, suppositories, injection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humans, etc. by various routes, such as parenteral or oral, and all modes of administration may be expected.
  •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humans, etc.
  • routes such as parenteral or oral, and all modes of administration may be expected.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nutraceutical composition.
  • the formulation of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mulated, for example, with liquids such as powders, tablets, granules, powders, soft or hard capsul drink drinks, caramels, gels, bars, and the like. Can be.
  • the food composition of each formulation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bl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and synergistic effects may occur when simultaneously applied with other raw materials. have.
  • the dosage determin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s within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aily dosage thereof is, for example, 0.1 mg / kg / day to 5000 mg / kg / day, more specifically The amount may be 50 mg / kg / day to 500 mg / kg / d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ge, health condition, and complication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 the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for example, various foods such as chewing gum, caramel products, candy, ice cream, confectionery, beverage products such as soft drinks, mineral water, alcoholic beverages, vitamins and minerals, and the like. Health functional food.
  • a food composition which is an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variety of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such as flavoring agents, colorants, and enhancement crabs (cheese, chocolate, etc.), and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regulato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 the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and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is typically included in the range of 0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herein.
  • Ginseng fruit pretreatment Raw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ruit was harvested to isolate and remove seeds, and then the flesh and skin of ginseng fruit were prepared by sunlight drying or hot air drying.
  • Example 2 Preparation of Fresh Ginseng Fruit Extract
  • Raw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ruit was harvested to separate seeds and removed, and then the ginseng fruit raw material was prepared by mixing the juice, pulp and skin of ginseng fruit. It was. 3L of ethanol was added to 1 kg of the ginseng fruit material thus prepared, followed by extraction under reflux at 70 ° C. for 4 hours, followed by filtration and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t 45 ° C. to obtain 30 g of ginseng fruit extract.
  • Ginseng root extra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inseng root (root) was used instead of ginseng fruit in Example i to obtain 300 g of ginseng root extract.
  • Ginsenoside (Ginseng Saponin) Components of Ginseng Fruit and Ginseng Root
  • Ginseng fruit extract and ginseng root extract prepared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treated with ether to remove fat-soluble components and then irradiated with butanol (BuOH). The nin was extracted and concentrated to perform ginsenoid component analysis through HPLC.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and Table 1 below.
  • the ginseng fruit extract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has about twice the content of the ginseng root extract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irradiated ponin content Cenosides are 0.73 and 0.69, respectively, when they are divided into ratios of Protopanaxadiol (PD)-"Ginsenosides Rbl, Rb2, Rc and Rd” and PT (Protopanaxatriol)-"Ginsenosides Re, Rgl and Rg2 '". And 3.23 ginseng fruit extract and ginseng root extract in the composition can be seen that the distinct differences and features.
  • PD Protopanaxadiol
  • Rbl, Rb2, Rc and Rd Protopanaxatriol
  • the ginseng fru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more ginseng saponin than ginseng root and the composition of saponin is opposite to that of ginseng roo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 is rich. In addition, the extract of dried ginseng fruit and the extract extracted raw ginseng fruit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is almost similar.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two extracts with similar compositions, it is determined that the effects confi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xperiments will be the same.
  • Subjects underwent self-measurement and interviews for chronic fatigue and depression before ingesting ginseng fruit extracts, and examined brain blood flow through the strop task and functional MRI. After ingestion for 5 weeks, the sam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tate before and after ingestion.
  • the chronic fatigue group is much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to measure the scale score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fatigue.
  • the scale value was lowered. Depression was improved by 43% after ingestion than before intake, and chronic fatigue was improved by about 403 ⁇ 4>.
  • ginseng fruit extrac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hronic fatigue and depression.
  • ginseng fruit extract has an excellent effect on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its function is shown to improve problem solving accuracy and processing speed. This effect is thought to be enhanced by brain activation due to increased brain blood flow, as discussed below.
  • Functional MRI is a device that visualizes changes in blood flow to each area of the brain by scanning the brain in real time. Increased blood flow By expressing the brain blood flow intensity of the site and the small area,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rain activation can be compared.
  • the fMRI images before and after the normal group were as shown in Figure 6a, 6b.
  • the area activated before ingesting the ginseng fruit extract was marked with a dotted area, and the area more activated after ingestion was marked with a hatched area compared to before ingestion (6a).
  • the hatched area indicates a more activated area than before ingestion, and does not mean that only the hatched area is activated after ingestion, and as a result, the total area where the brain is activated after ingesting ginseng fruit extract Corresponds to the area containing both the dotted and hatched areas.
  • the brightest part in the figure indicates the area where brain activation is most active, and the degree decreases as the contrast moves to the darker side.
  • the hatched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activated area of the bra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gestion, compared to before ingestion, especially in the frontal and occipital lobes.
  •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in from the side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brain activation of the area connecting the frontal and occipital lobe thickened, in the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in from the front and the frontal lob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region penetrating the occipital lobe became thicker. Also cross section of the brain seen from above In the photograph,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part of the brain located on the pressure side of the occipital lob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rain connectivity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al and occipital lobes of the brain.
