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285Y1 -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 Google Patents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285Y1
KR200379285Y1 KR20-2004-0037072U KR20040037072U KR200379285Y1 KR 200379285 Y1 KR200379285 Y1 KR 200379285Y1 KR 20040037072 U KR20040037072 U KR 20040037072U KR 200379285 Y1 KR200379285 Y1 KR 200379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support
fishing rod
winding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윤
Original Assignee
서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윤 filed Critical 서정윤
Priority to KR20-2004-0037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짧은 길이에 의해 휴대가 간편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낚지줄을 낚시대에 직접 권취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선단에서 끝단으로 점차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쿠션력을 갖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의 중간에 일정 폭으로 한쌍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낚시줄 권취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으로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all in one type fishing rod}
본 고안은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짧은 길이에 의해 휴대가 간편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낚지줄을 낚시대에 직접 권취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대는 대부분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필요로 하는 길이 알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민물이나 바다에서 행하여 지는 낚시에 따라 약간씩의 구비되는 장비가 다른다.
또한, 수심이 약 5m 이내의 낮은 곳에서 행하여 지는 낚시대 또한 여러 칸의 낚시대로 구비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낚시줄을 권취하는 닐뭉치와 같은 권취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낚시대에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그에 따라 낚시를 하기 위해 구비되는 여러 장비로 인하여 사용 상에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점이 초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비용 또한 상당히 상승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동절기에 행하여 지는 얼음낚시의 경우에는 상기한 여러 칸으로 나뉘어진 낚시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얼음낚시의 특성상 통상의 견지 낚시대를 사용하여 낚시를 행하였으나, 이는 그 사용 용도가 일반적인 민물 낚시대의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대부분의 낚시대는 여러 칸으로 나뉘어진 특성상 낚시대를 펼친 상태에서는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히, 권취수단이 구비된 낚시대에 있어서는 그 구비된 권취수단에 의해 더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교적 수심이 낮은 곳에서 낚시를 하고자 할 때 짧은 길이에 의해 휴대가 간편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낚지줄을 낚시대에 직접 권취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낚시줄이 권취된 상태에서는 풀림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선단에서 끝단으로 점차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쿠션력을 갖는 손잡이와; 상기 지지대의 중간에 일정 폭으로 한쌍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낚시줄 권취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으로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낚시줄 권취부는 그 지지대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구와, 그 삽입구의 하측으로 절곡된 걸고리가 형성되는 각각의 권취구로 구성되되, 상기 권취구의 걸고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고리의 끝단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구는 하나의 탄성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수심이 낮은 장소나 특히, 동절기에 얼음낚시에도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간단하고 제조원가 또한 저렴한 낚시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접었다 폈다 하는 것이 아니라 짧은 길이를 갖는 약 60㎝ 내외의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선단에서 끝단으로 점차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끝단에 사용자가 파지시 밀착력이 뛰어남과 아울러 동절기에 얼음낚시에도 사용자의 손이 시려운 것을 방지함과 물론 상기 지지대의 끝단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뒤틀림이나 지지대로부터 이탈됨 없이 결합되는 통상의 발포성 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쿠션력을 갖는 손잡이(20)와;
상기 지지대(10)의 중간에 낚시줄을 필요로 하는 길이 만큼 풀어서 사용하고 나머지 낚시줄은 권취시켜 놓을 수 있도록 일정 폭으로 한쌍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낚시줄 권취부(30)와;
상기 지지대(10)의 선단으로 낚시줄의 쓸림방지는 물론 어신감지가 용이하도록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링(40)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미설명 부호 50은 상기 권취부와 가이드링 사이에서 낚시줄이 조이거나 동절기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지대로 엉겨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가이드이다.
상기 낚시줄 권취부(30)는 그 지지대(10)로 삽입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삽입홀(32a)이 형성된 삽입구(32)와, 그 삽입구(32)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낚시줄이 권취되어 지는 걸고리(34)가 형성되는 각각의 권취구(35)로 구성되되, 상기 권취구(35)의 걸고리(3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고리(34)의 끝단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그 걸고리로 낚시줄이 권취된 후에는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구(35)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하나의 탄성 와이어를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감아서 형성하므로서, 상기 지지대로 삽입하여 고정시 그 자체 탄성력에 의해 삽입구가 지지대로 긴밀한 밀착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을 조건과 함께 걸고리 또한 권취되는 낚시줄을 탄성력에 의한 팽팽하게 지지시켜 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먼저, 상기 지지대(10)의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링(40)과 지지가이드(50)를 통과시킨 낚시줄의 끝단을 권취부(30)인 일측 권취구(35)의 걸고리(34)에 고정한 후 필요로 하는 길이 만큼 권취구의 걸고리에 낚시줄을 권취시킨다. 이때, 상기 각 권취구의 걸고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끝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그에 권취된 낚시줄이 풀리지 않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낚시줄의 선단에는 필요로 하는 용도의 봉돌이나 찌, 낚시바늘 등을 체결한 후, 상기 권취구(35)의 걸고리(34)로 권취된 낚시줄을 수심의 깊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풀어 손잡이(20)를 잡고 낚시를 행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낚시대는 종래의 권취수단이 구비되는 낚시대와 같은 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길이가 하나의 일체로된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낚시대 자체에 간단한 구조로 낚시줄을 권취할 수 있는 권취부를 구비하므로서, 비교적 수심이 낮는 장소나 동절기시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은 물론 보관 및 특히 휴대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권취부의 권취구를 탄성 와이어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권취부(30)를 구성하는 권취구(35)의 지지대로 삽입되는 삽입구(32)를 관형태로 형성하고, 그에 형성되는 걸고리(34)를 상기 관형태의 삽입구에 와이어를 2겹으로 겹쳐지도록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한 지지가이드(40)도 공지의 닐 낚시대에 사용되는 가이드링 형태로 형성한다.
그에 따라 낚시줄이 권취되는 상기 권취부가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대의 외관도 미려한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짧은 길이을 갖는 하나의 일체로 형성되는 낚시대에 낚시줄을 권취시켜 놓을 수 있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낚시대를 제공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인한 제작이 간편하고 제조원가 또한 저럼하면서 비교적 수심이 낮은 장소나 동절기에도 휴대가 간편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권취구의 걸고리 끝단을 상향으로 절곡 형성함에 따라 권취된 낚시줄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20 : 손잡이
22 : 결합공
30 : 낚시줄 권취부
32 : 삽입구 32a : 삽입홀
34 : 걸고리 35 : 걸고리
40 : 가이드링
50 : 지지가이드

