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028Y1 -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 Google Patents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028Y1
KR200227028Y1 KR2020000032953U KR20000032953U KR200227028Y1 KR 200227028 Y1 KR200227028 Y1 KR 200227028Y1 KR 2020000032953 U KR2020000032953 U KR 2020000032953U KR 20000032953 U KR20000032953 U KR 20000032953U KR 200227028 Y1 KR200227028 Y1 KR 200227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hook
inlet
fish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덕
Original Assignee
이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덕 filed Critical 이창덕
Priority to KR2020000032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02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낚싯줄 연결구(1)는, 상기 초리대(2)의 말단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3)의 겹고리(4)를 걸어 끼워 넣는 걸고리(21)가 형성된 회동걸고리(20)를 포함한다. 상기 걸고리(21)는 상기 낚싯줄(3)의 겹고리(4)가 걸리는 고리부(22), 외력이 가해질 때에만 상기 낚싯줄(3)의 겹고리(4)가 상기 고리부(22)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입구(23), 및 상기 낚싯줄(3)의 상기 겹고리(4)를 상기 입구(23)로 유도하는 가이드부(24)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홀(12)과 상기 회동걸고리(20)에 형성된 볼(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회동걸고리(20)의 제자리 회동 가능한 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22)의 상기 입구(23)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입구(23)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걸림턱(26)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Fishing Line Connector of Fishing Rod}
(기술분야)
본 고안은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줄의 결속이 용이하고 낚싯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싯대 초리대의 낚싯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통상적인 민물 낚싯대에 있어서 낚싯줄은 초리대라고도 부르는 가장 직경이 작은 마지막 대(이하 '초리대'라 함)에 연결된다.
초리대에 낚싯줄을 연결하는 기존의 낚싯줄 연결구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의 하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리대(100)의 말단에 접합한 고강도 섬유로 된 끈(110)이며, 이 끈(110)에 낚싯줄(120)의 말단을 소위 겹고리 매듭이라고 하는 매듭으로 결속한다.
겹고리 매듭은, 낚싯줄(120)의 말단에 팔자묶음으로 폐쇄환을 만들어 이를 이중으로 중첩시킨 겹고리(130)를 형성한 다음, 상기 끈(110)의 말단에 매듭을 짓거나 또는 매듭을 짓지 않은 상태에서 끈(110)을 상기 겹고리(130) 속으로 두 바퀴 꿰어 넣은 후에, 낚싯줄(120)을 당겨 겹고리(130)의 직경을 최소한까지 수축시킴으로써 겹고리(130)에 끈(110)이 두 바퀴 감긴 채로 결속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끈(110)을 이용한 낚싯줄 결속은 낚싯줄(120)이 끈(110)으로부터 풀릴 염려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낚싯줄(120)을 결속할 때 직경이 작은 겹고리(130) 안으로 끈(110)을 두 바퀴 꿰어 넣는 섬세한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됨으로, 낚시 도중에 새로운 낚싯줄을 결속하여야 하는 경우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다.