  • a soft capsule filler 9 mg, palm oil 2 mg, vegetable hardened oil 8 mg, lead 5 mg and lecithin 9 mg are mixed and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o prepare a soft capsule filler. 400 mg per capsule is layered to make soft capsules.
  • a soft capsule sheet was prepared at a ratio of 10 parts by weight of gelatin 66 parts by weight of glycerin 24 parts by weight of glycerine and 10 parts by weight of sorbbi, and the layered solution was laminated to prepare a soft capsule containing 400 mg of ginseng frui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do.
  •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s is a composition which is relatively suitable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formula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뇌의 혈류량을 증가하게 하여 만성피로증후군을 개선시키고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뇌를 활성화 시키고, 그로 인하여 전두엽과 후두엽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강화시켜 인지능력 영역에서의 문제 해결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해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만성피로증후군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명칭】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기술분야】
<1> 본 발명은 뇌 활성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삼열매 추출물올 포함하 는 뇌 활성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2> 인간은 생체 내외의 상황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감각과 지각에 의해 얻고 있 다. 인간의 뇌에는 이러한 인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더 훈련된 뇌세포들이 모여있 는 부위가 존재하며, 이러한 부위에 국소적으로 손상이 생기면 각각의 인지기능에 장애가 생기게 된다.
<3> 이러한 인지기능의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 지기능 장애에는 예를 들어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및 헌팅턴 병 등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 알코올성 인지기능 장애, 노화로 인한 인 지기능 장애, 사고 등으로 인한 뇌기능 손실, 뇌출혈로 인한 장애, ADHIX주의력결 핍 과잉행동장애), 정신분열, 및 만성 피로 증후군에 의한 인지기능 장애가 있다.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는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뇌질환으 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고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 습 및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 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난다. 또한 노화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일어나는 쇠퇴적인 변화 현상으로서, 뇌의 기능이 점차 감퇴하게 되 고 이로 인하여 인지능력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4>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CFS)은 원인 모를 증증 피로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서, 현대인에게 있어 만연해 있는 증상 중 하나 이다. 이러한 만성피로증후군은 휴식을 취해도 호전되지 않는, 환자를 매우 쇠약하 게 하는 심한 피로 증상이 특징이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 Fukuda et al . 1994) .
<5> 만성 피로 증후군은 피로 증상과 함께, 기억력 혹은 1집중력의 장애, 인후통, 림프선의 압통, 근육통, 관절통, 새로운 두통, 잠을 자도 상쾌하지 않음, 운동 후 심한 권태감 등의 증상들 중에서 4가지 이상이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만성 피로 중후군에 흔히 동반되는 증상들 중에는 집중력장애, 주의력장애, 기억력장애와 같 은 인지 기능 저하가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만성 피로 증후군이 중추신경계장애 를 동반함을 시사한다. 또한, 만성피로증후군환자에서는 뇌 혈류의 감소를 시사하 는 SPECT ( S i ng 1 e - ho t 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소견도 정상인, 우울증 환자에 비해 자주 나타난다.
<6> 만성 피로 증후군의 인지 기능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검사는 연구마다 일정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최근 여러 연구들을 통해 만성 피로 증후군을 가지는 환자들의 경우 작업 기억력과 정보처리속도가 특히 두드러진 기능저하를 나타낸다 고 알려져 있다.
<7> 위와 같은 증상들을 나타내는 만성 피로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 지 않으며, 이러한 증후군의 증상을 영구적으로 해소시키는 약제는 알려져 있지 않 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약제들 중 다수가 나른함, 어지러움 및 메스꺼움과 같은 경미한 부작용에서부터 중독 및 간 손상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있다.
<8> 이에 다른 부작용 없이 인지 기능 장애와 만성 피로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 는 약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만성 피로 증후군 환자들은 정상인, 우울증 환자 에 비하여 뇌 혈류의 감소를 시사하는 SPECT소견이 자주 나타나므로, 뇌 혈류량을 증가시켜 뇌 활성을 촉진한다면 만성 피로 증후군을 치료하고 이에 수반되는 증상 들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
【발명의 요약】
【기술적 과제】
<9> 상기와 같은 만성피로증후군 또는 인지기능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 자들은 인삼와 지상부인 인삼 열매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일반적인 인삼근 과는 다른 성분과 조성을 가지는 인삼열매 (ginseng fruits) 추출물이 만성피로증후 군과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ιο>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용, 만성피로증후 군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뇌 활성화용, 만성피로증후군 개선용, 또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리한 효과】
<12>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뇌 혈류를 원활히 하고 이를 통해 뇌 를 활성화시켜 만성피로도 및 우을감을 감소시키고, 인지능력 영역에서의 문제 해 결 정확도 향상 및 해결 시간 단축에 있어서 유용하다.
<13> 또한, 전반적인 뇌 혈류량 증가로 인한 뇌 활성화를 촉진시켜 효과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다. <14> 이에 따라 같은 스트레스 흑은 자극에 대한 반응 및 대처 능력이 향상되어 일상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감을 덜 느끼며 스트레스 저항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 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5> 도 1은 인삼열매 추출물과 인삼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 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6> 도 2는 인삼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의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의 우울감 개선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17> 도 3은 인삼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의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의 만성피로도 개선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18> 도 4는 인삼열매 추출물 섭취 전후의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의 스트룹 검사 결 과의 정답률 개선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아다.
