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48036A1 -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 Google Patents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48036A1
WO2012148036A1 PCT/KR2011/003898 KR2011003898W WO2012148036A1 WO 2012148036 A1 WO2012148036 A1 WO 2012148036A1 KR 2011003898 W KR2011003898 W KR 2011003898W WO 2012148036 A1 WO2012148036 A1 WO 20121480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flame
induction
cooking
induc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38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진숙
Original Assignee
(주)디포인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포인덕션 filed Critical (주)디포인덕션
Publication of WO20121480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480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range capable of uncoo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uction range capable of being uncooked, provided with a torch which flame is injected into the induction range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 the energy efficiency of induction range using induction heating method is relatively superior to gas range, highlight range, hot plate, etc., and it is very energy saving and has no risk of fire. Usage is gradually spread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torch-shaped flame spray unit that is flame sprayed in the induction range excellent in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configure the device to be operated by the foot motion in the nature of the cooking operation, cooking vessel (fry pan, pot, etc.)
  •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duction range that enables non-cooking, such as Chinese cuisin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range that can be heated quickly even if the bottom of the kitchen container is not flat.
  • the frame unit An induction heating part installed on the frame part and heating the kitchen container by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 a flame spraying unit installed arou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flame to spray the flame generated inside the kitchen vessel;
  • an adjustment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flame spray unit and configured to drive the flame spray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 the flame spray unit may include a fuel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a mixed gas of oxygen and combustion gas; A corrugated pipe forming a conduit to discharge the mixed gas to the outside; And an ignition sprayer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orrugated pipe and generating sparks by generating a spark when the mixed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lame spraying unit may further include.
  • the corrugated pipe is made of a torch shap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is maintained every time the length is adjusted.
  • the control switch un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the user can press the foot on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drive the flame spray unit by pressing the user's foot.
  • control switch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me spray unit is driven only when the state is pressed.
  • control switch unit if the user's foot pressing operation is made continuous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me intensity of the flame spray un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operation.
  • the induction he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witch, through the switch it is possible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the amount of power supply and timer sett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uncooked while maintaining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by providing a torch-shaped flame spray unit in an induction range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heat the kitchen container within a faster time by imparting a flame to the kitchen container is not relatively flat floor area.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duction range capable of cook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spray in the induction range capable of cook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lame spray unit moves freely in the induction range capable of coo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the induction range capable of coo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duction range capable of uncooked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uction range 100 capable of cook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110 forming a skeleton, and an induction heating part 130 installed on the frame part 110. And,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s installed arou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and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ncludes a control switch 170 is formed so as to drive control.
  • the induction ran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electromagnetic method and the gas method at the same time, was configured to enable a variety of cooking cooking while maintaining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 the illustrated frame part 110 forms an overall skeleton and plays a role of a body.
  •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frame unit 110 and is formed to heat the kitchen container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That is, after placing the kitchen vess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the surface contacting part is heat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 an induction heater may be used.
  • the induction heater refers to a heater using an induction current generated by a magnetic field as a heat source. If the metal is placed on the heater, a eddy current is generated in the metal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the metal is heated by the joule heat. Induction heaters can also produce strong heat instantaneously, but must use metal containers to heat them.
  • the kitchen container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 the illustrated flame spraying unit 150 is installed arou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unit 110.
  • the flame sprayer 150 is formed to spray after generating a flame. Looking at one embodiment, when the kitchen vessel is placed in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the heating of the kitchen vessel may be slow only by the contact surface. Therefore, when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s installed arou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and sprays the flame toward the kitchen vessel, the heating speed of the kitchen vessel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the flame spraying unit 150 may be more effective when cooking.
  •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heat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excellent in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but there may be a limit in cooking. This i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when cooking foods that require fire such as Chinese cuisine.
  • the flame spray unit 150 may be used to enable uncooked food while maintaining the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 control switch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flame spraying unit 150 can be driven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 the control switch 170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flame spray unit 150 during cooking using the foot. That is, the control switch unit 170 is formed so that when the user is pressed by using the foot, the flame spray unit 150 is operated.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spray in the induction range capable of coo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ame sprayer 150 is configured to spray the generated flame to the outside after generating the flame.
