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09149A2 -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09149A2
WO2013009149A2 PCT/KR2012/005633 KR2012005633W WO2013009149A2 WO 2013009149 A2 WO2013009149 A2 WO 2013009149A2 KR 2012005633 W KR2012005633 W KR 2012005633W WO 2013009149 A2 WO2013009149 A2 WO 201300914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rame
attaching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56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09149A3 (ko
Inventor
채영훈
Original Assignee
(주)아이예스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6950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4186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0719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4186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예스티티 filed Critical (주)아이예스티티
Priority to US14/113,91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047708A1/en
Priority to JP2014518831A priority patent/JP2014525167A/ja
Priority to EP12811122.6A priority patent/EP2733854A4/en
Publication of WO201300914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09149A2/ko
Publication of WO201300914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0914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63/0008Registering, centering the lining material on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Abstract

모바일폰(mobile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쉽게 부착 가능하게 해주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와,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과,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외곽 형상에 맞게 안착되며, 내측에 개방된 창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와의 사이에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끼워져 상기 보호필름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필름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안착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쉽게 부착 가능하게 해주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와,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과,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폰과 같은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scratch)를 억제하고자 보호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PC의 유행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UI(user interface)가 보편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의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보호필름의 사용도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필름을 올바른 위치에 기포 없이 깨끗하게 부착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라면 매우 어렵다. 올바르게 붙여지지 않은 보호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시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UI를 방해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을 정위치에 붙이지 못하여 떼었다 다시 붙이는 경우, 보호필름의 오염으로 가시성 및 부착력이 열화될 수도 있다. 한편, 보호필름 부착의 어려움 때문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기기 자체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필름을 쉽게 붙일 수 있도록 해주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및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외곽 형상에 맞게 안착되며, 내측에 개방된 창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와의 사이에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끼워져 상기 보호필름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필름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안착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의 외곽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된 수직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벽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면 외곽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는 0.5 내지 5mm 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의 외곽 형상에 맞게 안착되도록, 상기 전자기기의 외곽이 끼워지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의 외곽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된 수직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벽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면 외곽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위치 가이드 벽은 상기 수직벽 외곽에서 상기 수직벽보다 하측으로 더 많이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스페이서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보호필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 시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보호필름 부착 모듈은, 상기 구조를 가지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및상기 스페이서와 보호필름 홀더 사이에 외주부가 끼워지는 보호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안착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호필름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 및 상기 보호필름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저면 커버 및 상면 커버가 상기 보호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되어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스페이서와 보호필름 홀더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제1 스페이서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보호필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 시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보호필름 부착 방법은,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보호필름의 점착성 있는 저면이 상기 스페이서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호필름을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스페이서 사이에 끼우는 보호필름 탑재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상기 전자기구에 안착시키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안착 단계와, 상기 보호필름의 중앙부를 상기 전자기기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부착시키는 보호필름 1차 부착 단계와,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상기 보호필름과 분리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이격시키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제거 단계와, 상기 보호필름을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모든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2차 부착 단계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보호필름 탑재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상기 보호필름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가 상기 보호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되어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에 탑재되고, 상기 보호필름 부착 방법은,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안착 단계에 앞서서 상기 저면 커버를 상기 보호필름의 저면에서 분리하는 저면 커버 제거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 2차 부착 단계 이후에 상기 상면 커버를 상기 보호필름의 상면에서 분리하는 상면 커버 제거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 탑재 단계는, 상기 보호필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 시트를 상기 보호필름에 포개어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스페이서 사이에 끼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 부착 방법은,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제거 단계 이후에 상기 삽입 시트를 상기 보호필름으로부터 분리하는 삽입 시트 분리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는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 외곽을 따라서 안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공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휴대기기에 안착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측으로 1 내지 4mm 이격되는 보호필름 안착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더 다른 측면에서의 보호필름 부착 모듈은, 프레임과,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에 지지될 수 있게 절곡된 지지턱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노출시키는 개방 창을 구비한다. 보호필름은 상기 개방 창을 가리도록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턱이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에 지지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변이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붙지 않고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더 더 다른 측면에서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은, 절곡된 지지턱과, 전자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크기의 개방 창을 가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및 상기 개방 창을 가리도록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을 준비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준비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턱을 상기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에 탑재 지지하여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주보고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프레임 탑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의 중앙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보호필름 중앙부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상기 프레임을 상기 보호필름과 분리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레임 제거 단계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을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보호필름 전(全)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전(全) 영역 부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 방법에 의하면, 숙련된 기술자가 아닌 일반인도 용이하게 보호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정확한 위치에 기포 없이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여벌의 보호필름 구매를 위한 비용과 보호필름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와, 이를 구비한 모듈과, 스마트폰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및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스마트폰에 부착된 보호필름으로부터 상면 커버를 벗겨내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의 상면과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와, 이를 구비한 모듈과 스마트폰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스마트폰과 이에 올려진 보호필름 부착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스마트폰에 부착된 보호필름으로부터 상면 커버를 벗겨내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와, 이를 구비한 모듈과, 스마트폰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는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사출 성형물로서, 보호필름(1)을 탑재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구비한 스마트폰(10)에 안착 지지된다.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는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있는 전면(前面)에 부착되는 것이나, 본 발명이 스마트폰(10) 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 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는 프레임(21)과, 프레임 보강부(25)와, 제1 수직벽(28), 제2 수직벽(34), 제1 스페이서(26), 보호필름 홀더(2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2 스페이서(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서는 제1 수직벽(28), 제2 수직벽(34), 제1 스페이서(26), 제2 스페이서(31) 및 보호필름 홀더(23)가 각각 한 쌍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각각 한 쌍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여러 개로 나누어서 있을 수도 있다.