<19> 도 5는 인삼열매 추출물 섭취 전후의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의 반웅속도 개선 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20> 도 6a는 인삼열매 추출물 섭취 전후의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의 기능적 자기공 명영상을 통한 뇌 혈류량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사진이다.
<21> 도 6b는 인삼열매 추출물 섭취 전후의 실험군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뇌 혈류량 측정한 이미지를 추가 비교한 사진이다. 도면에서 화살표로 20이라 기재 된 부분은 뇌 활성화 척도 중 그 값이 가장 큰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어두운 부분 으로 옮아갈수록 그 활성화 정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22> 2013년 4월 2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13-0035600호 및 2014년
3월 24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14-0033892호는 모든 목적으로서 전체 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13-0035600호 및 10-2014-0033892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23>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활성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뇌 활성화용 조성물은 뇌 활성화용 약학또는 식품 조성물 일 수 있다.
<24>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뇌 활성화가 필요한 개 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25>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의 뇌 활성화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26>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뇌 활성화에 사용하기 위한 인삼 열매 추출 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27>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인지 기능 개선 용 조성물은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 일 수 있다.
<28>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지 기능 개선은 다양한 질병, 노화, 사고 등으로 인한 인지 기능 장애의 개선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양한 질병 에 있어서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및 헌팅턴 병등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이 포 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지 기능 장애는 알코올성 인지기능 장애, 뇌출혈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 사고 등 으로 인한 뇌기능 손실 ,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 정신분열 ,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또는 만성 피로 증후군에 의한 인지기능 장애 둥을 포함할 수 있으 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인지 기능 장애를 포함하는 가장 광범위한 개념이다.
<29>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인지 기능 개선이 필요 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30>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의 인지 기능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31>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지 기능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인삼 열매 추출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32>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피로증후군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만성피로증후군의 증상 개선용 조성 물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약 학 조성물일 수 있다.
<33>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피로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용 또는 만성피로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 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일 수 있다.
<34>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만성피로증후군 증상은 만성피로증후군의 증 상은 뇌 활성화 저하, 뇌 혈류랑 감소ᅳ 인지 기능 저하, 중추 신경 장애, 집중력 장애, 주의력 장애, 기억력 장애, 우을감, 및 스트레스 저항성 감소로 구성된 군으 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만성피로증후군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 또는 만성피로증후군 증상의 개선이 필요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만성피로증후군 개선, 치료 또는 예방 방법, 또는 만성피로증후군 증상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의 만성피로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 또는 만성피로증후군 증상의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 다.
본 명세서는 일 측면에 있어서, 만성피로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사 용하거나 또는 만성피로증후군 증상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인삼 열매 추출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열매 추출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Re의 구조는 아래 화학식 1 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imgf000007_000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e를 인삼 열매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7 내지 20 중량 %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삼 열매 추출물에 포함된 진세노 사이드 Re는 인삼 열매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 이상, 1 중량 % 이상, 5 중량 % 이상, 7 중량 % 이상, 10 중량 % 이상, 12.5 중량 % 이상, 13 증량 % 이상, 15 중량 % 이상, 17 중량 % 이상, 20 중량 % 이상, 23 중량 %, 25 중량 ¾, 27 증량 %, 30 중 량%, 35중량 ¾, 또는 40중량 % 이상일 수 있으며 45중량 ¾이하, 40중량 %이하, 35중량 %, 30증량 %이하, 25 중량 % 이하, 23 중량 ¾ 이하, 20 중량 % 이하, 17 중량 % 이하, 15 중량 % 이하, 13 중량 ¾ 이하, 12.5 중량 % 이하, 10 중량 % 이하, 7 중량 % 이하, 5 중량 % 이하, 또는 1 중량 % 이하일 수 있다.
<42>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프로토파낙시디올계 진 세노사이드 (PD) 및 프로토파낙시트리을계 진세노사이드 (PT)의 중량비 (PD/PT)가 0.1 내지 1.5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프로토파낙 시디올계 진세노사이드 (PD) 및 프로토파낙시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 (PT)의 중량비 (PD/PT)는 0.1 이상, 0.15 이상, 0.2 이상, 0.25 이상, 0.3 이상, 0.35 이상, 0.4 이상, 0.45 이상, 0.5 이상, 0.55 이상, 0.6 이상, 0.65 이상, 0.69 이상, 0.7 이 상, 0.73 이상, 0.75 이상, 0.8 이상, 0.85 이상, 0.9 이상, 0.95 이상, 1.0 이상 일 수 있으며 1.5 이하, 1.3 이하, 1.0 이하, 0.95 이하, 0.9 이하, 0.85 이하, 0.8 이하, 0.75 이하, 0.73 이하, 0.7 이하, 0.69 이하, 0.65 이하, 0.6 이하, 0.55 이하, 0.5 이하, 0.45 이하, 0.4 이하, 0.3 이하, 0.2 이하, 또는 0.1 이하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프로토파낙시디을계 진세 노사이드 (PD) 및 프로토파낙시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 (PT)의 중량비 (PD/PT)는 0.69 또는 0.73일 수 있다.
