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309B1 -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309B1
KR101493309B1 KR20140080938A KR20140080938A KR101493309B1 KR 101493309 B1 KR101493309 B1 KR 101493309B1 KR 20140080938 A KR20140080938 A KR 20140080938A KR 20140080938 A KR20140080938 A KR 20140080938A KR 101493309 B1 KR101493309 B1 KR 101493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ank
screw rod
liquid phas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0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에 장착되어 2차로 승강되는 제2승강부와, 상기 제2승강부에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료탱크에 구멍을 뚫는 드릴날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날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바디의 상측에 고정되고 액상류 탱크에 밀착되어 액상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름관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액상류 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상류가 회수되는 액상류 회수관으로 구성되어, 액상류 저장탱크에 구멍을 뚫음과 동시에 액상류가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이 쉽고 편리하며,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을 때 연료 등의 액상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APPARATUS FOR LIQUID COLLECTING OF DISUSED CAR}
본 발명은 폐차에 저장된 연료, 각종 오일류 및 냉매, 냉각액, 브레이크 액 등과 같은 각종 액상류를 폐차에서 분리한 후 연료, 오일류 및 물을 회수하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수명이 다한 폐차는 부품 및 재료를 재활용하기 위해 폐차 해제 작업을 수행한다.
폐차에서 회수되는 액상류는 엔진오일, 미션오일(자동, 수동), 파워스티어링오일, 냉각수, 워셔액, 브레이크 오일, 연료 등이다.
현재, 차량을 폐차시킬 경우 차량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액상류를 완전히 회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폐차 처리할 경우 액상류에 의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액상류를 의무적으로 회수해야된다.
종래의 폐차의 폐액류 회수장치는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4833(2011년 05월 17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폐차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와, 리프트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폐액류를 회수하는 폐액류 회수관과, 폐액류 회수관에 연결되어 폐차의 하부에 받쳐지는 깔대기 모양의 회수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폐차의 폐액류 회수장치는 차량을 리프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각각의 폐액류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탱크의 저면에 구멍을 뚫어주고 구멍을 통해 흘러나오는 폐액류를 각각 종류별로 별도로 회수하고 있다.
회수부는 폐액류의 종류별로 구비된다. 즉, 연료를 회수하는 연료 회수부, 엔진오일을 회수하는 엔진오일 회수부, 미션오일을 회수하는 미션오일 회수부,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부, 냉각수를 회수하는 냉각수 회수부 등 복수의 회수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폐액류 회수장치는 연료 회수부의 경우 연료탱크의 저면에 구멍을 뚫은 후 연료를 회수해야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연료탱크에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연료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4833(2011년 05월 17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류 저장탱크에 구멍을 뚫음과 동시에 액상류가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이 쉽고 편리하며,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을 때 연료 등의 액상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에 장착되어 2차로 승강되는 제2승강부와, 상기 제2승강부에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료탱크에 구멍을 뚫는 드릴날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날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바디의 상측에 고정되고 연료탱크에 밀착되어 연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름관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액상류 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상류가 회수되는 액상류 회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승강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에 유압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발로 밟아서 제1승강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 내부로 유압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조작하는 조작 패달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승강부는 상기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는 레일 프레임과, 상기 레일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 로드와, 상기 스크류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레일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크류 로드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제2승강부에 설치되고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돌리는 핸들 또는 제2승강부에 설치되고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구동모터가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원통 형태이고, 그 측면에는 액상류 회수관이 연결되고, 그 하면에는 구동유닛이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면에는 주름관이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드릴 날이 연료탱크에 구멍을 뚫을 때 발생되는 쇠조각이 상기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에는 액상류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상류 회수관에는 액상류에 포함된 쇠조각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가 장착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액상류와 접촉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방지하도록 에어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액상류가 회수되는 바디에 드릴날이 일체로 구비되어 드릴날이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음과 동시에 바디 내부로 액상류가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액상류 회수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액상류 회수작업 중 액상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복수의 롤러(12)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승강부(20)와, 제1승강부(20)에 장착되어 2차로 승강되는 제2승강부(30)와, 제2승강부(30)에 장착되는 바디(40)와, 바디(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는 드릴날(42)과, 바디(40)의 하측에 설치되어 드릴날(42)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44)과, 바디(40)의 상단에 장착되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원통 형태이며, 액상류 탱크에 밀착되는 주름관(46)과, 바디(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액상류 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상류가 회수되는 액상류 회수관(4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액상류 탱크는 엔진오일 또는 미션오일이 저장되는 탱크, 냉매 또는 냉각수 라인 등이 될 수 있고, 특히 연료탱크가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는 폐차의 각종 액상류를 회수할 수 있고, 특히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회수하는 연료 회수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승강부(2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그 하단이 고정되는 실린더 바디(22)와, 실린더 바디(22)에 유압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린더 로드(24)를 포함한다.
