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82800A2 - 휴대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82800A2
WO2010082800A2 PCT/KR2010/000312 KR2010000312W WO2010082800A2 WO 2010082800 A2 WO2010082800 A2 WO 2010082800A2 KR 2010000312 W KR2010000312 W KR 2010000312W WO 2010082800 A2 WO2010082800 A2 WO 201008280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put device
screen
panel
disp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03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82800A3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Kim Si Hwa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Si Hwan filed Critical Kim Si Hwan
Priority to CN201080004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82535A/zh
Priority to EP20177432.0A priority patent/EP3734441A1/en
Priority to EP10731415.5A priority patent/EP2388687A4/en
Priority to US13/144,946 priority patent/US20110285607A1/en
Priority to KR1020147035127A priority patent/KR20150013790A/ko
Publication of WO201008280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2800A2/ko
Publication of WO201008280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82800A3/ko
Priority to US13/868,899 priority patent/US20130257685A1/en
Priority to US14/072,085 priority patent/US20140071101A1/en
Priority to US16/698,420 priority patent/US202000983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two displays as one scree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minimizing a seam that occurs between two displays, and at the same time, a text or a text image is provided at a boundary of the seam. It is about providing an algorithm that handles the problem when it is located.
  • the two displays are interconnected to have the same effect as using one screen.
  • various flat panel displays such as LCD, OLED, FED, PDP, and electric paper may be used.
  • a separate panel housing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is provided, and when the display is mounted on each of the panel housings, the display is adjacent to each other.
  • the screen non-display area is generated as much as two separate displays are used.
  • the screen non-display area is generated due to the boundary lin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plate or the protective member, the thickness of the panel housing,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seam portions between the display panels.
  •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displa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panel housing is folded and formed to form on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ads the text or the text image by the boundary when the text or the text image exists at the seam, that is, the boundary. Problems arise that are disturbed,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structural design and algorithms to solve these problems.
  • each of the panel housings is equipped with a display.
  • the display When the panel housing is unfolded, the display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viewed as a single screen.
  • a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divide one entire screen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ve a structu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first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output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 a second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is provided, and since the input devi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wo input devices are used as one input device.
  • the panel housing is provided with a gravity sensor, and by the output of the gravity senso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lects one of the screen to be displayed up and down or to the left and right to separate.
  • the spacing between the displays is at least 0.01 mm and at most less than 5 mm
  • the input device is at least 0.01 mm and at most less than 4 mm.
  • the optical means is at least 0.01 mm or more and less than 3 mm.
  • the screen moves so that the display borders are positioned between the line spacings.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anel housing is unfolded in the folded state, the two displa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screen, bu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displays, which is a problem caused by using the two screens, Will be created. At this time, if the text or text image is located at the boundary part, and a problem occurs in the visibility of the text, the screen position is automatically moved to prevent the text from being located at the boundary part. Even if it comes, the worker will work without interruption.
  • FIG. 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foldabl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anel housing unfolded state.
  •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anel housing unfolded state.
  • Fig. 10 is a drive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display drive.
  •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case of the driving method.
  • 20 to 24 illustrate an algorithm for preventing the text from being positioned at the display boundary.
  • 25 is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re separated by the same distance.
  • FIG. 2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istance between input devices is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displays.
  • 27-29 are views of an embodiment with optical means.
  • FIGS 30 and 31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placement of the display and components.
  • 32 and 33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a display.
  • 34 to 36 are detailed views of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 37 and 38 are views in which a display equipped with an input device is mounted in a panel housing.
  • 3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nel housing equipped with a display.
  • 4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re separately mounted to the panel housing.
  • 41 to 44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re separately mounted in the panel housing.
  • 4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ual arrangement of a display and an input device.
  • 4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de structure of a display panel.
  • 47 to 49 show the shape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 50-53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to a panel housing.
  • 54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a cover.
  • 55 and 56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 57 to 59 show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 60 to 65 are views showing patterns and lead wires of the functional plate.
  • 66 and 68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both the input device and the optical means are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 69 and 70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optical means are provided on top.
  • 71 to 76 are views showing a sliding structure as an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 77 to 82 are diagrams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83 to 87 illustrate examples of application to a combined display device.
  • 88 to 90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wired and wireless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ortable display device having an effect of viewing at least one flat screen by interconnecting at least two flat panel displays.
  • a text or a text image is positioned at a boundary, the screen is moved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In other words, it provides an algorithm that ensures that no text or text image is placed at the boundary.
  • the text means a letter, and specifically, a letter line.
  • the text image is not a text file, but an image file representing a shape.
  • flat panel display pane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flat panel display types such as LCD, FED, PDP, and electric paper can be used.
  • FIG. 1 and 2 are views illustrating a foldabl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ldabl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displays 2 and 4 and two panel housings 20 and 40 on which the displays are mounted.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provided with circuits or components for driving or mounting a display.
  • the two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ans 6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 a hinge is used as the connecting means 6.
  • a means of allowing folding and unfolding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a case of using a hinge.
  • the two panel housing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pointed and unfolded even if they are not in the form of hinges or shafts.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oldabl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 the cover unit 18 is provided at the side of the panel housing 20 and 40.
  • the cover means protect the side of the display when the display 2 (4) is folded.
  • 3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anel housing unfolded state.
  • FIG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display (2) (4)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panel housing (20, 40).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un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isplays 2 and 4 are adjacent to each other.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portions in which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isplays 2 and 4 are adjacent to each other.
  • various circuits and devices 25 and 45 are provided inside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nd support members 26 and 46 are also provided to support the displays 2 and 4.
  • the cover 24 is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display 2 and 4.
  • the cover means 18 is omitted for convenience.
  • the extension line of the center of rotation A meets the surface of the cover 24.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center of rotation is the height of the cover.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may be viewed as about 0.01 mm.
  • FIG. 4 is a view of an embodiment with a protective means on top of the display.
  • a step 24a is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cover 24 and the panel housing 20 and 40, and the protection means 14 are mounted on the step 24a, so that the sides of the display 2 and 4 are separated.
  • Protective means 14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2, 4.
  • An optical means 27 may be provided below the protective means 14.
  • the optical means is a means used to optically reduce the seam, which is the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2, 4.
  • the protective means 14 is formed thinner than 1 mm or 0.5 mm.
  • FIG. 5 is a view of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connection seam on the side of the panel housing.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Whe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unfolded, the displays 2 and 4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joints 20a and 40a are provided therebetween. That is, the side surface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that are in close contact are cut to form the openings 8b or the connection joints 20a and 40a so that the displays 2 and 4 are adjacent to each other.
  • connection joints 20a and 40a may be thinn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or may be 0.5 mm or less in thickness.
  • 6 to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anel housing unfolded state.
  • FIG.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optical means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unfolded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ptical means 27 is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 the optical means 27 is placed on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joint 8b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To be equipped.
  • the display 20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joint 8b of the panel housing 20 and 40.
  • the side wall of the joint part 8b of the panel housing 20 and 40 can also be about 2.5 m for reliability. Therefore,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in this case is 5 mm.
  •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seam is 1 mm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2 and the side wall may be about 1.5 mm, and in this case,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2 and 4 is 5 mm.
  • FIG. 7 is a view of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connection seam on the upper side of the panel housing.
  • connection joints 20a and 40a may be thinn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or may have a thickness of 0.3 mm or 0.5 mm or less.
  • the optical means 27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minimum distance may be 0 mm. Degree minimum spacing may be present.
  • the thickness of the panel housing 20, 40 in Figure 6 is usually 1mm, but may be up to 2.5 mm,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joints 20a and 40a existing between the optical means 27 It may be about 0.5mm, but it can be up to 1.5mm. Therefore, when the panel housing is unfolded, the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means may be about 1 mm but may be up to about 3 mm.
  •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are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2 and 4.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are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2 and 4, and a protective member 14a in the form of a protective film or a protective plate is separately provided to closely contact the sides of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It is supposed to be.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is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is at most 2 mm or less than 3 mm.
  • the input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gap between the display, so that the gap between the input device 200, 400 is formed smaller than 2mm or smaller than 3mm.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is 5 mm
  •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may be about 4 mm.
  • the original drawing is a detailed view of the boundary, which is a seam that occurs between displays.
  • a non-display area in which the screens of the displays 2 and 4 are not displayed is present in the joint part 8, which is a boundary part.
  • the non-display area is a side wall of the panel housing 20 and 40.
  • the protective films 14, 160, 16, and sealing agents 2f and 4f are denoted by B, and the entire screen non-display area is doubled as B.
  • the reason for moving the screen is the non-screen display area. If the character line is divided by the non-screen display area, there is a problem in the visibility of the character (text or text imag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is moved so that the screen non-display area is located between line spacings.
  • the protective film 14 may be a protective means 14 for protecting the side of the optical means, or may mean an aspect of a mechanism or a chassis blocking the side of the seam of the display 2, 4. Usually, it is 0.5 mm or less and becomes 1 mm as a whole.
  • the part included in the non-screen display area extends to the pixel and the display boundary and the size thereof is as follows.
  • the sealing agent is normally formed in 0.8 mm or less, you may form in 0.3 mm or less or 0,5 mm or less.
  • the pixels 2n and 4n of the display are locat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eam 8.
  • the distance between the sealing agent 2f and the pixels 2n1 and 4n1 locat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ealing agent is 0.1 to 0.2 mm or less.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borders of the pixels 2n1 and 4n1 is 1.0 mm or less. Therefore, the case where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2 mm.
  • the maximum screen non-display area is 8mm.
  • the non-display area can be within 6mm or 5mm.
  • Fig. 10 is a drive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display drive.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i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M 121 controls an execution program of the display device
  • the RAM 122 stores data generated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 the EPI ROM 123 stores data needed by the user and data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program. Keep it.
  • the R / F unit 124 is a radio frequency, tunes to an RF channel, amplifies an input voice signal, and converts an RF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 the input unit 110 includes various input devices, numeric keys, menu keys, and selection keys.
  • the gravity sensor 235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two displays 2 and 4 are position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determines whether the two displays 2 and 4 are position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by the input signal of the gravity sensor 235. The determination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drives the gravity sensor and determines the output of the gravity sensor by a predetermined program method.
  • the gravity sensor makes a judgment about a 90-degree rotational movement, and when an outpu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s obtained,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90 degre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output. do.
  • the commonly used gravity sensor connects the weight with the variable resistor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can be known by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rotation.
  • a gravity sensor consisting of a rotating plate and a weight, to obtain a measuring unit signa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ignal code (or non-contact det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eight.
  • a gravity sensor is a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same technology. Therefore, other conventional gravity sensors may be used.
  • the gravity sensor 235 In the cas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since the screen is changed to a rectangle or a square and normally moves about 90 degrees,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gravity sensor 235 to detect a 90 degree ro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t to determine when the display (2) (4) is positioned up and down in the normal state when the display (2) (4) is positioned as an abnormal state.
  • the screen can be moved manually by switching the input device or the menu button. That is, if the screen is set to the manual conversion mode, the screen does not move even when the output of the gravity sensor.
  • the CPU also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50-1 and 250-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 drivers 1401-1 and 140-2. That is, since two input devices 250-1 and 250-2 are present, two input device drivers 140-1 and 140-2 are also present to control corresponding input devices.
  • the input devices 250-1 and 250-2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10 are the same as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shown in other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 two displays 2 and 4 are provided, and two input devices 250-1 and 250-2 are also provided, and an input devic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wo display (2) (4), and also control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two input devices (250-1) (250-2).
  • control unit 110 the memory 120, the time controller 125, the display driver 130, and the input device driver 140 are loca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r the main body controller 105. Is provided.
  • each component that functions as the controller 110, the memory 120, the time controller 125, the display driver 130, and the input device driver 140 is all provided in the main body controller 105 to provide a single component. It can be prepared as.
  • the display driver 130 divides the screen and sends data to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respectively.
  • the input device driver 140 also corrects and adjusts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input device 250-1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50-2, respectively.
  • the source (2b) (4b) section for providing a data signal and the gate section (2c) (4c) for providing a line selection signal Will be present.
  • the driver 130 includes a column data processor 131 and a row data processor 132.
  • a method of dividing a display screen into two may be divided into source data and a gate signal.
  • the column data processing unit 131 for supplying source data supplies the same data signal to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and the raw data processing unit (Gate signal).
  • the signal is divided and supplied to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 the selection signal (Gate, Row) lines can be said to be 240. .
  •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have 320 data lines and 120 select signal lines, respectively. That is, the data line is not divided on the phone screen, but the selection signal line is divided.
  • the degree of division is usually 1: 1 (the value of each line is 120 lines if the entire screen is 240 lines), but the ratio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erminal design. For example, various ratios can be adjusted to the 140 lines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100 lines of the second display.
  • the selection signal line since only the selection signals of the same waveform are repetitive and sequentially transmitted, only the lines are divided and the same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control of the time controller 125.
  • the raw data processing unit (Gate signal) 132 supplies the same data signal to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and supplies the source data (data signal on the screen).
  • the supplied column data processing unit 131 divides and sends a signal to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respectively.
  • the number of gate lines in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is 240, and the first display 2 and the first display 2 are the same.
  • the number of source lines of the two display 4 becomes 160, respectively.
  • the data source line is 320 lines in the entire screen before dividing
  • a signal is sent to the first display 2 from the first line to the 160th line, and the first to the 320th line from the 161st line to the 320th line. 2 will send a signal to the display 4.
  • the full screen data information before division stored in the memory 120 is divided by the controller 110 and the time controller 125.
  • the data line of the first display 2 and the data line of the second display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vided into 1: 1. Naturally, it can be divided into various ratios such as 2: 3, 10: 6, 6: 4, etc. That is, according to the terminal design, the capacities of the first display 2 and the second display 4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1: 1.
  • the calibration function performing unit 141 performs a calibration function on the input device 250 when the system is first operated.
  • the pane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coordinate value for the input device 25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alibration function performed by the calibration function performing unit 141.
  • the input device 250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2 and 4 (the number of lines of the source and the gate), and the selected signal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stores and manages the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anel signal.
  • the average value detection frequency adjusting unit 143 adjusts the average value detection frequency for the panel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device 250 based on the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2 or 4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110.
  • the average number of times of detection is adjusted to be larger than a previously set value.
  • the average number of times of detection is adjusted to be smaller than a previously set value.
  • the average value detector 142 detects the average value of the pane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device 250 based on the average value detection frequency adjusted by the average value detection frequency adjustment unit 143. The detected averag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adjusted panel signal generator 144.
  • the adjusted panel signal generator 144 uses the averag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screen changed by the changed screen resolution or the virtual scroll of the display apparatus 2 or 4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10 and the currently input panel signal. To generate an adjusted panel signal.
  • the first input device 250-1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50-2 are provided. Therefore, the input device driver 140 controls the signal of the first input device 250-1. Signal control of the second input device 250-2 is performed.
  • the first input device 250-1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50-2 alternately control the input device driver 140 by the control of the time controller 125 and the controller 110. )).
  • Alternately connecting means processing the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input device 250-1 and then processing the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input device, and alternately dividing the time into each input device 250-. 1) It processes the signal of 250-2.
  • this time division is divided into very small time, such as one tenth of a second to one thousandth of a second or one millionth of a second, so that when a user inputs information by a human hand, it can cope with enough.
  • the present invention has shown an embodiment in which two or more input devices can be driven using one drive unit, it is natural that the input device driver can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input devices.
  • the input device driver may be a separate par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t can be obvious that the input device driving unit can be manufactured as one component integrally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control unit 105 is also operated to drive each device (step 400).
  • the controller 110 in the main body controller 105 divides the screen display data or the received screen display data stored in the memory 120. In this case, the func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5 and the display driver 130. The controller 125 performs this operation (see the description of FIGS. 12 and 13).
