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7756A1 -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7756A1
WO2014017756A1 PCT/KR2013/005927 KR2013005927W WO2014017756A1 WO 2014017756 A1 WO2014017756 A1 WO 2014017756A1 KR 2013005927 W KR2013005927 W KR 2013005927W WO 2014017756 A1 WO2014017756 A1 WO 20140177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rd capsule
aqueous composition
water
weight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59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진열
이상엽
전정희
방성환
신주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802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329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319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621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주)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주)
Priority to EP13823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75808B1/en
Priority to IN427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0427A/en
Priority to JP2015524168A priority patent/JP6227646B2/ja
Priority to CN201380039127.8A priority patent/CN104487058A/zh
Priority to CA2879723A priority patent/CA2879723C/en
Priority to US14/415,006 priority patent/US11312878B2/en
Publication of WO20140177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77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09D10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08J11/0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using selective solvents for polymer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or C09D10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or C09D103/00
    • C09D105/06Pecti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26Cellulose et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이 개시된다. 개시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알코올류 및 물을 포함한다. 또한, 개시된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상기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및 상기 경질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경질 캡슐은 소나 돼지에서 유래된 젤라틴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왔다. 젤라틴 경질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은 이를 고온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을 때 젤라틴과 동일한 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경질 캡슐로 재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젤라틴을 사용하여 경질 캡슐을 제조하게 되면 캡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대부분의 캡슐 업체들은 아직까지 젤라틴 경질 캡슐의 제조를 선호하고 있다.
젤라틴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은 젤라틴을 고온(예를 들어, 60℃)의 물에 직접 용해시킬 수 있어서 수성 조성물의 제조시간이 짧고, 수성 조성물에 몰드 핀을 침지한 후 꺼내어 상기 몰드 핀에 도포된 수성 조성물을 건조할 경우 건조시간이 짧으며, 탄성, 광택성 및 붕해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경질 캡슐의 생산 수율 역시 매우 높다. 그러나, 최근 젤라틴의 사용이 광우병 등의 문제로 인해 제한을 받고 있어서,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는 식물성 소재인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사용하여 제조된 캡슐이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상온(25℃)의 물에 용해되기는 하지만, 물에 투입되는 즉시 대부분이 응집되어 응집체를 형성하므로 완전히 용해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응집이 일어나지 않도록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고온(예를 들어, 80℃ 이상)의 물에 투입한 후 잘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상기 분산액을 제1 온도(예를 들어, 40~50℃)로 방냉하여 상기 분산된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물에 용해시킨다. 이후, 상기 결과물을 제2 온도(예를 들어, 55~65℃)로 승온시킨 후 상기 결과물에 겔화제 및 선택적으로 겔화보조제를 첨가한다. 이때, 상기 결과물을 상기 제2 온도로 승온시키는 이유는 상기 겔화제 및 겔화보조제가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2 온도에서는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물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및 최종 경질 캡슐은 하기와 같은 단점을 갖게 된다:
(1) 수성 조성물은 위치에 따라 점도가 균일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장기간 보관할 경우 층분리가 일어난다.
(2) 수성 조성물에서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 의 혼합도(degree of mixing)가 떨어져서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첨가량이 증가되어야 한다.
(3) 수성 조성물은 이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섬유)을 제거하기 위한 후속 여과공정에서 여과효율이 낮다.
(4) 여과공정을 거친 후에도 수성 조성물에 이물질이 잔류하여 캡슐화제 및/또는 캡슐보조제의 기능을 약화시키므로 캡슐 성형성이 떨어진다.
(5) 캡슐 성형공정에서 기재(예를 들어, 몰드 핀)에 도포된 수성 조성물 중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공정을 수행할 경우 건조속도가 느리다.
(6) 수성 조성물의 제조시간 및 건조시간이 길어 경질 캡슐의 생산 수율이 낮다.
(7) 수성 조성물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최종 제품인 경질 캡슐에 혼입되고, 이렇게 혼입된 이물질로 인해 경질 캡슐의 품질(탄성, 광택도, 붕해성 등)이 낮아지며, 경질 캡슐의 매 제조단위에 대해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다.
