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214B1 -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214B1
KR102036214B1 KR1020120131947A KR20120131947A KR102036214B1 KR 102036214 B1 KR102036214 B1 KR 102036214B1 KR 1020120131947 A KR1020120131947 A KR 1020120131947A KR 20120131947 A KR20120131947 A KR 20120131947A KR 102036214 B1 KR102036214 B1 KR 102036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apsule
water
scrap
aqueous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712A (ko
Inventor
손진열
전정희
방성환
신주희
Original Assignee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131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214B1/ko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380039127.8A priority patent/CN104487058A/zh
Priority to EP13823894.4A priority patent/EP2875808B1/en
Priority to IN427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0427A/en
Priority to JP2015524168A priority patent/JP6227646B2/ja
Priority to CA2879723A priority patent/CA2879723C/en
Priority to US14/415,006 priority patent/US11312878B2/en
Priority to PCT/KR2013/005927 priority patent/WO2014017756A1/ko
Priority to TW102125523A priority patent/TWI634910B/zh
Priority to ARP130102603A priority patent/AR091862A1/es
Publication of KR2014007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08J11/0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using selective solvents for polymer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26Cellulose ethers
    • C08J2301/28Alkyl et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Recycling method of hard capsule scrap}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경질 캡슐은 소나 돼지에서 유래된 젤라틴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왔다. 젤라틴 경질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은 이를 고온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을 때 젤라틴과 동일한 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경질 캡슐로 재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젤라틴을 사용하여 경질 캡슐을 제조하게 되면 캡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대부분의 캡슐 업체들은 아직까지 젤라틴 경질 캡슐의 제조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젤라틴이 광우병 등의 문제로 인해 제한을 받고 있어서, 젤라틴이 아닌 식물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사용하여 제조된 캡슐이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사용하여 경질 캡슐을 제조할 경우,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은 물에 용해될 경우 고점도의 용액을 형성하기 때문에 고농도로 용해되기 어려우며, 상기 고점도의 용액은 겔 특성을 갖지도 않기 때문에 경질 캡슐로 재활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90 ~ 95중량부, 겔화제 0.05 ~ 5.0중량부, 겔화보조제 0 ~ 1.0중량부 및 수분 1.0 ~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EMC), 메틸셀룰로오스(MC)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잔탄검(Xanthan gum), 펙틴(Pectin)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수용성 검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겔화보조제는 염화칼륨, 초산칼륨, 염화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의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이를 조성물 A라고 함)을 제조하는 단계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과 함께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물과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에서 제조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즉, 조성물 A)에 혼합하여 최종적인 경질 캡슐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에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10 ~ 25중량% 및 상기 알코올류 5~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05 ~ 5.0중량%의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겔화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에 따르면, 경질 캡슐의 제조비용과 경질 캡슐 스크랩의 폐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고품질의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이를 “알코올 수용액”이라고도 함)에 용해시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경질 캡슐 스크랩”이란 경질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폐기된 물질(즉, 절단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경질 캡슐과 동일한 재질의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1차적으로 성형된 경질 캡슐은 2차적으로 다듬어져(즉, 경질 캡슐의 불필요한 부분들이 절단되어) 목표 형상을 갖는 경질 캡슐로 완성되는데, 상기 절단된 부분들을 경질 캡슐 스크랩이라고 한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주성분이다. 이러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식물성 소재인 셀룰로오스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잇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셀룰로오스의 히드록시기를 에테르화제를 사용하여 에테르화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의미한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EMC), 메틸셀룰로오스(MC)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특히,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이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내에서 액화(즉, 용해)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상온(20~30℃)의 물에 투입될 경우 물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용해되지만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응집되어 덩어리를 형성하며, 고온(40~70℃)의 물에 투입될 경우에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더라도 잘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알코올류는 물과 혼합되어 알코올 수용액을 형성하며,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상온(20~30℃)의 알코올 수용액뿐만 아니라 고온(40~70℃)의 알코올 수용액에도 잘 용해된다.