<43>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 여 0.01 내지 100중량 %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 이상, 0.1 중량 % 이상, 1 중량 % 이상, 5 중량 % 이상, 10 중량 이상ᅳ 20 중량 % 이상, 30 중량 % 이상, 40 중 량% 이상, 50 중량? 0 이상, 60 증량 % 이상, 70 증량 % 이상, 80 중량 % 이상, 90 중량 % 이상, 또는 99중량 %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100중량 ¾ 이하로 포함될 수 있 다.
<44> 본 명세서의 일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 함량이 인삼 열 매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에 포함된 조사포닌 함량은 인삼 열매 추출물 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 이상, 22중량 ¾ 이상, 24중량 ¾ 이상, 26중량 ¾> 이상, 28중량 % 이상, 30중량 % 이상, 31중량 % 이상, 32중량 이상, 33중량 % 이상, 35중량 % 이상, 37증량 % 이상, 40중량 ¾ 이상, 또는 45중량 ¾ 이상일 수 있으며 또한 50중량 % 이하, 46중량%이하, 44중량 )이하, 42중량%이하, 40중량 %이하, 38중량 %이하, 36중량 %이하, 34중량 %이하, 32중량 )이하, 30중량 %이하, 28중량 %이하, 26중량 %이하, 또는 24중량%이하일 수 있다.
<45>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물 또는 d~C6의 저급 알코올의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广(:6의 저 급 알코올은 메탄올,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 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 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46>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인삼 열매 조사포닌 추 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조사포닌 추출물은 인삼 열매 추출물에서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유기용매는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핵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조사포닌 추출물은 상기 극성이 낮은 유기용 매로 추출된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 일 수 있다.
<47>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및 드링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 는 것은 아니다.
<48>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 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 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발효물, 농축물, 건조물을 포함하는 광범위 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발효물일 수 있다.
<49> 본 명세서에서 "인삼 열매 추출물" 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인삼 열매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 (acid), 염기 (base), 효 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 한 인삼 열매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 기 가공 또는 처리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등을 하 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인삼 열매 추출물은 발효물일 수 있다. 또 한, 본 명세서에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하기 인삼 열매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구 체적으로 이는 생 인삼열매의 추출물 또는 인삼 열매 건조물의 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 인삼열매, 인삼 열매의 건조물 또는 추출 과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인삼 열매의 다른 가공물 (예를 들어 발효물, 건조 분쇄물 등)은 서로 그 조성 이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이 유사하거나 또는 동 일한 생 인삼열매 또는 인삼 열매의 건조물 또는 인삼열매의 다른 가공물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삼 열매 추출물의 효과 및 용도를 동일하게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c50>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는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 生) 인삼 열매,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인삼 열 매의 발효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 되는 인삼 열매는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인삼 열매의 경우 반드시 건조를 통 해서 제조되는 것은 아니며 인삼 열매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원 료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생 인삼 열매는 인삼 열매를 수확한 뒤 건 조 둥의 가공을 하지 않은 인삼 열매를 의미할 수 있다.
<51>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c52> (1) 인삼열매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추출하여 인삼 열매 추 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53>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 단계 이후에 (2) 상기 추출 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4>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2) 단계 이후에 (3) 상기 농축 물에서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5>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3) 단계는 지용성 성분을 제거 한 뒤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6>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3) 단계 이후에 (4) (3)단계의 수득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 단계의 수득물은 지용성 성분이 제거된 농축물 또는 지용성 성분의 제거 후 유기용매로 추출된 추출 물 일 수 있다.
<57>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58> (i) 인삼열매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59> (ii) 상기 추출물에서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60>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ii)단계 이후에 (iii)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뒤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1>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iii)단계 이후에 (iv) 상기 추 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2>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63> (a)인삼열매를 전처리 하는 단계; 및
<64> (b) 상기 단계에서 전처리한 인삼열매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 로 추출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전처리는 인삼 열매를 건조 하는 것일 수 있으며, 건조 방법의 경우 인삼 열매와 같은 식물의 열매를 건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건조는 일광 건조, 열풍 건조, 증발 건 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일광 건조 또는 열풍 건조 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전처리는 인삼 열매의 종자를 분리, 제거하는 단계;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65>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b)단계 이후에 (C) 상기 추출 물을 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6>
<67>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농축은 감압 농축일 수 있으나 추출물을 농 축함에 있어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 고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농축은 감압 농축 일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감압농축은 40~45°C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68>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단계 이후에,
<69> (d)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0>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지용성 성분의 제거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물 에 용해시킨 뒤,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분획깔때기를 이용하여 제거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71>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단계 이후에,
<?2> (e) 지용성 성분 제거 후 유기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3>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e)단계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 출한 후에 그 추출물을 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 다.
