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832A - 휴대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2832A KR20110122832A KR1020117020185A KR20117020185A KR20110122832A KR 20110122832 A KR20110122832 A KR 20110122832A KR 1020117020185 A KR1020117020185 A KR 1020117020185A KR 20117020185 A KR20117020185 A KR 20117020185A KR 20110122832 A KR20110122832 A KR 201101228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input device
- screen
- panel
- display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이음매부를 최소화 하는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이음매부인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이에 대한 문제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경계부가 줄 간격 사이에 존재할 수 있도록 화면을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경계부가 줄 간격 사이에 존재할 수 있도록 화면을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이음매부를 최소화 하는 구조를 제공함고 동시에, 상기 이음매부인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이에 대한 문제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에서 화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별도의 패널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하우징 각각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때,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인접되는 구조를 갖더라 하더라도, 별도의 두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만큼 화면 비표시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 비표시 영역은, 경계선, 보호판 혹은 보호 부재의 두께, 패널하우징의 두께 및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이음매 부분의 여유 간격 등에 의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비표시 영역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경계선에 의해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를 읽는 데 방해 받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구체적인 수단이 아직까지는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이음매부 즉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경계부에 의해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를 읽는데 방해 받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 설계와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하우징에 중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센서의 출력에 의해 중앙처리 장치는 표시되는 화면을 상하로 분리하는 것 혹은 좌우로 분리하는 것 중에서 선택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은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5mm 미만이며, 상기 입력장치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4mm 미만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 수단이 구비되었을 때 상기 광학 수단 사이의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3mm 미만이다.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존재하면 화면이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경계부가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두개의 화면을 사용함에 따르는 문제점인 두개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이음매에 의해 경계부가 생기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되어 글자를 읽는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화면의 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경계부에 텍스트가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오게 되더라도 작업자는 아무런 방해 없이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5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8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경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구동 블럭도로서, 디스플레이 구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블록도 및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6과 17은 구동 방법에 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와 19는 화면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내지 도 24는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텍스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2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26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27내지 도 29는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과 31은 디스플레이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2와 도 33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4내지 도 36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7과 도 38은 입력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도면이다.
도 39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1내지 도 44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내지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내지 도 53은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4은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5와 도 56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7내지 도 59는 입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내지 도 65는 기능판의 패턴과 리드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6와 도 68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와 광학 수단을 모두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9와 도 70은 광학수단이 맨 위에 구비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1내지 도 7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예로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7내지 도 8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3내지 도 87은 결합식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8내지 도 90은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가 유무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5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8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경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구동 블럭도로서, 디스플레이 구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블록도 및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6과 17은 구동 방법에 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와 19는 화면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내지 도 24는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텍스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2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26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27내지 도 29는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0과 31은 디스플레이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2와 도 33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4내지 도 36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7과 도 38은 입력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도면이다.
도 39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1내지 도 44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내지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내지 도 53은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4은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5와 도 56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7내지 도 59는 입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내지 도 65는 기능판의 패턴과 리드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6와 도 68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와 광학 수단을 모두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9와 도 70은 광학수단이 맨 위에 구비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1내지 도 7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예로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7내지 도 8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3내지 도 87은 결합식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8내지 도 90은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가 유무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할 경우 화면을 상하 방향 혹은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텍스트는 글자를 의미하여 명확하게는 글자 라인(Line)을 의미한다. 그리고, 텍스트 이미지는 텍스트(Text) 파일(File)이 아니라, 모양을 나타내는 이지미(Image) 파일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 평판 디스플레이 형태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는, 두 개의 디스프레이(2)(4)와 상기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패널하우징(20)(40)에는 디스프레이를 구동하거나 장착하기 위한 회로나 부품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연결수단(6)에 의하여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수단(6)으로 힌지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접이식의 표시장치를 의미하므로, 접힘과 펼침이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라면 반드시 힌지를 사용한 경우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힌지나 축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두 개의 패널하우징을 서로 점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면 모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에는 커버수단(18)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수단은 디스프레이(2)(4)가 접혀졌을 때 디스플레이의 측면을 보호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에서 측면을 커버할 수 있는 구조이면 반드시 도 2에 나타낸 커버수단의 형태가 아니어도 본 발명의 원리는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내지 도 5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패널하우징(20)(40) 상단에 디스프레이(2)(4)가 구비됨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져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디스프레이(2)(4)는 서로 인접된 상태가 된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디스프레이(2)(4)가 서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해서, 패널하우징(20)(4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인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 상단에 디스프레이(2)(4)를 구비하도록 한다.