프레임(21)은 스마트폰(10)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21)은 폐곡선 형상이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형상으로서, 즉 코너(corner)가 둥근 사각형 형상으로, 스마트폰(10)의 크기보다 약간 크며, 내측에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노출시키는 개방된 창(22) 형성된다.
프레임 보강부(25)는 프레임(21)의 외주부에서 절곡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강성을 보강하여 프레임(25)의 휨을 억제한다. 엄지와, 다른 네 손가락 중 적어도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프레임 보강부(25)을 잡는 것으로 한 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를 잡고 조작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벽(28)은 프레임(21)의 4방향 직선 구간 중 상대적으로 긴, 서로 마주보는 두 방향의 직선 구간에 마련되고, 한 쌍의 제2 수직벽(34)은 프레임(21)의 4방향 직선 구간 중 상대적으로 짧은, 서로 마주보는 두 방향의 직선 구간에 마련된다. 제1 및 제2 수직벽(28, 34)은 프레임(21)이 스마트폰(10)에 안착할 수 있도록 프레임(21)에서 스마트폰(10)을 향해 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를 스마트폰(10)에 씌우면 스마트폰(10)이 제1 및 제2 수직벽(28, 34)에 의해 한정되는 내측 공간에 끼워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가 스마트폰(10)에 안착된다.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는 한 쌍의 제1 수직벽(28)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스페이서(31)는 한 쌍의 제2 수직벽(34)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프레임(21)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가 스마트폰(10)에 안착된 때 제1 스페이서(26)의 저면과 제2 스페이서(31)의 저면이 스마트폰(10)의 외곽 모서리(14)에 접촉 지지되므로, 프레임(21)이 스마트폰(10)과 맞닿지 않고 이격된다.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23)는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보다 높게 위치하며 프레임(21)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와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23) 사이에 보호필름(1)의 외주부가 끼워져 보호필름(1)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에 탑재된다. 상면 커버(2)와 저면 커버(3)까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보호필름(1)이 상기 제1 스페이서(26)와 보호필름 홀더(23)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고 또한 의도하지 않게 그 곳에서 보호필름(1)이 빠지지 않도록 제1 스페이서(26)와 보호필름 홀더(23) 사이의 간격(G1)은 0.5mm 내지 2mm 이다.
한편, 보호필름(1)의 외주면이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와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23) 사이에 끼워진 후 그 곳에서 의도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즉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 시트(9)가 보호필름(1)에 포개어져 상기 보호필름(1)과 함께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23)와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 사이에 끼워진다.
보호필름 홀더(23)가 사각 형상 프레임(21)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길이는 제1 스페이서(26)가 사각 형상 프레임(21)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크다. 제1 스페이서(26)와 보호필름 홀더(23) 사이에 끼워진 보호필름(1)이 도 1에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의 위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도 1에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의 아래에서 위를 향한 방향으로 보호필름(1)을 넣어 보호필름(1)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에 탑재하기 위함이다. 보호필름 홀더(23)의 돌출 길이는 8mm 내지 20mnm 이고, 제1 스페이서(26)의 돌출 길이는 2mm 내지 7mm 이다.
보호필름(1)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에 탑재할 때 또는 보호필름(1)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로부터 분리될 때 용이하게 탑재 또는 분리되고 보호필름(1)에 스크래치(scratch)와 같은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의 양측 단부(27)는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또한, 보호필름(1)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에 탑재할 때 또는 보호필름(1)에 부착되어 있는 저면 커버(3)를 보호필름(1)에서 벗겨낼 때 방해되지 않도록, 프레임 보강부(25)의 일 측 코너(corner)에는 홈부(37)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37)에 대해서는 보호필름 부착 방법에서 다시 한번 후술한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 및 프레임(21)이 스마트폰(10)에 안착된 때 보호필름(1)의 외주부는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에 지지되므로, 보호필름(1)은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이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1) 사이가 적절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게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의 두께(T1)는 0.5mm 내지 5mm 이다.