또한, 종래의 끈(110)은 초리대(100)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 과정에서 낚싯줄(120)의 꼬임으로 인하여 낚싯줄(120)이 엉키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비록 끈(110)이 고강도 섬유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피로하여 초리대(100)에서 떨어져 나가는 경우도 간혹 발생하기 때문에, 낚시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낚싯줄 연결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싯줄의 결속이 매우 용이하고 낚싯줄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낚싯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낚싯줄 연결구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낚싯줄 연결구의 개략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낚싯줄 연결구의 사용상태도,
도5는 종래의 낚싯줄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낚싯줄 연결구 2: 초리대
3: 낚싯줄 4: 겹고리
10: 본체 11: 초리대 삽입구
12: 홀 20: 회동걸고리
21: 걸고리 22: 고리부
23: 입구 24: 가이드부
25: 볼 26: 걸림턱
본 고안에 따라, 낚싯대의 초리대 말단에 장착되어 낚싯줄을 연결하는 낚싯줄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낚싯줄 연결구는, 상기 초리대의 말단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의 겹고리를 걸어 끼워 넣는 걸고리가 형성된 회동걸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걸고리는 상기 낚싯줄의 겹고리가 걸리는 고리부, 외력이 가해질 때에만 상기 낚싯줄의 겹고리가 상기 고리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입구 및 상기 낚싯줄의 상기 겹고리를 상기 입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와 회동걸고리의 제자리 회동 가능한 연결구조로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회동걸고리에 형성된 볼의 결합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상기 고리부의 상기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걸림턱을 추가로 형성하여 낚싯줄의 이탈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 연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 연결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낚싯줄 연결구의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낚싯줄 연결구의 개략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낚싯줄 연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 연결구(1)는, 낚싯대의 초리대(2) 말단에 장착되어 낚싯대에 낚싯줄(3)을 연결하는 것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회동걸고리(2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초리대(2)의 말단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부분이며, 그 일단에는 초리대(2)의 말단이 삽입되는 초리대 삽입구(11)가 깊숙하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회동걸고리(20)가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와 초리대(2)의 부착은, 나사결합과 같은 기계적인 결합도 가능하지만 접착제에 의한 접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접착제를 도포한 초리대(2)의 말단을 초리대 삽입구(11)에 삽입하여 경화시키면 본체(10)를 초리대(2)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회동걸고리(20)는 상기 본체(10)에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낚싯줄(3)의 겹고리(4)를 끼워 걸 수 있는 걸고리(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고리(21)는, 고리부(22), 입구(23) 및 가이드부(24)가 일체로 형성된 고리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리부(22)는 낚싯줄(3)의 겹고리(4)가 걸리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은 물론 낚싯줄(3)의 겹고리(4)가 걸릴 수 있는 여러 형상(삼각, 사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입구(23)는 낚싯줄(3)의 겹고리(4)가 고리부(2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방되는 부분으로서, 고리부(22)의 말단을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형성한 것이므로 외력을 가해 입구(23)를 강제로 벌릴 경우에만 낚싯줄(3)의 겹고리(4)가 고리부(22) 안으로 유입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도1과 도2는 고리부(22)의 말단을 마주보게 탄성적으로 접촉시켜 입구(23)를 형성한 예이고, 도3은 고리부(22)의 말단을 엇갈리게 위치시켜 탄성적으로 측면에서 접촉시켜 입구(23)를 형성한 예이다.
가이드부(24)는 낚싯줄(3)의 상기 겹고리(4)를 상기 입구(23)로 유도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겹고리(4)를 고리부(22)에 걸도록 도와주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4)는 고리부(22)의 말단을 입구(23)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되 입구(23)가 확대되도록 연장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와 회동걸고리(20)의 제자리 회동 가능한 연결은, 예를 들어 본체(10)의 타단에 형성한 홀(12)과 회동걸고리(20)에 형성한 볼(25)의 결합(볼-소켓 결합과 같은 결합)으로 가능하다. 