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060B1 - 돌틈용 낚시대 - Google Patents

돌틈용 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060B1
KR101283060B1 KR1020120110366A KR20120110366A KR101283060B1 KR 101283060 B1 KR101283060 B1 KR 101283060B1 KR 1020120110366 A KR1020120110366 A KR 1020120110366A KR 20120110366 A KR20120110366 A KR 20120110366A KR 101283060 B1 KR101283060 B1 KR 101283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fishing
stone
fishing ro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선
Original Assignee
주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선 filed Critical 주재선
Priority to KR102012011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060B1/ko
Priority to PCT/KR2013/008914 priority patent/WO2014054924A2/ko
Priority to JP2014539894A priority patent/JP5837701B2/ja
Priority to US14/433,489 priority patent/US201502501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세그먼트에서 인장 및 수축되는 다단의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일단에서 회동되는 회전도래와, 회전도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낚시바늘이 고정되게 구성되어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도록한 돌틈용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틈용 낚시대{Fishing rod for stone aperture}
본 발명은 돌틈용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도록한 돌틈용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낚시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의 세그먼트(2)로 구성되어 첫번째 세그먼트(2a)의 일단에 낚시줄(3)이 고정되고, 낚시줄(3)의 하단에 고정된 낚시바늘(4)과, 낚시바늘(4)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낚시줄(3)에 고정된 무게추(3a)와, 상기 무게추(3a)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낚시줄(3)에 고정된 찌(3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낚시대(1)는 세그먼트(2)의 길이가 길고, 민물, 바다, 호수에서 물고기를 낚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낚시대(1)에 설치되는 낚시줄(3)에 찌(3b)와 무게추(3a)가 설치되어 흐르는 민물(계곡 또는 강)의 돌틈 또는 돌틈의 하부에 모여드는 물고기들을 낚을 수 있는 낚시대(1)로 구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 세그먼트와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의 일단에서 고정된 고정마개에서 회동되는 회전도래에 낚시줄이 고정되고 낚시줄의 타단에 설치된 낚시줄로 민물의 돌틈 또는 돌틈의 하부에 모여드는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돌틈용 낚시대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낚시대(1)의 첫번째 세그먼트(2a)에 상기 낚시줄(3)을 매듭하여 고정한후, 이를 다시 상기 낚시줄(3)을 풀을 수 없는 고란함과 상기 낚시줄(3)을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a)에서 풀다가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a)의 선단이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10-2002-0034079호 특허출원 10-2008-0003204호 실용신안출원 20-2008-000542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손잡이 세그먼트에서 인장 및 수축되는 다단의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일단에서 회동되는 회전도래와, 회전도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낚시바늘이 고정되게 구성되어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돌틈용 낚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손잡이(11)를 구비한 손잡이세그먼트(10)와;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는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와;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도래(30)와;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된 낚시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1)는 고무밴드(10a)와 수축고무밴드(10b)로 구성되어 상기 고무밴드(10a)에 상기 낚시바늘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도래(3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31)는 상기 인장 및 수축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마개(32)에 형성된 통공(33)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통공(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33)내에 노출된 상기 삽입구(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정부(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 외측둘레는 상기 통공(3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마개(32)의 내부에는 삽입부(32b)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마개(32)의 하단둘레에는 경사부(3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20)는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의 후방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구(61)를 갖는 마개(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는 4㎝ 내지 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 세그먼트에서 인장 및 수축되는 다단의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일단에서 회동되는 회전도래와, 회전도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낚시바늘이 고정되게 구성되어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는 돌틈 낚시대의 낚시바늘로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회전도래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 세그먼트에 설치된 고무밴드에 낚시바늘을 고정하도록하여 낚시바늘의 관리소홀로 인한 낚시바늘 분실 또는 낚시바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대의 낚시줄의 길이는 4㎝ 내지 6㎝로 구성하여 민물의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최적으로 잡을 수 있는 낚시대의 길이로 