  •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ncludes a fuel supply unit 152, a corrugated pipe 154, an ignition sprayer 156, and a control valve 158.
  • the fuel supply unit 152 is formed to supply a mixed gas for mixing oxygen and combustion gas.
  • the corrugated pipe 154 forms a pipe so as to discharge the mixed gas supplied by the fuel supply unit 152 to the outside.
  • the ignition sprayer 156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orrugated pipe 154 and is formed to generate sparks by generating sparks when the mixed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control valve 158 is formed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mixed gas. That is, this control valve 158 blocks or passes the flow of the mixed ga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 This control valve 158 may be a very important part directly connected to the accident. Therefore, when installed, it may be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the part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ame spray unit moves freely in an induction range capable of cook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rrugated pipe 154 of the flame spray unit 150 moves freely.
  • the corrugated pipe 154 is made of a torch shap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and stretch.
  • the corrugated pipe 154 of the flame spraying unit 150 may be stretched and adjusted to face the inside of the kitchen vessel (C)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 the corrugated pipe 154 is made of a structure that maintains the shape every time the length and stretch adjustment. That is, since the direction and size may be different for each kitchen container (C), it is to adjust the corrugated pipe 154 according to the state. At this time, since it is of no use if it is not fixed every time it is adjusted, the corrugated pipe 154 is preferably maintained in shape every time the length is adjusted.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s of the induction range capable of uncooked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uction range 100 capable of cook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110 forming a skeleton, and an induction heating part 130 installed on the frame part 110. And,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s installed arou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and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ncludes a control switch 170 is formed so as to drive control.
  • control switch unit 170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unit 110 to drive the flame spray unit 150 by the user's foot pressing operation.
  • the control switch unit 170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s driven only in a pressed state.
  • the control switch 170 when the user's foot pressing operation is made continuously, the flame intensity of the flame spraying unit 15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operation. That is,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control switch unit 170, the flame intensity of the flame spraying unit 150 may be determined so as to be slightly weakened or weakened.
  • the induction range 100 capable of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 FIG. 4 in one embodiment, when cooking is performed using a kitchen container C having a rounded bottom,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s of the induction range 100 capable of cooking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t's take a look.
  • the illustrated kitchen container (C) is made of a round shape, not the bottom surface is fla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may be less. Since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heats the site contacting the surface, when the contact area is small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may be delayed.
  • the heating speed of the kitchen vessel (C) can be increased by that much.
  • the flame spray unit 150 may be adjusted by the user pressing the control switch unit 170 with a foot. At this time, an important point is whether the control valve 158 is opened or closed.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trol switch unit 170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rol valve 158 is open, the flame spray unit 150 continuously sprays the flame while the control switch unit 170 is pressed. However, if the control valve 158 is closed, even if the user pushes the control switch 170, the flame spraying unit 150 does not operate.
  •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witch 132.
  • the switch 132 may be formed to enable the on / off power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the supply amount of the power, and the timer setting. That is, the intensity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may be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and the time and temperature of heating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wer applied to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through the timer setting.
  • the induction range 100 is capable of coo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rface of the kitchen vessel (C) and the induction heating unit 130 after the user selectively operates the switch 132 induction Whether the heating unit 130 is heated may be selected.
  • the control valve 158 is left open in order to cook in the kitchen vessel (C).
  • the flame spray unit 150 generates a flame while maintaining the pressing to spray the flame into the kitchen vessel (C).
