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50269A1 -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50269A1
WO2012050269A1 PCT/KR2011/001327 KR2011001327W WO2012050269A1 WO 2012050269 A1 WO2012050269 A1 WO 2012050269A1 KR 2011001327 W KR2011001327 W KR 2011001327W WO 2012050269 A1 WO2012050269 A1 WO 20120502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ndritic cells
cells
treated
matura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13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성재
박영민
정인덕
김화중
김우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20502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02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9Dendritic cells, e.g. Langherhans cells in the epiderm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5Dendri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2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 A61K39/4622Antigen presenting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2Undefined extracts from bacteri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ional R & D project based on the hospital specialization center support project and basic research project-centered researcher support project-core research support project. It is about.
  • Dendritic cells or dendritic cells are immune cells that form part of the mammalian immune system. These cells act as antigen-expressing cells that process the antigenic material and make it appear on the surface so that other cells in the immune system can recognize it. Dendritic cells are primarily present in small amounts in tissues that contact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skin (cells in the skin, especially Langerhans cells), nose, lungs, stomach and intestinal lining. They can also be found immature in the blood. Once activated, they travel to lymphoid organs and interact with T and B cells to trigger an immune response. At certain stages of development they extend into processes called dendrites.
  • Dendritic cells are derived from hematopoietic bone marrow progenitor cells. These progenitor cells initially turn into immature dendritic cells. These cells are characterized by high endocytosis activity and T-cell activity capacity. Immature dendritic cells constantly devour pathogen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in their surroundings. This is possible through a pattern recognition receptor (PRR), such as a toll-like receptor (TLR). TLRs recognize certain chemical characteristics found on a subset of pathogens. Immature dendritic cells also devour some cell membranes from a living autologous cell through a process called nibbling. Once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xisting antigens, they are activated into mature dendritic cells and migrate to lymph nodes.
  • PRR pattern recognition receptor
  • TLRs toll-like receptor
  • Immature dendritic cells consume pathogens and break down their proteins into small pieces that, when mature, appear on the cell surface using MHC molecules. At the same time, it increases cell surface receptors that act as co-receptors in T-cell activation, such as CD80 (B7.1), CD86 (B7.2), and CD40. They also increase CCR7, a chemotactic receptor that induces dendritic cells to go into the spleen through the bloodstream or through the lymphatic system to lymph nodes. Here these cells act as antigen expressing cells. They represent antigens derived from pathogens with non-antigenic specific costimulatory signals, thereby activating helper T-cells, killer T-cells, as well as B cells.
  • helper T-cells are specific for one particular antigen. Only specialized antigen expressing cells (macrophages, B lymphocytes and dendritic cells) activate the remaining helper T-cells when the right antigen is present. Macrophages and B lymphocytes, however, can only activate memory T-cells, while dendritic cells can activate both memory and naive T-cells, making them the most potent antigen-expressing cells.
  • Mature dendritic cells can be derived from monocytes, white blood cells that circulate in the body, which can be converted into dendritic cells or macrophages according to appropriate signals.
  • Monocytes are derived from stem cells of bone marrow.
  •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can be produce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in a laboratory.
  • PBMCs can be planted in tissue culture flasks to allow monocytes to attach, which can be differentiated into immature dendritic cells by treatment with IL-4 an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Subsequent treatment with TNF ⁇ differentiates immature dendritic cells into mature dendritic cells.
  •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 Dendritic cells are rare and difficult to isolate, only the approximat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endritic cells of different types and subset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are known. Dendritic cells are in constant communication with other cells in the body. This communication can take the form of direct cell-to-cell contact based on the interaction of cell surface proteins. For examp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ceptor B7 of dendritic cells and CD28 of lymphocytes is mentioned.
  • the cytokines produced by dendritic cells depend on the type of cell. Lymphoblastic dendritic cells can produce large amounts of type 1 IFN, which collects more activated macrophages to enable phagocytosis. Lymphoblastic dendritic cells are involved in central and peripheral immune regulation, and myeloid dendritic cell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inducing immunity to foreign antigens or infections. Therefore, when the dendritic cells do not function normally, autoimmune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rheumatoid arthritis, allergic hypersensitivity reactions may occur, or normal immune responses may not occur against infectious diseases or cancers.
  • autoimmune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rheumatoid arthritis, allergic hypersensitivity reactions may occur, or normal immune responses may not occur against infectious diseases or cancers.
  • dendritic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body's own immune function. Therefore, dendritic cells promote the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to develop a non-toxic immunomodulator that produces a strong immune response and clearly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substance. This is an important subject for cellular immune treatment using dendritic cell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omoting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ll therapeutic agent containing dendritic cells matured by the above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omoting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containing Rv035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Rv0351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0 ⁇ g / m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by maturing Rv0351 to immature dendritic cells.
  • Rv0351 it is preferable to add Rv0351 and incubate for 20 to 30 hours, and the Rv0351 is added to the medium of immature dendritic cells at a dose of 1 to 20 ⁇ g / ml.
  • dendritic cell maturation of Rv035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timulation of TLR (toll-like receptor) -4.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ell therapeutic agent for cancer treatment containing dendritic cells matured by the above method.
  • immature cells By the method of maturing dendritic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immature cells can be well differentiated into mature dendritic cells, which can effectively activate the body's immune response.
  • Rv0351 shows recombinant Rv0351 (A: SDS-PAGE for His-tagged Rv0351, B: NTA followed by SDS-PAGE, C: Western blot analysis).
  • 1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measuring the survival rate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Figure 2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stimulatory factor and expression analysis of MHC class I, II of Rv0351 treated dendritic cells.
  • Figure 2b is a graph showing the cytokine (IL-12p40 / p70, IL-10) expression test results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2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ytokine (TNF- ⁇ , IL-1 ⁇ , IL-6, IL-12, IL-10) secretion experiments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Figure 2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dextran-FITC phagocytosis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FIG. 3 shows the results of TLR experiments involved in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4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degree of CCR7 expression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4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hemotaxis assay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Figure 5a shows the ability of clustering with T cells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5B shows the ratio of CD8 + cell amplification of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5C shows the degree of IFN- ⁇ production in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 Figure 6a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rmal degeneration on TNF- ⁇ and IL-6 release of dendritic cells induced by Rv0351.
  • Figure 6b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PMB on cytokine production of dendritic cells induced by Rv0351.
  • FIG. 6C show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teinase K digestion on cytokine production in dendritic cells induced by Rv035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omoting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containing Rv0351 as an active ingredient.
  • Rv0351 (GRPE protein, HSP-70 cofactor) is a 24-kDa cytoplasmic antigen consisting of a 235 amino acid sequence, which is a cofactor that regulates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by ER stres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t is known to play a role.
