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19069A2 -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19069A2
WO2013019069A2 PCT/KR2012/006132 KR2012006132W WO2013019069A2 WO 2013019069 A2 WO2013019069 A2 WO 2013019069A2 KR 2012006132 W KR2012006132 W KR 2012006132W WO 2013019069 A2 WO2013019069 A2 WO 201301906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wallowing disorder
swallowing
measuring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1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19069A3 (ko
Inventor
유희천
이백희
정기효
양길태
홍세원
나덕렬
이영호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235,842 priority Critical patent/US9216287B2/en
Priority to EP12820271.0A priority patent/EP2740515B1/en
Priority to JP2014523844A priority patent/JP5914658B2/ja
Publication of WO201301906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9069A2/ko
Publication of WO201301906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906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05Evaluating swallo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 Swallowing Disorder is a generic term used to describe the difficulties that occur during the process of eating.It occurs in patients with stroke, degenerative diseases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es, traumatic brain diseases, head and neck tumors, and muscle diseases. do.
  • Swallowing disorders occur in as few as 29% and as many as 64% in stroke patients, and up to 81% in Parkinson patients.
  • swallowing disorders may occur due to external influences such as general cogni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patient or external influences such as airway intubation or tracheostomy.
  • the degree of disease and the degree is different, but if swallowing disorders, such as aspiration, pneumonia, dehydration, malnutrition, and the like, may cause death due to these problems.
  • Swallowing disorders include oral stages in which food is put in the mouth, chewed, mixed with saliva to form agglomerates and pushed into the pharynx, food entering the pharyngeal cavity, palpation, hyoidary cartilage
  • the pharyngeal cavity phase leads to the esophageal entry through a series of precisely coordinated movements of various pharyngeal cavity internal structures, including pharyngeal peristalsis and upper esophageal sphincter relaxation. It consists of an inflow stage where food is introduced into the esophagus through the relaxation of the bare muscles.
  • the oral phase is a step that can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so it can be evaluated relatively accurately without special equipment.However, in the pharyngeal cavity phase, there is only the movement of the neck that looks and feels fine during the swallowing operation. can confirm.
  • Conventional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pparatuses include the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and the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FEES).
  • VFSS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 FEES 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 the video fluoroscopy device records images projected on a fluorescent screen using x-rays, and can visually identify the anatomical structures involved in swallowing, and perform functional abnormalities while swallowing. It is used to evaluate whether or not.
  • the video endoscopy device inserts a flexible endoscope through the nose to observe the structure of the pharyngeal cavity before and after swallowing, and the oral cavity and pharyngeal cavity function when swallowing cannot be confirmed. have.
  • Such conventional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pparatus has some limitations in clinical use.
  • the conventional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pparatus is large and considerably expensive, and its main purpose is not to measure swallowing disorder only, an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nd use the apparatus without the cooperation of radiology and otolaryngology.
  • small-scale hospitals and institutions that deal with swallowing disorders fail to properly test for swallowing disorders, and many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are often overlooked or only treating swallowing disorders without accurate evaluation.
  • the video fluoroscopy device has radiation exposure, and the video endoscopic device is an invasive method of inserting the endoscope through the nose, which is relatively short tim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wallowing disorders in the daily life of each patient because swallowing tests must be performed in-house.
  •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eating swallowing disorder is to give electric stimulation to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showing lower hyoid laryngopharyngeal movement and esophageal laxity.
  •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 and neuromuscular muscles There is a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ES).
  •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is a rehabilitation exercise exercise that attempts to stimulate the nerves and muscles under the skin by performing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damaged area while performing a functional task. Such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is to treat the future of swallowing by induc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urface of the neck and inducing swallowing.
  • per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used to treat atrophic or nerve damaged muscles, there is a limitation that does not cause actual contraction of such muscles.
  •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muscles by repeatedly act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uscles and even the muscles of the neurologically damaged muscles and the remaining muscle funct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acts repeatedly.
  • This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by repeating the swallowing operation by attaching an electrode to the external muscles of the neck that acts on swallowing and improves muscle movement when swallowing.
  • Chattanooga VitalSTim is a device designed to treat swallowing disorders by considering which muscles are stimulated and which patterns should be stimulated in the external muscles of the neck involved with swallow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o provide a device for measuring and treating a swallowing disorder, which can measure the swallowing disorder and at the same time treat the swallowing disorder.
  •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is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attached to the neck of the patient, swallowing disorder measured in th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attached to the neck of the patient
  •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for solving the swallowing disorder by giv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neck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signal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 the display analyzer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analyz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onfigured to display and analyze the swallowing disability signal.
  •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may include an ultrasonic transmitter and an ultrasonic receiver.
  • the ultrasonic receiv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er.
  • the ultrasonic receiver surrounds the ultrasonic transmitter.
  •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may be disposed in a donut shape as a whole.
  •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may be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may be arranged in a polygonal shape as a whol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sound absorber dispos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 the ultrasonic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lens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and cover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conversion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verting the swallowing disturbance signal into voice.
  • the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storing the swallowing failure signal in real time.
  •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may be pre-programmed to give electrical stimulation in real time when swallowing disorders.
  • the ultrasonic receiver may include a main ultrasonic receiver and a preliminary ultrasonic receiver adjacent to the main ultrasonic receiver.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body in which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are located.
  •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may be inserted into a sensor groove formed in the sensor body.
  • the surface of the sensor body may be curved.
  • Surfaces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urved surface.
  • the back of the sensor main body may be formed with a belt groove to which the fixing belt is fixed.