또한,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사용하여 경질 캡슐을 제조할 경우,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은 물에 용해될 경우 고점도의 용액을 형성하기 때문에 고농도로 용해되기 어려우며, 상기 고점도의 용액은 겔 특성을 갖지도 않기 때문에 경질 캡슐로 재활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알코올류; 및
물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중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량비는 10~25중량%이고, 상기 알코올류의 함량비는 5~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EMC), 메틸셀룰로오스(MC)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05~5.0중량%의 함량비를 갖는 겔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수용성 검류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검류는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잔탄검(Xanthan gum), 펙틴(Pectin)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함량비를 갖는 겔화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보조제는 염화칼륨, 초산칼륨, 염화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물, 알코올류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며, 대기온도 보다 높은 제1 온도로 유지되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온도는 40~70℃일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과물에 겔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의 숙성단계는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90 ~ 95중량부, 겔화제 0.05 ~ 5.0중량부, 겔화보조제 0 ~ 1.0중량부 및 수분 1.0 ~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의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과 함께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에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10 ~ 25중량%, 및 상기 알코올류 5~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05 ~ 5.0중량%의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겔화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알코올류를 포함함으로써 저온(예를 들어, 0~40℃)뿐만 아니라 고온(예를 들어, 40~70℃)의 물에서도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직접적인 용해가 가능하여 수성 조성물의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캡슐 성형시 건조공정에서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최종 제품인 경질 캡슐의 생산 수율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혼합도가 개선되어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소량 첨가로도 고품질의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에 따르면, 경질 캡슐의 제조비용과 경질 캡슐 스크랩의 폐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5 및 비교예 2-4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건조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이하, 「제1 조성물」이라고 함)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알코올류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상기 제1 조성물의 주성분이다. 이러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식물성 소재인 셀룰로오스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잇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셀룰로오스의 히드록시기를 에테르화제를 사용하여 에테르화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의미한다.
 상기 제1 조성물 중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량비는 10~2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점도가 적당해서 기포 제거가 용이하며 적당한 두께의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EMC), 메틸셀룰로오스(MC)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상기 수용성 에테르가 상기 제1 조성물내에서 액화(즉, 용해)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저온(20~30℃)의 물에 투입될 경우 물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용해되지만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응집되어 덩어리를 형성하며, 고온(40~70℃)의 물에 투입될 경우에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더라도 잘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알코올류는 물과 혼합되어 알코올 수용액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저온(20~30℃)의 알코올 수용액에서뿐만 아니라 고온(40~70℃)의 알코올 수용액에서도 잘 용해된다.
상기 알코올류의 함량비는 5~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용해성이 높아지고 캡슐 제조시 알코올류의 증발속도가 적당해져서 주름이 없이 매끈한 캡슐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0.05~5.0중량%의 함량비를 갖는 겔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제1 조성물의 점도가 적당히 증가하여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경질 캡슐의 파단신율이 높아지고 취성(brittleness)은 낮아진다.
상기 겔화제는 수용성 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검류는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잔탄검(Xanthan gum), 펙틴(Pectin)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함량비를 갖는 겔화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보조제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겔화제의 겔화능력을 향상시켜 캡슐 성형성이 우수한 제1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헤이즈의 발생이 없는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겔화보조제는 염화칼륨, 초산칼륨, 염화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0.05~5.0중량%의 함량비를 갖는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파단신율이 높은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캡슐 성형온도(40~70℃)로 가열될 경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완전 용해가 이루어져 하기와 같은 잇점을 갖는다: 첫째, 제조시간이 단축된다. 둘째, 균질도가 높고 점도가 균일하며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셋째, 매 제조단위에 대해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넷째, 겔화제 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기능을 억제하는 미용해물(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에테르)이 존재하지 않아 캡슐 성형성이 높다. 다섯째,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혼합도가 높아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첨가량이 감소한다. 여섯째, 상기 제1 조성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후속 여과공정에서 여과효율이 높다. 일곱째, 캡슐 성형공정에서 기재(예를 들어, 몰드 핀)에 도포된 수성 조성물 중의 용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공정을 수행할 경우 건조속도가 빠르다. 여덟째, 상기 제1 조성물의 제조시간 및 건조시간이 짧아 경질 캡슐의 생산 수율이 높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1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 캡슐은 고온(40~70℃)으로 가열된 상기 제1 조성물에 상온(20~30℃)의 몰드 핀을 침지한 후, 상기 몰드 핀을 상기 제1 조성물로부터 꺼내어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이를 ‘cold pin process’라고 함).
