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442B1 -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442B1
KR101495442B1 KR20130104256A KR20130104256A KR101495442B1 KR 101495442 B1 KR101495442 B1 KR 101495442B1 KR 20130104256 A KR20130104256 A KR 20130104256A KR 20130104256 A KR20130104256 A KR 20130104256A KR 101495442 B1 KR101495442 B1 KR 10149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ing roll
foreign matter
drive motor
gear
wast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춘
한상빈
이태오
전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0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20Filters, e.g. oil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폐필터 폐기 작업을 자동화한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는,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볼 있도록 위치하며 폐필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되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를 관통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이물질 제거롤; 상기 구동기어를 관통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이물질 제거롤;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2이물질 제거롤로부터 폐필터를 탈거하여 배출하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SPENT FILTER WITH REMOVING ALIEN SUBSTANC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적으로 폐필터의 오일 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일 성분이 제거된 폐필터를 자동 처리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포밍 기술은 기존의 스탬핑(stamping)이나 및 용접(welding)으로 생산하던 부품을 더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하는 방식인 바, 심(seam) 용접 또는 저항 용접된 튜브를 소재로 튜브 양 끝단을 펀치로 실링(sealing)한 상태에서 튜브 내부에 확관액을 공급, 수압을 상승시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기술이다.
하이드로포밍 공정은 튜브 절단과정, 벤딩과정 등을 포함하는 바, 이 과정들을 거치면서 다수의 이물질(기름, 철가루 등)이 묻어나게 된다.
튜브에 묻은 이물질은 하이드로포밍 작업 시 제품의 성형을 방해하여 제품의 결함으로 연결되므로, 확관액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보관탱크에 보관되기 전에 필터장치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된 후 재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1436호(2012.11.6)에는 "하이드로포밍용 이멀젼 필터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필터로부터 이멀젼을 회수하는 것은 물론, 필터 공급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폐필터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이드로포밍용 이멀젼 필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하이드로포밍용 이멀젼 필터링 장치'는 이멀젼에 혼합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와, 이러한 필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필터와 접촉하면서 필터에 필터링된 이멀젼을 흡입하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액 필터장치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터(3)는 공급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확관액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소정의 필터통(4)에 수집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외부로 이송된 후 버려지고, 필터링된 확관액은 보관통(1)에 모아지게 된다.
이때, 확관액과 이물들이 그대로 묻어있는 필터(3)를 폐기할 경우, 확관액에 섞여진 기름 등이 외부로 누출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폐필터(3a)를 폐기하게 되므로, 이 때에는 설비를 가동할 수 없어서 설비 가동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필터(3)를 적기에 버리지 못 하게 되는 경우, 필터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에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1436호(2012.11.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물질이 혼입된 상태의 폐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제거된 폐필터를 자동적으로 수집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는,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볼 있도록 위치하며 폐필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되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를 관통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이물질 제거롤; 상기 구동기어를 관통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이물질 제거롤;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2이물질 제거롤로부터 폐필터를 탈거하여 배출하는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는 흡입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공은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이 일측 외주면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동력전달기어와, 제1구동모터와, 이 제1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기어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동력전달기어와, 제2구동모터와, 이 제2구동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되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방향전환 기어를 포함한다.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는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기어와 제1동력전달기어가 치합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모터는 피스톤 실린더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 일측면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부는, 작동 정지 중인 제1이물질 제거롤 또는 제2이물질 제거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하단을 관통하는 이송 스크류와, 이 이송 스크류와 별개로 상기 지지편의 하단을 관통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이송스크류 일단에 결합된 제3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 감긴 폐필터의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이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 감긴 폐필터 두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제3구동모터 및 피스톤 실린더에 작동 신호 내지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폐필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폐필터를 폐기할 수 있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폐필터 폐기시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할 있으므로, 설비 가동율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폐필터를 적기에 폐기할 수 있으므로, 필터가 제품 품질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폐필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요부인 제1, 2이물질 제거롤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는, 확관액이 보관되는 보관통(1) 후단, 즉, 필터통(4) 상에 설치되거나, 필터통(4)의 후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터통(4)의 일측면에는 프레임(70)을 폐필터(F) 공급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70)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필터통(4)을 프레임(70)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기어(1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바, 구동기어(10)의 회전축은 프레임(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부(40)는 구동기어(10)에 양 방향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은 구동기어(1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은 구동기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배치되는 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즉,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면서 폐필터(F)의 이물질 제거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그 중 나머지 하나는 작업 중인 어느 하나의 반대편에서 대기하게 되며, 어느 하나의 작업이 완료된 후 구동기어(10)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하나가 작업 가능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다시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바, 작업 완료한 어느 하나는 휴지 상태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은 폐필터(F) 권취에 따른 압착력을 이용하여 폐필터(F)에 존재하는 철 성분, 오일 성분을 제거한다.