실린더 바디(22)의 외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26) 및 각종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구 수납함(28)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제1승강부(20)를 작동시키는 패달(14)이 장착된다. 즉, 일 예로, 패달(14)을 전방으로 밟으면 실린더 바디(22) 내부로 유압이 공급되어 실린더 로드(24)가 상승되고, 패달(14)을 후방으로 밞그면 실린더 바디(22)의 내부의 유압이 인출되어 실린더 로드(24)가 하강된다.
이와 같이, 제1승강부(20)는 패달(14)을 발로 밟아서 조작하므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제2승강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24)에 고정되는 레일 프레임(32)과, 레일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 로드(34)와, 스크류 로드(34)가 삽입되고 레일 프레임(32)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크류 로드(34)가 회전되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바디(40)에 고정되는 이동부재(36)와, 스크류 로드(34)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구동부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스크류 로드(34)를 회전시킬 경우, 레일 프레임(32)의 하측에 핸들(38)이 장착되어 핸들(38)을 회전시키면 스크류 로드(34)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구동부는 자동으로 스크류 로드(34)를 회전시킬 경우 스크류 로드(34)의 일단에 구동모터 및 감속기가 장착되어 구동모터가 회전되면 스크류 로드(3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로 구동모터가 설치될 경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바디(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이고, 그 측면에는 액상류 회수관(48)이 연결되며, 하면은 구동유닛(44)이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은 주름관(46)이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중앙에 드릴날(42)이 통과한다. 그리고 바디(40)의 상면에는 드릴날(42)을 이용하여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을 때 쇠조각이 바디(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50)이 장착되고, 차단판(50)에는 복수의 구멍(52)이 형성되어 액상류만 구멍(52)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액상류 회수관(48)은 회수호스(54)와 연결되고, 회수호스(54)에는 하나 이상의 필터(56)가 장착되어 회수되는 액상류에 포함된 미세한 쇠조각 등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다.
주름관(46)은 액상류 탱크의 하면에 밀착되어 액상류 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상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승강부에 의해 바디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주름관(46)이 액상류 탱크의 하면에 밀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드릴날(42)이 회전되면서 제2승강부(30)가 작동되어 바디(40)가 상승하게 되면 드릴날(42)이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고 액상류 탱크에 저장된 액상류가 바디(4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주름관(46)이 액상류 탱크의 하면에 밀착되어 액상류 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상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유닛(44)는 폐차에서 회수되는 액상류 특히, 연료와 접촉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모터가 사용된다.
에어모터는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드릴날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타입의 에어모터도 적용이 가능하고, 감속기가 구비되고, 정속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어모터는 에어호스(60)에 의해 고압공기가 충진된 에어탱크(62)와 연결되어 에어모터로 고압공기가 공급되면 에어모터가 구동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제1승강부(20)를 작동하여 바디(40)를 1차로 상승시킨다. 그런 후 액상류 탱크(100)의 하면에 드릴날(42)을 위치시킨 후 구동유닛(44)을 작동시키면 드릴날(42)이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승강부(30)가 작동되면 바디(40)가 2차로 상승되면서 주름관(46)의 상면이 액상류 탱크(10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되고, 드릴날(42)이 액상류 탱크(100)에 구멍(102)을 뚫는다.
