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57403A1 -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57403A1
WO2012057403A1 PCT/KR2010/008763 KR2010008763W WO2012057403A1 WO 2012057403 A1 WO2012057403 A1 WO 2012057403A1 KR 2010008763 W KR2010008763 W KR 2010008763W WO 2012057403 A1 WO2012057403 A1 WO 20120574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ull
ship
emergency
pun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87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성규
정경태
안영춘
권기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Priority to GB1308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GB2498164B/en
Publication of WO20120574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74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ontainment device for a ship's perforation site, and more specifically, to make a complete emergency blockage of the ship's perforation site caused by grounding or crashing in a short time without welding work, so that the sea due to oil leakage,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containment device for ship breakholes that enables pollution prevention and ship sinking prevention.
  • the hull will break, which is a device that can quickly block the sea as soon as seawater enters the trap.
  • the main ship can minimize the flow of oil and seawater by emergency blocking the perforated area, so that the cargo inside the tank can be sailed to the unloading terminal or rectification plant without transferring to other tankers.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 means 10 is used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base plate 2 from the hull 20, which can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se plate 2,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It showed that four were installed in all directions of (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공부(21)를 완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고 파공부(21)와 연통되는 배수구멍(3)이 형성되며, 배수구멍(3) 전방으로 제어부와 유압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밸브용 정역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4)가 설치된 베이스판(2)과; 상기 베이스판(2)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에 2열로 설치되는 개스킷(gasket)(6) 및 개스킷(6) 사이에 설치되는 영구자석(5)과; 선체(20)와 떨어진 상태로 베이스판(2)을 이동시키거나 선체(20)에서 베이스판(2)을 분리할 수 있도록 선체(20)의 사방에 설치한 지지수단(10)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좌초, 충돌, 및 노후에 의해 파공된 경우 신속한 응급봉쇄가 가능하므로 오일 등의 해상 유출로 인핸 해상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전투도중 파공된 함정의 응급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침몰 등의 위험으로부터 함정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어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본 발명은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초 또는 충돌 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선체의 파공부위를 용접작업 없이 단시간에 완벽하게 응급 봉쇄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오일 유출 등으로 인한 해상오염방지, 선박 침몰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항해중인 선박의 경우 기상악화, 운항 부주의 등으로 인해 해상에서 충돌하거나, 연안의 암초에 좌초되는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들 선박사고의 경우 인적 물적 피해를 동반하며, 특히 유조선 사고의 경우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선박이 파공된 경우 선체 내부가 비어있는 경우에는 나무쐐기 등을 이용한 응급 봉쇄를 할 수 있으나, 유조선 등과 같이 선체 내부에 오일(또는 기타 화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 선체 외부에서는 응급봉쇄를 행해야 하는데, 주로 철판을 용접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용접 방식의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기상악화시 작업자체가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그로인해 해상으로 대량의 오일이 유출되거나 선박이 침몰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선박종사자들의 경우 상기와 같이 선체 파공시 용접작업 없이 단시간에 응급으로 파공 부위를 봉쇄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선박 파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좌초 또는 충돌 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선체의 파공부위를 용접작업 없이 단시간에 완벽하게 응급 봉쇄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오일 유출 등으로 인한 해상오염방지, 선박 침몰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군함이 전투 중 포탄이 선체에 명중된 경우 선체는 파공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해수가 함정 안으로 유입되는 순간 신속하게 파공을 봉쇄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공부를 완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고 파공부와 연통되는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배수구멍 전방으로 제어부와 전기 또는 유압으로 연결된 밸브 개폐용 정역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가 설치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에 2열로 설치되는 개스킷(gasket) 및 개스킷 사이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선체와 떨어진 상태로 베이스판을 이동시키거나 선체에서 베이스판을 분리할 수 있도록 선체의 사방에 설치한 지지수단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은 금속판, 합수수지판, 유연성 있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수단의 구성하는 볼트의 선단에는 선체와 마찰력을 줄일 수 있게 볼베어링을 설치하여 곡면부 또는 직선의 선체를 따라서 쉽게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선체의 흘수(Draft) 부근에 대형의 파공이 발생한 경우 탱크 내부에 있는 기름 등의 화물은 바다로 유출되는 상태에서, 선박의 좌. 우로 기울어지는 롤링의 경우 해수는 탱크로 유입되어 선저로 침전하고 해수가 들어온 만큼의 기름이 유출되는 현상이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결국은 탱크내부의 기름은 모두 유출되고 해수만 남게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공 봉쇄장치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를 선박에 비치하여 사용할 경우 선박의 좌초, 충돌, 및 노후에 의해 파공된 경우 신속한 응급봉쇄가 가능하므로 오일 등의 해상 유출로 인한 해상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선은 파공된 부위를 응급 차단함으로 기름과 해수의 유동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탱크 내부의 화물을 다른 유조선으로 이적하지 않고도 하역 터미널 또는 정류공장으로 항해할 수 있다.
