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54924A2 -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 Google Patents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54924A2
WO2014054924A2 PCT/KR2013/008914 KR2013008914W WO2014054924A2 WO 2014054924 A2 WO2014054924 A2 WO 2014054924A2 KR 2013008914 W KR2013008914 W KR 2013008914W WO 2014054924 A2 WO2014054924 A2 WO 201405492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gment
hole
fishing
fishing rod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89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4054924A3 (ko
Inventor
주재선
Original Assignee
Ju Jae-Se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103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8306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31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99856B1/ko
Application filed by Ju Jae-Seon filed Critical Ju Jae-Seon
Priority to JP201453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JP5837701B2/ja
Priority to US14/433,489 priority patent/US20150250155A1/en
Publication of WO201405492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54924A2/ko
Publication of WO201405492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5492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Definitions

  •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rod for stone gaps.
  • configuring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50 to 4cm to 6cm is to insert the fishing line 50 together with the fish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bottom or the stone gap of the valley or river of the stone gap or the bottom of the stone gap or The purpose is to configure the fishing rod and the length of the fishing needle that can catch the fish gathered between the st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첫번째 세그먼트의 후방의 회동구와, 회동구가 결합되는 회동홈을 갖고 회동구와 회동홈에 관통되는 회동핀으로 구성된 지지부와, 지지부가 두번째 세그먼트의 전방 입출공에서 입출되어 첫번째 세그먼트가 두번째 세그먼트에서 절곡되는 낚시대의 전방을 절곡시켜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 또는 바다의 방파제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이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낚시에 대한 고도의 기술을 요하지 않고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도록 한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본 발명은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첫번째 세그먼트가 두번째 세그먼트에서 입출되어 절곡되는 낚시대의 전방을 절곡시켜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 또는 바다의 방파제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이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고 편리하게 물고기를 낚을 수 있고 물고기를 낚을 때에 손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낚시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의 세그먼트(2)로 구성되어 첫번째 세그먼트(2a)의 일단에 낚시줄(3)이 고정되고, 낚시줄(3)의 하단에 고정된 낚시바늘(4)과, 낚시바늘(4)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낚시줄(3)에 고정된 무게추(3a)와, 상기 무게추(3a)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낚시줄(3)에 고정된 찌(3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낚시대(1)는 세그먼트(2)의 길이가 길고, 민물, 바다, 호수에서 물고기를 낚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낚시대(1)에 설치되는 낚시줄(3)에 찌(3b)와 무게추(3a)가 설치되어 흐르는 민물(계곡 또는 강)의 돌틈 또는 돌틈의 하부에 모여드는 물고기들을 낚을 수 있는 낚시대(1)로 구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 세그먼트와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의 일단에서 고정된 고정마개에서 회동되는 회전도래에 낚시줄이 고정되고 낚시줄의 타단에 설치된 낚시줄로 민물의 돌틈 또는 바다의 방파제의 돌틈의 하부에 모여드는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돌틈용 낚시대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낚시대(1)의 첫번째 세그먼트(2a)에 상기 낚시줄(3)을 매듭하여 고정한후, 이를 다시 상기 낚시줄(3)을 풀 수 없는 고란함과 상기 낚시줄(3)을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a)에서 풀다가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a)의 선단이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특허 제10-2012-110366호"돌틈용 낚시대"로 출원하여 민물 또는 바다의 돌틈, 돌틈하부에 모여든 물고기들을 손쉽게 잡도록 하였으나, 상기 돌틈용 낚시대(400)의 전방을 돌틈 또는 돌틈하부에 넣었을때, 돌틈 또는 돌틈하부로 돌틈용 낚시대(400)의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0)의 첫번째 세그먼트(200a)가 손쉽게 절곡되어 넣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돌틈용 낚시대(400)의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0)의 첫번째 세그먼트(200a)를 돌틈 또는 돌틈하부에 넣었을때 첫번째 세그먼트(200a)가 돌틈 또는 돌틈하부에 걸려 첫번째 세그먼트(200a)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번호 20-0368101호
등록번호 20-0324693호
