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07100A1 - 안경다리 받침대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07100A1
WO2014107100A1 PCT/KR2014/000164 KR2014000164W WO2014107100A1 WO 2014107100 A1 WO2014107100 A1 WO 2014107100A1 KR 2014000164 W KR2014000164 W KR 2014000164W WO 2014107100 A1 WO2014107100 A1 WO 20141071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ortion
wearer
glass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1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영철
양지연
Original Assignee
Yang Young Chul
Yang Ji Ye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0147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4643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014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97392B1/ko
Application filed by Yang Young Chul, Yang Ji Yeon filed Critical Yang Young Chul
Priority to CN201480004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919358A/zh
Priority to JP2015551615A priority patent/JP2016503907A/ja
Priority to DE112014000366.2T priority patent/DE112014000366T5/de
Priority to US14/759,362 priority patent/US20150346510A1/en
Publication of WO20141071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071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r of specta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ir of spectacles which can reduce the crush of the skin such as the nose due to the nose pad of the glasses when wearing the spectacles of the wearer.
  • a typical eyeglass consists of a pair of pairs of hinges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and the spectacle frame, a pair of lenses are provided on the spectacle frame, and a nose pad (nose pad)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spectacle frame.
  • the nose pads adhere to the skin of the nose and nose for a long time due to the weight of the spectacle frame and eyeglasses, and the sweat ej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nose is stagnant in the air, which causes skin damage and necrosis of the surface of the nose. It wa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nose ring of the eyeglass frame so as not to touch the nose, such as when wearing the wearer's glasses, crushed skin such as the nose due to the nose pad of the glasses It is to provide a glasses leg support that can reduce th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tacles stand that can b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nose pads of the glasses do not touch the skin such as the nose, even when the weight of the glasses is relatively heavy due to the special purpose glasses.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leg support that can be mount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eyeglass legs.
  • the spectacles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escent-shaped main body portion 100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bone forming the boundary of the wearer's scalp and the auricle; A fixing protrusion 130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lasses leg insertion groove 120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 a pair of spectacles pedestal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rescent-shaped body portion 210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bone of the bone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earer's scalp and the aur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through grooves 2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each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 a pair of spectacles pedestal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rescent-shaped body portion 210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bone of the bone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earer's scalp and the auricle; A fixing protrusion 230 integrally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uricle of the wearer; Straight through grooves 2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21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ision line 240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groove 220.
  • the nose ring of the glasses frame is supported so as not to touch the nose, which reduces the crushing of the skin such as the nose caused by the nose pad of the glasses, and the weight of the glasses due to special purpose glasses such as defense and exploration Even if the weight is heavy, the wearer's nose pads can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nose pad of the glasses do not touch the skin such as the no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face of the spectacles wearer caused by the weight of the spectacles and the long term wearing.
  • the wear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ccessories such as earrings. Therefore, any kind of glasses can be mounted, and the wearer can reveal a sense of fashion using various accessories.
  • FIG 1 and 4 are a plan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3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grooves for inserting the glasses legs shown in the glasses legs pedest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3.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wearing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lan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ide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A to 11B are eyeglass leg res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7 to 9.
  • FIG 1 and 3 are a plan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eyeglass leg support.
  • the spectacles foot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escent-shaped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main body portion 100 is mounted on the upper bone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earer's scalp and the auricle It consists of a fixing projection 130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nd the groove for inserting the glasses leg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 the insertion groove 120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is formed as a straight groove 120, as shown in Figure 5a to 5b, S-shaped groove (120a) Alternatively, the zigzag groove 120b may be formed.
  • the fixing protrusion 1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a ohm ( ⁇ ) of the diameter of the start portion is formed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er portion in order to position the groove shape formed on the back of the wearer's ea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hape.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1 and 11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or the inn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crushing of the wearer's scalp and to allow air flow.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1 and 113 may be hemispherical in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necessary, and the protrusions 111 and 113 may be modified in number and arrangement.
  • the lower end portion 110c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relatively thinner than the middle portion 110b, and the accessory insertion hole 150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Accordingly, the wearer can insert and fix an accessory, such as an earring, into the accessory insertion hole 150 to represent the wearer's fashion, and can wear the accessory without having to pierce the ear. Can be prevented.
  • an accessory such as an earring
  •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is relatively larger toward the middle portion (110b) from the upper end portion (110a), the equal section (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upper end portion (110a) of the main body portion.