  • Rv035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0 ⁇ g / m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by maturing Rv0351 to immature dendritic cells.
  • the immature dendritic cells can be harvested and differentiated by conventionally known methods. That is, GM-CSF and IL-4 may be added to bone marrow cells or monocytes and cultured for 6 days to differentiate into immature dendritic cells.
  • the matur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by incubating for 20 to 30 hours in the Rv0351.
  • Rv0351 is also preferably added to the medium of immature dendritic cells at a dose of 1 to 20 ⁇ g / ml.
  • the present inventors first conducted toxicity experiments on Rv0351's dendritic cells before the efficacy test of Rv0351 to mature dendritic cells. As shown in FIG. 1B, dendritic cells were treated with Rv0351 up to 10 ⁇ g / ml and stained with Annexin-V. As a result, 10 ⁇ g / ml of Rv0351 was dendritic cell because 10 ⁇ g / ml did not show cytotoxic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toxic.
  • Rv0351 matures immature dendritic cells.
  • dendritic cells As dendritic cells mature,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factors and molecules such as MHC class I and II are significantly increased, so Rv0351 is treated with dendritic cells at 5 ⁇ g / ml and 10 ⁇ g / ml, respectively. Incubated.
  • LPS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o compare the effects of Rv0351.
  • Rv0351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surface molecules of dendritic cell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Rv0351 affects the surface molecular change of dendritic cells.
  • the ability of dendritic cells to feed antigens was measured to more clearly confirm that Rv0351 matures dendritic cells.
  • Dendritic cells are predatory in the immature state, but phagocytosis no longer occurs when the antigen is fed and matured. Therefore, the more mature dendritic cells, the poorer the ability to detect antigens.
  • Antigen phagocytosis was tested using dextran stained with FITC. Dendritic cells cultured for 6 day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for 24 hours of Rv0351 and one not.
  • the dendritic cells of the two groups were treated with dextran stained with FITC, and then the dendritic cells were stained with CD11c-PE and analyzed by flow cytometry. As shown in FIG. 2A,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had reduced antigen predation ability than did not.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Rv0351 matures dendritic cells in terms of function.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v0351 on cytokine secretion of dendritic cells.
  • the dendritic cells mature, the secreted cytokines also change. Therefore, we tested whether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affected changes in pro-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that affect T-cells.
  • IL-12 and IL-10 are major cytokines secreted from dendritic cell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T cells into Th1 and Th2, respectively.
  • TNF- ⁇ , IL-6, IL-1 ⁇ , IL-12p and IL-10 secreted from dendritic cells were measured by ELISA. As shown in FIG. 2C, IL-12 was increased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 ⁇ , IL-6, and IL-1 ⁇ also increased, indicating that Rv0351 matures dendritic cells and changes the amount of cytokines. Can be.
  • the expression of CCL7 in the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was changed.
  • dendritic cells As dendritic cells mature, their ability to move increases, so receptors associated with migration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whether mature cells have matured.
  • CCR7 that reacts with CCL19 increases at maturity, so that RV0351 treated with dendritic cells, LPS treated with positive controls, and negative controls without any treatment were treated with CCR7-PE and CD11c.
  • -Stained with FITC and measured by flow cytometry.
  • when treated with Rv0351 increased CCR7 levels than untreated dendritic cells can be said to increase the ability of the Rv0351 child dendritic cells migration.
  • the ability to promote allogeneic T cell proliferation is a property of dendritic cells in vitro.
  • mixed-lymphocyte rea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Rv0351 is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CD8 + T cells by activating dendritic cells. As shown in FIG. 5, T cells stimulated by dendritic cells form clusters with dendritic cells, and DC / T cell cluster size was further increased in response to exposure to Rv0351 compared to clusters formed by untreated cells. In addition, th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T cells was faster than that of Rv0351 treated dendritic cells and cultured allogeneic CD8 + T cells than untreated dendritic cells and T cells. In addition, dendritic cells matured by Rv0351 increased IFN- ⁇ production from CD8 + T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ell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dendritic cells matured by the dendritic cell maturation method.
  • Rv035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adjuvant for cell therapy using cancer.
  • the dendritic cells matured in the cell therapy agent for cancer treatmen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ositive for CD80, CD86, MHC class I and MHC class II.
  • the cell therapeutic agent for cancer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muscular, transdermal (transdermal / transcutaneous) injection.
  • the cell therapy of the invention may also be administered directly to the lesion site of the tumor.
  • the cell therapy of the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according to a single dose or multiple dose schedules.
  • the cell therapy of the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conjunction with other immunomodulators.
  • the cell therapeutic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dendritic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 or diluents, which carriers are any carriers which do not, in themselves, cause a deleterious reaction to the individual receiving the therapeutic agent. It is preferable. Suitable carriers are usually large and slow metabolized macromolecules such as proteins, polysaccharides, polylactic acid, polyglycolic acid, polymeric amino acids, amino acid copolymers, lipid aggregates (eg oil droplets or liposomes) and inert virus particl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uch carrier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can act as immunostimulants or adjuvant in addition to the adjuvant effect of dendritic cells themselves.
  • the cell therap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dditional immunopotentiators that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eutic agent.
  • Dendritic cells were derived from mouse bone marrow cells as previously known methods.
  • bone marrow was harvested using a bone marrow harvesting injection from C57BL / 6 mice. After the collected bone marrow was washed, red blood cells were removed using ammonium chloride. The isolated cells were collected in RPMI 1640 (10% heat-inactivated FBS, 2 mM L-glutamine, 100 U / ml penicillin, 100 ⁇ g / ml streptomycin, 5 ⁇ 10 ⁇ 5 M 2-ME, 10 mM) in 6-well plates. HEPES (pH 7.4), 10 ng / ml GM-CSF, 10 ng / ml IL-4) was added to incubate. On days 3 and 5 after incubation, suspended cells were removed and fresh medium was added.
  • NdeI was inserted on the forward side of the primer for amplifying the Rv0351 gene from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genomic DNA, and the HindIII restriction enzyme was placed on the reverse side.
  • the sequence of the forward primer was 5'-GTGACGGACGGAAATCAAAAGC-3 '(SEQ ID NO: 1) and the sequence of the reverse primer was 5'-ACTGCCCGACGGTTCTGATTC-3' (SEQ ID NO: 2).
  • PCR gene products were cloned into T-vectors (Promega, Madison, WI, USA), cleaved with NdeI and HindIII, and inserted into the expression vector pET22b.
  • coli BL-21 transformed with the pET22b vector inserted with the Rv0351 gene was cultured to have an absorbance (OD) of 0.4-0.6 at 600 nm, followed by 1 mM of isopropyl-D-thiogalactopyranoside ( IPTG) was added and incubated for 8 hours.
