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98577A2 -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98577A2
WO2010098577A2 PCT/KR2010/001143 KR2010001143W WO2010098577A2 WO 2010098577 A2 WO2010098577 A2 WO 2010098577A2 KR 2010001143 W KR2010001143 W KR 2010001143W WO 2010098577 A2 WO2010098577 A2 WO 201009857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standby power
phone charging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11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98577A3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Kim Chang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Chang Ho filed Critical Kim Chang Ho
Priority to US13/203,13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304301A1/en
Priority to EP10746416A priority patent/EP2403104A2/en
Priority to JP2011551978A priority patent/JP5367096B2/ja
Priority to CN201080009773.6A priority patent/CN102349211B/zh
Publication of WO201009857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98577A2/ko
Publication of WO201009857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9857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for shutting off standby power to provide convenience to a mobile phone user and to save power consumed inside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jack, standby power cut-off unit for detaching or attaching one contact and the other contact of the AC power cable to cut off the AC power flowing in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measuring a current flowing in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with a reference current value, and determining whether standby power is generated inside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when the standby power is detected, the one contact point.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to detach and the other contact point.
  • power is supplied only when the mobile phone is charged, and the mobile phon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er or configured to completely cut off the AC power input to the charger while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s fully charged. Can save.
  •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user's convenience because the user can cut off the standby power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mobile phone charger from the outlet.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necting a mobile phone to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block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to 11 are views showing the mechanical operation of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or mobile phone charger)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or mobile phone charger
  • the mobile pho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rechargeable battery case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100 includes a charging unit 101, a plug 103, a wire 105, and a jack 107.
  • the charging unit is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serves to convert the AC power input through the plug 103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to a charging DC power.
  • the jack is a part for connecting with a mobile phone or a rechargeable battery case when charging.
  • the jack has an LED, and the LED informs the mobile phone user o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obile phone.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200 includes a charging unit 201, a plug 205, a wire 207, and a jack 209.
  • the charging unit 201 includes a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203.
  • the jack 209 includes a jack printed circuit board 211, a contact 1 213, a contact 2 215, a spring 217, a stroke 219, a connector 225, and a lock 223.
  • a jack printed circuit board 211, a spring 217, and a stroke 219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jack 209, and the contact 1 213 is connected to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201 or the jack PCB.
  • the contact 2 215 is positioned.
  • the stroke serves to detach or attach the contact 1 213 and the contact 2 215.
  • the stroke 219 discloses that it is located on the upper left of the connector 225,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roke 219 can be installed at other locations within the jack 209. For example, the stroke 219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or 225.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the mobile phone 300 and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ct point 1 (213)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s contacted. 2 215 is separated.
  • the stroke 219 protruding from one end surface of the jack 209 that engages the cellular phone is pushed in due to one side of the cellular phone 300.
  • the spring 217 is reduced, and the stroke 219 pushes the contact 2 215 to attach with the contact 1 213.
  • the jack 209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200 is complete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300, the jack 209 is fixed by the lock 223.
  • FIG. 4 illustrate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lectrica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20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211 and includes a rectifying unit and a control unit.
  • a control unit A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may be used microcomputer U1.
  • the rectifying unit includes a rectifying bridge BR1 and a capacitor C1, and serves to rectify AC power input through an outlet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to DC power.
  • DC power passing through the rectifier is supplied to a transformer T1.
  • the microcomputer U1 controls the turn-on cycle of the transistor Q1 to control the secondary voltage of the transformer T1.
  • the secondary side voltage induced by the transformer T1 is rectified and smoothed to the charging voltage through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part composed of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2.
  • the charging voltage passing through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parts is provided to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211 through the terminal A-a and the terminal B-b.
  • the charging voltage provided to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is su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300.
  • the microcomputer U1 turns the LED 2 of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211 on the output port O1 'high' to indicate that it is charging. At this time, the output port 01 of the charging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c, the terminal c is connected to the LED 2 through the terminal C of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 the microcomputer U1 measures the power divided by the resistor R1 and the resistor R2 with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AD1 to control the state of charge and the charge voltage.
