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755B1 -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755B1
KR101263755B1 KR1020100128319A KR20100128319A KR101263755B1 KR 101263755 B1 KR101263755 B1 KR 101263755B1 KR 1020100128319 A KR1020100128319 A KR 1020100128319A KR 20100128319 A KR20100128319 A KR 20100128319A KR 101263755 B1 KR101263755 B1 KR 101263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roller
container
imp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953A (ko
Inventor
양한수
전원배
Original Assignee
손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식 filed Critical 손영식
Priority to KR102010012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7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용 다리가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와 플랜지결합되어 고정되는 덮개;와, 상기 용기의 상부 측면에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유입관과, 상기 원수유입관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정제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정제수배출관과, 상기 용기의 하부에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배출되도록 하는 불순물배출관을 포함하는 관로;와, 상기 원수유입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원수유입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정제수배출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정제수배출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와, 상기 불순물배출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불순물배출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개폐부;와, 내부에 공극을 갖는 여과부재를 통하여 원수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제하고, 정제된 정제수는 상기 정제수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의 여과부재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추출하여 상기 불순물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불순물청소부;와, 상기 여과필터 및 불순물청소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통해서 여과부재로 이루어진 여과필터를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종래와 같이 여과재를 가압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및 동력수단과 연동되는 장치적인 구성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유지관리에 소모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롤러에 여과부재를 감는 정도 및 여과부재의 공극밀도(Mesh)에 따라 여과필터의 원수 정제 능력이 달라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의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여과부재를 감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A waste water processing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통해서 여과부재로 이루어진 여과필터를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종래와 같이 여과재를 가압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및 동력수단과 연동되는 장치적인 구성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유지관리에 소모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 오·폐수, 지하수, 해수 등을 정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용기 내부에는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슬러지나 찌꺼기 등)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재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여과재는 폴리에스테르(PE:Polyester)로 된 실을 촘촘하게 권취시켜 원통형으로 형성하거나 링 형상으로 절단된 다수의 여과지나 부직포를 적층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한 카트리지형 여과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여과재는 통상 1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번 사용하게 되면 더 이상 재사용할 수 없어 새로운 여과재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함으로, 교체비용 및 교체시간이 낭비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번 사용된 종래의 여과재는 폐기시에도 별도의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산업폐기물로써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 본 출원인은 "반복 재생가능한 수처리용 여과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출원번호:10-2010-0024360)"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반복 재생가능한 수처리용 여과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출원번호:10-2010-0024360)"는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용이하게 걸러지도록 여과재를 가압하는 여과재압축판을 수직 승·하강시키는 별도의 동력수단(압축판승강용 실린더)이 구비되므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져 장치의 제작이 어려움은 물론이며,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비용의 소모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반복 재생가능한 수처리용 여과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출원번호:10-2010-0024360)"는 반복 재생가능한 여과재를 통한 장치의 편리한 유지관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나, 용기 내부로 승·하강하는 여과재압축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무패킹은 용기와의 반복적인 마찰로 인해 닮아 손실되어 빈번히 교체해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용기 내부의 마찰로 인해 닮은 고무패킹의 교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용기 내주면과 고무패킹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여, 그 틈새로 여과재가 여과재압축판의 상부로 배출(유실)되어 여과재의 기능을 상실하여 장치의 수처리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통해서 여과부재로 이루어진 여과필터를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종래와 같이 여과재를 가압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및 동력수단과 연동되는 장치적인 구성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유지관리에 소모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1롤러에 여과부재를 감는 정도 및 여과부재의 공극밀도(Mesh)에 따라 여과필터의 원수 정제 능력이 달라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의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여과부재를 감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는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용 다리가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와 플랜지결합되어 고정되는 덮개;와, 상기 용기의 상부 측면에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유입관과, 상기 원수유입관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정제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정제수배출관과, 상기 용기의 하부에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배출되도록 하는 불순물배출관을 포함하는 관로;와, 상기 원수유입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원수유입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정제수배출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정제수배출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와, 상기 불순물배출관 상에 위치되어 상기 