제거부(50)는 이물질 제거 작업을 완료하고 휴지 상태에 있는 제1이물질 제거롤(20) 또는 제2이물질 제거롤(30)에 감긴 폐필터(F)를 탈거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에는 흡입공(H)이 형성된다.
흡입조(80)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은 흡입공(H)을 통하여 전달되는 바, 폐필터(F)를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흡입공(H)은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일측 외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이물질 제거롤(20) 또는 제2이물질 제거롤(30)에는 폐필터(F)가 권취되는데, 권취 초기 폐필터(F)의 선단부는 흡입공(H)을 통하여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 제1이물질 제거롤(20) 또는 제2이물질 제거롤(30)에 밀착되고,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회전에 따라 권취되는 폐필터(F)의 압착력에 의하여 폐필터(F)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처리장치의 구동부(40)는 제1구동부(42) 및 제2구동부(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동부(42)는 이물질 제거 작업 중인 제1이물질 제거롤(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며, 제2구동부(44)는 구동기어(10)가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제1구동부(42)는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하는 제1이물질 제거롤(20)이 회전하여 폐필터(F)를 권취할 수 있도록 일 방향 회전력을 제공하고, 제2구동부(44)는 이물질 제거 작업이 완료된 제1이물질 제거롤(20)과 대기 중인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위치가 서로 뒤바뀔 수 있도록 구동기어(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이물질 제거롤(20)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제1회전축(C1)은 구동기어(10)를 관통하고, 이러한 제1회전축(C1)의 일단에는 제1동력전달기어(42a)가 결합되며, 이러한 제1동력전달기어(42a)에는 제1회전기어(42c)가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회전기어(42c)는 제1구동모터(42b)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42b)가 작동하면 제1회전기어(42c)가 회전하고, 제1회전기어(42c)에 치합되는 제1동력전달기어(42a)가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C1) 또한 회전함에 따라 제1이물질 제거롤(2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회전 중심인 제2회전축(C2)은 구동기어(10)를 관통하고, 이러한 제2회전축(C2)의 일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제2동력전달기어(44a)가 결합된다.
또한 제2구동모터(44b)에는 방향전환 기어(44c)가 결합되고, 방향전환 기어(44c)는 구동기어(10)와 치합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44b)가 작동하여 방향전환 기어(44c)가 회전하면 구동기어(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이물질 제거롤(20)과 제2이물질 제거롤(30)은 서로 위치를 바꾸게 되고, 제1동력전달기어(42a) 및 제2동력전달기어(44a)의 위치도 바뀌게 되는 바, 제2동력전달기어(44a)는 제1회전기어(42c)와 치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어(10)는 프레임(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구동모터(42b) 및 제2구동모터(44b)는 프레임(70)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회전기어(42c)와 제1동력전달기어(42a) 간의 치합 관계가 해제될 수 있도록 제1구동모터(42b)는 피스톤 실린더(P)를 매개로 프레임(7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이물질 제거롤(20)에 충분한 두께의 폐필터(F)가 권취되면, 제1이물질 제거롤(20)과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위치를 변경시켜 제1이물질 제거롤(20)을 제거부(5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이물질 제거롤(30)을 작업 가능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바, 제1동력전달기어(42a)와 제1회전기어(42c)가 치합된 상태에서 제2구동모터(44b)를 작동하게 되면, 제1동력전달기어(42a) 및 제1회전기어(42c)에 기계적인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동력전달기어(42a)와 제1회전기어(42c)를 치합 해제한 상태에서 제2구동모터(44b)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거부(50)는 지지편(52)과, 이송 스크류(54), 가이드바(56) 및 제3구동모터(5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52)은 휴지 상태에 있는 제1이물질 제거롤(20) 또는 제2이물질 제거롤(30)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지지편(52)은 "Y"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단 "V"형 구조물에 제1이물질 제거롤(20) 또는 제2이물질 제거롤이 거치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편(52)의 하단으로 이송 스크류(54) 및 가이드바(56)가 별개로 관통하며, 이송 스크류(54)는 지지편(52)의 하단과 나사 결합되고, 이송 스크류(54)의 일단에는 제3구동모터(58)가 결합되는 바, 제3구동모터(58)의 회전력은 이송 스크류(54)에 전달되며, 이송 스크류(54)로부터 지지편(52)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가이드바(56)의 