  • the microcomputer U1 controls the charging voltage by controlling the turn 'on' period of the transistor Q1 using the voltage measured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 the microcomputer U2 When the phone battery is fully charged, the microcomputer U2 outputs output port O1 'low'.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U2 outputs the output port O2 'high' to turn on the LED 1 of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211, and turns off the LED 2 to control the charging completion.
  • the output port 02 of the charging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d, and the terminal d is connected to the LED 1 through the terminal D of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 the lock 223 is pressed together to separate the jack and the mobile phone.
  • the spring 217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ich causes the stroke 219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contact 1 213 and the contact 2 215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E. F of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211 and the terminals e, f of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203 is broken.
  •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is cut off.
  • power supply to the cellular phone charging device is cut off.
  • the standby power consumed by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s automatically cut off.
  •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only when the mobile phone is charged, and when the mobile phone or the rechargeable battery cas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er, the power input to the charger is completely cut off, thus effectively saving standby power consumed by the existing mobile phone charger. Can be removed.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efficiently separating standby power consumed inside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hen the mobile phone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or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s fully charged.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500 includes a charging unit 501, a plug 505, a cable 507, and a jack 509.
  • the charging unit 501 includes a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503.
  • the jack 509 includes a jack printed circuit board 511, a standby power cutoff unit 515, and a locking knob 517.
  • FIG. 6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knob (or knob switch 513) is positioned at the head of the jack 509, and the knob 513 protrudes out of the jack.
  • the knob 513 of the jack is pushed inward.
  • the knob 513 of the jack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knob spring 521.
  • FIG. 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51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515 includes a knob 513, a knob spring 521, a lever 523, a lever spring 525, a solenoid coil terminal 526, a contact 1 527, Includes contact 2 (529), core (531), magnet (533), solenoid coil (528), stroke (535), cam (541), slide (539), cam spring (537), and charge indicator (519). do.
  • the cam 541, the slide 539, the stroke 535, the charge display unit 519 is not integrally configured, bu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at the above components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cam 541, the slide 539, the stroke 535, the cam spring 537, and the charging display unit 519 are integrally formed. Referred to as cam assembly.
  • the standby power blocking unit 515 serves as a switch for cutting of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at is, when the mobile phone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515 supplies AC power to the inside of the charging dev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phone is fully charged or the mobile phone is disconnected during charging,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515 automatically cuts off the AC power flowing into the charging device.
  • the core 531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gnet 533 pulls the slide 539 moved in the A direction by magnetic force.
  • the stroke 535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m 541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moved in the A direction so that the contact 1 527 and the contact 2 529 are moved. Attach. As shown in FIG. 9, when the contact 1 527 and the contact 2 529 are attached, AC power is input 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FIG. 10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in which the cellular phone charging device and the cellular phone are connected and in a fully charged state.
  • the microcomputer U1 (or the control unit) in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503 senses this and then enters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Power is supplied to the solenoid coil terminal 526.
  • the solenoid becomes an electromagnet to generate repulsive force with the magnet 533. Accordingly, the slide 539 attached to the core 531 is moved in the B direction by the cam spring 537 together with the repulsive force with the magnet 533.
  • the cam 541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e also moves in the original direction B direction, so that the stroke 535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an effectively block the standby power consumed inside the charging device without removing the mobile phone from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mobile phone is fully charged.
  • the cam 541 is provided with a charge display unit 519, i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hat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s completed.
  • FIG 1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when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nd the mobile phone are separated.
  • the knob 513 when the mobile phone or the rechargeable battery case is removed from the jack 509, the knob 513 is moved in the C direction by the knob spring 521. At this time, the knob 513 moves the lever upward to move it counterclockwise. The opposite side of the lever returns to the state of FIG. 7 without touching the cam 541 by moving downward.
  • standby power is cut off, that is, the supply of AC power is cut off by the standby power cut-off part.