Claims (4)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선단에서 끝단으로 점차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쿠션력을 갖는 손잡이(20)와;
    상기 지지대의 중간에 일정 폭으로 한쌍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낚시줄 권취부(30)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으로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링(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권취부(30)는 그 지지대로 삽입되는 삽입홀(32a)이 형성된 삽입구(32)와, 그 삽입구의 하측으로 절곡된 걸고리(34)가 형성되는 각각의 권취구(35)로 구성되되, 상기 권취구(35)의 걸고리(3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34)의 끝단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35)는 하나의 탄성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KR20-2004-0037072U 2004-12-28 2004-12-28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KR200379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72U KR200379285Y1 (ko) 2004-12-28 2004-12-28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72U KR200379285Y1 (ko) 2004-12-28 2004-12-28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285Y1 true KR200379285Y1 (ko) 2005-03-18

Family

ID=4368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072U KR200379285Y1 (ko) 2004-12-28 2004-12-28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2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099B1 (ko) 2010-10-25 2012-08-13 엄기석 민물 및 계곡 낚시용 낚싯대
KR101209001B1 (ko) 2011-10-14 2012-12-11 엄기석 견지낚시 겸용 민물 및 계곡낚시용 낚싯대
KR101358979B1 (ko) 2012-08-20 2014-02-06 김동수 석축용 낚싯대
WO2014054924A2 (ko) * 2012-10-05 2014-04-10 Ju Jae-Seon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099B1 (ko) 2010-10-25 2012-08-13 엄기석 민물 및 계곡 낚시용 낚싯대
KR101209001B1 (ko) 2011-10-14 2012-12-11 엄기석 견지낚시 겸용 민물 및 계곡낚시용 낚싯대
KR101358979B1 (ko) 2012-08-20 2014-02-06 김동수 석축용 낚싯대
WO2014054924A2 (ko) * 2012-10-05 2014-04-10 Ju Jae-Seon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WO2014054924A3 (ko) * 2012-10-05 2014-05-30 Ju Jae-Seon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6739B2 (ja) 釣針保管用ケース構造
KR200265280Y1 (ko) 낚싯대용 손잡이
US4680886A (en) Leadered fishing lure holder with means for receiving leader and hooks
US20080244956A1 (en) Fishing rod including a hook receptacle
WO2013019490A1 (en) Apparatus to fish
US4016891A (en) Dental floss holder for detachable securement to toothbrush handle and the like for supporting a strip of floss in taut condition ready for use
KR200379285Y1 (ko) 얼음낚시용 일체형 낚시대
WO2015006816A1 (en) Fishing lure
US4873780A (en) Device for retaining a fish line against a tapered fishing rod
US6408564B1 (en) Fishing rod cover system
US6405474B1 (en) Floatation and fish hook setting device
US20040250462A1 (en) Cover for fishing lure on fishing rod
US20040074136A1 (en) Fish-hook holder
US2659544A (en) Attachable reel for fishing rods
US6347478B1 (en) Fishing device
US3029545A (en) Trotline and holder therefor
US6263608B1 (en) Fishing rod anchor
KR200354257Y1 (ko) 낚시채비 휴대구
JP3156613U (ja) 枝ハリス止め具
KR200171024Y1 (ko) 개량 줄낚시
KR200468466Y1 (ko) 낚시대용 줄감개
KR200212205Y1 (ko) 물고기 꿰미
KR200283246Y1 (ko) 낚시 줄 보관 케이스
KR200166842Y1 (ko) 낚시대끝보기장치
KR200309234Y1 (ko) 낚시대 줄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