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25124A2 - 가변형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25124A2
WO2011025124A2 PCT/KR2010/002675 KR2010002675W WO2011025124A2 WO 2011025124 A2 WO2011025124 A2 WO 2011025124A2 KR 2010002675 W KR2010002675 W KR 2010002675W WO 2011025124 A2 WO2011025124 A2 WO 201102512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chamber
unit
filter cloth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26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25124A3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환경
Priority to US13/392,711 priority Critical patent/US9067155B2/en
Priority to CN201080038031.6A priority patent/CN102574033B/zh
Priority to PH12012500403A priority patent/PH12012500403B1/en
Publication of WO201102512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24A2/ko
Publication of WO201102512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2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01D29/645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with a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a translato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8Filter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s or pores
    • B01D2201/184Special form, dimension of the openings, pores of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186Pore openings which can be modifi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construction of a filtration devic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nal effluent water in a high-treatment facility of sewage water, the fiber yarn is applied as a medium, but the fiber yarn is applied in the form of filter cloth. It relates to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influent.
  • such a filtration device is not only limited to the trapping space of the underwater particles during filtration compared to the installation area, but also has a fixed pore struc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o that the air gap in the underwater layer is reduced or the pores are blocked. Clogging occurs frequently. Therefore, such a filtration device increases the head loss due to the filtration resistance, and thus the frequency of backwashing of the media in the filter bed because of flow channeling and break-through. The amount of backwashing is increased, and the filtration speed is small because of the large filtration pressure due to the filled media, and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media is leaked during backwashing.
  • Such a filtering device includ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07944, "Waste water treatment filtration device," Patent Registration No. 10-0241198, "Filter device having a variable filter layer,” 10-0324727, “Flexible fiber.” Floating solids separating device in a solution using a yarn ", No. 10-0354836” floating material filtering device in water “and No. 10-0362594" pore controlled filtering device "and the like.
  • the filtration apparatus is difficult to control the voids in forming the pores by controlling the fiber yar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rbitrarily adjust the desired water quality and quantity when the water quality of the influent changes.
  •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adhesion of the fiber yarns.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uch a problem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ir gap relatively easily compared to the prior art so that even if the water quality of the influent changes,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desired water quality and quantit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of the typ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ilter the filter cloth that is already provided in various types as a medium to enable proper water treatment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to provide ease of air gap control and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new type of variable filtration devi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that can be more effective to perform the backwash process, which is one of the difficult problems in the prior art using the fiber yar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ration tank 20 to form a cavity 21 in which the influent is accommodated; It has a chamber 32 is formed around the filtration hole 33 to allow the inner filtration channel 31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chamber 32 is installed in the cavity 21 of the filtration tank 20 A filtration unit 30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 such that the chamber 32 can rot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In the cavity 21 of the said filtration tank 20, it has the roller 52 arrange
  • the roller 52 of the winding unit 50 further includes a washing channel 51 formed therein, and is formed around the washing channel 5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the washing hole 53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backwash water can be extracted from the outside during backwashing.
  • variable filtration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32 of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roller 52 of the winding unit 50 so as to be close to the filter cloth 12 to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shing unit 70 for causing the backwash water to be injected into the filter cloth (12).
  • the filtration unit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hamber 32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20, thereby providing an actuator 90 installed outside the cavity 21.
  •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since the fiber yarn is used in the form of filter cloth, it is possible to easily realize the pore control pointed out as a problem of the prior art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prior art using the fiber yarn.
  • a filter cloth that is already provided in various kinds as a medium to enable proper water treatment in various environments, and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times and the degree of pulling the filter cloth wound in the chamber forming the filtered water to control the filtration conditions
  • the variabl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backwash most problematic in th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fiber yarn in a variety of ways,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lowering of the filtration efficiency due to suspended matter.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lanar structure of the variable filter shown in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briefly explaining the planar structure of the main part in the variabl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 and 4 designate like elements in FIGS. 1 to 4.
  • FIGS. 3 and 4 designate like elements in FIGS. 1 to 4.