  • the microcomputer U1 or the controller in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503 senses this and supplies power to the solenoid coil terminal 526 in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 the solenoid coil terminal 526 becomes an electromagnet to generate repulsive force with the magnet 533. Accordingly, the slide 539 attached to the core 531 is moved in the B direction by the cam spring 537 together with the repulsive force with the magnet 533.
  • the cam 541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e also moves in the original direction B direction, so that the stroke 535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contact 1 527 and the contact 2 529 are separated, thereby blocking the AC power flowing in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hutting off standby power when only a charged mobile phone is connected or when a charging mobile phone is disconnected.
  • FIG. 12 illustrate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lectrica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50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511 and includes a rectifying unit and a control unit.
  • the charging unit printed circuit board 503 may include a controller, and a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the microcomputer U1 may be used.
  • the rectifying unit includes a rectifying bridge BR1 and a capacitor C1, and serves to rectify AC power input through an outlet of a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into DC power.
  • DC power passing through the rectifier is supplied to a transformer T1.
  • the microcomputer U1 controls the turn-on cycle of the transistor Q2 to control the secondary voltage of the transformer T1.
  • the secondary side voltage induced by the transformer T1 is rectified and smoothed to the charging voltage through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part composed of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2.
  • the charging voltage passing through the rectifying and smoothing parts is provided to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511 through the terminal + and the terminal-.
  • the charging voltage provided to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is su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300.
  • the microcomputer U1 When the cellular phone battery is being charged, the microcomputer U1 turns the LED 1 of the jack printed circuit board 511 on the output port O1 'high' to indicate that it is charging.
  • the microcomputer U1 measures the power divided by the resistor R1 and the resistor R2 with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 to control the state of charge and the charge voltage.
  • the microcomputer U1 controls the charging voltage by controlling the turn 'on' period of the transistor Q2 using the voltage measured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 the microcomputer U2 After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battery, the microcomputer U2 outputs output port O1 'low' and output port O2 'high' to turn transistor Q1 on.
  • the transistor Q1 When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solenoid terminal in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That is, current flows from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1 to the + terminal via the solenoid terminal 526 in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515.
  • the solenoid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solenoid terminal 526, the solenoid generates a magnetic field.
  • the solenoid pushes the magnet 533 due to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 the cam 541 returns in the B direction by the repulsive force due to the magnetic field and the cam spring 537.
  • the cam 541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e also moves in the original direction B direction, so that the stroke 535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contact 1 527 and the contact 2 529 are separated, thereby blocking the AC power flowing into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the cam 541 is provided with a charge display unit 519, it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hat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s completed.
  • the charging display unit 519 may display whether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battery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m 54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efficiently blocking standby power consumed by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out separating the fully charged mobile phone from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shows an embodiment for efficiently removing standby power in the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and other charging devic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잭 내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교류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 또는 부착시키는 대기 전력 차단부 및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 값과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 대기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기전력이 감지되면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반도체를 이용한 전자제품이 늘어나면서 전자제품의 전원을 차단하여도 일정한 대기전력를 소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정 및 회사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11% 내지 15% 가 상기 대기 전력으로 인하여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에 따르면, 소모되는 대기 전력으로 인해 연간 수 천억 원의 전력 손실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대기전력을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전력 