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01436A2 -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01436A2
WO2010101436A2 PCT/KR2010/001388 KR2010001388W WO2010101436A2 WO 2010101436 A2 WO2010101436 A2 WO 2010101436A2 KR 2010001388 W KR2010001388 W KR 2010001388W WO 2010101436 A2 WO2010101436 A2 WO 201010143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standby
electronic product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13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01436A3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Kim Chang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Chang Ho filed Critical Kim Chang Ho
Priority to EP10748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05539A4/en
Priority to JP2011509423A priority patent/JP5318196B2/ja
Priority to CN201080011403.6A priority patent/CN102388511B/zh
Priority to US12/760,693 priority patent/US8198758B2/en
Publication of WO201010143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01436A2/ko
Publication of WO201010143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0143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03Stack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1Relays in which the armature is maintained in one position by a permanent magnet and freed by energisation of a coil producing an opposing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02J9/007Detection of the absence of a l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적용한 전자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기능이 추가된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일반 콘센트를 사용하여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플러그를 뽑지 않고, 상기 전자제품 전원의 오프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되어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반도체를 이용한 전자제품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은 전원을 차단하여도 그 내부에서 일정한 대기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정 및 회사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11% - 15% 가 상기 대기 전력으로 인하여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에 따르면, 전자제품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으로 인해 연간 수 천억 원의 전력 손실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기전력을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전력 생산으로 인한 CO2 배출을 줄여 환경 오염 및 지구 온난화를 늦출 수 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해 대기전력기준을 마련하였고 업계와 공동으로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멀티콘센트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전원을 온/오프 하는 방식이 있으나, 전원 차단 시 사용이 불편하여 큰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기전류를 측정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들이 한국 특허 공보 10-2004-0020344, 10-2006-0042781에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공보에 개시된 컴퓨터의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컴퓨터에 흐르는 대기전류를 측정하여 대기전류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이나, 이는 제어에 필요한 회로에서 또 다른 대기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전자제품 각각의 대기전력이 서로 달라 일률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리모콘 수신부를 갖는 전자제품은 수신을 위한 별도의 대기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전자제품 내부에서 구동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함에 따라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대기 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노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일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트라이커와; 상기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부착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콘텍트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노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일 측 방향으로 이동한 스트라이커를 자력에 의해 잡아 당겨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을 포함하는 코아; 및 상기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의 대기 전력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 하기 전, 데이터 저장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택스위치의 접점이 개방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택스위치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컨으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의 대기 전력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의해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리모컨에 의한 입력 방식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와 대기전력 차단 모드로 결정되는 과정과; 상기 대기전력 차단 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택스위치의 접점이 개방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택스위치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적용한 전자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기능이 추가된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일반 콘센트를 사용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뽑지 않고, 단지 전원 스위치를 온/오프함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대기전력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 '오프' 상태일 때의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을 '온' 시킬 경우의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원이 '온' 상태일 때의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모콘으로 전원 '오프'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장치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모콘으로 전원을 '온' 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장치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모콘으로 전원을 '온' 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위치로 전원을 '온'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
도 15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때, 상기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제품의 전원이 오프 상태일 때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은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를 위에서 본 단면도와 좌/우측에서 본 단면도 및 아래에서 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는 스트라이커 스프링(101), 택노브(102), 노브(103), 스트라이커(104), 스트라이커 홀더(105), 스트라이커 콘텍트(106, 120), 접점 1(107), 접점 2(108), 접점 3(121), 접점 4(122), 솔레노이드 단자(109), 솔레노이드(110), 코아(111), 자석(112), 노브 스프링(113), 판 스프링(114), 택스위치 접점 1(115), 택스위치 접점 2(116), 보빈(117), 케이스(118)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커(104)와 스트라이커 홀더(10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체로 형성된 조립체는 스트라이커로 간단히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는 상기 전자제품 내에서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는 상기 전자제품 내의 전원공급장치로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 및 전원 스위치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대기전력을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이 오프 상태일 때,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접점 1(107)과 접점 2(108), 접점 3(121)과 접점 4(122)는 분리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인입되는 두 가닥의 전원 케이블이 개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 시킬 경우의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제품의 전원이 온 상태일 때의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은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를 위에서 본 단면도, 좌/우측에서 본 단면도 및 아래에서 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노브(103)를 누르면, 상기 노브(103)가 스트라이커 홀더(105)를 밀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트라이커 홀더(105)는 상기 스트라이커(10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 홀더 및 스트라이커를 간단히 "스트라이커"로 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 홀더(105)는 스트라이커 콘텍트(106, 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103)가 D 방향으로 눌리면 스트라이커 홀더(105)가 A 방향으로 밀려 철 소재로 된 스트라이커(104)가 일 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된 스트라이커(104)는 자석(112)을 포함하는 코아(111)의 자력이 작용하는 A 방향으로 이끌려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104)와 일체로 구성된 스트라이커 콘텍트(106)는 접점 1(107)을 밀어 케이스(118)에 고정되게 구비된 접점 2(108)쪽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104)와 일체로 구성된 다른 스트라이커 콘텍트(120)는 접점 3(121)을 밀어 케이스(118)에 고정되게 구비된 접점 4(122)쪽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 홀더(105)를 당기도록 구비한 스트라이커 스프링(101)도 A 방향으로 늘어난다.