보호필름(1)은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의 개방된 창(22)을 가리도록 탑재된다. 보호필름(1)은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scratch)을 억제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고자 부착된다. 보호필름(1)의 저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될 수 있게 점착성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보호필름(1)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3)와, 보호필름(1)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2)가 각각 보호필름(1)의 아래와 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된 필름 세트가 제품으로 제공된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보호필름(1)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저면 커버(3)와 상면 커버(2)가 보호필름(1)에서 분리되는데, 용이하게 분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저면 커버(3)의 일 측 코너(corner)에 저면 커버 분리용 스티커(7)가 부착되고, 상기 일 측 코너와 겹쳐지지 않는 상면 커버(2)의 타 측 코너에 상면 커버 분리용 스티커(6)가 부착된다. 상술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와, 보호필름(1), 상면 필름(2), 및 저면 필름(3)으로 이루어진 필름 세트와, 삽입 시트(9)가 보호필름 부착 모듈을 구성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를 이용한 보호필름(1) 부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및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스마트폰에 부착된 보호필름으로부터 상면 커버를 벗겨내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보호필름(1)을 부착하는 방법은 보호필름(1) 탑재 단계, 저면 커버(3) 제거 단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 안착 단계, 보호필름(1) 1차 부착 단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 제거 단계, 삽입 시트(9) 분리 단계, 보호필름 2차 부착 단계, 및 상면 커버(2) 제거 단계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를 먼저 참조하면, 보호필름(1) 탑재 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1)과 이에 부착된 상면 커버(2) 및 저면 커버(3)로 이루어진 필름 세트를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23)와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 사이에 끼워 빠지지 않게 탑재한다. 이 때, 보호필름(1), 다시 말해 상기 필름 세트가 빠지지 않도록 삽입 시트(9)를 상기 필름 세트에 포개어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23)와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 사이에 끼워준다. 저면 커버(3) 제거 단계에서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에 탑재된 상기 필름 세트에 부착된 저면 커버 분리용 스티커(7)의 일부를 잡아 당겨 저면 커버(3)를 보호 필름(1)에서 분리하고, 보호필름(1)의 점착성 있는 저면을 노출시킨다. 저면 커버(3)가 보호필름(1)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더욱 플렉서블(flexible)하기 때문에 보호필름(1)은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에 탑재된 채 저면 커버(3)만 보호필름(1)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에 형성된 홈부(37)로 인해 저면 커버 분리용 스터커(7)를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 안착 단계에서는 한 쌍의 제1 수직벽(28)과 한 쌍의 제2 수직벽(34) 내측에 스마트폰(10)이 놓이고, 한 쌍의 제1 스페이서(26) 및 한 쌍의 제2 스페이서(31)가 스마트폰(10)의 외곽 모서리(14)에 지지되도록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를 스마트폰(10)에 씌워 안착시킨다. 이때, 보호필름(1)의 중앙부 및 외주부는 모두 스마트폰(10) 전면(前面)의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0.5mm 내지 5mm 정도 이격된다.
보호필름(10) 1차 부착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의 중앙부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스마트폰(10) 측으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부에 부착시킨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 제거 단계에서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를 보호필름(1)과 분리하고, 스마트폰(1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보호필름(1)은 그 저면의 중앙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보강부(25)를 손으로 잡고 위로 들어 올리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만 스마트폰(10)에서 제거되며, 보호필름(1)의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대한 정렬 상태는 흐트러지지 않는다. 삽입 시트(9) 분리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 위에 포개어진 삽입 시트(9)를 보호필름(1)으로부터 분리한다. 삽입 시트(9)가 보호필름(1)이나 상면 커버(2)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보호필름(1) 2차 부착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보호필름(1)의 모든 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한다.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밀면서 보호필름(1)을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1) 사이의 공기가 보호필름(1)의 외주변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1) 사이에 기포 형성이 억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면 커버(2) 제거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에 적층되어 있던 상면 커버(2)를 보호필름(1)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한다. 상면 커버(2)에 부착된 상면 커버 분리용 스티커(6)의 일부를 잡아 당김으로써 보호필름(1)의 손상이나 보호필름(1)의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분리 없이 용이하게 상면 커버(2)를 보호필름(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을 이용한 방법으로 부착된 보호필름(1)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대해 위치가 비뚤어지거나 기포가 형성되지 않고 깨끗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의 상면과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 또한 도 1에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20)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사출 성형물로서, 보호필름(1)을 탑재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구비한 스마트폰(10)에 안착 지지된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는 프레임(51)과, 프레임 보강부(55)와, 수직벽(58), 한 쌍의 스페이서(56),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 벽(61, 63), 하측 돌기(66), 및 상측 돌기(68)를 구비한다.
프레임(51)은 스마트폰(10)의 외곽 형상에 맞게 안착된다. 프레임(51)은 코너(corner)가 둥근 폐곡선 형상이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형상으로서, 스마트폰(10)의 크기보다 약간 크며, 내측에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노출시키는 개방된 창(52) 형성된다. 프레임 보강부(55)는 프레임(51)의 외주부에서 절곡되어 아래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강성을 보강하여 프레임(51)의 휨을 억제한다. 엄지와, 다른 네 손가락 중 적어도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프레임 보강부(55)을 잡는 것으로 한 손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를 잡고 조작할 수 있다.
수직벽(58)은 프레임(51)의 외곽에서 아래측으로 수직 돌출된다. 수직벽(58)은 전자기기(10)의 상면 외곽의 모서리(14) 주변에 안착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스페이서(56)는 프레임(51)으로부터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51)에서 수직 돌출된 상기 수직벽(58)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가 스마트폰(10)에 안착된 때 한 쌍의 스페이서(56)의 저면이 스마트폰(10)의 상면 외곽의 모서리(14) 부근에 접촉 지지되므로, 프레임(51)이 스마트폰(10)과 맞닿지 않고 이격된다.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는 한 쌍의 스페이서(56)보다 높게 위치하며 프레임(51)과 같은 높이로 프레임(51)으로부터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스페이서(56)와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 사이에 보호필름(1)의 외주부가 끼워져 보호필름(1)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에 탑재된다. 상면 커버(2)와 저면 커버(3)까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는 보호필름(1)이 상기 스페이서(56)와 보호필름 홀더(53)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고 또한 의도하지 않게 그 곳에서 보호필름(1)이 빠지지 않도록 스페이서(56)와 보호필름 홀더(53) 사이의 간격(G2)은 0.5mm 내지 2mm 이다.