생산으로 인한 CO2 배출을 줄여 환경 오염 및 지구 온난화를 늦출 수 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해 대기전력기준을 마련하였고 업계와 공동으로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기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멀티콘센트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전원을 온/오프 하는 방식이 있으나, 전원 차단 시 사용이 불편하여 큰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휴대폰에 대한 수요가 계속 확대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휴대폰 사용자들은 통상 하루에 한번 이상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데, 휴대폰 충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전원 콘센트에 꽂은 상태로 방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의 대기전력으로 인한 전력 낭비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존의 휴대폰 충전장치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충전기를 콘센트에서 뽑지 않으면 상기 충전기 자체에 의한 대기전력의 소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가 소모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용 휴대폰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잭 내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교류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 또는 부착시키는 대기 전력 차단부; 및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 값과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 대기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기전력이 감지되면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용 휴대폰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 시에만 전원이 투입되고, 휴대폰을 충전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가 만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휴대폰 충전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번거롭게 휴대폰 충전기를 콘센트로부터 제거할 필요 없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 충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 충전 장치에 휴대폰을 연결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내부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 충전 장치에 휴대폰을 연결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부의 구성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부의 기계적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내부 회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 장치(또는 휴대폰 충전기)를 제안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에 휴대폰을 직접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에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가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 충전장치(100)는 크게 충전부(101), 플러그(103), 전선(105), 잭(107)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부는 충전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충전부 인쇄회로기판은 휴대폰 충전장치의 플러그(103)를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충전용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잭은 충전 시 휴대폰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와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잭은 LED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LED는 휴대폰 사용자에게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알려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 충전장치(200)는 충전부(201), 플러그(205), 전선(207), 잭(209)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부(201)는 충전부 인쇄회로기판(203)을 포함한다. 상기 잭(209)은 잭 인쇄회로기판(211), 접점 1(213), 접점 2(215), 스프링(217), 스트로크(219), 커넥터(225), 록크(223)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 이외의 휴대폰 충전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장치들 및 상기 장치들의 동작에 대하여 본 발명의 내용과 관련 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상기 잭(209) 내의 소정의 위치에 잭 인쇄회로기판(211), 스프링(217), 스트로크(219)가 구비되고, 상기 잭 인쇄회로기판(201, 또는 잭 PCB)에 접점 1(213)과 접점 2(215)를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크는 접점 1(213)과 접점 2(215)를 탈착 또는 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접점 1(213)과 상기 접점 2(215)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 내부로 교류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접점 1(213)과 접점 2(215)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 내부로의 교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스트로크(219)는 상기 커넥터(225)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잭(209) 내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로크(219)는 상기 커넥터(225)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300)과 휴대폰 충전 장치(200)를 결합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에 대한 기계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휴대폰 충전 장치(200)가 휴대폰(300)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미도시)와 연결되지 않을 때, 즉 휴대폰 충전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의 접점 1(213)과 접점 2(215)는 분리되어 있다.
이후, 휴대폰 충전 장치(200)를 휴대폰(300)에 연결하면, 휴대폰과 맞물리는 잭(209)의 일 단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트로크(219)는 상기 휴대폰(300)의 일 측면으로 인해 밀려 들어간다. 상기 스트로크(219)가 밀려 들어가면 스프링(217)이 줄어들며, 상기 스트로크(219)가 상기 접점 2(215)를 밀어 접점 1(213)과 부착하도록 한다.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200)의 잭(209)이 상기 휴대폰(300)의 충전 단자와 완전히 연결되면 록크(223)에 의해 고정된다.
잭 인쇄회로기판(211)의 접점 1(213)과 접점 2(215)가 부착되면, 상기 잭 인쇄회로기판(211)의 단자 E, F와 충전부 인쇄회로기판(203)의 단자 e, f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전기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충전부 인쇄회로기판(203)은 잭 인쇄회로기판(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류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의 일 예로 마이콤 U1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류부는 정류 브리지(BR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되며, 휴대폰 충전 장치의 콘센트를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류부를 통과한 직류 전원은 변압기 T1에 공급된다. 이때, 마이콤 U1은 트랜지스터 Q1의 턴 '온' 주기를 제어하여 변압기 T1의 2차 측 전압을 제어한다. 상기 변압기 T1에 의해 유도된 2차 측 전압은 다이오드 D1과 캐패시터 C2로 구성된 정류 및 평활부를 통해 충전용 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된다. 상기 정류 및 평활부를 통과한 충전용 전압은 단자 A-a와 단자 B-b를 통해 잭 인쇄회로기판(211)으로 제공된다. 상기 잭 인쇄회로기판으로 제공된 충전용 전압은 휴대폰(300)의 충전용 단자에 공급된다.