또한 상기 노브(103)가 눌리면 택노브(102)가 동시에 눌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택노브(102)가 눌리면, 판스프링(114)이 눌려지고, 상기 판스프링(114) 아래에 구비된 택스위치 접점1(115)과 택스위치 접점2(116)가 서로 접촉되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노브(103)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노브(103) 아래에 구비된 노브 스프링(113)이 C방향으로 복원되지만, 상기 스트라이커(104)는 자력으로 인해 상기 코아(111)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 콘텍트(106, 120)가 접점 1(107)과 접점 3(121)을 계속 밀게 됨으로써 접점들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택노브(102)는 상기 판스프링(114)이 C방향으로 복원되면서 같이 복원되고, 상기 택스위치 접점1(115)과 택스위치 접점2(116)는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전원 온 상태에서 전원을 끄기 위해 다시 노브 스위치(103)를 D 방향으로 누르면, 택노브(102)가 눌려진다. 상기 택노브(102)에 의해 판스프링(114)이 눌려지고 상기 택스위치 접점1(115)과 택스위치 접점2(116)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접점의 접촉에 의해 제어 신호(또는 전원 오프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회로, 즉 중앙처리장치 또는 제어부로 제공된다.
전원 차단을 위한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에서는 전자제품 내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는 솔레노이드 코일(110)을 보빈(117)에 감아 솔레노이드 코일단자(109)에 연결하여 구성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코아(111)에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10)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전자석이 되어 제 2의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석(112)을 밀어내는 힘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상기 자석(112)이 스트라이커를 당기는 힘이 상기 스트라이커 스프링(101)이 B 방향으로 당기려는 힘보다 약해져 상기 스트라이커 스프링(101)이 B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 스프링(101)은 상기 스트라이커 홀더(105)를 잡아 당기고, 상기 스트라이커 홀더(105)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스트라이커(104)와 스트라이커 콘텍트(106, 120)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접점 1(107)과 접점 2(108), 접점 3(121)과 접점 4(122)가 각각 분리되어 주전원 및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제품(400)은 본체(401), 전원부(404) 및 멀티탭(408)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401)는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 제어부(또는 중앙처리장치, 409), 전류판단 드라이브단(402) 및 대기전류 판단부(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는 본체(401)의 전원 스위치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전자제품(400) 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전원부(404)는 전원공급장치(SMPS 부, 405) 및 콘센트부(4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탭(408)은 주변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제품이 컴퓨터라면, 상기 주변 기기들은 프린터, 모니터, 스캐너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의 동작에 대하여 본 발명의 내용과 관련 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4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가 TV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전자제품(40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401)에서 사용이 편리한 소정의 위치에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켜기 위해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노브를 누르면 접점 1(107)과 접점 2(108), 접점 3(121)과 접점 4(122)가 접촉되고, 교류 전원이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부(403)로 인가된다.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부, 405)의 변압기 T1에 인가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405)는 상기 본체(401)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발생시킨다.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로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 중 하나의 케이블에 접점을 설치하여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원 케이블 중 두 가닥의 케이블 모두에 접점을 설치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이처럼, 두 가닥의 전원 케이블에 접점을 설치하는 이유는 대기전력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라인 필터(C10, C11)가 접지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두 가닥의 전원 케이블 중 하나의 케이블에 접점을 설치하면 다른 쪽 케이블로 캐패시터를 통해 접지로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4)와 함께, 주변기기들의 전원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콘센트부(4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부(406)는 상기 전원부(40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자제품에 전원을 인가되면, 상기 콘센트부(406)의 릴레이 K1이 동작하게 되고, 릴레이 스위치가 접점 k1b에서 접점 k1a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서,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콘센트부(406)의 콘센트(407)로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면, 상기 콘센트부(406)의 릴레이 K1이 동작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가 k1b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콘센트(407)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린터, 모니터, 스캐너 등의 주변기기들이 상기 콘센트(407)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받으면, 주 장치(400)의 전원 차단 시 상기 주변기기들의 주 전원 및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 동작을 하다가 전원을 오프 하고자 할 때, 소프트웨어로 오프하는 경우와 스위치로 오프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로 오프하는 경우는 상기 전자제품에 전원 오프를 미리 설정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TV에서 취침 예약 시간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이고, 세탁기에서 세탁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종료되는 경우이다.
상기 전원을 상기 전자제품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로 오프 하는 경우, 상기 전자제품은 데이터 저장 완료 이후에 본체(401)에 최소의 전력만이 소비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흐르는 대기전류를 감지하기 위하여 저항 R5를 전원공급라인과 직렬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401)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서 저항 R5의 양단 전압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저항 R5의 양단 전압의 변화를 통해서 상기 본체(401) 내에 흐르는 전류가 대기전류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저항 R3, R4 와 비교기 U1으로 구성된 대기전류 판단부(4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대기전류 판단부에 의해 대기전류로 판단되면,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Q1으로 구성된 전류판단 드라이브단(402)을 구성한다.