<74>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며, 유기 용매는 d~C6의 저급 알코을을 예로 들 수 있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 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클로로포름, 핵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를 추출 하는 유기 용매의 경우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유기 용매의 경우 인삼 열매를 추출하는 유기용매 보다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일 수 있으며, 예컨대 n-부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75>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추출은 예를 들어, 열수 추출, 가열 추출, 넁침 추출, 환류 추출, 환류넁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 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 로는 약 40 내지 100°C,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80°C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구체적으로는 약 2 내지 4시간, 더욱 구체 적으로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 구체적으로 용매가 물인 경우에 는 90~100°C, 용매가 에탄올인 경우에는 65~70°C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 으로는 1 내지 5회, 더욱 구체적으로는 3회 연속 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으며 실온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76>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삼 열매를 물 또는 유 기용매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환류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유기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다.
<77>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예컨대, 생( 生)인삼 열매에서 종자를 제거한 뒤, 인삼열매의 과육과피를 열풍건조 하여 인삼 열매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인삼 열매 원료 500g 내지 1.5kg에 물 또는 주정 (에탄 을) 2L 내지 4L를 가하여 상온에서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 내지 45°C에서 감압농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 될 수 있으나, 이에 제 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제형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회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 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 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 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 럽제 둥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회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 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 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뷘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 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를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kg당 0.1~500 mg, 구체적으로는 1~100 mg의 양으로 투여 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 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 증도 둥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81> 본 명세서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슬제, 현탁액, 에멀견, 시럽, 드링크제, 에어로졸 등의 경 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 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82>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 i nt r acer ebr ovent r i cu 1 ar )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83>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 다.
:84>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 어, 산제, 정제, 과립제, 분말제, 연질 또는 경질 캡술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게,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 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 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85>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 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86> 본 명세서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 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87> 상기 외에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게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 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 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명세서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 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명세서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열매 추출물의 제조
1) 인삼 열매 전처리: 생 (生)인삼 (Panax ginseng C.A. Meyer) 열매를 수확하 여 종자를 분리하고 제거한 후 인삼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 를 통하여 인삼 열매 원료를 제조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의 제조: 인삼열매 원료 1kg에 에탄올 3L를 가하여 70°C 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5°C에서 감압 농축하여 인삼열매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실시예 2] 생 인삼 열매 추출물의 제조 생 (生)인삼 (Panax ginseng C.A. Meyer)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고 제 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즙, 과육, 및 과피를 흔합하여 인삼열매 원료를 제조하였 다. 이렇게 제조된 인삼열매 원료 1kg에 에탄올 3L를 가하여 70°C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5°C에서 감압 농축하여 인삼열매 추출물 30g을 얻었 다.
[비교예 1] 인삼근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i에서 인삼 열매 대신에 인삼근 (뿌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근 추출물을 제조 하여 인삼근 추출물 300g을 얻 었다.
[실험예 1] 인삼열매와 인삼근 추출물의 성분 비교
1. 인삼 열매와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인삼사포닌) 성분 분석
실시예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 및 인삼근 추 출물에 에테르 (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 (BuOH)로 조사포 닌을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HPLC를 통한 진세노이드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05>
106> 【표 1】
Figure imgf000016_0001
:07>
08> 도 1 및 상기 표 1을 통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인삼열매 추출 물은 조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인삼근 추출물의 약 2배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PD(Protopanaxadiol)계-"진세노사이드 Rbl, Rb2, Rc 및 Rd" 및 PT(Protopanaxatriol)계-"진세노사이드 Re, Rgl 및 Rg2' '의 비율로 구 분하였을 때 각각 0.73 및 0.69와 3.23으로 그 조성에 있어서 인삼열매 추출물과 인삼근 추출물은 뚜렷한 차이 및 특징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09>
ιο> 2. 인삼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성분 분석
ιι>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인삼열매 추출물이 인삼과는 다른 "과실 " 로서의 특징을 갖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 분석을 실 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2> 【표 2】
Figure imgf000017_0001
1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열매의 성분적 특성은 인삼근보다 많 은 인삼사포닌을 함유함과 동시에 사포닌 조성의 성질이 정반대이고, 또한 인삼근 과 달리 열매로서 비타민과 미네랄 16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인삼 열매를 건조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생 인삼열매를 그대로 추출한 추출물의 경우 그 조성이 거의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렇게 조성이 유사한 두 가지 추출물의 경우 하기 실험에 따라서 확인되는 효과가 동일 할 것으로 판단 된다.
.15>
16> <정상군 및 실험군 피험자의 모집 >
,17>
.18>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진행에 있어서 정상 대조군 (이하 정상군)과 실 험군을 모집 및 설정하여 실험예 2, 3, 및 4를 진행하였다.
ιΐ9> 만성피로증후군 실험군은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미국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기준 (Fukuda et al . 1994)에 따라 진단한 20대 내지 70대의 여성 환자 8명으로 하였으며, 정상군은 계 1축 정신과적 질환에 이환된 적이 없는 여성들 중 실험군과 나이가 비슷한 여성으로 8명을 선별하였다.