또한 해군 함정의 경우 전투도중 파공된 함정의 응급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침몰 등의 위험으로부터 함정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어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보인 시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수단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시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공부(21)를 완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고 파공부(20)와 연통되는 배수구멍(3)이 형성되며 배수구멍(3) 전방으로 유압, 전기 또는 수동 밸브용 정.역모터(4a)로 원격 또는 자동제어 가능한 밸브(4)가 설치된 베이스판(2)의 가장자리측에 수개의 영구자석(5)을 설치하여 철판으로 구성된 선체(2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영구자석(5)은 선박의 종류에 따라 자력이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베이스판(2)은 금속판 또는 합수수지판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연성 있는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5, 도6과 같이 베이스판(2)을 여러 조각으로 등분하여 경첩(7)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함으로 해서 베이스판(2)을 접어서 부피를 간소화시켜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2)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영구자석(5)을 사이에 두고 2열 이상의 개스킷(gasket)(6)을 설치되어 베이스판(2)이 영구자석(5)의 자력에 의해 선체(20)에 부착될 때 양측 개스킷(6)에 의해 지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베이스판(2)의 사방에는 지지수단(1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수단(10)은 베이스판(2)을 선체(20)에서 부착 혹은 탈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베이스판(2)의 크기에 따라서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판(2)의 사방에 4개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지지수단(10)의 구성은 베이스판(2)에 너트부재(11)를 결합하고, 이 너트부재(11)에 베이스판(2)을 관통하는 볼트(12)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볼트(12)의 선단이 선체(20)쪽으로 이동할 때 선체(20)에서 베이스판(2)이 분리되고, 반대로 볼트(12)의 선단이 너트부재(11) 쪽으로 이동할 때 자력에 의해 베이스판(2)이 선체(20)에 부착되게 구성한다.
상기 볼트(12)는 수작업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판(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지지수단용 정역모터(13)에 의해 자동제어 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볼트(12)의 선단에는 선체(20)와 접하도록 볼베어링(14)을 고정구(15)로 고정하여 선체(20)를 따라서 쉽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밸브용 정역모터(4a)와 지지수단용 정역모터(13)는 제어기(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원격 제어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1)는 도 7과 같이 선체(20)가 파공된 때 파공부(21)를 응급으로 봉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1)는 선박에 비치하였다가 파공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파공부(21)를 내려다 볼 수 있는 갑판에서 밸브(4)를 개방하고 베이스판(2)에 형성된 브래킷(2a)에 로프(9)를 고정한 상태에서 리프트(체인블록 등)를 이용하여 천천히 하강시킨다.
이때 지지수단(10)의 볼트(12)는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볼베어링(14)은 선체(20)와 접한 상태로 개스킷(6)이 선체(20)와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로프를 풀기만 하면 베이스판(2)이 선체(20)를 따라서 이동된다.