  • the expressed protein was purified using nickel-nitrilotriacetic acid (Ni-NTA, Invitrogen, Carlsbad, Calif., USA) agarose column.
  • the separated and purified protein was removed LPS using a Polymixin B bead, and then the contaminant was removed using a 0.2 ⁇ M syringe filter, and finally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was analyz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 (FIG. 1A).
  • dendritic cells were 100 ng / ml. 5 ⁇ gml after treatment for 24 hours with concentrations of LPS or 5 ⁇ g / ml and 10 ⁇ g / ml Rv00351 -One Double staining with propidium iodide (PI) and Annexin-V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FIG. 1B).
  • PI propidium iodide
  • FIG. 1B flow cytometry
  • Dendritic cells were harvested after treatment of dendritic cells with 5 ⁇ g / ml and 10 ⁇ g / ml concentrations of Rv0351 and 100 ng / ml LPS for 24 hours, respectively. Untreated controls were treated with medium only. In order to inhibit nonspecific binding, 1 ⁇ g / ml of Fc ⁇ I / III (BD bioscience) was treated at 4 ° C. for 20 minutes and then stained with CD11c-FITC (BD bioscience) for 20 minutes at 4 ° C. for dendritic cell analysis. .
  • Rv0351 dose-dependently increased costimulatory factors and expression of MHC class I and II in dendritic cell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Rv0351 induces the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and affects various surface molecular changes, which are indicative of the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 Rv0351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12p40 / p70 in CD11c dendritic cells and had no effect on the expression of IL-10.
  • Rv0351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12p70, TNF- ⁇ , IL-6 and IL-1 ⁇ except for IL-10 in dendritic cells.
  • Immature dendritic cell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5 or 10 ⁇ g / ml Rv0351 or 100 ng / ml LPS (negative control). 1 g / ml of fluorescein-conjugated dextran (molecular weight 40,000; Molecular Probes, Eugene, OR) was added to these dendritic cells for 1 hour. After incubation at 37 ° C. and 4 ° C. for 30 minutes, the reaction was stopped by the addition of cold staining buffer.
  • dextran (antigen) phagocytosis was reduced than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Rv0351 did not.
  • Rv0351 matures dendritic cells in terms of function.
  • Dextran was also measured at 4 ° C. to determine nonspecific binding to dendritic cells.
  • Dendritic cells were isolated from TLR2-/-, TLR4-/-, and WT mic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to see the association of dendritic cells with Rv0351 and Toll-like receptor (TLR).
  • TLR Toll-like receptor
  • Expression of CD86 and MHC II was measured in each of the isolated dendritic cell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1, and the production of TNF- ⁇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 Rv0351 increased the expression of CD86 and MHC II and the production of TNF-a in dendritic cells isolated from WT or TLR2-/-, but the expression of D86 and MHC II and TNF in dendritic cells isolated from TLR4-/- The production of -a was greatly reduced (FIG. 3).
  • CCR7 chemokine receptor 7
  • Rv0351 may be expected to increase the migration capacity of dendritic cells.
  • Purified dendritic cells were measured to migrate in response to chemokine CCL19 (300 ng / mL) with or without treatment with 10 ⁇ g / ml of Rv0351 and 50 ng / ml of LPS for 24 hours (negative control).
  • the lower chamber of the transwell plate (pore size 8.0 ⁇ m; Corning, Acton, Mass.) Received serum-free medium with and without 500 ⁇ l of CCL19.
  • Dendritic cells (1 ⁇ 10 5 cells in 0.1 mL) resuspended in serum free medium were placed in the upper chamber of the transwell plate and allowed to move for 3 hours at 37 ° C. under 5% CO 2 . The number of migrated dendritic cells harvested in the lower chamber was counted with 60-second counts (FACS) (FIG. 4B).
  • the ability to promote allogeneic T cell proliferation is a property of dendritic cells in vitro.
  • Rv0351 had a detectable effect on allogeneic T cell stimulation
  • the allostimulatory ability of dendritic cells before and after inducing dendritic cell maturation by treatment with Rv0351 or LPS was compared.
  • CD8 + T cells were isolated from OVA specific OT-1 T cell receptor transgenic mice to determine whether mature dendritic cells by Rv0351 specifically affect the proliferation of CD8 + T cells.
  • purified dendritic cell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OVA-specific CD8 + T cells after treatment for 24 hours with or without treatment with 5 ⁇ g / ml of Rv0351, 10 ⁇ g / ml of Rv0351 and 50 ng / ml of LPS (negative control).
  • RVA0351 and LPS-treated dendritic cells were stimulated with OVA (257-264) peptide for 1 hour, and then stained with CFSE fluorescent dye on isolated OVA-specific CD8 + T cells and co-cultured for 4 days.
  • T cells stimulated by dendritic cells form clusters with dendritic cells (DCs), the size of the DC / T cell clusters being further increased in response to exposure to Rv0351 compared to clusters formed by untreated cells (FIG. 5A).
  • th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T cells showed that the proliferation rate of Rv0351 treated dendritic cells and allogeneic CD8 + T cells cultured was faster than untreated dendritic cells and T cells cultured, similar to the levels observed in LPS treated dendritic cells. (FIG. 5B).
  • Rv0351 is a substance that induces maturation of dendritic cells
  • Rv0351 is a protein, it is decomposed when it is boiled, so that the secreted TNF- ⁇ and IL-6 are suppressed in the case of boiled Rv0351.
  • LPS did not differ in secretion of TNF- ⁇ and IL-6 even when boiled.
  • Rv0351 is a protein
  • the protein is degraded by proteinase K, which is a protease.
  • proteinase K which is a protease.
  • secretion of TNF- ⁇ and IL-6 was inhibited.
  • L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secretion of TNF- ⁇ and IL-6 even when proteinase K was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상 세포의 성숙을 유도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방법 및 세포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Rv035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여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성숙화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성숙화된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암치료용 세포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성숙된 수지상 세포로 신체의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본 발명은 병원특성화센터 지원사업과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지원사업에 의한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서, 수지상 세포의 성숙을 유도하는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방법 및 세포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병원특성화센터 지원사업은,
과제번호 : A091047-0911-0000300
부처명 : 보건복지부
연구관리전문기관 : 보건산업진흥원
연구과제명 : 수지상세포 기반 항암면역요법 개발
주관기관 : 양산부산대학병원
연구기간 : 2009년5월1일~2010년3월31일 이며,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지원사업은,
과제번호 : 2010-0008728
부처명 : 교육과학기술부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명 : 항산균의 병원성인자에 의한 면역세포의 분화조절 기전 연구
주관기관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기간 : 2010년5월1일~2011년4월30일 이다.