구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선단에 회전도래를 구비한 고정마개를 구비하고, 회전도래에 낚시줄을 결합 및 이탈을 손쉽게 하여 기존의 낚시대의 첫번째 세그먼트에 낚시줄을 결합 및 분리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고, 기존의 낚시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선단이 부러졌을경우, 본 발명의 회전도래를 구비한 고정마개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대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래의 삽입구가 통공에 결합된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세그먼트의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도래의 삽입구가 통공에 결합된 개략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세그먼트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틈용 낚시대(100)를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돌틈용 낚시대(100)는 손잡이 세그먼트(10)와,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와, 회전도래(30)와, 낚시줄(50)로 구성된다.
상기 돌틈용 낚시대(10)는 주로 계곡 또는 강의 민물에서 사용하는 낚시대이다.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는 낚시를 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의 상기 손잡이(11) 외측둘레에 고무밴드(10a)를 감싸아 설치하고, 상기 고무밴드(10a)와 인접하여 수축고무밴드(10b)를 상기 손잡이(11)의 외측둘레에 감싸아 설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고무밴드(10a)에 후술되는 낚시바늘(40)을 꽂을 수 있도록하여 낚시를 다하고 상기 낚시바늘(40)의 분실을 방지하고, 상기 낚시바늘(40)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의 후방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구(61)를 갖는 마개(6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마개(60)를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의 후방에 마감재로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의 관리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는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는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첫번째 세그먼트(20a)와 두번째 세그먼트(20b)로 구성하여 두번째 세그먼트(20b)내에서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외측이 입출되고,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외측은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내에서 입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와,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는 2단으로 구성하는 것은 흐르는 민물에 있는 돌틈 및 돌틈하부에 모여든 물고기를 손쉽게 잡을 수 있는 최적으로 길이로 구성하고,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는 5cm로 구성한 낚시대로서 사용자가 낚시대로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낚았을때 최적의 손맛을 느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도래(30)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의 일단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도래(3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31)는 상기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일단에 하부가 결합된 고정마개(32)에 형성된 통공(33)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고정마개(32)의 삽입부(32b)는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선단의 외측둘레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고정마개(32)에 형성된 상기 통공(33)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통공(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33)내에 노출된 상기 삽입구(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정부(3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마개(32)의 하부둘레면에 경사부(32a)를 형성하여 상기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낚시줄(50)에 구비된 상기 낚시바늘(40)에 물고기가 낚였을때 상기 고정마개(32)에 걸리는 힘을 분산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 외측둘레는 상기 통공(3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도래(30)가 상기 고정마개(32)에 회동되는 것은 흐르는 민물인 계곡 또는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서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상기 회전도래(30)의 회동으로 흡수하고, 급물살인 민물의 돌틈 물살 흐름에 맞출수 있어 보다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기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낚시줄(50)은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고정마개(32)에 상기 회전도래(30)를 설치하여 상기 낚시줄(50)을 손쉽게 상기 회전도래(30)에 묶었다 풀수 있으며, 기존의 낚시대의 첫번째 세그먼트의 선단이 부러졌을경우 상기 고정마개(32)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는 4㎝ 내지 6㎝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를 5c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낚시줄(50)의 길이를 4㎝ 내지 6㎝로 구성하는 것은 계곡 또는 강물의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본 발명의 낚시대와 더불어 상기 낚시줄(50)을 삽입하여 돌틈의 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최적으로 잡을 수 있는 낚시대 및 낚시바늘의 길이로 구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술하는 본 발명은 주로 계곡 또는 강의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첫번째 세그먼트(20a) 및 두번째 세그먼트(20a)와 상기 낚시줄(50) 및 낚시바늘(40)을 삽입하여 돌틈하부 또는 돌틈사이에 모여든 물고기를 무게추와 찌가 없는 돌틈 낚시대(100)의 상기 낚시바늘(40)로 손쉽게 잡도록하고, 물고기를 낚았을때 물고기가 요동치는 것을 상기 회전도래(30)의 회동으로 흡수하여 누구나가 손쉽게 물고기를 편리하게 낚을 수 있고 손맛을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손잡이 세그먼트 10a: 고무밴드
10b: 수축고무밴드 11: 손잡이
20: 인장 및 수축 세그먼트부 20a: 첫번째 세그먼트
30: 회전도래 31: 삽입구
32: 고정마개 32a: 경사부
32b: 삽입부 33: 통공
34: 고정걸림부 40: 낚시바늘
50: 낚시줄 60: 마개
61: 삽입구 100: 돌틈용 낚시대