간섭으로 지지편(52)의 직선 방향 운동력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60)는 제1이물질 제거롤(20) 및 제2이물질 제거롤(30)에 감긴 폐필터(F)의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로부터 두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제1구동모터(42b), 제2구동모터(44b) 및 제3구동모터(58)에 작동 신호 내지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감지센서(S)로부터 전송되는 권취된 폐필터(F) 두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60)에서는 제1구동모터(42b)에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하고, 피스톤 실린더(P)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제1동력전달기어(42a)와 제1회전기어(42c)의 치합 관계를 해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2구동모터(44b)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구동기어(1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이물질 제거롤(20)과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위치를 변경하고, 위치 변경된 상태에서 지지편(52)을 직선 이동시켜 제1이물질 제거롤(20)에 권취된 폐필터(F)를 제거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이물질 제거롤(20) 상에 폐필터(F)가 위치하면, 흡입공(H)을 통하여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 폐필터(F)가 제1이물질 제거롤(20)에 달라붙는다.
이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42b)가 작동하면 제1회전기어(42c)가 회전하고, 제1회전기어(42c)에 치합된 제1동력전달기어(42a)가 회전하며, 제1동력전달기어(42a)와 연동하여 제1이물질 제거롤(20)이 회전, 폐필터(F)를 권취하게 된다.
감지센서(S)가 제1이물질 제거롤(20)에 권취된 폐필터(F)의 두께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전송하면, 제어부(60)에서는 이를 기초로 더 이상의 권취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더 이상 폐필터(F) 권취 불가능하게 되면, 제어부(60)에서는 작업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권취 불가능 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폐필터(F)를 컷팅한다.
컷팅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피스톤 실린더(P)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며, 피스톤 실린더(P)가 팽창하여 제1회전기어(42c)와 제1동력전달기어(42a)의 치합이 해제되면, 제어부(60)에서는 다시 제2구동모터(44b)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고 제2구동모터(44b) 작동에 의해 방향전환 기어(44c)가 회전하면서 구동기어(10)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기어(10)의 회전에 따라 제1이물질 제거롤(20)과 제2이물질 제거롤(30)의 위치가 변경되며, 폐필터(F)가 권취된 제1이물질 제거롤(20)은 지지편(5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어부(60)에 의해 제3구동모터(58)가 작동하면 지지편(52)이 직선 운동하면서 제1이물질 제거롤(20)에 권취된 폐필터(F)를 제1이물질 제거롤(20)로부터 탈거,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구동기어 20 : 제1이물질 제거롤
30 : 제2이물질 제거롤 40 : 구동부
42 : 제1구동부 42a : 제1동력전달기어
42b : 제1구동모터 42c : 제1회전기어
44 : 제2구동부 44a : 제2동력전달기어
44b : 제2구동모터 44c : 방향전환 기어
50 : 제거부 52 : 지지편
54 : 이송 스크류 56 : 가이드바
58 : 제3구동모터 60 : 제어부
70 : 프레임 80 : 흡입조
H : 흡입공 C1 : 제1회전축
C2 : 제2회전축 P : 피스톤 실린더
F : 폐필터 S : 감지센서

Claims (8)

  1. 양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볼 있도록 위치하며 폐필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되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어를 관통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이물질 제거롤;
    상기 구동기어를 관통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이물질 제거롤;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구동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2이물질 제거롤로부터 폐필터를 탈거하여 배출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는 흡입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은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이 일측 외주면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회전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동력전달기어와, 제1구동모터와, 이 제1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회전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기어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회전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동력전달기어와, 제2구동모터와, 이 