휴대폰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마이콤 U1은 출력 포트 O1을 '하이(high)'로 하여 잭 인쇄회로기판(211)의 LED 2를 점등하여 충전 중임을 표시한다. 이 때, 충전용 인쇄회로기판의 출력 포트 01은 단자 c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자 c는 잭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C를 통해 LED 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마이콤 U1은 충전 상태와 충전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저항 R1과 저항 R2로 분압된 전원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1)로 측정한다. 마이콤 U1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턴 '온(on)'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충전 전압을 제어한다.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마이콤 U2는 출력 포트 O1를 '로우(low)'로 출력한다. 또한, 마이콤 U2는 출력 포트 O2를 '하이(high)'로 출력하여 잭 인쇄회로기판(211)의 LED 1을 점등하고, LED 2를 소등하여 충전 완료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충전용 인쇄회로기판의 출력 포트 02은 단자 d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자 d는 잭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D를 통해 LED 1과 연결된다.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후, 잭(209)을 휴대폰(3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구비한 록킹 노브(221)를 누르면 록크(223)가 함께 눌려 잭과 휴대폰이 분리된다. 상기 휴대폰(300)과 잭(209)이 분리되면, 스프링(217)이 원래대로 복원되고, 이로 인해 스트로크(219)가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스트로크(219)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접점 1(213)과 접점 2(215)는 도 2에서와 같이 분리된다. 상기 접점 1(213)과 접점 2(215)와 분리되면, 잭 인쇄회로기판(211)의 단자 E. F와 충전부 인쇄회로기판(203)의 단자 e, f와의 연결이 끊어진다. 즉, 상기 단자 E와 단자 F 사이의 케이블이 끊어짐으로써, 상기 충전부 인쇄회로기판으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이로서, 휴대폰 충전 장치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휴대폰 충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폰 충전 장치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 시에만 전원을 투입하고, 휴대폰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를 충전기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충전기로 입력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휴대폰을 휴대폰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하거나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가 만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500)는 충전부(501), 플러그(505), 케이블(507), 잭(509)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부(501)는 충전부 인쇄회로기판(503)을 포함한다. 상기 잭(509)은 잭 인쇄회로기판(511), 대기전력 차단부(515), 록킹 노브(517)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 이외의 휴대폰 충전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장치들 및 상기 장치들의 동작에 대하여 본 발명의 내용과 관련 없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 충전 장치에 휴대폰을 연결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잭(509)의 머리 부분에 노브(또는 노브 스위치, 513)가 위치하고, 상기 노브(513)는 상기 잭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의 잭(509)이 휴대폰(300)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에 연결되면, 상기 잭의 노브(513)는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반대로, 상기 휴대폰이 분리되면, 상기 잭의 노브(513)은 노브 스프링(521)이 의해 원 상태로 복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부(515)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515)는 노브(513), 노브 스프링(521), 레버(523), 레버 스프링(525), 솔레노이드 코일단자(526), 접점 1(527), 접점 2(529), 코아(531), 자석(533), 솔레노이드 코일(528), 스트로크(535), 캠(541), 슬라이드(539), 캠 스프링(537), 충전 표시부(5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캠(541), 슬라이드(539), 스트로크(535), 충전 표시부(519)는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별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구성들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일체로 형성된 캠(541), 슬라이드(539), 스트로크(535), 캠 스프링(537) 및 충전 표시부(519)를 캠 조립체라 지칭한다.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515)는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에 휴대폰(300)을 연결하면,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515)는 상기 충전 장치 내부로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반면, 상기 휴대폰이 완전히 충전되거나 충전 도중에 상기 휴대폰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515)는 상기 충전 장치 내부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부(515)의 기계적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휴대폰(300)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미도시)를 잭(509)에 연결하면, 상기 잭(509) 외부로 돌출된 노브(513)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로 인해, 상기 노브(513)가 레버(523)를 아래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레버(52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캠(541)을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541)과 일체로 구성된 슬라이드(539)는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자석(533)과 일체로 구성된 코아(531)는 A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슬라이드(539)를 자력에 의해 잡아 당긴다. 상기 코아(531)와 상기 슬라이드(539)가 부착되면, 상기 캠(541)과 일체로 구성되고 절연 물질로 구성된 스트로크(535)가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점 1(527)과 접점 2(529)를 부착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 1(527)과 상기 접점 2(529)가 부착되면,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로 교류 전원이 입력된다.
