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147B1 -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147B1
KR101505147B1 KR1020120108358A KR20120108358A KR101505147B1 KR 101505147 B1 KR101505147 B1 KR 101505147B1 KR 1020120108358 A KR1020120108358 A KR 1020120108358A KR 20120108358 A KR20120108358 A KR 20120108358A KR 101505147 B1 KR101505147 B1 KR 10150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ber yarn
wound
unwoun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255A (ko
Inventor
심주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1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섬유사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되, 회전으로 상기 섬유사가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420)는 제1 필터; 상기 섬유사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되, 회전으로 상기 섬유사가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420)는 제 2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필터의 외주면에 상기 섬유사가 풀릴때,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를 역세하기 위한 역세 노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필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1 필터에 감길 때, 제2 필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2 필터에서 풀리(420)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여과장치{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의 역세 방법은 정수과정의 역으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외부에 부착된 입자를 제거하거나, 외부에서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거나 또는, 화학약품을 통해 입자를 녹이는 방식 등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여과장치의 역세의 경우 내부 깊숙한 부분까지 역세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질이 나쁜 경우 잦은 필터 교체가 이루어 지게 되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의 성능 차이는 결국 낮은 역세유량, 높은 역세효율을 가지고 원하는 공극의 크기(입자 통과 사이즈)를 균일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중 필터의 공극 크기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많은 기술들이 필터의 재질을 바꾸거나 역세 방법 등을 바꾸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역세의 가장 좋은 방법은 필터를 완전 분해하여 세척 후 다시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이는 일반적인 필터의 구조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섬유사를 감아 사용한 필터의 경우 완전 분해가 가능하므로 이점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사의 경우 일정시간의 여과를 수행하게 되면 섬유가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도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다른 한쪽 부분은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0097호(2005.11.14 등록, 역세 필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섬유를 감아 사용하는 방식의 필터에서 역세 효율 및 여과 효율이 향상된 여과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섬유사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되, 회전으로 상기 섬유사가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 필터; 상기 섬유사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되, 회전으로 상기 섬유사가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 2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필터의 외주면에 상기 섬유사가 풀릴 때,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를 역세하기 위한 역세 노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필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1 필터에 감길 때, 제2 필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2 필터에서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필터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에 상기 섬유사가 감기거나 풀릴 때, 상기 섬유사가 균일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섬유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가 상기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섬유사도 함께 이동시키기 위하여 섬유사를 지지하는 홈이 형성된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는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에 감기는 동안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을 수 있다.
상기 풀리는 상기 풀리 내측으로 스프링을 구비하여 탄성력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섬유를 감아 사용하는 방식의 필터에서 역세 효율 및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필터 및 이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제1 필터 및 제2 필터에 섬유사가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이동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풀리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제1 필터(100), 제2 필터(200), 및 역세 노즐부(300)를 포함한다.
제1 필터(100)에는 섬유사(S)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제1 필터(100)는 섬유사(S)가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일정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200)는 제1 필터(100)에 일단이 결합된 섬유사(S)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어 제1 필터(10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필터(100)의 외주면에 섬유사(S)가 감기는 경우, 제2 필터(200)의 외주면에 섬유사(S)는 풀리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제1 필터(100)가 여과작용시 제2 필터(200)는 역세작용이 일어나고, 제1 필터(100)가 역세작용시 제2 필터(200)는 여과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필터(100)의 외주면에 제1 필터(100)의 회전에 의하여 섬유사(S)가 감기게 되고 이때 여과 동작이 진행되고, 제2 필터(200)의 외주면에 제2 필터(200)의 회전에 의하여 섬유사(S)가 풀리게 되고, 이때 역세작용이 진행되게 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제1 필터(100)의 외주면에 제1 필터(100)의 회전에 의하여 섬유사(S)가 풀리게 되고 이때 역세 동작이 진행되며, 제 2필터의 외주면에 제2 필터(200)의 회전에 의하여 섬유사(S)가 감기게 되어 여과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섬유사(S)로 이루어진 여과부의 여과 및 역세를 번갈아 가며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는 역세과정을 통해 필터를 항상 새것과 같이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항상 일정량 이상의 처리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섬유가 한쪽으로 몰리게 되는 현상을 역세과정에서 계속적으로 다시 감아주게 되므로 섬유가 한쪽으로 몰려 일어나는 수질 악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100)는 제1 기어(110)를 포함하고, 제2 필터(200)는 제1 기어(11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력의 제공을 제1 필터(100) 혹은 제2 필터(200) 일방에만 제공하여도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처럼 제1 필터(100) 및 제2 필터(200)는 맞물려 회전하는 바 섬유사(S)가 한쪽 필터에서 감길 때, 다른 필터에서 풀릴 수 있도록 섬유사(S)의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이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400)는 제1 필터(100) 또는 제2 필터(200)에 섬유사(S)가 감기거나 풀릴 때, 섬유사(S)가 균일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섬유사(S)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필터가 회전시, 이동부(400)가 없다면 섬유사(S)는 필터 외주면의 같은 자리에서 감기거나 풀리게 되어 섬유사(S)가 겹치게 되어 균일한 구성을 갖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는 이동부(400)를 구비하여 균일하게, 동일한 두께로 섬유사(S)가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이동부(400)에 나사산(410)이 형성되고, 제1 필터(100)에 나사부(120)가 형성되어 이동부(400)의 나사산(410)과 제1 필터(100)의 나사산(410)이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이동부(4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제1 필터(100)가 회전하여 섬유사(S)가 제1 필터(100)의 외주면에 감기게 됨과 동시에 제1 필터(100)의 나사부(120)와 맞물려 회전하는 나사산(410)이 형성된 이동부(40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1 필터(100)의 제 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210)를 갖춘 제2 필터(200)는 회전하여 제 2 필터의 외주면에 섬유사(S)가 풀리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400)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섬유사(S)도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섬유사(S)를 지지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풀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풀리는 섬유사(S)가 제1 필터(100) 또는 제 2필터에 감기는 동안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필터(100)에 섬유사(S)가 감기고 제 2필터에 섬유사(S)가 풀릴 때 제1 필터(100)에서 제2 필터(200)로 당겨지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촘촘하고 균일하게 섬유사(S)가 풀리거나 감기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내측으로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를 통하여 각 필터의 섬유사 내부까지 세척할 수 있어 필터를 새것으로 유지하는 것뿐 아니라 역세과정에서 발생하는 섬유사의 손실이 없어 필터의 교체 수명을 크게 향상시켜 원가절감 및 처리효율 유지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섬유사
100: 제1 필터
110: 제1 기어
120: 나사부
200: 제2 필터
210: 제2 기어
300: 역세 노즐부
400: 이동부
410: 나사산
420: 풀리
421: 홈
422: 스프링

