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71Y1 -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 Google Patents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71Y1
KR200480871Y1 KR2020160002507U KR20160002507U KR200480871Y1 KR 200480871 Y1 KR200480871 Y1 KR 200480871Y1 KR 2020160002507 U KR2020160002507 U KR 2020160002507U KR 20160002507 U KR20160002507 U KR 20160002507U KR 200480871 Y1 KR200480871 Y1 KR 200480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rod
hole
lin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682U (ko
Inventor
주재선
Original Assignee
(주)재영레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영레져산업 filed Critical (주)재영레져산업
Priority to KR2020160002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7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낚싯대의 초릿대에 조립되어 자유롭게 회동되고 탄성을 부여하여 낚시줄의 원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도래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원통으로 일단은 초릿대(110)의 끝단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30)와 타단은 도래가 삽입되어 360°회전하는 삽입홀(211)을 구비하는 막힘부(210)와 상기 삽입부(230)와 막힘부(210)의 사이 소정의 위치에는 안으로 절곡된 절곡부(220)를 형성한 연결부재(200)와 와이어로 중앙부는 스프링으로 만든 탄성부(320)을 만들고 상기 스프링으로 만든 탄성부(320)의 일단은 막힘부(210)의 삽입홀(211)에 걸리는 걸림구(310)를 만들고 타단은 원줄(400)을 묶는 “○”형상의 통공(350)을 구비하는 탄성부재(300)로 구성되어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Fishing rod}
본 고안은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대의 초릿대에 조립되어 자유롭게 회동되고 낚시줄에 탄성을 부여하는 도래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낚시채비는 다수개의 단위 낚싯대로 구비되어 접철 및 전개하여 사용하는 낚싯대와, 낚싯대의 초릿대에 연결되는 원줄과, 원줄에 연결되고 목줄의 끝부분에 연결 바늘로 구비하는 바늘채비를 구비하여 원줄에 연결되는 목줄 및 원줄에 연결되는 봉돌, 찌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다수개로 구성된 낚싯대의 초릿대에 연결된 원줄을 연결하는 낚시장비는 도 1 및 도 2과 같이 낚싯대(1)의 초릿대(11)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용섬유줄(12)에 원줄(13)을 묶어 사용하고 있는데 연결용섬유줄(12)을 망사직물로 제직하여 초릿대(11)의 끝단부를 망사직물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삽입된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낚싯대(1)에 연결용섬유줄(12)을 단단하게 고정부착하여 사용하고 낚싯대(1)의 초릿대(11)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용섬유줄(12)에는 낚시바늘이 구비된 목줄이 묶어 연결된 원줄(13)을 묶어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낚시채비로 낚시바늘을 원하는 위치에 떨어뜨리기 위해서는 먼저 낚싯대(1)의 손잡이를 잡고 낚싯대(1)를 휘둘러 낚시바늘을 원하는 위치에 떨어뜨리는데 손잡이와 낚시바늘과의 거리가 멀어 원줄(13) 끝에 연결된 봉돌과 낚시바늘은 큰 원을 그리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원줄(13)은 회전하게 되고, 낚싯대(1)의 초릿대(11)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연결용섬유줄(12)은 회동할 수 없어 원줄(13)과 연결용섬유줄(12)이 꼬이게 되는 것이다.