도 10은 휴대폰 충전 장치와 휴대폰이 연결되어 있고, 만 충전 상태에서의 대기 전력 차단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이 만 충전되어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에 흐르는 전류가 기준 전류 이하가 되면, 충전부 인쇄회로기판(503) 내 마이콤 U1(또는 제어부)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 내의 솔레노이드 코일 단자(526)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단자(526)에 전원을 공급하면, 솔레노이드는 전자석이 되어 상기 자석(533)과 척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코아(531)에 부착된 슬라이드(539)는 상기 자석(533)과의 반발력과 함께 캠 스프링(537)에 의해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드와 일체로 구성된 캠(541) 역시 원래 방향인 B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트로크(535)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스트로크(535)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감으로써 상기 접점 1(527)과 상기 접점 2(529)는 분리되고, 이로 인해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는 휴대폰이 만 충전 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폰을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충전 장치 내부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캠(541)에 충전 표시부(519)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핸드폰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휴대폰 충전 장치와 휴대폰을 분리하는 경우의 대기 전력 차단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잭(509)으로부터 휴대폰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를 분리하면, 상기 노브(513)는 노브 스프링(521)에 의해 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노브(513)는 레버를 위로 올려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레버의 반대쪽은 아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캠(541)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도 7의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이 만 충전 된 후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전력이 차단된 상태, 즉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에 의해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 있다.
그런데, 상기 휴대폰이 충전 도중에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휴대폰이 충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충전 장치 내부에 흐르는 전류는 기준 전류 이하가 된다. 이 때, 상기 충전부 인쇄회로기판(503) 내 마이콤 U1(또는 제어부)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 내의 솔레노이드 코일 단자(526)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단자(526)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석이 되어 상기 자석(533)과 척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코아(531)에 부착된 슬라이드(539)는 상기 자석(533)과의 반발력과 함께 캠 스프링(537)에 의해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드와 일체로 구성된 캠(541) 역시 원래 방향인 B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트로크(535)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스트로크(535)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감으로써 상기 접점 1(527)과 상기 접점 2(529)는 분리되고, 이로 인해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만 충전된 휴대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 또는 충전 중인 휴대폰이 분리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휴대폰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 장치의 전기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충전부 인쇄회로기판(503)은 잭 인쇄회로기판(5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류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부 인쇄회로기판(503)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일 예로 마이콤 U1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류부는 정류 브리지(BR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되며, 휴대폰 충전 장치의 콘센트를 통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류부를 통과한 직류 전원은 변압기 T1에 공급된다. 이때, 마이콤 U1은 트랜지스터 Q2의 턴 '온' 주기를 제어하여 변압기 T1의 2차 측 전압을 제어한다. 상기 변압기 T1에 의해 유도된 2차 측 전압은 다이오드 D1과 캐패시터 C2로 구성된 정류 및 평활부를 통해 충전용 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된다.
상기 정류 및 평활부를 통과한 충전용 전압은 단자 +와 단자 -를 통해 잭 인쇄회로기판(511)으로 제공된다. 상기 잭 인쇄회로기판으로 제공된 충전용 전압은 휴대폰(300)의 충전용 단자에 공급된다.