한편, 보호필름(1)의 외주면이 한 쌍의 스페이서(56)와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 사이에 끼워진 후 그 곳에서 의도하지 않게 빠지지 않도록, 즉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 시트(9)가 보호필름(1)에 포개어져 상기 보호필름(1)과 함께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와 한 쌍의 스페이서(56) 사이에 끼워진다.
보호필름 홀더(53)가 사각 형상 프레임(51)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길이는 스페이서(56)가 사각 형상 프레임(51)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크다. 스페이서(56)와 보호필름 홀더(53) 사이에 끼워진 보호필름(1)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의 위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의 아래에서 위를 향한 방향으로 보호필름(1)을 넣어 보호필름(1)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에 탑재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 벽(61, 63)은 스마트폰(10)의 외곽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의 중앙부에 정렬되어 끼워지도록 프레임(51)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 벽(61, 63)에 의해 프레임(51)이 스마트폰(10)의 외곽 형상에 맞게 안착된다. 제1 위치 가이드 벽(61)은 프레임 보강부(55)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벽(58)의 외곽까지 돌출된 돌기 형상이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가 스마트폰(10)에 안착되면 제1 위치 가이드 벽(61)의 말단이 스마트폰(10)의 측면(15)을 접촉하여 정렬된 안착 위치를 안내한다. 제2 위치 가이드 벽(63)은 프레임(51)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스마트폰(10)의 외곽(14) 모서리 라인(line)과 평행하게 연장된 돌기 형상이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가 스마트폰(10)에 안착되면 제2 위치 가이드 벽(63)의 측면이 스마트폰(10)의 측면(15)을 접촉하여 정렬된 안착 위치를 안내한다.
도 7에는 제1 위치 가이드 벽(61)이 6개, 제2 위치 가이드 벽(63)이 1개 개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들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수직벽(58)과 한 쌍의 스페이서(56)는 프레임(51)의 아래로 동등한 높이로 돌출되나,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 벽(61, 63)은 수직벽(58)에서 수직벽(58)보다 아래로 더 많이 돌출된다.
한 쌍의 스페이서(56)의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 사이에 끼워지는 보호필름(1)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고 또한 정렬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의 하측 돌기(66) 및 상측 돌기(68)가 구비된다. 상측 돌기(68)는 보호필름 홀더(53)가 돌출되지 않은 영역에서 프레임(5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하측 돌기(66)는 보호필름 홀더(53)가 돌출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측 돌기(68)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수직벽(58)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측 돌기(68)가 하측 돌기(66)보다 높게 위치하며, 프레임(51)의 내주 경계로부터 0.1mm 내지 2mm 크기로 돌출된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가 스마트폰(10)에 안착된 때 보호필름(1)의 외주부는 한 쌍의 스페이서(56)에 지지되므로, 보호필름(1)은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이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1) 사이가 적절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게 한 쌍의 스페이서(56)의 두께(T2)는 0.5mm 내지 5mm 이다.
보호필름(1)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와, 보호필름(1), 상면 필름(2), 및 저면 필름(3)으로 이루어진 필름 세트와, 삽입 시트(9)가 보호필름 부착 모듈을 구성한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를 이용한 보호필름(1) 부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보호필름(1)을 부착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호필름(1) 탑재 단계, 저면 커버(3) 제거 단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 안착 단계, 보호필름(1) 1차 부착 단계,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 제거 단계, 삽입 시트(9) 분리 단계, 보호필름 2차 부착 단계, 및 상면 커버(2) 제거 단계를 구비한다.
보호필름(1) 탑재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과 이에 부착된 상면 커버(2) 및 저면 커버(3)로 이루어진 필름 세트를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와 한 쌍의 스페이서(56) 사이에 끼워 빠지지 않게 탑재한다. 이 때, 보호필름(1), 다시 말해 상기 필름 세트가 빠지지 않도록 삽입 시트(9)를 상기 필름 세트에 포개어 한 쌍의 보호필름 홀더(53)와 한 쌍의 스페이서(56) 사이에 끼워준다. 저면 커버(3) 제거 단계에서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에 탑재된 상기 필름 세트에 부착된 저면 커버 분리용 스티커(7)(도 1 참조)의 일부를 잡아 당겨 저면 커버(3)를 보호 필름(1)에서 분리하고, 보호필름(1)의 점착성 있는 저면을 노출시킨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 안착 단계에서는 복수의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 벽(61, 63) 내측에 스마트폰(10)이 놓이고, 한 쌍의 스페이서(56) 및 수직벽(58)이 스마트폰(10)의 외곽 모서리(14) 부근에 지지되도록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를 스마트폰(10)에 씌워 안착시킨다. 이때, 보호필름(1)의 중앙부 및 외주부는 모두 스마트폰(10) 상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0.5mm 내지 5mm 정도 이격된다.
보호필름(1) 1차 부착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의 중앙부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스마트폰(10) 측으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부에 부착시킨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 제거 단계에서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를 보호필름(1)과 분리하고, 스마트폰(1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보호필름(1)은 그 저면의 중앙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보강부(55)를 손으로 잡고 위로 들어 올리면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만 스마트폰(10)에서 제거되며, 보호필름(1)의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대한 정렬 상태는 흐트러지지 않는다. 삽입 시트(9) 분리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 위에 포개어진 삽입 시트(9)를 보호필름(1)으로부터 분리한다. 삽입 시트(9)가 보호필름(1)이나 상면 커버(2)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보호필름(1) 2차 부착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의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보호필름(1)의 모든 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한다.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밀면서 보호필름(1)을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1) 사이의 공기가 보호필름(1)의 외주변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1) 사이에 기포 형성이 억제된다.