아울러, 패널하우징(20)(40) 내부에는 각종 회로 및 장치(25)(45)가 구비되고, 디스프레이(2)(4)를 받치는 받침부(26)(46)가 또한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프레이(2)(4) 가장자리에 덮개(24)가 구비된다. 한편, 커버수단(18)은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회전중심 A의 연장선은 덮개(24)의 표면과 만난다. 즉 회전 중심의 높이는 덮개의 높이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가 상호 밀착된 경우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이 0.01mm 정도로 볼수도 있다.
도 4는 디스프레이 상단에 보호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덮개(24)와 패널하우징(20)(40) 측면에 단차(24a)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24a)에 보호수단(14)을 장착하므로서, 디스프레이(2)(4)의 측면과 디스프레이(2)(4) 앞면에 보호수단(14)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4) 하부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학수단은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경계면인 이음매를 광학적으로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수단(14)은 1 mm 혹은 0.5 mm 이하로 얇게 형성한다.
도 5는 패널하우징의 측면에 연결이음부를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프레이(2)(4)가 상호 인접되며, 이 사이에 연결이음부(20a)(40a)가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즉, 패널하우징(20)(40)의 밀착되는 측면을 절개하여 개구(8b)혹은 연결이음부(20a)(40a)를 형성하여 디스프레이(2)(4)가 상호 인접되게 된다.
상기 연결이음부(20a)(40a)는 패널하우징(20)(40)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혹은 두께가 0.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6 내지 8는 패널하우징이 펼쳐진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수단이 구비됨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져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광학수단(27)은 서로 인접된 상태가 된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광학수단(27)이 서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해서,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8b) 측벽 상단에 광학수단(27)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20)는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8b)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통상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8b) 측벽은 통상 1mm 정도가 적당하지만, 신뢰성을 위해서 2.5m 정도로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최대 간격은 5mm 가 된다.
반면. 이음매부 측벽의 두께는 1mm 이지만 디스플레이(2)(4)와 측벽 사이에 거리를 1.5 mm 정도 떨어트려 놓을 수도 있으며, 이경우도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최대 간격은 5mm 가 된다.
도 7은 패널하우징의 측면 상단에 연결이음부를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광학수단(27)이 상호 인접되며, 이 사이에 연결이음부(20a)(40a)가 구비되는 구조가 된다. 즉,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면을 절개하여 연결이음부(20a)(40a)를 형성하여 광학수단(27)이 상호 인접되게 된다.
상기 연결이음부(20a)(40a)는 패널하우징(20)(40)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혹은 두께가 0.3 mm 혹은 0.5 mm 이하로 할 수 있다.
즉, 도 6의 경우에는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광학수단(27)은 상호 맞닿게 되며, 상호 맞 닿을 정도로 밀착 되는 경우에는 최소 거리가 0 mm 라고 할 수도 있지만, 0.01mm정도 최소 간격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는 통상 1mm이지만, 최대 2.5 mm도 될 수 있고, 따라서 광학수단(27)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이음부(20a)(40a)의 두께가 0.5mm 정도 일수도 있지만, 1.5mm까지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패널하우징이 펼쳐졌을 때 광학수단 사이의 거리는 1mm 정도일 수도 있지만 최대 3mm 정도가 될 수도 있다.
도 8의 경우는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된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처럼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되고, 보호필름 혹은 보호판 형태의 보호부재(14a)가 별도로 구비되어 입력장치(200)(400) 측면에 밀착되도록 되어있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도록 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은 최대 2mm 이내 혹은 3mm 이내가 된다. 하지만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 내에 위치하게 되어,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간격이 2mm 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3mm 보다 작게 형성되게 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을 최대 5mm로 항 경우에는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간격은 최대 4 mm 정도로 할 수 있다.