  • the main body controller 105 divides the screen and transmits screen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respectively (step 302).
  • the input device driver 140 drives the first input device 250-1 by the switching device 145 provided in FIG. 14. That is, it control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input device (step 404) and control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2 (step 406).
  •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display information follows the method of FIG. 14.
  • the switching device 145 controls the input device driver to output an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input device (step 408), and controls the signal of the secon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screen display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Step) This step also follows the method of FIG.
  • the main body controller continuously divides the screen and drives each input device, but if there is a stop command, the series of performing functions ends (steps 412 and 414).
  • the input device driver control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ontrol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con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 the two input devices are controlled as one input device.
  •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divide one entire screen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ve a structu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rrespond to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 a second input device corresponding to output information of the first input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is provided, and the input devi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input devices are used as one input device.
  •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case of the driving method.
  •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part is divided as illustrated in FIG. 12. That is, the first display 2 may have a gate electrode from the first line to the nth line, and the second display may have a gate electrode from the n + 1 line to 2n line.
  • the driving signal (first display driving signal) from the first line to the nth line and the driving signal (the second display driving signal) from the n + 1th line to the second nth line are separated and sent.
  • the gravity sensor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2 and 4 are positioned up and down, it is determined by the gravity sensor to be in a normal state (if it is in the drawing), and if the display is positioned to the left and right, it is judged to be an abnormal state (if it is in the drawing) by the gravity sensor. do.
  •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dividing a source electrode part as shown in FIG. 13. That is, the first display 2 may have a source electrode from the first line to the nth line, and the second display may have a source electrode from the n + 1 line to 2n line.
  • the data signal (first display data signal) from the first line to the nth line and the data signal (second display data signal) from the n + 1th line to the second nn line are separately sent.
  •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text or the text image is located at the boundary portion.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a text line is located at the seam boundary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 FIG. 18 (B) of FIG. 18 illustrates a result of moving the screen upward or downward, so that the display boundary is positioned between the line spacing of letters.
  • C of FIG. 19 illustrates the shape of the screen in the non-normal state.
  • C of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ext or a text image is positioned at a boundary portion.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a text line is located at the seam boundary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 the screen may move in the first display direction or in the second display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dications fo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irections are indicated by arrows in FIGS. 18 and 19.
  • 20 to 24 illustrate an algorithm for preventing the text from being positioned at the display boundary.
  • the algorithm is started by driving the gravity sensor (step 30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determines whether it is a normal state or an abnormal state when the gravity sensor is output (step 320). Steps)
  • the concepts of the steady state and the abnormal state are se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 to the descriptions of FIGS. 16 and 17.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divides the screen up and down in the normal state (360 steps), and divides the screen left and right in the abnormal state (step 380).
  • step 4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text or a text image at the screen division boundary. If so, the screen is moved up or down to the next line interval (step 420).
  • the abnormal scre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text or a text image at the screen division boundary (step 440). If there is, the screen is moved left or right until the next line interval (step 460).
  • the algorithm can be re-run agai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gravity sensor, likewise re-executing the algorithm after shifting the screen to the next line interval. will be.
  • screen movement can be performed manually by switching the input device or menu button.
  • the screen shift is set to the manual conversion mode, the screen does not automatically move even if the text or text image is positioned at the boundary.
  • 21 shows an algorithm of screen selec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gravity sensor.
  • the algorithm is circul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gravity sensor is output (step 480),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is changed by the gravity sensor (step 485), the screen is rotated and displayed (step 485). However, if the display position does not change,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step 490).
  • the rotation is automatically sensed by the gravity sensor by 90 degrees.
  • the CPU 200 displays the screen by rotating the screen 90 degrees.
  •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re combined to rotate the entire screen while one screen is displayed.
  •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40.
  • FIG. 22 illustrates an algorithm for moving a screen within the algorithm of FIG. 20.
  • the first display is from the first line to the nth line
  • the second display is from the n + 1 line to the 2n line.
  • the first display is the line where the nth line is the boundary
  • the second display is the line where the n + 1 line is closest to the boundary.
  • FIG. 22 is an algorithm for confirming that text (or text image) exists around the boundary of the first display 2.
  • the text refers to the character data in the actual text file
  • the text image is the image data indicating the shape of the character.
  • the actual text data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but the image screen representing the text shape can be run.
  • step 40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text or a text image on the nk line.
  • step 40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text or a text image on the nj line.
  • step 405 it is determined whether j is less than 3 (step 405). If it is small, the j value is changed (step 406). If not, it is displayed without moving the screen.
  • step 4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j is greater than 3 (step 407). If the value of j is smaller than 3, the value of j changes to 0, 1, 2, and so on. The value is also set to 3, 2, and 1, respectively (step 408). However, if j is greater than 3, the screen does not move and remains.
  • the text (or text image) is checked while decreasing the first line at the boundary. Then, the text (or text image) is checked up to the third line, and if there is no text (or text image) up to this point, the screen is maintained without moving.
  • the first would be if there is no text image around the border—an image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or the second would be if the border is located between line spacings. In this case, of course,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screen, and this is determined by an algorithm.
  • step 402 the value of k is converted (step 41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text or a text image on the nk line (step 411). If no, it converts k to a value (step 412).
  • step 4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 value. If yes, the screen is displayed as it is (step 415). If no, the S1 value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ase (step 414). That is, the value of S1 is set to a + 2.
  • the screen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by S1.
  • the moving direction is the second display direction.
  • Direction indications fo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irections are shown in FIGS. 18 and 19, respectively.
  • the value of D means a predetermined fixed numerical value. For example, if D is 20, the seam of the boundary is large enough to be unaffected, so the seam of the boundary may not interfere with the recognition of the character, and in this case, the screen is displayed without moving. This is because the text is large enough to place text up to 20 lines from the boundary.
  • the screen shift value is set to a + 2 so that the text image after the screen shift is at least two lines away from the boundary. This is to prevent the text image from being immediately adjacent to the boundary after the screen movement.
  • the movement value can be a + 3 or a + 4. That is, if the screen pixel is a small fine screen, it is natural that the screen shift value can be changed.
  • the principle is the same as for the first display, only performing the algorithm starting from the n + 1 line and adding by the first line.
  • the screen is moved in the first display direction by the S2 value.
  • the algorithm is the same when the two displays are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boundaries or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And when the two screens are divided, the algorithm is also the same even if the gate portion or the source portion is divided.
  • step 442 It is determined whether both the S1 value and the S2 value are obtained through the algorithms of FIGS. 22 and 23 (step 442). If both values are obtained, the same or less value is selected from the S1 value and the S1 value (step 444). If S1 is selected, S1 is moved toward the second display 4, and if S2 is selected, S2 is moved toward the first display 2 (step 446).
  • step 444 either of S1 and S2 can be selected to 4, so the screen can be moved by 4 lines as a result.
  • step 448 it is determined whether only one value of the S1 value and the S2 value is obtained. If only one value is obtained, the single value is selected. In other words, if only the S1 value is obtained, it is moved by S1 in the second display direction, and if only the S2 value is obtained, it is moved by S2 in the first display direction (step 450).
  • step 448 If No in step 448, the S1 and S2 values are not obtained. In this case, the screen is not moved. That is, the screen does not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 the algorith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4 may also be applied to the strip-shaped image. That is, in the case of a repetitive stripe, the image may be recognized and the screen may be moved to reflect the algorithm. And stripe recognition follows a conventional image recognition method. That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size of each data information in each line of pixels may be used, or a program for visually analyzing an image may be used.
  • 25 is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re separated by the same distance.
  • the protective film should be as thin as possible and rigid, so that a metal film or a resin film can be used or a metal or inorganic film coated on the resin film. have.
  • the thickness is preferably about 0.005mm or more to 0.5mm or less. In this case, the sealing effect may be more important than protection from physical shocks.
  • the spacing between the two displays 2, 4 is at least 0.01 mm and the maximum is 1 mm.
  • the spacing between the two input devices 200, 400 is at least 0.01 mm and the maximum is 1 mm.
  • the protective means is formed in a thin form by the display cover (2) by the side cover 18 of FIG. 4)
  • the side or the input device 200, 400 side will be more reliably protected from physical shock.
  •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means (part indicated by V) is 1 mm or less to form a plate to form a form that can protect the sides of the display 20, 40 and the input device 200, 400 from physical shocks. have.
  •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ys 2, 4 is at least 0.1 mm, and the maximum is 2 mm.
  •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put devices 200 and 400 is at least 0.1 mm and the maximum is 2 mm.
  • the part marked with V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nel housing without using a separate protective means. Then, the side wall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protect the sides of the display 20 and 40 and the sides of the input device 200 and 400.
  • the portion marked V is thinner than the panel housing sidewalls 20 and 40, in order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as close as possible. In other words, if it is thinner than the panel housing side wall, it may be within 0.5 mm, but may be within 1 mm.
  • the portion marked V may be equal to or slight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However, too thick will be deteriorated in commerciality.
  • the panel housing sidewalls not exceed a maximum of 1.5 mm,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marked V is also 1.5 mm maximum, but even if the portion marked V ′′ become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nel housing 20, 40 It is good not to exceed.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can range from a minimum of 0.1 mm to a maximum of 4 mm.
  •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indicated by V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2 mm, that is, the display 2 or 4 or the input device 200 or 400. There may be some distance between the side and V (panel housing sidewalls or protective mea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two displays (2) (4).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should be at least 0.1 mm and not exceed 4 mm. If the display side or the input device and the V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pace may be intact, but a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provided.
  • the distance between the joints 8 and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is also at least 0.1 mm to at most 4 mm.
  • FIG. 2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istance between input devices is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displays.
  • both "V1" and “V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wall of the seam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 V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wall of the seam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nd "V1" may be used as a separate protective film or protective means.
  • the protective film or the protective means the embodiment of the protective means or the film described in FIG. 25 is followed.
  • both “V1" and “V2” can be made a protective means that is distinct from panel housing.
  • the protection means protects the display 2 and 4 side and the input device 200 and 400 side.
  • the thickness of "V1" follows the embodiment of FIG. 25 as it is. It is made thinner than just the thickness of "V2".
  • the thickness of "V1" when in the form of a film may be less than 0.5mm, when in the form of a plate is preferably not more than 1.5mm.
  •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is within 3 mm.
  • "V1"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1.5mm.
  •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can be 3 mm.
  •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V1”.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m may be a space as it is, may be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 the display has a greater distance between the input devices than the distance therebetween, but V2 "also follows the embodiment of” V1 ".
  • the thicknesses may be the same, but the thicknes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sign situation.
  • 27-29 are views of an embodiment with optical means.
  • FIG. 2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s 2 and 4 are closely attached to the sidewall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nd the optical means at the upper end of the panel housing sidewalls 8b are mounted.
  • the panel housing sidewalls 20 and 40 of the portion where the display is in close contact are formed thinner than the other portions.
  • the sidewall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in the portion where the display 2 and 4 are in close contact do not have to be thinner.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thus follows the previous embodiment.
  • An optical means 2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2 and 4.
  • the optical means is an optical means for changing the refraction of light, such as a lens, a micro lens, a micro prism, or the like. 8) Means all means that change the direction.
  • the optical means serves to reduce the non-display area present between displays. Therefore, the optical means ar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protective film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tical means (27).
  • V3 and V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walls of the panel housing 20 and 40. It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protective member separate from the panel housing 20, 40,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or opaque plastic resin or an alloy metal.
  • V3 and V4 ′′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may be formed in the same thickness, or may be thicker depending on circumstances.
  • V3 and V4 are transparent, you can coat the color on the outside or attach a colored film on the outside, because it also needs to be the same color as the side of the panel housing.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is suitable within 4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means 27 is suitable within 2mm.
  • FIG. 29 is a view of an embodiment with a display 2, 4 and an optical means 27 protective film 14.
  • the protective film is provided to be as close as possible. Naturally, the protective film is within 0.5 mm.
  • FIGS 30 and 31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placement of the display and components.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serve as cases i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 One panel housing 20 of the panel housings includes a display 2 and an input device 200 directly on the bottom portion.
  • the panel housing 40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control unit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battery.
  • a part such as a body substrate such as a battery or a main body control unit is provided under the display 4 of the other panel housing 40.
  • FIG. 3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val S between a bottom portion of the panel housing 20 and a display, in which the display device thickness is thin.
  • the interval may be zero, but a space may be formed. Of course, it can not be too thick, so the spacing (S) is good to within 2.5mm.
  • 32 and 33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a display.
  • the input device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ssis 16 on which display-related components are mounted.
  • the input device 200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chassis 16 to attach the input device.
  • the attachment portion 16c may use a double-sided adhesive, and an adhesive such as an adhesive bond may be used.
  • FIG. 32 is a diagram which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33 shows a state where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display 2 or 4.
  • the chassi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may be in the form of an appliance made of plastic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mix metal and plastic appliance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ssis collectively refers to the structure on which the display component is mounted.
  • 34 to 36 are detailed views of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 FIG. 3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dicated by a circle in FIG. 32.
  • the two screens are connected to minimize the seam, so the display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the seam.
  • the distance J between the adjacent pixel 2n and the partition wall 2f is within 1 mm, and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J value is zero.
  • the thickness K of the partition 2f is also within 1 mm and at least 0.01 mm. Therefore, the distance from the pixel 2n closest to the seam to the edge boundary 2g of the display 2 and 4 is within 2 mm.
  • the partition wall 2f means a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isplay. That is, a sealant may be used, and when the display substrate is made of glass, it may be a metal material when the glass material or the substrate is made of metal. That is, the part which borders the exterior and the inside in the side part of the panel (part which functions a screen is displayed) is called collectively.
  • the displays 2 and 4 are usually mounted on the chassis 16, which is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or alloy.
  • a display module (Module) is configured by attaching a display and a display driver or a backlight component (when the display is an LCD) to the chassis.
  • the chassi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may be in the form of an appliance made of plastic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mix metal and plastic appliance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ssis collectively refers to the structure on which the display component is mounted.
  •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16 in the joint part 8 shall be 0.0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most efficient chassis 16 does not exceed 0.5 mm. Therefore, the distance from the seam 8 to the boundary between the nearest pixel 2n and the chassis 16 is within a maximum of 2.5 mm.
  • the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boundary line 2g and the partition wall 2f does not need to be completely coincident with the seam 8, and it is obvious that the partition wall 2f may be provided within a range of 0.5 mm from the boundary line 2g. Do.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the closest pixel 2n to the boundary of the chassis 16 in the seam 8 is at most 3.0 mm.
  • the non-display area of the seam is the sum of the J value, the K value, and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and the value is 3.0 mm at maximum, and the value is maximum when the two displays are interconnected. It will be 6mm.
  • the chassis 16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cas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joints 2 and 4.
  • the chassis 16 may be a simple protective film.
  • the embodiment of FIG. 34 may be applied to all display devices having the form of a flat panel display.
  • FIG. 3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the original eye in FIG. 32.
  • An input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display (2) (4)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input devices also one input device 200 when all th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top of each display (2) (4) You need to change the design to make it look like you use.
  • the input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display to serve to input or select information.
  • a lead wire reading a resistance valu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nput device.
  • the position of the bus (electrode line) 250n in the joint portion must be changed.
  • the partition 250f may also exist.
  • 3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resistive film method,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substrates (transparent plastics) coat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are bonded to each other.
  • the spacing M between the bus 250n and the partition wall in the joint 8 is less than 1 mm, and the thickness L of the partition 250 f is also within 0.01 mm to 1 mm. Naturally, the distance M may be 0 mm, of course.
  • the partition wall is used to allow the conductor film 220 to be bonded to each other or another plate in the input device.
  •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line 250n and the boundary 250g of the input device 200 is less than 2 mm.
