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850B1 -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850B1
KR101651850B1 KR1020140131022A KR20140131022A KR101651850B1 KR 101651850 B1 KR101651850 B1 KR 101651850B1 KR 1020140131022 A KR1020140131022 A KR 1020140131022A KR 20140131022 A KR20140131022 A KR 20140131022A KR 101651850 B1 KR101651850 B1 KR 10165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hole
force generating
fixing plat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341A (ko
Inventor
권기생
Original Assignee
권기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생 filed Critical 권기생
Priority to KR102014013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8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선박의 해상사고 발생시 손상된 선체면의 3차원 굴곡 형상에 대하여 신속한 긴급복구를 통해 오일 유출을 최소화하고, 선박의 침몰을 방지함은 물론, 사고발생 후 사고선박을 최단시간 내에 수리용 접안시설로 이동시켜 신속하게 수리 및 재운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선박사고시 손상된 선체면의 신속한 복구를 통해 오일 유출을 최소화하고 석탄 등의 화물이 선박 홀드로부터 바다로 더 이상 유출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침몰을 방지함은 물론, 사고 후 최단시간 내에 사고선박의 손상부위를 긴급히 복구하여 최종 목적지인 접안시설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들기 때문에, 국가의 항만 운항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선주는 사고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박 운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따라서 선박분야, 특히 해상선박사고 분야는 물론 육상의 오일저장탱크사고 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Damaged area recovery device for vessel}
본 발명은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사고 발생시 손상된 선체면의 신속한 긴급복구를 통해 오일 유출을 최소화하고, 선박의 침몰을 방지함은 물론, 사고발생 후 사고선박을 최단시간 내에 수리용 접안시설로 이동시켜 신속하게 수리 및 재운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형선박은 물론 대형선박의 사고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손상부위에 대하여 신속한 응급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선체면의 3차원 굴곡 형상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긴급복구가 가능하도록 한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양의 유류를 운반하는 선박, 석탄이나 광석을 운반하는 선박 등 다양한 선박의 경우, 해상에서 암초 또는 선박간 충돌사고로 인하여 선체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저장된 기름과 석탄 및 광석 등이 해상으로 유출되면서 해양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선체손상에 의해 기름이나 석탄 등이 바다로 유출되는 선박은 목적하는 부두까지 항해가 중지되기 때문에 사고선박의 손상부위는 긴급한 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은 자동차 전용선박이나 컨테이너 선박 등의 화물운송용 선박의 사고에서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발생된다.
이에, 해상에서 좌초 또는 충돌 시, 선박의 손상부위를 응급처리할 수 있는 장치들은 개발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4489호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203호 '저압용 액체 유출 방지장치'(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는, 선박 사고시 손상부위를 응급처리함으로써, 오일 유출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 및 선박침몰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손상부위는 물론, 내부에 저장된 오일, 석탄이나 광석의 잔류량, 자동자 전용선박이나 컨테이너 선박 등에 적재된 화물의 특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1의 경우, 원형으로 형성된 30cm이하의 소형의 손상부위에는 적합하나, 대부분의 해상사고는 선박항해 중 암초나 다른 선박과의 충돌이 원인이 되는바, 실질적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손상부위가 형성되며, 이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손상부위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선행기술2의 경우,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등 기술적 특징이 저압용(실질적으로는 해수가 선박 외부에서 선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선체 외부에서 막는 경우)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그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더욱이, 해상사고는 파도에 의해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충돌시 충격파에 의한 잔류맥동, 저장된 오일의 유출압력 등으로 인하여 상당한 충격이나 압력이 지속적으로 불규칙하게 발생되는 바,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박마다 선체면 형상이 다르고, 동일한 선박이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서도 선체면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선행기술들로서는 손상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의 크기가 가로 5m 세로 1.5m와 같은 대형 선체 손상의 경우는 적용하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4489호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203호 '저압용 액체 유출 방지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대형 손상부위에 대하여 신속한 긴급복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손상부위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선체면을 밀폐시키는 밀폐플레이트의 2중구조를 적용하여, 선체면의 3차원 굴곡 형상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긴급복구가 가능할 수 있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는, 중앙부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밀폐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선체면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자력발생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손상부위 주변에 대응하는 상기 밀폐플레이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켜 선체면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는 복수 개의 가압지지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자력발생부가 구성된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된 천공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측방향으로 슬릿홀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압지지구는, 상기 관통홀 및 슬릿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너트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 및 슬릿홀은, 내측면 중앙부를 따라 이어지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너트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너트의 높이는 상기 관통홀 및 슬릿홀의 형성높이보다 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플레이트는,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가압지지구에 의해 선체면측으로 가압되는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의 하부에 구성되어 선체면에 밀착되는 실링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력발생부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하강조절구; 및 상기 