수지상 세포 또는 수상돌기 세포(dendritic cell, DC)는 포유동물의 면역계의 일부를 이루는 면역 세포이다. 이 세포들은 항원 물질을 처리하여 그것을 표면에 나타나게 함으로써 면역계의 다른 세포가 인식하게 하는 항원 발현 세포의 역할을 한다. 수지상 세포는 주로 피부(피부에 있는 세포를 특히 랑게르한스 세포라 부름), 코, 폐, 위 및 장의 내벽과 같이 외부 환경과 접하는 조직에 소량 존재한다. 그것들은 또한 혈액 중에서 미성숙한 상태로 발견될 수 있다. 일단 활성화되면 림프기관으로 이동하여 T 세포 및 B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면역반응이 시작되게 한다. 특정 발달 단계에서 그것들은 수상돌기(dendrites)라고 하는 돌기를 뻗는다.
수지상 세포는 조혈 골수 전구세포(hemopoietic bone marrow progenitor cells)로부터 유래한다. 이 전구세포는 처음에는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변화한다. 이 세포들은 높은 엔도시토시스 활성 및 T-세포 활성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주변에 있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체를 끊임없이 탐식한다. 이것은 TLR(toll-like receptor)와 같은 패턴 인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 PRR)를 통해서 가능하다. TLR은 병원체의 서브셋 상에서 발견되는 특정 화학적 특징을 인식한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또한 살아있는 자가 세포로부터 니블링(nibbl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약간의 세포막을 탐식한다. 일단 그것들이 현존하는 항원과 접하게 되면, 그것은 성숙 수지상 세포로 활성화되어 림프절로 이동한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병원체를 탐식하고 자신의 단백질을 작은 조각들로 분해해서, 성숙하였을 때 이 조각들이 MHC 분자를 이용하여 그 세포 표면에 나타나게 된다. 동시에, 그것은 CD80(B7.1), CD86(B7.2), 및 CD40과 같이 T-세포 활성화에서의 공동-수용체로 작용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를 증가시킨다. 그것들은 또한 수지상 세포가 혈류를 통해 비장으로 가거나 림프계를 통해 림프절로 이동하게 유도하는 주화성 수용체인 CCR7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이 세포들은 항원 발현 세포로 작용한다. 그것들은 비항원성 특정 공동자극 신호와 함께 병원체에서 유래한 항원을 나타냄으로써 헬퍼 T-세포, 킬러 T-세포 뿐만 아니라, B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모든 헬퍼 T-세포는 하나의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이다. 오직 전문적인 항원 발현 세포(대식세포, B림프구 및 수지상세포)만이 맞는 항원이 존재할 때 나머지 헬퍼 T-세포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나 대식세포와 B림프구는 메모리 T-세포만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반면에 수지상 세포는 메모리 및 처녀(naive) T-세포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어서 가장 강력한 항원 발현 세포이다.
성숙 수지상 세포는 신체를 순환하는 백혈구인 단핵구로부터 유래할 수 있는데, 단핵구는 적절한 신호에 따라 수지상 세포로도 대식세포로도 바뀔 수 있다. 단핵구는 골수의 줄기세포에서 유래한다. 단핵구-유래 수지상 세포는 실험실에서 말초 혈액 단핵 세포(PBMC)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PBMC를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 심어서 단핵구가 부착되게 할 수 있는데 이 단핵구를 IL-4 및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로 처리함으로써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다. 이후에 TNFα로 처리하면 미성숙 수지상 세포가 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된다.
수지상 세포는 흔치 않고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유형과 서브셋의 수지상 세포의 정확한 생성과 발달 및 그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오직 대략적으로만 알려졌다. 수지상 세포는 신체의 다른 세포들과 끊임없는 소통을 한다. 이러한 소통은 세포 표면 단백질의 상호작용에 근거한 직접적인 세포 대 세포 접촉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상 세포의 수용체 B7과 림프구의 CD28과의 상호작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세포 간 상호작용은 사이토카인을 통해서 떨어진 상태로도 일어날 수 있다. in vitro 실험에서 미생물 추출물에 의해 수지상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수지상 세포가 빠르게 IL-12를 생산하게 했다. IL-12는 처녀 CD4 T 세포가 Th1 표현형이 되게 한다. 최적의 결과는 수지상 세포가 표면에 나타낸 항원에 대해 공격하도록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수지상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은 세포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 림프구성 수지상 세포는 다량의 타입-1 IFN을 생산할 수 있는데 그것은 더 많은 활성화된 대식 세포를 모아서 탐식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림프구성 수지상 세포는 중추와 말초 면역조절에 관여하고, 골수성 수지상 세포는 외래성 항원이나 감염에 대한 면역유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지상 세포가 정상 기능을 못할 경우 당뇨병, 류머티스성 관절염, 알러지성 과민반응과 같은 자가 면역 질환이 나타나거나 감염성 질환이나 암 발생에 대해 정상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암환자에서는 수지상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정상적 항암 면역능을 유도하는 것이 어렵다. 지금까지 수지상세포의 분화를 조절(활성화)하는 물질들(LPS, TNF-α, IL-1β)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생체독성의 부작용으로 생체에의 직접적인 응용에 문제가 많았다.
상기와 같이 수지상 세포는 신체 자체의 면역 기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수지상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성숙시킴으로써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무독성의 면역조절제의 개발과 그 물질의 작용기전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수지상 세포를 이용한 세포 면역 치료에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성숙화된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Rv035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Rv0351은 1 내지 20 ㎍/ml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성숙 수지상 세포에 Rv0351을 처리하여 성숙시키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Rv0351을 넣고 20 내지 30 시간 배양하여 성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Rv0351은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배지에 1 내지 20 ㎍/ml의 용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Rv0351의 수지상 세포 성숙화는 TLR(toll-like receptor)-4를 자극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성숙화된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암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키는 방법에 의해 미성숙 세포가 성숙 수지상 세포로 잘 분화될 수 있어서 신체의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a는 재조합 Rv0351을 나타낸 것이다(A: His-tagged Rv0351에 대한 SDS-PAGE, B: NTA로 정제한 후 SDS-PAGE, C: 웨스턴 블롯 분석).