  •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of the active area 250a to the boundary 250g of the input device 200 is within 2 mm.
  • the active area refers to an area in which a conductor is coated and information can be input.
  • the boundary 250g of the seam 8 and the boundary of the partition 250f do not need to coincide completely, and it is natural that the partition 250f may be provided within a range of 0.5 mm from the boundary 250g. .
  • the maximum value between the electrode line 250n and the boundary line 250g is 2.5 mm.
  • the partition wall 250f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exist depending on the input device method such as the capacitance method. Even in this manner, the distance between the boundary line 250g and the electrode line 250n is within 2 mm. Similarly, the distance from the active area boundary to the boundary line 250g is also within 2 mm.
  • the input devic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apacitive type and the resistive film type, and is formed of a flat plate made of plastic or glass, and means all conventional methods of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a plane.
  • 3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in which the pixel electrode is located closer to the joint.
  • LCD can be used as the display
  • OLED or electronic paper can be used
  • whatever flat panel display is use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boundary 2g and the nearest neighboring pixel 2n is very important in the seam 8.
  • the design value desig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flat panel displays as it is.
  • an OLED method is used, and a cross section of the structure is illustrated.
  • the display 2, 4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53, an electrode 54, a coating electrode 58, an organic multilayer film 53, and the like on a substrate 51, and a moisture absorbing layer with a separator 57 interposed therebetween. 56 may also be further provided.
  • the substrate 51 is covered with the cover substrate 52.
  • the partition 2f may be a sealant formed of an adhesive or the like, but it is obvious that the substrate may serve as the partition 2f.
  • th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remaining in the etching process serves as the partition wall 2f. It is natural to be able to.
  • the chassis covers only the side, but when the top is covered, only the portion P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should be covered.
  • FIG. 36 is not applied only to the OLED method, and all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may be applied.
  • 37 and 38 are views in which a display equipped with an input device is mounted in a panel housing.
  • the input device 200 is provided, and the seam 8 of the display 2 and 4 is mounted on the top of one side wall 20a of the panel housing.
  • a "" shaped cover 24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panel housing 20 to cover the edge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2 or 4.
  • the entrance and exit button 110 or the speaker 101 may be mounted on the cover.
  • Fig. 38 shows the case where the female cover is shown but the joint portion is formed thinner. In other words, the width of the cover 24 is thinner at the joint portion as shown in the drawing.
  • the lid 24 covers the screen non-display area, and since the seam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screen non-display area, the seam portion of the cover is also formed smaller in width.
  • 3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nel housing equipped with a display.
  • the screen display area There is a screen display area on the display, and if the screen display area is called an active area, the active area is closer to the seam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non-screen display area becomes smaller in the seam portion.
  • 4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re separately mounted to the panel housing.
  • the display 2 and the input device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ounted on the panel housing 20, and the cover 24 shown in FIGS. 37 to 39 is not provided.
  • the input device 200 also serves as an external protective plate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2 in the portable display device.
  • a ““ shaped mask printing 16d or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input apparatus 200.
  • the mask printing 16d blocks the non-display area of the edges of the display 2 and 4.
  • the blocking effect is more visual.
  • mask printing on the input device 200 means mask printing on a protective film, a protective plate, or a window plate on the top of the input device.
  • the mask printing 16d may be shaped like the other mask printing 16d in the original embodiment. However, at the seam, it becomes thinner.
  • the active area present in the display is located closer to the joint part, and the width of the mask printing 16d is smaller because the non-screen display area is smaller at the joint part.
  • the input devic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apacitive type and the resistive film type, and is composed of a flat plate made of plastic or glass, and electrodes are formed on a plane, or a general input of information through a plane. It means all the way.
  • 41 to 44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re separately mounted in the panel housing.
  • the display housings 2 and 4 are mounted o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nd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are mounted on the upper ends thereof.
  •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are assembled with the female cover 24 and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20 and 40.
  • the magnetic cover 24 and the lower panel housing 20 and 40 are not only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screws or the like, which are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y are conventional design coupling structures.
  • the step 24 is formed to some extent between the cover 24 and the input device (200, 400) and the level of the step is within 2mm.
  • the cutting unit 6a is provided in the panel housings 200 and 400 so that the connecting unit 6 is positioned at the cutting unit 6a.
  • FIG. 42 shows the shape in which the input device is mounted on the cover, and of course, the width of the cover is smaller in the joint part, which is the same as the ca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 the cover is also mounted like a chair.
  • the cover side wall 24a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ver 24 as shown in the figure.
  • it is a flame-shaped cover that serves as a cover and a panel housing sidewall. Therefore, in the joint portion 8, it is natural that the cover side wall 24a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display 2 and 4 or the side of the input device 200 and 400.
  • FIG. 4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43), with the cover sidewall 24a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ver 24 as shown in the figure.
  • a cover sidewall 24a having a display side, an input device side, or an optical means side in close contac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joint portion of the cover 24.
  • cover 24 may not be provided at the joint 8. That is, the cover 24 may be provided only at the other place except the joint part.
  • an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panel housing sidewall described in the entire par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cover sidewall 24a as it is. That is, the cover side wall 24a may be cu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2, 4 or the input device 200, 400 is close, and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cov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2, 4 or the input device. (200) (400) Will be replaced with a protective means or protective film to protect the side.
  • both sides of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and the sides of the display 2 and 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sidewall 24a.
  • the sidewall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nd the side wall 24a of the input device 200 and 40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2 and 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ratio. That is, the cover sidewall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nly part of the input device side, and the cover sid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only part of the input device side and the defplay side.
  • the cover sidewall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 cover sidewall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it is, and the cover sidewalls are cu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e cover sidewalls are replaced by a bohu film or a protective means.
  • the frame is a cover is conceived as a structure for giving a rigid to the panel housing, of course, in addition to plastic resins, metals such as alloys or materials such as liquid metal (Liquid Metal) can also be used.
  • 4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ual arrangement of a display and an input device.
  • Conventional displays and input devices are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the terminal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design of the connector.
  • the display 2, 4 and the input device 200 is provided to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eam 8.
  •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2c, 4c, 250c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input device with the connectors 2d and 250d is provided, wherein the FPCs 2c, 4c and 250c are provided.
  • FPCs 2c, 4c and 250c are provided.
  • the connector 250d of the in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junction portions 2e and 4e of the display 2 and 4 by a solder or the like.
  • the input device 200 and the main body are connected by connecting the connectors 2d and 4d of the display 2 and 4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display connectors 2d and 4d may include the function of the input device connector.
  • an external signal line FPC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nd the external signal line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joint.
  • the input device 200 When connecting the external signal line (FPC) to), one of the other three sides except the joint (8) can be selected to connect.
  • 4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de structure of a display panel.
  • the display is usually divided into a drive unit panel portion, and the display panel is usually a glass substrate and, in some cases, a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 each of the four sides is called 1, 2, 3, and 4 sides, and the first side is called a seam portion, the driving driver 2k is mounted on the third side, which is the half time.
  • a display sends a driving signal at two sides by driving a matrix.
  • this requires at least two drive drivers.
  • the supply line 2i connected to the panel electrode 2f is connected to the third side at the second side and the fourth side.
  • the driver 2k mounted at the third side can send 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 47 to 49 show the shape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 the portion where the drive driver 2c is located becomes the fourth side when the first side is the joint portion.
  • the portion where the drive driver 2k is located becomes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 the driving driver 2c In order to mount the driving driver 2c on the fourth side, it is connected to the fourth side of the supply line 2i connected to the panel electrode 2f of the first side or the third side. That is, the supply line 2i is divided into one side and three sides to reach the fourth side. At this time, the supply line 2i is an electrical wire for connecting to the driving driver 2k to supply a signal line.
  • the electrode 2f is simply expressed, but actually means a thin film transistor (TFT) or a pixel electrode.
  • a margin of 1.5 mm is further added to the value of 2 mm which is the sum of the value of "J" and "k” shown in FIG. That is, to secure a distance for passing the supply line 2i. Therefore, the distance from the pixel closest to the display seam 8 to the boundary of the display 2 and 4 is preferably no more than 3.5 mm.
  • connection supply line 4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changing a connection supply line
  • the supply line 2i does not pass in the first side in order to minimize the seam. Then, all the supply lines 2i pass through the third side opposite to the seam 8, and the supply lines 2i meet the driving driver 2k.
  • the distance from the pixel closest to the joint portion 8 to the boundary line of the display 2 and 4 can be 2.0 mm at the maximum.
  • the supply line 2i it is possible to allow the supply line 2i to pass through three sides and less to the first side. That is, the ratio at which the supply line 2i passes can be distributed to the third side and the first side at a constant ratio, respectively.
  • FIG. 49 is a diagram where two displays are arranged.
  • the FPC (2c) 4c or externally connected connector 2d) 4d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e driver, is downward (if May be up).
  • the FPC 250c and the connector 250d for connecting the input device are also positioned below.
  • 50-53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to a panel housing.
  • both sides of the display 2 are provided with sidewalls or protection means of the panel housing 20, and the shape cover 34 covers the non-display area above or below the display 2.
  • FIG. 51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cover, in which a cover shaped like "" is mounted. In the "" shape only, the left and right parts are formed thinner than the lower part.
  • the lower part is a part in which the driver 2k is mounted in the display 2 and 4, so that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cover 34 are thinner than the upper part when the part in which the driver is mounted is located above. do.
  • the width of the left part of the cover and the right part of the cov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in the cover having a "" shape.
  • cover side wall 34a is further provided at the cover edge.
  • the cover side wall 34a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of the cover side wall 24a in FIGS. 43 and 44.
  • FIG. 5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panel housings 20 and 40 on which displays 2 and 4 are mounted in the embodiment of FIG. 47 and FIG. 4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shafts 61 and 62. As shown in the figure, the joints of the displays are small. Then, the screen is enlarged to the left and right to have an effect of viewing a larger screen.
  • 54 is a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on a cover.
  • the display is mounted to the panel housing 20, and the input device 200 is mounted to the panel housing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cover 34.
  • the cover is a shape cover, but the shape of the cover 34 formed thinner than the upper or lower portion is also possible.
  • a protective plate may be used instead of the input device and tempered glass may be us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nput device is not required.
  • the input device 200 may serve as a protective plate, and in the cas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without an input device, a bluff plate formed of tempered glass or reinforced plastic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input device 200.
  • the protection plate when the input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and provided at the top of the panel housing, the protection plate may be provided at the input device position.
  • the structure of the cov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at is, it may be in the form of a frame. If it becomes a frame, it can be considered a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and the side wall are connected to serve as a cover but also as a side wall.
  • an input device combined with a cover having a sidewall function may be mounted to the panel housing.
  • 55 and 56 are diagrams of yet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n input device is mounted.
  • the input device 200 which is mask-printed 16d, is mounted directly on the panel housing 2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left and right are formed thinner than the top or bottom.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on which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are mounted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s 61 and 62 so that whe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unfolded, the displays 2 and 4 are mutually connected.
  • the structure to be connected can be completed.
  • the protection plate may be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input device.
  • 57 to 59 show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input device.
  • a window plate or a protection plate 240 is provided at the top, and a functional plate 241 having a conductor layer or an ITO layer having a transparency is provided thereunder.
  • the mask printing 16d illustrated in FIG. 20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240.
  • the dotted line shows the position where the optical means 27 can be located. That is, the optical means 2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ates of the input device.
  • Fig. 5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unctional plate.
  • the conductive coating layer 223 may be formed on the functional plate of the capacitive type, or two or more layers may be formed.
  • two functional plates coated with a conductor layer may be used.
  • FIG. 59 shows that two functional plates 241a are used, each having a conductor layer 223 formed therein, and the two functional plates are coupled with the insulator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 60 to 65 are views showing patterns and lead wires of the functional plate.
  • FIG. 60 shows a grid-shaped electrode pattern 244 formed in the conductor layer, each pattern connected to the electrode line 243, and a lead wire 222 provided at each of four corners.
  • the distance from the active area where the conductor layer is formed to the boundary of the input device is 2 mm or less than 3 mm in the seam. See example)
  • the electrode line 243 is also formed within 2 mm or 3 mm in the joint part.
  • Fig. 6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other pattern, in which a conductor layer is patterned in a strip shape. That is, the active area 223 of the input device is formed of a patterned conductor 223a layer.
  • lead wires 222a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atterned conductor 223a. Naturally, one side becomes the joint part 8, but in order to make the joint part as thin as possible, it is good to make the part in which the lead wire is not formed as a joint.
  • 62 and 64 show an embodiment when the functional plate 241 is formed of two layers.
  • a pattern 223b is formed as shown in FIG. 62 and a lead wire 222b is connected at one end thereof.
  • the other layer is also provided with a pattern 223c and a lead wire 223c as shown in FIG.
  • 64 is a shape in which the two layers are combined. That is, two patterns 223b and 223c and lead wires 222b and 222c are formed. In addition, a joint portion adjacent to the input devi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put device. At this time, the side in which the lead wires 223b and 223c are not formed is selected in the joint part.
  • the boundary of the input device can be formed within 2 mm in the active area
  • the place where the lead wires 223b and 223c are formed may be a joint portion.
  • the lead wire may pass less in the seam and more in other parts.
  • the input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input device introduc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all can be applied to the input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a flat substrate.
  • 65 is a diagram illustrating active area and input device boundaries. As shown in the drawing, an electrode line or the like is not provided between the boundary 223a of the active area 223 and the input device boundary 250g. The distance from the active area boundary 223a to the input device boundary 250g is within 2 mm.
  • 66 and 68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both the input device and the optical means are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play.
  • FIG. 6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optical means 27 are provided on top of displays 20 and 40 and input devices 200 and 400 are provided thereon.
  • the display 2 or 4 has a non-screen display area such as a partition (or a silent 2f) or a chassis 16, and of course, the optical means 27 is present in the non-screen display area to reduce seams. .
  • V5 attached to the side of the display 2, 4, the optical means 27 and the input device 200, 400 represents a protective film or a panel housing side wall.
  • a protective film may have a coating form. And, it may be to have a sealing effect rather than physical impact within tens of micrometers or 0.2mm, or may be in the form of a protective means within 0.5mm or 1mm.
  • V5 may be formed in an integral form with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In this case, it may be as thick as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may be slightly thicker, and may be formed thinner.
  • 67 is a view showing the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is greater. 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6 panel housings 20 and 4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2 and 4, or may be a separate protective means. The thickness is small with the side walls of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but may be the same or slightly larger.
  • V7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optical means 27 and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bu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eparate protective means. However, the thickness is made smaller than V6.
  • FIG. 68 is a view showing V6 or V7.
  • V6 or V7 is made in the form of a protective film or a protective mean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lor may be formed on the outer portion, which is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drawing.
  • a film of a certain color may be attached or coated on the outer part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same color as the panel housing can be selected.
  • 69 and 70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optical means are provided on top.
  • V8 " is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V5 in FIG. 66, with only optical means 27 being provided on top of the input devices 200, 400.
  • FIG. 66 In FIG.
  • V9 "and” V10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s of" V7 “and” V6 “in FIG. 67, and only the order of the optical means 27 and the input apparatuses 200 and 400 is reversed.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2 and 4 may be calculated from FIGS. 25 to 31.
  • the case of the embodiment up to may apply.
  • optical means 27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pplicable to all cases where the light path can be changed in the seam direction as well as a micro lens, a micro prism, a refractive lens, and the like.
  • 71 to 76 are views showing a sliding structure as an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 FIG. 72 As shown in FIG. 71, whe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on which the displays 2 and 4 are mounted are stacked, and are unfol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IG. 72 is in a state. do. The display 2 and 4 are then adjacent to each other.