또한, 검사 수행이 어려운 정도의 시력 혹은 청력 장애가 있는 경우, 자기공 명영상의 금기사항이 있는 경우, 의식소실을 동반한 두부외상의 과거력이 있는 경 우, 경한 우울증상 외의 제 1축 정신과적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자기공명영상 결과 뇌경색, 종양 등의 이상 소견이 관찰된 경우, 뇌기능에 영향을 주는 내과계, 신경 계 질환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는 제외하였다. 이러한 포함 기준과 배제 기준에 따 라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자를 선별한 후 동의를 얻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인삼열매 추출물을 물과 흔합하여 20mL의 액상 제형 으로 만든 뒤 만성피로증후군을 호소하는 실험군과 정상군에게 하루에 20mL씩 , 5주 동안 섭취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들은 인삼열매 추출물을 섭취하기 전, 만성피로도 및 우울감에 대한 자가측정 및 면담을 하였으며, 스트룹 태스크 (stroop task) 및 기능적 자기공명측 정 (functional MRI)을 통한 뇌 혈류량을 검사하였다. 5주간의 섭취 후에, 상기와 동일한 검사를 수행하여 섭취 전과 후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실험예 2] 만성피로도 및 우울감에 대한 자가 측정
실험군 및 정상군 피험자의 만성피로도 및 우울감에 대한 자기 인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심각도 (severity)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피프로 피로 스케일 (FibroFatigue Scale)(Zachrisson et al . , 2002)를 실시하였으며 , 또한 우울 및 불안 증상이 검사 수행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백 우울 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et al., 1996» 및 백 불안 척도 (Beck Anxiety Inventory; Beck and Steer, 1990)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에 의거한 설문지 조사를 마친 뒤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함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대한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시행 후 설문에 웅답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의 각 척도를 점수화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 함하는 액상 제형의 섭취 전과 이를 5주 동안 섭취한 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는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하여 만성피로군은 피로 정도를 평가한 척도 점수가 훨씬 높게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만성피로군의 경우 인삼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에 비해서 섭취 후가 만성 피로도 및 우울감에서 척도 값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우울감은 섭취 전보다 섭취 후에 약 43%가 개 선되었으며, 만성피로도는 약 40¾>정도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사람이 느끼는 만성피로도 및 우울감 개선에 효과 가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 [실험예 3] 스트룹 검사 (stroop task)
>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전형적이고 자동적인 반응을 억제하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의통제가 요구된다. 최근 인지훈련 게임 가운데 "초록''이라는 글자가 빨간색으로 적혀 있는 경우 빨간색 버른을 눌러야 하는 게임이 있다. 이것 을 스트룹 검사 (Stroop task)라고 하는데 불일치 상황에서 자동적인 반사를 억제하 기 위한 상당한 통제가 요구되는 과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스트룹 검사를 실 시하여 반웅의 정확도 및 문제 해결 시간올 측정함으로써, 정보처리 능력 및 인지 능력에 대한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 실험군 및 정상군에 대해 인삼열매 추출물을 섭취 전, 후로 하여 상기와 같 은 스트룹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형태는 예를 들어, 한 페이지에 '빨강 (색깔은 노랑), 파랑 (색깔은 빨강), 노랑 (색깔은 파랑)' 이라는 글자가 써있을 때, 시험자 는 글자 대신 색깔을 차례대로 이야기해야 정답이 되는 형식이다. 비슷한 형태의 페이지가 연속적으로 나올 때, 시험자는 정확하고 빠르게 정답을 고를 수 있는가에 대해 인지 및 정보처리 능력을 측정하게된다. 정답과 오답 수를 평가하여 정답률을 산정하였으며, 검사 수행을 마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반웅속도를 표시하였 다.
> 그 결과, 도 4 및 5에서 볼 수 있듯이, 만성피로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하여 더 낮은 정답를을 보였으나, 인삼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수에 정답률이 섭취 전보다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반웅 속도 또한 마찬가지로 유의적으로 빨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인지능력 향상 효과가 우수하며 , 그 기능은 문제 해결 정확도 및 처리 속도 향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아래에서 살펴 볼 뇌 혈류량의 증가로 인한 뇌 활성화에 의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 [실험예 4]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뇌 혈류량 측정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functional MRI:fMRI)은 실시간 뇌를 스캔함으로써 뇌 의 각 영역에 대한 혈류량의 변화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장비이다. 혈류량이 많아진 부위와 적은 부위의 뇌 혈류량 강도를 표현함으로써, 뇌 활성화 정도의 차이를 비 교할 수 있다.
> 실험군 및 정상군에 대해 인삼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 후의 fMRI 촬영을 통 하여, 주의력 관련 뇌 영역들의 활성화 및 기능적 연결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스트 룹 검사의 수행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도록 하였다.
> fMRI 촬영은 3.0T MRI 장비 (Siemens)를 사용하였고, B0LD(blood oxygen level -dependent) 신호는 EPI sequence (Gradient Echo)로 축 방향 (axial)으로 촬 영하였다. 피험자의 움직임에 의한 영상왜곡을 피하기 위해 머리 고정 장치를 이용 하고 귀마개를 사용하여 기계 소음에 의한 영향을 경감시켰다.