등록번호 20-029256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첫번째 세그먼트의 후방의 회동구와, 회동구가 결합되는 회동홈을 갖고 회동구와 회동홈에 관통되는 회동핀으로 구성된 지지부와, 지지부가 두번째 세그먼트의 전방 입출공에서 입출되어 첫번째 세그먼트가 두번째 세그먼트에서 절곡되는 낚시대의 전방을 절곡시켜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 또는 바다의 방파제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이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낚시에 대한 고도의 기술을 요하지 않고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도록 한 새로운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손잡이(11)를 구비한 손잡이세그먼트(10)와,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는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와,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도래(30)와,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된 낚시줄(50)로 구성된 돌틈용 낚시대에 있어서, 도 3, 도 5에서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구(21)와, 상기 회동구(21)가 삽입되도록 회동홈(22)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구(21) 및 회동홈(22)에 관통된 회동핀(23)으로 구성된 지지부(24)가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의 입출공(20b')에서 입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은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에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둘레에는 복수개의 걸림턱(2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5)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부(24)의 후방외측둘레에 걸림구(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4)의 외측둘레에 결합구(27)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4)가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에서 회전시 같이 회전되는 상기 결합구(27)와 결합되도록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둘레에 결합홈(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27)가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28)내에 결합시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결합홈(28)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28)의 후방 일측에 이탈방지편(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무밴드(10b)와 수축고무밴드(11b)로 구성된 상기 손잡이(11)의 전방의 둘레에 형성된 안착홈(10a)과, 상기 안착홈(10a)의 후방에 안착되는 수축고무밴드(11b)와 걸이부(1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도래(3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31)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마개(32)에 형성된 통공(33)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통공(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33)내에 노출된 상기 삽입구(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정부(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 외측둘레는 상기 통공(3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첫번째 세그먼트의 후방의 회동구와, 회동구가 결합되는 회동홈을 갖고 회동구와 회동홈에 관통되는 회동핀으로 구성된 지지부와, 지지부가 두번째 세그먼트의 전방 입출공에서 입출되어 첫번째 세그먼트가 두번째 세그먼트에서 절곡되는 낚시대의 전방을 절곡시켜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 또는 바다의 방파제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이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낚시에 대한 고도의 기술을 요하지 않고 손쉽게 잡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틈낚시대로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고 편리하게 물고기를 낚을 수 있고 물고기를 낚을 때에 손맛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선단에 회전도래를 구비한 고정마개를 구비하고, 회전도래에 낚시줄을 결합 및 이탈을 손쉽게 하여 기존의 낚시대의 첫번째 세그먼트에 낚시줄을 결합 및 분리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고, 기존의 낚시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선단이 부러졌을경우, 본 발명의 회전도래를 구비한 고정마개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돌틈용 낚시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래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세그먼트와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래의 삽입구가 통공에 결합된 개략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래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세그먼트와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개략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를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로 계곡 또는 강의 민물에서 사용하되는 돌틈용 낚시대는 손잡이(11)를 구비한 손잡이세그먼트(10)와,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는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는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는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첫번째 세그먼트(20a)와 두번째 세그먼트(20b)로 구성하여 두번째 세그먼트(20b)내에서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외측이 입출되고,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외측은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내에서 입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와,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는 2단으로 구성하는 것은 흐르는 민물에 있는 돌틈 및 돌틈하부에 모여든 물고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는 최적으로 길이로 구성하고,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는 5cm로 구성한 낚시대로서 사용자가 낚시대로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낚았을때 최적의 손맛을 느끼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도래(3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된 낚시줄(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는 4㎝ 내지 6㎝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를 5c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를 4㎝ 내지 6㎝로 구성하는 것은 계곡 또는 강물의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본 발명의 낚시대와 더불어 상기 낚시줄(50)을 삽입하여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최적으로 잡을 수 있는 낚시대 및 낚시바늘의 길이로 구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돌틈용 낚시대에서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구(21)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홈(22)은 회동구(21)가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지지부(24)는 상기 회동구(21) 및 회동홈(22)에 관통된 회동핀(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4)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의 입출공(20b')에서 입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이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에서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가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에서 