  • the insertion groove 1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is suitable for using the 'pin type' glasses leg from which the outer skin of the eyeglasses leg is removed, and the upper end portion 1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It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mounted to the glasses legs of the 'pin type' in the dorsal section (D) formed in.
  •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preferably a hook-shaped bending portion 140 is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mounted on the auricle wheel located in the upper bone.
  • the body portion 100 is preferably formed in a left-right asymmetrical shape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C from the upper end portion 110a to the lower portion 110b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wearer's human body structure. That is, the side facing the face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 the spectacles pedesta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and the pair of crescent-shaped main body 110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bone of the bone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earer's scalp and the auricle, respectively.
  • the pair is composed of a pair of grooves 120 for inserting glasses.
  •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a plurality of projections (111, 113) when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crushing the wearer's scalp.
  • the wearer inserts a pair of spectacles into the spectacles leg insertion groove 120.
  • the fixing protrusion 130 is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groove shape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wearer's ear, and the bent portion 140 is mounted to be hooked on the auricle wheel located in the upper bone of the wearer.
  • the wearer as shown in FIG. 6, the eyeglasses worn by the wearer is inserted and stably mounted in a pair of eyeglass leg insertion grooves 120, respectively, so that the eyeglass frame may be lifted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have.
  • the wearer's nose pads can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nose pads of the glasses do not touch the skin such as the nose.
  • FIG. 7 is a plan view of a spectacles legs pedest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side view of a spectacles legs pedest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pectacles legs pedest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yeglass leg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ir of spectacles leg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rescent-shaped body portion 210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bone of the bone portion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earer's scalp and the auricle
  • a fixing protrusion 230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in contact with the auricle of the wearer, a straight through groove 2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It consists of an incision line 240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groove 220.
  •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pair of main body portions 210 or the inn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the wearer's scalp and crushing at the same time.
  • the lower end portion 210c of the pair of main body portions 210 may be formed relatively thinner than the middle portion 210b, and the accessory insertion hole 250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 the diameter of the pair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is relatively larger toward the middle portion (210b) from the upper end portion (210a), the equal s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210a)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to a predetermined length.
  • the through groove 220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pair of main body 210 is suitable to use the eyeglasses legs do not need to remove the outer shell, in this case cut line 240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10 ) Can be securely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glasses legs even if the glasses legs inserted into the through grooves 220 are pulled out.
  •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main body 210 is preferably a hook-shaped bent portion 260 is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210 is mounted on the auricle wheel located in the upper bone.
  • the pair of main body parts 210 may be formed in a left-right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from the upper end portion 210a to the lower end portion 210c of the pair of main body portions 210.
  • the cut line 240 formed in the pair of main body parts 210 is ohm in the middle of the upper cut line 240 of the pair of main body parts 210. ) May be formed in a shape 240a or a zigzag shape 240b.
  • the wearer inserts a pair of eyeglasses into a pair of through grooves 220. At this tim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glasses legs is thick can be inserted into the pair of through grooves 220.
  •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groove shape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wearer's ear, and the bent portion 260 is mounted to be hooked on the auricle wheel located in the upper bone of the wearer.