불순물배출관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개폐부;와, 내부에 공극을 갖는 여과부재를 통하여 원수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제하고, 정제된 정제수는 상기 정제수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의 여과부재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추출하여 상기 불순물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불순물청소부;와, 상기 여과필터 및 불순물청소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필터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는 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1롤러와, 내부가 관통되며, 일단은 상기 제1롤러 타단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정제수배출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1연결파이프와,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제2롤러와, 상부는 제1롤러에 감기고, 하부는 제2롤러에 감기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순물청소부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부재와 접촉되는 다수의 솔을 갖는 브러시 롤과, 상기 브러시 롤을 감싸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브러시 롤의 청소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에서 낙하하는 불순물이 수용되는 집진부와, 내부는 관통되며, 상부는 상기 집진부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불순물배출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결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롤러가 회동되도록 구동하는 제1감속모터와, 상기 제2롤러가 회동되도록 구동하는 제2감속모터와, 상기 브러시 롤이 회동되도록 구동하는 제3감속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롤러의 전방에 이격 위치하여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재가 접촉 이송되도록 하는 전방가이드 봉과, 상기 제2롤러의 후방에 이격 위치하여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재가 접촉 이송되도록 하는 후방가이드 봉을 더 포함하여,
상기 브러시 롤에 의해서 청소되어 상기 여과부재에서 수직 낙하하는 불순물을 수집하는 상기 집진부의 적합한 위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의 양측은 상기 제1롤러에 감기는 경우에 감기는 상기 여과부재의 양끝단이 정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판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의하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통해서 여과부재로 이루어진 여과필터를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종래와 같이 여과재를 가압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 및 동력수단과 연동되는 장치적인 구성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유지관리에 소모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롤러에 여과부재를 감는 정도 및 여과부재의 공극밀도(Mesh)에 따라 여과필터의 원수 정제 능력이 달라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의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여과부재를 감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횡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여과필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불순물청소부의 분리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원수 정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여과필터의 세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횡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여과필터의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불순물청소부의 분리 사시도를,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원수 정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의 여과필터의 세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100)는 용기(10)와, 덮개(20)와, 관로(30)와, 개폐부(40)와, 여과필터(50)와, 불순물청소부(60)와, 구동부(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는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용 다리(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는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10)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와 플랜지결합(21)되어 고정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로(30)는 상기 용기(10)의 상부 측면에 상기 용기(1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유입관(31)과, 상기 원수유입관(31)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용기(10) 내부와 연통되어 정제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정제수배출관(32)과,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상기 용기(1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배출되도록 하는 불순물배출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관(31)을 통해서 정제해야 할 원수가 상기 용기(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원수가 후설될 상기 여과필터(50)를 통해서 정제되면, 정제된 정제수는 상기 정제수배출관(32)을 통해서 배출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될 상기 불순물청소부(60)를 통해서 상기 여과필터(50)에서 추출되는 불순물은 상기 불순물배출관(33)을 통해서 배출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원수배출관(2)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10) 내부의 청소가 필요시에 상기 원수배출관(2)을 통해 상기 용기(10) 내부의 물을 배출한 후, 상기 덮개(20)를 열어 상기 용기(10)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40)는 상기 관로(30)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원수유입관(3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원수유입관(3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41)와, 상기 정제수배출관(32)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정제수배출관(32)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42)와, 상기 불순물배출관(33) 상에 위치되어 상기 불순물배출관(33)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필터(50)는 내부에 공극을 갖는 여과부재(54)를 통하여 원수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제하고, 정제된 정제수는 상기 정제수배출관(32)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는 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멍(51a)이 형성되는 제1롤러(51)와, 내부가 관통되며, 일단은 상기 제1롤러(51) 타단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51)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정제수배출관(32)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1연결파이프(52)와, 상기 제1롤러(5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제2롤러(53)와, 상부는 제1롤러(51)에 감기고, 하부는 제2롤러(53)에 감기는 여과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면, 연속하여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서 유입된 원수는 관통구멍(51a)을 통해서 상기 제1롤러(51)로 유입되고,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연결파이프(52)를 통하여 상기 정제수배출관(32)으로 유통되어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1롤러(51)의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부재(54)가 감겨있으므로, 상기 제1롤러(51)의 관통구멍(51a)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은 상기 여과부재(54)에 걸리게 되는 방법으로 원수가 정제된다.