상기 경질 캡슐은 상기 제1 조성물이 섬유와 같은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높은 품질(탄성, 광택도, 붕해성 등)을 가지며, 매 제조단위에 대해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경질 캡슐은 위용성(gastric juice soluble)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물, 알코올류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며, 대기온도(0~39℃) 보다 높은 제1 온도(40~70℃)로 유지되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물과 알코올류를 혼합하여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알코올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S2), 상기 가열된 알코올 수용액에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용해시켜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숙성시키는 단계(S4) 및 상기 결과물에 겔화제를 첨가하는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의 가열은 상온(20~30℃)으로부터 40~70℃의 온도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S2)는 단계(S3)에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알코올 수용액에 잘 분산되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 잘 용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온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후술하는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가 굳지 않으면서도 높은 캡슐 성형성을 가지며, 불필요한 가열에 따르는 에너지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제1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S3)는 교반(예를 들어, 300rpm)하에 상기 가열된 알코올 수용액에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천천히(예를 들어, 1~2시간 동안) 투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계들(S1~S3) 대신에 물(또는 알코올류)에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용해시켜 제1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에 알코올류(또는 물)를 첨가하여 제2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i) 제1 및 제2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리 가열된 물 및/또는 알코올류를 사용하거나, (ii) 상온(약 25℃)의 물(또는 알코올류)에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용해시켜 제1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1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가열한 다음, 상기 제1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에 상온의 알코올류(또는 물)를 첨가하여 제2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의 숙성단계(S4)는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4)의 수행시간(즉, 숙성시간)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결과물로부터 기포가 충분히 제거되고 그의 조성이 균일해진다.
상기 단계(S4)에서는 상기 결과물에 겔화제 외에 겔화보조제 및/또는 가소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S1~S5) 중 적어도 한 단계는 교반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 이후에 상기 제1 조성물로부터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5)는 교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겔화제, 겔화보조제 및 가소제의 기능, 종류 및 함량비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이를 “알코올 수용액”이라고도 함)에 용해시켜 재생(recycled)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이하, 「제2 조성물」이라고 함)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질 캡슐 스크랩”이란 경질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폐기된 물질(즉, 절단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경질 캡슐과 동일한 재질의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1차적으로 성형된 경질 캡슐은 2차적으로 다듬어져(즉, 경질 캡슐의 불필요한 부분들이 절단되어) 목표 형상을 갖는 경질 캡슐로 완성되는데, 상기 절단된 부분들을 경질 캡슐 스크랩이라고 한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상기 알코올류의 종류 및 기능은 각각 전술한 제1 조성물에 포함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알코올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90 ~ 95중량부, 겔화제 0.05 ~ 5.0중량부, 겔화보조제 0 ~ 1.0중량부 및 수분 1.0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 및 상기 겔화보조제의 종류 및 기능은 각각 전술한 제1 조성물에 포함된 겔화제 및 겔화보조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의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과 함께 알코올 수용액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을 알코올 수용액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에,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알코올 수용액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을 알코올 수용액에 용해시켜 2 이상의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2 이상의 용액들을 서로 비율에 맞게 혼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역시 상온(20~30℃) 및 고온(40~70℃)의 알코올 수용액에 잘 용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과 알코올류를 혼합하여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알코올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S20), 및 상기 가열된 알코올 수용액에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선택적인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용해시켜 셀룰로오스 에테르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술한 상기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두가지 방법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별도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아닌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을 원료로 사용하고, 상기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보조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단계(S30)에서 제조된 셀룰로오스 에테르 함유 용액을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S40)(이를 “숙성단계”라고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단계(S40)에는 