  • FIGS. 71 to 73 illustrate embodiments in which the cover 24 (see FIG. 37 and FIG. 39) or the mask printing 16d (see FIG. 40) are shaped.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terminal structure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 77 to 82 are diagrams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with the respective displays 2 and 4 are folded outwards.
  • 77 and 78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shaped cover 24 (Fig. 37, Fig. 39) or shaped mask printing 16d (Fig. 40) is possible, and when folded as shown in Fig. 78, the display 2 ( 4) is located outside the portable display device.
  • 79 to 82 are embodiments in which the cover 34 of the shape or the shape (see FIGS. 50 to 53) is possible, and in which the mask printing 16d of the shape or the shape (see FIGS. 55 and 56) is possible. to be.
  • the fully unfolded state is similar to the shape of FIG. 76, and there is a partially folded state 80 and a completely folded state 79.
  • the coupling device 21 and 41 may be provided to fix the panel housing in an unfolded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 the coupling device 21 and 41 may be provided with magnets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respectively, in the corresponding portions,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ming a groove and a protrusion structure.
  • the connecting shaft 60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wo shafts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housing 20 and the second panel housing, respectively.
  • the two axes fold and unfold.
  • Figures 1 and 2 it is possible to make a structure that can be made with one axis.
  • the panel housing 20, 40 can be folded and unfolded smoothly by rounding the parts that touch each other when folded and unfolded in a curve.
  • FIG. 8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in FIG. 79, wherein the folded portion of the panel housing is curved.
  • 83 to 87 illustrate examples of application to a combined display device.
  • 83 to 86 illustrate embodiments in which a cover 24 (see FIG. 37 and FIG. 39) or a mask printing 16d (see FIG. 40) is shaped.
  • FIG. 8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are mounted with the displays 2 and 4 and the coupling means 26 and 46 and the lids 25 and 45 respectively. Then, the lids 25 and 45 connected to the shaft 23 can be opened (FIG. 84). Then,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s 2 and 4 are adjacent to each other (FIG. 85).
  • the panel housings 20 and 4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ithout opening the lids 25 and 45 to use two screens.
  • FIG. 87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in which a coupling device 21a is provided as shown in the figure to maintain a firm coupling at the time of engagement.
  • the coupling device has a magnet or a groove and a protrusion structure.
  • the combined state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FIG.
  • 88 to 90 are diagrams of embodiments in which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wired and wireless control.
  • One of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two screen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and in some cases, the size of one display may be 5 inches or more.
  • the porta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function.
  • a separate terminal 150 that functions as a mobile phone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separate terminal 150 includes an input unit 155 capable of inputting numbers or letters and a display 152 displaying simple information.
  • 89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tele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with two screens.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llustrated in FIG.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41 and an antenna 242. Therefore, other component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41 may also be combin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to form a single component.
  • the separate terminal 15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43 and an antenna 244, and in some cases, a RAM, a ROM, and an pyramid 204 may be provided.
  • a separate central processing unit 203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memory 204, the display 152, the input device 155, and the like.
  • a touch type input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may be provided instead of a button type input device as shown in the drawing.
  • the telecommunication means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odule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wide area network.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41 refers to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e terminal 150.
  • Local area networks typically include Bluetooth, Ultra-Wide Band (UWB), Zigbee, Wibree, Binary CDMA (Infrared CDMA) infrared communication, and RS-232 ports. In addition, it means all means of communication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3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3 of the separate terminal 150 may be made of one component.
  •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eparate terminal input unit 155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s 241 and 243 to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input unit, such as input of letters or numbers or initiation or termination of a cal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 the information controll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is transmitted to the separate terminal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152 or the speaker of the separate terminal 105.
  • Means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ch information ar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241) (243) and antennas (242) (244).
  • the information data is encoded, the encoded information is converted again,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converts the signal through the signal receiver and then decodes the signal.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1, 243 is a signal transceiver, a signal converter, a signal decoder, and a signal encoder.
  • the separate terminal 150 may be provided with a signal distributor instead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3 to distribute the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3 to the speaker or the display, respectively. 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 90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a tele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in a separate terminal.
  • the signal output from the R / F unit 245 for telecommunication provided in the separate terminal 150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3.
  • the large screen displays 2 and 4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41 and 243. Is displayed.
  •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the input devices 250-1 and 250-2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10 is centrally processed by the separate terminal 15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s 241 and 243. To the device 203.
  •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two displays 2 and 4 may be referred to as a simple monitor level function.
  • a signal distributor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5 shown in FIG. 10. .
  • the information from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is sent to the corresponding display or the speaker.
  • the RAM, the ROM, and the pyrom may not be provid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3 provided in the separate terminal 150 substantially controls the two displays 2 and 4 and the two input devices 250-1 and 250-2.
  • RAM, ROM, and Ipyrom 204 provided in 150 will be a high performance function.
  • input devices 250-1 and 250-2 shown in the block diagram mean the same parts as the input devices 200 and 400 shown in the other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e two displays and the separate terminal can be connected by wire without wireless connection.
  • the connection jack can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이음매부를 최소화 하는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음매부인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이에 대한 문제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경계부가 줄 간격 사이에 존재할 수 있도록 화면을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이음매부를 최소화 하는 구조를 제공함고 동시에, 상기 이음매부인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이에 대한 문제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에서 화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별도의 패널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하우징 각각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때,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인접되는 구조를 갖더라 하더라도, 별도의 두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만큼 화면 비표시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 비표시 영역은, 경계선, 보호판 혹은 보호 부재의 두께, 패널하우징의 두께 및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이음매 부분의 여유 간격 등에 의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비표시 영역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경계선에 의해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를 읽는 데 방해 받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구체적인 수단이 아직까지는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이음매부 즉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경계부에 의해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를 읽는 데 방해 받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 설계와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하우징에 중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센서의 출력에 의해 중앙처리 장치는 표시되는 화면을 상하로 분리하는 것 혹은 좌우로 분리 하는 것 중에서 선택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은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5mm 미만이며, 상기 입력장치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4mm 미만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 수단이 구비되었을 때 상기 광학 수단 사이의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3mm 미만이다.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존재하면 화면이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경계부가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두개의 화면을 사용함에 따르는 문제점인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이음매에 의해 경계부가 생기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되어 글자를 읽는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화면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경계부에 텍스트가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오게 되더라도 작업자는 아무런 방해 없이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5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8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경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구동 블럭도로서, 디스플레이 구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블록도 및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6과 17은 구동 방법에 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와 19는 화면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내지 도 24는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텍스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2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26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27내지 도 29는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과 31은 디스플레이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2와 도 33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4내지 도 36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7과 도 38은 입력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도면이다.
도 39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1내지 도 44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내지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내지 도 53은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4은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5와 도 56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7내지 도 59는 입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내지 도 65는 기능판의 패턴과 리드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6와 도 68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와 광학 수단을 모두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9와 도 70은 광학수단이 맨 위에 구비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1내지 도 7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예로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7내지 도 8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3내지 도 87은 결합식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8내지 도 90은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가 유무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할 경우 화면을 상하 방향 혹은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텍스트는 글자를 의미하여 명확하게는 글자 라인(Line)을 의미한다. 그리고, 텍스트 이미지는 텍스트(Text) 파일(File)이 아니라, 모양을 나타내는 이지미(Image) 파일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 평판 디스플레이 형태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는, 두 개의 디스프레이(2)(4)와 상기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패널하우징(20)(40)에는 디스프레이를 구동하거나 장착하기 위한 회로나 부품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연결수단(6)에 의하여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수단(6)으로 힌지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접이식의 표시장치를 의미하므로, 접힘과 펼침이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반드시 힌지를 사용한 경우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힌지나 축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두 개의 패널하우징을 서로 점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면 모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에는 커버수단(18)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수단은 디스프레이(2)(4)가 접혀졌을 때 디스플레이의 측면을 보호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에서 측면을 커버할 수 있는 구조이면 반드시 도 2에 나타낸 커버수단의 형태가 아니어도 본 발명의 원리는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내지 도 5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패널하우징(20)(40) 상단에 디스프레이(2)(4)가 구비됨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져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디스프레이(2)(4)는 서로 인접된 상태가 된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디스프레이(2)(4)가 서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해서, 패널하우징(20)(4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인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 상단에 디스프레이(2)(4)를 구비하도록 한다.
아울러, 패널하우징(20)(40) 내부에는 각종 회로 및 장치(25)(45)가 구비되고, 디스프레이(2)(4)를 받치는 받침부(26)(46)가 또한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프레이(2)(4) 가장자리에 덮개(24)가 구비된다. 한편, 커버수단(18)은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회전중심 A의 연장선은 덮개(24)의 표면과 만난다. 즉 회전 중심의 높이는 덮개의 높이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가 상호 밀착된 경우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이 0.01mm 정도로 볼수도 있다.
도 4는 디스프레이 상단에 보호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덮개(24)와 패널하우징(20)(40) 측면에 단차(24a)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24a)에 보호수단(14)을 장착하므로서, 디스프레이(2)(4)의 측면과 디스프레이(2)(4) 앞면에 보호수단(14)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4) 하부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학 수단은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경계면인 이음매를 광학적으로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4)은 1 mm 혹은 0.5 mm 이하로 얇게 형성한다.
도 5는 패널하우징의 측면에 연결이음부를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프레이(2)(4)가 상호 인접되며, 이 사이에 연결이음부(20a)(40a)가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즉, 패널하우징(20)(40)의 밀착되는 측면을 절개하여 개구(8b)혹은 연결이음부(20a)(40a)를 형성하여 디스프레이(2)(4)가 상호 인접되게 된다.
상기 연결이음부(20a)(40a)는 패널하우징(20)(40)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혹은 두께가 0.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6 내지 8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수단이 구비됨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져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광학수단(27)은 서로 인접된 상태가 된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광학수단(27)이 서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해서,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8b) 측벽 상단에 광학수단(27)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20)는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8b)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통상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8b) 측벽은 통상 1mm 정도가 적당하지만, 신뢰성을 위해서 2.5m 정도로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최대 간격은 5mm 가 된다.
반면. 이음매부 측벽의 두께는 1mm 이지만 디스플레이(2)(4)와 측벽 사이에 거리를 1.5 mm 정도 떨어트려 놓을 수도 있으며, 이경우도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최대 간격은 5mm 가 된다.
도 7은 패널하우징의 측면 상단에 연결이음부를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광학수단(27)이 상호 인접되며, 이 사이에 연결이음부(20a)(40a)가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즉,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면을 절개하여 연결이음부(20a)(40a)를 형성하여 광학수단(27)이 상호 인접되게 된다.
상기 연결이음부(20a)(40a)는 패널하우징(20)(40)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혹은 두께가 0.3 mm 혹은 0.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즉, 도 6의 경우에는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광학수단(27)은 상호 맞닿게 되며, 상호 맞 닿을 정도로 밀착 되는 경우에는 최소 거리가 0 mm 라고 할 수도 있지만, 0.01mm정도 최소 간격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는 통상 1mm이지만, 최대 2.5 mm도 될 수 있고, 따라서 광학수단(27)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이음부(20a)(40a)의 두께가 0.5mm 정도 일수도 있지만, 1.5mm까지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패널하우징이 펼쳐졌을 때 광학수단 사이의 거리는 1mm 정도일 수도 있지만 최대 3mm 정도가 될 수도 있다.
도 8의 경우는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된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처럼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되고, 보호필름 혹은 보호판 형태의 보호부재(14a)가 별도로 구비되어 입력장치(200)(400) 측면에 밀착되도록 되어있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도록 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은 최대 2mm 이내 혹은 3mm 이내가 된다. 하지만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 내에 위치하게 되어,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간격이 2mm 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3mm 보다 작게 형성되게 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을 최대 5mm로 항 경우에는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간격은 최대 4 mm 정도로 할 수 있다.
도 9는 경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원안은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이음매부인 경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경계부인 이음매부(8)에는 디스플레이(2)(4)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화면 비표시영역이 존재하게 되는데, 도 9에서처럼, 화면비표시 영역은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 보호막(14)(160)(16) 및 실링제(2f)(4f) 등의 구간이 된다. 도면에서 화면 비표시 영역을 B로 나타내었으며, 전체 화면 비표시 영역은 B의 두배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화면을 이동하게 되는 이유도 바로 화면 비표시영역 때문이다. 글자 라인이 화면 비표시영역에 의해 나누어지게 되면 글자(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의 시인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화면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보호막(14)은 광학수단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14) 이거나, 디스플레이(2)(4)의 이음매부 측면을 막고 있는 기구물 혹은 샤시의 한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통상 0.5mm 이하이며, 전체적으로는 1mm가 된다.
그리고, 화면비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부분은 화소와 디스플레이 경계까지이며 그 크기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링제는 통상 0.8mm 이하로 형성하지만, 0.3 mm 이하 혹은 0,5mm 이하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화소(2n)(4n)가 이음매부(8) 바로 이웃되게 위치한다. 실링제(2f)와 바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화소(2n1)(4n1)와 실링제 사이의 거리는 0.1 내지 0.2 mm 이하로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경계부터 화소(2n1)(4n1) 사이의 거리는 1.0mm이하가 된다. 그러므로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가 맞 닿는 경우는 합하면 2 mm 가 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의 경우에 설명된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이 최대 5mm이면, 여기에 샤시나 기구 두께 1mm 와 화소 사이의 거리(디스플레이 경계에서부터 화소 사이의 거리1mm 의 두배) 2 mm을 더하면, 최대 화면 비표시영역의 크기가 8mm가 된다.
물론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3mm 이고 샤시나 기구물 두께를 최소화 하고, 디스플레이 경계와 화소 사이의 거리를 최적화 하면 화면 비표시 영역은 6mm 혹은 5mm 이내로 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구동 블럭도로서, 디스플레이 구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105)는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121)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122)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123)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1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력부(110)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다.
중앙처리장치(105)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a)(4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1, 2 디스플레이(2)(4)가 있다.
또한 중력감지센서(235)를 구비하여,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였는가 좌우로 위치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중력센서(235)의 입력신호에 의해 중앙처리장치(105)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는가 좌우로 위치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하좌우의 판단은 중력 센서를 구동하고,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방법에 의해 중력 센서의 출력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화면이 상하로 혹은 좌우로 위치하는가에 대한 판단이므로, 중력센서는 90도 회전 이동에 대한 판단을 하도록 하며, 이전과 다른 출력이 얻어지면 해당 출력에 따라 표시장치의 화면을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통상 사용되는 중력센서는 무게추를 가변저항과 연결하여 회전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판과 무게추로 구성된 중력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게추의 회전에 따라 신호코드와 접촉(또는 비접촉 검출)되는 측정부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력센서는 동종의 기술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따라서, 그밖에 통상의 중력센서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휴대용 표시장치의 경우 직사각형 혹은 정사각형으로, 통상 표시장치가 90도 정도 움직일 경우 화면이 바뀌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중력센서(235)도 90도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할 때를 정상 상태로 좌우(2)(4)로 위치할 때를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도록 설정하였다.
한편, 입력장치 혹은 메뉴 버튼의 스위치 동작으로 화면 이동을 수동으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화면을 수동 변환 모드로 설정하면 중력센서의 출력에도 화면은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제 1, 제2 입력장치 구동부(1401-1)(140-2)를 통해서 제 1, 제 2 입력장치(250-1)(250-2)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250-1)(250-2)가 각각 2 개 존재하므로 입력장치 구동부(1401-1)(140-2)도 2 개 존재하여 각각 해당되는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10의 블록도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50-1)(250-2)는 본 발명의 다른 도면에 도시되 입력장치(200)(400)와 동일한 것이다.
도 11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블록도 및 제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구비되고 입력장치(250-1)(250-2)도 2 개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2)(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고, 두 개의 입력장치(250-1)(250-2)에서 출력되는 신호도 제어하게 된다.