휴대폰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마이콤 U1은 출력 포트 O1을 '하이(high)'로 하여 잭 인쇄회로기판(511)의 LED 1을 점등하여 충전 중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마이콤 U1은 충전 상태와 충전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저항 R1과 저항 R2로 분압된 전원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로 측정한다. 상기 마이콤 U1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트랜지스터 Q2의 턴 '온(on)'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충전 전압을 제어한다.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마이콤 U2는 출력 포트 O1를 '로우(low)'로 출력하고, 출력 포트 O2를 '하이(high)'로 출력하여 트랜지스터 Q1을 턴 '온' 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 Q1이 턴 '온' 되면,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 내의 솔레노이드 단자로 전원이 공급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에서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515) 내의 솔레노이드 단자(526)를 거쳐 + 단자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단자(526)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솔레노이드는 자기장을 발생한다. 상기 발생된 자기장으로 인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자석(533)을 밀어내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541)은 상기 자기장으로 인한 반발력과 캠 스프링(537)에 의해 B 방향으로 복귀한다.
상기 슬라이드와 일체로 구성된 캠(541) 역시 원래 방향인 B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트로크(535)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스트로크(535)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감으로써 상기 접점 1(527)과 상기 접점 2(529)는 분리되고, 이로 인해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캠(541)에 충전 표시부(519)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핸드폰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 표시부(519)는 캠(541)의 위치에 따라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만 충전된 휴대폰을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에서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휴대폰 충전장치에서 대기전력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현 예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다른 충전 장치 등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잭 내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교류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 또는 부착시키는 대기 전력 차단부; 및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 값과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 대기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기전력이 감지되면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충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는,
    상기 잭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휴대폰 또는 충전용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잭이 맞물리면 상기 잭 내부로 들어가는 노브 스위치와;
    상기 노브 스위치에 의해 일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캠 조립체와;
    상기 캠 조립체를 자력에 의해 잡아 당겨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을 포함하는 코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자석과 척력을 발생하여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력 차단부는,
    상기 노브 스위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캠 조립체를 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 및
    상기 회전에 의해 이동된 레버를 원상 복구하기 위한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는,
    상기 레버에 의해 일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과;
    상기 일 측 방향으로 이동한 캠을 원상 복구하기 위한 캠 스프링과;
    상기 캠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부착시키는 스트로크; 및
    상기 캠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코아와 맞물리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류 값과 상기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전류 값이 상기 기준 전류 값 이하이면, 상기 휴대폰 충전 장치 내부에 대기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 장치.
PCT/KR2010/001143 2009-02-24 2010-02-24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WO2010098577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03,139 US20110304301A1 (en) 2009-02-24 2010-02-24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for isolating standby power
EP10746416A EP2403104A2 (en) 2009-02-24 2010-02-24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for isolating standby power
JP2011551978A JP5367096B2 (ja) 2009-02-24 2010-02-24 待機電力を遮断するための携帯電話充電装置
CN201080009773.6A CN102349211B (zh) 2009-02-24 2010-02-24 用于隔离待机电力的移动电话充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96 2009-02-24
KR20090015096 2009-02-24
KR10-2009-0058373 2009-06-29
KR1020090058373A KR20100096976A (ko) 2009-02-24 2009-06-29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KR1020090098815A KR100981973B1 (ko) 2009-02-24 2009-10-16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KR10-2009-0098815 200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8577A2 true WO2010098577A2 (ko) 2010-09-02
WO2010098577A3 WO2010098577A3 (ko) 2010-11-18

Family