겔화제 및 겔화보조제가 첨가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겔화제 및 겔화보조제가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숙성단계(S40) 이후에, 상기 숙성단계(S40)의 결과물에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추가 겔화제 및 선택적인 추가 겔화보조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겔화제 및 겔화보조제와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포함된 모든 서브단계들 중 적어도 한 단계에는 상기 추가 겔화제 및/또는 상기 추가 겔화보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제1 조성물에 포함된 가소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포함된 모든 서브단계들 중 적어도 한 단계에는 추가 가소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가 가소제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가소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조성물의 구성 성분들의 종류와 각 구성성분의 함량, 및 상기 제2 조성물의 제조상의 장점과 물성의 장점은 전술한 상기 제1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제2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 및 건조 단계는 상기 제1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여 경질 캡슐을 제조방법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1~1-4 및 비교예 1-1: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고온 용해성 평가
에탄올과 물(정제수)을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에탄올 수용액을 하기 표 1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삼성정밀화학, AW4)를 하기 표 1의 비율로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 완료 후 4시간 경과 후에 결과물의 성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와 같이 4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물의 성상 평가방법)
◎: HPMC가 매우 빨리 용해되며, 결과물의 성상이 맑고 투명함.
○: HPMC가 비교적 빨리 용해되며, 결과물의 성상이 맑고 투명함.
△: HPMC가 약간 늦게 용해되며, 결과물의 성상이 약간 희뿌옇게 보임.
×: HPMC가 용해되지 않으며, 결과물의 성상이 매우 희뿌옇게 보임.
표 1
함량비(중량%) 에탄올 수용액의 온도(℃) 성상
에탄올 HPMC
실시예 1-1 60 20 20 60
실시예 1-2 65 15 20 60
실시예 1-3 70 10 20 60
실시예 1-4 75 5 20 60
비교예 1-1 80 0 20 6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1~1-4에서 제조된 결과물은 HPMC가 잘 용해되어 있고 성상 및 점성이 양호한 반면에, 비교예 1~1에서 제조된 결과물은 HPMC가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며 성상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1~2-5: 수성 조성물의 겔화도 및 건조속도 평가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결과물에 겔화제인 K-카라기난(한국 카라겐, HG404) 및 겔화보조제인 염화칼륨을 하기 표 2의 비율로 첨가하여 수성 조성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각 수성 조성물의 겔화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5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의 건조속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겔화도 평가방법)
상기 각 수성 조성물을 2ml 용량의 주사기로 샘플링한 후, 수직으로 세워진 유리판에 일시에 분사하였다. 상기 분사 후 상기 유리판을 따라 흐르는 상기 각 수성 조성물의 흐름이 멈추었을 때, 상기 각 수성 조성물이 상기 유리판을 따라 흘러 내린 길이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상기 길이가 짧을수록 겔화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건조속도 평가방법)
상기 실시예 2-5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에 몰드 핀을 침지하였다. 이후 상기 몰드 핀을 상기 수성 조성물로부터 꺼내어 25℃ 및 55% RH(상대습도) 조건하에 방치한 상태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몰드 핀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후, 상기 몰드 핀의 무게 변화로부터 상기 수성 조성물의 건조율을 계산하였다. 여기서, 시간 경과에 따른 건조율 변화가 클수록 건조속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시간 경과에 따른 몰드 핀의 무게 변화 및 건조율 변화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수성 조성물의 건조율 변화를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2-1~2-3: 수성 조성물의 겔화도 및 건조속도 평가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결과물 대신에 비교예 1-1에서 제조된 결과물을 사용하고 K-카라기난 및 선택적인 염화칼륨의 사용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2-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수성 조성물의 겔화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5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 대신에 비교예 2-4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성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건조율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상기 수성 조성물의 건조율 변화를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표 2
함량비(중량%) 겔화도(cm)
K-카라기난 염화칼륨
실시예 2-1 2.0 0.0 7.0
실시예 2-2 1.5 0.0 7.5
실시예 2-3 1.0 0.0 9.0
실시예 2-4 0.8 0.0 10.0
실시예 2-5 1.0 0.1 7.5
비교예 2-1 2.0 0.0 10.0
비교예 2-2 1.5 0.0 11.1
비교예 2-3 1.0 0.1 11.5
비교예 2-4 1.0 0.5 7.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2-1~2-5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은 비교예 2-1~2-3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에 비해 겔화제(K-카라기난) 및 겔화보조제(염화칼륨)의 함량비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겔화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 따라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비해 겔화제 및 겔화보조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성 조성물의 겔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겔화제와 겔화보조제의 적당한 함량비 및 혼합비율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4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은 겔화도는 높지만,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PMC가 미용해 상태로 존재하여 캡슐 성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품질이 낮은 경질 캡슐을 얻게 된다.