  •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by simply provid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portion to solve the swallowing disorder by giv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neck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 the swallowing disorder can be treated and the swallowing disorder can be treated us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can measure the swallowing disorder in a simple, non-invasive way without using a complicated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device such as a video fluoroscopy device or a video endoscopy device. Can be.
  •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by installing a display analysis unit for displaying and analyzing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monitor the patient's response while treating the swallowing disorder whether the patient responds properly At the same time as evaluating, the patient himself can see the response he / she has performed and can act as a feedback.
  • a separate preliminary ultrasonic receiver may be disposed to increase the ultrasonic reception sensitivity when the ultrasonic reception sensitivity is weak.
  • the surface of the sensor main body be a curved surface, the adhesion of the human body can be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sensor unit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can be improved.
  •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controller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a sensor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eating swallowing disor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emplary use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wallowing disability signal displayed on an analysis display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lan view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or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eating swallowing disor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lan view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lan view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of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eating swallowing disord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50 ultrasonic lens
  •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ontrol flowchart of a control unit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side view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device and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allowing sensor measurement unit Figure 4 is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device and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plan view of the measuring sensor unit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t least one sensory measuring unit 100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attached to the neck of the patient 1, the patient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that is attached to the neck of the patient to solve the swallowing disorder by giv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neck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It includes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100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and the main body 400 in which the control unit 300 is located.
  •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is connected through a sensor plug 410 and a sensor cable 420 of the main body 400.
  •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transmits an ultrasonic wave and measures a modulation cycle of ultrasonic waves reflected and modulated by food or acupuncture moving to the patient's esophagus, and confirms the movement of food or acupuncture into the esophagus.
  •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is a type of ultrasonic sensor for measuring a series of movements inside the pharyngeal cavity of the neck.
  • the sensor unit 100 for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includes an ultrasonic transmitter 110 for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and an ultrasonic receiver 120 for detecting the reflected ultrasonic waves, and an ultrasonic transmitter ( 110 and the sensor body 130 in which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located.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be located in one sensor main body 130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It may be located in the sensor body 130.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 square, a polygon, and the like,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 the ultrasonic receiver 120 surrounds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 a connection line 115 connect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installed to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signals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ring-shaped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 the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block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110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 the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is form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in the form of a molding us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 the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may include a noise shielding material for blocking noise.
  • An ultrasonic lens 150 cover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attached to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ultrasonic lens 150 improves the adhesion to the skin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neck, protects the inside of the sensor from shocks that may be applied to the sensor surface, and adjusts the radial shape of the ultrasonic wave by 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so that the ultrasonic wave is fixed. Focusing on the point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the ultrasound.
  •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plug 430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cable 440 of the main body 400.
  •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is attached to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and the patient's neck through electrical stimulating electrodes 201 and 202 at the same time to giv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patient's neck according to the swallowing disability signal.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esophageal sphincter allows food to enter the esophagus.
  • the controller 300 includes a microcontroller A, an ultrasonic sensor controller B, an electrical stimulation controller C, a data collection device unit D, an ultrasonic voice converter E, and an interface unit F.
  • the microcontroller A controls the ultrasonic sensor controller B, the electrical stimulation controller C, the ultrasonic voice conversion unit E, the data collection device unit D, and the interface unit F in the control unit 300.
  • the microcontroller A controls the ultrasonic sensor controller B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of a specific frequency in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by a predetermined control algorithm.
  • the ultrasonic sensor controller B generates the continuous or pulsed ultrasonic wave in the sensor unit 100 for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the frequency of the generated ultrasonic wave has an oscillation period of 2 MHz to 10 MHz.
  • the microcontroller A determines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electrical stimulus, a current intensity, an electrical
  • the electrical stimulation controller C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period of the stimulus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 the electrical stimulation controller C controls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to electrically stimulate the upper sphincter of the esophagus so that food is introduced into the esophagus and food or saliva does not enter the airways.
  • the microcontroller A collects the swallowing failure signal measured by the swallowing failure measuring sensor unit 100 to the data collecting device unit D, and the swallowing failure signal collected in the data collecting device unit D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500. B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analyzer 600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face unit (F).
  • the display analyzer 6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display analyzer 600 displays and analyzes the swallowing disability signal.
  • the storage device 5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400 to store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 the swallowing failure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5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analyzer 600 in real time.
  • the main body 400 has a built-in USB communication port 310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F), the swallowing failure signal measured from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using the USB communication por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analyzer 600 in real time for analysis.
  • the voice conversion device 700 such as a speaker or earphone
  • the main body 400 to convert the swallowing disturbance signa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to the voice frequency in the ultrasonic voice conversion unit (E).
  • E ultrasonic voice conversion unit
  • Figure 6 is an exemplary use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is attached to an optimal position in which the swallowing disorder can be measured in the neck of the patient 1, and the electrical part is placed at a position capable of stimulating the upper sphincter of the esophagus.
  • the magnetic pole electrode part 200 is attached.
  •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signal is measured using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100, the swallowing disorder is evaluated in real time using the display analyzer 600,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is based on the evaluated result.
  • two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s 100 may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neck to more efficiently measure the swallowing disorder of the patient. In this case, the remaining diagnostic methods are the same.
  •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provides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neck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and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By install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to solve, the swallowing disorder can be measured easily and the swallowing disorder can be treated us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 unit 200.
  •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device by installing the display analysis unit 600 for displaying and analyzing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the hyoid cartilage of the cartilage during the series of movement of the pharyngeal cavity associated with swallowing
  • the display analysis unit 600 for displaying and analyzing the swallowing disorder signal
  • the hyoid cartilage of the cartilage during the series of movement of the pharyngeal cavity associated with swallowing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wallowing disability signal displayed on an analysis display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swallowing disorder signals 51, 52, 53, and 54 when swallowing water, bananas, yogurts, and biscuits, and it can be seen that various forms of swallowing disorder signals appear according to each food.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has a shape of a circle, a square, a polygon, or the like,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to surround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each have a half donut shape corresponding to half of a donut shape, and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one donut shape as a whole.