도 1b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생존률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보조자극인자와 MHC class I, II의 발현 분석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IL-12p40/p70, IL-10) 발현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IL-12, IL-10) 분비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d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덱스트란-FITC 탐식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 관여 TLR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CCR7 발현 정도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주화성 분석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T 세포와의 클러스터링 형성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CD8+ 세포 증폭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IFN-γ의 생성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Rv0351에 의해 유도되는 수지상 세포의 TNF-α 및 IL-6 방출에 대한 열변성의 영향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Rv0351에 의해 유도되는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산에 대한 PMB의 영향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Rv0351에 의해 유도되는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대한 프로테인아제 K 소화의 영향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Rv035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Rv0351(GRPE protein, HSP-70 cofactor)는 235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24-kDa 세포질 항원으로, ER stress(Endoplasmic Reticulum Stress)에 의한 열 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발현을 조절하는 보조인자(cofactor)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Rv0351은 1 내지 20 ㎍/ml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성숙 수지상 세포에 Rv0351을 처리하여 성숙시키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종래 알려진 방법으로 채취하여 분화시킬 수 있다. 즉, 골수 세포 또는 단핵구에 GM-CSF 및 IL-4를 넣고 6일간 배양하여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성숙화 방법은 Rv0351을 넣고 20 내지 30 시간 배양하여 성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Rv0351은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배지에 1 내지 20 ㎍/ml의 용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키는 Rv0351의 효능 실험을 하기 전에 Rv0351의 수지상 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을 하였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상 세포에 Rv0351을 10 ㎍/ml까지 처리하여 아넥신-V로 염색하였는데 그 결과 10 ㎍/ml까지는 수지상 세포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10 ㎍/ml의 Rv0351은 수지상 세포에 독성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Rv0351이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키는지에 대한 실험을 했다. 수지상 세포가 성숙하면 보조자극인자와 MHC class I, II와 같은 분자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므로 수지상 세포에 Rv0351을 각각 5 ㎍/ml, 10 ㎍/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했다. 여기서 LPS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Rv0351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Rv0351은 수지상 세포의 표면 분자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Rv0351은 수지상 세포의 표면 분자 변화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Rv0351이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킨다는 것을 더욱 확실히 확인하기 위해서 수지상 세포가 항원을 포식하는 능력을 측정하였다. 수지상 세포는 미성숙한 상태에서는 포식 작용이 활발하지만 항원을 포식하여 성숙하게 되면 더 이상 탐식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성숙하게 된 수지상 세포일수록 항원 탐식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항원 탐식능력은 FITC로 염색된 덱스트란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6일 동안 배양시킨 수지상 세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하나는 Rv0351를 24시간 처리하고 하나는 처리하지 않았다. 상기 두 그룹의 수지상 세포에 FITC로 염색한 덱스트란을 처리한 뒤 다시 수지상 세포를 CD11c-PE로 염색하여 유세포분석기로 분석하였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가 그렇지 않은 것보다 항원 포식 능력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Rv0351이 기능적인 면에서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Rv0351이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했다. 수지상 세포가 성숙하게 되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역시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지상 세포를 Rv0351로 처리했을 때 T-세포에 영향을 주는 전염증 또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실험하였다. IL-12와 IL-10은 수지상 세포에서 분비되는 주요 사이토카인으로 각각 T 세포가 Th1과 Th2로 분화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지상 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 IL-6, IL-1β, IL-12p, IL-10을 ELISA로 측정하였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IL-12가 증가했고 전염증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IL-1β 또한 증가하였으므로, Rv0351이 수지상 세포를 성숙하게 하여 사이토카인의 양에 변화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에서 CCL7의 발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하였다. 수지상 세포가 성숙하게 되면 이동 능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동과 관련된 수용체를 수지상 세포가 성숙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수지상 세포의 이동 관련 수용체 중 CCL19와 반응하는 CCR7이 성숙 시에 증가하기 때문에 수지상 세포에 Rv0351을 처리한 것과 양성대조군으로 LPS를 처리한 것, 그리고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을 CCR7-PE 및 CD11c-FITC로 염색하여 유세포측정기로 측정하였다. 도 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v0351을 처리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수지상 세포보다 CCR7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므로 Rv0351아 수지상 세포의 이동 능력을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더욱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Rv0351로 처리한 수지상 세포의 CCL19에 대한 주화성을 실험하였다. CCR7의 결합 리간드는CCL19라는 점을 이용해 300ng/ml의 CCL19에 반응해서 이동하는 수지상 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 Rv0351로 처리한 수지상 세포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서 더 많이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도 4b). 결론적으로 Rv0351은 수지상 세포를 성숙하게 만들어서 2차 림프기관으로 이동한 뒤 T 세포와 반응하는데 필요한 이동능력을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동종 T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능력은 in vitro에서 수지상 세포의 성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Rv0351이 수지상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CD8+ T 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혼합-림프구 반응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상 세포에 의해 자극되어진 T 세포는 수지상 세포와 클러스터를 형성하게 되는데 DC/T 세포 클러스터 크기는 미처리된 세포에 의해 형성된 클러스터와 비교해서 Rv0351에 노출된 반응에서 더 증가되었다. 또한, T 세포의 증식에 대한 효과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와 배양한 동종 CD8+ T 세포의 증식률이 미처리 수지상 세포와 배양한 T 세포보다 빨랐다. 또한, Rv0351에 의해 성숙된 수지상 세포는 CD8+ T 세포로부터 IFN-γ 생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상 세포 성숙화 방법에 의해 성숙화된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암치료용 세포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Rv0351을 아쥬반트로 이용하여 암치료용 세포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치료용 세포 치료제에서 성숙화된 수지상 세포는 CD80, CD86, MHC classⅠ 및 MHC class Ⅱ에 대해서 양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암치료용 세포 치료제는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어, 피하, 복강, 근육 내, 경피 (transdermal/transcutaneous) 주사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직접 종양의 병변 부위에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단일 투여 또는 다중 투여 스케쥴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기타 면역조절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본 발명의 수지상세포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담체는 그 자체로 치료제를 투여 받는 개체에 유해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임의의 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담체는 통상적으로 크고 느리게 대사화되는 거대분자, 예를 들어 단백질, 다당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중합체 아미노산, 아미노산 공중합체, 지질 응집체(예를 들어, 오일 소적 또는 리포좀) 및 불활성 바이러스 입자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담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수지상세포 자체의 면역보강제 효과 이외에 면역자극제 또는 면역보강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또한 치료제의 유효성을 증강시키는 추가의 면역보강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지상 세포 및 Rv0351 준비
1. 1 수지상 세포의 분리 및 유도
수지상세포는 이전에 알려진 방법과 같이 마우스의 골수세포로부터 유도했다. 우선 C57BL/6마우스로부터 골수 채취용 주사를 이용해 골수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골수를 세척한 후 적혈구를 염화암모늄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분리한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RPMI 1640(10% 열-불활화 FBS, 2 mM L-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 5×10-5 M 2-ME, 10mM HEPES (pH 7.4), 10 ng/ml GM-CSF, 10 ng/ml IL-4)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3일과 5일째에는 부유 세포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를 첨가하였다.