표 3
시간(min) 몰드 핀의 무게(g) 몰드 핀 + 수성 조성물의 무게(g) 수성 조성물의 무게(g) 건조율(중량%)
실시예 2-5 비교예 2-4 실시예 2-5 비교예 2-4 실시예 2-5 비교예 2-4 실시예 2-5 비교예 2-4
0 12.54 12.54 13.30 13.19 0.76 0.65 0.0 0.0
20 12.54 12.54 13.25 13.18 0.71 0.64 6.58 1.54
40 12.54 12.54 13.19 13.14 0.65 0.60 14.47 7.69
60 12.54 12.54 13.09 13.09 0.55 0.55 27.63 15.38
120 12.54 12.54 12.98 13.04 0.44 0.50 42.11 23.08
상기 표 3 및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2-5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은 비교예 2-4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에 비해 건조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1 및 비교예 3-1: 경질 캡슐의 용해도 및 헤이즈 평가
상기 실시예 2-5 및 비교예 2-4에서 제조된 수성 조성물(온도: 60℃)에 몰드 핀을 침지하였다. 이후, 상기 몰드 핀을 상기 수성 조성물로부터 꺼내어 25℃ 및 55% RH(상대습도) 조건하에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기 수성 조성물 중의 용매 성분을 건조시킴으로써 경질 캡슐을 얻었다. 이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각 경질 캡슐의 용해도 및 헤이즈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내었다.
(경질 캡슐의 용해속도 평가)
100ml의 삼각 플라스크에 물(정제수) 50ml를 넣은 후 상기 물의 온도를 37℃로 유지시켰다. 이후, 상기 각 경질 캡슐을 상기 삼각 플라스크내에 투입한 후 삼각 플라스크를 간헐적으로 흔들면서 상기 각 경질 캡슐의 용해 상태를 확인하였다. 상기 각 경질 캡슐을 삼각 플라스크에 투입한 시점부터 상기 각 경질 캡슐이 완전히 용해된 시점까지 경과한 시간(즉, 용해시간)을 기록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용해시간이 짧을수록 용해속도가 빠른 것을 의미한다.
표 4
실시예 3-1 비교예 3-1
용해시간 6분 15초 8분 26초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3-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은 비교예 3-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에 비해 용해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질 캡슐의 헤이즈 평가)
상기 각 경질 캡슐을 40ml 바이얼에 넣은 후, 상기 각 바이얼을 40℃ 및 75% RH(상대습도) 조건의 항온항습기에 투입하였다. 이후, 상기 각 경질 캡슐을 매주 육안으로 관찰하여 헤이즈 발생 정도를 하기와 같이 3단계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 변화없음(즉, 투명함).
○: 부분적으로 희뿌옇게 변함.
△: 전반적으로 희뿌옇게 변함.