  • FIG. 8 is a plan view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is reflected by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for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and the ultrasonic waves reflected back.
  •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for detect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ncludes a sensor body 130 is located.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be located in one sensor main body 130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It may be located in the sensor body 130.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is a half donut shape corresponding to half of a donut shape,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fac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is also a half donut shape.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disposed in a donut shape as a whole.
  • a connection line 115 connect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installed to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signals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plate-shaped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 the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block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110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be disposed in a plane or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ltrasonic sound absorber 140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ultrasonic waves by focusing the ultrasonic waves to a predetermined point. .
  •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are disposed in a donut shape as a whole, but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may be arranged in a rectangular or polygonal shape facing each other.
  • FIG. 9 is a plan view of th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measurement of swallowing disorders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ensor part.
  • the thir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8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sensor unit for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is reflected by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It includes an ultrasonic receiver 120,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sensor body 130, the ultrasonic receiver 120 for detecting the returned ultrasonic waves.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be located in one sensor main body 130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It may be located in the sensor body 130.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has a square shape,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fac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is also square, and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be gathered together and dispos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or may be arranged in a polygonal shape as a whole.
  • a connection line 115 connect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installed to transmit and receive ultrasonic signals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plate-shaped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 the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blocks the ultrasonic or electrical nois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transmitting unit 110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 receiving unit 120.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may be disposed in a plane or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ltrasonic sound absorber 140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ultrasonic waves by focusing the ultrasonic waves to a predetermined point. .
  • An ultrasonic lens 150 cover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attached to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ultrasound lens 150 is in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patient, and serves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ultrasound by focusing the ultrasound to a certain point.
  •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receiver are arranged in a quadrangular or polygonal shape facing each other, but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transmitter may be arranged so that the ultrasonic receiver faces from both sides.
  • FIG. 11 is a plan view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sensor unit of a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urth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sensor unit for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of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has a long rod shape, and the ultrasonic transmitter ( The pair of ultrasonic receivers 120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110 are also long rod-shaped, and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uch, since the ultrasonic transmitter 120 surrounds both sides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ultrasonic waves may be more accurately received.
  • the plate-shaped ultrasonic wave absorber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one ultrasonic receiver 120, and the ultrasonic plate-shaped ultrasonic wave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other ultrasonic receiver 120 is plate-shaped.
  • the sound absorbing unit 140 is located.
  • the pair of ultrasonic sound absorbers 140 block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ultrasonic transmitter and the ultrasonic transmitter are disposed so that one ultrasonic receiver faces from both sides
  • the fifth exemplary embodiment may also include a separate preliminary ultrasonic receiver.
  • FIG. 12 is a plan view of a sensor unit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eatment apparatus
  • FIG. 13 is a measurement of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nsor part.
  • the fifth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11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sensor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and thus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ensor unit 100 for measuring swallowing disorder of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ing and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rectangular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an ultrasonic transmitter.
  •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with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t the center.
  • the ultrasound receiver 120 includes a main ultrasound receiver 121 and a preliminary ultrasound receiver 122 adjacent to the main ultrasound receiver 121.
  • the preliminary ultrasonic receiver 122 works with the main ultrasonic receiver 121 to increase the ultrasonic receiver sensitivity when the ultrasonic receiver sensitivity is weak.
  • a plate-shaped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one main ultrasonic receiver 121, and a plate-shaped between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other primary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ultrasonic sound absorbing unit 140 is located.
  • the pair of ultrasonic sound absorbers 140 blocks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ain ultrasonic receiver 120.
  • the connecting line 115 connecting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to transmit and receive the ultrasonic signal includes an outgoing connector 151 for transmitting the ultrasonic signal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a pair of main ultrasonic receivers.
  • the first receiving connection line 152 connects the ultrasonic signals between the 121 and the second receiving connection line 153 for connecting the ultrasonic signals between the pair of preliminary ultrasonic receiving units 122.
  •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ncludes the preliminary ultrasonic receiver 122, the reception range of the ultrasonic receiver 120 is widened, thereby improving the ultrasonic reception performance.
  • the surface 131 of the sensor main body 130 is a curved surface of which the central part is lowered, and the sensor main body 130 has a sensor groove 130a formed therein, and an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an ultrasonic receiver 120 in the sensor groove 130a. ) Is inserted. Therefore, the surfaces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urved surface.
  • th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swallowing disorder ( 100) durability can be improved.
  • the surfaces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exposed, and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If the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ultrasonic transmitter 110 and the ultrasonic receiver 1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 noise problem may occur, and a serious problem may also occur in the durability of the sensor of the sensor unit 100 for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s 201 and 20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nsor unit 100 for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That is, the electrical stimulation electrodes 201 and 202 may be arranged outside the ultrasonic receiver 120. Therefore, the swallowing disorder measurement sensor unit 100 can measure and treat the swallowing disorder at the same time.
  • a plurality of belt grooves 130b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main body 130, and the fixing belt 1 is inserted into the belt groove 130b to be swallowed by the fixing belt 1. 100 can be easily fixed to the neck of the human body. Thus, stable and accurate sensing operation is possibl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환자의 목에 부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 상기 환자의 목에 부착하며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에서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상기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장애를 해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전극부,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와 상기 전기 자극 전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와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에서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장애를 해소하는 전기 자극 전극부를 설치함으로써, 간편하게 삼킴 장애를 측정함과 동시에 전기 자극 전극부를 이용하여 삼킴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본 발명은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삼킴 장애(dysphagia, 연하장애)는 음식을 먹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용어로서, 뇌졸중, 중추 신경 및 말초 신경의 퇴행성 질환, 외상성 뇌질환, 두경부 종양, 근육 질환 등의 환자들에게 발생한다.