  •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nd effects thereof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related art in the art from general filtration apparatus in each drawing are briefly or omitted, and are shown based on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for briefly explaining the planar structure of the main part in the variabl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backwashing process in the variable filte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10 using a fiber yarn in the form of filter cloth as a filter medium, the chamber for forming the filtrate ( 32) to control the filtration conditions through the control of the number and winding of the filter cloth 12 is wound.
  • the variable filtration device 10 has a filter cloth 12, a filtration tank 20, a filtration unit 30, a winding unit 50, an auxiliary washing unit 70, and a filtration unit 30.
  • a filter cloth 12 wound around the chamber 20 of the chamber By adjusting the filter cloth 12 wound around the chamber 20 of the chamber), the inflow water contained in the cavity 21 of the filtration tank 20 is filtered by the filter cloth 12, and the filtration channel 31 of the chamber 32. Allow the filtered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iltration tank 20 forms a cavity 21 in which influent is accommodated.
  •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are vertically disposed in the variable filtra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are drive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21.
  • the service space for installing the drive element is formed. Of course, such a service space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avity 21.
  • the filtration unit 30 has a chamber 32 in which a filtration hole 33 is formed so as to allow the filtration channel 31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a filtration unit 30 is installed so that the chamber 32 is located in the cavity 21 of the filtration tank 20.
  • the chamber 32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 so as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90 installed in the service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20.
  • the rotating shaft 36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unit 30,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hamber 32 and extends outside the filtration tank 20 so as to be outside the cavity 21. It is connected with the motor 90 which is an actuator provided.
  • the winding unit 50 has a roller 52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chamber 32 of the filtration unit 30 in the cavity 21 of the filtration tank 20, and the roller 52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winding unit 5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ltration unit 3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washing channel 51 is formed inside the roller 52 of the winding unit 50, and the washing hole 53 is formed around the washing channel 5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the winding unit 5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ller 52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20 so that the rotation shaft 56 connected to the motor 90 which is an actuator installed outside the cavity 21 is provided.
  •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unit 50 is to effectively perform the cleaning process of the filter cloth.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is generally divided into a filtration process and a washing process. When the filtration process is continued, the pores in the filter cloth 12 are gradually filled with suspended solids, and the filtration resistance increases, so that the filtration process cannot continue anymore. The state is reached.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injects clean backwash water and air into the filtration unit 30 and / or the winding unit 50 so that suspended matter trapped in the pores of the filter cloth 12 can be effectively excluded.
  • the variable filtration device 10 allows the backwash water to come in and out from the outside during backwashing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ing unit 50. That is, the filtr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backwashing water to flow through both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so as to backwash the filter cloth 12,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 backwash water is supplied to one unit (the filtration unit 30 in FIG. 4)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for the filtration unit 30 or the filter cloth 12 wound around the filtration unit 30.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another unit (the winding unit 50 in FIG. 4) (of course, in this case, the filter cloth 12 is made again in the state wound by the filtration unit 30).
  • the filtration device 10 combines the filtration unit 30, the winding unit 50, the auxiliary washing unit 7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let water for filtration treatment not shown but installed separately Not only is it possible to backwash in the state of the cavity 21,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ive backwashing is possible even in the state in which the inflow water in the cavity 21 is discharged.
  •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ar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same manner through one motor 90 installed in the service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20.
  • a driving mechanism can be achieved by the sprocket 92 and the chain 94.
  • the pulling degree of the filter cloth 12 in this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by config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is adjustable It will be possible.
  • variable filtering device 10 is installed an auxiliary washing unit 70 to increase the cleaning effect of the filter cloth (12).
  • the auxiliary washing unit 70 is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32 of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roller 52 of the winding unit 50 so as to be close to the filter cloth 12 so that the backwash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filtered.
  •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10 has a filter cloth 12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to effectively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 cloth 12 due to the attachment and curing of microorganisms in a biological treatment facility of wastewater.
  • a blocking unit 100 is provided for blocking possible exposure to influent water in the cavity 21.
  • the blocking unit 100 allows the cover paper 102 made of a material such as vinyl to be rolled up while being fold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12, and the take-up unit 50
  • the filter cloth 12 is separated when the filter cloth 12 is unwound and wound around the blocking unit 100, so that the filter cloth 12 is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that is, unlike the filtration unit 30 in which the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12) in a stagnant state effectively prevents microorganisms from attaching and curing or attaching suspended solids.