한편, 스위치로 전원을 차단 하는 경우, 전원 오프 스위치(노브 스위치)를 누르면 택스위치 접점1(115)과 택스위치 접점2(116)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제어 신호(또는 전원 오프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도 4의 중앙처리장치(또는 CPU, 409)로 제공된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입력 I1이 로우(Low)가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전원을 오프 하려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을 완료 이후에 상기 C.P.U는 솔레노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출력 O1이 전류판단 드라이브단(402)의 트랜지스터 Q1과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자제품의 회로가 공개되지 않을 때는 대기전류 감지 회로를 구비하여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제어하고, 회로가 공개가 될 경우에는 상기 C.P.U에서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원을 두 가지로 오프하는 경우,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 상기 C.P.U에서는 현재까지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상기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CPU는 출력 O1을 하이(high)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트랜지스터 Q1이 동작하게 되어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흐르게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자석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자석(112)과 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스트라이커(104)가 상기 코아(111)와 분리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 콘텍트가 분리되어 상기 접점 1(107)과 상기 접점 2(108), 상기 접점 3(121)과 상기 점점 4(122)가 떨어진다. 이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부(404)의 전원공급장치(SMPS, 405)로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제품의 주 전원 및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404)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콘센트부(406)의 릴레이 K1이 동작하게 되어 접점이 k1a에서 k1b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콘센트(407)의 전원도 차단됨으로써 주변기기들의 주전원 및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프트웨어로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 전자제품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면 본체에 대기전류만 흐르게 되는데 이때 저항 R5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대기전류 판단부(403)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대기전류 판단부(403)는 상기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대기전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대기전류 판단부(403)에서 대기전류라고 판단하면, 상기 전류판단 드라이브단(402)은 트랜지스터 Q1을 턴 온 시켜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흐르게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자석이 되어 상기 자석과 척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코아(111)와 분리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접점 1(107)과 접점 2(108), 상기 접점 3(121)과 접점 4(122)가 분리되어 상기 전원부(404)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부(404)의 전원공급장치(SMPS)로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 및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404)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콘센트부(406)의 릴레이 K1이 동작하게 되어 접점이 k1a에서 k1b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콘센트(407)의 전원도 차단함으로써 주변기기들의 주전원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제품의 회로가 공개되면 제품에서 직접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회로가 공개가 안 될 경우는 대기전류를 체크하여 제어하면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모콘으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전자제품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500)은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와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T.V, 홈씨어터, 에어컨, 온풍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전원부(506), 리모콘 수신 장치(502), 콘센트 부(406) 및 제어부(또는 중앙처리장치, 504)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일 예로 마이콤 U2을 가정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의 동작에 대하여 본 발명의 내용과 관련 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스위치로 켜고, 리모콘으로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는 전자제품의 전원 스위치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제품(5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품(500)의 전원을 스위치로 온(on) 하면, 접점 1(107)과 접점 2(108), 접점 3(121)과 접점 4(122)가 접촉되어 상기 전원부(506)로 교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원부(506)는 변압기 T2를 통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506)로 전원이 공급되면, 주변 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릴레이 K2가 동작한다. 즉, 콘센트 부(406)의 릴레이 스위치가 상기 접점 k2a에서 접점 k2b로 이동함으로써 콘센트(407)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콘센트 부(406)를 통하여 주변 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이나, 리모콘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방법(스위치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원 오프 가능한 전자제품의 경우에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은 전술하였다.
즉,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스위치로 오프하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택스위치 접점1(115)과 택스위치 접점2(116)이 접촉하여 제어 신호(또는 전원 오프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마이콤 U2(504)의 인터럽트 단자 IRQ가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저항 R2의 일 측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터럽트 단자 IRQ에 인터럽이 걸리면 마이콤 U2는 출력 O2를 하이(high)로 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 Q2를 턴 온 시켜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솔레노이드 코일(11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솔레노이드는 전자석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자석(112)과 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스트라이커(104)가 상기 코아(111)와 분리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 콘텍트가 분리되어 상기 접점 1(107)과 상기 접점 2(108), 상기 접점 3(121)과 상기 접점 4(122)가 떨어진다.
이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부(506)의 전원공급장치(SMPS)로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콘센트부(406)에도 전원이 차단되어 주변기기들에 공급되던 전원도 같이 차단되므로 주변기기에서 낭비되던 대기전력도 동시에 차단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탁기나 전자레인지와 같이 선택된 코스가 끝난 경우(즉, 전술한 소프트웨어로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에도 마이콤 U2(또는 중앙처리장치)의 출력 O2를 하이(high)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 Q2를 턴 온 시켜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솔레노이드 코일(11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솔레노이드는 전자석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자석(112)과 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스트라이커(104)가 상기 코아(111)와 분리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 콘텍트가 분리되어 상기 접점1(107)과 상기 접점2(108), 상기 접점 3(121)과 상기 접점 4(122)가 떨어진다. 이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부(403)의 전원공급장치(SMPS)로 제공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제품의 주 전원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리모콘으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리모콘으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 수신부와 수신센서로 구성된 리모콘 수신 장치(502)를 포함한다.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전원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콤 U2의 출력 O2를 하이(high)로 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 Q2를 턴 온 시켜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솔레노이드코일(11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 때, 솔레노이드는 전자석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자석(112)과 척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스트라이커(104)가 상기 코아(111)와 분리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 콘텍트가 분리되어 상기 접점1(107)과 상기 접점2(108), 상기 접점 3(121)과 상기 접점 4(122)가 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리모콘 또는 터치 스위치로 켰을 때,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모콘 또는 터치 스위치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의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전자제품 내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나,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다시 '온' 하기 위해서는 리모콘 수신 장치 또는 터치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이 요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리모콘 또는 터치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을 '온' 하는 경우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상기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자제품(600)은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 전원부(601), 마이콤 U2, 콘센트 부(603), 리모콘 수신 장치(602), 전원 제어부(608), 충전용 전원 공급기(604), 태양전지 충전부(609), 상태 판단부(605), 전류 드라이브단(606) 및 터치 스위치(607)를 포함한다.