뇌졸중 환자의 경우, 적게는 29%, 많게는 64%에 달하기까지 삼킴장애가 발생하며, 파킨슨 환자의 경우 81%까지 삼킴 장애가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삼킴 장애를 직접적으로 유발하지 않는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 및 몸 상태나, 기도 삽관 또는 기관 절개 시술 등의 외부적인 영향으로 음식을 제대로 못 삼키는 삼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질환 및 원인 별로 정도 차이가 있으나, 삼킴 장애가 있는 경우 흡인, 폐렴, 탈수, 영양실조 등의 원인이 되고, 급기야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삼킴 장애는 음식물을 입에 넣고, 씹으며, 침과 섞여 덩어리를 형성하고 이를 인두강으로 밀어 넣는 구강 단계, 인두강으로 유입된 음식물이 연구개 거상 운동, 설골갑상연골 거상 운동(hyolaryngeal excursion), 인두강 연동운동 (pharyngeal peristalsis), 상부 식도 괄략근(upper esophageal sphincter) 이완 등 여러 인두강 내부 구조들이 정교하게 협응을 이루는 일련의 움직임을 통해 식도 초입에 이르게 되는 인두강 단계, 마지막으로 상부 식도 괄략근의 이완을 통해서 식도 내로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단계로 구성된다.
이 중 구강 단계는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단계여서 특수 장비 없이 비교적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나, 인두강 단계의 경우, 삼키는 동작 중 겉으로 미세하게 보이고 느껴지는 목의 움직임밖에 없어, 특수 검사 장비가 있어야 정확한 구조나 기능을 확인 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삼킴 장애 측정 장치로는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와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FEES)가 있다.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는 엑스레이(xray)를 이용하여 형광 스크린(fluorescent screen)에 투시되는 영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삼킴에 관여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삼키는 동작을 하면서 기능적인 이상 여부를 평가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는 유연한 내시경(flexible endoscope)을 코를 통해 삽입하여 음식물을 삼키기 전과 삼킴 후의 인두강 내 구조를 관찰하는 것으로, 실제 삼킴이 이루어질 때의 구강 및 인두강 기능은 확인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삼킴 장애 측정 장치로는 임상에서 사용하는데 몇 가지 제약점들이 있다. 첫째, 종래의 삼킴 장애 측정 장치는 규모가 크고 상당히 고가이면서, 주 목적이 삼킴 장애만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아니며, 영상의학과, 이비인후과 등의 협력 없이는 장치를 구축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소규모 병원이나, 삼킴 장애를 다루는 기관들에서 제대로 된 삼킴 장애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여, 많은 삼킴 장애 환자들이 간과되거나, 정확한 평가 없이 삼킴장애 치료만 시행하고 있는 경우가 빈번하다.
둘째,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나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되더라도,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의 경우 방사선 노출이 있고,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의 경우 코로 내시경을 집어 넣는 침습적인 방법으로, 비교적 단시간 내에 삼킴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각 환자들의 일상 생활에서의 삼킴 장애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삼킴 장애 치료 방법으로 설골후두 거상운동 저하, 식도 이완력 저하 소견을 보이는 삼킴 장애 환자들에게 전기 자극을 주어 치료를 하는 방법으로서, 경피적 전기 자극법(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TES)과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ES)이 있다.
경피적 전기 자극법은 기능적인 과제(functional task)를 수행하면서 손상된 부위 피부에 전기 자극을 주어 그 아래 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고자 하는 재활의학과적인 운동 치료방법이다. 이러한 경피적 전기 자극법은 목 표면에 전기 자극을 주며 삼킴을 유도하여 삼킴 장래를 치료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피적 전기 자극법은 위축되거나 신경 손상된 근육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근육의 실제적인 수축을 야기하지는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은 신경학적으로 손상이 있는 근육 중 조금이라도 신경 분포와 그 기능이 남아 있는 근육에 전기 자극이 작용하여 근육 수축을 유발하며, 이를 반복적으로 작용하면서 근육의 힘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은 삼킴 장애 치료에 응용이 되어, 삼킴에 작용하는 목의 외근에 전극을 붙여 삼키는 동작을 반복하며 삼킬때의 근육 운동을 증진 시킨다.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으로 삼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삼킴과 관여하는 목의 외근 중에 어떠한 근육을 자극할지, 어떠한 패턴으로 자극을 주어야 할 지를 고려하여 만든 삼킴 장애 치료 장치로 Chattanooga VitalSTim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피적 전기 자극법과 신경근육 전기 자극법 등의 삼킴 장애 치료 방법은 그 치료 방법의 적절성이나 효과 등을 모니터링을 할 수 없어, 구강 단계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치료의 적절성 여부, 환자의 반응, 목표 기능의 호전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으나, 인두강 단계의 장애에 기인한 삼킴 장애 치료의 경우, 치료가 저하된 인두강 기능에 적절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치료의 효과 등을 치료 과정 중에 즉각적으로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삼킴 장애를 측정함과 동시에 삼킴 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환자의 목에 부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 상기 환자의 목에 부착하며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에서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상기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장애를 해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전극부,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와 상기 전기 자극 전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삼킴 장애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분석하는 표시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는 초음파 발신부와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발신부를 둘러싸고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전체적으로 다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초음파 흡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 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를 덮는 초음파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삼킴 장애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삼킴 장애 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극 전극부는 삼킴 장애 시 실시간으로 전기 자극을 주도록 미리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주 초음파 수신부 및 상기 주 초음파 수신부와 인접하고 있는 예비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가 위치하고 있는 센서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센서 본체에 형성된 센서 홈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센서 본체의 표면은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의 표면은 서로 연결되어 곡면을 이룰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의 