절곡되게 하는 것은 민물인 강 또는 바다의 돌틈, 돌틈의 하부에 상기 회전도래(30)와 상기 낚시줄(50) 및 낚시바늘(40)을 손쉽게 넣어 돌틈, 돌틈의 하부에 모여있는 물고기를 손쉽게 잡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낚시자가 본 발명의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100)를 선채로 낚시자의 몸을 구부리거나 좌,우로 움직이지않고 본 발명의 돌틈용 낚시대의 상기 첫번재 세그먼트(20a)와,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에 구비된 상기 회전도래(30), 낚시바늘(40), 낚시줄(50)을 돌틈, 돌틈의 하부에 편리하게 넣어 상기 낚시바늘(40)로 돌틈 또는 돌틈의 하부에 모여든 물고기를 손쉽게 낚아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둘레에는 복수개의 걸림턱(2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5)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부(24)의 후방외측둘레에 걸림구(2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턱(25)들의 후방에 상기 걸림구(26)가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24)를 갖는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이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으로 더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24)의 외측둘레에 결합구(2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4)가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에서 회전시 같이 회전되는 상기 결합구(27)와 결합되도록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둘레에 결합홈(28)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7)가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28)내에 결합시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결합홈(28)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28)의 후방 일측에 이탈방지편(29)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지지부(24)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28)에 손쉽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4)가 설치된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의 외측둘레가 상기 결합홈(28)을 갖는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둘레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8)의 후방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편(29)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지지부(24)와 함께 회전시,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결합홈(28)에서 이탈되지 않도록하여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결합홈(28)에 안정적으로 결합 및 이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고무밴드(10b)와 수축고무밴드(11b)로 구성된 상기 손잡이(11)의 전방의 둘레에 형성된 안착홈(10a)과, 상기 안착홈(10a)에 안착되는 수축고무밴드(11b)와 걸이부(11c)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형 걸이부(11c)는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10a)이 있는 손잡이(11)에 손쉽게 결착되도록 구성된다.
또 수축고무밴드(11b)에는 밤에 빛을 발하는 캐미라이트를 끼워 사용함으로써 밤에도 낚시대가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한 낚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축고무밴드(11b)와 밴드형 걸이부(11c)는 걸대(미도시)에 걸어 본 발명의 돌틈용 낚시대를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회전도래(3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31)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일단에 하부가 결합된 고정마개(32)에 형성된 통공(33)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고정마개(32)의 삽입부(32b)는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선단의 외측둘레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고정마개(32)에 형성된 상기 통공(33)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통공(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33)내에 노출된 상기 삽입구(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정부(3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 외측둘레는 상기 통공(3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도래(30)가 상기 고정마개(32)에 회동되는 것은 흐르는 민물인 계곡 또는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서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상기 회전도래(30)의 회동으로 흡수하고, 급물살인 민물의 돌틈 물살 흐름에 맞출수 있어 보다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낚시줄(50)은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고정마개(32)에 상기 회전도래(30)를 설치하여 상기 낚시줄(50)을 손쉽게 상기 회전도래(30)에 묶었다 풀수 있으며, 기존의 낚시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선단이 부러졌을경우 상기 고정마개(32)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회동구(21)(도 5)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24)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걸림구(26)가 걸려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는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a)에서 전방으로 더이상 인출되지 않된다.
우선,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를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a)에서 상기 걸림구(26)가 상기 걸림턱(25)에 걸리지 않도록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23)에 구비된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28)에 맞춘다.
이때 상기 결합구(27)는 상기 결합홈(28)에 구비된 상기 이탈방지편(29)에 의해 더 이상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를 다시 전방으로 인출시켜, 상기 걸림구(26)가 상기 걸림턱(25)에 걸리도록 하여준다.
그런다음에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를 하부로 회동시켜 절곡시켜준다.
이때 상기 회동구(21)는 상기 회동핀(23)을 기반으로 상기 회동홈(22)에서 회동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절곡된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를 민물인 강과 바다의 돌틈, 돌틈의 하부에 넣어 돌틈, 돌틈의 하부에 모여든 물고기를 잡도록 한다.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를 절곡에서 수평으로 복원하는 작용 및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를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에 삽입하는 작용은 위의 작용과 반대로 하여주면 된다.