낚시는 많은 회수의 낚시줄을 던지는 행위가 반복되는 것이므로 원줄(13)과 연결용섬유줄(12)은 점점 더 꼬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낚시줄을 연속반복적으로 던지는 것에 의하여 원줄과 연결용섬유줄이 반복하여 꼬이게 됨으로 낚싯대의 초릿대에 부착한 연결용섬유줄의 손상과 변형을 초래하게 되고 원줄도 꼬이게 되어 원줄이 끊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 낚시초보자는 연결용섬유줄에 원줄을 단단하게 묶어 연결하는 것이 쉬지 않아 연결용섬유줄에서 원줄이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줄과 연결용섬유줄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제안된 실용신안등록 제 0212191는 도 3과 같이 연결용섬유줄(31)의 일측 단부에는 도래몸체(33)에 일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핀(32)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고, 도래 몸체(33)의 연결 핀(32) 결합부 반대편에는 일측단부에 원줄(31)이 고정되는 연결고리(34)의 타측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낚시줄 엉킴 방지용 도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의 실용신안은 낚싯대에 부착되는 도래는 연결용섬유줄과 원줄에 가해지는 꼬임력을 원활히 해소시켜 직조 섬유줄과 원줄이 스스로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는 이점이 있으나 낚싯대의 연결용섬유줄에 별도의 도래를 결합하고 그 도래에 원줄을 연결하는 것이므로 다수개의 부품으로 원가가 상승되고, 낚싯대 끝단에 조립된 초릿대의 도래에 원줄은 묶어 사용하므로 낚싯대에서 생기는 휨에 의하여 생기는 탄성밖에 없어 초보자는 고기가 바늘털이를 하는 과정에서 고기가 낚시바늘에서 빠져 버리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219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낚싯대를 휘둘러 낚시바늘을 원하는 위치에 투척하면서 생기는 원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을 부여하여 바늘털이시에 낚시바늘에서 고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낚싯대(100)의 초릿대(110)에 원줄(400)을 연결 사용하는 낚싯대에 있어서, 일단은 초릿대(110)의 끝단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30)를 만들고 타단은 탄성부재(300)가 삽입되어 360°회전되게 삽입홀(211)을 구비하는 막힘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230)와 막힘부(210)의 사이에는 안으로 절곡된 절곡부(220)를 형성한 원통형의 연결부재(200)와; 와이어로 중앙부는 스프링으로 만든 탄성부(320)을 만들고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은 막힘부(210)의 삽입홀(211)에 걸리는 걸림구(310)를 형성하고 타단은 원줄(400)을 묶는 “○”형상의 통공(350)을 구비하는 탄성부재(300)로 된 도래(5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는 일단은 걸림구(610)를 만들고 타단에는 “○”형상의 통공(650)을 갖는 연결부(640)를 형성하는데 연결부(640)에 만든 “○”형상의 통공(650)은 중앙직선에서 30 ° - 60 °의 경사각(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원줄의 꼬임을 방지하여 원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낚시초보자도 용이하게 원줄을 도래의 연결구에 단단하게 묶어 연결하여 낚싯대에서 원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단순히 낚싯대 끝단에 조립된 도래에 탄성을 부여하여 초보자도 고기가 바늘털이를 하는 과정에서 고기가 낚시바늘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낚싯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낚싯대의 고정사용하는 연결용섬유줄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낚싯대의 연결용섬유줄에 도래를 연결사용하는 것으로
도 3a는 낚싯대의 연결용섬유줄에 도래의 연결사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의 도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의 도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도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를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낚싯대(100)의 초릿대(110)에 원줄(400)을 연결 사용하는 초릿대에 삽입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도래로 구성된다.
일단은 초릿대(110)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30)를 만들고 타단은 탄성부재(300)가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구비하는 막힘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230)와 막힘부(210)의 사이에는 절곡부(220)를 구비한 연결부재(200)와 중앙은 스프링으로 만든 탄성부(320)을 만들고 상기 스프링으로 만든 탄성부(320)의 일단은 걸림구(310)를 형성하며 타단은 원줄(400)을 묶는 “○”형상의 통공(350)을 구비하는 탄성부재(300)로 구성되어 회동되는 탄성도래(500)로 구성된다.
낚시채비는 다수개의 단위낚싯대를 구비한 낚싯대(100)의 끝에 조립된 초릿대(110)에 연결되는 원줄(400)과, 상기 원줄(400)과 연결되고 상기 원줄(400)의 일단에는 낚시바늘이 묶여 있는 목줄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원줄(400)에는 필요에 따라 봉돌. 찌 등 다양한 부품들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낚싯대(10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일단의 직경이 길이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만들어진 단위낚싯대(101)를 다수개 조립하여 사용하는데 소직경을 갖는 단위낚싯대(101)의 일단부가 대직경을 갖는 단위낚싯대(101)의 일단부에 순차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낚싯대(101)로 구성된 같은 낚싯대(100)는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소직경의 단위낚싯대(101)를 대직경의 단위낚싯대(101)로 안으로 순차적으로 접철하여 길이를 짧게 만들어 낚싯대케이스에 넣어 보관하고 낚시를 하고자할시에는 대직경의 단위낚싯대(101) 일단으로 소직경의 단위낚싯대(101)를 연속적으로 뽑아 고정하며 전개하여 길이를 길게 만들어 사용하는데 단위낚싯대(101)의 가장 끝부분에는 초릿대(110)가 조립되고 초릿대(110)에 고정되는 연결부재(200)와 연결부재(200)에 회동하게 조립된 탄성부재(300)를 구비한 도래(500)를 구비하여 원줄(400)을 탄성부재(300)에 묶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은 일단이 초릿대(110)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30)를 만들고 타단은 탄성부재(300)가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구비하는 막힘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230)와 막힘부(210)의 사이에는 절곡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230)는 연결부재(200)를 초릿대(110)의 일단에 삽입하여 초릿대(110)에 연결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만들어 초릿대(110)에 압입시켜 고정한다.