표면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센서 본체의 배면에는 고정용 벨트가 고정되는 벨트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에서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장애를 해소하는 전기 자극 전극부를 설치함으로써, 간편하게 삼킴 장애를 측정함과 동시에 전기 자극 전극부를 이용하여 삼킴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나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같은 복잡한 삼킴 장애 측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삼킴 장애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삼킴 장애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분석하는 표시 분석부를 설치함으로써, 삼킴 장애를 치료하면서 환자의 반응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어 환자가 적절히 반응하는지를 평가함과 동시에, 환자 스스로도 본인이 수행한 반응을 볼 수 있어 피드백(feedback)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예비 초음파 수신부를 배치하여 초음파 수신 감도가 약할 경우에 초음파 수신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 본체의 표면이 곡면이 되도록 함으로써, 인체 밀착도를 향상시키고,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전기 자극 전극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를 삼킴 장애 환자에게 적용한 사용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분석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삼킴 장애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 110: 초음파 발신부
120: 초음파 수신부 130: 센서 본체
140: 초음파 흡음부 150: 초음파 렌즈
200: 전기 자극 전극부 300: 제어부
400: 본체 500: 저장 장치
600: 표시 분석부 700: 음성 변환 장치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장치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장치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전기 자극 전극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환자(1)의 목에 부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 환자의 목에 부착하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장애를 해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전극부(200),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와 전기 자극 전극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제어부(300)가 위치하고 있는 본체(400)를 포함한다.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는 본체(400)의 센서 플러그(410)와 센서 케이블(42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환자의 식도로 이동하는 음식물이나 침등에 의해 변조되어 반사되는 초음파의 변조 주기를 측정하여 식도로 들어가는 음식물이나 침의 이동을 확인하고, 초음파의 변조 주기의 이상 등으로 판별되는 삼킴 장애 신호를 측정한다. 특히,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는 목의 인두강 내부의 일련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의 일종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는 초음파를 발신하는 초음파 발신부(110)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120),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가 위치하고 있는 센서 본체(130)를 포함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센서 본체(13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가 각각 별개의 센서 본체(13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는 원형이나 사각형 및 다각형 등의 형상이 가능하며, 초음파 수신부(120)는 초음파 발신부(110)와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초음파 수신부(120)는 초음파 발신부(110)를 둘러싸고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를 연결하는 연결선(115)이 설치되어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간에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사이에는 링 형상의 초음파 흡음부(140)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흡음부(140)는 초음파 발신부(110)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직접 초음파 수신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초음파 흡음부(140)는 흡음 물질을 이용하여 몰딩(molding)의 형태로 초음파 송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초음파 흡음부(140)는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노이즈 차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위에는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를 덮는 초음파 렌즈(150)가 부착되어 있다. 초음파 렌즈(150)는 환자의 목에 접촉 시 피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센서 표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센서 내부를 보호하며, 물리학적 구조 변경으로 초음파의 방사형태를 조절할 수 있어 초음파를 일정 지점으로 포커싱하여 초음파의 집중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자극 전극부(200)는 본체(400)의 전기 자극 플러그(430)와 전기 자극 케이블(44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자극 전극부(200)는 전기 자극 전극(201, 202)을 통해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와 환자의 목에 동시에 부착되어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상부 식도 괄약근의 이완 및 수축을 통해 식도 내로 음식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A), 초음파 센서 컨트롤러(B), 전기 자극 컨트롤러(C), 데이터 수집 장치부(D), 초음파 음성 변환부(E) 및 인터페이스부(F)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A)는 제어부(300) 내의 초음파 센서 컨트롤러(B), 전기 자극 컨트롤러(C), 초음파 음성 변환부(E), 데이터 수집 장치부(D) 및 인터페이스부(F)를 제어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A)는 미리 정해진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에서 특정 주파수의 초음파가 발생하도록 초음파 센서 컨트롤러(B)를 제어한다.
초음파 센서 컨트롤러(B)는 사용 환경에 따라 연속적(continuous) 또는 주기적(pulsed)인 초음파를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에서 발생시키고, 발생된 초음파의 주파수는 2MHz 에서 10MHz 대역의 발진 주기를 가진다.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에서 환자의 목으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의 변조 주기를 측정하여 삼킴 장애 신호가 확인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A)는 미리 정해진 전기 자극의 패턴, 전류의 세기, 전기 자극의 주기 등을 전기 자극 전극부(200)에 전달하도록 전기 자극 컨트롤러(C)를 제어한다.
전기 자극 컨트롤러(C)는 전기 자극 전극부(200)가 식도의 상부 괄약근을 전기 자극하여, 식도 내로 음식물이 유입되고, 음식물이나 침 등이 기도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A)는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에서 측정한 삼킴 장애 신호를 데이터 수집 장치부(D)로 모으고, 데이터 수집 장치부(D)에 모인 삼킴 장애 신호는 저장 장치(500)나 인터페이스부(F)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 분석부(600)로 전송시킨다.
제어부(300)에는 표시 분석부(600)가 연결되어 있으며, 표시 분석부(600)는 삼킴 장애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분석한다.