> 실험군 및 정상군에 대한 인삼열매 추출물 섭취 전 후의 fMRI 영상을 비교한 결과, 정상군은 섭취 전 후 fMRI 영상에는 도 6a, 6b과 같았다. 인삼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 활성화된 부위는 점이 찍혀있는 영역으로, 섭취 전에 비하여 섭취 후에 더 활성화된 부위는 빗금이 쳐진 영역으로 표시하였다 (6a). 도면 6a에서 이러한 빗금 이 쳐진 영역은 섭취 전에 비하여 더 활성화 된 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섭취 후 빗금 쳐진 영역만이 활성화 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결과적으로 인삼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후에 뇌가 활성화된 총 부위는 점으로 찍혀있는 영역과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 또한, 섭취 전 후 차이가 있는 실험군의 이미지만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b), 도면에서 가장 밝은 부분으로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이 뇌 활성화가 가장 활발한 영역이며, 명암이 더 어두운 쪽으로 옮아갈수록 그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 도 6a에서 볼 수 있듯이, 정상군의 경우, 빗금 친 영역이 많이 드러나지 않 으며 활성화 부분의 대다수가 점이 찍힌 영역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인삼열매 추출물을 섭취하기 전에 비하여 다소 활성화된 영역이 증가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 분 섭취 전후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러나 실험군의 경우에는, 빗금 친 영역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보아 섭취 후에 뇌의 활성화된 영역이 섭취 전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전두엽과 후두엽에서 빗금친 부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도 6b에서 볼 수 있듯이, 측면에서 본 뇌의 단면사진에서는 전두엽과 후두엽을 연결하는 부위의 뇌 활성화 정도가 두꺼워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 면에서 본 뇌의 단면 사진에서는 가운데에 전두엽과 후두엽을 관통하는 부위의 활 성화 정도가 더 굴게 두터워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에서 본 뇌의 단면 사진에서도 후두엽의 압쪽에 위치하는 뇌의 부분에서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의 전두엽과 후두엽 사이의 연결 강도가 증가하여 뇌 연결성 (brain connectivity)이 우수해 진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뇌의 활성화된 영역이 증가하고, 전두엽과 후두엽 사이의 연결 강도 가 증가하게 되면 인지능력에 있어서 문제해결 정확도와 처리 속도가 향상될 것으 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결과는 스트룹 검사의 결과와 연관성을 가지는 것임을 확인 할수 있었다.
>
>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 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 [제형예 1] 연질 캡슐
>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인삼 열매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흔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흔합하여 연질 캡슬 충진액을 제조한다. 1 캡슐당 400mg씩 층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ᅳ 글리세린 24 중 량부 및 솔비를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층진액을 층진시켜 본 명세서에 따른 인삼 열매 추출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한 다.
>
> [제형예 2] 정제
>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인삼 열매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흔합하고 유동층 건조기 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 (sugar ester) 6m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 [제형예 3] 드링크제
>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인삼 열매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흔합한 후 정제수 300ιη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층진한다. 병에 층진한 후 130°C에서 4~5초간 살 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한다. >
> [제형예 4] 과립제
>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인삼 열매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흔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층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
> [제형예 5] 주사제
>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 【표 3】
Figure imgf000022_0001
>
> [제형예 6] 건강기능식품
>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 였다.
> 【표 4】
Figure imgf000023_0002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흔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흔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 도 무방하다.
>
> [제형예 7] 건강 음료
>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 【표 5】
Figure imgf000023_0003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흔합한 다음,
Figure imgf000023_0001
동안 85°C에서 교반 가열한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한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활성화용 조성물.
【청구항 2]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청구항 3】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피로증후군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만성피로증후군의 증상 개선용 약학 조성물.
【청구항 4】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피로증후군 개선 또는 예방 용, 또는 만성피로증후군의 증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
【청구항 5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만성피로증후군의 증상은 뇌 활성화 저하, 뇌 혈 류랑 감소, 인지 기능 저하, 중추 신경 장애, 집중력 장애, 주의력 장애, 기억력 장애, 우울감, 및 스트레스 저항성 감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프로토파낙 시디올계 진세노사이드 (PD) 및 프로토파낙시트리을계 진세노사이드 (PT)의 중량비 (PD/PT)가 0.1내지 1.5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 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 %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청구항 8】
제 1항 내지 계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 함 량이 인삼 열매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중량 % 이상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인삼 열매 추출물은 물 또는 CrCe의 저급 알코을의 추출물인 조성물.
【청구항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인삼 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e를 인삼 열매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해 5내지 30중량 ¾»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청구항 11】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연 질 또는 경질 캡슬제 및 드링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인 조성물.