ID=4300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1143 WO2010098577A2 (ko) 2009-02-24 2010-02-24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304301A1 (ko)
EP (1) EP2403104A2 (ko)
JP (1) JP5367096B2 (ko)
KR (2) KR20100096976A (ko)
CN (1) CN102349211B (ko)
WO (1) WO201009857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4135A2 (en) 2011-02-21 2012-08-30 Ambrus Sandor Multipurpose auxiliary energy transmission device
GB2496202A (en) * 2011-11-07 2013-05-08 David John Kelly Energy saving mains interface for a battery charger
US20130257359A1 (en) * 2010-12-14 2013-10-03 Makita Corporation Charg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81B1 (ko) * 2010-03-31 2011-03-23 김창호 대기전력 차단 구조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CN104471823B (zh) 2012-03-26 2017-03-29 米尔普罗斯有限公司 用于阻止待机功率的充电器和用于控制该充电器的方法
CN104584364B (zh) * 2012-04-09 2017-10-17 米尔普罗斯有限公司 具有待机功率切断功能的电源装置和用于控制该电源装置的方法
KR101349271B1 (ko) * 2013-03-28 2014-01-10 주식회사 파워엔지니어링 리튬폴리머 배터리용 충전기
CN107196161A (zh) * 2017-06-26 2017-09-22 恪道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便携式数据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735A (en) * 1994-01-18 1996-12-10 Hollingsead International, Inc. Aircraft video monitor deployment and retraction apparatus
DE19734598C1 (de) * 1997-08-09 1999-02-04 Continental Ag Sicherheitsrelevantes System, wie z. B. eine elektrische Bremsanlage oder eine elektrische Lenk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JPH11259187A (ja) * 1998-03-13 1999-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JP3722634B2 (ja) * 1998-12-09 2005-11-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気機器
JP3931037B2 (ja) * 2000-12-27 2007-06-13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充電器
JP2003047162A (ja) * 2001-07-31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器
ES2199647B1 (es) * 2001-09-07 2005-05-01 Ge Power Controls Iberica, S.L. Mecanismo de disparo y rearme para dispositivos electricos y similares.
US6833685B2 (en) * 2002-02-19 2004-12-21 Black & Decker Inc. Battery charger with standby mode
JP2004032480A (ja) * 2002-06-27 2004-01-29 Nakajima Tsushinki Kogyo Kk 携帯電話の充電器具
JP2004282950A (ja) * 2003-03-18 2004-10-0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Acアダプタの待機電力遮断装置
KR100876745B1 (ko) * 2006-12-22 2009-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US8198758B2 (en) * 2009-03-05 2012-06-12 Kim Chang-Ho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7359A1 (en) * 2010-12-14 2013-10-03 Makita Corporation Charger
WO2012114135A2 (en) 2011-02-21 2012-08-30 Ambrus Sandor Multipurpose auxiliary energy transmission device
GB2496202A (en) * 2011-11-07 2013-05-08 David John Kelly Energy saving mains interface for a battery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3104A2 (en) 2012-01-04
US20110304301A1 (en) 2011-12-15
CN102349211A (zh) 2012-02-08
WO2010098577A3 (ko) 2010-11-18
CN102349211B (zh) 2014-05-28
KR20100096989A (ko) 2010-09-02
KR100981973B1 (ko) 2010-09-13
JP2012518986A (ja) 2012-08-16
KR20100096976A (ko) 2010-09-02
JP5367096B2 (ja)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8577A2 (ko)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장치
WO2010101436A2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161399A1 (en) Magnetic connecting device
TWI411190B (zh) 電源適配裝置及供電管理方法
US20080290731A1 (en) Energy Efficient Power Supply
WO2013154333A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801345A (zh) 电源适配器装置
WO2017150884A1 (ko) 무선전력 송수신 가능한 보조배터리
WO2014061933A1 (ko) 부하에 직류전원을 끊김 없이 공급하는 무정전 직류전원장치
CN108833858A (zh) 视频门铃系统
CN201142473Y (zh) 一种自动开关式usb电源
CN101667747A (zh) 一种从高压电源提取工作电源的转换模块
TWI361525B (en) Ac adapt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M427728U (en) Charging device
WO2018074861A1 (ko) 자기유도 전원 공급 장치
WO2011126211A2 (ko) 식별과 탈거 및 전원통제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WO2011078473A2 (ko)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WO2011090354A2 (ko) 전기 콘센트
CN212277474U (zh) 一种智能插座控制系统
CN101820171A (zh) 电源供应方法及电源转换装置
CN215186487U (zh) 一种供电箱
WO2014034999A1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1777843B (zh) 交流适配器及其控制方法
CN204732974U (zh) 一种多标准无线充电器
CN209571952U (zh) 一种模块组合式多通道电源路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09773.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464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51978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f document number: 13203139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6654/CHENP/2011

Country of ref document: I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4641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