상기 리모콘 수신장치(602)는 수신 센서와 리모콘 수신부로 구성되고, 리모콘으로부터 전원의 온/오프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608)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충전용 전원 공급기(604)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리모콘 수신장치(602)로의 전원 공급을 제한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Q6와 다이오드 D4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용 전원 공급기(또는 충전용 배터리, 604)는 전원 오프 시 리모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리모콘 수신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와 다이오드 D1 및 D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전용 전원 공급기(604)는 전원 오프 시 상기 터치 스위치(607)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태양전지(solar cell) 충전부(609)는 빛에 의하여 상기 충전용 전원 공급기(604)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류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 D5와 태양전지로 구성된다. 상기 상태 판단부(605)는 상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저항 R6과 저항 R7로 구성된다. 상기 전류 드라이브단(606)은 전원 온/오프 시, 솔레노이드 단자(109)에 극성을 바꾸어 구동할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들(Q3, Q4, Q5, Q7)로 구성된다.
먼저 터치 스위치 또는 리모콘으로 제어 가능한 전자제품의 경우, 전원 오프 상태에서 마이콤 U2은 항상 깨어 있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깨어난다. 여기서, 상기 마이콤 U2가 깨어있는 상태를 웨이크업 모드라 칭하고, 상기 마이콤 U2가 깨어있지 않은 상태를 슬립모드라 칭한다.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마이콤 U2를 슬립모드로 하여 전류 소모를 최소화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상기 마이콤이 웨이크업 모드일 때, 상기 리모콘 수신장치(602)의 수신 센서는 항상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 때 상기 수신센서는 통상 1.5mA를 소모함으로써 상기 충전용 전원 공급기(604)의 전원을 빨리 소진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00 mAH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1000/1.5*24 = 27.8일을 사용하면 상기 배터리가 전부 방전된다. 따라서, 일년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용량이 적은 배터리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마이콤 U2의 출력 O4를 1초에 50msec만 로우(low)로 하면, 트랜지스터 Q6가 50msec만 턴 온(turn on)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 U2가 50msec 마다 깨어나기 때문에, 수신 센서는 50msec 마다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센싱한다. 이 때,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수신 센서로 전송되는 신호는 50msec 이상의 연속 신호이어야 한다.
이처럼, 상기 마이콤 U2는 수신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슬립모드로 함으로써, 상기 리모콘 수신장치(60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의 사용 기간을 약 20배 늘릴 수 있다. 또한, 20 개월 안에 한번이라도 전원을 켜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이콤 U2는 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마이콤 출력 O4를 계속 하이(high)로 유지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604)로부터의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다이오드 D4를 통해서 리모콘 수신장치(602)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수신센서가 신호를 센싱하도록 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리모콘들은 전원 스위치를 한번 누르면 신호가 한번 발생 되는데 전원 '온' 시 50msec만 수신부가 깨어나므로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오작동 할 수 있으므로 전원 신호의 경우 1초간 연속 신호가 나오도록 리모콘 신호를 제어하면 오 동작 없이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충전용 전원 공급기(604)는 전원 오프 시에만 다이오드 D1을 통해서 마이콤 U2, 리모콘 수신장치(602) 및 터치 스위치용 콘덴서(607)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전이 공급되면 다이오드 D3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다이오드 D1은 역바이어스가 되어 충전용 배터리(604)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상전이 공급되면 충전용 배터리로 방전 된 만큼 다이오드 D2을 통해서 충전된다. 만일 상기 태양전지 충전부(609)를 구비한 전자제품인 경우는 햇빛이나 전기 불빛에 의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604)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저항 R6와 저항 R7을 직렬로 연결하여 마이콤 U2의 입력 I1에 연결한다. 상기 마이콤 U2는 상기 마이콤 U2의 입력 I1이 하이(high)이면 상전 상태(전원 온 상태)이고, 로우(low)이면 전원 오프 상태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리모콘 또는 터치 스위치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콤 U2는 입력I1이 하이(high)인지 로우(low)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입력I1이 로우(low)이면, 마이콤의 출력 O2를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로 하여 트랜지스터 Q7와 트랜지스터 Q5를 턴 온 한다. 이때,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솔레노이드 코일단자(109)의 극성이 r 에 "+", s 에 "-" 가 되게 함으로써 솔레노이드와 자석(112)이 반대 극성을 갖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솔레노이드와 자석(112) 사이에 강한 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자석을 포함하는 코아(111)는 스트라이커를 잡아 당겨 접점1(107)과 접점2(108), 접점 3(121)과 접점 4(122)가 접촉됨으로써 전원이 공급된다.