따라서,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의 상기 회동구(21)와, 상기 회동구(21)가 결합되는 상기 회동홈(22)을 갖고 상기 회동구(21)와 회동홈(22)에 관통되는 상기 회동핀(23)으로 구성된 상기 지지부(24)와, 상기 지지부(24)가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 상기 입출공(20b')에서 입출되어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가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에서 절곡되는 낚시대의 전방을 절곡시켜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 또는 바다의 방파제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이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낚시에 대한 고도의 기술을 요하지 않고 손쉽게 잡도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는 4㎝ 내지 6㎝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를 5c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를 4㎝ 내지 6㎝로 구성하는 것은 계곡 또는 강물의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본 발명의 낚시대와 더불어 상기 낚시줄(50)을 삽입하여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최적으로 잡을 수 있는 낚시대 및 낚시바늘의 길이로 구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술하는 본 발명은 주로 계곡 또는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첫번째 세그먼트(20a) 및 두번째 세그먼트(20a)와 상기 낚시줄(50) 및 낚시바늘(40)을 삽입하여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는 돌틈 낚시대(100)의 상기 낚시바늘(40)로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상기 회전도래(30)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세그먼트 10a: 안착홈
10b: 고무밴드 11 : 손잡이
11b: 수축고무밴드 11c :밴드형 걸이부
20: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 20a: 첫번째 세그먼트
20b: 두번째 세그먼트 20b': 통공
21: 회동구 22: 회동홈
23: 회동핀 24: 지지부
25: 걸림턱 26: 걸림구
27: 결합구 28: 결합홈
29: 이탈방지편 30: 회전도래
31: 삽입구 32: 고정마개
32a: 경사부
32b: 삽입부
33: 통공 34: 고정걸림부
40: 낚시바늘 50: 낚시줄
61: 후방삽입구
100: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Claims (6)

  1. 손잡이(11)를 구비한 손잡이세그먼트(10)와,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는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와,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도래(30)와,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된 낚시줄(50)로 구성된 돌틈용 낚시대에 있어서,
    회동구(21)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홈(22)은 회동구(21)가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지지부(24)는 상기 회동구(21) 및 회동홈(22)에 관통된 회동핀(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4)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의 입출공(20b')에서 입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후방은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전방에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둘레에는 복수개의 걸림턱(2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5)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부(24)의 후방외측둘레에 걸림구(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4)의 외측둘레에 결합구(27)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4)가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에서 회전시 같이 회전되는 상기 결합구(27)와 결합되도록 상기 두번째 세그먼트(20b)의 내측둘레에 결합홈(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27)가 회전되어 상기 결합홈(28)내에 결합시 상기 결합구(27)가 상기 결합홈(28)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28)의 후방 일측에 이탈방지편(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도래(3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31)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마개(32)에 형성된 통공(33)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통공(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33)내에 노출된 상기 삽입구(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정부(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 외측둘레는 상기 통공(3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6.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도래(30)와;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된 낚시줄(5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도래(3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31)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마개(32)에 형성된 통공(33)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통공(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33)내에 노출된 상기 삽입구(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정부(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 외측둘레는 상기 통공(3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고,
    상기 고정마개(32)는 내부에 삽입부(32b)가 형성되고,
    하단둘레에는 경사부(32a)가 형성되는 돌틈용 낚시대에 있어서,
    손잡이(11)를 구비한 손잡이세그먼트(10)와;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는 인장 및 수축되는 2단의 세그먼트부(20)와;
    상기 손잡이(11)에 고무밴드(10b)와 수축고무밴드(11b)로 구성되어 상기 고무밴드(10a)에 상기 낚시바늘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는 후방내부에 삽입되는 후방삽입구(61)를 갖는 마개(60)로 구성되고,