  • the wearer's eyeglasses are inserted and stably mounted in the pair of through grooves 220, respectively, so that the eyeglass frame may be lifted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This can prevent crushing of the wearer's nose and back ski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ear even if the wearer has a pair of spectacles of the glasses frame having a certain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착용자의 안경 착용시 안경테의 코걸이가 콧등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여, 안경의 코패드로 인한 콧등 피부의 짓눌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경다리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는,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상부골에 거치되는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와; 상기 본체부 상면부에 형성되는 안경다리 삽입용 홈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경다리 받침대
본 발명은 안경다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안경 착용시 안경의 코패드로 인한 콧등 피부의 짓눌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경다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안경은 안경테와 안경테에 힌지로 결합된 한 쌍의 안경다리로 구성되며, 안경테에는 한 쌍의 렌즈가 구비되며, 안경테의 중앙에는 코걸이(코패드)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테 및 안경알의 중량으로 코걸이가 콧등 피부에 장시간 밀착되고, 콧등 표면에 분출된 땀이 공기불통으로 정체되어 콧등 표면의 피부손상과 피부괴사를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또한, 안경의 무게로 인해 코가 장기간 짓눌릴 경우 착용자의 얼굴의 변형도일어날 수 있는데, 특히 코를 수술한 환자는 안경을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안경 착용시 안경테의 코걸이가 콧등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여, 안경의 코패드로 인한 콧등 피부의 짓눌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경다리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수 목적용 안경으로 인해 안경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더라도, 착용자의 안경 착용시 안경의 코패드가 콧등 피부에 닿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는 안경다리 받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안경다리의 두께 및 형상에 무관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안경다리 받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착용자가 귀걸이와 같은 액세서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안경다리 받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는,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상부골에 거치되는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130)와; 상기 본체부(100) 상면부에 형성되는 안경다리 삽입용 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경다리 받침대는,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골부 중 상부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210)와; 상기 각각의 본체부(210)의 상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경다리 받침대는,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골부 중 상부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210)와; 상기 착용자의 귓바퀴와 맞닿는 상기 본체부(210)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230)와;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의 관통홈(220)과; 상기 관통홈(220)의 상단부에 해당되는 상기 본체부(210)에 형성된 절개선(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착용자의 안경 착용시 안경테의 코걸이가 콧등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여, 안경의 코패드로 인한 콧등 피부의 짓눌림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방, 탐사 등 특수 목적용 안경으로 인해 안경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더라도, 착용자의 안경 착용시 안경의 코패드가 콧등 피부에 닿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의 무게와 장기간 착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경 착용자의 얼굴 변형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안경다리의 두께 및 형상에 무관하게 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귀걸이와 같은 액세서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안경이든지 거치가 가능하며, 착용자가 다양한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패션감을 드러낼 수 있다.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에 도시된 안경다리 삽입용 홈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착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 실시 예>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는,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상부골에 거치되는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130)와, 본체부(100)의 상면부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안경다리 삽입용 홈(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의 상면부에 형성된 삽입용 홈(120)은 직선홈(120)으로 형성되었으나,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홈(120a) 또는 지그재그홈(12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130)는 착용자의 귀의 뒷부분에 형성된 홈 형상에 맞게 위치하기 위해 시작부분의 직경이 중심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옴(Ω)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측면 또는 밑면, 또는 내측면과 밑면에 착용자의 두피와의 짓눌림을 방지하고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111,113)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돌기(111,113)가 반구형으로 형상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111,113)는 갯수와 배치 또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00)의 하단부(110c)는 중간부(110b)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늘게 형성되며, 하단 끝단부에 액세서리 삽입용 홀(15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귀걸이와 같은 액세서리를 액세서리 삽입용 홀(150)에 삽입 및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의 패션감을 나타낼 수 있고, 귀를 뚫지 않고도 액세서리를 착용할 수 있어, 귀를 뚫음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직경은 상단부(110a)에서 중간부(110b)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본체부의 상단부(110a)에 등배구간(D)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상면부에 형성된 삽입용 홈(120)은 안경다리의 외피가 제거된 '핀타입'의 안경다리를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본체부(100)의 상단부(110a)에 형성된 등배구간(D)에 '핀타입'의 안경다리가 삽입 및 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00)의 상단 끝단부에는 본체부(100)가 상부골에 위치한 귓바퀴에 거치되도록 갈고리 형상의 꺽임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용자의 인체구조에 맞게 본체부(100)의 상단부(110a)에서 하단부(110b)까지 수직 중심선(C)을 기준으로, 본체부(100)는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얼굴을 향하는 측면이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예는 하나의 안경다리 받침대에 적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안경다리 받침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이 경우, 안경다리 받침대는,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골부 중 상부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110)와, 각각의 본체부(110)의 상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삽입용 홈(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한 쌍의 안경다리 받침대를 사용함에 있어, 착용자의 두피와의 짓눌림이 불편함이 없을 경우 다수의 돌기(111,113)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안경다리 받침대의 사용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안경다리를 안경다리 삽입용 홈(120)에 삽입한다.