리모콘 또는 터치 스위치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마이콤 출력 O3을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로 하여 트랜지스터 Q3와 트랜지스터 Q4를 턴 온 시킨다.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솔레노이드 코일단자(109)의 극성이 r 에 "-", s 에 "+" 가 되게 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와 상기 자석(112)이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솔레노이드와 상기 자석 사이에 반발력이 발생하여 상기 자석을 포함하는 코아(111)는 상기 스트라이커를 밀어내게 되고, 상기 접점1(107)과 접점2(108), 상기 접점 3(121)과 접점 4(122)가 분리되어 전원이 공급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위치, 리모콘 및 노브 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제품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터치 스위치와 함께 노브 스위치가 구비되는 이유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604)가 완전히 방전되어 상기 터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00)의 노브(103)를 누르면 전원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자제품 사용 중에 정전이 발생한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정전 시,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다이오드 D5와 캐패시터 C20을 상기 상태 판단부(605) 및 전류 드라이브단(606)에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하, 상기 다이오드 D5와 캐패시터 C20을 정전용 차단 장치로 지칭한다. 정전이 되면 저항 R6와 R7이 로우가 되고, 마이콤이 이것을 읽어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여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가 오픈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다이오드 D5는 정전 시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캐패시터 C20의 용량은 정전 시에 마이콤이 정전을 판단하고 솔레노이드를 동작 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결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위치로 전원을 온 하는 경우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대기전력 차단 방법은 전자제품의 전원을 리모콘으로 온 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터치 스위치로 온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터치 스위치는 슬립모드에서 약 1㎂만 소비되다 터치가 되면, 인터럽트 IRQ가 하이(high)가 되고 마이콤이 깨어나 전술한 전원 '온' 과정을 수행한다. 전원 온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마이콤 U2의 인터럽트 단자 IRQ는 터치 스위치(60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터럽트 단자 IRQ에 인터럽이 걸리면 마이콤 U2는 출력 O2를 하이(high)로 하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구비한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OS 운용 체계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9을 참조하면, 901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켠다. 이후 902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은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903 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끄게 되면, 904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904 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소프트웨어로 오프하면, 905 단계로 이동하여 현재까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만약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이 소프트웨어로 오프되지 않으면, 906 단계로 이동하여 노브를 통한 스위치로 전원이 오프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노브를 통해 택스위치 전원이 오프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택스위치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905 단계로 이동하여 데이터 저장을 완료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면, 907 단계로 이동하여 택스위치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택스위치의 접점이 붙어있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공급하면 전원을 차단하여도 노브가 눌려 있는 상태에서는 다시 전원이 공급되어 헌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위치로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도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택스위치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택스위치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만 908 단계로 이동하여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공급하면, 909 단계에서 대기전력 차단 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전자제품의 주 전원 및 대기전력이 차단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리모콘으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켠다. 이후 1002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은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1003 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끄게 되면, 1004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004 단계에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리모콘으로 오프하면, 1005 단계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일정 시간 T 이상 계속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이 리모콘으로 오프되지 않으면, 1006 단계로 이동하여 노브를 통한 스위치로 전원이 오프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노브를 통해 택스위치 전원이 오프 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택스위치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1005 단계로 이동하여 일정 시간인 T 이상 전원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 후 전원 오프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오프 모드에는 리모콘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에어콘이나 T.V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전원을 완전하게 차단하지 않고, 최소의 대기전력만이 소모되도록 하는 스탠바이 모드와 전원 오프 신호가 일정시간 T 이상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모드가 있다. 즉, 난방철에 에어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리모콘 또는 전원 스위치를 통해 일정시간 T 이상의 전원 오프 신호를 보내면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제어되고, 짧게 전원 오프 신호를 보내게 되면 스탠바이 모드로 작동한다. 상기 전자제품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제어장치는 상기 전원 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1005 단계에서 일정 시간 T 이상의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1007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007 단계에서는 택스위치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는 택스위치의 접점이 붙어있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공급하면 전원을 차단하여도 노브가 눌려 있는 상태에서는 다시 전원이 공급되어 헌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위치로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도 상기 택스위치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택스위치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만 1008 단계로 이동하여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공급하면, 1009 단계에서 대기전력 차단 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전자제품의 주 전원 및 대기전력이 차단된다. 만약 상기 1005 단계에서 일정 시간 T 이하의 짧은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1010 단계로 이동하여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한다. 이후, 1011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을 리모콘 또는 스위치로 켜면, 다시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1012 단계에서 리모콘 또는 택스위치를 통한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1013 단계에서는 상기 리모콘 또는 택스위치에 의한 전원 오프 신호가 일정 시간 T 이상 입력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전원 오프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1007 단계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1010 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1007 단계로 이동한 이후에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상 전술한 제어 방법을 통하여,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면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100)는 손으로 누르기 위한 노브(1101)와 상기 노브(1101)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체로 구성된 플레이트(1110)에 접점 1(1111)과 접점 2(1112)를 구비한다. 제 1 터미널(1109)에 접점 3(1113)을 압착하고 제 2 터미널(1108)에 접점 4(1114)를 압착하여 구비한다. 또한, 택노브(1102)와 제 3 터미널(1106) 및 제 4 터미널(1105)이 판스프링(1103)에 의해 접촉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손으로 노브(1101)를 누르면 도 11의 (b)와 같이 플레이트(1110)의 접점 1(1111), 접점 2(1112)가 터미널에 압착된 접점 3(1113)과 접점 4(1114)에 접촉된다. 이 때, 제 1 터미널(1109)과 제 2 터미널(1108)이 연결된다. 또한 택노브(1102)도 눌려 판스프링(1103)을 누르게 되어 제 3 터미널(1106)과 제 4 터미널(1105)이 연결되고 노브 스프링(1107)이 압축된다.