도 9는 경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원안은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이음매부인 경계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경계부인 이음매부(8)에는 디스플레이(2)(4)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화면 비표시영역이 존재하게 되는데, 도 9에서처럼, 화면비표시 영역은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 보호막(14)(160)(16) 및 실링제(2f)(4f) 등의 구간이 된다. 도면에서 화면 비표시 영역을 B로 나타내었으며, 전체 화면 비표시 영역은 B의 두배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화면을 이동하게 되는 이유도 바로 화면 비표시영역 때문이다. 글자 라인이 화면 비표시영역에 의해 나누어지게 되면 글자(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의 시인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화면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보호막(14)은 광학수단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14) 이거나, 디스플레이(2)(4)의 이음매부 측면을 막고 있는 기구물 혹은 샤시의 한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통상 0.5mm 이하이며, 전체적으로는 1mm가 된다.
그리고, 화면비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부분은 화소와 디스플레이 경계까지이며 그 크기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링제는 통상 0.8mm 이하로 형성하지만, 0.3 mm 이하 혹은 0,5mm 이하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화소(2n)(4n)가 이음매부(8) 바로 이웃되게 위치한다. 실링제(2f)와 바로 이웃하게 위치하는 화소(2n1)(4n1)와 실링제 사이의 거리는 0.1 내지 0.2 mm 이하로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경계부터 화소(2n1)(4n1) 사이의 거리는 1.0mm이하가 된다. 그러므로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가 맞 닿는 경우는 합하면 2 mm 가 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의 경우에 설명된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이 최대 5mm이면, 여기에 샤시나 기구 두께 1mm 와 화소 사이의 거리(디스플레이 경계에서부터 화소 사이의 거리1mm 의 두배) 2 mm을 더하면, 최대 화면 비표시영역의 크기가 8mm가 된다.
물론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3mm 이고 샤시나 기구물 두께를 최소화 하고, 디스플레이 경계와 화소 사이의 거리를 최적화 하면 화면 비표시 영역은 6mm 혹은 5mm 이내로 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구동 블럭도로서, 디스플레이 구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105)는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121)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122)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123)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1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력부(110)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다.
중앙처리장치(105)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a)(4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1, 2 디스플레이(2)(4)가 있다.
또한 중력감지센서(235)를 구비하여,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였는가 좌우로 위치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중력센서(235)의 입력신호에 의해 중앙처리장치(105)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는가 좌우로 위치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하좌우의 판단은 중력 센서를 구동하고,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방법에 의해 중력 센서의 출력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화면이 상하로 혹은 좌우로 위치하는가에 대한 판단이므로, 중력센서는 90도 회전 이동에 대한 판단을 하도록 하며, 이전과 다른 출력이 얻어지면 해당 출력에 따라 표시장치의 화면을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통상 사용되는 중력센서는 무게추를 가변저항과 연결하여 회전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판과 무게추로 구성된 중력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게추의 회전에 따라 신호코드와 접촉(또는 비접촉 검출)되는 측정부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력센서는 동종의 기술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따라서, 그밖에 통상의 중력센서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휴대용 표시장치의 경우 직사각형 혹은 정사각형으로, 통상 표시장치가 90도 정도 움직일 경우 화면이 바뀌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중력센서(235)도 90도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할 때를 정상 상태로 좌우(2)(4)로 위치할 때를 비정상상태로 판단하도록 설정하였다.
한편, 입력장치 혹은 메뉴 버튼의 스위치 동작으로 화면 이동을 수동으로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화면을 수동 변환 모드로 설정하면 중력센서의 출력에도 화면은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제 1, 제2 입력장치 구동부(1401-1)(140-2)를 통해서 제 1, 제 2 입력장치(250-1)(250-2)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250-1)(250-2)가 각각 2 개 존재하므로 입력장치 구동부(1401-1)(140-2)도 2 개 존재하여 각각 해당되는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10의 블록도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50-1)(250-2)는 본 발명의 다른 도면에 도시되 입력장치(200)(400)와 동일한 것이다.
도 11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블록도 및 제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구비되고 입력장치(250-1)(250-2)도 2 개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2)(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고, 두 개의 입력장치(250-1)(250-2)에서 출력되는 신호도 제어하게 된다.