  • the driving of the blocking unit 100 may be such that the driving force by the motor 90 is applied to the blocking unit 100, such as the above-described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It may be achieved by applying a mechanism (for example a spring device) to impart tension in the winding direction.
  • variabl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possible.
  • FIG.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variabl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shown in FIG. Briefly show the planar structure of the variable filter device.
  •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10 is used as a filter medium in the form of a filter cloth, and control the number of times and the degree of pulling the filter cloth wound in the chamber for forming the filtered water It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filtration conditions through.
  • the variable filtration device 10 includes a filtration tank 20, a filtration unit 30, a winding unit 50, and a filter cloth 12, which are wound around the chamber 20 of the filtration unit 30.
  • a filter cloth 12 By adjusting the filter cloth 12, the inflow water contained in the cavity 21 of the filtration tank 20 is filtered by the filter cloth 12, so that the filtered water contained in the filtration channel 31 of the chamber 3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o.
  • the filtration tank 20 forms a cavity 21 in which influent is accommodated.
  • a filtration tank 20 has a pipe line for supplying inflow water, a pipe line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to the outside,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and flow of each pipe line, for support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and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so as to be rotatable, a sensor, a gauge, a controller (control panel) for realizing automatic operation, and the like.
  • this configuration is not only a conventional filtration device that applies the fiber yarn as a medium, but also a part that can be easily seen from the related art in the general wastewater treatment fiel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iltration unit 30 has a chamber 32 in which a filtration hole 33 is formed so as to allow the internal filtration channel 31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a filtration unit 30 is installed so that the chamber 32 is located in the cavity 21 of the filtration tank 20.
  • the chamber 32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 so that the chamber 32 can rot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 the winding unit 50 has a roller 52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chamber 32 of the filtration unit 30 in the cavity 21 of the filtration tank 20, and the roller 52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the figure.
  •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showed a structure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ltration tank 20, in the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ltration unit 30
  • the winding unit 50 is also applicable to the structure of a horizontal arrangement.
  •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do not have to have parallel arrangements with each other,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i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utilization of space.
  • the filtration unit 30 should be kept in a state of being immersed in influent, but the winding unit 50 may be configured not to be immersed in the influent.
  •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are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20 so that they can be supported by various bearings or the like and can be rotated, and have a watertight structure by applying a mechanical seal or the like. Will be installed. Then, the rotation of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is performed by the chain drive (or gear drive) of the chamber 32 and the winding unit 50 of the filtration unit 30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ller 52 may be rotated equally, but such a drive design is not limited. For example, when the filtration conditions can be sufficiently controlled by only adjusting the number of times the filter cloth is wound around the chamber 32,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filtration unit 30 and the winding unit 50 to one actuator (motor).
  • one end of the filter cloth 12 is coupled to the chamber 32 of the filtration unit 3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roller 52 of the winding unit 50, and woun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roller 52
  • the chamber 32 and the roller 52 are wound and unwound by the chamber 32.
  • Such a filter cloth 12 can be used as a filter medium of various kinds of filter cloth that has already been provided to enable proper water treatment in various environments.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227126 "conductive filter fabric manufacturing method”
  •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01-0000801 High-density filter cloth using fiber yarn
  •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56938 Various filter cloths have been proposed throug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sludge electric dewatering filter cloth" and "No.
