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7158A -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7158A
KR20010057158A KR1019990058948A KR19990058948A KR20010057158A KR 20010057158 A KR20010057158 A KR 20010057158A KR 1019990058948 A KR1019990058948 A KR 1019990058948A KR 19990058948 A KR19990058948 A KR 19990058948A KR 20010057158 A KR20010057158 A KR 2001005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supply unit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7158A/ko
Publication of KR2001005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1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계적인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오프시킨 경우, 다시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온시킬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에 전원 공급부내 스위치의 출력접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 압축 수단과 리모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프링 압축 수단에 의해 스위치의 출력접점을 온시키는 온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모콘을 통해 전자기기를 원격 온오프제어함과 아울러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REMOTE ON/OFF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를 적용한 전자기기를 리모콘을 통해 원격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소비전력이 발생하나 기계적인 동작을 하는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경우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소비 전력은 0W가 되나, 이는 소비자가 직접 손으로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전자기기의 원격 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를 받아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전원차단신호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전원 공급부(1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스탠바이 모드시 전원을 공급하는 스탠바이 전원부(2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주전원부(30)와; 리모콘 신호에 의해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20) 및 전원 공급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40)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를 온시키면, 스탠바이 전원부(20)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전원을 입력받은 마이크로 컴퓨터(40)는 전원차단신호를 통해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키게 되고, 이에 상기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부(10)가 계속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공급부(10)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은 주전원부(30)는 전자기기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후, 리모콘의 전원키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40)는 전원차단신호를 통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를 턴오프시켜 상기 전원 공급부(10)를 통해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20) 및 주전원부(30)로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계적인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오프시킨 경우, 다시 상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온시킬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를 원격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한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기기의 원격 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온제어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4는 도 2에서 스프링 압축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5는 도 2의 전체적인 제어 동작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공급부 101 : 스프링 압축부
102,103 : 전자석 104 : 모터
105 : 압축봉 106,107 : 스프링
110 : 스탠바이 전원부 120 : 주전원부
130 : 압축제어부 140 : 온제어부
141 : 프리앰프 150 :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외부 교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스탠바이 모드시 전원을 공급하는 스탠바이 전원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을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주전원부와; 전원차단신호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압축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압축 제어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리모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동작을 제어하는 온제어부와; 상기 리모콘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 및 압축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의 접점이 오프시 리모콘의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온시킴과 아울러 압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계와; 스위치의 접점이 온되면, 상기 전원키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본체 전원이 온인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본체 전원이 온되었으면,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 및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상기 제2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본체 전원이 온되지 않았으면, 상기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1증가시킨 후 설정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전원키 신호의 인가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원키 신호 인가시 상기 제4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상기 전원키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본체 전원을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상기 제2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오프시킴과 아울러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상기 제1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교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0)와; 전원차단신호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100)의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전원 공급부(100)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스탠바이 모드시 전원을 공급하는 스탠바이 전원부(11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0)를 통해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주전원부(120)와; 압축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스프링 압축부(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 제어부(130)와; 리모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100)를 온시키는 온제어부(140)와; 상기 리모콘 신호에 의해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 및 압축 제어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50)로 구성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100)는 상기 온제어부(140)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석(102)에 의해 입력접점(c)(c')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교류 전원을 출력 접점(a)(a')을 통해 온제어부(140)로 공급하고, 상기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석(103)에 의해 상기 교류 전압을 출력접점(b)(b')을 통해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110) 및 주전원부(120)로 공급하는 스위치(SW1)(SW2)와; 상기 압축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 온스프링(106)을 압축하는 스위칭 압축부(101)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온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소드가 상기 전원 제어부(100)내 스위치(SW1)의 접점(a)에 저항(R1)을 통해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일측이 상기 다이오드(D1)의 캐노드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전원 제어부(100)내 스위치(SW2)의 접점(a')에 연결된 커패시터(C1)와; 리모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저전위를 출력하는 리모콘 프리앰프(141)와; 상기 리모콘 프리 앰프(141)의 출력신호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100)내 전자석(102)을 동작시키는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2)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압축부(1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제어부(130)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소형모터(104)와; 상기 소형모터(104)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와 치합된 랙기어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압축봉(105)과; 상기 압축봉(105)의 직선운동에 의해 압축되는 온스프링(106)과; 상기 온스프링(106) 및 오프스프링(107)에 의해 직선운동하여 상기 스위치(SW1)(SW2)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바(108)로 구성하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5의 동작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전원공급부(100)내 스위치(SW1)(SW2)의 입력접점(c)(c')이 온제어부(140)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S1), 상기 스위치(SW1)(SW2)의 출력접점(a)(a')을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을 입력받은 상기 온제어부(140)는 저항(R1),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를 통해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프리앰프(141)로 인가한다.