또 초릿대(110)에 삽입고정된 연결부재(200)가 초릿대(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릿대(110)의 외주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결부재(200)를 압입고정하여 연결부재(200)가 초릿대(110)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막힘부(210)에 형성된 삽입홀(211)은 삽입홀(211)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탄성부(300)의 걸림구가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삽입되어 설치된 탄성부재(300)의 연결부(340)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220)는 소정의 위치에 내부로 절곡하는데 절곡부(220)는 초릿대(110)가 절곡부(220)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막힘부(210)와 절곡부(220)가 소정의 간극을 갖도록 만들어 공간부(240)를 형성하여 삽입홀(211)에 삽입된 탄성부재(300)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공간부(240)는 연결부재(200)에 형성한 절곡부(220)와 막힘부(21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내부로 절곡하여 절곡된 부분의 지름이 공간부(240) 및 삽입부(23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만드는 것으로 절곡부(220)와 막힘부(210) 사이에는 공간을 형성하는데 공간부(240)의 지름은 탄성부재(300)의 걸림구(31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 탄성부재(300)의 걸림구(310)가 공간부(240)에서 아무런 방해를 받지않고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곡부(220)를 다수개 형성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연결부재(200)에 조립사용하여 원줄(400)이 회전시에 회전되고 “○”형상의 통공에(350)에 묶어 연결한 원줄(400)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를 이용하여 중앙은 스프링으로 형성한 탄성부(320)을 만들고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은 연결부재(200)의 삽입홀(211)에서 빠지지 않는 걸림구(310)를 형성하고 타단은 원줄(400)을 묶어 고정하는 “○”형상의 통공(350)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으로 만든 탄성부(320)은 낚시줄인 원줄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물고기가 잡혀 올라오는 과정에서 물고기가 바늘털이를 하는 동안에도 낚시줄에 가해지는 텐션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하여 바늘털이하는 과정에서 낚시바늘에서 고기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물고기의 바늘털이는 물고기와 낚싯대(100)에 사이의 줄이 팽팽한 텐션을 유지하고 있던 상태를 낚시줄에 걸려 있던 물고기가 갑자기 공중으로 부양하는 등의 갑작스런 이동으로 낚시줄을 순간적으로 느슨하게 만들면서 낚시바늘로 부터 물고기가 빠져버리는 것인데 물고기의 갑작스런 바늘털이시에도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탄성부(320)의 탄성에 의하여 순간적인 바늘털이에도 낚시줄에 텐션을 유지하도록하여 낚시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에는 걸림구(310)를 형성하는데 걸림구(310)는 연결부재(200)에 삽동되게 조립된 탄성부재(300)가 연결부재(200)로 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홀(211)에서 빠지지 않고 연결부재(200)의 공간부(240)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크기로 만든다.
또 탄성부(320)와 결림구(310) 사이에는 원형의 연결부(340)를 형성하여 연결부(340)가 삽입홀(211)에 위치하여 원줄인 낚시줄에 회전력이 생길시에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형상의 연결구(330)는 상기 탄성부(320)의 타단에 형성하고 “○”형상의 통공(350)이 구비하여 상기 “○”형상의 통공(350)에 원줄(400)을 묶어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형상의 연결구(330)의 “○”형상의 통공(350)에는 낚시줄을 구성하는 원줄(400)의 일단을 끼워 묶어 낚싯대에 낚싯줄을 연결하는 것으로 초보자도 용이하게 원줄(400)을 낚싯대(100)에 연결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결부재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은 걸림구(610)를 만들고 타단에는 “○”형상의 통공(650)을 갖는 연결부(640)를 형성하는데 연결부(640)에 만든 “○”형상의 통공(650)은 중심선으로부터 30 ° - 60 °의 경사각(α)을 갖도록 한다.