  • the flame spraying unit 150 can be stretched and adjusted length, the shape is maintained every time the stretch control, the user can position the flame spraying unit 150 in a desired 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uncooked while maintaining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by providing a torch-shaped flame spray unit in the induction range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 the present invention imparts a flame to the kitchen vessel is relatively flat floor area. This provides the effect of heating the kitchen vessel in a shorter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도모하면서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이러한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주방용기를 가열하는 유도가열부와, 유도가열부 주변에 설치되며, 화염을 생성하여 주방용기의 내측으로 생성된 화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화염분사부와, 화염분사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염분사부가 구동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본 발명은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 방법을 사용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화염이 분사되는 토치를 구비하여,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방법을 사용하는 인덕션 레인지의 에너지 효율은 상대적으로 가스레인지, 하이라이트 레인지, 핫 플레이트 등에 비해 상당히 우수하고, 에너지 절감효과가 큼과 동시에 화재 위험성이 없어, 대형 음식점, 호텔 등을 중심으로 점차 사용량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덕션 레인지는 중국요리 등과 같이 음식자체에 불을 필요로 하는 요리는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안정성 및 에너지 효율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필요에 의해 불이 필요한 경우, 소량의 화염으로써 불을 필요로 하는 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안전성 및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인덕션 레인지에 화염 분사가 되는 토치 형상의 화염분사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요리 동작의 특성상 발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를 구성하여, 조리용기(후라이팬, 냄비 등)로 요리를 할 때, 발동작을 통해 화력조절 및 화염분사가 되도록 하여, 중국요리 등과 같은 불요리가 가능하게 한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방용기의 바닥이 평평하지 않아도 빠른 시간 내에 가열이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주방용기를 가열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 주변에 설치되며, 화염을 생성하여 상기 주방용기의 내측으로 생성된 화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화염분사부; 및 상기 화염분사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염분사부가 구동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한다.
상기 화염분사부는, 산소 및 연소가스를 혼합한 혼합 가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로를 형성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의 출측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면 스파크를 발생시켜 화염을 생성 및 분사하는 점화분사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염분사부는, 상기 혼합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은, 길이 신축 조절이 가능한 토치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 신축 조절이 될 때마다 형상유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스위치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 발의 누름동작으로 상기 화염분사부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스위치부는, 눌림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화염분사부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절스위치부는, 사용자의 발 누름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그 연속적인 동작에 따라 상기 화염분사부의 화염 강도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도가열부는,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의 온/오프, 전원의 공급량 및 타이머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인덕션 레인지에 토치 형상의 화염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성 및 에너지 효율을 유지한 상태로 불요리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바닥 면적이 평평하지 않은 주방용기에 화염을 부여함으로써,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주방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화염분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화염분사부가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의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100)는 크게,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도가열부(130)와, 상기 유도가열부(130) 주변에 설치되는 화염분사부(150)와, 상기 화염분사부(150)가 구동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위치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100)는, 전자기방식과 가스방식을 동시에 적용시켜, 안전성 및 에너지 효율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요리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도시된 프레임부(110)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며, 몸체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유도가열부(130)는,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며,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주방용기를 가열하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가열부(130)의 상면에 주방용기를 올려놓은 후, 그 면 접촉되는 부분을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가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도가열부(130)의 일예로서, 인덕션 히터(Induction Hea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인덕션 히터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열원으로 이용한 가열기를 말한다. 이러한 가열기 위에 금속을 놓아두면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금속에 소용돌이 전류가 발생하고 줄열에 의해 금속이 가열된다. 또한, 인덕션 히터는, 순간적으로 강한 열을 낼 수 있으나 가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금속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즉, 상기 주방용기는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시된 화염분사부(150)는, 프레임부(110)의 상부 일측에 해당하는 유도가열부(130) 주변에 설치된다.
이러한 화염분사부(150)는, 화염을 생성한 후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하나의 일 실시 예를 살펴보면, 유도가열부(130)에 주방용기가 놓일 때, 그 접촉되는 면만으로는 주방용기의 가열이 더딜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염분사부(150)가 유도가열부(130)의 주변에 설치되어, 화염을 주방용기 측으로 분사하게 되면, 그 주방용기의 가열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화염분사부(150)는, 불요리를 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전자기유도 방식으로 가열되는 유도가열부(130)는 안전성 및 에너지효율이 뛰어나지만, 요리를 하는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중국요리와 같이 불을 필요로 하는 요리를 할 때, 전자기유도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 유도가열부(130)의 안전성 및 에너지효율을 유지한 상태로 불요리까지 가능하도록, 화염분사부(150)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절스위치부(170)는, 화염분사부(15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 따라 상기 화염분사부(150)가 구동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스위치부(17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조리 중에도 쉽게 화염분사부(150)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조절스위치부(17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해 누르게 되면, 화염분사부(150)가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화염분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염분사부(150)는, 화염을 생성 후, 생성된 화염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화염분사부(150)의 구성으로는 크게 연료공급부(152)와, 주름관(154)과, 점화분사기(156)와, 조절밸브(158)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료공급부(152)는, 산소 및 연소가스를 혼합하는 혼합 가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주름관(154)은, 연료공급부(152)에 의해 공급된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로를 형성한다.