그리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프리앰프(141)에서 리모콘(100)내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저전위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0)내 전자석(102)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온제어부(140)는 상기 스위치(SW1)(SW2)를 통해 교류 전원을 계속 공급받는다.(S2)
그리고, 사용자가 리모콘(100)의 전원키를 누르면, 이를 입력받은 프리앰프(141)는고전위를 출력하여 상기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2)를 턴오프시켜 상기 전자석(102)의 동작을 차단하고, 이에 스프링 압축부(101)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스위치바(108)이 동작한다.(S3)
따라서, 상기 스위치(SW1)(SW2)는 입력접점(c)(c')을 통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출력접점(b)(b')을 통해 스탠바이 전원부(110) 및 주전원부(120)로 공급하고, 이에 마이크로 컴퓨터(150)는 압축제어부(130)로 압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압축제어부(130)는 스프링 압축부(101)내 모터(104)로 정방향의 전류를 흘려보내 압축봉(105)을 소정위치까지 동작시킨다.(S4)
이때,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50)는 전원차단신호를 통해 엔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켜 상기 전원 공급부(100)내 전자석(103)을 계속 동작시켜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110) 및 주전원부(120)로 상기 스위치(SW1)(SW2)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50)는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S5)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면, 본체의 전원이 온인지 판단하여(S6) 온인 경우,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110)을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한 후(S7),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하고(S8), 상기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본체의 전원이 온되어있지 않은 경우, 전원키 신호 입력 시간 카운터를 1증가시킨 후(S9), 전원키 신호 입력시간 카운터가 설정치 이상인지 판단한다.(S10)
여기서, 상기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전원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S11) 입력되면, 상기 전원키 입력시간 카운터를 1증가시킨 후 설정치이상인지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수행하나, 입력되지 않으면, 본체의 전원을 온시키고,(S12)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S8) 상기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그러나, 상기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50)는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0)내 전자석(103)의 동작을 중단시켜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110) 및 주전원부(120)로 공력되는 외부 교류 전원을 차단함(S13)과 아울러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다.(S14)
이때,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50)는 압축제어부(130)을 통해 스프링 제어부(101)내 모터(104)로 부방향의 전류를 흘려 압축봉(105)을 구동하여 압축스프링(106)을 압축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SW1)(SW2)로 입력되는 외부 교류 전원을 출력접점(b)(b')에서 출력접점(a)(a')을 통해 인가하도록 제어한다.(S15)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100)내 스위치(SW1)(SW2)의 출력접점(a)(a')을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을 입력받은 상기 온제어부(140)는 저항(R1), 다이오드(D1) 및 커패시터(C1)를 통해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프리앰프(141)로 인가하고, 이를 입력받은 상기 프리앰프(141)에서 리모콘(100)내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저전위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0)내 전자석(102)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온제어부(140)는 상기 스위치(SW1)(SW2)를 통해 교류 전원을 계속 공급받는다.(S2)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에 전원 공급부내 스위치의 출력접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 압축 수단과 리모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프링 압축 수단에 의해 스위치의 출력접점을 온시키는 온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모콘을 통해 전자기기를 원격 온오프제어함과 아울러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 교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스탠바이 모드시 전원을 공급하는 스탠바이 전원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외부 교류 전원을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주전원부와; 전원차단신호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압축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로 상기 스탠바이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압축 제어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리모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동작을 제어하는 온제어부와; 상기 리모콘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 및 압축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온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제1 전자석에 의해 입력접점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교류 전원을 제1 출력 접점을 통해 상기 온제어부로 공급하고, 스위치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전자석에 의해 상기 입력접점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교류 전원을 제2 출력접점을 통해 스탠바이 전원부 및 주전원부로 공급하는 제1,제2 스위치와; 압축제어부의 출력 전원에 의해 상기 제1,제2 스위치의 출력접점을 스위칭시키는 스프링 압축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제어부는 전원공급부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교류 전원을 직류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직류 전압을 입력받아 리모콘 신호에 의해 저전위를 출력하는 리모콘 프리앰프와; 상기 리모콘 프리 앰프의 출력신호에 의해 도통제어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내 제1 전자석을 동작시키는 피타입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압축부는 압축 제어부의 출력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소형모터와; 상기 소형모터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와 치합된 랙기어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압축봉과; 상기 압축봉에 의해 압축되는 온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5. 