도 11에서처럼, 중앙처리장치 혹은 본체제어부(105) 내에는 제어부(110), 메모리(Memory)(120)와 타임 컨트롤러(Time Controller)(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및 입력장치 구동부(140)가 구비된다.
즉, 제어부(110), 메모리(120), 타임 컨트롤러(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 및 입력장치 구동부(140)의 기능을 하는 각각의 소자가 본체 제어부(105) 내에 모두 구비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동부(130)에서는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디스플레이(4)에 각각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또한, 입력장치 구동부(140)도 제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각각 교정하고 조정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2)(4)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Source)(2b)(4b)부와 라인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Gate)부(2c)(4c)가 존재하게 된다.
도 12와 도 13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30)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구동부(130)는 컬럼(Column) 데이터 처리부(131)와 로우(Row) 데이터 처리부(132)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두 개로 분할하는 방법은 소스 데이터를 분할하는 방법과 게이트 신호를 분할하는 방법이 있다.
도 12에서처럼, 소스 데이터(화면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컬럼 데이터 처리부(131)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에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로 데이터 처리부(Gate 신호)(132)에서는 신호를 분할하여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2 디스플레이(4)에 나누어서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체 화면의 화소수가 320 X 240 도트(Dot)라고 할때, 이중 데이터(Source, Column) 라인(Line)이 320 개이고, 선택 신호(Gate, Row) 라인이 240 개라고 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 모두 데이터 라인이 320 개이고, 선택 신호 라인이 각각 120 씩 되는 것이다. 즉 전화 화면에서 데이터 라인은 분할되지 않고, 선택 신호(Gate) 라인이 분할 되는 것이다.
이때 분할되는 정도는 통상 1:1(전체 화면이 240 라인이면 가가 120 라인씩)이 되지만, 단말기 설계에 따라 그 비율이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를 140 Line 제 2 디스플레이를 100 Line 등으로 다양한 비율 조정은 가능하다.
그리고, 선택 신호 라인에서는 반복적이고 동일한 파형의 선택 신호만을 순차적으로 보내기 때문에, 라인을 분할 할 뿐이고 동일한 신호를 타임 컨트롤러(Time Controller)(125)의 조절에 의해 보내게 되는 것이다.
도 13의 블록도의 경우는, 로 데이터 처리부(Gate 신호)(132)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에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소스 데이터(화면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컬럼 데이터 처리부(131)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에 각각 신호를 분할하여 보내게 된다.
즉, 도 12의 설명에서의 경우처럼 320 X 240 Dot일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 모두 게이트(Gate) 라인의 수는 240 개이고,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의 소스(Source) 라인수는 각각 160개가 된다.
즉, 분할하기 전의 전체 화면에서 데이터(Source) 라인이 320 라인이면, 제 1 번 라인에서 160 번 라인까지는 제 1 디스플레이(2)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 161 라인에서 제 320번 라인까지는 제 2 디스플레이(4)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120)부에 저장된 분할하기 전의 전체 화면 데이터 정보는 제어부(110)와 타임 컨트롤러(125)에서 분할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제 1 디스플레이(2)의 데이터 라인과 제 2 디스플레이의 데이터 라인이 반드시 1: 1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2:3, 10: 6, 6:4 등 다양한 비율로 분할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단말기 설계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의 용량이 반드시 1:1 일 필요는 없게 된다.
도 14는 입력장치 구동부(14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교정기능 수행부(141)는 시스템이 최초 동작할 때 입력장치(250)에 대한 교정(calibration) 기능을 수행한다. 교정 기능 수행부(141)에서 수행되는 교정 기능에 따라 입력장치(250)에 대한 정확한 좌표 값에 대응되는 패널 신호가 선정된다.
즉, 디스플레이(2)(4) 해상도(Source와 Gate의 각각의 라인수)에 따라 좌표 값에 대응되는 입력장치(250) 신호가 선정되고, 상기 선정된 신호는 제어부(11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패널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좌표 값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143)는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4)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토대로 입력장치(250)로부터 출력되는 패널 신호에 대한 평균값 검출 횟수를 조정한다. 상기 화면해상도가 고해상도로 변경되면, 상기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크게 조정된다. 반대로 상기 화면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변경되면, 상기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작게 조정된다.
또한, 평균값 검출부(142)는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143)에 의해 조정된 평균값 검출 횟수를 토대로 입력장치(250)로부터 전송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검출한다. 검출된 평균값은 조정된 패널 신호 발생부(144)로 전송된다.
조정된 패널 신호 발생부(144)는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4)의 변경된 화면 해상도 또는 가상 스크롤에 의해 변경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입력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조정된 패널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 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가 구비되며,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140)에서는 제 1 입력장치(250-1)에 대한 신호 제어와 제 2 입력장치(250-2)의 신호 제어가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타임컨트롤러(125)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소자(145)는 제 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가 교대로 입력장치 구동부(140))와 연결되도록 한다.
교대로 연결되도록 한다는 것은, 제 1 입력장치에(250-1)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한 다음 제 1 입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한다는 것이며, 시간을 나누어 교대로 각각의 입력장치(250-1)(250-2)의 신호를 처리한 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간 분할은 십분의 일초에서 만분의 일초 혹은 백만분의 일초등 매우 적은 시간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사람의 손으로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구동부를 한 개 사용하여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입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당연히 입력장치 숫자 만큼 입력장치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입력장치 구동부가 중앙처리장치와 별도의 부품일 수도 있지만, 중앙처리 장치와 일체로 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작동이 되면, 본체 제어부(105)도 기능이 작동되어 각각의 장치를 구동하게 된다.(400단계)
본체 제어부(105) 내의 제어부(110)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화면 표시 데이터 혹은 수신된 화면 표시 데이터를 분할하게 되며, 이때 이러한 기능은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구동부(130)와 타임 콘트롤러(125)가 수행하게 된다.(도 12 및 도 13의 설명 참조)
따라서, 본체 제어부(105)는 화면을 분할하여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해당되는 화면 데이터 정보를 각각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302 단계)
그런다음 도 14에 구비된 스위칭소자(145)에 의해 입력장치 구동부(140)는 제 1 입력장치(250-1)를 구동하게 된다. 즉, 제 1 입력장치에서 출력 되는 정보를 제어하게 된다.(404 단계)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2)의 화면 표시 정보에 맞게 제 1 입력장치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한다.(406 단계)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정보에 맞게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14의 방법에 준한다.
마찬가지로 스위칭소자(145)에 의해 입력장치 구동부가 제 2 입력장치에서 나오는 출력 신호를 제어하고(408 단계), 제 2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 정보에 맞게 제 2 입력장치의 신호를 제어하게 된다.(410 단계) 이 단계도 마찬가지로 도 14의 방법에 준한다.
그리고, 정지 명령이 없으면 계속적으로 본체 제어부는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입력장치를 구동하게 되지만, 정지 명령이 있으면 이러한 일련의 수행 기능은 종료하게 된다.(412 및 414 단계)
즉,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 구동부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화면 정보에 맞게 제 1 입력 장치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 수행하고 제 2 디스플레이의 화면 정보에 맞게 제 2 입력 장치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 수행하며, 입력장치 구동부의 상기의 제어 수행 반복으로 인해 상기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6과 17은 구동 방법에 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의 도면처럼 게이트 전극부를 분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 1 디스플레이(2)는 게이트 전극이 제 1 라인부터 제 n 라인까지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게이트 전극이 제 n+1 라인부터 2n라인까지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부터 제 n라인까지의 구동 신호(제 1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와 제 n+1라인부터 제 2n라인까지의 구동 신호(제 2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정상상태(도면에서 가의 경우)로 판단되고, 디스플레이가 좌우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비정상 상태(도면에서 나의 경우)로 판단된다.
도 17은 도 13의 도면처럼 소스 전극부를 분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 1 디스플레이(2)는 소스 전극이 제 1 라인부터 제 n 라인까지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소스 전극이 제 n+1 라인부터 2n라인까지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부터 제 n라인까지의 데이터 신호(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와 제 n+1라인부터 제 2n라인까지의 데이터 신호(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는 각각 분리하여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정상상태(도면에서 다의 경우)로 판단되고, 디스플레이가 좌우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비정상 상태(도면에서 라의 경우)로 판단된다.
도 18 와 19는 화면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정상 상태일 경우 화면 패턴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8의 가(A)는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그림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텍스트 라인이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이음매인 경계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8의 나(B)는 화면을 상방향 혹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경계부가 글자의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리고, 도 19는 비 정상상태일 경우 화면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 19의 다(C)는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그림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텍스트 라인이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이음매인 경계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9의 라(D)는 화면을 좌방향 혹은 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경계부가 줄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결과적으로, 화면이 제 1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제 1,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한 방향 표시는 도 18과 도 19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20내지 도 24는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텍스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20을 먼저 보면, 중력센서의 구동으로 알고리즘이 시작(300 단계)되고, 중앙처리장치(105)는 중력센서가 출력되게 되면(320 단계) 정상상태인가 비정상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340 단계) 그리고, 정상상태와 비정상상태의 개념은 본 발명에서 설정한 것으로서 도 16과 도17의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05)는 정상 상태인 경우 화면을 상하로 분할하고(360 단계), 비정상 상태인 경우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게 된다.(380 단계)
그리고 정상상태 화면에서 화면 분할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하고,(400 단계) 있다면, 위 또는 아래로 그 다음 줄 간격까지 화면을 이동하게 된다.(420 단계)
마찬가지로 비정상 상태의 화면에서도 화면 분할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며,(440 단계) 있다면, 그 다음 줄 간격까지 화면을 좌 또는 우로 이동하게 된다.(460 단계)
당연히 두 경우 모두 화면 분할 경계부에 텍스트 라인이 없다면, 다시 중력 센서의 출력에 따라 알고리즘을 재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그다음 줄 간격까지 화면을 이동 시킨 다음에도 상기 알로리즘을 재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입력장치 혹은 메뉴 버튼의 스위치 동작으로 화면 이동을 수동으로 할 수 있다. 즉, 화면 이동을 수동 변환 모드로 설정하면, 텍스크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 위치하게 되어도 화면이 자동으로는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21은 중력센서의 출력에 따른 화면 선택의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즉 도 20의 알고리즘이 내에서, 화면이 90 도 회전하여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중력센서의 출력 여부(480 단계)에 따라 알고리즘이 순환되며, 중력센서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면(485 단계) 화면이 회전 이동되어 표시되게 된다.(485 단계). 그러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되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490 단계)
즉, 본 발명에서는 중력센서에 의해 90도 회전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게 되는 데, 90도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485 단계) 중앙처리장치(200)는 화면을 90도 회전하여 표시하게 된다. 당연히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합쳐져서 하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체 화면을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표시 이동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340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도 22는 도20의 알고리즘 내에서 화면을 이동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즉, 도 20의 알고리즘 내에서 400 단계에서 460 단계까지의 알고리즘을 상세히 나타낸 단계이다. 제 1디스플레이는 제 1 라인부터 제 n 라인까지 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n + 1 라인부터 2n 라인까지 이다. 따라서 제 1디스플레이는 제 n 라인이 경계부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n + 1 라인이 경계부와 가장 인접하는 라인이다.
그러므로 도 22는 제 1 디스플레이(2)의 경계부를 중심으로 텍스트(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 것을 확인하는 알고리즘인 것이다. 이때 텍스트는 실제 텍스트 파일에서 글자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고, 텍스트 이미지는 글자 모양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즉, 화면에 실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지만, 텍스트 모양을 나타내는 이미지 화면을 뛰울 수도 있는것이다.
순서도를 시작하기 위해 "k=0"을 정한다.(401 단계) 그리고, n-k 라인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402 단계) 만일 402 단계의 판단에서 아니오(no) 라면, 다시 "j=k"로 세팅(403 단계)한 후 n-j 라인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404 단계)
이 단계 후에 아니오(no)라면 j의 값이 3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고(405 단계), 작으면 j 값을 변화시키고(406 단계) 작지 않으면 화면을 이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표시한다.
404 단계의 판단에서 예(yes)라면 j 값이 3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407단계)이때, j의 값이 3보다 작으면, j의 값이 0,1,2 로 변함에 따라 S1의 값도 각각 3,2,1로 정해진다.(408 단계) 그러나 j의 값이 3보다 크면, 화면은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즉,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없으면, 경계부에서 제 1 라인씩 감소 시키면서 텍스트(혹 텍스트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3 라인까지 텍스트 (혹 텍스트 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때까지 텍스트(혹 텍스트 이미지)가 없으면 화면은 이동 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경계부에서 제 3 라인까지 텍스트 이미지가 없는 경우는, 첫째는 경계부 주위에 텍스트 이미지가 없는 경우-사진이나 그림 등 이미지-이거나, 둘째는 줄 간격 사이에 경계부가 위치하는 경우일 것이다. 이 경우는 당연히 화면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것을 알고리즘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407단계에서 아니오(no)이면, 경계부에서 적어도 3 라인은 떨어져서 텍스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상황 설정을 하는 단계가 408 단계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서 제 1라인 만 떨어진 경우에는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와 너무 인접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시인성에 문제가 되므로 두 라인을 더 떨어트릴 수 있도록 화면을 이동하게 S1의 값이 정해지는 것이다. 즉, j=1이면 S1는 2가 되는 것이다.
한편, 402 단계 판단에서 예(yes) 라면 k 값을 변환한다.(410 단계) 그리고, n-k 라인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411 단계) 판단이 예(yes)이면 411 단계를 계속 순환하고, 아니오(no)이면 k를 a 값으로 변환한다.(412 단계)
그리고, a 값이 D 값보다 크거나 같은가를 판단하여,(413 단계) 예(yes)이면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고(415 단계) 아니오(no)이면 경우에 따라 S1 값을 정하게 된다.(414 단계) 즉, S1 값은 a + 2 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S1 값이 정해지면, 화면은 상하 혹은 좌우로 S1 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되는 방향은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이다. 이러한 제 1,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한 방향 표시는 도 18과 도 19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D의 값은 정해진 일정한 수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D가 20 이라면, 경계부의 이음매가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큰 글자이므로 경계부의 이음매가 글자를 인식하는 데 방해되지 않을 수 있고 이럴 경우에는 화면을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표시한다는 것이다. 경계부로부터 20 라인까지 텍스트가 위치할 정도로 글자가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계부에서 D-1 라인까지 텍스트(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을 경우에는 경계부에 텍스트(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없도록 화면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화면 이동 값을 a+2로 하므로서, 화면 이동 후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서 적어도 2 라인 이상은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화면 이동후 경계부 바로 이웃하게 텍스트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당연히 상황에 따라 이동 값을 a+3 혹은 a+4 로 할수도 있다. 즉 화면 픽셀이 작은 미세 화면일 경우에는 화면 이동 값의 변화를 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3은 제 2 디스플레이의 경계부의 화면 이동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이다.
원리는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며, 단지 제 n + 1 라인부터 시작하여 제 1 라인씩 더해가면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알고리즘에 의해 S2값이 정해지면, S2 값 만큼 제 1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화면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하를 경계로 위치하고 있을 때나 좌우를 경계로 위치하고 있을 때 모두 알고리즘은 동일하다. 그리고 두 개의 화면이 분할 될 때, 게이트 부분이 분할 되거나 소스 부분이 분할 되어도 알고리즘은 또한 동일하다.
도 24는 구해진 값을 통한 화면 이동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이다.