이어서, 점화분사기(156)는, 주름관(154)의 출측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때, 스파크를 발생시켜 화염을 생성 및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조절밸브(158)는, 상기 혼합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이러한 조절밸브(158)는, 개폐 조작을 통해 상기 혼합 가스의 흐름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밸브(158)는 사고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설치될 때, 육안으로 식별이 쉬운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에 있어서, 화염분사부가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염분사부(150)의 주름관(154)이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주름관(154)은, 길이 신축 조절이 가능한 토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분사부(150)의 주름관(154)은, 유도가열부(130)와 면 접촉하는 주방용기(C)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신축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주름관(154)은, 길이 신축 조절이 될 때마다 형상유지가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주방용기(C)마다 방향 및 크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 맞게 상기 주름관(154)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조절될 때마다 고정이 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주름관(154)은 길이 신축 조절이 될 때마다 형상유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의 구성 간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100)는 크게,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도가열부(130)와, 상기 유도가열부(130) 주변에 설치되는 화염분사부(150)와, 상기 화염분사부(150)가 구동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위치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절스위치부(17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하단에 사용자가 발의 누름동작으로 상기 화염분사부(150)를 구동시키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조절스위치부(170)는, 눌림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화염분사부(150)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조절스위치부(170)는, 사용자의 발 누름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그 연속적인 동작에 따라 상기 화염분사부(150)의 화염 강도가 정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절스위치부(170)를 밟을 때마다, 화염분사부(150)의 화염 강도가 조금씩 세지거나, 약해질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세한 규칙 및 형태는 사용자가 설정을 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구성들의 자세한 내용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구성들 간의 작동관계를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는 하나의 일 실시 예로, 바닥이 둥근 형상을 갖는 주방용기(C)를 이용하여 불요리를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100)의 구성 간 작동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요리를 하기 위해 주방용기(C)를 유도가열부(130)에 올려놓는다. 이때, 도시된 주방용기(C)는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고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도가열부(130)에 접촉되는 면이 적을 수 있다. 유도가열부(130)는 면 접촉되는 부위를 가열하므로, 상기와 같이 접촉되는 면적이 적을 시에는, 가열이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화염분사부(150)가 주방용기(C)의 내측으로 화염을 분사하여 상기 유도가열부(130)와 동시적으로 가열을 행하면, 그만큼 주방용기(C)의 가열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여기서 화염분사부(150)는 사용자가 조절스위치부(170)을 발로 누름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점은 조절밸브(158)의 개폐여부다. 즉, 조절밸브(158)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스위치부(170)를 발로 누르게 되면, 화염분사부(150)가 상기 조절스위치부(170)가 눌려져 있는 동안 계속해서 화염을 분사한다. 하지만, 조절밸브(158)가 닫혀있는 상황이라면, 사용자가 조절스위치부(170)를 누른다고 해도 화염분사부(150)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도가열부(130)는, 별도의 스위치(132)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위치(132)는 유도가열부(130) 전원의 온/오프, 전원의 공급량 및 타이머설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원의 공급량에 따라 유도가열부(130)의 세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타이머설정을 통해 유도가열부(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가열되는 시간 및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100)는, 주방용기(C)를 유도가열부(130)와 면 접촉을 시킨 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위치(132)를 조작함에 따라 유도가열부(130)의 가열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주방용기(C)로 불요리를 하기 위해, 조절밸브(158)를 열림 상태로 해놓는다. 그 후에 조절스위치부(170)를 발로 누름으로써, 그 누름을 유지하는 동안 화염분사부(150)가 화염을 생성하여 주방용기(C) 내측으로 화염을 분사한다. 이때, 화염분사부(150)는 길이 신축 조절이 가능하고, 그 신축 조절이 될 때마다 형상 유지가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화염분사부(15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인덕션 레인지에 토치 형상의 화염분사부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성 및 에너지 효율을 유지한 상태로 불요리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교적 바닥 면적이 평평하지 않은 주방용기에 화염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주방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주방용기를 가열하는 유도가열부;