이후에 기술될 실험들에서는 배양 6일째의 부착되지 않은 수지상 세포를 사용하였다. 일부 실험에서 CD11c+ 수지상세포를 항-CD11c(N418) 마이크로비드와 자기 세포 분류 시스템(Vario MACS: Miltenyi Biotec, Auburn, CA)를 이용하여 분리 후 사용하였다. LPS(E.coli 055:B 타입, Sigma)는 Rv0351에 대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1.2 재조합 Rv0351 단백질 발현 및 정제
결핵균 게놈 DNA로부터 Rv0351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의 정방향 쪽에는 NdeI, 역방향 쪽에는 HindIII 제한효소 위치를 넣었다. 정방향 프라이머의 서열은 5'-GTGACGGACGGAAATCAAAAGC-3'(서열번호: 1)이고, 역방향 프라이머의 서열은 5'-ACTGCCCGACGGTTCTGATTC-3'(서열번호: 2)이었다. PCR 유전자 산물을 T-벡터(Promega, Madison, WI, USA)에 클로닝한 후 NdeI과 HindIII으로 절단하고, 발현벡터인 pET22b에 삽입하였다. Rv0351 유전자가 삽입된 pET22b 벡터로 형질전환시킨 E. coli BL-21을 600 nm에서의 흡광도(OD)가 0.4-0.6이 되도록 배양한 후에 1 mM의 이소프로필-D-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IPTG)를 첨가하고 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발현된 단백질은 니켈-니트릴로트라이아세트산(Ni-NTA, Invitrogen, Carlsbad, CA, USA) 아가로즈 컬럼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분리 정제된 단백질은 Polymixin B bead를 이용하여 LPS를 제거한 후, 0.2 μM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오염원을 제거하였고, 최종적으로 정제한 재조합 단백질은 SDS-PAGE 및 웨스턴 블롯으로 분석하였다(도 1a).
<실시예 2>
수지상 세포의 생존율 측정
LPS 또는 Rv0351로 자극한 수지상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지상 세포를 100 ng/ml 농도의 LPS 또는 5㎍/ml 및 10㎍/ml의 Rv00351로 24시간 동안 처리 후에 5 ㎍ml-1 의 요오드화 프로피듐(propidium iodide, PI) 및 아넥신-V로 이중 염색하고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통해 분석하였다(도 1b).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ml까지는 수지상 세포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10 ㎍/ml의 Rv0351는 수지상 세포에 독성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3>
Rv0351에 의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 정도 분석
3.1 보조자극인자와 MHC class I, II의 발현 분석
수지상 세포에 5 ㎍/ml 및 10 ㎍/ml 농도의 Rv0351 및 100 ng/ml 농도의 LPS를 각각 24시간 처리한 후 수지상 세포를 회수하였다. 미처리 대조군에는 배지만을 처리하였다. 비특이적인 결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1 ㎍/ml의 Fcγ I/III(BD bioscience)을 4℃에서 20분간 처리한 후, 수지상 세포 분석을 위해 CD11c-FITC(BD bioscience)로 4℃에서 20분간 염색하였다. 그리고, 보조자극인자와 MHC 분자의 발현 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CD80-PE(BD bioscience), 항-CD86-PE(BD bioscience), 항-MHC I 및 II-PE(BD bioscience)를 1 ㎍/ml씩 처리하여 4℃에서 30분간 염색했다. PBS 완충액(2% FBS와 0.01% 아지드 나트륨 함유)로 2회 세척하고, 1%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 후에 FACScallibur(Beckson Dikinson, USA)로 분석하였다(도 2a).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은 수지상 세포의 보조자극인자와 MHC class I, II의 발현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Rv0351은 수지상 세포의 성숙을 유도하여,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의 지표인 다양한 표면 분자 변화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3.2 사이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Rv0351이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100 ng/ml LPS, 5 ㎍/ml Rv0351 또는 10 ㎍/ml Rv0351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성숙한 수지상 세포를 생성하였다. Rv0351이 CD11c 수지상 세포내에서IL-12p40/p70 및 IL-10이 생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지상 세포에 5㎍/ml 및 10㎍/ml 농도의 Rv0351 및 100 ng/ml 농도의 LPS를 각각 24시간 처리한 후 수지상 세포를 회수하였다. 비특이적인 결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1 ㎍/ml의 Fcγ I/III(BD bioscience)을 4℃에서 20분간 처리한 후, 수지상 세포 분석을 위해 CD11c-FITC(BD bioscience)로 4℃에서 30분간 염색하였다. 추가적으로, 세포내 싸이이토카인을 염색하기 위해 세포에 항-IL-12p40/p70-PE (BD bioscience) 및 항-IL-10-PE(BD bioscience)를 1 ㎍/ml씩 처리하여 4℃에서 30분간 염색했다. PBS 완충액(2% FBS와 0.01% 아지드 나트륨 함유)로 2회 세척하고, 1%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 후에 FACScallibur(Beckson Dikinson, US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b에 도시하였다. 여기에 각 조건별로 양성인 세포의 비율을 나타내었고, 이는 4번의 개별적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은 CD11c 수지상 세포에서 IL-12p40/p70의 발현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IL-10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한, 마그네틱 비드로 정제된 수지상 세포에서 IL-12p70, TNF-α, IL-6, IL-1β 및 IL-10이 생산되는지 여부를 ELISA로 분석하였다(도 2c).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은 수지상 세포에서 IL-10을 제외한 IL-12p70, TNF-α, IL-6 및 IL-1β의 발현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3.3 수지상 세포의 덱스트란-FITC 탐식능 측정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5 또는 10㎍/ml의 Rv0351 또는 100ng/ml LPS의 존재 또는 부재 조건 (negative control)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수지상 세포에 1 ㎍/ml의 플루오레신 결합 덱스트란(fluorescein-conjugated dextran, 분자량 40,000; Molecular Probes, Eugene, OR)을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37℃와 4℃ 에서 각각 30분 동안 배양한 후 콜드 스테이닝 완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 다음 세포를 3회 세척한 후에 PE(Phycoerythrin)-결합 CD11c(BD bioscience)로 염색한 후에 FACSCalibur를 이용하여 덱스트란-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탐식능을 측정하였다. 덱스트란의 수지상 세포에 대한 비특이적 결합을 측정하기 위해서 4℃에서도 측정하였다(도 2d).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가 그렇지 않은 것보다 덱스트란(항원) 포식 능력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Rv0351이 기능적인 면에서 수지상 세포를 성숙시킴을 알 수 있다. 덱스트란의 수지상 세포에 대한 비특이적 결합을 측정하기 위해서 4℃에서도 측정하였다.