표 5
경과시간 실시예 3-1 비교예 3-1
초기
1주
2주
3주
4주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3-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은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헤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비교예 3-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은 3주 경과후부터 헤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1~4-2 및 참고예 1-1: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제조
에탄올과 물(정제수)을 하기 표 6의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에탄올 수용액을 하기 표 6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삼성정밀화학, AW4)를 하기 표 6의 비율로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단, 실시예 4-2 및 참고예 1-1에서는, 1.5중량%의 K-카라기난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적당량의 K-카라기난(한국 카라겐, HG404)을 더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4-1~4-2 및 참고예 1-1에서, 공히, 20중량%의 HPMC 및 1.5중량%의 K-카라기난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각각 얻었다.
표 6
함량비(중량%) 에탄올 수용액의 온도(℃)
에탄올 경질 캡슐 스크랩*1 HPMC
실시예 4-1 70 10 20 0 60
실시예 4-2 70 10 10 10 60
참고예 1-1 70 10 0 20 60
*1: 경질 캡슐 스크랩: HPMC(삼성정밀화학의 AW4) 92중량, K-카라기난(한국 카라겐, HG404) 1.2중량%, KCl 0.08중량%, 글리세롤 1.72중량% 및 수분 5중량%를 함유.
평가예
실시예 4-1~4-2 및 참고예 1-1에서,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HPMC의 용해 완료 후 4시간 경과 후에 결과물(즉,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성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기 실시예 1-1~1-4 및 비교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4-1~4-2 및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겔의 강도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겔 강도 평가방법)
60℃로 유지되는 상기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상온(약 25℃)으로 냉각하여 겔화시켰다. 이후, Texture Analyser(Brookfield, CT3-4500, Probe No: TA10)를 사용하여 상기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겔의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필름의 물성 평가방법)
60℃로 유지되는 상기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필름 캐스터(삼성정밀화학 자체 제작)를 이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도포하였다. 이후,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이 도포된 유리기판을 상온(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100㎛ 두께의 필름을 얻었다. 이후, 상기 각 필름을 1cm*10cm 크기로 절단한 후 LLOYD Instrument testing machine(LRX plus, LLOYD Instrument, UK)을 이용하여 필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각 필름을 4cm*5cm의 크기로 절단한 후 Texture Analyzer (Brookfield, CT3-4500, Probe No. TA-39)를 이용하여 필름 경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실시예 4-1 실시예 4-2 참고예 1-1
성상
겔 강도(g) 110 120 130
인장강도(N/mm2) 65 62 66
필름 경도(g) 3,230 3,110 3,200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선택적인 HPMC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4-1~4-2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HPMC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선택적인 HPMC가 잘 용해되어 있고 성상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4-1~4-2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겔은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겔에 비해 겔화제(K-카라기난)의 함량이 동일한 경우 겔 강도가 약간 낮기는 하지만, 경질 캡슐 제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한 겔 강도(≥ 100g)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선택적인 HPMC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4-1~4-2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HPMC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과 마찬가지로, 인장강도와 필름 경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알코올류를 포함함으로써 저온(예를 들어, 0~40℃)뿐만 아니라 고온(예를 들어, 40~70℃)의 물에서도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직접적인 용해가 가능하여 수성 조성물의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캡슐 성형시 건조공정에서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최종 제품인 경질 캡슐의 생산 수율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혼합도가 개선되어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소량 첨가로도 고품질의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에 따르면, 경질 캡슐의 제조비용과 경질 캡슐 스크랩의 폐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알코올류; 및