즉, 홀(12)의 체적을 볼(25)의 체적보다 크게 하여 회동걸고리(20)가 제자리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함께 홀(12)의 입구를 볼(25)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회동걸고리(20)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낚싯줄 연결구(1)가 장착된 초리대(2)에의 낚싯줄(3)의 결속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3)에 겹고리(4)를 형성하여 겹고리(4)를 걸고리(21)의 가이드부(24)에 접근시킨 후 겹고리(4)를 입구(23) 쪽으로 잡아당기고, 외력에 의해 입구(23)가 벌어지면서 겹고리(4)가 고리부(22) 안으로 들어가면 다시 낚싯줄(3)을 당겨 겹고리(4)의 직경을 수축시켜 고리부(22)에 결속되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일단 결속된 낚싯줄(3)은 걸고리(21)의 구조와 겹고리(4) 매듭의 특성으로 인하여 걸고리(2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고리부(22)의 입구(23)에 인접한 위치에 입구(23)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걸림턱(26)을 형성하면, 낚싯줄(3)의 결속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낚싯줄(3)이 예기치 않게 빠질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 연결구(1)의 재질로서는,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고 탄성이 있는 강철이나 구리합금과 같은 금속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 연결구(1)에 의하면, 종래의 끈(110)을 이용한 낚싯줄 결속방법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게 낚싯줄(3)을 낚싯대에 결속할 수 있음으로, 낚시 도중에 새로운 낚싯줄을 결속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 대해 회동걸고리(20)가 자유자제로 제자리 회동함으로 낚시 과정에서 낚싯줄(3)의 꼬임으로 인하여 낚싯줄(3)이 엉킬 염려가 없고, 종래와 같이 끈(110)이 절단되어 낚싯줄(3)이 낚싯대에서 이탈되어 버리는 현상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낚싯대의 초리대 말단에 장착되어 낚싯줄을 연결하는 낚싯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초리대(2)의 말단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3)의 겹고리(4)를 걸어 끼워 넣는 걸고리(21)가 형성된 회동걸고리(20)를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21)는 상기 낚싯줄(3)의 겹고리(4)가 걸리는 고리부(22), 외력이 가해질 때에만 상기 낚싯줄(3)의 겹고리(4)가 상기 고리부(22)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있는 입구(23), 및 상기 낚싯줄(3)의 상기 겹고리(4)를 상기 입구(23)로 유도하는 가이드부(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홀(12)과 상기 회동걸고리(20)에 형성된 볼(25)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회동걸고리(20)의 제자리 회동 가능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22)의 상기 입구(23)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입구(23)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연결구.
KR2020000032953U 2000-11-24 2000-11-24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KR200227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53U KR200227028Y1 (ko) 2000-11-24 2000-11-24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953U KR200227028Y1 (ko) 2000-11-24 2000-11-24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028Y1 true KR200227028Y1 (ko) 2001-06-15

Family

ID=7309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953U KR200227028Y1 (ko) 2000-11-24 2000-11-24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0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60B1 (ko) * 2012-10-05 2013-07-05 주재선 돌틈용 낚시대
WO2014054924A2 (ko) * 2012-10-05 2014-04-10 Ju Jae-Seon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60B1 (ko) * 2012-10-05 2013-07-05 주재선 돌틈용 낚시대
WO2014054924A2 (ko) * 2012-10-05 2014-04-10 Ju Jae-Seon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WO2014054924A3 (ko) * 2012-10-05 2014-05-30 Ju Jae-Seon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294B2 (en) Flex accommodating cable terminations
CA2502588A1 (en) Locking swivel apparatus
KR200227028Y1 (ko) 낚싯대의 낚싯줄 연결구
US20090199344A1 (en) Fishing tool for crimping ferrules
JP2011004726A (ja) 釣糸の編込み結合具
JP2007191802A (ja) 繊維ロープ端末固定具
US6185858B1 (en) Leader attachment tool and method
US2981029A (en) Connecting device
CN109534145B (zh) 建材吊拉线
CN210901731U (zh) 一种用于连接伞骨和伞面的连接件及使用该连接件的伞具
JP2001516220A (ja) フィラメントコネクタ
WO2001089294A1 (en) An angling device
JP2012019741A (ja) 釣用サルカンおよびサルカン用カバー
KR200212191Y1 (ko) 원줄 엉킴 방지용 도래가 부착된 낚시대
KR102106094B1 (ko) 복수개의 무어링 로프가닥을 연결하여 하나의 무어링 로프를 형성하는 방법
KR20160002017U (ko) 어업용 로프 결속구
KR200323879Y1 (ko) 핸드폰용 손잡이 끈의 체결구 고정장치.
JP2002204628A (ja) リード補助具
CN2845443Y (zh) 一种钓鱼主线和脑线的连接器
JPH1156191A (ja) 水汲み用バケツ
KR900006551B1 (ko) 주낚시용 도레
JP3532532B2 (ja) 釣り糸用結束部材及び釣り用仕掛け
JP3075492U (ja) 釣り針穴への釣り糸通し機能付連結器
KR200321953Y1 (ko) 낚시의 지선연결구
TWM629185U (zh) 鎖豆束線固定拉拔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