<실시예 4>
Rv0351에 의한 수지상 세포를 성숙과 TLR과의 연관성 분석
Rv0351에 의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과 Toll-like receptor (TLR)의 연관성을 보기 위해서 TLR2-/-, TLR4-/- 및 WT 마우스로부터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수지상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 수지상 세포에 대하여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으로 CD86 및 MHC II의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3.2와 같은 방법으로 TNF-α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Rv0351은 WT이나 TLR2-/-에서 분리한 수지상 세포의 경우 CD86 및 MHC II의 발현과 TNF-a의 생성을 증가시켰지만, TLR4-/-에서 분리한 수지상 세포의 경우 D86 및 MHC II의 발현과 TNF-a의 생성이 크게 감소되었다(도 3). 이러한 결과는 Rv0351이 TLR4를 경유하여 수지상 세포를 활성화시켰음을 뒷받침해준다.
<실시예 5>
Rv0351이 수지상 세포의 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5.1 CCR7(chemokine receptor 7) 발현정도 측정
수지상 세포에 5 및 10 ㎍/ml Rv0351 또는 100ng/ml LPS를 각각 24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비특이적인 결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1 ㎍/ml의 Fcγ I/III을 4℃에서 20분간 처리한 후, 수지상 세포 분석을 위해 CD11c-FITC로 4℃에서 20분간 염색하였다. 그 다음 다시 항CCR7-PE를 처리하여 4℃에서 30분간 염색하였다. PBS 완충액 (2% FBS와 0.01% 아지드 나트륨 함유)로 2회 세척하고, 1%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 후에 FACScallibur(Beckson Dikinson, USA)로 분석하였다(도 4a).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을 처리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수지상 세포보다 CCR7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므로 Rv0351이 수지상 세포의 이동 능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5.2 주화성 분석
정제된 수지상 세포를 24시간 동안 10 ㎍/ml의 Rv0351 및 50 ng/ml의 LPS로 처리하거나 하지 않고(음성 대조군), 케모킨 CCL19 (300 ng/mL)에 반응하여 이동하는 것을 측정하였다. 트랜스웰 플레이트(세공 크기 8.0 ㎛; Corning, Acton, MA)의 아래쪽 챔버에는 500 ㎕의 CCL19를 포함하는 것과 포함하지 않는 무혈청(serum-free) 배지를 넣었다. 무혈청 배지에 재현탁된 수지상 세포(0.1 mL에 1 x 105 세포)를 트랜스웰 플레이트의 위쪽 챔버에 넣고 5% CO2 하에 37℃에서 3시간 동안 이동하도록 두었다. 아래쪽 챔버에서 거둔 이동한 수지상 세포의 수는 FACS(60-second counts)로 셌다(도 4b).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R7의 결합 리간드인 CCL19에 반응해서 이동하는 수지상 세포의 수를 측정한 결과, Rv0351로 처리한 수지상 세포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서 더 많이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Rv0351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가 T 세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동종 T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능력은 in vitro에서 수지상 세포의 성질이다. 동종 T 세포 자극에 Rv0351이 탐지 가능한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Rv0351 또는 LPS를 처리하여 수지상 세포 성숙을 유도하기 전과 후의 수지상 세포의 allostimulatory 능력을 비교하였다. 특히, Rv0351에 의한 성숙한 수지상 세포가 특이적으로 CD8+ T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CD8+ T 세포를 OVA 특이적 OT-1 T 세포 수용체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분리하였다. 또한, 정제된 수지상 세포를 5 ㎍/ml의 Rv0351, 10 ㎍/ml의 Rv0351 및 50 ng/ml의 LPS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고(음성 대조군), 24시간 동안 배양 후 OVA 특이 CD8+ T 세포와의 증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v0351 및 LPS를 처리한 수지상 세포에 OVA(257-264) 펩타이드를 1시간 동안 자극시킨 후 분리한 OVA 특이 CD8+ T 세포에 CFSE 형광 염료를 염색한 후 4일간 동시 배양하였다.
수지상 세포에 의해 자극되어진 T 세포는 수지상 세포(DC)와 클러스터를 형성하게 되는데 DC/T 세포 클러스터의 크기는 미처리된 세포에 의해 형성된 클러스터와 비교해서 Rv0351에 노출된 반응에서 더 증가되었다(도 5a). 또한, T 세포의 증식에 대한 효과는, Rv0351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와 배양한 동종 CD8+ T 세포의 증식률이 미처리 수지상 세포와 배양한 T 세포보다 빨라 보였으며, LPS 처리 수지상 세포에서 관찰된 레벨과 유사하였다(도 5b). 이러한 결과는 Rv0351 처리로 유도된 성숙이 미처리된 수지상 세포의 allostimulatory 능력을 현저히 증가시켰음을 뒷받침해준다.
수지상 세포에서 Rv0351의 IL-12 (사이토카인을 포함하는 Th1) 생성에 대한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v0351 존재 하에 성숙된 수지상 세포에서 초기의 T 세포 반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수지상 세포와 T세포를 배양한 후 동시 배양 2일째에 배양액을 수거해 Th1 반응을 촉진하는 IFN-γ의 생성정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Rv0351에 의해 성숙된 수지상 세포는 CD8+ T 세포내 IFN-γ 생성을 증가시켰다(도 5c).
<실시예 7>
Rv0351이 수지상 세포의 성숙을 유도하는 물질임을 재검증
7.1 LPS 및 Rv0351에 의해 유도되는 수지상 세포의 TNF-α 및 IL-6 방출에 대한 열변성의 영향 분석
LPS 및 Rv0351에 의해 유도되는 TNF-α 및 IL-6 방출에 대한 LPS 및 Rv0351의 열변성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의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100 ng/ml LPS 또는 10 ㎍/ml Rv0351, 또는 끓인 LPS 또는 Rv0351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았다. 24시간 후에 상기 수지상 세포의 상층액내 TNF-α, IL-6의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은 단백질이므로 끓이면 분해되기 때문에 끓인 Rv0351의 경우 TNF-α, IL-6의 분비가 억제되었다. 반면, LPS의 경우에는 끓이더라도 TNF-α, IL-6의 분비에 차이가 없었다.