상기 알코올류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90 ~ 95중량부, 겔화제 0.05 ~ 5.0중량부, 겔화보조제 0 ~ 1.0중량부 및 수분 1.0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잔탄검(Xanthan gum), 펙틴(Pectin)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수용성 검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보조제는 염화칼륨, 초산칼륨, 염화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의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이를 조성물 A라고 함)을 제조하는 단계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과 함께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물과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에서 제조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즉, 조성물 A)에 혼합하여 최종적인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2 이상의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한 후 서로 비율에 맞게 혼합하여 최종적인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역시 상온(20~30℃) 및 고온(40~70℃)의 알코올 수용액에 잘 용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과 알코올류를 혼합하여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알코올 수용액을 가열하는 단계(S2), 및 상기 가열된 알코올 수용액에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선택적인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용해시켜 셀룰로오스 에테르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의 가열은 상온(20~30℃)으로부터 40~70℃의 온도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S2)는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선택적인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알코올 수용액에 잘 분산되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 잘 용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온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겔화제 및 상기 선택적인 겔화보조제가 굳지 않으면서도 높은 캡슐 성형성을 가지며, 불가피한 가열에 따르는 에너지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S3)는 교반(예를 들어, 300rpm)하에 상기 가열된 알코올 수용액에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선택적인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천천히 투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계들(S1~S3) 대신에 물(또는 알코올류)에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선택적인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제1 혼합물에 알코올류(또는 물)를 첨가하여 제2 혼합물(즉,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i)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리 가열된 물 및/또는 알코올류를 사용하거나, (ii) 상온의 물(또는 알코올류)에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선택적인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첨가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 혼합물을 가열한 다음, 상기 제1 혼합물에 상온의 알코올류(또는 물)를 첨가하여 제2 혼합물(즉,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S4)(이를 “숙성단계”라고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단계의 유지시간(즉, 숙성시간)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기포가 충분히 제거되고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조성이 균일해질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숙성단계(S4) 이후에,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에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추가 겔화제 및 선택적인 추가 겔화보조제)를 첨가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는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겔화제 및 겔화보조제와 각각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들(S1~S5) 중 적어도 한 단계는 교반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 이후에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S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6)는 교반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단계들(S1~S6) 중 적어도 한 단계에 상기 추가 겔화제 및/또는 상기 추가 겔화보조제는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총함량 10 ~ 2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총함량은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량과 상기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함량을 합한 것이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중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총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점도가 적당해서 기포 제거가 용이하며 적당한 두께의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의 함량은 5~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중 상기 알코올류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선택적인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용해성이 높아지고 캡슐 제조시 알코올류의 증발속도가 적당해져서 주름이 없이 매끈한 캡슐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05 ~ 5.0중량%의 겔화제의 총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의 총함량은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겔화제의 함량과 상기 단계(S5)에서 첨가된 추가 겔화제의 함량을 합한 것이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중 상기 겔화제의 총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점도가 적당히 증가하여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경질 캡슐의 파단신율이 높아지고 취성(brittleness)은 낮아진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겔화보조제의 총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보조제의 총함량은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겔화보조제의 함량과 상기 단계(S5)에서 첨가된 추가 겔화보조제의 함량을 합한 것이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중 상기 겔화보조제의 총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겔화제의 