Claims (7)

  1.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도래(30)와;
    상기 회전도래(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낚시바늘(40)이 고정된 낚시줄(5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도래(3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31)는 상기 인장 및 축소 세그먼트부(20)의 첫번째 세그먼트(20a)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마개(32)에 형성된 통공(33)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삽입구(31)는 상기 통공(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33)내에 노출된 상기 삽입구(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고정부(3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도래(30)의 상기 삽입구(31) 외측둘레는 상기 통공(33)의 내측둘레에서 회동되고,
    상기 고정마개(32)는 내부에 삽입부(32b)가 형성되고,
    하단둘레에는 경사부(32a)가 형성되는 돌틈용 낚시대에 있어서,
    손잡이(11)를 구비한 손잡이세그먼트(10)와;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인장 및 축소되게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세그먼트(10)의 전방에서 입출되는 인장 및 수축되는 2단의 세그먼트부(20)와;
    상기 손잡이(11)에 고무밴드(10a)와 수축고무밴드(10b)로 구성되어 상기 고무밴드(10a)에 상기 낚시바늘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세그먼트(10)는 후방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구(61)를 갖는 마개(60)로 구성되고,
    상기 낚시줄(50)은 길이가 4㎝ 내지 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틈용 낚시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10366A 2012-10-05 2012-10-05 돌틈용 낚시대 KR101283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66A KR101283060B1 (ko) 2012-10-05 2012-10-05 돌틈용 낚시대
PCT/KR2013/008914 WO2014054924A2 (ko) 2012-10-05 2013-10-04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JP2014539894A JP5837701B2 (ja) 2012-10-05 2013-10-04 前方が折り曲げ可能な石の間隙用釣竿
US14/433,489 US20150250155A1 (en) 2012-10-05 2013-10-04 Fishing rod having bendable front that can be used between two st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66A KR101283060B1 (ko) 2012-10-05 2012-10-05 돌틈용 낚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060B1 true KR101283060B1 (ko) 2013-07-05

Family

ID=4899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366A KR101283060B1 (ko) 2012-10-05 2012-10-05 돌틈용 낚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0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34U (ko) * 2014-10-23 2016-05-03 (주)재영레져산업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20160001682U (ko) * 2016-05-10 2016-05-18 (주)재영레져산업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20180043505A (ko) 2016-10-20 2018-04-30 (주)재영레져산업 돌틈용 낚시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96U (ko) * 1995-04-12 1996-11-19 낚시바늘고정구가 장착된 낚시대
KR200227028Y1 (ko) * 2000-11-24 2001-06-15 이창덕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96U (ko) * 1995-04-12 1996-11-19 낚시바늘고정구가 장착된 낚시대
KR200227028Y1 (ko) * 2000-11-24 2001-06-15 이창덕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34U (ko) * 2014-10-23 2016-05-03 (주)재영레져산업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20160001682U (ko) * 2016-05-10 2016-05-18 (주)재영레져산업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200480871Y1 (ko) 2016-05-10 2016-07-14 (주)재영레져산업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20180043505A (ko) 2016-10-20 2018-04-30 (주)재영레져산업 돌틈용 낚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060B1 (ko) 돌틈용 낚시대
US2117322A (en) Shock absorber for fishing lines
EP2910111A1 (en) Canopy for protecting plants against water, hail and insects
JP5837701B2 (ja) 前方が折り曲げ可能な石の間隙用釣竿
KR101299856B1 (ko)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KR20140118665A (ko)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US2040714A (en) Fisherman's landing net
KR20100064537A (ko) 우산
CN212035527U (zh) 一种黄颡鱼捕捉设备
JP3187424U (ja) 傘カバーおよびこれを装着した傘
KR200450273Y1 (ko) 접이식 고탄력 훌라후프
KR20180110439A (ko) 모래 또는 먼지 유입을 방지하도록 필터부재를 갖는 조립연결구를 구비한 낚시대
JP5867974B1 (ja) 釣竿用緩衝材
US20170035140A1 (en) Hat leash
KR200462812Y1 (ko) 우산커버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KR20040065391A (ko) 뒷마개줄감개식 민물낚시대
KR930000063Y1 (ko) 낚시대의 이탈방지 장치
KR200366990Y1 (ko) 스프링 낚싯대
JPS6010386Y2 (ja) 餌内蔵式錘
JP7114181B2 (ja) 吸水傘袋
KR101956729B1 (ko) 돌틈용 낚시대
CN203468237U (zh) 便携衣架
CN110916309A (zh) 一种带有收纳套的折叠伞
JPS5934333B2 (ja) 定置網
JP6061152B2 (ja) 頭髪乾燥用タ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