승하강조절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자력발생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조절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자력발생실린더의 상부와 볼조인트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실린더는, 상부면에 자력발생스위치가 구성되며, 상기 자력발생스위치는,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지지구는, 하부종단부에 상기 밀폐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면접촉되는 가압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측면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열결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부에 오일차단도어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폐플레이트는, 상기 오일차단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차단도어와 개방홀은, 신축연결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대형선박의 선체 손상부위에 대하여 신속한 긴급복구가 가능함은 물론, 하나의 콤팩트한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굴곡 형상 등 다양한 선체면의 형상에 대한 긴급복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를 이어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발생된 손상부위를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긴급복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선박사고시 손상된 선체면의 신속한 복구를 통해 오일 유출을 최소화하고 석탄 등의 화물이 선박 홀드로부터 바다로 더 이상 유출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침몰을 방지함은 물론, 사고 후 최단시간 내에 사고선박의 손상부위를 긴급히 복구하여 최종 목적지인 접안시설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들기 때문에, 국가의 항만 운항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선주는 사고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선박 운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해상의 선박사고뿐만 아니라, 육상에서의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탱크류 사고에 대해서도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분야, 특히 해상선박사고 분야는 물론 육상의 오일저장탱크사고 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이용하여 선체면의 손상부위를 긴급복구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고정플레이트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관통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c)에 나타난 슬릿형 관통홀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자력발생부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이 적용된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가압지지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이용하여 선체면의 손상부위를 긴급복구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오일차단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이용하여 선체면의 손상부위를 긴급복구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는 고정플레이트(100), 밀폐플레이트(200), 자력발생부(300) 및 가압지지구(400)를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100)는 자력발생부(300)에 의해 손상이 발생된 선체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가압지지구(400)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플레이트(10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0)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자력발생부(300)가 구성된 베이스프레임(110)과,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내측에 구성되는 천공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00), 특히 베이스프레임(110)은 선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밀폐플레이트(200)는 고정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압지지구(400)에 의해 선체면의 손상부위 주변을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선체면에 밀착되도록 플랙시블(Flexible)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밀폐플레이트(200)는 연질의 스테인레스강 및 탄성재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밀폐플레이트(200)는 선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설치된 고정플레이트(100)로부터 이동되어 선체면의 손상부위를 밀폐해야 하므로, 고정플레이트(100)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자력발생부(300)는 고정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인 테두리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구성되어 고정플레이트(100)를 선체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자력발생부(3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압지지구(400)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천공패널(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손상부위 주변에 대응하는 밀폐플레이트(200)의 일부 영역을 선체면에 밀착시켜 선체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손상부위 주변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손상부위(DA, Damaged Area)에 대하여, 손상부위(DA) 주변의 밀폐영역(SA, Sealing Ares)을 따라 가압지지구(400)를 설치함으로써, 손상부위(DA)를 밀폐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고정플레이트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관통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플레이트(100)의 베이스프레임(110)과 천공패널(120)은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패널(120)은 볼트를 이용한 나사결합으로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과 천공패널(120)을 분리구조로 구성하면, 다양한 형태의 관통홀(121)을 갖는 천공패널(120)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관통홀(121)를 슬릿형태로 형성하면, 손상부위 주변의 가압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손상부위 주변을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통홀(121)의 일측방향으로 슬릿홀(122)을 연장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 및 도 4의 (c)와 같이 관통홀(121)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슬릿홀(122)을 연장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에 다양한 형태의 관통홀(121)이 형성된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를 모두 보관하지 않고,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10)과 다양한 형태의 관통홀(121)이 형성된 다수의 천공패널만 보관하면, 사고발생시 손상부위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른 천공패널(120)을 선택하여 베이스프레임(110)에 설치함으로써, 손상부위에 대한 최적의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c)에 나타난 슬릿형 관통홀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지지구(400)는 관통홀(121) 및 슬릿홀(12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너트(4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5에서 관통홀(121)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도 4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십자형 슬릿홀(122)의 중앙부를 말함은 물론이다.