상기 “○”형상의 통공(650)을 탄성부재의 중심선상에 만드는 것이 아니라 중심선으로부터 경사각을 갖게 만드는 것은 원줄(400)을 연결부(640)에 묶에 연결하였을시에 “○”형상의 통공(650)이 형성된 부분이 항상 원줄(400)이 있는 위치하는 하방에 위치하도하여 항상 낚시줄에 어느 정도의 텐션이 유지하여 찌의 움직에 대하여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형상의 통공(650)을 형성하는 경사각(α)을 30 °이하로 만드는 경우에는 텐션을 부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60 °이상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물고기가 잡혀 낚싯줄을 당길시에 낚시대와 낚시줄이 너무 팽팽한 텐선을 갖게 되는 경우가 있어 30 ° - 60 °의 경사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낚싯대 110 : 초릿대
200 : 연결부재 210 : 막힘부
211 : 삽입홀 220 : 절곡부
230 : 삽입부 240 : 공간부
300 : 탄성부재 310 : 걸림구
320 : 탄성부 330 : “○”형상의 연결구
340 : 연결부 350 : “○”형상의 통공
400 : 원줄 500 : 도래
640 : 연결부 650 : “○”형상의 통공

Claims (2)

  1. 낚싯대의 초릿대(110)에 원줄(400)을 연결 사용하는 낚싯대에 있어서, 일단은 초릿대(110)의 끝단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30)를 만들고 타단은 탄성부재(300)가 삽입되어 회전되게 삽입홀(211)을 구비하는 막힘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230)와 막힘부(210)의 사이에는 안으로 절곡된 절곡부(220)를 형성한 원통형의 연결부재(200)와; 와이어로 중앙부는 스프링으로 만든 탄성부(320)을 만들고 상기 탄성부(320)의 일단은 막힘부(210)의 삽입홀(211)에 걸리는 걸림구(310)를 형성하고 타단은 원줄(400)을 묶는 “○”형상의 통공(350)을 구비하는 탄성부재(300)로 된 도래(500)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220)를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200)에 형성한 공간부는 공간부(240)의 지름은 탄성부재(300)의 걸림구(31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일단은 걸림구(610)를 만들고 타단에는 “○”형상의 통공(650)을 갖는 연결부(640)를 형성하는데 연결부(640)에 만든 “○”형상의 통공(650)은 중앙선에서 30 °- 60 °의 경사각(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2020160002507U 2016-05-10 2016-05-10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200480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07U KR200480871Y1 (ko) 2016-05-10 2016-05-10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07U KR200480871Y1 (ko) 2016-05-10 2016-05-10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715U Division KR20160001434U (ko) 2014-10-23 2014-10-23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82U KR20160001682U (ko) 2016-05-18
KR200480871Y1 true KR200480871Y1 (ko) 2016-07-14

Family

ID=5609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507U KR200480871Y1 (ko) 2016-05-10 2016-05-10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72B1 (ko) * 2019-06-26 2021-04-30 김재일 낚시용 원줄 텐션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60B1 (ko) 2012-10-05 2013-07-05 주재선 돌틈용 낚시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566U (ja) * 1983-05-09 1984-11-17 長野 鶴男 釣糸と穂先の結合構造
JPS61100979U (ko) * 1984-12-08 1986-06-27
JPH0520558U (ja) * 1991-08-29 1993-03-19 諭 中村 釣り竿の穂先ロツド構造
KR100212191B1 (ko) 1996-12-04 1999-08-02 서평원 전전자교환기 내 광데이타 링크의 이중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60B1 (ko) 2012-10-05 2013-07-05 주재선 돌틈용 낚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82U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1007A (en) Fishing lure device
AU624922B2 (en) Tandem double offset fishhook
US4914852A (en) Tandem double offset fishhook
KR200480871Y1 (ko)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US20090113785A1 (en) Fish hook
US4333614A (en) Whip finish knot tying aid
US20150096219A1 (en) Fishing lure, hook appurtenance for fishing lure, and method of casting
KR20160001434U (ko) 회동되는 탄성도래를 구비한 낚싯대
KR102163092B1 (ko) 훌치기 낚시채비용 낚싯줄 엉킴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훌치기 낚시채비
JP6615400B1 (ja) イカ釣り用ヤエン
KR200483404Y1 (ko) 쇼크 리더 도래
JP2545201B2 (ja) 植物の添木
JP3156613U (ja) 枝ハリス止め具
KR100872688B1 (ko) 바다 낚시용 채비
KR200212191Y1 (ko) 원줄 엉킴 방지용 도래가 부착된 낚시대
JP6340607B2 (ja) ハギ釣り仕掛け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US1046302A (en) Hook.
JP2525676Y2 (ja) 鮎の友釣り用ハリハリス
JP2545341B2 (ja) 鮎釣り用掛針及びその連結具
JPH0331183Y2 (ko)
KR200244955Y1 (ko) 낚시채비의 이중걸림
JP4730959B2 (ja) 釣り用仕掛け
JP3097838U (ja) 輪で支持する枝ス仕掛け
JP3708491B2 (ja) 糸付き釣り針
KR200166794Y1 (ko) 오징어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