    상기 낚시줄(50)은 길이가 4㎝ 내지 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PCT/KR2013/008914 2012-10-05 2013-10-04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WO2014054924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39894A JP5837701B2 (ja) 2012-10-05 2013-10-04 前方が折り曲げ可能な石の間隙用釣竿
US14/433,489 US20150250155A1 (en) 2012-10-05 2013-10-04 Fishing rod having bendable front that can be used between two st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66A KR101283060B1 (ko) 2012-10-05 2012-10-05 돌틈용 낚시대
KR10-2012-0110366 2012-10-05
KR10-2013-0033185 2013-03-28
KR1020130033185A KR101299856B1 (ko) 2013-03-28 2013-03-28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4924A2 true WO2014054924A2 (ko) 2014-04-10
WO2014054924A3 WO2014054924A3 (ko) 2014-05-30

Family

ID=5043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8914 WO2014054924A2 (ko) 2012-10-05 2013-10-04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50155A1 (ko)
JP (1) JP5837701B2 (ko)
WO (1) WO20140549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9752B1 (fr) * 2018-12-18 2021-03-05 Ctfi Canne a peche telescopique fil interieu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96U (ko) * 1995-04-12 1996-11-19 낚시바늘고정구가 장착된 낚시대
KR200227028Y1 (ko) * 2000-11-24 2001-06-15 이창덕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KR200379285Y1 (ko) * 2004-12-28 2005-03-18 서정윤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JP2007097544A (ja) * 2005-10-07 2007-04-19 Shimano Inc 釣り竿及びその保護具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3396A (en) * 1931-04-30 1933-01-03 Bullough Maynard Fish rod ferrule
US2029484A (en) * 1933-03-18 1936-02-04 John R Howard Fishing rod
US2351734A (en) * 1942-04-04 1944-06-20 John C Backe Fishing rod
US3732644A (en) * 1971-03-23 1973-05-15 A Kavanagh Fishing rod
US4541197A (en) * 1981-05-08 1985-09-17 Leroue Lloyd J Hollow telescoping fishing rod
US4768303A (en) * 1987-02-02 1988-09-06 Baylink Carroll J Connector apparatus
JPH0638527U (ja) * 1992-11-09 1994-05-2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2604762Y2 (ja) * 1993-12-09 2000-06-05 株式会社義隆製作所 釣竿及びその屈折用連結具
JPH08116831A (ja) * 1994-10-26 1996-05-14 Kazuya Shiken 釣 竿
JP4165971B2 (ja) * 1999-09-10 2008-10-15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4476515B2 (ja) * 2001-05-02 2010-06-09 株式会社シマノ 釣糸係止具
JP3113558U (ja) * 2005-02-18 2005-09-15 有限会社エムケイテック 釣り竿
JP2008278841A (ja) * 2007-05-14 2008-11-20 Shimano Inc 釣り竿の竿先構造
US8413366B2 (en) * 2009-04-01 2013-04-09 Winthrop Tool Llc Adjustable butt and reel seat for a fishing rod
US8769861B2 (en) * 2010-12-27 2014-07-08 Ningbo Ever Winner Industrial Fishing Tackle Co., Ltd. Fishing pole with an adjustable length
CN102835366A (zh) * 2011-06-21 2012-12-26 科尼利厄斯·约翰尼斯·安嫩代尔 钓竿或杆的改进的孔环或线引导器元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96U (ko) * 1995-04-12 1996-11-19 낚시바늘고정구가 장착된 낚시대
KR200227028Y1 (ko) * 2000-11-24 2001-06-15 이창덕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KR200379285Y1 (ko) * 2004-12-28 2005-03-18 서정윤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JP2007097544A (ja) * 2005-10-07 2007-04-19 Shimano Inc 釣り竿及びその保護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4924A3 (ko) 2014-05-30
US20150250155A1 (en) 2015-09-10
JP5837701B2 (ja) 2015-12-24
JP2015500632A (ja)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8108A1 (ko) 통발
WO2012165803A2 (ko) 줄 길이 조절장치
WO2011025243A2 (ko) 줄 길이 조절장치
WO2011126171A1 (ko)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WO2017142246A1 (ko) 낚시바늘의 밑걸림 방지장치
WO2016137058A1 (ko)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WO2014054924A2 (ko)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WO2013081255A1 (ko) 복합부유습지시설
WO2013015643A9 (ko) 블라인드용 안전 보호구
WO2017171191A1 (ko)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WO2017171394A1 (ko) 로프타입 펜스의 장력조절장치
WO2024025132A1 (ko) 헤드의 분실을 방지하는 낚시용 타이러버 채비
US6397774B1 (en) Floating boat house
WO2022220472A1 (ko)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반려견용 입마개
WO2016080636A1 (ko) 커버 일체형 우산
KR101283060B1 (ko) 돌틈용 낚시대
WO2023054862A1 (ko) 자연 또는 인조 패각류가 구비된 두족류 포획구
WO2022197008A1 (ko)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WO2011145817A2 (en) Automatic animal capturing apparatus
WO2020231097A1 (ko) 바지
WO2022039443A1 (ko) 테니스 연습대의 구조
WO2018043849A1 (ko) 해난 구조 시스템
WO2014204059A1 (ko) 코드줄 내장형 로만쉐이드
KR200377590Y1 (ko) 국기가 깃대에 감기지 않는 국기게양대
KR19990030488A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3989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43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334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43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