도 22와 도 23의 알고리즘을 통해서 S1 값과 S2 값이 모두 구해졌는가를 판단한다.(442 단계) 두 개의 값이 모두 구해졌으면 S1 값과 S1 값 중에서 동일하거나 적은 값을 선택한다.(444 단계) 그리고, S1이 선택되면 제2디스플레이(4) 방향으로 S1 만큼 이동하고, S2가 선택되면 제1디스플레이(2) 방향으로 S2 만큼 이동한다(446 단계)
예를 들어 S1 값이 3이고 S2 값이 4 이면, S1의 3을 선택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3 라인(Line) 만큼 화면을 이동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S1 값과 S2값이 모두 4로 같으면,(444 단계) S1과 S2 두가지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해도 4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4 라인 만큼 화면을 이동하면 된다.
한편, S1 값과 S2 값 중에서 하나의 값만 구해졌는가를 판단하고,(448 단계) 하나의 값만 구해졌다면 그 하나의 값이 선택된다. 즉, S1값만 구해지면 제2디스플레이 방향으로 S1 만큼 이동하고, S2값만 구해지면 제1디스플레이 방향으로 S2 만큼 이동하면 된다.(450 단계)
즉, S1 값만 구해져서 S1 값이 3 이라면 3 라인 만큼만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움직이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448 단계에서 아니오(No)가 되면 S1 값과 S2 값이 모두 구해지지 않은 경우이므로, 이 경우에는 화면을 이동하지 않는 것이다. 즉 화면이 상하로도 혹은 좌우로도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스트립 형태의 이미지에 대해서도 도 20에서 도 24까지 설명된 알고리즘 적용할 수 있다. 즉, 반복적인 줄 무늬의 경우 이에 대한 이미지 인식을 해서 상기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줄무늬 인식은 통상의 이미지 인식 방법에 따른다. 즉 각 라인별 화소에서 각각의 데이터 정보의 크기를 분석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처럼, V로 표시된 부분을 보호필름 형태로 할 때에는, 보호필름은 가급적 얇게 하면서 견고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속막이나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혹은 수지 필름에 금속 혹은 무기물 막을 코팅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V로 표시된 부분이 보호필름 혹은 보호수단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두께는 0.005mm이상에서 0.5m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럴 경우에는 물리적인 충격에서 보호하기 보다는 밀봉 효과가 더 중요할 수 있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이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이때, 상기 보호수단이 얇게 형성되어 물리적 충격에서 보호하는 기능 보다는 밀봉 효과의 기능이 더 클 경우에 대비하여,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도 2의 측면커버(18)에 의해 디스플레이(2)(4) 측면 혹은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물리적 충격에서 더 확실히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보호수단(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를 1mm 이하로 하여 판 형태로 만들어 디스플레이(20)(40)와 입력장치(200)(400)의 측면을 물리적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이 최소 0.1mm 이며, 최대는 2mm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의 간격도 최소 0.1mm 이며 최대는 2mm가 된다.
한편 V로 표시된 부분을 별도의 보호수단으로 하지 않고 패널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렇게 되면 디스플레이(20)(40)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이 보호하게 된다.
이때 도 25에서는 V로 표시된 부분을 패널하우징 측벽(20)(40) 보다 얇게 도시하였으며, 이는 가급적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서 이다. 즉, 패널하우징 측벽보다 얇게 할 경우 적당히는 0.5mm 이내가 좋으나 최대 1mm 이내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V로 표시된 부분을 패널하우징(20)(40) 측벽의 두께와 같게 하거나 약간 두껍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너무 두껍게 상품성이 저하되게 된다.
통상 패널하우징 측벽이 최대 1.5mm 를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따라서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도 최대 1.5 mm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V"로 표시된 부분이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더라도 2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결론적으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최소 0.1mm에서 최대 4mm가 될 수가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가 4mm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가 2mm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2)(4)나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V(패널하우징 측벽이나 보호수단) 사이에 어느 정도 간격이 있어도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로 V의 두께가 0.5 mm 밖에 안되어도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4 mm 가 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가 최소 0.1mm 이상은 되고 4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측면 혹은 입력장치와 V가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가 그대로 공간일 수도 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추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당연히 이음매부(8)에서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도 최소 0.1mm에서 최대 4mm가 되는 것이다.
도 26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에 구비된 판을 "V1"이라 하고 디스플레이(2)(4) 사이에 구비된 판을 "V2"라고 하면, "V1"의 거리가 "V2"의 거리보다 작다. 즉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이다.
이때, "V1"과 "V2" 모두를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V2" 만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V1"은 별도의 보호 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경우 도 25에서 설명된 보호 수단이나 필름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른다.
물론, "V1"과 "V2" 모두를 패널하우징과는 구별되는 보호 수단으로 만들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이음매부에서는 보호수단이 디스플레이(2)(4)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V1"의 두께는 도 25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르게 된다. 단지 "V2"의 두께 보다 얇게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필름의 형태로 될 경우에는 0.5mm이내가 될 수가 있고, 판의 형태로 될 경우에는 최대 1.5 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 26의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3mm 이내가 된다. 당연히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3mm가 되기 위해 "V1"이 반드시 1.5mm가 될 필요는 없다.
즉, "V1"이 0.5 mm이어도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는 3mm가 될 수가 있는 것이다. 입력장치(200)(400)와 "V1" 사이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가 그대로 공간일 수도 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그 사이의 거리가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지만, V2"도 "V1"의 실시예를 따른다.
또한, 같은V1이라도 제 1 디스플레이(2) 측면에 부착되는 경우와 제 2 디스플레이(4) 측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서로 두께가 같을 수도 있지만, 설계 상황에 따라 두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27내지 도 29는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7은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디스플레이(2)(4)를 밀착하고, 패널하우징 측벽 상단(8b) 광학수단을 장착한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가 밀착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 측벽(20)(40)은 다른 부분 보다 얇게 형성된다.
하지만, 도 25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4)가 밀착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20)(40) 측벽이 더 얇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앞의 실시예에 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 상단에 광학 수단(27)이 구비될 수도 있다.상기 광학 수단은 렌즈, 마이크로 렌즈, 마이크로 프리즘 등과 같이 빛의 굴절을 바꾸는 광학 수단이며, 또는 빛의 경로를 이음매(8) 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광학 수단은 디스플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화면 비표시 영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광학 수단은 상호 접촉될 수가 있도록 구비된다. 물론 광학 수단(27) 측면에 보호필름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8은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사이에 V3와 V4" 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 측벽과 일 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패널하우징(20)(40)과는 분리된 별도의 보호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호부재는 투명 혹은 불투명 플라스틱 수지나 합금 류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연히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보다 얇게 형성 될 수도 있고 같은 두께로 형성 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더 두꺼울 수도 있다.
V3와 V4" 가 투명할 경우 바깥쪽에 색을 코팅하거나 색을 가진 필름을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패널하우징 측면과 색을 같게 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즉,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는 4mm이내가 적당하고, 광학수단(27) 사이의 거리는 2mm이내가 적당하다.
도 29는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보호필름(14)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보호 필름을 구비하여, 최대한 거리를 가깝게 한 것이다. 당연히 상기 보호 필름은 0.5mm 이내가 된다.
도 30와 31은 디스플레이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패널하우징(20)(40)은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케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하우징 중에서 하나의 패널하우징(20)에는 바닥 부분의 상부에 바로 디스플레이(2) 및 입력장치(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또 다른 패널하우징(40)에는 본체 제어부 혹은 중앙처리장치와 밧테리 등이 구비된다.
즉, 또 다른 패널하우징(40)의 디스플레이(4) 아래 부분에 밧테리나 본체 제어부와 같은 본체 기판등의 부품이 구비되게 된다.
도 31은 표시장치 두께가 얇게되는 패널하우징(20)의 바닥 부분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S)을 나타낸 도면으로, 완전히 밀착되어 간격이 0 일 수도 있지만,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너무 두껍게 할 수는 없으므로 간격(S)은 2.5mm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얇게 형성된 패널하우징(20) 바닥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도면에는 별도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받침부나 시트(Sheet) 모양의 충격 흡수 판을 삽입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2와 도 33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들이 장착된 샤시(16) 상단에 입력장치(200)가 구비되며, 이를 위해 샤시(16) 측면에 부착부(16c)를 구비하여 입력장치가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부착부(16c)는 양면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접착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2는 상호 분리된 도면이고, 도 33은 디스플레이(2)(4)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샤시는 반드시 금속재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기구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재와 플라스틱 기구물의 혼용 형태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샤시는 디스플레이 부품이 장착되는 구조물을 통칭한다.
도 34내지 도 36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4는 도 32에서 원으로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화면을 연결하여 이음매를 최소화 하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에서도 이음를 줄이기 위한 설계를 해야 한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에 가장 인접한 화소 2n이 있을 때, 상기 인접 화소(2n)와 격벽(2f) 사이의 거리(J)는 1mm 이내로 하며, J 값이 0이어도 크게 문제는 없다.
또한, 격벽(2f)의 두께(K)도 1mm 이내로 하며, 최소 0.01mm 이상으로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와 가장 인접된 화소(2n)에서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경계(2g)까지의 거리는 2mm 이내로 한다.
여기서 격벽(2f)은 디스플레이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의미한다. 즉, 실런트(Sealant)를 사용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기판이 유리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유리 재질 혹은 기판이 금속재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금속재가 될 수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2)(4) Panel(화면이 표시되는 기능을 하는 부품)측면 부에서 외부와 내부를 경계하는 부분을 통칭한다.
한편, 디스플레이(2)(4)는 통상 샤시(16)에 장착되는 데, 상기 샤시는 알루미늄 혹은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시에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구동부 혹은 백라이트 부품(디스플레이가 LCD로 되어 있을 경우) 등을 장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Module)을 구성한다.
이때 샤시는 반드시 금속재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기구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재와 플라스틱 기구물의 혼용 형태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샤시는 디스플레이 부품이 장착되는 구조물을 통칭한다.
아울러, 이음매부(8)에서 샤시(16)의 두께는 0.01mm이상 1 mm 이내로 한다. 하지만 가장 효율적인 샤시(16)의 최대 두께는 0.5mm를 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 가장 인접한 화소(2n)와 샤시(16)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대 2.5mm 이내가 된다.
물론, 이음매부(8)에서 디스플레이 경계선(2g)과 격벽(2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선(2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럴 경우 이음매부(8)에서 가장 인접한 화소(2n)에서 샤시(16)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대 3.0 mm 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음매 부분의 화면 비표시 영역은 J값, K값 그리고 샤시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이 되며, 그 값이 최대 3.0mm가 된다는 것이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될 경우 그 값은 최대 6mm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4) 이음매부 측면의 경우 샤시(16)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샤시(16) 대신 간단한 보호 필름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4의 실시예는 평판 표시 장치의 형태를 가지게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모두 적용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5는 도 32에서 원안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가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모두 입력장치를 장착할 경우 두 개의 입력장치도 하나의 입력장치(200)를 사용하는 것처럼 하기 위해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
통상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입력장치에서는 저항 값을 읽는 리드선이 입력 장치의 측변에 구비되게 되는데, 이때, 이음매부에 있는 버스(전극선)(250n)의 위치를 설계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격벽(250f)도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도 35는 저항막 방식의 예를 들었는데, 저항막 방식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두 개의 기판(투명 플라스틱)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음매부(8)에 있는 버스(250n)와 격벽 사이의 간격(M)은 1mm 이내로 하며, 그리고 격벽(250f)의 두께(L)도 0.01mm에서 1mm 이내로 한다. 물론 간격(M)이 0mm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격벽은 도전체 필름(220)이 상호 결합되거나, 입력장치 내에 다른 판이 결합될 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는 전극선(250n)과 입력장치(200) 경계(250g)까지의 거리가 2mm 이내가 되게 된다. 혹은,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250a)의 경계에서 입력장치(200) 경계(250g)까지의 거리가 2mm 이내가 되게 된다. 여기서, 액티브 에어리어는 도전체가 코팅되어 정보가 입력 가능한 면적을 말한다.
물론, 이음매부(8)의 경계(250g)와 격벽(250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250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50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럴 경우에는 전극선(250n)과 경계선(250g)까지의 최대값은 2.5 mm가 된다.
한편, 정전용량 방식 같이 입력장치 방식에 따라서는 반드시 격벽(250f)이 존재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방식에서도 경계선(250g)과 전극선(250n)사이의 거리는 2mm 이내로 한다. 마찬가지로 액티브 에어리어 경계부터 경계선(250g)까지의 거리도 2mm 이내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는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혹은 유리의 평편한 판으로 구성되며, 평면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모든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그림 36은 디스플레이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음매 부분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 가깝게 위치한 형상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로서 LCD를 사용할 수고 있고, OLED 혹은 전자 종이등도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든지, 이음매부(8)에서는 디스플레이 경계(2g)와 가장 이웃하는 화소(2n) 사이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 설계한 설계 값은 모든 평판 디스플레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에서는 OLED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그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2)(4)는 기판(51)에 절연층(53), 전극(54), 코팅 전극(58), 유기 다층막(53) 등을 구비하며, 분리막(57)을 사이에 두고 흡습층(56)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덮개 기판(52)으로 기판(51)을 덮게 된다. 이때, 격벽(2f)은 접착제 등으로 형성한 실런트 일수도 있지만, 상기 기판이 격벽(2f)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기판 표면을 식각 공정으로 일부 제거하여 기판 표면 안쪽에 공간을 만든 다음, 절연층과 유기 다층막 혹은 전극등을 형성하게 되면, 식각 공정에서 남게 된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격벽(2f)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은 당연하다.
한편 이음매부에서는 샤시가 측면 만을 카버하게 되지만, 위 부분을 카버 할 때에는 화면 비표시영역에 해당되는 부분(P) 만을 카버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 36의 실시예는 OLED 방식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평판 형태의 표시장치는 모두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7과 도 38은 입력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도면이다.
도 37에서는 입력장치(200)가 구비되 디스플레이(2)(4)의 이음매부(8)는 패널하우징의 한 측벽(20a) 상단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는 "" 자 형상의 덮개(24)가 패널하우징(20) 상단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2)(4)의 화면비표시 영역인 가장자리를 덮개 된다.
그리고, 덮개에 입역 버튼(110)이나 스피커(101)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8은 자 형 덮개를 나타내지만 이음매 부분이 더 얇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경우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이음매 부분에서는 덮개(24)의 폭이 더 얇다.
즉, 본 발명에서 덮개(24)는 화면 비표시 영역을 덮으며, 화면 비표시 영역은 이음매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이 더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덮개도 이음매 부분은 그 폭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39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에는 화면 표시 영역이 존재하게 되며, 화면 표시 영역을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라고 하다면, 상기 액티브 에어리어가 이음매부 방향으로 더 가깝게 치우쳐져 있는 것이다. 즉, 이음매 부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더 작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2)로 편의상 나타내었지만, 입력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의 디스플레이(2)를 의미하며 도면 부호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입력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락한 것이다.
모양 덮개(도 38)도 같은 원리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지 이음매 부분에서는 덮개(24)의 폭이 더 얇다.
도 40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2)와 입력 장치(200)가 각각 분리되어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되고, 도 37에서 도 39등에 도시된 덮개(24)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장치(200)가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2) 표면을 보호하는 외부 보호판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에 "" 자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Mask Printing)(16d)혹은 문양 등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프린팅(16d)은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화면비표시 영역을 막아주게 된다. 이때 막아주는 효과는 시각적인 의미가 더 크다.
여기서 입력장치(200)에 마스크 프린팅을 한다는 것은 입력장치 상단의 보호필름, 보호판, 혹은 윈도우 판에 마스크 프린팅을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원안의 또 다른 마스크 프린팅(16d)의 실시예에서처럼 마스크 프린팅(16d)를 자 모양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음매 부분에서는 더 얇게 형성되게 된다.
디스플레이에 존재하는 액티브 애리어(Active Area)가 이음매부에서는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어, 이음매 부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더 작기 때문에 마스크 프린팅(16d)의 폭도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는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혹은 유리의 평편한 판으로 구성되며, 평면에 전극도 형성되거나, 혹은 평면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모든 방식을 의미한다.