상면 커버(2) 제거 단계에서는, 보호필름(1)에 적층되어 있던 상면 커버(2)를 보호필름(1)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한다(도 5 참조). 상면 커버(2)에 부착된 상면 커버 분리용 스티커(6)(도 5 참조)의 일부를 잡아 당김으로써 보호필름(1)의 손상이나 보호필름(1)의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분리 없이 용이하게 상면 커버(2)를 보호필름(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50)을 이용한 방법으로 부착된 보호필름(1)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대해 위치가 비뚤어지거나 기포가 형성되지 않고 깨끗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은 스마트폰(10)의 평면 형상 및 크기보다 약간 큰 4각형 테두리(212)를 구비한 프레임(211)과, 상기 프레임(21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필름(220)을 구비한다. 도시된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은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있는 전면(前面)에 부착되는 것이나, 본 발명이 스마트폰(10) 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1)은 테두리(212)의 가운데에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노출시키는 개방 창(213)을 구비하고, 테두리(212)의 4방향 직선 구간에는 스마트폰(10)의 외주 모서리(14)에 지지될 수 있게 절곡된 복수의 지지턱(215)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211)은 예컨대, 플라스틱(plastic), 종이, 금속 등으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고, 그 중 하나로 예로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212)의 4방향 직선 구간 중 서로 마주보는 2방향 직선 구간에는 상대편 직선 구간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스페이서(spacer)(217)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217)의 저면은 상기 프레임(211)을 스마트폰(10) 위에 탑재했을 때 스마트폰(10)의 상측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있는 측면 상에 지지된다. 상기 스페이서(217)에는 보호필름(220)의 외주변이 지지된다. 따라서,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이 스마트폰(10) 위에 탑재된 때, 즉 프레임(211)의 지지턱(215)이 스마트폰(10)의 외주 모서리(14)에 지지된 때 보호필름(220)을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이격시킨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다르게 테두리(212)의 4방향 직선 구간에 모두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보호필름(220)은 프레임(211)의 개방 창(213)을 가리도록 부착된다. 보호필름(220)은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scratch)을 억제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고자 부착된다. 보호필름(220)의 저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될 수 있게 점착성을 갖는다. 보호필름(220)은 스페이서(217)에 외주변이 지지되며, 보호필름(220) 저면의 점착성 때문에 큰 충격이 없는 한 프레임(211)에 대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220)이 프레임(21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점착 테이프(225)를 이용하여 보호필름(220)을 프레임(211)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턱(215)은 상기 프레임(211)이 상기 스마트폰(10)에 안착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측으로 1 내지 4m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호필름(220)이 상기 스페이서(217)에 안착되면, 상기 보호필름(22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평행하게 1 내지 4mm의 간격을 가지게 배치된다. 상기 보호필름(22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1mm 미만의 간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211)이 상기 스마트폰(10)에 고정 완료되기 전, 즉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기 전, 상기 보호필름(220)이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고, 상기 보호필름 부착 보조부재(100)를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22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4mm를 초과하는 간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보호필름(220)의 중앙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 중앙부에 부착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220)의 단부가 상기 스페이서(217)로부터 떨어져서 그 부착 위치가 정확한 위치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보호필름(220)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기공이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17)의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의 돌출길이는 0.5mm 내지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217)의 돌출길이가 0.5mm 미만인 경우 상기 보호필름(220)과 안착되는 면이 너무 작아서 상기 보호필름(220)이 잘 안착되지 않거나, 잘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17)의 돌출길이가 4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220)과 안착되는 면이 너무 넓어서, 이들 사이에 이물질이 발생하거나, 상기 프레임(211)을 상기 스마트폰(10)에 분리시에 잘 분리되지 않아서, 보호필름(220)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보호필름(220)이 평평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맞닿는 보호필름(220)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222)와, 보호필름(220)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223)가 각각 보호필름(220)의 아래와 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될 수도 있다. 적층된 저면 커버(222), 보호필름(220), 및 상면 커버(223)로 이루어진 필름 세트가 프레임(211)에 부착되어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저면 커버(222)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저면 커버(222)를 탈착시키기 위한 저면 커버 탈착용 스티커(228)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상면 커버(223) 일측에는 상기 상면 커버(223)를 탈착시키기 위한 상면 커버 탈착용 스티커(227)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보호필름(220)을 부착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을 준비하고, 저면 커버(222), 보호필름(220), 및 상면 커버(223)로 이루어진 필름 세트에서 저면 커버(222)를 분리하여 보호필름(220)의 점착면을 노출시킨다. 이 경우, 저면 커버(222)는 저면 커버 탈착용 스티커(228)를 손으로 잡아서 개방창 하측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저면 커버(222)가 보호필름(220)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이 보호필름(220)을 통해 보이도록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을 스마트폰(10)에 씌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11)의 지지턱(215)을 스마트폰(10)의 외주 모서리(14)에 대해 정렬하여 내려 놓으면 상기 지지턱(215)이 모서리(14)에 탑재되고, 상기 모서리(14)가 지지턱(215)을 지지한다. 이때에 보호필름(220)의 점착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마주보고 있으나, 보호필름(220)은 점착 테이프(225)(도 9 참조)에 부착되고 스페이서(217)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붙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11의 화살표와 같이 보호필름(220)의 중앙부를 디스플레이 패널(12) 측으로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225)를 보호필름(220) 및 프레임(211)으로부터 떼어내고, 프레임(211)을 스마트폰(10)의 모서리(14)에서 이격시켜 보호필름(220)과 프레임(211)을 분리한다. 보호필름(220)은 점착면의 중앙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점착되어 있으므로 프레임(211)과 분리되어도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대한 위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보호필름(220)을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보호필름(220)의 전(全) 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부착한다.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밀면서 보호필름(220)을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220) 사이의 공기가 보호필름(220)의 외주변으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보호필름(220) 사이에 기포 형성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필름(220)에 적층되어 있던 상면 커버(223)를 보호필름(22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한다. 이 경우, 상면 커버(223)는 상면 커버 탈착용 스티커(227)를 손으로 잡아서 분리시킬 수 있다.