  • the filter cloth 12 refers to a form in which a fiber yarn (wherein the fiber yarn is not limited to its material) is used in the form of a filter cloth. It will be included in the form lis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의 고도처리시설에서 최종 방류수의 수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가변형 여과장치(10)는 여과조(20), 여과 유니트(30), 권취 유니트(50) 및 여과포(12)를 구비하여 여과수를 형성하는 챔버에 여과포가 감기는 회수와 당김 정도의 조절을 통해 여과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공극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입수의 수질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목적하는 수질과 수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여과장치
본 발명은 가변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시설에서 최종 방류수의 수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여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섬유사를 여재로 적용하되 섬유사를 여과포 형태로 적용하여 유입수를 여과처리하도록 하는 가변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전과 함께 도시지역의 확대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환경문제 중에서 물 오염문제는 인류의 장래를 위협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이 강화되고, 생물학적 또는 물리화학적 고도처리시설이 확충되고 있으며, 특히, 하폐수의 고도처리시설에서 최종 방류수의 수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여과장치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과장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특0121118호 "정화시설의 여과장치", 등록번호 제10-0438150호 "여과수두를 이용한 역세척방법 및 여과장치", 등록번호 제10-0479476호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22527호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등과 같이 모래(sand), 안스라사이트(anthrac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점토류(clay), 분쇄 자철광(magnetite), 석류석(garnet), 불활성 메디아(media) 등과 같은 무기입자상 물질의 여재로 여과층을 형성하여 유입수를 여과하는 방식의 여과장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여과장치는 설치면적에 비해 여과시 수중입자의 포획공간이 표층 부근에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여재의 특성상 고정 세공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중의 부유물질로 인한 여층의 공극 감소나 공극폐색(clogging)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여과장치는 여과저항으로 인한 압력손실(head loss)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플로우 채널링(flow channeling), 탁질누출(break-through)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여과층내 여재의 역세척 빈도와 역세척 수량이 증가하며, 충진된 여재로 인한 여과압력이 크기 때문에 여과속도가 작고, 역세척시 여재가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여과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섬유사를 여재로 사용하는 여과장치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과장치에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7-0007944호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41198호 "가변필터층을 갖는 여과장치", 제10-0324727호 "유연성 섬유사를 이용한 용액속의 부유 고형물질 분리장치", 제10-0354836호 "수중 부유물질 여과장치" 및 제10-0362594호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여과장치들은 섬유사를 제어하여 공극을 형성하는데 있어 공극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유입수의 수질이 변동되는 경우 목적하는 수질과 수량을 임의로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여과장치는 섬유사들의 밀착력을 유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공극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입수의 수질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목적하는 수질과 수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변형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 적절한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이미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는 여과포를 여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공극제어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변형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사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서 어려운 문제로 손꼽히는 역세척 공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변형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입수가 수용되는 캐비티(21)를 형성하는 여과조(20)와; 내부의 여과 수로(31)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33)이 둘레로 형성되는 챔버(32)를 갖고, 상기 챔버(32)가 상기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챔버(3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20)에 설치되는 여과 유니트(30)와; 상기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서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52)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롤러(5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20)에 설치되는 권취 유니트(50) 및; 일단이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52)에 정해진 길이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챔버(32)와 롤러(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32)에 감기고 풀리는 여과포(12)를 포함하여; 상기 챔버(32)에 감기는 상기 여과포(12)를 조절하므로써, 상기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수용되는 유입수가 상기 여과포(12)에 의해 여과되고, 상기 챔버(32)의 여과 수로(31)로 수용된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서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는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수로(5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척 수로(51)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세척홀(53)을 더 구비하여, 역세척시 외부로부터 역세척수가 입출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는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 사이에서 상기 여과포(12)와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수가 상기 여과포(12)로 분사되도록 하는 보조 세척 유니트(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서 상기 여과 유니트(30)는 상기 챔버(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상기 캐비티(21) 외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90)와 접속되는 회동축(36) 및, 상기 회동축(36)의 반대측에서 상기 