제2구동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되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방향전환 기어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는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기어와 제1동력전달기어가 치합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동모터는 피스톤 실린더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 일측면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작동 정지 중인 제1이물질 제거롤 또는 제2이물질 제거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하단을 관통하는 이송 스크류와, 이 이송 스크류와 별개로 상기 지지편의 하단을 관통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이송 스크류 일단에 결합된 제3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 감긴 폐필터의 두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이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제1이물질 제거롤 및 제2이물질 제거롤에 감긴 폐필터 두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제3구동모터 및 피스톤 실린더에 작동 신호 내지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KR20130104256A 2013-08-30 2013-08-3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KR10149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256A KR101495442B1 (ko) 2013-08-30 2013-08-3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256A KR101495442B1 (ko) 2013-08-30 2013-08-3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442B1 true KR101495442B1 (ko) 2015-02-24

Family

ID=5259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256A KR101495442B1 (ko) 2013-08-30 2013-08-30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4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3409A (zh) * 2018-09-05 2019-01-08 孔维连 用于楼宇的空气净化系统
KR20190074739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11B1 (ko) 2009-08-27 2010-01-15 주식회사 조은환경 가변형 여과장치
KR101042967B1 (ko) 2010-12-28 2011-06-20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여과층 제어형 호소여과장치
KR20120121435A (ko) * 2011-04-27 2012-11-06 주식회사 포스코 하이드로포밍용 이멀젼 필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11B1 (ko) 2009-08-27 2010-01-15 주식회사 조은환경 가변형 여과장치
KR101042967B1 (ko) 2010-12-28 2011-06-20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여과층 제어형 호소여과장치
KR20120121435A (ko) * 2011-04-27 2012-11-06 주식회사 포스코 하이드로포밍용 이멀젼 필터링 장치
KR101312516B1 (ko) 2011-04-27 2013-10-01 주식회사 포스코 하이드로포밍용 이멀젼 필터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739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장치
KR102039599B1 (ko) * 2017-12-20 2019-11-0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장치
CN109163409A (zh) * 2018-09-05 2019-01-08 孔维连 用于楼宇的空气净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442B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갖는 폐필터 자동 처리장치
CN103658091A (zh) 一种多功能旋转喷淋式清洗装置及方法
CN205397495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活塞工件的自动化上料机
CN209291628U (zh) 不织布制作设备的自动换卷机构
KR101530980B1 (ko) 유공관 성형장치
CN107010252A (zh) 一种拉伸膜自动缠绕装置
CN111550681A (zh) 一种自动检测修复工业污水管道破裂的机器
CN210751583U (zh) 一种双向排渣的磷化除渣机
KR101754113B1 (ko) 리텝핑 장치
CN111515491A (zh) 一种报废汽车拆解设备及拆解工艺
KR101312516B1 (ko) 하이드로포밍용 이멀젼 필터링 장치
CN106219314A (zh) 一种多层窗膜废边分层自动回收设备
US10887483B2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quality inspection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247180A (zh) 一种自动焊堵装置
KR100824523B1 (ko) 압연롤 표면결함 검출장치
KR101493309B1 (ko)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CN216548781U (zh) 一种泡罩机换膜不停机机构
CN213224981U (zh) 一种自动化接头装配机
CN205471916U (zh) 一种用于锯齿形花边的高效无纺布分切机
CN219469658U (zh) 一种瓶型果冻包装机用防褶皱送膜装置
CN220409033U (zh) 一种滤芯打孔设备
CN210309546U (zh) 一种防漏印的印刷设备
CN215654008U (zh) 一种压滤机接液翻板防张开装置
CN109531420A (zh) 自动换砂片系统及方法
CN220626352U (zh) 一种水质重金属含量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