이때 베이스판(2)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5)의 자력이 선체(20) 쪽으로 제공되어 응급봉쇄장치(1)가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곡면부 선체에서도 장치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한 파공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프트를 이용하여 파공부(21) 전방으로 응급봉쇄장치(1)가 이동되면 개방되어 있는 밸브(4)를 통해서 파공부(21)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배출되는데 이때 제어기(8)에서 지지수단용 정역모터(13)를 역회전시켜 지지수단(10)의 볼트(12)를 선체(20)에서 이완시키면 영구자석(5)의 자력에 베이스판(2)이 선체(20)에 달라붙고, 개스킷(6)이 선체(20)에 밀착되는데, 이때 파공부위에서 배출되는 오일은 개방되어 있는 밸브(4)를 통해서 배출되므로 베이스판(2)을 선체(20)에 부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판(2)이 선체(20)에 정확히 부착되면 제어기(8)에서 밸브용 정역모터(4a)를 역회전시켜 밸브(4)를 차단하면 파공부(21)의 완벽한 응급봉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박의 파공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육상에서의 각종 탱크, 관체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공부(21)를 완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고 파공부(21)와 연통되는 배수구멍(3)이 형성되며, 배수구멍(3) 전방으로 제어부와 유압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밸브용 정역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4)가 설치된 베이스판(2)과,
    상기 베이스판(2)의 배면 가장자리 둘레에 2열로 설치되는 개스킷(6) 및 개스킷(6) 사이에 설치되는 영구자석(5),
    선체(20)와 떨어진 상태로 베이스판(2)을 이동시키거나 선체(20)에서 베이스판(2)을 분리할 수 있도록 선체(20)의 사방에 설치한 지지수단(1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은 금속판, 합수수지판, 유연성 있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을 여러 조각으로 등분하여 경첩(7)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선체(20)의 곡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은 베이스판(2)에 너트부재(11)를 결합하고, 이 너트부재(11)에 베이스판(2)을 관통하는 볼트(12)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볼트(12)의 선단이 선체(20)쪽으로 이동할 때 선체(20)에서 베이스판(2)이 분리되고, 반대로 볼트(12)의 선단이 너트부재(11) 쪽으로 이동할 때 자력에 의해 베이스판(2)이 선체(20)에 부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볼트(12)는 베이스판(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제어부(8)와 유압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수단용 정역모터(13)에 의해 자동제어 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2)의 선단에는 선체(20)와 접하도록 볼베어링(14)을 고정구(15)로 고정하여 선체(20)를 따라서 쉽게 이동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PCT/KR2010/008763 2010-10-28 2010-12-08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WO20120574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08303.5A GB2498164B (en) 2010-10-28 2010-12-08 Apparatus for the emergency plugging of a puncture in a marine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6151A KR101204489B1 (ko) 2010-10-28 2010-10-28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10-2010-0106151 2010-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403A1 true WO2012057403A1 (ko) 2012-05-03

Family

ID=4599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8763 WO2012057403A1 (ko) 2010-10-28 2010-12-08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04489B1 (ko)
GB (1) GB2498164B (ko)
WO (1) WO201205740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034A (zh) * 2012-11-07 2014-05-21 张繁荣 一种舰艇上使用的堵漏器
CN103832560A (zh) * 2012-11-22 2014-06-04 张繁荣 一种可摆动磁铁的堵漏器
CN104058076A (zh) * 2013-03-18 2014-09-24 张繁荣 一种磁力堵漏箱
CN106143830A (zh) * 2015-04-20 2016-11-23 张繁荣 一种在舰艇弦外使用的堵漏器
CN110194253A (zh) * 2019-04-09 2019-09-03 武汉理工大学 一种海底门水下堵漏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50B1 (ko) * 2014-09-30 2016-08-29 권기생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KR101691291B1 (ko) * 2015-04-02 2016-12-29 황종하 선박용 유해물질 유출 및 침수차단장치
KR20160149034A (ko) 2015-06-17 2016-12-27 (주)코리아오션텍 침몰선의 유실 방지막 장치 및 설치방법
KR20170034744A (ko) 2015-10-13 2017-03-29 (주)코리아오션텍 선박의 파공부위 차단장치
KR101682227B1 (ko) * 2016-05-03 2016-12-02 농업회사법인 한국오가닉 주식회사 파공 봉쇄 장치
KR101868410B1 (ko) * 2018-03-23 2018-07-19 (주)제타크리젠 파공응급복구장치
KR102098866B1 (ko) * 2019-10-18 2020-04-08 대한민국 스위치 자기장치를 이용한 선박 파공 봉쇄장치
EP4157710A1 (en) * 2020-05-28 2023-04-05 NSG Engenharia, Projetos e Representação Comercial Ltda System and method for passing the cable through the shell of a floating unit and installation of portable cofferdam without diver interven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590A (en) * 1988-03-31 1990-08-28 Kassbaum Gary W Umbrella-like apparatus for closing an unwanted aperture in a substantially panel-like member in an emergency