겔화능력을 향상시켜 캡슐 성형성이 우수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헤이즈의 발생이 없는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들(S1~S6) 중 적어도 한 단계에는 추가 가소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05 ~ 5.0중량%의 가소제 총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총함량은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에 포함된 가소제의 함량과 상기 추가 가소제의 함량을 합한 것이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중 상기 가소제의 총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파단신율이 높은 경질 캡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롤, 소르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캡슐 성형온도(40~70℃)로 가열될 경우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상기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완전 용해가 이루어져 하기와 같은 잇점을 갖는다: 첫째, 제조시간이 단축된다. 둘째, 균질도가 높고 점도가 균일하며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셋째, 매 제조단위에 대해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넷째, 겔화제 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기능을 억제하는 미용해물(예를 들어,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이 존재하지 않아 캡슐 성형성이 높다. 다섯째, 경질 캡슐 스크랩/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혼합도가 높아 겔화제(및 선택적인 겔화보조제)의 첨가량이 감소한다. 여섯째,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후속 여과공정에서 여과효율이 높다. 일곱째, 캡슐 성형공정에서 기재에 도포된 수성 조성물 중의 용매 성분으로 인하여 건조공정을 수행할 경우 건조속도가 빠르다. 여덟째,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제조시간 및 건조시간이 짧아 경질 캡슐의 생산 수율이 높다.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 몰드 핀을 사용한 경우,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은 고온(40~70℃)으로 가열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에 상온(20~30℃)의 몰드 핀을 침지한 후, 상기 몰드 핀을 상기 수성 조성물로부터 꺼내어 건조시킴으로써 경질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질 캡슐은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이 섬유와 같은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높은 품질(탄성, 광택도, 붕해성 등)을 가지며, 매 제조단위에 대해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경질 캡슐은 위용성(gastric juice soluble)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1~1-2 및 참고예 1-1: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제조
에탄올과 물(정제수)을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에탄올 수용액을 하기 표 1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삼성정밀화학, AW4)를 하기 표 1의 비율로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단, 실시예 1-2 및 참고예 1-1에서는, 1.5중량%의 K-카라기난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 수용액에 적당량의 K-카라기난(한국 카라겐, HG404)을 더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1~1-2 및 참고예 1-1에서, 공히, 20중량%의 HPMC 및 1.5중량%의 K-카라기난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각각 얻었다.
함량비(중량%) 에탄올 수용액의 온도(℃)
에탄올 경질 캡슐 스크랩*1 HPMC
실시예 1-1 70 10 20 0 60
실시예 1-2 70 10 10 10 60
참고예 1-1 70 10 0 20 60
*1: 경질 캡슐 스크랩: HPMC(삼성정밀화학의 AW4) 92중량, K-카라기난(한국 카라겐, HG404) 1.2중량%, KCl 0.08중량%, 글리세롤 1.72중량% 및 수분 5중량%를 함유.
평가예
실시예 1-1~1-2 및 참고예 1-1에서,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HPMC의 용해 완료 후 4시간 경과 후에 결과물(즉,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의 성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와 같이 4단계로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1~1-2 및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겔의 강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결과물의 성상 평가방법)
◎: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HPMC가 매우 빨리 용해되며, 결과물의 성상이 맑고 투명함.
○: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HPMC가 비교적 빨리 용해되며, 결과물의 성상이 맑고 투명함.
△: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HPMC가 약간 늦게 용해되며, 결과물의 성상이 약간 희뿌옇게 보임.
×: 경질 캡슐 스크랩 및/또는 HPMC가 용해되지 않으며, 결과물의 성상이 매우 희뿌옇게 보임.
(겔 강도 평가방법)
60℃로 유지되는 상기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상온(약 25℃)으로 냉각하여 겔화시켰다. 이후, Texture Analyser(Brookfield, CT3-4500, Probe No: TA10)를 사용하여 상기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겔의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필름 평가방법)
60℃로 유지되는 상기 각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필름 캐스터(삼성정밀화학 자체 제작)를 이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도포하였다. 이후,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이 도포된 유리기판을 상온(2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100㎛ 두께의 필름을 얻었다. 이후, 상기 각 필름을 1cm*10cm 크기로 절단한 후 LLOYD Instrument testing machine(LRX plus, LLOYD Instrument, UK)을 이용하여 필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각 필름을 4cm*5cm의 크기로 절단한 후 Texture Analyzer (Brookfield, CT3-4500, Probe No. TA-39)를 이용하여 필름 경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참고예 1-1
성상
겔 강도(g) 110 120 130
인장강도(N/mm2) 65 62 66