본체(400)에 저장 장치(500)를 연결하여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500)에 저장된 삼킴 장애 신호는 표시 분석부(600)로 실시간으로 전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400)에는 인터페이스부(F)에 연결된 USB 통신용 포트(310)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USB 통신용 포트(310)를 이용하여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로부터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 분석부(600)로 전송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체(400)에 스피커나 이어폰 등의 음성 변환 장치(700)를 연결하여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를 초음파 음성 변환부(E)에서 음성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목 내에서 음식물이 움직이는 형태를 소리로 변환하여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의 정확한 부착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를 삼킴 장애 환자에게 적용한 사용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1)의 목 중에서 삼킴 장애을 측정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를 부착하고, 식도의 상부 괄약근을 자극할 수 있는 위치에 전기 자극 전극부(200)를 부착한다.
그리고,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를 이용하여 삼킴 장애 신호를 측정하고, 표시 분석부(6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삼킴 장애를 평가하며, 평가된 결과에 따라 전기 자극 전극부(200)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형태의 전기 자극을 주어 음식물이나 침이 기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2개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를 목의 전면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부착하여 환자의 삼킴 장애를 더욱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진단 방법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삼킴 장애 신호를 측정하는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와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장애를 해소하는 전기 자극 전극부(200)를 설치함으로써, 간편하게 삼킴 장애를 측정함과 동시에 전기 자극 전극부(200)를 이용하여 삼킴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는 삼킴 장애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분석하는 표시 분석부(600)를 설치함으로써, 삼킴 관련된 인두강 단계의 일련의 움직임 중 설골갑상연골 거상운동과 식도로의 음식물 유입을 탐지하여 모니터링하면서, 삼킴 장애가 있어 설골갑상연골 거상 운동이 저하되고 식도 이완이 원활하지 않은 환자들에게는 삼킴 관련한 목 근육에 동시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기능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분석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삼킴 장애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는 물, 바나나, 요크르트, 비스켓을 삼켰을 때의 삼킴 장애 신호(51, 52, 53, 54)가 나타나 있으며, 각각의 음식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삼킴 장애 신호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초음파 발신부(110)는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이고, 초음파 수신부(120)는 초음파 발신부(110)와 이격되어 초음파 발신부(110)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이나,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각각 도넛 형상의 반에 해당하는 반 도넛 형상으로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도넛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초음파 발신부와 초음파 수신부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는 초음파를 발신하는 초음파 발신부(110)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120),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가 위치하고 있는 센서 본체(130)를 포함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센서 본체(13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가 각각 별개의 센서 본체(13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는 도넛 형상의 반에 해당하는 반 도넛 형상이며, 초음파 발신부(110)와 마주하고 있는 초음파 수신부(120)도 반 도넛 형상이다. 이러한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를 연결하는 연결선(115)이 설치되어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간에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사이에는 판 형상의 초음파 흡음부(140)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흡음부(140)는 초음파 발신부(110)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직접 초음파 수신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평면상으로 배치하거나, 초음파 흡음부(140)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초음파를 일정 지점으로 포커싱하여 초음파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초음파 발신부와 초음파 수신부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으로 배치되었으나, 초음파 발신부와 초음파 수신부는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는 초음파를 발신하는 초음파 발신부(110)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검출하는 초음파 수신부(120),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가 위치하고 있는 센서 본체(130)를 포함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센서 본체(13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가 각각 별개의 센서 본체(13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는 사각 형상이며, 초음파 발신부(110)와 마주하고 있는 초음파 수신부(120)도 사각 형상이고,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함께 모여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다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를 연결하는 연결선(115)이 설치되어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간에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사이에는 판 형상의 초음파 흡음부(140)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흡음부(140)는 초음파 발신부(110)에서 발생한 초음파 또는 전기적 노이즈가 직접 초음파 수신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평면상으로 배치하거나, 초음파 흡음부(140)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초음파를 일정 지점으로 포커싱하여 초음파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 위에는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를 덮는 초음파 렌즈(150)가 부착되어 있다. 초음파 렌즈(150)는 환자의 목에 접촉되며, 초음파를 일정 지점으로 포커싱하여 초음파의 집중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초음파 발신부와 초음파 수신부는 서로 마주보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었으나, 초음파 발신부를 초음파 수신부가 양쪽에서 마주보도록 초음파 수신부와 초음파 발신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제4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의 초음파 발신부(110)는 긴 막대 형상이며, 초음파 발신부(110)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초음파 수신부(120)도 긴 막대 형상이고,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 발신부(110)를 초음파 수신부(120)가 양쪽에서 둘러싸고 있으므로 초음파를 보다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하나의 초음파 수신부(120) 사이에 판 형상의 초음파 흡음부(140)이 위치하고 있으며, 초음파 발신부(110)와 다른 하나의 초음파 수신부(120) 사이에 판 형상의 초음파 흡음부(140)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초음파 흡음부(140)은 초음파 발신부(110)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직접 초음파 수신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초음파 발신부를 하나의 초음파 수신부가 양쪽에서 마주보도록 초음파 수신부와 초음파 발신부를 배치하였으나, 별도의 예비 초음파 수신부를 배치하는 제5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사시도이다.
제5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비교하여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는 사각 형상의 초음파 발신부(110), 초음파 발신부(110)의 양쪽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한 쌍의 초음파 수신부(120),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가 위치하고 있는 센서 본체(130)를 포함한다. 초음파 수신부(120)는 초음파 발신부(110)를 가운데에 두고 양쪽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초음파 수신부(120)는 주 초음파 수신부(121) 및 주 초음파 수신부(121)와 인접하고 있는 예비 초음파 수신부(122)를 포함한다. 예비 초음파 수신부(122)는 초음파 수신 감도가 약할 경우에 주 초음파 수신부(121)와 함께 작용하여 초음파 수신 감도를 증가시킨다.