챔버(32)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챔버(32)의 여과 수로(31)와 연통되어 여과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축(34)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 의하면, 섬유사를 여과포의 형태로 사용하므로, 섬유사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의 장점을 살리면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공극제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환경에서 적절한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이미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는 여과포를 여재로 사용하고, 여과수를 형성하는 챔버에 여과포가 감기는 회수와 당김 정도의 조절을 통해 여과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공극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입수의 수질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목적하는 수질과 수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는 섬유사를 사용하는 여과장치에서 가장 문제되는 역세척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부유물질로 인한 여과효율을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보인 가변형 여과장치의 평면 구조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서 주요부의 평면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4에서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여과장치로부터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서 주요부의 평면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서 역세척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같이, 섬유사를 여과포의 형태로 하여 여재로 사용하고, 여과수를 형성하기 위한 챔버(32)에 여과포(12)가 감기는 회수와 당김의 조절을 통해 여과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는 여과포(12), 여과조(20), 여과 유니트(30), 권취 유니트(50), 보조 세척 유니트(70)를 구비하여, 여과 유니트(30)의 챔버(20)에 감기는 여과포(12)를 조절하므로써,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수용되는 유입수가 여과포(12)에 의해 여과되고, 챔버(32)의 여과 수로(31)로 수용된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실시예에서 여과조(20)는 유입수가 수용되는 캐비티(21)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가변형 여과장치(10)는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가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하므로, 캐비티(21)의 상면에는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를 구동시키는 구동 요소를 설치하기 위한 서비스 공간이 형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서비스 공간은 캐비티(21)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또한, 여과 유니트(30)는 내부의 여과 수로(31)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33)이 둘레로 형성되는 챔버(32)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여과 유니트(30)는 챔버(32)가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여과조(20)의 서비스 공간에 설치되는 모터(90)의 구동력에 의해 챔버(3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여과조(2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 유니트(30)에는 회동축(36)이 설치되는데, 이 회동축(36)은 챔버(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캐비티(21) 외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인 모터(90)와 접속된다. 그리고, 회동축(36)의 반대측에서 챔버(32)의 타측에 결합되어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챔버(32)의 여과 수로(31)와 연통되어 여과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축(34)을 갖는다. 물론, 이와 같은 회동축(36)과 배출축(34)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해 챔버(32)를 회전시키고,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는 이 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권취 유니트(50)는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서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52)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롤러(5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여과조(2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권취 유니트(50)는 전술한 여과 유니트(3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에는 세척 수로(51)가 내부에 형성되고, 세척 수로(51)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둘레에 세척홀(53)이 형성된다. 그리고, 권취 유니트(50)는 롤러(52)의 일측에 결합되어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캐비티(21) 외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인 모터(90)와 접속되는 회동축(56)을 갖는다. 그리고, 회동축(56)의 반대측에서 롤러(52)의 타측에 결합되어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롤러(52)의 세척 수로(51)와 연통되어 역세척시 세척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축(54)을 갖는다.
이와 같은 권취 유니트(50)의 구성은 여과포의 세척공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즉, 통상 여과장치의 운전은 여과공정과 세척공정으로 나누어지는데, 여과공정을 계속하게 되면 여과포(12) 내의 공극은 점점 부유물질로 채워지고, 여과저항이 증가하여 더 이상 여과공정을 계속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깨끗한 역세척수와 공기 등을 여과 유니트(30) 및/또는 권취 유니트(50)로 주입하여 여과포(12)의 공극에 포획된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는 이와 같은 권취 유니트(50)의 구성을 통해 역세척시 외부로부터 역세척수가 입출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는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 모두를 통해 역세척수를 유입시켜 여과포(12)를 역세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한 유니트{도 4에서는 여과 유니트(30)}로 역세척수를 공급시켜 여과 유니트(30) 또는 여과 유니트(30)에 감긴 한 바퀴의 여과포(12)에 대한 세척공정을 수행하고, 다른 유니트{도 4에서는 권취 유니트(50)}로 세척수가 배출{물론, 이 경우 여과포(12)는 다시 여과 유니트(30)로 감긴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10)는 여과 유니트(30), 권취 유니트(50), 후술되는 보조 세척 유니트(70),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로 설치되는 배출구를 조합하여 여과처리를 위한 유입수가 캐비티(21)내에 있는 상태에서 역세척이 가능할뿐만아니라, 캐비티(21)내의 유입수를 배출시킨 상태에서도 효과적인 역세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는 여과조(20)의 서비스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의 모터(90)를 통해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동메커니즘은 스프로킷(92)과 체인(9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포(12)의 당김 정도는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의 설치시 결정될 수 있고,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써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는 여과포(12)의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 보조 세척 유니트(70)를 설치한다. 