즉, 상기 여과부재(54)는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망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롤러(51)에 상기 여과부재(54)를 많이 감은 상태에서 원수의 정제를 수행하면 미세한 공극을 갖는 상기 여과부재(54)가 연속하여 많이 겹쳐지므로 매우 미세한 불순물까지 걸러낼 수 있으며, 상기 제1롤러(51)에 상기 여과부재(54)를 적게 감은 상태에서 원수의 정제를 수행하면 상기 여과부재(54)가 적게 겹쳐지므로 다소 크기가 큰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51)에 여과부재(54)를 감는 정도 및 여과부재(54)의 공극밀도(Mesh)에 따라 상기 여과필터(50)의 원수 정제 능력을 달리 조절할 수 있어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의 크기에 따라 적합하게 상기 여과부재(54)를 적합하게 감아 사용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100)에 사용되는 여과부재(54)로는 망사 또는 부직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재(54)의 양측은 상기 여과부재(54)가 상기 제1롤러(51)에 감기는 경우에 감기는 상기 여과부재(54)의 양끝단이 정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판지(90)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여과부재(54)로 통상의 망사나 부직포가 사용되면, 그 특성상 상기 제1롤러(51)에 감기게 되면, 양끝단에는 주름으로 인한 정밀한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원수가 상기 여과부재(54)의 양끝단으로 침투 배출되어 상기 여과필터(50)의 원수 정제능력을 저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부재(54) 양측은 평평한 상기 판지(90)로 형성하여 상기 제1롤러(51)에 상기 여과부재(54)가 감기더라도 양끝단이 정밀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순물청소부(60)는 상기 여과필터(50)의 여과부재(54)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추출하여 상기 불순물배출관(33)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롤러(51)와 제2롤러(53) 사이에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부재(54)와 접촉되는 다수의 솔(61a)을 갖는 브러시 롤(61)과, 상기 브러시 롤(61)을 감싸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브러시 롤(61)의 청소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54)에서 낙하하는 불순물이 수용되는 집진부(62)와, 내부는 관통되며, 상부는 상기 집진부(62)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불순물배출관(33)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결파이프(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롤(6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솔(61a)이 상기 여과부재(54)와 접촉되어 상기 여과부재(54)를 긁어 상기 여과부재(54)에 걸러진 불순물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불순물은 자유낙하하여 상기 집진부(62)에 수용되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62)에 수용된 불순물은 상기 제2연결파이프(63)로 유입되고, 유입된 불순물은 상기 제2연결파이프(63)와 연통되는 상기 불순물배출관(33)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51)의 전방에 이격 위치하여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재(54)가 접촉 이송되도록 하는 전방가이드 봉(81)과, 상기 제2롤러(53)의 후방에 이격 위치하여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재(54)가 접촉 이송되도록 하는 후방가이드 봉(82)을 더 포함하여, 상기 브러시 롤(61)에 의해서 청소되어 상기 여과부재(54)에서 수직 낙하하는 불순물을 수집하는 상기 집진부(62)의 적합한 위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여과필터(50) 및 불순물청소부(60)를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롤러(51)가 회동되도록 구동하는 제1감속모터(71)와, 상기 제2롤러(53)가 회동되도록 구동하는 제2감속모터(73)와, 상기 브러시 롤(61)이 회동되도록 구동하는 제3감속모터(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모터(71,72,73)의 축(74)은 각각 상기 롤러(51,53) 및 브러시 롤(61)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함은 물론이며, 상기 감속모터(71,72,73)의 축(74)은 상기 용기(10)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베어링(1)에 삽설되어 상기 감속모터(71,72,73)의 위치 고정 및 축(74)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100)는 정제과정 및 세정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원수의 정제과정]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70)의 제1구동모터(71)를 구동하여 제1롤러(51)를 회전시켜 상기 제1롤러(51)에 여과부재(54)가 적합하게 감기도록 한 후, 개폐부(40)의 제1개폐밸브(41)와 제2개폐밸브(42)를 열어 관로(30)의 원수유입관(31)과 정제수배출관(32)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구동모터(71)를 통해 상기 제1롤러(51)가 회전되면, 상기 제1롤러(5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롤러(53) 역시 제2구동모터(72)를 통해 회전되어 상기 제2롤러(53)에 감긴 여과부재(54)가 풀어지게 함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관(31)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원수가 연속하여 유입되고, 유입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서 상기 용기(10)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관통구멍(51a)을 통해서 상기 제1롤러(51)로 유입되고,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연결파이프(52)를 통하여 상기 정제수배출관(32)으로 유통되어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제1롤러(51)의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부재(54)가 감겨있으므로, 상기 제1롤러(51)의 관통구멍(51a)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은 상기 여과부재(54)에 걸리게 되는 방법으로 원수가 정제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하여 원수를 정제할 수 있다.