보호필름 부착 모듈(200)을 이용한 방법으로 부착된 보호필름(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2)에 대해 위치가 비뚤어지거나 기포가 형성되지 않고 깨끗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UI(user interface) 산업 등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9)

  1.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외곽 형상에 맞게 안착되며, 내측에 개방된 창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와의 사이에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끼워져 상기 보호필름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필름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안착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의 외곽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된 수직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벽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면 외곽에 안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는 0.5 내지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의 외곽 형상에 맞게 안착되도록, 상기 전자기기의 외곽이 끼워지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의 외곽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된 수직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벽은 상기 전자기기의 상면 외곽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위치 가이드 벽은 상기 수직벽 외곽에서 상기 수직벽보다 하측으로 더 많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스페이서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보호필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 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및,
    상기 스페이서와 보호필름 홀더 사이에 외주부가 끼워지는 보호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전자기기에 안착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부가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 및 상기 보호필름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저면 커버 및 상면 커버가 상기 보호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되어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스페이서와 보호필름 홀더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스페이서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보호필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 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보호필름의 점착성 있는 저면이 상기 스페이서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호필름을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스페이서 사이에 끼우는 보호필름 탑재 단계;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전자기기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상기 전자기구에 안착시키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안착 단계;
    상기 보호필름의 중앙부를 상기 전자기기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부착시키는 보호필름 1차 부착 단계;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상기 보호필름과 분리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이격시키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제거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을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상기 보호필름의 모든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2차 부착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탑재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상기 보호필름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가 상기 보호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되어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에 탑재되고,
    상기 보호필름 부착 방법은,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안착 단계에 앞서서 상기 저면 커버를 상기 보호필름의 저면에서 분리하는 저면 커버 제거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 2차 부착 단계 이후에 상기 상면 커버를 상기 보호필름의 상면에서 분리하는 상면 커버 제거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탑재 단계는, 상기 보호필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 시트를 상기 보호필름에 포개어 상기 보호필름 홀더와 스페이서 사이에 끼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 부착 방법은,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제거 단계 이후에 상기 삽입 시트를 상기 보호필름으로부터 분리하는 삽입 시트 분리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방법.
  13.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에 지지될 수 있게 절곡된 지지턱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노출시키는 개방 창을 구비한 프레임; 및,
    상기 개방 창을 가리도록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턱이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에 지지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변이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붙지 않고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턱이 상기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에 지지된 때 상기 보호필름의 외주변을 지지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점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맞닿는 상기 보호필름의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가 상기 보호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17. 절곡된 지지턱과, 전자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크기의 개방 창을 가진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및 상기 개방 창을 가리도록 상기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을 준비하는 보호필름 부착 모듈 준비 단계;
    상기 지지턱을 상기 전자기기의 외주 모서리에 탑재 지지하여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주보고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프레임 탑재 단계;
    상기 보호필름의 중앙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보호필름 중앙부 부착 단계;
    상기 프레임을 상기 보호필름과 분리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레임 제거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을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가압 범위를 확장하여 보호필름 전(全)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보호필름 전(全) 영역 부착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 부착 모듈 준비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맞닿는 상기 보호필름의 저면의 점착성을 보존하는 저면 커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상면의 오염 및 훼손을 억제하는 상면 커버가 상기 보호필름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부착되어 상기 보호필름과 함께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프레임 탑재 단계에 앞서서 상기 저면 커버를 상기 보호필름의 저면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 전 영역 부착 단계 이후에 상기 상면 커버를 상기 보호필름의 상면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19.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 외곽을 따라서 안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공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휴대기기에 안착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측으로 1 내지 4mm 이격되는 보호필름 안착부를포함하는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PCT/KR2012/005633 2011-07-13 2012-07-13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WO2013009149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13,910 US20140047708A1 (en) 2011-07-13 2012-07-13 Apparatus for attaching protection film, protection film attach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ttaching protection film using the appratus for attaching protection film