US5143012A (en) * 1991-07-16 1992-09-01 Elkowitz Marc J Inflatable temporary boat hull seal assembly
US5305702A (en) * 1993-04-12 1994-04-26 Phillips Donald E Vessel opening repair apparatus
KR200305913Y1 (ko) * 2002-12-11 2003-03-03 이해현 선박용 다용도 흡착판
KR20080045103A (ko) * 2008-05-03 2008-05-22 전성권 선박 피공 응급 보완구
KR100944353B1 (ko) * 2008-03-05 2010-03-03 선영재 오일 유출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978B1 (ko) 2008-02-21 2008-07-04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유해물질 누출방지장치
KR100906330B1 (ko) 2008-09-11 2009-07-06 강철규 유체 긴급차단 장치
JP2010111175A (ja) 2008-11-04 2010-05-20 Michio Fujioka 浸水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1590A (en) * 1988-03-31 1990-08-28 Kassbaum Gary W Umbrella-like apparatus for closing an unwanted aperture in a substantially panel-like member in an emergency
US5143012A (en) * 1991-07-16 1992-09-01 Elkowitz Marc J Inflatable temporary boat hull seal assembly
US5305702A (en) * 1993-04-12 1994-04-26 Phillips Donald E Vessel opening repair apparatus
KR200305913Y1 (ko) * 2002-12-11 2003-03-03 이해현 선박용 다용도 흡착판
KR100944353B1 (ko) * 2008-03-05 2010-03-03 선영재 오일 유출 방지장치
KR20080045103A (ko) * 2008-05-03 2008-05-22 전성권 선박 피공 응급 보완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034A (zh) * 2012-11-07 2014-05-21 张繁荣 一种舰艇上使用的堵漏器
CN103832560A (zh) * 2012-11-22 2014-06-04 张繁荣 一种可摆动磁铁的堵漏器
CN104058076A (zh) * 2013-03-18 2014-09-24 张繁荣 一种磁力堵漏箱
CN106143830A (zh) * 2015-04-20 2016-11-23 张繁荣 一种在舰艇弦外使用的堵漏器
CN110194253A (zh) * 2019-04-09 2019-09-03 武汉理工大学 一种海底门水下堵漏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489B1 (ko) 2012-11-26
KR20120044709A (ko) 2012-05-08
GB2498164B (en) 2016-09-14
GB2498164A (en) 2013-07-03
GB201308303D0 (en)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57403A1 (ko)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100944353B1 (ko) 오일 유출 방지장치
KR101339203B1 (ko) 저압용 액체 유출 방지장치
WO2013058424A1 (ko)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
WO2005113327A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covering openings of marine vessel hulls
KR101740139B1 (ko) 자동 이탈식 위험 표시 부표
KR20050093823A (ko) 조난선용 구조선박, 선박 구조 방법, 및 구조선박의사용방법
US9011044B2 (en) Drilling rig ice protector apparatus and methods
US7270066B2 (en) Ice breaker (variants),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upport mooring and servicing ships
CN106143791A (zh) 一种船舶防下沉机构
US6655872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ploying a containment boom
KR101267106B1 (ko) 선박용 기름유출 및 침수 차단장치
KR10075847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JPH1121866A (ja) オイルフェンス
RU2374389C1 (ru) Боновое заграждение для локализации на вод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разлившихся из судна-перевозчика нефти ил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азмещения на судне-перевозчике
CN214245632U (zh) 一种海上用的防火围油栏
KR101792481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CN214729461U (zh) 一种排舷外排水防冲击装置
KR20200019515A (ko) 전자석을 이용한 선박 부착형 오일펜스
CA2495936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liquid load to a tanker
FI128806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satamafenderin suojaamiseksi aluksen kiinnitysköysien takertumiselta
KR100362443B1 (ko) 선박 유류 저장탱크의 제작 방법
US20140332082A1 (en) Leakage protection pads
JP4619137B2 (ja) 一般船侵入防止ガード
NO339412B1 (no) Utstyr for overføring av væskelast, særlig olje, til en tan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90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08303

Country of ref document: GB

Kind code of ref document: A

Free format text: PCT FILING DATE = 20101208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08303.5

Country of ref document: GB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90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