도 41내지 도 44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에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하게 되고, 그 상단에 다시 입력장치(200)(4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400)는 자형 덮개(24)와 어셈블리(Assembly)되어 디스플레이(20)(40)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다.
당연히 자형 덮개(24)와 하부 패널하우징(20)(40)은 연결 나사 등으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이며, 이는 통상의 설계 결합구조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아울러 덮개(24)와 입력장치(200)(400) 사이에는 어느 정도는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며 그 단차의 정도는 2mm 이내로 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0)(400)에 절단부(6a)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6a)에 연결수단(6)이 위치하게 된다.
도 42는모양의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모양을 나타내며 나태내며, 당연히 이음매 부에서는 덮개의 폭이 더 작게 형성되며 그 이유는 도 37에서 도 40에 설명된 경우와 같다.
그리고, 모양의 덮개도 자 모양의 덮개처럼 장착된다.
도 43은 플레임(Frame) 형태의 덮개를 나타낸다. 즉, 도면에서처럼 덮개(24)의 가장자리에 덮개 측벽(24a)이 구비된다. 즉 덮개 역할과 패널하우징 측벽 역할을 하는 플레임 형태의 덮개이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는 상기 덮개측벽(24a)이 디스플레이(2)(4) 측면이나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은 당연하다.
도 44는 단면도(도 43에서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그림에서처럼 덮개(24)의 가장자리에 덮개 측벽(24a)이 구비된다.
즉, 덮개(24)의 이음매부 하단에는 디스플레이 측면, 입력장치 측면, 혹은 광학 수단 측면이 밀착되는 덮개 측벽(24a)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음매 부가 아닌 곳은 패널하우징(20)(40)의 케이스 측벽과 같은 역할을 하는 측벽(24b)이 존재한다. 물론 상기 케이스 측벽(24b)이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음매(8) 부분에서는 덮개(24)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음매 부분을 제외한 다른 곳에 만 덮개(2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 부분에서 설명된 패널하우징 측벽에 해당되는 실시예가 덮개 측벽(24a)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2)(4)나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덮개측벽(24a)이 절개되기도 하고, 덮개 측벽의 일부가 디스플레이(2)(4) 측면이나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이나 보호필름으로 대체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고려하면 몇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디스플레이(2)(4)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 모두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둘째는 입력장치(200)(400) 측면은 덮개측벽(24a)에 밀착되고, 디스플레이(2)(4) 측면은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셋째는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디스플레이(2)(4) 측면이 모두 덮개 측벽(24a)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넷째는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디스플레이(2)(4)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 측벽과 덮개측벽(24a)이 각각 일정 비율로 나누어서 밀착할 수 있다. 즉, 입력장치 측면의 일부만 덮개 측벽이 밀착할 수 있고, 또한 입력장치 측면과 디프플레이 측면의 일부만 덮개 측면이 밀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4 가지 경우 모두에, 본 발명에서 기술한 측벽이 절개되거나 측벽이 보호 수단으로 대체되는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에서 덮개 측벽이 밀착된다는 것은 덮개 측벽이 그대로 밀착될 수 있지만, 덮개 측벽이 절개 되어 밀착되거나 덮개 측벽이 보후 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대체되어 밀착되는 모든 경우를 전부 의미한다.
한편, 덮개측벽(24a)이 구비된 덮개(24)나 덮개측벽이 구비되지 않은 덮개(24)가 패널하우징(20)(40)과 결합될 때 돌기나 단차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이러한 결합은 통상의 결합 방법에 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프레임 형태이 덮개는 패널하우징에 견고함을 주기 위한 구조로 착안된 것임으로, 당연히 플라스틱 수지 이외에 합금 등의 금속재나 리퀴드 메탈(Liquid Metal)등의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의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는 단말기 본체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위치를 설계 변경하게 된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구조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장치를 커넥터(2d)(250d)와 연결하는 FPC(Flexable Printed Circuit)(2c)(4c)(250c)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FPC(2c)(4c)(250c)는 이음매부 반대쪽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의 커넥터(250d)는 디스플레이(2)(4)의 접합부(2e)(4e)와 납 땜등을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디스플레이(2)(4)의 커넥터(2d)(4d)와 본체부와의 연결로 입력장치(200)와 본체부 연결도 되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커넥터(2d)(4d)가 입력장치 커넥터의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한 변에 외부 신호선(FPC)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 신호선을 이음매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물론,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분리되어 각각 별개로 패널하우징(20)(40)에 장착될 경우(도 40과 도 41의 실시예 참조)에는, 입력장치(200)에 외부 신호선(FPC)를 연결할 때 이음매부(8)를 제외한 다른 세 변중에서 한 변을 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46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는 통상 구동부화 패널부로 나뉘게 되며, 통상 디스 S레이 패널은 유리 기판으로 되어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 프라스틱 기판으로도 되어 있다.
이때, 도 46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4 개의 각 변을 각각 1, 2, 3, 4 변이라고 할 때, 제 1변을 이음매부분이라고 하면, 그 반때인 제 3변에 구동 드라이버(2k)를 실장하게 된다.
통상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Matrix) 구동으로 두 변에서 구동 신호를 보내게 된다. 하지만, 이럴 때에는 구동 드라이버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 2 변과 제 4변에서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i)를 제 3변까지 연결되도록 한다. 그래서 제 3 변에서 실장된 구동 드라이버(2k)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신호를 보낼 수가 있다.
도 47내지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제 1 변이 이음매부일 때 구동 드라이버(2c)가 위치하는 부분이 제 4변이 된다. 즉 이음매부를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으로 할 때, 구동 드라이버(2k)가 위치하는 부분이 위쪽 혹은 아래쪽이 되게 된다.
제 4변에 구동 드라이버(2c)를 실장하기 위해 제 1변 혹은 제 3변의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i) 제 4변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공급선(2i)을 1변과 3변으로 나누어 제 4변에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공급선(2i)은 구동 드라이버(2k)와 연결되어 신호선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배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극(2f)이라고 간단히 표현했지만, 실제는 TFT(Thin Film Transister) 혹은 화소 전극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34에서 도시된 "J"갑과 "k" 값의 합인 2mm 의 값에 1.5mm의 여유를 더 주게 된다. 즉, 공급선(2i)이 지나가기 위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이음매부(8)부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2)(4) 경계선까지의 거리는 최대 3.5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도 48은 연결 공급선을 변경한 또 다른 실시예이 도면이다,
제 1변을 이음매부라고 할 때, 이음매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 1변에서는 공급선(2i)이 지나가지 않게된다. 그리고, 이음매부(8)와 반대 편인 제 3변에 공급선(2i)이 모두 지나가도록 하며, 상기 공급선(2i)이 구동 드라이버(2k)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 1변에서, 이음매부(8)부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2)(4) 경계선까지의 거리는 최대 2.0mm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설계 조건에 따라, 공급선(2i)이 3변에 많이 지나가게 하고, 제 1변에는 적게 지나가게 할 수 있다. 즉, 공급선(2i)이 지나가는 비율을 제 3변과 제 1변에 각각 일정 비율로 분배할 수 있다.
도 49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2)(4)의 이음매부(8)가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이라면 구동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FPC(2c)(4c)나 외부 연결 커넥터(2d)(4d)가 아래쪽(경우에 따라 위쪽일 수도 있음)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입력장치 연결용 FPC(250c)와 커넥터(250d)도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50내지 도 53은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0은 도면에서 처럼 = 모양 덮개(34)가 패널하우징 상단을 덮개 된다. 즉, 도 37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데, 도 47과 도 48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다. 그리고, 그 위에 =와 같은 모양의 덮개(34)가 장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2)에 입력장치(200)가 도 49의 경우처럼 장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 양 측면은 패널하우징(20) 측벽이나 보호수단이 구비되게 되고, 디스플레이(2) 위 쪽 혹은 아래쪽의 화면 비표시 영역을 = 모양 덮개(34)가 덮개 되는 것이다.
도 51은 덮개의 또 따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 와 같은 모양의 덮개가 장착된다. 단지 "" 모양에서 좌우 부분이 아래 부분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아래 부분은 디스플레이(2)(4)에서 구동 드라이버(2k)가 장착된 부분이며, 따라서, 구동 드라이버가 장착된 부분이 위쪽에 있으면 덮개(34)의 좌우 부분이 위쪽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도 47과 도 48에 설명된 제 1 변과 제 3 변의 두께에 따라 "" 모양의 덮개에서도, 덮개의 왼쪽 부분과 덮개의 오른쪽 부분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2는 프레임 형태의 덮개(34)를 나타낸 모양이다. 도 43에서처럼 덮개 가장자리에 덮개측벽(34a)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측벽(34a)은 도 43과 44의 덮개측벽(24a)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3은 47과 도 48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연결축(61)(62)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된 이음매 부분이 작도록 한다. 그리고, 화면이 좌우로 확대되어 더 큰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가 있는 것이다.
도 54은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는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되고, 입력장치(200)는 덮개(34)와 결합된 상태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덮개는 =모양 덮개이지만, 위 혹은 아래 부분 보다 좌우가 얇게 형성된 모양의 덮개(34) 형태도 가능하다.
이때, 입력장치가 필요 없는 상황에서는 입력장치 대신 보호판을 사용하며 강화유리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입력장치(200)가 보호판의 구실을 할 수도 있고, 만일 입력장치가 필요 없는 휴대용 표시장치일 경우에는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보포판이 상기 입력장치(200) 위치에 대신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4의 실시예에서 뿐아니라 입력장치가 디스플레이와 분리되어 패널하우징 가장 윗면에 구비될 때, 입력장치 위치에 보호판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200)가 덮개(34)에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덮개의 구조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프레임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프레임 형태가 된다면 덮개 역할도 하지만 측벽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덮개와 측벽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측벽의 기능을 가지는 덮개와 결합된 입력장치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5와 도 56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5는 보호판 기능도 하는 입력장치(200)가 패널하우징(20)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 와 같은 모양으로 마스크 프린팅(16d)되어 있는 입력장치가 패널하우징에 직접 장착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에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는 원리는 앞의 실시예와 같다.
도 56는 와 같은 모양으로 마스크 프린팅(16d)되어 있는 입력장치(200)가 패널하우징(20)에 직접 장착된다. 하지만 좌우가 위 혹은 아래 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54에서 도 56까지의 실시예도 도 53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연결축(61)(62)으로 연결되어,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가 필요 없을 때에는 입력장치의 위치에 보호판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7내지 도 59는 입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도 57에서처럼 윈도우 판 혹은 보호판(240)이 상단에 구비되고 그 아래에 투명도가 보장되는 도전체 층 혹은 ITO 층이 형성된 기능판(241)이 구비된다. 이때 도 20 등에 도시된 마스크 프린팅(16d)는 상기 보호판(240)의 상부면 혹은 하부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점선으로 광학수단(27)이 위치 가능한 지점을 나타내었다. 즉, 입력장치 각각의 판 사이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8은 기능판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 정전용량 방식의 기능판에는 도전체 코팅층(223)이 한층 형성될 수도 있고, 두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전체 층이 코팅된 기능판이 2 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9는 두 개의 기능판(241a)이 사용되고, 각각 안쪽에 도전체 층(223)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두 개의 기능판이 절연체 층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게 된다.
도 60내지 도 65는 기능판의 패턴과 리드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 는 도전체 층에 격자 모양의 전극 패턴(244)이 형성되고 각 패턴은 전극 선(243)에 연결되고 각각의 네 모서리에 리드선(2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형상의 입력장치의 한 부분을 이음매부(8)로 할 때, 상기 이음매부에서는 도전체 층이 형성된 액티브 에어리어에서 입력장치 경계까지의 거리는 2mm 로 혹은 3mm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도 35 실시예 참조)
따라서, 이음매 부에서는 전극선(243)도 2mm 혹은 3mm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61는 또 다른 형태의 패턴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스트립(Stripe) 모양으로 도전체 층이 패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입력장치의 액티브 에어리어(223)가 패턴된 도전체(223a)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패턴된 도전체(223a) 양 옆에 리드선(222a)이 연결되게 된다. 당연히 한쪽 변이 이음매부(8)가 되는데, 이음매 부를 최대한 얇게 하기 위해 리드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이음매로 하는 것이 좋다.
물론 리드선이 형성되어도 이음매 부분의 간격을 2mm 이내로 할 수 있다면, 리드선이 형성된 부분의 변을 이음매부로 할 수도 있다.
도 62와 도 64는 기능판(241)이 두 개 층으로 형성될 때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 개 층은 도 62와 같이 패턴(223b)이 형성되고 한 끝에 리드선(222b)이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한 개 층도 도 63과 같이 패턴(223c)과 리드선(223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층이 결합된 형태의 모양이 도 64가 된다. 즉, 두 개의 패턴(223b,223c)와 리드선(222b, 222c)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력장치가 상호 인접되는 이음매부가 입력장치의 한변에 형성되게 된다. 이때 이음매부는 리드선(223b, 223c)이 형성되지 않는 변이 선택된다.
물론 액티브 에어리어에서 입력장치의 경계까지를 2mm 이내로 형성할 수 있을 때에는 리드선(223b, 223c)이 형성된 곳이 이음매부가 될 수가 있다.
물론, 리드선이 이음매 부에 적게 지나가고 다른 부분에 많이 지나가게 할 수도 있다.
당연히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입력장치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소개된 입력장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평편한 기판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에는 모두 다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5는 액티브 에어리어와 입력장치 경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액티브 에어리(223)의 경계(223a)와 입력장치 경계(250g) 사이에 전극선 등이 구비되지 않는 구조이다. 그리고 액티브 에어리어 경계(223a)에서 입력장치 경계(250g)까지의 거리는 2mm 이내로 한다.
도 66와 도 68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와 광학 수단을 모두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6는 디스플레이(20)(40) 상단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되고 그 위에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4)는 격벽(혹은 시런트 2f)이나 샤시(16) 등과 같이 화면 비표시 영역이 존재하며, 당연히 광학 수단(27)은 화면 비표시 영역 내에 존재하여 이음매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2)(4), 광학수단(27) 그리고 입력장치(200)(400) 측면에 부착된 V5는 보호 필름 혹은 패널하우징 측벽을 나타낸다.
보호필름일 경우에는 코팅 형태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십 마이크로 미터 혹은 0.2mm 이내로 물리적 충격 보다는 밀봉 효과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0.5mm 혹은 1mm 이내로 보호수단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V5가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 만큼 될 수도 있고, 약간 더 두꺼울 수도 있으며, 더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7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더 먼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4) 측면에 위치하게 된 V6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보호 수단으로 될 수도 있다. 두께는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과 작게 형성되지만, 같거나 약간 더 클 수도 있다.
그리고 광학수단(27)과 입력장치(200)(40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V7도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보호 수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두께는V6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도 68 은 V6혹은V7를 나타낸 도면으로,V6혹은V7가 투명 소재의 보호필름이나 보호수단의 형태로 만들어질 때에는, 도면에서 화살표가 표시된 부분인 바깥 부분에 색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바깥 부분(도면에서 화살표 표시)에 일정 색의 필름을 부착시킬 수도 있고 색을 코팅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패널하우징과 같은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9와 도 70은 광학수단이 맨 위에 구비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V8"은 도 66에서V5"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지 광학 수단(27)이 입력장치(200)(400) 상단에 구비되게 된다.
V9"와 "V10"은 도 67의 "V7"과 "V6"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지 광학 수단(27)과 입력장치(200)(400)의 순서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도 66에서 도 70까지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 광학수단(27)(27) 사이의 거리 그리고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는 도 25에서 도 31까지의 실시예의 경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학 수단(27)은 마이크로 렌즈, 마이크로 프리즘, 굴절 렌즈 등 뿐만 아니라 빛의 경로를 이음매 방향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모든 경우는 전부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66에서 도 70까지는 패널하우징 측벽으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덮개 측벽의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1내지 도 7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예로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1처럼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한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 상태로 있다가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면 도 72이 상태가 되고, 다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73의 형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인접된 구조가 된다.