JP2014518831A JP2014525167A (ja) 2011-07-13 2012-07-13 保護フィルム付着用器具、それを備えた保護フィルム付着モジュール、及び保護フィルム付着用器具を利用した保護フィルム付着方法
EP12811122.6A EP2733854A4 (en) 2011-07-13 2012-07-13 PROTECTIVE FILM ATTACHMENT DEVICE, PROTECTIVE FILM ATTACHMENT MODU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USING THE PROTECTIVE FILM ATTA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502A KR101341865B1 (ko) 2011-07-13 2011-07-13 보호필름 부착용 모듈
KR10-2011-0069502 2011-07-13
KR10-2012-0071981 2012-07-02
KR1020120071981A KR101341869B1 (ko) 2012-07-02 2012-07-02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9149A2 true WO2013009149A2 (ko) 2013-01-17
WO2013009149A3 WO2013009149A3 (ko) 2013-05-30

Family

ID=4750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5633 WO2013009149A2 (ko) 2011-07-13 2012-07-13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47708A1 (ko)
EP (1) EP2733854A4 (ko)
JP (1) JP2014525167A (ko)
WO (1) WO2013009149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2246A (ja) * 2012-06-18 2014-01-09 Sanko Soken Kk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フィルム積層体、及び保護フィルム貼付用セット
JP2014166727A (ja) * 2013-02-28 2014-09-11 Fujicopian Co Ltd 保護フィルムの貼り付け補助具
JP2014239823A (ja) * 2013-06-12 2014-12-25 株式会社松本製作所 貼付機、貼付機で貼着された遊技板及び貼着部材を被貼着部材に貼着する貼着方法
JP2015173708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松本製作所 貼付機、貼付機で貼着された遊技板及び貼着部材を被貼着部材に貼着する貼着方法
JP2015215587A (ja) * 2014-04-25 2015-12-03 エレコム株式会社 フィルム貼付補助具
US9918418B2 (en) 2011-02-18 2018-03-1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931823B2 (en) 2011-02-18 2018-04-0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0021818B2 (en) 2011-02-18 2018-07-10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CN109715006A (zh) * 2016-09-27 2019-05-0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薄膜贴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1134S1 (en) * 2011-02-18 2023-10-10 Apple Inc. Display for a portable display device
TWM449696U (zh) * 2012-11-13 2013-04-01 Zhan-Rong Xu 螢幕保護貼之diy貼合裝置
USD811406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US11772320B2 (en) 2013-08-08 2023-10-03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675817B2 (en) 2013-08-08 2020-06-09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D812061S1 (en) 2016-05-27 2018-03-06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US9902111B2 (en) 2013-08-08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Cradle device,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overlay applicator machine
US10155370B2 (en) * 2013-08-08 2018-12-18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782746B2 (en) 2013-08-08 2020-09-22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for an electronic device
USD751557S1 (en) 2013-12-20 2016-03-15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759640S1 (en) 2013-12-20 2016-06-21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767550S1 (en) 2014-01-27 2016-09-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for electronic device
CN105228390B (zh) * 2014-06-11 2018-02-13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0475419Y1 (ko) * 2014-08-20 2014-12-01 서경림 모바일 단말기의 액정보호부재 부착케이스
KR200478168Y1 (ko) * 2015-01-14 2015-09-03 서경림 모바일 단말기의 보호부재 부착케이스
JP5841681B1 (ja) * 2015-02-26 2016-01-13 株式会社パワーサポート 保護具
JP6539340B2 (ja) * 2015-04-13 2019-07-03 トリニティ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画面への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
USD785612S1 (en) * 2015-06-01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JP5845370B1 (ja) * 2015-06-18 2016-01-20 パナック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
JP6662586B2 (ja) * 2015-07-16 2020-03-11 株式会社Msソリューションズ 貼付治具兼用包装部材および貼付方法
CN105182590B (zh) * 2015-10-10 2018-10-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JP5897761B1 (ja) * 2015-10-30 2016-03-30 大 竹原 タブレットデバイスの背面および側面部分に柔軟な表皮材を貼り付けて外装被覆すること
JP6279534B2 (ja) * 2015-11-18 2018-02-14 株式会社Kalbas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カバーの貼付治具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カバーの貼り付けキット
USD800128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1408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26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1405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29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1404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31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27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30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7945S1 (en) 2016-05-27 2018-05-15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2594S1 (en) 2016-05-27 2017-11-14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1407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788736S1 (en) * 2016-05-31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D795214S1 (en) * 2016-06-10 2017-08-22 Black & Decker Inc. Electronic device
USD833439S1 (en) 2016-09-15 2018-11-13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USD812062S1 (en) 2016-09-15 2018-03-06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KR102035053B1 (ko) * 2017-08-04 2019-10-22 (주)화이트스톤 스마트 기기의 액정화면 보호부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USD863307S1 (en) * 2017-09-26 2019-10-15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for smart phone
USD863308S1 (en) * 2017-09-26 2019-10-15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for smart phone
US11665269B2 (en) * 2018-12-21 2023-05-30 Otter Products, Llc Tool for installing a screen protector on an electronic device
US10751931B1 (en) * 2019-02-27 2020-08-25 Hsiang-Pin Hsu Packaging box of covering film and film applicator
USD939929S1 (en) * 2019-03-07 2022-01-04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USD940536S1 (en) * 2019-03-07 2022-01-11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USD939930S1 (en) * 2019-03-07 2022-01-04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USD939931S1 (en) * 2019-03-07 2022-01-04 Whitestone Co., Ltd. Jig for attaching display protection film