PCT/KR2014/002612 2013-04-02 2014-03-27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WO20141633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79685.8A EP2982376B1 (en) 2013-04-02 2014-03-27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comprising ginseng berry extract
JP2016506227A JP6648004B2 (ja) 2013-04-02 2014-03-27 朝鮮人参の実抽出物を含む脳活性化組成物
US14/781,146 US10555983B2 (en) 2013-04-02 2014-03-27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comprising ginseng fruit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600 2013-04-02
KR20130035600 2013-04-02
KR10-2014-0033892 2014-03-24
KR1020140033892A KR102200012B1 (ko) 2013-04-02 2014-03-24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3328A1 true WO2014163328A1 (ko) 2014-10-09

Family

ID=5199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2612 WO2014163328A1 (ko) 2013-04-02 2014-03-27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55983B2 (ko)
EP (1) EP2982376B1 (ko)
JP (1) JP6648004B2 (ko)
KR (1) KR102200012B1 (ko)
CN (2) CN104095894A (ko)
WO (1) WO2014163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5005B2 (ja) * 2013-04-02 2020-02-26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薬用人参の実エキスを含有する女性の健康及び生活の質改善用組成物
KR102348044B1 (ko) 2015-02-13 2022-01-10 (주)아모레퍼시픽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5503B1 (ko) * 2018-04-23 2020-01-1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218284A (ja) * 2018-06-18 2019-12-26 オンガネジャパン株式会社 若齢者学習能力向上のための経口組成物及び若齢者の学習能力を向上させる方法
KR102655940B1 (ko) * 2018-08-13 2024-04-11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진세노사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2655941B1 (ko) * 2018-08-13 2024-04-11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635196B1 (ko) * 2018-10-17 2024-02-13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2209028B1 (ko) 2020-02-14 2021-01-28 주성수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5245177B (zh) * 2022-09-23 2023-01-17 云南省农业科学院园艺作物研究所 一种人参果采穗植株专用调节剂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766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10078524A (ko) * 2009-12-31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장애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9564A (ko) * 2009-12-31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를 위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0A (ja) 1991-06-19 1993-01-08 Kanebo Ltd 慢性疲労症候群治療剤
US6083932A (en) 1997-04-18 2000-07-04 Cv Technolog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erived from ginseng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same
US6432454B1 (en) 1997-12-12 2002-08-13 C. V. Technologies, Inc. Processes of making north american ginseng fractions, products containing them, and use as immunomodulators
WO2001015717A1 (fr) 1999-08-30 2001-03-08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Agents contenant du ginseng destines a proteger les cellules cerebrales ou les cellules nerveuses
CN100475225C (zh) * 2004-04-27 2009-04-08 吉林省宏久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人参果软胶囊及其制备方法
US9314493B2 (en) 2007-05-28 2016-04-19 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vascular inflammation, improving skin beauty and improving male sexual function using ginseng berry
KR20080104600A (ko) 2007-05-28 2008-12-0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촉진, 혈관신생촉진, 및허혈성 심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80105470A (ko) 2007-05-31 2008-12-0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0889950B1 (ko) 2007-06-27 2009-03-20 박용진 신규한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01966292B (zh) 2010-10-07 2014-02-26 吉林省集安益盛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无糖型中药口服液及其制备方法
WO2013109051A1 (ko) 2012-01-20 2013-07-25 씨제이제일제당(주) 인삼유래의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이 증강된 추출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집중력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766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뇌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10078524A (ko) * 2009-12-31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장애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9564A (ko) * 2009-12-31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를 위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NG ET AL.: "Studies on the effects of ginseng: regeneration of hippocampal nervous system and cognitive enhancement", SUBJECT OF A RESEARCH FINAL REPORT OF AJOU UNIVERSITY, 2004, XP008181830 *
JUNG, SEUNG PIL ET AL.: "Chmnic Fatigue Syndrome",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 24, no. 1, 2007, pages 1 - 10, XP0552947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264A (ko) 2014-10-13
KR102200012B1 (ko) 2021-01-08
CN104095894A (zh) 2014-10-15
US20160051605A1 (en) 2016-02-25
CN113244282A (zh) 2021-08-13
EP2982376B1 (en) 2019-08-14
US10555983B2 (en) 2020-02-11
JP2016515611A (ja) 2016-05-30
EP2982376A4 (en) 2017-01-04
JP6648004B2 (ja) 2020-02-14
EP2982376A1 (en)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8004B2 (ja) 朝鮮人参の実抽出物を含む脳活性化組成物
JP6404339B2 (ja) 月経前症候群及び月経痛緩和の機能を持つ組成物
CN103608025B (zh) 用于预防或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包含草药提取物的组合物
EP1488797B1 (en) Oral preprations having itching-relieving or antipruritic activity
JP2013203683A (ja)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70090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36974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300775B1 (ko)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Compound K,또는 인삼유래 사포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82637A (ko)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Compound K,또는 인삼유래 사포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9031135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thunb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ion disease
KR101072662B1 (ko)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51924B1 (ko)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 및 발효 삼채 뿌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조성물
KR20220082396A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50238539A1 (en) Composition for brain-neuron protection and brain-disease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comprising muskrat musk
EP341786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stress or depression
EP410145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lzheimer&#39;s disease containing basil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674622B1 (ko) 데페록사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6095B1 (ko)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Compound K,또는 인삼유래 사포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922252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KR102128511B1 (ko) 홍삼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E112006000924T5 (de) Neuartiges Verfahren zum Zubereiten von verarbeitetem Ginseng, um eine erhöhte Menge an Ginsenosid RG5 zu erhalten
KR20240006282A (ko)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6283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796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796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0622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114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