7.2 LPS 및 Rv0351에 의해 유도되는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산에 대한 PMB의 영향 분석
Rv0351의 수지상 세포 활성화의 효과가 LPS의 오염에 의한 것이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의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LPS 억제제인 polymyxin B (PMB)로 전처리한 후 또는 전처리 없이 100ng/ml LPS 또는 10㎍/ml Rv0351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4시간 후에 상기 수지상 세포의 상층액내 TNF-α, IL-6의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의 경우 LPS에 의한 TNF-α나 IL-6의 분비가 PMB에 의해 감소되는 반면, Rv0351의 경우 PMB를 처리하더라도 TNF-α나 IL-6의 분비에는 영향이 없었다. 이는 Rv0351이 LPS 오염에 의한 것이 아님을 증명한다.
7.3 LPS 및 Rv0351에 의해 유도되는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대한 프로테인아제 K 소화의 영향 분석
배지, 100 ng/ml LPS 또는 10 ㎍/ml Rv0351을 프로테인아제 K로 처리한 후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프로테인아제 K의 농도를 LPS와 Rv0351 농도의 1/20로 처리한 후 50℃에서 1시간 활성화시키고 100℃에서 비활성시켰다. 상기 수지상 세포의 상층액내 TNF-α, IL-6 양을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Rv0351은 단백질이므로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인아제 K로 처리하면 분해되기 때문에 프로테인아제 K를 처리한 Rv0351의 경우 TNF-α, IL-6의 분비가 억제되었다. 반면 LPS의 경우에는 프로테인아제 K를 처리하여도 TNF-α, IL-6의 분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Rv035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v0351은 1 내지 20㎍/ml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미성숙 수지상 세포에 Rv0351을 처리하여 성숙시키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v0351을 넣고 20 내지 30시간 배양하여 성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v0351은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배지에 1 내지 20㎍/ml의 용량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성숙 수지상 세포의 성숙은 Rv0351이 TLR(toll-like receptor)-4를 자극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3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성숙화된 수지상 세포를 함유하는 암치료용 세포 치료제.
PCT/KR2011/001327 2010-10-11 2011-02-25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WO201205026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571A KR101221590B1 (ko) 2010-10-11 2010-10-11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KR10-2010-0098571 2010-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269A1 true WO2012050269A1 (ko) 2012-04-19

Family

ID=4593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1327 WO2012050269A1 (ko) 2010-10-11 2011-02-25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1590B1 (ko)
WO (1) WO20120502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491A (zh) * 2017-01-31 2019-10-15 丘拉提斯股份有限公司 免疫耐受性浆细胞样树突状细胞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35B1 (ko) * 2012-04-20 2015-0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핵균의 Rv2769c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KR101478827B1 (ko) * 2012-04-20 2015-0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튜버큘로시스 MAP1981c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KR102092469B1 (ko) * 2018-09-12 2020-03-2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리보솜 단백질 s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9286B1 (en) * 1997-05-21 2002-1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king dendritic cells from expanded populations of monocytes and for activating T cells
KR20080105241A (ko) * 2007-05-30 2008-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후코이단 또는 그 유사체를 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유도용 조성물
KR20090017928A (ko) * 2007-08-16 2009-02-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Br―Fas 또는 10―Br―Fas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9286B1 (en) * 1997-05-21 2002-1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king dendritic cells from expanded populations of monocytes and for activating T cells
KR20080105241A (ko) * 2007-05-30 2008-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후코이단 또는 그 유사체를 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유도용 조성물
KR20090017928A (ko) * 2007-08-16 2009-02-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Br―Fas 또는 10―Br―Fas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ECKPOT ET AL.: "Dendritic cells for active anti-cancer immunotherapy: targeting activation pathways through genetic modification", ENDOCRINE, METABOLIC & IMMUNE DISORDERS - DRUG TARGETS, vol. 9, no. 4, 1 December 2009 (2009-12-01), pages 328 - 343 *
KOSKI ET AL.: "Reengineering dendritic cell-based anti-cancer vaccines", IMMUNOLOGICAL REVIEWS, vol. 222, 2008, pages 256 - 276, XP008160546, DOI: doi:10.1111/j.1600-065X.2008.00617.x *
MCILROY ET AL.: "Optimizing dendritic cell-based anticancer immunotherapy: maturation state does have clinical impact", CANCER IMMUNOLOGY, IMMUNOTHERAPY, vol. 52, 2003, pages 583 - 59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491A (zh) * 2017-01-31 2019-10-15 丘拉提斯股份有限公司 免疫耐受性浆细胞样树突状细胞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052A (ko) 2012-04-19
KR101221590B1 (ko)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rbina et al. TNF/iNOS-producing dendritic cells mediate innate immune defense against bacterial infection
WO2017142187A1 (ko) Nk세포배양용 배지첨가키트 및 상기 키트를 이용한 nk세포배양방법
Ji et al. Analysis of T helper cell responses during infection with Leishmania amazonensis.
WO2010013947A2 (ko) 자연살해세포의 증식방법
US20130195919A1 (en) Induced dendritic cel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Dzopalic et al. Loxoribine, a selective Toll-like receptor 7 agonist, induces maturation of human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and stimulates their Th-1-and Th-17-polarizing capability
Wu et al. The role of B regulatory (B10) cells in inflammatory disorders and their potential as therapeutic targets
WO2012050269A1 (ko) 결핵균의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KR101452983B1 (ko) 결핵균의 Rv2005c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유도용 조성물
WO2016018053A1 (ko) 수지상세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수지상세포 및 그 용도
WO2015199402A1 (ko) 특정 유전자 발현이 증가된 수지상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상세포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Furio et al. Poly (I: C)-treated human langerhans cells promote the differentiation of CD4+ T cells producing IFN-γ and IL-10
JP6283347B2 (ja) 成熟樹状細胞集団の製造方法
WO2019103436A9 (ko) Nk 세포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nk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
WO2017069512A1 (ko) 바이러스 항원 특이적인 t 세포의 유도 및 증식 방법
WO2019216543A1 (ko) 알파-갈락토실세라마이드 및 esat6를 적재한 b 세포를 포함하는 결핵 치료 및 예방용 세포 백신
KR101172874B1 (ko) HspX를 포함하는 수지상 세포의 성숙화 촉진용 조성물
KR101117186B1 (ko) 수지상세포의 이동성 증진 및 수지상세포에 의해 제조된 세포독성 t 세포의 세포살상능 증진방법
WO2020122405A1 (ko) 역분화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39061A (ko) 결핵균의 Rv2299c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WO2018143652A1 (ko) 면역 관용성 플라즈마사이토이드 수지상 세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264811B1 (ko) 마이코박테리움 압세수스의 MAB0981c 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WO2023096352A1 (ko) Hla-e를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배양보조세포주, 및 그의 용도
KR101087033B1 (ko) 결핵균의 rv0652단백질을 이용한 수지상 세포의 성숙방법
WO2023106894A1 (ko) Mr1 제한적 panck t 세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326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326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