이 보조 세척 유니트(70)는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 사이에서 여과포(12)와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수가 여과포(12)로 분사되도록 한다. 즉, 전술한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에서 이루어지는 역세척은 챔버(32)와 롤러(52)에 1회 감긴 여과포(12)를 역세척하기 위해 적용되지만, 보조 세척 유니트(70)는 여과포(12)의 이송시 또는 작업 중 필요시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는 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시설에서 미생물의 부착양생에 따른 여과포(12)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권취 유니트(50)에 감기는 여과포(12)가 캐비티(21)내의 유입수에 노출되는 것을 가능한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 유니트(1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차단 유니트(100)는 권취 유니트(50)에 여과포(12)가 감길 때 비닐과 같은 재질의 커버지(102)가 여과포(12)의 외측으로 포개지면서 함께 감기도록 하고, 권취 유니트(50)로부터 여과포(12)가 풀릴 때 분리되어 차단 유니트(100)에 감기도록 하므로써, 여과포(12)가 권취 유니트(50)에 감긴 상태{즉, 여과공정이 이루어지는 여과 유니트(30)와 달리 여과포(12)가 정체된 상태}에서 미생물이 부착양생하거나 부유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단 유니트(100)의 구동은 전술한 여과 유니트(30) 및 권취 유니트(50)와 같이 모터(90)에 의한 구동력을 받도록 할 수 있으나, 커버지(102)가 차단 유니트(100)에 감기는 방향으로 텐션(tension)을 부여하는 기구{일례로 태엽장치}를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인 가변형 여과장치의 평면 구조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는 섬유사를 여과포의 형태로 하여 여재로 사용하고, 여과수를 형성하기 위한 챔버에 여과포가 감기는 회수와 당김 정도의 조절을 통해 여과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는 여과조(20), 여과 유니트(30), 권취 유니트(50) 및 여과포(12)를 구비하여, 여과 유니트(30)의 챔버(20)에 감기는 여과포(12)를 조절하므로써,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수용되는 유입수가 여과포(12)에 의해 여과되고, 챔버(32)의 여과 수로(31)로 수용된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과조(20)는 유입수가 수용되는 캐비티(2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여과조(20)에는 유입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배관라인,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관라인, 각 배관라인의 유량 및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 그리고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 자동운전을 실현하기 위한 센서, 게이지(gauge), 컨트롤러(제어 패널)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는 요소로 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은 섬유사를 여재로 적용하는 종래 여과장치뿐만아니라 일반적인 하폐수처리분야의 관련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과 유니트(30)는 내부의 여과 수로(31)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33)이 둘레로 형성되는 챔버(32)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여과 유니트(30)는 챔버(32)가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챔버(3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여과조(20)에 설치된다. 그리고, 권취 유니트(50)는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서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52)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롤러(5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여과조(20)에 설치된다. 여기서,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의 배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도면에서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는 여과조(20)에 대히 수직 배치되는 구조를 보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10)에서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는 수평 배치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는 서로 평행한 배치를 갖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그 배치관계는 여과공정의 효율성과 공간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여과 유니트(30)는 유입수에 잠겨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지만, 권취 유니트(50)는 유입수에 잠기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는 여과조(20)에 설치됨에 있어서 각종 베어링 등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되고, 메카니칼씰(Mechanical Seal) 등을 적용하여 수밀구조(Sealing)를 갖도록 설치될 것이다. 그리고,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의 회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체인 구동(또는 기어 구동)을 통해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가 동일하게 회동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구동 설계는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여과포가 챔버(32)에 감기는 회수의 조절만으로 여과조건을 충분히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를 하나의 액추에이터(모터)에 접속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과조건을 더욱 다양하게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포(12)가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감기는 힘(당김 정도)을 조절하여 여과포(12)의 당김 정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여과 유니트(30)와 권취 유니트(50)의 구동설계, 회동지지구조 및 수밀구조는 이 분야의 종사자가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여과포(12)는 일단이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결합되고, 타단이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에 결합되며, 롤러(52)에 정해진 길이로 감긴 상태에서 챔버(32)와 롤러(52)의 회전에 의해 챔버(32)에 감기고 풀린다. 이와 같은 여과포(12)는 이미 다양한 환경에서 적절한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여과포를 여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27126호 "전도성 여과포 제조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00801호 "화섬사를 이용한 고밀도 여과포",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56938호 "슬러지 전기탈수용 여과포 제조방법" 및 등록번호 제10-0824214호 "고압축 성형용 여과포" 등을 통해 다양한 여과포가 제안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여과포를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여과포(12)는 섬유사(이때, 섬유사는 그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다)를 여과포의 형태로 사용하는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일정한 구조로 직조된 형태뿐만아니라 섬유사를 조밀하게 나열한 형태로 포함한다 할 것이다.
