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7349A1 -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 Google Patents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7349A1
WO2023027349A1 PCT/KR2022/010789 KR2022010789W WO2023027349A1 WO 2023027349 A1 WO2023027349 A1 WO 2023027349A1 KR 2022010789 W KR2022010789 W KR 2022010789W WO 2023027349 A1 WO2023027349 A1 WO 20230273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urved
bracket
curved surface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07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원섭
전홍진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ublication of WO20230273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73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커버부재를 갖는 곡면커버부와, 곡면커버부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부와, 제1브라켓부와 결합되는 곡면패널부, 및 곡면패널부에 구비되어 곡면커버부 또는 제1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본 발명은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커버부를 곡면패널부에 탈부착할 수 있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평판 형태를 가지면서 대형화됨에 따라 화면 중앙 영역에 대한 시청 거리와 화면 양측 영역의 시청 거리 간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시청 거리의 편차를 개선하면서 사용자의 시청 몰입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평판 형태의 화면을 일정한 곡률로 만곡시킨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되었다.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거리 편차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조립 과정 또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불리한 단점이 있다. 즉, 평판 형태의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패널이나 글라스 부분의 탈부착이 용이하지만,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곡면 형태로 이루어저 탈부착이 어려우며, 탈부착 과정에서 보호부재인 곡면 글라스나 패널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19496호 (1998. 07. 15.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탈부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곡면커버부나 곡면패널부의 손상을 개선할 수 있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커버부재를 갖는 곡면커버부와; 상기 곡면커버부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부와; 상기 제1브라켓부와 결합되는 곡면패널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구비되어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구비되는 자유지지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구비되어 상기 자유지지부가 결합되는 자유지지결합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자유지지부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곡면패널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곡면패널부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은: 제1브라켓부와 곡면패널부를 분리하는 제1분리단계와; 제2브라켓부와 곡면커버부를 분리하는 제2분리단계; 및 상기 곡면커버부를 상기 곡면패널부로부터 분리하는 제3분리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1분리단계는, 상기 제1브라켓부를 상기 곡면커버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1브라켓부를 상기 곡면패널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분리단계는, 상기 제2브라켓부를 상기 곡면패널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브라켓부를 상기 곡면커버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분리단계는 상기 곡면커버부를 상기 곡면패널부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브라켓부와 제2브라켓부의 일부만 분리하여 곡면커버부를 곡면패널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곡면커버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 과정에서 곡면커버부재나 곡면패널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일부분만을 분해하여 곡면커버부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비숙련자라도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유지지부를 자유지지결합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곡면커버부를 곡면패널부에 결합시 자세를 쉽게 잡을 수 있고, 분리시 자유지지부와 자유지지결합부가 다른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제1브라켓부재와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제1브라켓부재와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자유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자유지지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도 1의 B 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지지부와 자유지지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10)는 곡면커버부(100)와, 곡면커버부(100)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부(200)과, 제1브라켓부(200)와 결합되는 곡면패널부(300), 및 곡면패널부(300)에 구비되어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부(400)를 구비한다.
곡면커버부(100)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커버부재(11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곡면커버부재(110)는 글라스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부분을 보호하는 보호부재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제1브라켓부재와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제1브라켓부재와 제1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부(200)는 곡면커버부재(110)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부재(230) 및 제1브라켓부재(2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210)를 구비한다.