이어, 착용자의 귀의 뒷부분에 형성된 홈 형상에 맞게 고정돌기(130)를 위치시키고, 꺽임부(140)를 착용자의 상부골에 위치한 귓바퀴에 걸리도록 거치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착용한 안경다리가 한쌍의 안경다리 삽입용 홈(120)에 각각 삽입 및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결국 종래기술과 상이하게 안경테가 들어올려 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자의 콧등 피부의 짓눌리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국방, 탐사 등 특수목적용 안경으로 인해 안경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더라도, 착용자의 안경 착용시 안경의 코패드가 콧등 피부에 닿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두 번째 실시 예>
이하 첨부된 도 7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측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는,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골부 중 상부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210)와, 착용자의 귓바퀴와 맞닿는 본체부(210)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230)와, 본체부(2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의 관통홈(220)과, 관통홈(220)의 상단부에 해당되는 본체부(210)에 형성된 절개선(240)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본체부(210)의 내측면 또는 밑면, 또는 내측면과 밑면에 동시에 착용자의 두피와 짓눌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본체부(210)의 하단부(210c)는 중간부(210b)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늘게 형성되며, 하단 끝단부에 액세서리 삽입용 홀(25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본체부(210)의 직경은 상단부(210a)에서 중간부(210b)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본체부(210)의 상단부(210a)에 등배구간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본체부(2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홈(220)은 외피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안경다리를 사용하기 적합하며, 이때 본체부(2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개선(240)은 관통홈(220)에 관통 삽입된 안경다리가 빠져나오더라도 안경다리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 본체부(210)의 상단 끝단부에는 본체부(210)가 상부골에 위치한 귓바퀴에 거치되도록 갈고리 형상의 꺽임부(2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본체부(210)는 한 쌍의 본체부(210)의 상간부(210a)에서 하단부(210c)까지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본체부(210)에 형성된 절개선(240)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부(210)의 상단 절개선(240) 중간부에 옴(Ω)의 형상(240a) 또는 지그재그 형상(24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 예에 따른 안경다리 받침대의 사용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안경다리를 한 쌍의 관통홈(220)에 삽입한다. 이때, 안경다리의 굵기가 굵어도 한 쌍의 관통홈(220)에 삽입이 가능하다.
이어, 착용자의 귀의 뒷부분에 형성된 홈 형상에 맞게 고정돌기(230)를 위치시키고, 꺽임부(260)를 착용자의 상부골에 위치한 귓바퀴에 걸리도록 거치한다.
따라서, 첫번째 실시 예의 결과와 동일하게 착용자가 착용한 안경다리가 한 쌍의 관통홈(220)에 각각 삽입 및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결국 종래 기술과 상이하게 안경테가 들어올려 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자의 콧등피부의 짓눌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어떤 굵기를 가진 안경테의 안경다리를 갖더라도 착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상부골에 거치되는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13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안경다리 삽입용 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부에 형성된 삽입용 홈(120)은, 직선홈(120), S자홈(120a), 지그재그홈(120b)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용 돌기(130)는 시작부분의 직경이 중심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옴(Ω)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 및/또는 밑면에는 상기 착용자의 두피와의 짓눌림을 방지하고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111,11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부(110c)는 중간부(110b)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늘게 형성되며, 상기 하단 끝단부에 액세서리 삽입용 홀(150)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상부골에 위치한 귓바퀴에 거치되도록 갈고리 형상의 꺽임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7.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골부 중 상부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110)와;
    상기 각각의 본체부(110)의 상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8. 착용자의 두피와 귓바퀴의 경계를 이루는 골부 중 상부골에 거치되는 한 쌍의 초승달 형상의 본체부(210)와;
    상기 착용자의 귓바퀴와 맞닿는 상기 본체부(210)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230)와;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의 관통홈(220)과;
    상기 관통홈(220)의 상단부에 해당되는 상기 본체부(210)에 형성된 절개선(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 본체부(210)의 내측면 및/또는 밑면에는 상기 착용자의 두피와의 짓눌림을 방지하고 공기유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 본체부(210)의 상단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부(210)가 상기 상부골에 위치한 귓바퀴에 거치되도록 갈고리 형상의 꺽임부(2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받침대.