최종 방류수의 여과, 취수장·호소수 등의 조류 및 기타 오염물질을 여과, 제철소 등의 냉각수·순환수의 여과, 농업·공업 용수의 여과, 정수장 등의 배출수 여과, 하수 월류수의 여과 등을 위해 사용되는 여과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유입수가 수용되는 캐비티(21)를 형성하는 여과조(20)와;
    내부의 여과 수로(31)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33)이 둘레로 형성되는 챔버(32)를 갖고, 상기 챔버(32)가 상기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챔버(3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20)에 설치되는 여과 유니트(30)와;
    상기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서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52)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롤러(5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20)에 설치되는 권취 유니트(50) 및;
    일단이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52)에 정해진 길이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챔버(32)와 롤러(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32)에 감기고 풀리는 여과포(12)를 포함하여;
    상기 챔버(32)에 감기는 상기 여과포(12)를 조절하므로써, 상기 여과조(20)의 캐비티(21)내에 수용되는 유입수가 상기 여과포(12)에 의해 여과되고, 상기 챔버(32)의 여과 수로(31)로 수용된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는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수로(5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세척 수로(51)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세척홀(53)을 더 구비하여, 역세척시 외부로부터 역세척수가 입출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여과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 사이에서 상기 여과포(12)와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수가 상기 여과포(12)로 분사되도록 하는 보조 세척 유니트(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여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니트(30)는 상기 챔버(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상기 캐비티(21) 외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90)와 접속되는 회동축(36) 및,
    상기 회동축(36)의 반대측에서 상기 챔버(32)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조(2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챔버(32)의 여과 수로(31)와 연통되어 여과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축(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여과장치.
PCT/KR2010/002675 2009-08-27 2010-04-28 가변형 여과장치 WO2011025124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92,711 US9067155B2 (en) 2009-08-27 2010-04-28 Variable filtration device
CN201080038031.6A CN102574033B (zh) 2009-08-27 2010-04-28 可变过滤装置
PH12012500403A PH12012500403B1 (en) 2009-08-27 2010-04-28 Variable filtr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783 2009-08-27
KR1020090079783A KR100937111B1 (ko) 2009-08-27 2009-08-27 가변형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124A2 true WO2011025124A2 (ko) 2011-03-03
WO2011025124A3 WO2011025124A3 (ko) 2011-04-21

Family

ID=4180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2675 WO2011025124A2 (ko) 2009-08-27 2010-04-28 가변형 여과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7155B2 (ko)
KR (1) KR100937111B1 (ko)
CN (1) CN102574033B (ko)
MY (1) MY159702A (ko)
PH (1) PH12012500403B1 (ko)
WO (1) WO20110251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4174B1 (fr) * 2009-12-17 2014-04-11 Otvs A Procede de potabilisation et/ou d'epuration d'eau comprenant l'elimination d'un compose cible et une filtration au sein d'un tambour filtrant
KR20120033496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조은환경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
KR101263755B1 (ko) * 2010-12-15 2013-05-16 손영식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KR101326663B1 (ko) * 2011-01-31 2013-11-08 주식회사 조은환경 처리수의 상태량에 따라 여과조건을 조절하는 수처리방법 및 여과장치
KR101106410B1 (ko) * 2011-02-25 2012-01-17 정승화 직물필터 방식 오폐수 여과기
KR101448298B1 (ko) * 2012-06-15 2014-10-13 양한수 수처리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
KR101345261B1 (ko) 2012-08-02 2013-12-26 이전웅 무역세 여과장치
KR101382125B1 (ko) * 2012-09-03 2014-04-07 주식회사 조은환경 여재 텐션 유지가 가능한 가변형 여과장치
KR101505147B1 (ko) 2012-09-27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여과장치
US9675916B2 (en) * 2012-10-04 2017-06-13 Eaton Corporation Servo-controlled backwash filter system