필름 경도(g) 3,230 3,110 3,20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선택적인 HPMC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1~1-2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HPMC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선택적인 HPMC가 잘 용해되어 있고 성상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1~1-2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겔은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겔에 비해 겔화제(K-카라기난)의 함량이 동일한 경우 겔 강도가 약간 낮기는 하지만, 경질 캡슐 제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한 겔 강도(≥ 100g)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질 캡슐 스크랩 및 선택적인 HPMC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1~1-2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HPMC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참고예 1~1에서 제조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과 마찬가지로, 인장강도와 필름 경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hard capsule scrap)을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켜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10~25중량%, 상기 알코올류 5~30중량% 및 겔화제 0.05~5.0중량%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90 ~ 95중량부, 겔화제 0.05 ~ 5.0중량부, 겔화보조제 0 ~ 1.0중량부 및 수분 1.0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HEMC), 메틸셀룰로오스(MC)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Carrageenan), 젤란검(Gellan gum), 잔탄검(Xanthan gum), 펙틴(Pectin)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수용성 검류를 포함하며, 상기 겔화보조제는 염화칼륨, 초산칼륨, 염화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의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추가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상기 경질 캡슐 스크랩과 함께 물 및 알코올류의 혼합액에 용해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40~70℃의 온도에서 2~1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에 추가 겔화제 및 추가 겔화보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류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은 0중량% 초과 1.0중량% 이하의 겔화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KR1020120131947A 2012-07-23 2012-11-20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KR10203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47A KR102036214B1 (ko) 2012-11-20 2012-11-20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EP13823894.4A EP2875808B1 (en) 2012-07-23 2013-07-04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IN427DEN2015 IN2015DN00427A (ko) 2012-07-23 2013-07-04
JP2015524168A JP6227646B2 (ja) 2012-07-23 2013-07-04 硬質カプセル製造用水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硬質カプセル、並びに硬質カプセルスクラップの再活用方法
CN201380039127.8A CN104487058A (zh) 2012-07-23 2013-07-04 用于制备硬胶囊的含水组合物、其制备方法、硬胶囊及用于回收硬胶囊废料的方法
CA2879723A CA2879723C (en) 2012-07-23 2013-07-04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US14/415,006 US11312878B2 (en) 2012-07-23 2013-07-04 Aqueous composition for preparing hard capsul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hard capsule, and method for recycling hard capsule scraps
PCT/KR2013/005927 WO2014017756A1 (ko) 2012-07-23 2013-07-04 경질 캡슐 제조용 수성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경질 캡슐 및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TW102125523A TWI634910B (zh) 2012-07-23 2013-07-17 製備硬膠囊的水性成分及該水性成分之製備方法、以該水性成分製備之硬膠囊以及回收該硬膠囊廢料之方法
ARP130102603A AR091862A1 (es) 2012-07-23 2013-07-23 Composicion acuosa para preparar capsula dura, metodo para preparar la composicion acuosa, capsula dura preparada utilizando la composicion acuosa, y metodo para reciclar residuos de la capsula du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47A KR102036214B1 (ko) 2012-11-20 2012-11-20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712A KR20140070712A (ko) 2014-06-11
KR102036214B1 true KR102036214B1 (ko) 2019-10-24

Family

ID=5112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947A KR102036214B1 (ko) 2012-07-23 2012-11-20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2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003A (ja) * 1999-01-20 2000-07-25 Shionogi Qualicaps Kk 硬質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7412A (ja) * 2003-12-26 2005-07-14 Shionogi Qualicaps Co Ltd 硬質カプセル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4248B1 (en) * 2006-10-27 2021-08-04 Capsugel Belgium NV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ard capsules and process of manufacture
KR101951290B1 (ko) * 2012-04-18 2019-02-22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003A (ja) * 1999-01-20 2000-07-25 Shionogi Qualicaps Kk 硬質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7412A (ja) * 2003-12-26 2005-07-14 Shionogi Qualicaps Co Ltd 硬質カプセル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712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7600B (zh) 具有改進霧度的膜
JP6227646B2 (ja) 硬質カプセル製造用水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硬質カプセル、並びに硬質カプセルスクラップの再活用方法
KR102036214B1 (ko) 경질 캡슐 스크랩의 재활용 방법
KR102085330B1 (ko) 두께 균일성이 개선된 경질 캡슐
KR102013296B1 (ko)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EP3090736B1 (en) Aqueous composition for hard capsule, and hard capsule produced using same
KR20140072715A (ko) 경질 캡슐
KR102199596B1 (ko)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KR20150078673A (ko) 경질 캡슐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경질 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