제1지지부재(210)는,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212)와 곡면패널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214)를 구비한다. 제1브라켓부재(230)는 곡면커버부(100)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바로 고정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곡면커버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212)는 제1지지부재(21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212)가 제1지지부재(21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지지부재(210)는 제1고정부(212)를 관통하는 제1고정체결부재(213)에 의해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제1고정부(212)의 위치는 제1지지부재(210)를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할 수 있으면 제1지지부재(210)의 어떤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214)는 제1지지부재(210)를 곡면패널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지지부(2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관통된 홈 형상으로 형상되어 곡면패널부(300)에 돌출된 돌기(미도시)에 걸리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으로 첨부하지는 않았으나 제1지지부(214)는 제1지지부재(210)에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로 형성되며, 제1지지부재(210)는 제1지지부(214)를 관통하는 나사나 스크류부재와 같은 제1지지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곡면패널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자유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자유지지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10)는 제1브라켓부재(230)에 구비되는 자유지지부(235)와, 곡면패널부(300)에 구비되어 자유지지부(235)가 결합되는 자유지지결합부(310)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지지부(235)는, 제1브라켓부재(230)에 구비되는 몸체부(236)와, 몸체부(236)에서 제1브라켓부재(230)로부터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37), 및 몸체부(236)와 이격되도록 제1연장부(237)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38)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유지지부(23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장부(237)는 몸체부(236)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몸체부(236)에서 제1브라켓부재(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90도 절곡되게 연장된다. 제2연장부(238)는 제1연장부(237)로부터 90도 절곡되게 연장되며, 제2연장부(238)와 몸체부(236) 사이에는 자유지지결합부(310)가 삽입된다. 몸체부(236)와 제1연장부(237)의 연결 부위 및 제1연장부(237)와 제2연장부(238)의 연결 부위는 삽입된 자유지지결합부(310)로부터 회전이 용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유지지결합부(310)는 곡면패널부(300)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자유지지부(235)는 곡면패널부(300)에 돌출되게 형성된 자유지지결합부(310)에 삽입된다. 자유지지부(235) 및 자유지지결합부(310)는 곡면커버부(100)가 곡면패널부(3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의 자유지지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도 1의 B 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2브라켓부(400)는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05)를 구비한다. 제2지지부재(405)는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지지부(410) 및 곡면패널부(300)에 고정 결합되는 제2고정부(420)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지지부재(405)는 해체시 곡면커버부(100)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곡면패널부(300)에는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2지지부재(405)는 제2지지부(410)에 의해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해체시 곡면커버부(100) 및 제1브라켓부재(230)로부터 분리된다. 제2지지부재(405)는 제2지지부(410)를 관통하는 제2지지체결부재(412)에 의해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에 고정되고, 제2지지체결부재(412)가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에서 분리되면 곡면커버부(100) 및 제1브라켓부재(230)는 제2지지부재(40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시 제2지지부재(405)가 곡면패널부(300)에 고정되도록 제2고정체결부재(422)가 제2지지부재(405)를 곡면패널부(300)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지지부(410) 및 제2고정부(420)는 제2지지부재(405)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지지부재(405)는 제2고정부(420)를 관통하는 제2고정체결부재(422)에 의해 곡면패널부(300)에 고정된다.
제2고정부(420)는 제2지지부재(405)에 구비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고정부(420)가 제2지지부재(405)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지지부재(405)는 제2고정부(420)를 관통하는 제2고정체결부재(422)에 의해 곡면패널부(300)에 고정된다. 제2고정부(420)의 위치는 제2지지부재(405)를 곡면패널부(300)에 고정할 수 있으면 제2지지부재(405)의 어떤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지지부와 자유지지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지지부 및 자유지지결합부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지지부(235)와 자유지지결합부(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유지지부(235)와 자유지지결합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추가부재(도면부호 미도시)에 형성된 끼임결합부(317)가 자유지지결합부(310)에 삽입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8에 도시된 자유지지결합부(310) 자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끼임결합부 부분에 자유지지결합부(3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관통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자유지지부(235)는 도 8에서 끼임결합부 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된 자유지지결합부(310)에 끼임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은 제1브라켓부(200)와 곡면패널부(300)를 분리하는 제1분리단계(S10)와, 제2브라켓부(400)와 곡면커버부(100)를 분리하는 제2분리단계(S20), 및 곡면커버부(100)를 곡면패널부(300)로부터 분리하는 제3분리단계(S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분리단계(S10)를 실시한 후 제2분리단계(S20)를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분리단계(S10)와 제2분리단계(S20)를 동시에 작업할 수도 있고, 제2분리단계(S20)를 먼저 실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먼저, 제1분리단계(S10)에서는 제1브라켓부(200)를 곡면커버부(100)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1브라켓부(200)를 곡면패널부(300)로부터 분리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지지부재(210)가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제1지지부재(210)와 곡면패널부(300)는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2분리단계(S20)에서는 제2브라켓부(400)를 곡면패널부(300)에 고정한 상태로 제2브라켓부(400)를 곡면커버부(100)로부터 분리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지지체결부재(412)가 곡면커버부(100) 또는 제1브라켓부재(230)에서 분리되면 제2지지부재(405)는 곡면커버부(100) 및 제1브라켓부재(230)와의 고정이 해제되며, 이때 제2지지부재(405)는 제2고정체결부재(422)에 의해 곡면패널부(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분리단계(S10)와 제2분리단계(S20) 후 제1브라켓부(200)는 곡면커버부(100)에는 고정되고 곡면패널부(300)에는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며, 제2브라켓부(400)는 제1브라켓부(200)와 반대로 곡면커버부(100)에는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고 곡면패널부(300)에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제3분리단계(S30)에서는 곡면커버부(100)를 곡면패널부(300)로부터 분리시킨다. 