한편, 가이드너트(410)가 관통홀(121) 및 슬릿홀(122)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홀(121) 및 슬릿홀(122)에는 내측면의 중앙부를 따라 이어지도록 가이드레일(122a)을 형성하고, 가이드너트(410)에는 가이드레일(122a)에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홈(410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22a)을 따라 가이드너트(410)를 이동시키면, 가압지지구(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더불어, 가이드너트(410)의 높이는 관통홀(121) 및 슬릿홀(122)의 형성높이보다 낮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가이드너트(410)가 천공패널(120)의 상하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설명하기에 앞서, 밀폐플레이트(20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에 구성되어 가압지지구(400)에 의해 선체면측으로 가압되는 지지패널(210)과, 지지패널(2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선체면에 밀착되는 실링패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패널(210)은 연질의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패널(220)은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플레이트(200)는 자력발생부(30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자력발생부(30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하강조절구(310)와, 승하강조절구(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플레이트(100)의 하부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자력발생실린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밀폐플레이트(200)는 자력발생부(300)의 자력발생실린더(320)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곡면으로 이루어진 선체면(HS, Hull Surface)에 발생된 손상부위를 밀폐하기 위하여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를 선체면(HS)에 접근시킨 후, 자력발생부(300)의 승하강조절구(310)를 작동시켜 자력발생실린더(320)를 선체면(HS)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발생실린더(320)가 하강되어 선체면(HS)에 밀착되면, 밀폐플레이트(200) 또한 고정플레이트(100)로부터 하강되며, 자력발생실린더(320)로부터 발생된 자력에 의해 밀폐플레이트(200)의 가장자리가 선체면(HS)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도 6과 같이 굴곡된 선체면(HS)으로 인해 밀폐플레이트(200)와 선체면(HS)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손상부위 주변의 이격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도 6의 하부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0)의 관통홀(121)에 나사결합된 가압지지구(400)를 회동시켜 밀폐플레이트(200)의 지지패널(210) 상부를 선체면(HS)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손상부위 주변의 선체면(HS)이 실링패널(220)에 의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곡면의 3차원 굴곡 형상을 갖는 선체면(HS)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자력발생부(300)의 자력발생실린더(320)가 고정되는 선체면(HS)이 곡면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선체면(HS)을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자력발생부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력발생부(300)의 승하강조절구(310)와 자력발생실린더(320)는 유니버셜조인트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승하강조절구(310)와 자력발생실린더(320)를 도 7과 같이 볼조인트(311)로 결합함으로써, 해상에서 사용되는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의 사용환경상의 특성에 적절히 대응하도록 기계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얻으면서도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부품의 사용시 해수의 영향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같은 목적으로, 승하강조절구(310)는 고정플레이트(100)와 나사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력발생실린더(320)는 사용목적에 따라 상당한 세기의 자력을 발생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람의 힘으로는 해당 자력을 감당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력발생실린더(320)의 상부면에 자력의 발생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자력발생스위치(3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자력발생스위치(3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력발생수위치(330)는 하기에 설명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이 적용된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자력발생부(300)가 부착될 위치의 선체면(HS)에 경사가 형성된 경우, 자력발생실린더(320)를 하강시키게 되면, 승하강조절구(310)의 볼도인트(311)에 의해 자력발생실린더(320)가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 되면서, 경사진 선체면(HS)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발생실린더(320)가 경사진 선체면(HS)에 밀착되면, 작업자는 자력발생스위치(330)를 동작하여, 자력발생실린더(320)를 선체면(HS)에 고정시킨 후, 가압지지구(400)를 이용하여 손상부위 주변을 밀폐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난 가압지지구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압지지구(400)는 하부종단부에 밀폐플레이트(200)의 상부면과 면접촉되는 가압구(420)가 구성될 수 있다.