PCT/KR2014/000164 2013-01-07 2014-01-07 안경다리 받침대 WO2014107100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04143.8A CN104919358A (zh) 2013-01-07 2014-01-07 眼镜腿支撑架
JP2015551615A JP2016503907A (ja) 2013-01-07 2014-01-07 メガネのテンプル支持具
DE112014000366.2T DE112014000366T5 (de) 2013-01-07 2014-01-07 Bügelstütze
US14/759,362 US20150346510A1 (en) 2013-01-07 2014-01-07 Temple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471A KR101246439B1 (ko) 2013-01-07 2013-01-07 안경다리의 귀받침
KR10-2013-0001471 2013-01-07
KR1020130001473A KR101297392B1 (ko) 2013-01-07 2013-01-07 귀에 지지되는 다기능 귀걸이
KR10-2013-0001473 2013-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7100A1 true WO2014107100A1 (ko) 2014-07-10

Family

ID=5106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164 WO2014107100A1 (ko) 2013-01-07 2014-01-07 안경다리 받침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46510A1 (ko)
JP (1) JP2016503907A (ko)
CN (1) CN104919358A (ko)
DE (1) DE112014000366T5 (ko)
WO (1) WO2014107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92674A1 (en) * 2017-04-05 2018-10-11 Ryan Edward Bond Eyeglass cushioning device and method
CN109901292A (zh) * 2017-12-07 2019-06-18 深圳纬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共同步享式虚拟现实头戴设备
DE202018001542U1 (de) 2018-03-22 2018-07-12 Siegfried Selmeier Hebe- und Abstandshalter - Vorrichtung für Seh- und Lesebrillen die stufenlos verstellbar is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422Y1 (ko) * 1994-09-14 1998-04-08 김용창 안경의 보조고정구
KR19990033805U (ko) * 1999-01-20 1999-08-16 서정은 다기능안경
KR20080070211A (ko) * 2007-01-25 2008-07-30 김경원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0865959B1 (ko)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안경 부착용 이어폰장치
US20100272304A1 (en) * 2009-04-27 2010-10-28 Joseph Adam Thiel Eyewear Reten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897A (en) * 1999-08-09 2000-07-25 First Echelon Sports, Inc. Adjustable retainer for eyeglasses
JP4319297B2 (ja) * 1999-09-13 2009-08-26 Hoya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調節機構
JP2003043426A (ja) * 2001-07-26 2003-02-13 Nikon Eyewear Co Ltd 先セル付きテンプル、先セル、眼鏡フレーム及び眼鏡
JP2005077773A (ja) * 2003-09-01 2005-03-24 Enix:Kk 眼鏡の耳掛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015011Y (zh) * 2005-08-18 2008-01-30 李观富 一种新型眼镜托叶与脚套
CN201107484Y (zh) * 2007-10-19 2008-08-27 赵传明 一种眼镜腿
CN101393323A (zh) * 2008-09-19 2009-03-25 贺竑雁 全方位可调节学生镜架
CN201993538U (zh) * 2011-04-22 2011-09-28 柯育林 一种眼镜的辅助配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422Y1 (ko) * 1994-09-14 1998-04-08 김용창 안경의 보조고정구
KR19990033805U (ko) * 1999-01-20 1999-08-16 서정은 다기능안경
KR20080070211A (ko) * 2007-01-25 2008-07-30 김경원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0865959B1 (ko)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안경 부착용 이어폰장치
US20100272304A1 (en) * 2009-04-27 2010-10-28 Joseph Adam Thiel Eyewear Reten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6510A1 (en) 2015-12-03
CN104919358A (zh) 2015-09-16
JP2016503907A (ja) 2016-02-08
DE112014000366T5 (de)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988B1 (en) Eyewear having detachable lens retaining member
WO1997032232A1 (en) Vented eyeglass lens
WO2014107100A1 (ko) 안경다리 받침대
WO1999054778A3 (en) Eyeglasses having biomagnets and temple tips for eyeglasses having biomagnets
CN112074776B (zh) 眼镜
WO2022114633A1 (ko) 방한용 귀마개
WO2015076467A1 (ko) 눈가 미용기구 및 눈가 미용기구용 패드
WO2016093500A1 (ko) 머리고정형 안경
WO2011108791A1 (ko) 셀룰로이드 평판을 이용한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JP2004500919A (ja) 水中眼鏡の鼻連結具
JPH0756536B2 (ja) 眼鏡のつるの挾持装置
WO2017126735A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101246439B1 (ko) 안경다리의 귀받침
JP3221925U (ja) 保護用眼鏡
KR101972667B1 (ko) 피부 절개술을 진행한 환자용 머리 고정형 안경
WO2016182185A1 (ko) 안경테
WO2021101072A1 (ko) 슬림형 스마트 아이 웨어
WO2017179802A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CN216777348U (zh) 一种眼科术后眼罩
KR200490326Y1 (ko) 안경 포켓이 구비된 수면 안대
CN213182218U (zh) 一种可拆卸的眼镜
KR200178582Y1 (ko) 경락 자극용 안경
WO2021101071A1 (ko) 슬림형 스마트 아이 웨어
KR102132368B1 (ko) 코 자극을 최소화하는 안경
WO2016182097A1 (ko) 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353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59362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5161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4000366

Country of ref document: DE

Ref document number: 1120140003662

Country of ref document: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353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