초음파 발신부(110)와 하나의 주 초음파 수신부(121) 사이에 판 형상의 초음파 흡음부(140)가 위치하고 있으며, 초음파 발신부(110)와 다른 하나의 주 초음파 수신부(120) 사이에 판 형상의 초음파 흡음부(140)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초음파 흡음부(140)는 초음파 발신부(110)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직접 주 초음파 수신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초음파 발신부(110)와 초음파 수신부(120)를 연결하는 연결선(115)은 초음파 발신부(110)의 초음파 신호를 전달하는 발신 연결선(151), 한 쌍의 주 초음파 수신부(121)간의 초음파 신호를 연결하는 제1 수신 연결선(152), 한쌍의 예비 초음파 수신부(122)간의 초음파 신호를 연결하는 제2 수신 연결선(15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초음파 수신부(120)는 예비 초음파 수신부(122)를 포함하므로 그 수신 범위가 넓어지게 되어 초음파 수신 성능이 우수해진다.
센서 본체(130)의 표면(131)은 중심부가 내려간 곡면이며, 센서 본체(130)에는 센서 홈(130a)이 형성되어 있고, 센서 홈(130a)에 초음파 발신부(110) 및 초음파 수신부(120)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발신부(110) 및 초음파 수신부(120)의 표면은 서로 연결되어 곡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인체의 굴곡에 상관없이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의 접촉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의 인체 밀착도를 향상시키고,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초음파 발신부(110) 및 초음파 수신부(120)의 표면은 노출되어 있으며, 초음파 발신부(110) 및 초음파 수신부(120)의 측면부 및 후면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초음파 발신부(110) 및 초음파 수신부(120)의 측면부 및 후면부가 외부로 노출된다면 노이즈 문제가 발생하고,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의 센서의 내구성에도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 전극(201, 202)을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전기 자극 전극(201, 202)을 초음파 수신부(120)의 외측에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 하나로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본체(130)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벨트 홈(130b)이 형성되어 있으며, 벨트 홈(130b)에 고정용 벨트(1)를 삽입하여 고정용 벨트(1)로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100)를 인체의 목 부분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센싱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환자의 목에 부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
    상기 환자의 목에 부착하며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에서 측정된 삼킴 장애 신호에 따라 상기 환자의 목에 전기 자극을 주어 삼킴 장애를 해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전극부,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와 상기 전기 자극 전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삼킴 장애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분석하는 표시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삼킴 장애 측정용 센서부는 초음파 발신부와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이격되어 있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초음파 발신부를 둘러싸고 있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으로 배치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8. 제3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전체적으로 다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9. 제3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초음파 흡음부를 더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0. 제3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 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초음파 발신부와 상기 초음파 수신부를 덮는 초음파 렌즈를 더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삼킴 장애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삼킴 장애 신호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전기 자극 전극부는 삼킴 장애 시 실시간으로 전기 자극을 주도록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4. 제4항에서,
    상기 초음파 수신부는 주 초음파 수신부 및 상기 주 초음파 수신부와 인접하고 있는 예비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가 위치하고 있는 센서 본체를 더 포함하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는 상기 센서 본체에 형성된 센서 홈에 삽입되어 있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센서 본체의 표면은 곡면인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의 표면은 서로 연결되어 곡면을 이루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초음파 발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의 표면은 노출되어 있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센서 본체의 배면에는 고정용 벨트가 고정되는 벨트 홈이 형성되어 있는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PCT/KR2012/006132 2011-08-03 2012-08-01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WO2013019069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35,842 US9216287B2 (en) 2011-08-03 2012-08-01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eating dysphagia
EP12820271.0A EP2740515B1 (en) 2011-08-03 2012-08-01 Apparatus for measuring and treating dysphagia
JP2014523844A JP5914658B2 (ja) 2011-08-03 2012-08-01 嚥下障害測定および治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03A KR101302193B1 (ko) 2011-08-03 2011-08-03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KR10-2011-0077503 2011-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9069A2 true WO2013019069A2 (ko) 2013-02-07
WO2013019069A3 WO2013019069A3 (ko) 2013-04-04

Family

ID=4762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132 WO2013019069A2 (ko) 2011-08-03 2012-08-01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16287B2 (ko)
EP (1) EP2740515B1 (ko)
JP (1) JP5914658B2 (ko)
KR (1) KR101302193B1 (ko)
WO (1) WO20130190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9767B2 (en) 2011-06-27 2018-06-19 E-Motion Medical, Ltd. Esophageal stimulation system
US10384052B2 (en) 2012-12-24 2019-08-20 E-Motion Medical, Ltd GI tract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US8690578B1 (en) 2013-01-03 2014-04-08 Mark E. Nusbaum Mobile computing weight, diet, nutrition, and exercise tracking system with enhanced feedback and data acquisition functionality
KR102284154B1 (ko) * 2014-08-22 2021-07-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횟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002901A1 (ja) * 2015-06-30 2017-01-05 学校法人兵庫医科大学 嚥下障害検査装置、嚥下障害検査方法、嚥下障害治療装置および刺激電流設定方法
KR101983279B1 (ko) * 2017-03-23 2019-05-3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신경질환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90011067A (ko) 2017-07-24 2019-02-01 이동열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