    물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10~25중량%, 및 상기 알코올류 5~30중량%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EMC), 메틸셀룰로오스(MC)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류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겔화제로서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잔탄검(Xanthan gum), 펙틴(Pectin)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수용성 검류를 0.05~5.0중량%의 함량비로 추가로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겔화 보조제로서 염화칼륨, 초산칼륨, 염화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함량비로 추가로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7. 물, 알코올류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며, 대기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되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 용액에 겔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10.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90 ~ 95중량부, 겔화제 0.05 ~ 5.0중량부, 겔화보조제 0 ~ 1.0중량부 및 수분 1.0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의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과 함께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에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6.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10 ~ 25중량%, 및 상기 알코올류 5~30중량%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7.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05 ~ 5.0중량%의 겔화제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겔화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PCT/KR2013/005927 2012-07-23 2013-07-04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WO2014017756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823894.4A EP2875808B1 (en) 2012-07-23 2013-07-04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IN427DEN2015 IN2015DN00427A (ko) 2012-07-23 2013-07-04
JP2015524168A JP6227646B2 (ja) 2012-07-23 2013-07-04 硬質カプセル製造用水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硬質カプセル、並びに硬質カプセルスクラップの再活用方法
CN201380039127.8A CN104487058A (zh) 2012-07-23 2013-07-04 用于制备硬胶囊的含水组合物、其制备方法、硬胶囊及用于回收硬胶囊废料的方法
CA2879723A CA2879723C (en) 2012-07-23 2013-07-04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US14/415,006 US11312878B2 (en) 2012-07-23 2013-07-04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258A KR102013296B1 (ko) 2012-07-23 2012-07-23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10-2012-0080258 2012-07-23
KR1020120131947A KR102036214B1 (ko) 2012-11-20 2012-11-20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KR10-2012-0131947 2012-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7756A1 true WO2014017756A1 (ko) 2014-01-30

Family

ID=4999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5927 WO2014017756A1 (ko) 2012-07-23 2013-07-04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12878B2 (ko)
EP (1) EP2875808B1 (ko)
JP (1) JP6227646B2 (ko)
CN (1) CN104487058A (ko)
AR (1) AR091862A1 (ko)
CA (1) CA2879723C (ko)
IN (1) IN2015DN00427A (ko)
TW (1) TWI634910B (ko)
WO (1) WO20140177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3048A1 (en) 2022-06-16 2023-12-20 Shin-Etsu Chemical Co., Ltd.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and organic solv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001B1 (ko) * 2013-12-31 2020-09-2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WO2019178698A1 (en) * 2018-03-21 2019-09-26 Ryan Selby Vaporizer capsu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210410048A1 (en) * 2020-06-29 2021-12-30 Newracom, Inc. Overlapping basic service set status indication for an access point cooperative transmission
JP7361004B2 (ja) 2020-09-08 2023-10-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ルコール組成物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885A (en) * 1984-10-23 1990-04-17 Shin-Etsu Chemical Co., Ltd. Hard medicinal capsule
JP2000136126A (ja) * 1998-10-29 2000-05-16 Shionogi Qualicaps Kk 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WO2006082842A1 (ja) * 2005-02-03 2006-08-10 Qualicaps Co., Ltd. 溶解性が改善された硬カプセル
KR20090057470A (ko) * 2006-10-27 2009-06-05 화이자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경질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202550A (ja) * 2009-03-02 2010-09-16 Qualicaps Co Ltd 腸溶性カプセ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44225A (en) * 1965-09-07 1969-03-05 Dow Chemical Co Preparation of medicinal capsule shells from hydroxyalkyl-alkyl cellulose ethers
JPS572218A (en) 1980-06-05 1982-01-07 Shionogi & Co Ltd Capsule agent for rectal administration
JPH0634807B2 (ja) 1989-06-08 1994-05-1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医薬用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FR2757173A1 (fr) 1996-12-17 1998-06-19 Warner Lambert Co Compositions polymeres d'origine non-animale pour la formation de films
US6214376B1 (en) 1998-08-25 2001-04-10 Banner Pharmacaps, Inc. Non-gelatin substitutes for oral delivery capsules, their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PT1140012E (pt) * 1998-12-17 2004-05-31 Alza Corp Conversao de capsulas de gelatina cheias com liquido em sistemas de libertacao controlada por camadas multiplas