가압구(420)는 도 8의 상부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1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123)에 삽입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압시 도 8의 하부와 같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밀폐플레이트(200)의 지지패널(210) 상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지지구(400)의 하부에 가압구(420)를 구성하게 되면, 밀폐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이용하여 선체면의 손상부위를 긴급복구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플레이트(100)에는 측면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연결부(5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상부위(DA)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 두 개의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를 연결하여 하나의 밀폐영역(SA)을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를 연결하는 경우, 이웃하는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 사이 부분에서 선체면에 대한 밀폐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에, 고정플레이트(100)에 구성된 모듈연결부(500)를 동작시켜 자력을 발생시키면, 이웃하는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간의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 사이 부분에 대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듈연결스위치(510)를 동작시켜 모듈연결부(500)의 자력발생여부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는 선박내의 오일의 저장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다시 말해 선박에 저장된 오일의 유출압력이 낮은 경우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선박내의 오일의 저장량이 많아서 오일의 유출압력이 높은 경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오일차단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오일차단도어(600)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플레이트(100)의 중앙부에 오일차단도어(600)가 구성되면,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차단도어(6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밀폐플레이트(200)에 개방홀(201)을 형성하여, 오일차단도어(600)의 상부개방부(601)와 밀폐플레이트(200)의 개방홀(201)이 공간적으로 연결되면서, 오일차단도어(600)의 개폐구(610)에 의해 개방 또는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밀폐플레이트(200)가 도 6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0)로부터 승하강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차단도어(600)의 하부와 개방홀(201)의 상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신축연결부(62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연결부(620)는 자바라 형태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를 선체면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오일차단도어(600)를 개방하면, 선박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유류가 오일차단도어(60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유출압력이 낮아지므로, 보다 용이하게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를 선체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가 선체면에 완전히 고정되면, 개폐손잡이(30)를 동작하여 개폐구(610)를 회동시킴으로써, 오일차단도어(600)를 폐쇄할 수 있고, 손상부위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손상부위기 밀폐되고 오일차단도어(600)가 닫힌 상태에서, 사고선박 내부에 상당량의 오일이 남아있는 경우, 내부오일의 유출압력에 의해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에 상당한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이는, 사고선박이 목적지인 접안시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의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고선박의 손상부위에서 분리되어 내부의 오일 등이 다시 해상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차단도어(600)의 일측으로 오일이송용 파이프(640)를 구성하여, 오일차단도어(600)의 폐쇄 후 해당 사고선박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 중 일부를 다른 선박 등으로 옮기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고선박이 목적지인 접안시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A)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서, 미설명 부호 '641'은 오일이송용 파이프(640)의 개폐밸브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100 : 고정플레이트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천공패널 121 : 관통홀
122 : 슬릿홀 122a :가이드레일
200 : 밀폐플레이트 201 : 개방홀
210 : 지지패널 220 : 실링패널
300 : 자력발생부
310 : 승하강조절구 311 : 볼조인트
320 : 자력발생실린더 330 : 자력발생스위치
400 : 감압지지구
410 : 가이드너트 410a : 가이드홈
420 : 가압구
500 : 모듈연결부
600 : 오일차단도어 620 : 신축연결부

Claims (11)

  1. 중앙부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밀폐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선체면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자력발생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손상부위 주변에 대응하는 상기 밀폐플레이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고정플레이트로부터 이격시켜 선체면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는 복수 개의 가압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자력발생부가 구성된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된 천공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측방향으로 슬릿홀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가압지지구는,