[여과필터의 세정과정]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40)의 제1개폐밸브(41)와 제2개폐밸브(42)를 잠가 상기 관로(30)의 원수유입관(31)과 정제수배출관(32)을 폐쇄시켜 원수 및 정제수의 유통을 차단한다.
그런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70)의 제2구동모터(72)를 구동하여 제2롤러(53)를 회전시켜 상기 제2롤러(53)에 상기 여과부재(54)가 서서히 감기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3구동모터(73)를 구동하여 불순물청소부(60)의 브러시 롤(61)이 회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재(54)와 접촉되는 상기 브러시 롤(61)의 회동으로 인해서 상기 여과부재(54)에 걸러진 불순물이 분리되어 하강하고, 하강하는 불순물은 상기 브러시 롤(61)의 하부에 위치하는 집진부(62)에 수용되면서 상기 여과부재(54)의 청소가 수행된다.
그런 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재(54)의 청소가 완료되면, 제3개폐밸브(43)를 열어 불순물배출관(33)을 개방하여 상기 집진부(62)에 수용되는 불순물이 제2연결파이프(63)를 통해서 상기 불순물배출관(33)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여과부재(54)의 청소가 완료되면, 다시 상기 여과부재(54)를 제1롤러(51)에 적합하게 감은 상태에서 원수의 정제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고정베어링 2. 원수배출관
10. 용기 11. 수용공간
12. 지지용 다리 20. 덮개
21. 플랜지결합 30. 관로
31. 원수유입관 32. 정제수배출관
33. 불순물배출관 40. 개폐부
41. 제1개폐밸브 42. 제2개폐밸브
43. 제3개폐밸브 50. 여과필터
51. 제1롤러 51a. 관통구멍
52. 제1연결파이프 53. 제2롤러
54. 여과부재 60. 불순물청소부
61. 브러시 롤 61a. 솔
62. 집진부 63. 제2연결파이프
70. 구동부 71. 제1감속모터
72. 제2감속모터 73. 제3감속모터
74. 축 81. 전방가이드 봉
82. 후방가이드 봉 90. 판지
100.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Claims (6)

  1. 수처리 여과장치에 있어서,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상부는 개방되며,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용 다리(12)가 형성되는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10)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와 플랜지결합(21)되어 고정되는 덮개(20);
    상기 용기(10)의 상부 측면에 상기 용기(1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용기(10)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유입관(31)과, 상기 원수유입관(31)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용기(10) 내부와 연통되어 정제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정제수배출관(32)과,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상기 용기(10)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원수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배출되도록 하는 불순물배출관(33)을 포함하는 관로(30);
    상기 원수유입관(3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원수유입관(31)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41)와, 상기 정제수배출관(32)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정제수배출관(32)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2개폐밸브(42)와, 상기 불순물배출관(33) 상에 위치되어 상기 불순물배출관(33)의 개폐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43)를 포함하는 개폐부(40);
    내부에 공극을 갖는 여과부재(54)를 통하여 원수의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제하고, 정제된 정제수는 상기 정제수배출관(32)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는 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멍(51a)이 형성되는 제1롤러(51)와, 내부가 관통되며, 일단은 상기 제1롤러(51) 타단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제1롤러(51)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정제수배출관(32)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제1연결파이프(52)와, 상기 제1롤러(5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제2롤러(53)와, 상부는 제1롤러(51)에 감기고, 하부는 제2롤러(53)에 감기는 여과부재(54)로 구성되는 여과필터(50);를 포함하는 수처리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50)의 여과부재(54)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추출하여 상기 불순물배출관(33)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불순물청소부(60); 및
    상기 여과필터(50) 및 불순물청소부(60)를 구동하는 구동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불순물청소부(60)는,