    상기 유도가열부 주변에 설치되며, 화염을 생성하여 상기 주방용기의 내측으로 생성된 화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화염분사부; 및
    상기 화염분사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염분사부가 구동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조절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분사부는,
    산소 및 연소가스를 혼합한 혼합 가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연료공급부;
    상기 혼합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로를 형성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의 출측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면 스파크를 발생시켜 화염을 생성 및 분사하는 점화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분사부는,
    상기 혼합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길이 신축 조절이 가능한 토치 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 신축 조절이 될 때마다 형상유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위치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 발의 누름동작으로 상기 화염분사부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위치부는,
    눌림 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화염분사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위치부는,
    사용자의 발 누름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그 연속적인 동작에 따라 상기 화염분사부의 화염 강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는,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유도가열부의 전원의 온/오프, 전원의 공급량 및 타이머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PCT/KR2011/003898 2011-04-29 2011-05-27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WO201214803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867A KR101052503B1 (ko) 2011-04-29 2011-04-29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KR10-2011-0040867 2011-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8036A1 true WO2012148036A1 (ko) 2012-11-01

Family

ID=4492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3898 WO2012148036A1 (ko) 2011-04-29 2011-05-27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2503B1 (ko)
WO (1) WO2012148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582A1 (ko) * 2013-04-15 2014-10-23 주식회사 하모니 직화조리대
KR101457088B1 (ko) * 2013-07-30 2014-11-03 홍혜정 가스레인지
KR200494525Y1 (ko) * 2019-04-03 2021-10-28 신용호 토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682A (ja) * 2000-03-15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型調理器
JP2006221925A (ja) * 2005-02-09 2006-08-2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コンロ付き電磁誘導加熱器
KR20090001349U (ko) * 2009-01-08 2009-02-06 허종목 가스 전기렌지
KR20100000729A (ko) * 2008-06-25 2010-01-06 제이씨텍(주) 가스전기 일체형 레인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279A (ko) * 2008-06-24 2010-01-06 (주)참다운녹즙 피부세정용 조성물 및 피부세정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682A (ja) * 2000-03-15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型調理器
JP2006221925A (ja) * 2005-02-09 2006-08-2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コンロ付き電磁誘導加熱器
KR20100000729A (ko) * 2008-06-25 2010-01-06 제이씨텍(주) 가스전기 일체형 레인지
KR20090001349U (ko) * 2009-01-08 2009-02-06 허종목 가스 전기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503B1 (ko) 201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035232U (zh) 一种烟灶联动控制系统
CN105202592A (zh) 一种燃气灶智能控温控时装置及其燃气灶
CN105996799B (zh) 一种新型烤箱
WO2012148036A1 (ko)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CN206247412U (zh) 遥控节能型燃气炉
CN205372657U (zh) 一种具有智能控温控时装置的燃气灶
CN104814659A (zh) 一种余热加热式热风辅助的炒菜设备
CN205842759U (zh) 高效节能燃气灶
CN204734329U (zh) 烹饪器具
CN104814658A (zh) 一种利用惰性气体热气流进行辅助加热的炒菜方法
CN207556088U (zh) 安全系数高的隧道式微波干燥设备
MX2012012948A (es) Aparato y metodo de terminado de alimento de ahorro de energia.
CN205758356U (zh) 一种智能燃气烧烤炉
CN203815299U (zh) 直立式食材烘烤装置
CN204889600U (zh) 一种电磁加热炒锅
CN207870779U (zh) 一种木质烤炉
KR20100123791A (ko) 폐열 회수가 가능한 오덕 세트
CN204786628U (zh) 一种具有led火苗的电磁炉
CN210809015U (zh) 一种燃气烤炉
CN205402807U (zh) 燃气灶
CN110393434A (zh) 一种节能型智能蒸具设备及其工作方法
JPH08312964A (ja) 卓上こんろ
KR20050097896A (ko) 수증기의 분위기압을 이용한 전열 취반 시스템
CN204742375U (zh) 一种燃气热风循环炉
CN211609228U (zh) 涮烤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643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643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