    상기 관통홀 및 슬릿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너트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및 슬릿홀은,
    내측면 중앙부를 따라 이어지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너트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너트의 높이는 상기 관통홀 및 슬릿홀의 형성높이보다 낮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플레이트는,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가압지지구에 의해 선체면측으로 가압되는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의 하부에 구성되어 선체면에 밀착되는 실링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력발생부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하강조절구; 및
    상기 승하강조절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자력발생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조절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자력발생실린더의 상부와 볼조인트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실린더는,
    상부면에 자력발생스위치가 구성되며,
    상기 자력발생스위치는,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구는,
    하부종단부에 상기 밀폐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면접촉되는 가압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측면방향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열결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부에 오일차단도어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폐플레이트는,
    상기 오일차단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차단도어와 개방홀은,
    신축연결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KR1020140131022A 2014-09-30 2014-09-30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KR10165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022A KR101651850B1 (ko) 2014-09-30 2014-09-30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022A KR101651850B1 (ko) 2014-09-30 2014-09-30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41A KR20160038341A (ko) 2016-04-07
KR101651850B1 true KR101651850B1 (ko) 2016-08-29

Family

ID=5578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022A KR101651850B1 (ko) 2014-09-30 2014-09-30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672A (ko)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하늘연소프트 선체 탄착 파손 지점 복구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227B1 (ko) * 2016-05-03 2016-12-02 농업회사법인 한국오가닉 주식회사 파공 봉쇄 장치
KR102045955B1 (ko) * 2018-08-16 2019-11-18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KR101969404B1 (ko) * 2018-10-08 2019-04-18 대한민국 타공판을 이용한 선박 파공 봉쇄 키트
KR102491644B1 (ko) * 2021-04-27 2023-01-26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선박 파공 봉쇄장치
KR102447728B1 (ko) * 2021-11-18 2022-09-27 울산테프론 주식회사 부착형 누출방지패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584B1 (ko) * 2009-06-26 2012-11-06 강철규 선박의 유체누설 차단 장치
KR101293479B1 (ko) * 2010-10-14 2013-08-08 이현재 선박 긴급 보수장치
KR101204489B1 (ko) * 2010-10-28 2012-11-26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101339203B1 (ko) * 2011-10-19 2013-12-13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저압용 액체 유출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672A (ko)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하늘연소프트 선체 탄착 파손 지점 복구 장치 및 시스템
KR101995100B1 (ko) 2016-09-13 2019-09-30 주식회사 해양안전메카 선체 탄착 파손 지점 복구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41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50B1 (ko)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CN102666272B (zh) 一种船用推进器组件、具有可收缩的推进器组件的船只及推进器组件水下拆卸方法
GB2510087A (en) Low-pressure liquid leakage prevention device
KR20160024159A (ko) 선박의 유체 누설 차단장치
KR20140078595A (ko) 선박 파공부위 셔터형 차폐 장치
JP2014530785A (ja) スラスタを備えた引き込み可能な推進容器
US202301661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a remote inspection device
WO2018000535A1 (zh) 无人船载管线维修用管道支撑结构
KR20150048167A (ko) 선박의 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성취하기 위한 장치
CN105711772A (zh) 船舶防侧翻装置
US9199708B2 (en) Atmospheric working cabin for underwater operation
KR100843978B1 (ko) 유해물질 누출방지장치
KR101544554B1 (ko) 선박 파공 부위 봉쇄 장치
US3584464A (en) Inflatable marine fender
KR101787968B1 (ko) 내부 투입형 선박수리로봇 및 이를 이용한 선박수리방법
CN201330930Y (zh) 一种氯气钢瓶堵漏工具
KR101724442B1 (ko) 이동형 접안 장치
KR101857439B1 (ko) 파공부의 봉쇄장치
CN206327556U (zh) 一种便于检修的侧推封盖装置
CN206914565U (zh) 一种安装浮箱及船体
US20100263764A1 (en) Spill curtailing tool
US8590471B2 (en) Oil leak containment system for a ship hard aground
CN113371148B (zh) 一种舰船堵漏装置
CN205675207U (zh) 船舶的防撞击装置
RU233077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