이후, 노브(1101)를 떼면 도 11의 (a)와 같이 노브 스프링(1107)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제 1 및 제 2 터미널(1108,1109)이 개방되고 제 3 및 제 4 터미널(1105, 1106)도 개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100)의 노브를 누르면, 제 1 및 제 2 터미널(1108,1109)의 접점이 연결되어 전원부(601)에 교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원부(601)는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마이콤U2는 출력 O2를 일정시간 하이(high)로 출력하여 트랜지스터 Q7와 트랜지스터 Q5를 턴 온 한다. 이때 전류가 r에서 래칭릴레이 코일을 통해 s로 흐르면, 래칭릴레이(1202)가 턴 온 되어 일 접점(1204)과 타 접점(1206)이 접촉된다. 이 때,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100)의 노브를 놓아 제 1 및 제 2 터미널(1108,1109)의 접점이 떨어져도 전원은 계속 전원부(601)에 공급되어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이후, 전원을 오프 하기 위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100)의 노브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1100)의 택스위치 접점들(1105, 1106)이 접촉된다. 이 때 마이콤 U2의 IRQ단이 하이(high)가 되고, 출력 O3를 일정시간 하이(high)로 출력하여 트랜지스터 Q3와 트랜지스터 Q4를 턴 온 한다. 전류가 s에서 래칭릴레이 코일을 통해 r로 흘러 래칭릴레이(1202)를 오프하면, 일 접점(1204)과 타 접점(1206)이 분리된다. 따라서 전원부 (601)로 공급되던 교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이 오프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100)의 노브를 누르면 터미널(1108,1109)의 접점이 연결되어 전원부(601)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원부(601)는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마이콤 U2는 출력 O2를 로우(low)로 출력하여 무 접점 릴레이(1304)의 포토 LED LD1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무 접점 릴레이(1304)의 입력단자 (1306)와 출력단자(1308)를 턴 온 시킨다. 따라서, 전원부(601)에 스위치(1100)의 노브를 놓아 제 1 터미널(1109)과 제 2 터미널(1108)의 접점이 떨어져도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정상동작을 하게 된다.
이후, 전원을 오프 하기 위해 스위치(1100)의 노브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1100)의 택스위치 접점들(1105, 1106)이 접촉된다. 이 때 마이콤 U2의 IRQ단이 하이(high)가 되고, 출력 O2를 하이(high)로 출력하면 무 접점 릴레이(1304)의 포토LED LD1에 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무 접점 릴레이(1304)의 입력단자(1306)와 출력단자(1308)가 턴 오프 되면, 전원부(601)에 공급되던 교류 전원이 차단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100)의 노브를 누르면 터미널들(1108,1109)의 접점이 연결되어 릴레이 K5의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 상기 릴레이 K5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접점이 k5a에서 k5b로 연결되고, 릴레이 K6의 단자 k6a를 통해 전원부(601)에 교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원부(601)는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스위치(1100)의 노브를 놓으면, 상기 스위치(1100)의 접점들(1108, 1109)이 떨어져도 상기 전자제품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정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전원을 오프 하기 위해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100)의 노브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1100)의 택스위치 접점들(1105, 1106)이 접촉된다. 이 때, 마이콤 U2의 IRQ단이 하이(high)가 되고, 출력 O3을 하이(high)로 출력하면 트랜지스터 Q8이 턴 온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Q8이 턴 온 되면, 릴레이 K6의 접점이 단자 k5a에서 단자 k5b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 K6의 접점은 단자 k65a에서 단자 k6b로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부(601)로 공급되던 교류 전원이 차단된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500)는 제 1 스트라이커 스프링(1530), 택 노브(1502), 노브(1503), 제 1 스트라이커(1531), 제 2 스트라이커(1532), 제 2 스트라이커 스프링(1533), 접점 1(1507), 접점 2(1508), 접점 3(1521), 접점 4(1522), 솔레노이드 단자(1509), 솔레노이드(1536), 솔레노이드 코일(1537), 보빈(1535), 탈착판(1534), 노브 스프링(1513), 판 스프링(1514), 택스위치 접점 1(1515), 택스위치 접점 2(1516)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대기전력 차단용 스위치(1500)의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전자제품의 전원을 켜기 위하여 노브 스위치(1503)을 누르면 상기 제 1 스트라이커(1531)의 고리 부분과 제 2 스트라이커(1532)의 고리 부분이 맞물림으로써 상기 접점 1(1507)과 접점 2(1508), 접점 3(1521)과 접점 4(1522)가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택 노브(1502)가 눌려지고, 상기 판 스프링(1514)에 의해 택스위치 접점 1(1515)과 택스위치 접점 2(1516)가 접촉된다. 이후 상기 노브 스위치를 놓게 되더라도 상기 제 1 스트라이커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접점들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도 16은 상기 노브 스위치를 눌렀다 뗀 상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접점 1(1507)과 접점 2(1508), 접점 3(1521)과 접점 4(1522)가 접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품에 전원이 공급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제품의 전원을 끄기 위해 노브 스위치(1503)을 눌렀다 떼면, 상기 택스위치 접점 1(1515)과 택스위치 접점 2(1516)가 접촉된 후 떨어진다. 상기 택 스위치 접점들의 탈/부착으로 인해 전원 오프 신호가 발생한다. 상기 전원 오프 신호는 제어부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1536)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536)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석으로 동작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탈착판(1534)을 잡아 당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스트라이커(1531)의 고리 부분과 제 2 스트라이커(1532)의 고리 부분 풀리면서 상기 접점 1(1507)과 접점 2(1508), 접점 3(1521)과 접점 4(1522)가 분리된다. 이로 인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품에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사용자가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뽑지 않고, 단지 전원 스위치를 오프함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공통적으로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부착하기 위한 제 1 스위치 부와 전자제품의 스위치를 온/오프함에 따라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제 2 스위치 부와 상기 제 1 스위치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위치 부는 노브 및 릴레이 스위치와 관련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부는 상기 노브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택 노브와 관련된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 부를 동작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전자제품에서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현 예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산업 장비 등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Claims (21)

  1.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노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일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트라이커와;