스위치의 접점이 오프시 리모콘의 전원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온시킴과 아울러 압축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단계와; 스위치의 접점이 온되면, 상기 전원키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본체 전원이 온인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본체 전원이 온되었으면,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 및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상기 제2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본체 전원이 온되지 않았으면, 상기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1증가시킨 후 설정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전원키 신호의 인가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원키 신호 인가시 상기 제4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상기 전원키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본체 전원을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상기 제2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서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오프시킴과 아울러 전원키 입력 시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상기 제1 단계의 동작을 반복수행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방법.
KR1019990058948A 1999-12-18 1999-12-18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57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48A KR20010057158A (ko) 1999-12-18 1999-12-18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948A KR20010057158A (ko) 1999-12-18 1999-12-18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158A true KR20010057158A (ko) 2001-07-04

Family

ID=1962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948A KR20010057158A (ko) 1999-12-18 1999-12-18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71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59B1 (ko) * 2002-12-06 2005-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off 상태에 따른 on 동작 제어 방법
KR100945210B1 (ko) * 2009-03-05 2010-03-03 김창호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665681A (zh) * 2008-07-30 2010-03-10 霍尼韦尔国际公司 含有二氟甲烷和氟取代的烯烃的组合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59B1 (ko) * 2002-12-06 2005-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off 상태에 따른 on 동작 제어 방법
CN101665681A (zh) * 2008-07-30 2010-03-10 霍尼韦尔国际公司 含有二氟甲烷和氟取代的烯烃的组合物
CN101665681B (zh) * 2008-07-30 2014-06-25 霍尼韦尔国际公司 含有二氟甲烷和氟取代的烯烃的组合物
KR100945210B1 (ko) * 2009-03-05 2010-03-03 김창호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0101436A3 (ko) * 2009-03-05 2010-12-09 Kim Chang H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393B1 (ko) 전원공급장치
EP1126587A3 (en) Zero voltage switching power supply with burst mode
TW200637121A (en) Quasi resonan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nd quasi resonant type switching power apparatus using the same
EP1146620A3 (en) Driving method of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and power supply apparatus operated according to said method
EP1122871A3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method
JPS59133735A (ja) デジタル制御装置用オン・オフ装置
KR20010057158A (ko) 전자기기의 원격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05010943A3 (en) High side power switch with charge pump and bootstrap capacitor
EP1221759A3 (en) DC/DC converter and self-luminous display apparatus
EP1078459B1 (en) Device having a variable-speed motor
JP3110208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電源装置
US6417657B2 (en) Power source connection controller and power source connection controlling method
KR100419417B1 (ko) 임의의 키를 눌러서 전원을 켜는 장치
JP4312941B2 (ja) ソレノイド駆動ポンプの制御回路
KR100675151B1 (ko) 배터리 안착부에 자동전원버튼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공급 방법
US20220205305A1 (en) Automatic door opera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WO2003005544A3 (en) A control circuit for an inductive device
JP3101962U (ja) 表示器用電力節約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器
JPH01237812A (ja) 論理装置
JP2770614B2 (ja) リレー回路
US5150028A (en) Two Zener diode one power supply fast turn off
KR20030002163A (ko) 전원공급회로
JPS6227001Y2 (ko)
KR200311932Y1 (ko) 전원공급제어장치
KR0129628Y1 (ko) 가전기기의 릴레이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