CN107361794B (zh) * 2017-08-03 2021-01-19 爱纳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超声组件与周围神经刺激器检测运动神经反馈的装置及方法
CN107441638A (zh) * 2017-08-22 2017-12-08 安徽瑞德医疗设备制造有限公司 具有超声和电刺激疗法的集成系统
CN108310629A (zh) * 2018-01-26 2018-07-24 深圳市瑞信隆科技有限公司 一种诱导、刺激和调整吞咽动作的装置
KR102000397B1 (ko) * 2018-05-21 2019-07-15 (재)대구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 설골상근 운동 시스템
CN109350850B (zh) * 2018-11-29 2024-04-19 广州市第一人民医院(广州消化疾病中心、广州医科大学附属市一人民医院、华南理工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用于治疗吞咽障碍的腔内刺激电极
KR102318155B1 (ko) * 2019-06-27 2021-10-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 촬영 각도 보정 기능을 구비한 양수량 자동 측정 방법
KR102270917B1 (ko) * 2019-06-27 2021-07-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모델에 기반한 자궁 양수량 자동 측정 방법
KR102263535B1 (ko) * 2019-07-17 2021-06-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20121227A (ja) * 2020-04-20 2020-08-13 計芳 鈴木 喉筋肉鍛錬装置
KR102539321B1 (ko) * 2020-10-14 2023-06-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삼킴 모니터링 및 훈련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JPWO2022113522A1 (ko) * 2020-11-27 2022-06-02
KR102519498B1 (ko) 2021-05-14 2023-04-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연하 장애 재활 시스템
KR20230108513A (ko) * 2022-01-11 2023-07-18 서울대학교병원 음성 분석을 이용한 연하 장애에 관한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214380Y1 (ko) 1964-09-25 1967-08-16
JPS58201059A (ja) * 1982-05-19 1983-11-22 Toshiba Corp 超音波探触子
JP2736854B2 (ja) 1993-09-02 1998-04-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乳飲量測定装置
US5725564A (en) * 1995-10-27 1998-03-10 Esd Limited Liability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dysphagia with electrical stimulation
US5891185A (en) * 1995-10-27 1999-04-06 Esd Limited Liability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opharyngeal disorders with electrical stimulation
JP4400981B2 (ja) * 2000-02-14 2010-01-20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超音波嚥下物性評価システム
JP2003061957A (ja) * 2001-08-28 2003-03-04 Seiko Instruments Inc 圧電トランスデューサ及び該圧電トランスデューサを用いた脈波検出装置
US7606623B2 (en) 2002-09-27 2009-10-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and devices for intramuscular stimulation of upper airway and swallowing muscle groups
EP2460475A3 (en) * 2005-05-03 2013-02-27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An oral device and kit for use in association therewith
EP2382958B1 (en) * 2005-07-01 2015-01-28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ystems for recovery of motor control via stimulation to a substitute site for an affected area
JP4526472B2 (ja) * 2005-12-02 2010-08-18 仁敬 越久 嚥下障害治療装置
US7660636B2 (en) * 2006-01-04 2010-02-09 Accelerated Care Plus Corp.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ysphagia
US7734351B2 (en) * 2006-12-15 2010-06-08 Medtronic Xo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eglutition
KR100870912B1 (ko) * 2007-08-23 2008-11-28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연하보조용 전기자극장치
ATE520352T1 (de) * 2008-04-11 2011-09-15 Antonio Talluri Verbesserte vorrichtung zur diagnose von dysphagie
JP2011161189A (ja) * 2010-02-10 2011-08-25 Saraya Kk 非線形多変量解析を用いた嚥下障害の検知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740515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9069A3 (ko) 2013-04-04
EP2740515B1 (en) 2017-05-10
EP2740515A2 (en) 2014-06-11
US9216287B2 (en) 2015-12-22
EP2740515A4 (en) 2015-03-25
JP2014529413A (ja) 2014-11-13
KR20130015490A (ko) 2013-02-14
US20140236262A1 (en) 2014-08-21
KR101302193B1 (ko) 2013-08-30
JP5914658B2 (ja)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9069A2 (ko) 삼킴 장애 측정 및 치료 장치
WO2020027360A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사용자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재활 시스템
WO2015076444A1 (ko) 뇌파 측정 및 두뇌 자극 시스템
JP5055502B2 (ja) 生体検査装置
WO2011062315A1 (ko) 인체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전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체내 임피던스 측정과 시술 장치
JP5022782B2 (ja) 生体検査装置
WO2019142995A1 (ko) 신경 자극기
CA3012690A1 (en) Device and system to measure and assess superficial muscle contractile characteristics
US20220110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oking a reflex to monitor the nerves of the larynx
US20090221897A1 (en) Diagnostic Electrode Configuration
Azol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ubmental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hyo-laryngeal kinematic measures of Mendelsohn Maneuver duration
EP2108313B1 (en) Improved apparatus for determining dysphagia
WO2021010645A1 (ko) 식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98640B1 (ko) 뇌파 획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패턴 실험 장치
WO2023003229A1 (ko) 신경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115346A2 (ko) 안면 신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Roberts et al. Impact of dental devices on cochlear implants
WO2020235837A1 (ko) 뇌전증 측정기기 및 뇌전증 측정 시스템
WO2019045321A1 (ko) 바이오 압력센서를 이용한 수술 중 신경감시시스템
US201900598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oking a reflex to monitor the nerves of the larynx
WO2018164342A1 (ko) 수면내시경을 이용한 수면호흡장애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및 수면호흡장애 진단 및 모니터링방법
WO2021101253A2 (ko) 경두개 자기 자극 및 신경 신호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63710A1 (ko) 도전율 단층 영상법을 이용한 상기도 폐쇄 양상의 영상화 및 진단장치
Prahlow et al. An introduction to electromyography: an invited review
US202301087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non-invasive recording of marine mammal sleep in the w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02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35842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384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202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2027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