    상기 전자제품 내의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 또는 부착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콘텍트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노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일 측 방향으로 이동한 스트라이커를 자력에 의해 잡아 당겨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자석을 포함하는 코아; 및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 상기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스위치와 맞물려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택노브와;
    상기 택노브에 의해 두 개의 택스위치 접점을 연결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감고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전원을 오프 하기 위한 제어 전류가 입력되는 솔레노이드 코일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한 스트라이커를 원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스트라이커 스프링과;
    상기 노브 스위치가 눌려진 후 원 위치로 복구하기 위한 노브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소프트웨어로 오프 하는 경우, 대기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전원이 오프 되었음을 판단하는 대기전류 판단부와;
    상기 대기전류 판단부로부터 출력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류판단 드라이브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리모콘으로 전원 오프하는 경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고,
    상기 전원을 리모콘으로 전원 온 하는 경우,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에 반대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부착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이 오프 상태 일 때,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리모콘 수신 장치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전원 공급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전원 공급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 장치에 소정의 시간 주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터치 스위치로 전원 오프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위치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시키고,
    상기 전원을 터치 스위치로 전원 온 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위치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에 반대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일 접점과 타 접점을 부착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노브 스위치로 오프 하는 경우, 상기 택노브에 의해 두 택스위치 접점이 접촉됨으로써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 받은 후, 상기 전원을 오프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류판단 드라이브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정전 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한 제어 전류를 상기 솔레노이드에 제공하기 위한 정전용 차단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13. 제 1항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의 주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주변 기기들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콘센트 부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부는 상기 주 전원이 온/오프 됨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15. 소프트웨어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의 대기 전력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에 의해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 하기 전, 데이터 저장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택스위치의 접점이 개방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택스위치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방법.
  16. 리모컨으로 구동되는 전자제품의 대기 전력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의해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리모컨에 의한 입력 방식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와 대기전력 차단 모드로 결정되는 과정과;
    상기 대기전력 차단 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택스위치의 접점이 개방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택스위치가 개방 상태인 경우, 상기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에 의한 입력 방식은 상기 리모컨의 전원 버튼을 일정 시간 이상 누르고 있는지 여부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방법.
  18.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노브 스위치와;
    상기 노브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자제품 내의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 또는 부착하는 제 1 스위치 부와;
    상기 노브 스위치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 온 신호 또는 전원 오프 신호 발생하는 제 2 스위치부와;
    상기 제 2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전원 온 신호 또는 전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스위치 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자제품 내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스위치 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제 1 스위칭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부는 래칭 릴레이 또는 무 접점 릴레이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원 온 신호 또는 전원 오프 신호는 리모콘 또는 터치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대기전력 차단 장치.
PCT/KR2010/001388 2009-03-05 2010-03-05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0101436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748978.3A EP2405539A4 (en) 2009-03-05 2010-03-05 DEVICE FOR DISABLING THE REST PERFORM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1509423A JP5318196B2 (ja) 2009-03-05 2010-03-05 待機電力遮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080011403.6A CN102388511B (zh) 2009-03-05 2010-03-05 待机电力切断装置及其控制方法
US12/760,693 US8198758B2 (en) 2009-03-05 2010-04-15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704 2009-03-05
KR20090018704 2009-03-05
KR10-2009-0037117 2009-04-28
KR20090037117 2009-04-28
KR10-2009-0072016 2009-08-05
KR1020090072016A KR100945210B1 (ko) 2009-03-05 2009-08-05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2/760,693 Continuation US8198758B2 (en) 2009-03-05 2010-04-15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1436A2 true WO2010101436A2 (ko) 2010-09-10
WO2010101436A3 WO2010101436A3 (ko) 2010-12-09

Family

ID=4218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1388 WO2010101436A2 (ko) 2009-03-05 2010-03-05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05539A4 (ko)
JP (2) JP5318196B2 (ko)
KR (2) KR100945210B1 (ko)
CN (2) CN104465182B (ko)
WO (1) WO20101014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81B1 (ko) * 2010-03-31 2011-03-23 김창호 대기전력 차단 구조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CN102971936B (zh) * 2010-06-14 2016-03-16 金昌镐 通/断开关和使用所述通/断开关的待机功率关断设备