Claims (7)

  1. 섬유사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되, 회전으로 상기 섬유사가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 필터;
    상기 섬유사의 타단이 고정 결합되되, 회전으로 상기 섬유사가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 2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필터의 외주면에 상기 섬유사가 풀릴때,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를 역세하기 위한 역세 노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필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1 필터에 감길 때, 제2 필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2 필터에서 풀리고,
    상기 제1 필터는 제1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에 상기 섬유사가 감기거나 풀릴 때, 상기 섬유사가 균일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섬유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가 상기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섬유사도 함께 이동시키기 위하여 섬유사를 지지하는 홈(421)이 형성된 풀리(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420)는 상기 섬유사가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에 감기는 동안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420)는 상기 풀리(420) 내측으로 스프링(422)을 구비하여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KR1020120108358A 2012-09-27 2012-09-27 여과장치 KR10150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358A KR101505147B1 (ko) 2012-09-27 2012-09-27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358A KR101505147B1 (ko) 2012-09-27 2012-09-27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55A KR20140041255A (ko) 2014-04-04
KR101505147B1 true KR101505147B1 (ko) 2015-03-23

Family

ID=5065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358A KR101505147B1 (ko) 2012-09-27 2012-09-27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1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017A (ja) * 1995-04-21 1996-11-05 Tetsuo Kasamatsu 濾過装置
JP2009502463A (ja) 2005-07-29 2009-01-29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折畳み濾過媒体の堅牢化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堅牢化された濾過媒体
KR100937111B1 (ko) 2009-08-27 2010-01-15 주식회사 조은환경 가변형 여과장치
KR20120033496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조은환경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017A (ja) * 1995-04-21 1996-11-05 Tetsuo Kasamatsu 濾過装置
JP2009502463A (ja) 2005-07-29 2009-01-29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折畳み濾過媒体の堅牢化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り堅牢化された濾過媒体
KR100937111B1 (ko) 2009-08-27 2010-01-15 주식회사 조은환경 가변형 여과장치
KR20120033496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조은환경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55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329B1 (ko) 하이브리드형 섬유여과장치
KR20140020539A (ko) 경사평판형 필터장치
KR20150090713A (ko) 여과와 세정이 동시에 수행되는 공극조절 여과장치
KR101908704B1 (ko) 중공사 막 모듈
KR20170110836A (ko) 정수기용 두루마리형 필터 트리밍장치
JP2007130380A (ja) 洗濯液中のリント除去装置、及び同方法
JPWO2017138477A1 (ja) 水の浄化フィルター
KR101505147B1 (ko) 여과장치
KR101936352B1 (ko) 흡착식 액체필터
CN104923017A (zh) 气体处理装置及该装置的控制方法
KR101557884B1 (ko) 회전형 스트레이너 섬유 여과기
KR101541148B1 (ko) 가변형 스트레이너 섬유여과기
KR101695765B1 (ko) 중공사막모듈세척시스템
CN103933783A (zh) 多极自清洗液体分离净化器
KR101999068B1 (ko) 수압을 이용한 곡면 압착식 섬유여재 여과기
KR101641888B1 (ko) 여과장치
KR101702845B1 (ko) 산업용 정수기에 사용되는 극세사 필터 제조장치
CN203829714U (zh) 反洗分离净化器
KR20120124696A (ko) 역세척이 필요없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KR102053401B1 (ko) 카세트타입 필터장치
KR101859020B1 (ko) 여과장치
JP5071393B2 (ja) プリコート型脱水処理装置及びプリコート型脱水処理装置のプリコート層の除去方法
KR101877142B1 (ko)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하수의 필터링 방법
KR20140147330A (ko) 경사나선식 섬유여재 고정판 및 이를 이용하는 섬유여과기
KR20160083561A (ko) 밀도점감 여재를 포함하는 필터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