DE102019206383B3 (de) * 2019-05-03 2020-09-10 Audi Ag Deckfolie für einen Bildschirm eines Geräts sowie Anzeigesystem mit einer derartigen Deckfolie sowie dem Gerät mit dem Bildschirm
US11186031B2 (en) 2019-08-12 2021-11-30 Otter Products, Llc Apparatus for installing a screen protector on an electronic device
USD997147S1 (en) * 2020-05-20 2023-08-29 Doria International Inc Case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or the like
CN212829306U (zh) * 2020-06-02 2021-03-30 深圳市沃卡斯科技有限公司 一种便利型贴膜器
USD973472S1 (en) * 2020-09-15 2022-12-27 Shenzhen walkas Technology Co., Ltd Mobile phone film applicator
USD975523S1 (en) * 2020-12-18 2023-01-17 Guangzhou Zifriend Communicate Technology Co. Ltd Applicator for mobile phone screen protector installation
USD934850S1 (en) * 2021-06-04 2021-11-02 Shenzhen Guangyipeng Technology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11736137B2 (en) * 2021-08-05 2023-08-22 Shouyun Wang Mobile phone film attaching device equipped with reinforced glass film
USD987413S1 (en) * 2022-04-28 2023-05-30 Shengjie Zhou Film applicator
USD994462S1 (en) * 2022-06-13 2023-08-08 Shengjie Zhou Film applicator
CN217575749U (zh) * 2022-06-18 2022-10-14 深圳市迈诺腾飞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除尘功能的手机屏幕保护膜及贴膜辅助装置
USD981213S1 (en) * 2022-07-11 2023-03-21 Shengjie Zhou Film applicator
USD1013473S1 (en) * 2023-07-12 2024-02-06 Shenzhen Zhihengda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Film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865A (ja) * 2005-05-16 2006-11-24 Sharp Corp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面状部材
KR20070034707A (ko) *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07243589A (ja) * 2006-03-08 2007-09-20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シート着脱装置及び電子機器
JP5014666B2 (ja) * 2006-04-27 2012-08-29 京セラ株式会社 表示器組み込み保持部品及び表示器取り付け方法
KR200451335Y1 (ko) * 2009-03-09 2010-12-09 주식회사 마이크로패닉스 휴대폰 액정 윈도우용 필름 조립체
JP4905485B2 (ja) * 2009-03-13 2012-03-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保護板一体型表示装置
US9033019B2 (en) * 2011-02-18 2015-05-19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KR20110044190A (ko) * 2011-04-08 2011-04-28 김영훈 칼라가 구비된 지문방지용 화면보호필름 및 투명 수납 케이스
KR200454225Y1 (ko) * 2011-04-11 2011-06-23 김상민 화면보호필름 부착 트레이 및 화면보호필름 부착 키트
US20130098549A1 (en) * 2011-10-19 2013-04-25 Invisible Gadget Guard, Inc. Protective film covering an electronic device which can be applied wet or dry
TW201321170A (zh) * 2011-11-29 2013-06-01 Askey Technology Jiang Su Ltd 貼膜裝置及貼膜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5445B2 (en) 2011-02-18 2020-02-04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918418B2 (en) 2011-02-18 2018-03-1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931823B2 (en) 2011-02-18 2018-04-0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0021818B2 (en) 2011-02-18 2018-07-10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1155067B2 (en) 2011-02-18 2021-10-26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1357143B2 (en) 2011-02-18 2022-06-07 Superior Communications, Inc.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JP2014002246A (ja) * 2012-06-18 2014-01-09 Sanko Soken Kk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フィルム積層体、及び保護フィルム貼付用セット
JP2014166727A (ja) * 2013-02-28 2014-09-11 Fujicopian Co Ltd 保護フィルムの貼り付け補助具
JP2014239823A (ja) * 2013-06-12 2014-12-25 株式会社松本製作所 貼付機、貼付機で貼着された遊技板及び貼着部材を被貼着部材に貼着する貼着方法
JP2015173708A (ja) * 2014-03-13 2015-10-05 株式会社松本製作所 貼付機、貼付機で貼着された遊技板及び貼着部材を被貼着部材に貼着する貼着方法
JP2015215587A (ja) * 2014-04-25 2015-12-03 エレコム株式会社 フィルム貼付補助具
CN109715006A (zh) * 2016-09-27 2019-05-0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薄膜贴附装置
CN109715006B (zh) * 2016-09-27 2021-09-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薄膜贴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3854A2 (en) 2014-05-21
US20140047708A1 (en) 2014-02-20
WO2013009149A3 (ko) 2013-05-30
JP2014525167A (ja) 2014-09-25
EP2733854A4 (en)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09149A2 (ko)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WO2012141505A2 (ko) 화면보호필름 부착 트레이 및 화면보호필름 부착 키트
KR200464476Y1 (ko)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키트
WO2014021486A1 (ko)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 시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US9192086B2 (en) Application device for screen protector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WO2014015487A1 (zh) 液晶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和背板组件
WO2014046337A1 (ko)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구,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키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1341865B1 (ko) 보호필름 부착용 모듈
KR20120071195A (ko) 보호필름유닛 및 이를 사용한 패널의 조립방법
WO2013036017A2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보호용 강화유리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4003495A1 (ko)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구조체
WO2017126796A1 (ko)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WO2021137373A1 (en) Pcb assembly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
US9119449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protective cover
JP7054941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WO2014003494A1 (ko)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WO2023027349A1 (ko)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WO2019198954A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WO2019231040A1 (ko) 보호필름 구조체 및 이의 접착 방법
WO2019088585A1 (ko) 전자 가격 표시 장치
WO2021137493A1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WO2013047985A1 (ko) 액정디스플레이 보호용 강화유리커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WO2018012865A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WO2019172534A1 (ko) 액정패널용 식각방법 및 액정패널용 식각장치
JP7054940B2 (ja) 保護部材取り付け装置及び保護部材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111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111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13910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1883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