KR101057958B1 (ko) * 2010-07-30 2011-08-18 김병호 돌입전류 충격방지 및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스위치
JP5839469B2 (ja) * 2012-01-31 2016-01-06 Necマグナ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源タップ
CN102749867B (zh) * 2012-07-20 2014-01-22 周炳生 一种家用节能自动旋转式电源刀开关装置
JP6188397B2 (ja) * 2013-04-18 2017-08-30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プッシュスイッチ
CN204256454U (zh) * 2013-09-29 2015-04-08 上海本星电子科技有限公司 电器关机防漏电系统
KR101671737B1 (ko) * 2014-02-05 2016-11-02 대 곤 윤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복원스위치
US9552936B2 (en) 2014-08-05 2017-01-24 Valeo Japan Co., Ltd. Push switch
DE102015010820A1 (de) * 2014-08-29 2016-03-03 Marquardt Mechatronik Gmbh Elektrischer Schalter
CN104378565A (zh) * 2014-11-07 2015-02-25 国网上海市电力公司 电视机电源彻底切断系统
CN105990058B (zh) * 2016-06-30 2019-05-10 博耳智能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点触式的智能开关
CN108964156A (zh) * 2017-05-17 2018-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70670B1 (ko) * 2018-10-04 2020-01-30 김병호 대기전력 차단 장치
IT201900002945A1 (it) * 2019-02-28 2020-08-28 Illinois Tool Works Microinterruttore perfezionato, in particolare utilizzabile su elettrodomestici
CN110047685A (zh) * 2019-03-29 2019-07-23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翘板开关低功耗触发装置及触发方法
JP2022184215A (ja) * 2021-05-31 2022-1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セン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44A (ko)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절전기
KR20060042781A (ko)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718A (ja) * 1981-12-01 1983-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ツシユスイツチ
JPH01175411A (ja) * 1987-12-29 1989-07-11 Yoshida Kogyo Kk <Ykk> リモコン受信装置
JP2769651B2 (ja) * 1991-09-30 1998-06-25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メカニカルラッチ装置およびメカニカル・ラッチ装置を内蔵するリレー
JPH08195252A (ja) * 1995-01-19 1996-07-30 Fuminori Hirose 電源タップ
JPH0917312A (ja) * 1995-06-27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極リレー
DE19802332B4 (de) * 1997-01-23 2005-07-28 Saia-Burgess Halver Gmbh & Co.Kg Elektrisches Schaltgerät
JP2000152499A (ja) * 1998-09-07 2000-05-30 Takatoshi Kosaka 家電製品用自動電源遮断装置
KR100331822B1 (ko) * 1998-09-26 2002-05-09 구자홍 전자기기의전원제어장치및방법
JP2000125226A (ja) 1998-10-13 2000-04-2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コントロール回路
JP3722634B2 (ja) * 1998-12-09 2005-11-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気機器
JP2000358203A (ja) * 1999-06-17 2000-12-26 Toshiba Corp 電源回路
JP2001136661A (ja) * 1999-11-01 2001-05-18 Funai Electric Co Ltd 電源制御装置
KR20010057158A (ko) * 1999-12-18 2001-07-04 구자홍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84200Y1 (ko) * 1999-12-21 2000-06-01 주식회사글로벌데이타시스템.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음성인식 기반의 지능형 대화 장치
JP2001229773A (ja) * 2000-02-15 2001-08-24 Alps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20020057500A (ko) * 2001-01-05 2002-07-11 이환 대기전력 감소장치
JP2004173346A (ja) * 2002-11-18 2004-06-17 Fusako Konno 電気機器の待機電力カットシステム
US6831535B1 (en) * 2003-11-25 2004-12-14 China Patent Investment Limited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JP4456031B2 (ja) * 2005-03-31 2010-04-28 梅沢技研株式会社 待機電力遮断装置
JP2008010972A (ja) * 2006-06-27 2008-01-17 Funai Electric Co Ltd 電源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44A (ko)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전기기의 대기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절전기
KR20060042781A (ko)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405539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5539A2 (en) 2012-01-11
CN102388511B (zh) 2014-11-26
CN104465182A (zh) 2015-03-25
WO2010101436A3 (ko) 2010-12-09
JP5526261B2 (ja) 2014-06-18
JP2011522360A (ja) 2011-07-28
EP2405539A4 (en) 2014-05-14
KR100945210B1 (ko) 2010-03-03
KR100945213B1 (ko) 2010-03-03
CN102388511A (zh) 2012-03-21
CN104465182B (zh) 2017-04-12
JP2013168386A (ja) 2013-08-29
JP5318196B2 (ja)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01436A2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73458C (zh) 电源控制装置及其方法
WO2013154333A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1031009A2 (ko)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콘센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639675B (zh) 高效节能开关电路
CN201522626U (zh) 高效节能开关电路
WO2018139740A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차량
WO2019045206A1 (ko) 도플러 센서를 사용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WO2010098577A2 (ko)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US8198758B2 (en)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10169341A1 (en) Power saving circuit
CN110329077A (zh) 机器人及应用于机器人中的电池断电控制方法
WO2012070864A2 (ko) 전자제품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
KR20230022914A (ko)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1162517A2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WO2019098661A1 (ko)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7099472A1 (ko) 기사용 중인 전자제품을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하게 하는 사물인터넷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165863A2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방법
TW201027859A (en) AC adapt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118090A1 (ko) 충전모드 전환이 가능한 대기전력 차단 충전 장치 및 방법
EP1229713A1 (en) Power supply switching apparatus for facsimile machine
WO2011102587A1 (ko) 대기전력 저감장치
WO2017018785A1 (ko) 배터리 사용 조명의 대기전력소모 감소장치
WO2011078473A2 (ko)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WO2020071820A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11403.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489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09423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7174/CHENP/2011

Country of ref document: I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4897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