곡면커버부(1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자유지지부(235)가 자유지지결합부(310)에서 빠지게 된다. 곡면커버부(100)를 상측으로 계속 이동시키면 제1브라켓부(200)는 곡면커버부(100)에 고정된 상태로 곡면커버부(10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브라켓부(400)는 곡면패널부(3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곡면커버부(100)만 곡면패널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면커버부(100)를 곡면패널부(30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분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커버부재를 갖는 곡면커버부;
    상기 곡면커버부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부;
    상기 제1브라켓부와 결합되는 곡면패널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구비되어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부;를 구비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구비되는 자유지지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구비되어 상기 자유지지부가 결합되는 자유지지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지지부는,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브라켓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곡면커버부 또는 상기 제1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곡면패널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곡면패널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부는 상기 곡면커버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곡면패널부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9. 제1브라켓부와 곡면패널부를 분리하는 제1분리단계;
    제2브라켓부와 곡면커버부를 분리하는 제2분리단계; 및
    상기 곡면커버부를 상기 곡면패널부로부터 분리하는 제3분리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단계는, 상기 제1브라켓부를 상기 곡면커버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1브라켓부를 상기 곡면패널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리단계는, 상기 제2브라켓부를 상기 곡면패널부에 고정한 상태로 상기 제2브라켓부를 상기 곡면커버부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분리단계는 상기 곡면커버부를 상기 곡면패널부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커버부 탈부착 방법.
PCT/KR2022/010789 2021-08-27 2022-07-22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WO202302734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39A KR102492743B1 (ko) 2021-08-27 2021-08-27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KR10-2021-0113739 2021-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349A1 true WO2023027349A1 (ko) 2023-03-02

Family

ID=8521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0789 WO2023027349A1 (ko) 2021-08-27 2022-07-22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2743B1 (ko)
WO (1) WO2023027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953B1 (ko) * 2023-05-12 2023-12-20 주식회사 트레시스 지주형 태양광 시스템 설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19B1 (ko) * 2011-12-07 2013-05-20 희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KR101519987B1 (ko) * 2014-12-05 2015-05-22 (주)피앤비디지텍 곡면형 엘시디 패널
KR101640705B1 (ko) * 2015-01-21 2016-07-18 (주)뉴옵틱스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우징
KR20170079001A (ko) * 2015-12-29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7150A (ko) * 2016-07-12 2018-01-22 (주)코텍 곡면형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496U (ko) 1996-10-04 1998-07-15 케이. 와이. 리 착탈가능한 안면 평판을 지닌 모니터 케이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519B1 (ko) * 2011-12-07 2013-05-20 희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KR101519987B1 (ko) * 2014-12-05 2015-05-22 (주)피앤비디지텍 곡면형 엘시디 패널
KR101640705B1 (ko) * 2015-01-21 2016-07-18 (주)뉴옵틱스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우징
KR20170079001A (ko) * 2015-12-29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7150A (ko) * 2016-07-12 2018-01-22 (주)코텍 곡면형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743B1 (ko)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12860A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WO2023027349A1 (ko) 곡면커버부 탈부착 장치 및 탈부착 방법
WO2013009149A2 (ko)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이를 구비한 보호필름 부착 모듈, 및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 방법
WO2014133296A1 (en) Display apparatus
WO2015088192A1 (ko) 차량용 거치 장치
WO2010117222A2 (en) Display appratus
WO2020196996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8124507A1 (ko) 타일링 멀티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3100690A1 (en) Display device
WO2021101070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6163766A2 (en) Display apparatus and wall moun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WO2011007940A1 (en) Display apparatus
WO2018124652A1 (en) Panel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5199393A1 (en) Display apparatus
WO2022045657A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3241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0491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05892A1 (en) Display apparatus
WO202113732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040625A1 (ko) 오토바이용 캐노피 장치
WO2019050210A1 (ko) 슬롯머신 장치의 영상표시장치
WO2009113813A1 (en) Sun visor for vehicle-mounted equipment
WO2021132780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7183904A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WO2019059488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15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