즉, 도 71 내지 도 73은 모양의 덮개(24)(도면 37, 도면 39 참고)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40참고)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그리고, 74내지 76는 모양 혹은 = 모양의 덮개(34)(도 50에서 53 참조)가 가능한 실시예이며, 또한 모양 혹은 =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55, 도면 56 참조)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즉,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되어 형성된 상태(74)에서 화살표 방향처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75)를 거쳐, 두 개 혹은 두 개의 입력장치가 상호 인접된 상태(76)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단말기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7내지 도 8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각각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한 패널하우징(20)(40)이 바깥쪽으로 접히게 된다.
도 77과 도 78은모양의 덮개(24)(도면 37, 도면 39 참고)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40참고)이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78에서처럼 접혔을 때에는 디스플레이(2)(4)가 휴대용 표시장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79에서 82는 모양 혹은 = 모양의 덮개(34)(도면 50에서 53 참조)가 가능한 실시예이며, 또한 모양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 55, 도 56 참조)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즉, 완전히 펼친 상태는 도 76의 모양과 유사하고,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80)와 완전히 접힌 상태(79)가 있게 된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의 패널하우징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도면에서처럼 결합 장치(2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장치(21)(41)는 해당 부분에 N극과 S극의 자석을 각각 구비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홈과 돌기 구조를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60)은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2 패널하우징에 각각 연결된 2 개의 축을 감싼 구조이다. 즉, 두 개의 축으로 접힘과 펼침 동작을 하게 된다. 물론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축으로도 가능한 구조를 만들 수는 있다.
한편, 도 81과 도 82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시 서로 맞 닿은 부분을 곡선으로 둥글에 하여 접힌과 펼침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82는 도 79에서 위 혹은 아래의 측면의 모양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패널하우징의 접히는 부분은 곡면 모양으로 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3내지 도 87은 결합식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3내지 도 86은 모양의 덮개(24)(도면 37, 도면 39 참고)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40참고)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83은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하고 결합수단(26)(46)과 덮개(25)(45)를 각각 구비한 패널하우징(20)(40)이 분리된 상태이다. 그리고 축(23)으로 연결된 덮개(25)(45)를 열수 있는 상태(도 84)가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패널하우징(20)(40)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도 85)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86에서처럼 덮개(25)(45)를 열지 않고 상기 패널하우징(20)(40)을 상호 결합하여 두 개의 화면을 사용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87는 모양 혹은 = 모양의 덮개(34)(도면 50에서 53 참조)가 가능한 실시예이며, 또한 모양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55, 도면 56 참조)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87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처럼 결합 장치(21a)가 구비되어 결합시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 장치는 자석 혹은 홈과 돌기 구조를 가진다.
또한 결합된 상태는 도 76과 유사한 모양을 하게 된다.
도 88내지 도 90은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가 유무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중에 하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표시장치의 성능을 높이고자 두 개의 화면을 장착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개 의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5인치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는 휴대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휴대폰 기능을 하는 별도 단말기(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별도 단말기(150)에는 숫자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155)와 단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2)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도 88에 나타낸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표시장치는 앞 부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9는 원거리 통신 모듈이 두화면이 장착된 표시장치치에 구비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는 도 10에 나타낸 블록도에서 근거리 통신부(241)와 안테나(242)가 더 구비된 경우이다. 따라서, 다른 부품은 도시 편의상 생략하였다.
당연히 근거리 통신부(241)도 중앙 처리장치(105)와 결합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될 수 있다.
별도 단말기(150)에도 근거리 통신부(243)와 안테나(244)가 구비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램, 롬, 이피롬(20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04), 디스플레이(152), 입력장치(155) 등의 제어를 위한 별도 중앙처리 장치(203)가 구비된다.
그리고,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지만, 통화를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가 더 구비됨은 당연하다. 아울러, 도면에서처럼 버튼 방식의 입력 장치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되는 터치형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여기서 원거리 통신은 광역 통신망과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상의 통신 모듈을 의미의미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241)는 별도 단말기(15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통상 근거리 통신 망은 블루트스(Bluetooth), UWB(Ultra-Wide Band, 초광대역통신), 지그비(Zigbee), 와이브리(Wibree), 바이너리 CDMA(Binary CDMA)적외선 통신 및 RS-232 포트 등이 있으며 그밖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별도 단말기(150)의 중앙처리장치(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43)는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별도 단말기 입력부(155)에서 입력된 정보가 근거리 통신부(241)(243)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00)에 전달되어 입력된 정보에 해당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문자나 숫자 입력 혹은 전화 개시나 종료 등 입력부에서 발생한 정보가 중앙처리장치(105)에 전달되는 것이다.
반대로 중앙처리장치(105)에서 제어된 정보가 별도 단말기에 송신되어 별도 단말기(105)의 디스플레이(152)나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정보 송수신에 사용되는 수단이 근거리 무선 통신(241)(243)과 안테나(242)(244)이다.
정보를 보내게 될 경우 정보 데이터를 인코딩하게 되고, 다시 인코딩된 정보를 변환하게 되며, 신호 송신부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정보가 보내지게 된다.
반면 정보를 받게 될 경우 안테나를 통해 들어온 정보가 신호 수신부를 거쳐 신호를 변환한 다음 신호를 디코딩하게 된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241)(243)에는 신호 송수신부, 신호 변환부, 신호 디코딩부 및 신호 인코딩부가 각각 존재하게 된다.
당연히 별도 단말기(150)에는 중앙처리장치(203) 대신 신호 분배기를 구비하도록 하여 무선 통신부(24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에 각각 분배하여 보내주도록 할 수 있다. 즉 반드시 중앙처리장치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90은 원거리 통신 모듈이 별도 단말기에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표시장치의 경우 도 10의 블록도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근거리 통신부만 추가로 더 도시하였다.
별도 단말기(150)에 구비된 원거리 통신용 R/F부(245)에서 출력된 신호가 중앙처리장치(203)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별도 단말기(150)의 중앙처리장치(203)에서 처리된 정보중에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인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부(241)(243)을 통해 대화면 디스플레이(2)(4)에 표시가 된다.
또한, 도 10의 블록도에 나타난 입력부(110) 및 입력장치(250-1)(250-2)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근거리 통신부(241)(243)을 통해 별도 단말기(150)의 중앙처리장치(203)에 전달되게 된다.
물론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표시장치의 기능을 단순 모니터 수준의 기능말 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도 10 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105) 대신 신호 분배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에서 나오는 정보를 해당 디스프레이 혹은 해당 스피커에 보내주게 된다.
그리고, 램, 롬, 이피롬 등도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별도 단말기(150)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203)가 실질적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2)(4)와 두 개의 입력장치(250-1)(250-2)도 제어하며, 별도 단말기(150)에 구비된 램, 롬, 및 이피롬(204)가 고성능의 기능을 하게 되게 된다.
그리고, 블록도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50-1)(250-2)는 본 발명의 다른 도면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00)(400)와 같은 부품을 의미한다.
이때, 두 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표시장치와 별도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유선으로도 연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 경우는 연결 잭을 사용하면 된다.

Claims (5)

  1.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하우징에 중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센서의 출력에 의해 중앙처리 장치는 표시되는 화면을 상하로 분리하는 것 혹은 좌우로 분리 하는 것 중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은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5mm 미만이며, 상기 입력장치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4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 수단이 구비되었을 때 상기 광학 수단 사이의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3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존재하면 화면이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경계부가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PCT/KR2010/000312 2009-01-19 2010-01-18 휴대용 표시장치 WO2010082800A2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047953A CN102282535A (zh) 2009-01-19 2010-01-18 便携式显示装置
EP20177432.0A EP3734441A1 (en) 2009-01-19 2010-01-18 Portable display device
EP10731415.5A EP2388687A4 (en) 2009-01-19 2010-01-18 PORTABLE DISPLAY DEVICE
US13/144,946 US20110285607A1 (en) 2009-01-19 2010-01-18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0147035127A KR20150013790A (ko) 2009-01-19 2010-01-18 휴대용 표시장치
US13/868,899 US20130257685A1 (en) 2009-01-19 2013-04-23 Portable display device
US14/072,085 US20140071101A1 (en) 2009-01-19 2013-11-05 Portable display device
US16/698,420 US20200098325A1 (en) 2009-01-19 2019-11-27 Port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56 2009-01-19
KR20090004256 2009-01-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144,946 A-371-Of-International US20110285607A1 (en) 2009-01-19 2010-01-18 Portable display device
US13/868,899 Continuation US20130257685A1 (en) 2009-01-19 2013-04-23 Port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2800A2 true WO2010082800A2 (ko) 2010-07-22
WO2010082800A3 WO2010082800A3 (ko) 2010-09-23

Family

ID=4234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0312 WO2010082800A2 (ko) 2009-01-19 2010-01-18 휴대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20110285607A1 (ko)
EP (2) EP3734441A1 (ko)
KR (2) KR20150013790A (ko)
CN (2) CN102282535A (ko)
WO (1) WO201008280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3674A1 (en) * 2010-11-25 2012-05-31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EP2709095A1 (en) * 2011-05-11 2014-03-19 Kyocera Displa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088B1 (ko) 2011-09-22 2017-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974350B2 (ja) * 2011-11-24 2016-08-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EP2824500A4 (en) * 2012-03-06 2016-08-31 Lg Electronics Inc MULTIPLE THREE-DIMENSIONAL DISPLAY
CN103515410B (zh) * 2012-06-29 2016-08-03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615791B1 (ko) * 2012-11-14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KR101967717B1 (ko) * 2012-12-27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09070A (ko) * 2013-07-12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288238B1 (ko) 2013-09-03 2021-08-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CN104637886B (zh) * 2013-11-12 2017-09-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折叠式封装结构
US9460688B2 (en) * 2014-06-16 2016-10-04 Rod G. Kosann Electronic display locket and system
US9880799B1 (en) * 2014-08-26 2018-01-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xtendable display screens of electronic devices
WO2016174835A1 (ja) * 2015-04-28 2016-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349045B2 (en) * 2015-06-03 2019-07-09 Stanley Shao-Ying Lee Three-dimensional (3D) view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US10429892B1 (en) * 2016-01-12 2019-10-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hin display housings
US10244088B2 (en) * 2016-10-11 2019-03-26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KR20180062275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51911B2 (en) * 2017-02-28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device
CN107168563A (zh) * 2017-06-30 2017-09-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鼠标切换的控制方法及装置
CN207381016U (zh) * 2017-10-31 2018-05-1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屏
KR102529077B1 (ko) * 2018-03-06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916717B2 (en) * 2018-05-29 2021-02-0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ssembly
KR102483631B1 (ko) * 2018-06-11 202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8423B1 (ko) * 2018-07-03 2023-09-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패널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09374B1 (ko) * 2018-11-28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837106B2 (ja) * 2019-08-27 2021-03-0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102644207B1 (ko) * 2019-10-15 2024-03-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플라스틱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클러스터
WO2021212479A1 (zh) * 2020-04-24 2021-10-28 宏启胜精密电子(秦皇岛)有限公司 电路板及其制造方法
CN114859591B (zh) * 2021-02-05 2023-11-2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显示系统和显示系统的控制方法
CN112817174A (zh) * 2021-02-22 2021-05-1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拼接屏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32A (ko) * 1999-08-11 1999-11-05 서치교 확장형 디스플레이장치
KR20010026059A (ko) * 1999-09-02 2001-04-06 함상천 양면 표시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80062625A1 (en) * 1999-10-18 2008-03-13 Jeffrey Batio Portable computer for dual, rotatable screens
AU2391901A (en) * 2000-01-24 2001-07-31 Spotware Technologies, Inc. Compactable/convertible modular pda
AU2001294286A1 (en) * 2000-09-19 2002-04-02 Si Han Kim Multi display device
JP2004533641A (ja) * 2001-05-02 2004-11-04 ビットストリーム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非線形カラー・バランスを使用して副画素最適化フォント・ビットマップを生成及び表示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424468B1 (ko) * 2001-12-03 200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KR100921580B1 (ko) * 2002-09-17 2009-10-13 (주)폴딩모바일 멀티 디스프레이 장치
GB0223883D0 (en) * 2002-10-15 2002-11-20 Seamless Display Ltd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CN2641940Y (zh) * 2003-04-29 2004-09-15 宏碁股份有限公司 掌上型信息通讯设备的滑置式输入输出机构
KR100537280B1 (ko) * 2003-10-29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JP4408368B2 (ja) * 2003-12-24 2010-02-0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およびこれらを用いる機器
KR100614898B1 (ko) * 2004-06-01 2006-08-25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JP2006010811A (ja) * 2004-06-23 2006-01-12 Sony Corp 表示装置
JP2006053678A (ja) *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KR101034748B1 (ko) * 2004-12-31 2011-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EP1891498A4 (en) * 2005-06-01 2009-09-23 Si-Han Kim PORTABLE DISPLAY DEVICE
US20070046561A1 (en) * 2005-08-23 2007-03-01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7844301B2 (en) * 2005-10-14 2010-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CN2891038Y (zh) * 2005-12-30 2007-04-1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具双面触控面板的屏幕信息装置及其双面触控面板
CN200947186Y (zh) * 2006-01-19 2007-09-12 深圳市顶星数码网络技术有限公司 笔记本电脑的铰链及具有该铰链的笔记本电脑
CN101154133A (zh) * 2006-09-25 2008-04-02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屏幕切换装置
US8223087B2 (en) * 2006-09-25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247128A1 (en) * 2007-04-03 2008-10-09 Soon Huat Khoo Composite Two Screen Digital Device
US8860632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20110148934A1 (en) * 2009-12-18 2011-06-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an Information I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388687A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3674A1 (en) * 2010-11-25 2012-05-31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8988313B2 (en) * 2010-11-25 2015-03-24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EP2709095A1 (en) * 2011-05-11 2014-03-19 Kyocera Displa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709095A4 (en) * 2011-05-11 2014-09-24 Kyocera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8325A1 (en) 2020-03-26
KR20110122832A (ko) 2011-11-11
US20130257685A1 (en) 2013-10-03
US20140071101A1 (en) 2014-03-13
CN102282535A (zh) 2011-12-14
EP2388687A4 (en) 2013-07-24
KR20150013790A (ko) 2015-02-05
EP3734441A1 (en) 2020-11-04
US20110285607A1 (en) 2011-11-24
WO2010082800A3 (ko) 2010-09-23
CN105259976A (zh) 2016-01-20
EP2388687A2 (en)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2800A2 (ko) 휴대용 표시장치
WO2021054759A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222346A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WO2012096440A1 (en) Display apparatus
WO2012057582A1 (en) Display apparatus
WO2014196724A1 (ko) 벽걸이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WO2022163875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311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18016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background
WO202014571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20171656A1 (ko) 전기 변색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선글라스
WO2021137505A1 (en) Display apparatus
WO2022164302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듀얼 디지타이저
WO2016036071A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전자 노트 및 휴대용 단말기
WO2011059301A2 (ko) 휴대용 표시장치
WO2012005541A2 (ko) 휴대용 표시장치
WO2019182308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20197348A1 (ko)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107591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creen capturing by electronic device
WO2021162139A1 (ko) 이동 단말기
WO2019226011A1 (ko) 정보 출력 장치
WO2022014958A1 (ko)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078257A1 (ko) 지문센서 커버
WO2020197349A1 (ko) 카메라 모듈
WO2022034941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04795.3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314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14494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7314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7020185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