KR101300825B1 (ko) * 2013-03-15 2013-08-29 주식회사 조은환경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
KR101495442B1 (ko) 2013-08-30 2015-02-2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KR101567942B1 (ko) * 2014-01-27 2015-11-11 임정아 여과와 세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공극조절 여과장치
KR101516727B1 (ko) * 2014-04-16 2015-05-04 이전웅 무역세 여과장치-ⅱ
GB2539931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28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WO2019117370A1 (ko) * 2017-12-14 2019-06-20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카세트타입 필터장치
CN107875708A (zh) * 2017-12-19 2018-04-06 邱学尧 过滤管道及其过滤装置
ES2727002B2 (es) * 2018-04-10 2020-12-10 Univ Valladolid Sistema de filtracion variable para la mejora de la calidad del aire y otros gases y liquidos y de la eficiencia energetica
CN109248494A (zh) * 2018-09-25 2019-01-22 江苏阜升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高效过滤效率的滤芯
CN109626611A (zh) * 2018-12-20 2019-04-16 贵州瑞泰实业有限公司 节能型污废水处理及净化回收装置
CN112426785A (zh) * 2021-01-11 2021-03-02 成都随德盛商贸有限公司 一种清理带有毛发废水的排放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286A (ja) * 2003-09-10 2005-03-31 Ebara Corp 布材走行式生物接触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生物処理装置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2485A (en) * 1991-02-19 1992-05-12 Gene Hirs Drum filter
US5209841A (en) * 1991-09-27 1993-05-11 Bratten Jack R Filter belt arrangement for pressurized chamber filter
JPH07313816A (ja) * 1994-05-23 1995-12-05 Brother Ind Ltd 循環温浴機
JP2891453B2 (ja) * 1994-10-20 1999-05-17 鹿島建設株式会社 紐状濾材利用の水処理用混床
JPH08290017A (ja) * 1995-04-21 1996-11-05 Tetsuo Kasamatsu 濾過装置
JPH10216419A (ja) 1997-01-31 1998-08-18 Tajima Shoji Kk 汚水浄化装置
KR100362594B1 (ko) * 2001-02-27 2002-11-29 (주)성신엔지니어링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1286A (ja) * 2003-09-10 2005-03-31 Ebara Corp 布材走行式生物接触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生物処理装置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9702A (en) 2017-01-13
US20120152819A1 (en) 2012-06-21
CN102574033A (zh) 2012-07-11
PH12012500403B1 (en) 2011-03-03
US9067155B2 (en) 2015-06-30
WO2011025124A3 (ko) 2011-04-21
CN102574033B (zh) 2015-02-18
KR100937111B1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25124A2 (ko) 가변형 여과장치
JP4584988B2 (ja) 重力式繊維ろ過器
KR101653780B1 (ko)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1050182B1 (ko) 직물 매체 여과 시스템
KR101446273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상향류 모래 여과장치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077362B1 (ko) 여과공극 가변형 여과장치
KR101510923B1 (ko) 카트리지 필터를 내장한 공극제어 섬유 여과기 및 섬유 여과기 세척 방법
KR100343198B1 (ko) 드럼필터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541148B1 (ko) 가변형 스트레이너 섬유여과기
KR101557884B1 (ko) 회전형 스트레이너 섬유 여과기
KR101382125B1 (ko) 여재 텐션 유지가 가능한 가변형 여과장치
KR20020063332A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CN206466978U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三室四层过滤器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20077086A (ko) 중력식 여과 방법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 시스템
KR100946916B1 (ko) 대용량 수처리 시설을 위한 가변형 여과장치
CN114873703B (zh) 污水混凝搅拌装置、污水脱氮除磷系统及其处理工艺
KR20040002814A (ko) 카트리지 형 수처리용 여과장치
KR0142996B1 (ko)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JP2002018497A (ja) 汚泥濾過濃縮装置
CN202740868U (zh) 超声波滤布过滤器
KR100438150B1 (ko) 여과수두를 이용한 역세척방법 및 여과장치
CN212594177U (zh) 一种带有旁通减压装置的浅层砂过滤器
KR200227931Y1 (ko) 역세척 기능을 향상시킨 스트레이너블럭
KR200347969Y1 (ko) 하천 정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38031.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121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92711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1201000779

Country of ref document: TH

Ref document number: 12012500403

Country of ref document: PH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121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