제2승강부(30)를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바디(40)가 하강되면 드릴날(42)이 하강하면서 액상류 탱크(100)에 뚫린 구멍(102)을 통해 액상류가 바디(40)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주름관(46)은 액상류 탱크(1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멍(102)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바디(40)의 상면에 설치된 차단판(50)에 의해 드릴날(42)이 액상류 탱크(100)에 구멍(102)을 뚫을 때 발생되는 금속 조각이 바디(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디(40) 내부로 유입된 액상류는 액상류 회수관(48)을 통해 회수되고 액상류 회수관(48)에 설치된 필터(56)에서 필터링되어 비교적 깨끗한 연료만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베이스 프레임 14: 패달
20: 제1승강부 22: 실린더 바디
24: 실린더 로드 30: 제2승강부
32: 레일 프레임 34: 스크류 로드
36: 이동부재 38: 핸들
40: 바디 42: 드릴날
44: 구동유닛 46: 주름관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제1승강부;
    상기 제1승강부에 장착되어 2차로 승강되는 제2승강부;
    상기 제2승강부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는 드릴날;
    상기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날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바디의 상측에 고정되고 액상류 탱크에 밀착되어 액상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주름관; 및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액상류 탱크에서 배출되는 액상류가 회수되는 액상류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되는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에 유압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승강부는 상기 실린더 로드에 고정되는 레일 프레임과, 상기 레일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류 로드와, 상기 스크류 로드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레일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크류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스크류 로드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드릴 날이 액상류 탱크에 구멍을 뚫을 때 발생하는 쇠조각이 상기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에는 액상류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류 회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발로 밟아서 제1승강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바디 내부로 유압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조작하는 조작 패달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2승강부에 설치되고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돌리는 핸들 또는 제2승강부에 설치되고 스크류 로드와 연결되는 구동모터가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류 회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원통 형태이고, 그 측면에는 액상류 회수관이 연결되고, 그 하면에는 구동유닛이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상면에는 주름관이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류 회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류 회수관에는 액상류에 포함된 쇠조각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가 장착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류 회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액상류와 접촉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방지하도록 에어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류 회수장치.

KR20140080938A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KR101493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0938A KR101493309B1 (ko)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0938A KR101493309B1 (ko)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309B1 true KR101493309B1 (ko) 2015-02-16

Family

ID=5259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0938A KR101493309B1 (ko) 2014-06-30 2014-06-30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3555B2 (en) 2021-05-11 2023-12-05 Semes Co., Ltd. Apparatuses for processing a substrate and methods of processing a substr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592A (ja) * 1996-05-23 1997-12-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燃料回収装置
JP4820634B2 (ja) * 2005-12-05 2011-11-24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外部駆動型結束工具及び人力駆動式定置型結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592A (ja) * 1996-05-23 1997-12-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燃料回収装置
JP4820634B2 (ja) * 2005-12-05 2011-11-24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外部駆動型結束工具及び人力駆動式定置型結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3555B2 (en) 2021-05-11 2023-12-05 Semes Co., Ltd. Apparatuses for processing a substrate and methods of processing a substr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91882A (zh) 一种水泵泵体和端盖加工用钻孔设备
KR101643422B1 (ko)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를 위한 드릴링 장치
KR101530980B1 (ko) 유공관 성형장치
CN102847977A (zh) 报废汽车油箱钻孔装置
KR101493309B1 (ko)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CN110562359B (zh) 一种便携式钻孔抽液器
CN117123813A (zh) 一种移动式的法兰端面车削设备
CN210847924U (zh) 一种便于维护的新型消音自动打孔机
CN111014801A (zh) 一种管桩端部方板节段自动切割装置
CN111069233A (zh) 一种废旧金属松油桶回收预处理装置
WO2022061951A1 (zh) 一种高分子材料的打孔装置
DE4404882C2 (de) Anlage zur Entnahme von Betriebsmedien und zum Rückbau von Fahrzeugen
KR100817795B1 (ko) 폐차시스템에 있어서 각종의 폐액상류 회수장치
CN208391633U (zh) 钢材钻床
CN113371104A (zh) 一种报废汽车的放油装置及其放油工艺
KR101021610B1 (ko) 면포추출기
KR100938696B1 (ko) 레일 이동식 폐차 해체장치
CN112520869B (zh) 一种工厂污水处理装置
JP2000141295A (ja) 廃棄車輛の液抜き用穿孔工具
CN215753500U (zh) 一种危险废液转存装置
JPH09309592A (ja) 燃料回収装置
CN205289912U (zh) 一种自动化容器切割装置
CN220881559U (zh) 一种金属板材开孔装置
CN220114992U (zh) 密封桶装固危废物自动破拆工装
CN216788343U (zh) 一种拖挂式路面钻孔取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