    상기 제1롤러(51)와 제2롤러(53) 사이에 위치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부재(54)와 접촉되는 다수의 솔(61a)을 갖는 브러시 롤(61)과,
    상기 브러시 롤(61)을 감싸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브러시 롤(61)의 청소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54)에서 낙하하는 불순물이 수용되는 집진부(62)와,
    내부는 관통되며, 상부는 상기 집진부(62)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불순물배출관(33)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연결파이프(6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51)의 전방에 이격 위치하여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재(54)가 접촉 이송되도록 하는 전방가이드 봉(81)과,
    상기 제2롤러(53)의 후방에 이격 위치하여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재(54)가 접촉 이송되도록 하는 후방가이드 봉(82)을 더 포함하여,
    상기 브러시 롤(61)에 의해서 청소되어 상기 여과부재(54)에서 수직 낙하하는 불순물을 수집하는 상기 집진부(62)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6. 삭제
KR1020100128319A 2010-12-15 2010-12-15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KR101263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19A KR101263755B1 (ko) 2010-12-15 2010-12-15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19A KR101263755B1 (ko) 2010-12-15 2010-12-15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953A KR20120066953A (ko) 2012-06-25
KR101263755B1 true KR101263755B1 (ko) 2013-05-16

Family

ID=4668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319A KR101263755B1 (ko) 2010-12-15 2010-12-15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36B1 (ko) * 2015-06-18 2016-07-07 주식회사 동우 여과기가 설치된 양액공급시스템
WO2019117370A1 (ko) * 2017-12-14 2019-06-20 디에이치테크 주식회사 카세트타입 필터장치
CN109499129A (zh) * 2018-12-14 2019-03-22 杭州蔚清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系统的过滤装置
KR102614786B1 (ko) * 2022-09-19 2023-12-19 주식회사 제이에스인터거 유체속 유충 여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91Y1 (ko) * 2003-06-02 2003-09-19 김이종 모래 여과기
KR100937111B1 (ko) * 2009-08-27 2010-01-15 주식회사 조은환경 가변형 여과장치
KR100993588B1 (ko) * 2009-06-08 2010-11-11 (주) 엔티스 반복 재생가능한 수처리용 여과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891Y1 (ko) * 2003-06-02 2003-09-19 김이종 모래 여과기
KR100993588B1 (ko) * 2009-06-08 2010-11-11 (주) 엔티스 반복 재생가능한 수처리용 여과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937111B1 (ko) * 2009-08-27 2010-01-15 주식회사 조은환경 가변형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953A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KR101263755B1 (ko) 반복 사용가능한 여과필터를 갖는 수처리 여과장치
CN214808986U (zh) 一种具有过滤作用的初次废水处理分离装置
US20060037919A1 (en) Diesel fuel filter and associated methods
WO2024066571A1 (zh) 一种智能型污水处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07986575A (zh) 一种用于河道污水净化的过滤装置
KR101448298B1 (ko) 수처리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
CN211921151U (zh) 一种工业生产用废水处理设备
CN203886280U (zh) 一种油水分离净化装置的预处理除渣装置
CN110054320B (zh) 一种养殖污水预处理设备
CN208049509U (zh) 吸吮式自清洗过滤器
CN204601770U (zh) 一种气旋智能平板过滤器
CN211170595U (zh) 一种润滑油加工用脱水过滤装置
CN219481754U (zh) 一种深床式过滤装置
CN201101951Y (zh) 一种高效油水及固液分离装置
CN103933783B (zh) 多极自清洗液体分离净化器
KR101263753B1 (ko) 수처리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과필터
KR101226656B1 (ko) 여과 시와 여재 세척 시에 여재 밀도의 조절이 가능한 여과 장치
CN112717548A (zh) 用于污水处理的过滤装置
RU108317U1 (ru) Бытово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N206853242U (zh) 一种新型在线自清洗过滤设备
CN115315300A (zh) 过滤装置及利用过滤装置的水处理方法
CN108017175A (zh) 一种化工废水处理设备
CN220664972U (zh) 一种污水处理用的污水处理箱
CN217160833U (zh) 一种水产品暂养装置排污管用杂质过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