JP2000237284A (ja) 1999-02-17 2000-09-05 Shionogi Qualicaps Kk 硬質カプセル製剤
JP3716901B2 (ja) 1999-04-14 2005-11-16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セルロースエーテルフィルム
KR100379674B1 (ko) 2000-03-06 2003-04-10 주식회사 서흥캅셀 펙틴과 글리세린의 배합용액을 이용한 셀룰로오스 캅셀 및그의 제조방법
CN1285333C (zh) * 2000-06-07 2006-11-22 张昊 结肠定位释放的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
JP4447322B2 (ja) * 2001-12-28 2010-04-07 湧永製薬株式会社 硬カプセル剤
JP4471647B2 (ja) 2003-12-26 2010-06-02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硬質カプセル剤の製造方法
KR100654626B1 (ko) 2005-03-28 2006-12-08 주식회사 서흥캅셀 기계적 피막강도를 향상시킨 셀룰로오스 경질캅셀
CN1276779C (zh) 2005-07-01 2006-09-27 唐连德 一种植物多糖空心胶囊原料组合物及空心胶囊的制备方法
EP1849461A1 (en) 2006-04-21 2007-10-31 Pfizer Product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films
WO2009007377A1 (de) 2007-07-10 2009-01-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Dichtes verschliessen von gefüllten arzneimittelkapseln
CN101167705B (zh) * 2007-11-13 2010-08-18 北京长征天民高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植物空心硬胶囊的组合物及胶囊的制备方法
JP2012500230A (ja) * 2008-08-18 2012-01-05 北京天衡▲薬▼物研究院 胃内滞留薬物放出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と使用
KR101705204B1 (ko) 2009-09-11 2017-02-0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장용성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장용성 경질 캡슐의 제조방법 및 장용성 경질 캡슐
KR101182827B1 (ko) 2010-06-11 2012-09-14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장용성 경질 캡슐의 제조방법 및 장용성 경질 캡슐
KR20140072716A (ko) * 2012-12-05 2014-06-13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헤이즈가 개선된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885A (en) * 1984-10-23 1990-04-17 Shin-Etsu Chemical Co., Ltd. Hard medicinal capsule
JP2000136126A (ja) * 1998-10-29 2000-05-16 Shionogi Qualicaps Kk 硬質カプセルの製造方法
WO2006082842A1 (ja) * 2005-02-03 2006-08-10 Qualicaps Co., Ltd. 溶解性が改善された硬カプセル
KR20090057470A (ko) * 2006-10-27 2009-06-05 화이자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경질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202550A (ja) * 2009-03-02 2010-09-16 Qualicaps Co Ltd 腸溶性カプセ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875808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3048A1 (en) 2022-06-16 2023-12-20 Shin-Etsu Chemical Co., Ltd.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and organic sol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7655A1 (en) 2015-07-16
CN104487058A (zh) 2015-04-01
EP2875808A4 (en) 2016-03-23
EP2875808B1 (en) 2023-06-07
IN2015DN00427A (ko) 2015-06-19
EP2875808C0 (en) 2023-06-07
CA2879723C (en) 2020-10-27
TW201404410A (zh) 2014-02-01
TWI634910B (zh) 2018-09-11
AR091862A1 (es) 2015-03-04
JP6227646B2 (ja) 2017-11-08
CA2879723A1 (en) 2014-01-30
EP2875808A1 (en) 2015-05-27
US11312878B2 (en) 2022-04-26
JP2015524425A (ja)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7756A1 (ko)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WO2011030952A1 (ko) 장용성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장용성 경질 캡슐의 제조방법 및 장용성 경질 캡슐
WO2011155686A1 (en) Method of preparaing enteric hard capsule and enteric hard capsule prepared thereby
WO2014088177A1 (ko) 헤이즈가 개선된 필름
WO2022010317A1 (ko) 도네페질 함유 서방출성 plga 미립구의 제조방법
WO2014088178A1 (ko) 두께 균일성이 개선된 경질 캡슐
KR102013296B1 (ko)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WO2014088176A1 (ko) 경질 캡슐
KR102036214B1 (ko)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WO2015102197A1 (ko)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WO2015102196A1 (ko)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WO2023224358A1 (ko) 제제학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된 연질 캡슐
KR20180111567A (ko)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69842A (ko) 수산화이온 종을 용해시키는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난용성약제의 투명한 캡슐 제조방법
EP3090734A1 (en) Aqueous composition for hard capsule, and hard capsule produce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238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5006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2416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879723

Country of ref document: C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238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34483

Country of ref document: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