도 11에서처럼, 중앙처리장치 혹은 본체제어부(105) 내에는 제어부(110), 메모리(Memory)(120)와 타임 컨트롤러(Time Controller)(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및 입력장치 구동부(140)가 구비된다.
즉, 제어부(110), 메모리(120), 타임 컨트롤러(125), 디스플레이 구동부(130) 및 입력장치 구동부(140)의 기능을 하는 각각의 소자가 본체 제어부(105) 내에 모두 구비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동부(130)에서는 화면을 분할하여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디스플레이(4)에 각각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또한, 입력장치 구동부(140)도 제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각각 교정하고 조정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2)(4)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Source)(2b)(4b)부와 라인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Gate)부(2c)(4c)가 존재하게 된다.
도 12와 도 13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30)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구동부(130)는 컬럼(Column) 데이터 처리부(131)와 로우(Row) 데이터 처리부(132)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두 개로 분할하는 방법은 소스 데이터를 분할하는 방법과 게이트 신호를 분할하는 방법이 있다.
도 12에서처럼, 소스 데이터(화면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컬럼 데이터 처리부(131)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에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로 데이터 처리부(Gate 신호)(132)에서는 신호를 분할하여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2 디스플레이(4)에 나누어서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체 화면의 화소수가 320 X 240 도트(Dot)라고 할때, 이중 데이터(Source, Column) 라인(Line)이 320 개이고, 선택 신호(Gate, Row) 라인이 240 개라고 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 모두 데이터 라인이 320 개이고, 선택 신호 라인이 각각 120 씩 되는 것이다. 즉 전화 화면에서 데이터 라인은 분할되지 않고, 선택 신호(Gate) 라인이 분할 되는 것이다.
이때 분할되는 정도는 통상 1:1(전체 화면이 240 라인이면 가가 120 라인씩)이 되지만, 단말기 설계에 따라 그 비율이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를 140 Line 제 2 디스플레이를 100 Line 등으로 다양한 비율 조정은 가능하다.
그리고, 선택 신호 라인에서는 반복적이고 동일한 파형의 선택 신호만을 순차적으로 보내기 때문에, 라인을 분할 할 뿐이고 동일한 신호를 타임 컨트롤러(Time Controller)(125)의 조절에 의해 보내게 되는 것이다.
도 13의 블록도의 경우는, 로 데이터 처리부(Gate 신호)(132)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에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소스 데이터(화면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컬럼 데이터 처리부(131)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에 각각 신호를 분할하여 보내게 된다.
즉, 도 12의 설명에서의 경우처럼 320 X 240 Dot일 경우,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 모두 게이트(Gate) 라인의 수는 240 개이고,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의 소스(Source) 라인수는 각각 160개가 된다.
즉, 분할하기 전의 전체 화면에서 데이터(Source) 라인이 320 라인이면, 제 1 번 라인에서 160 번 라인까지는 제 1 디스플레이(2)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 161 라인에서 제 320번 라인까지는 제 2 디스플레이(4)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120)부에 저장된 분할하기 전의 전체 화면 데이터 정보는 제어부(110)와 타임 컨트롤러(125)에서 분할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제 1 디스플레이(2)의 데이터 라인과 제 2 디스플레이의 데이터 라인이 반드시 1: 1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2:3, 10: 6, 6:4 등 다양한 비율로 분할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단말기 설계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2)와 제 2 디스플레이(4)의 용량이 반드시 1:1 일 필요는 없게 된다.
도 14는 입력장치 구동부(14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교정기능 수행부(141)는 시스템이 최초 동작할 때 입력장치(250)에 대한 교정(calibration) 기능을 수행한다. 교정 기능 수행부(141)에서 수행되는 교정 기능에 따라 입력장치(250)에 대한 정확한 좌표 값에 대응되는 패널 신호가 선정된다.
즉, 디스플레이(2)(4) 해상도(Source와 Gate의 각각의 라인수)에 따라 좌표 값에 대응되는 입력장치(250) 신호가 선정되고, 상기 선정된 신호는 제어부(11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패널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좌표 값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143)는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4)의 화면 해상도 정보를 토대로 입력장치(250)로부터 출력되는 패널 신호에 대한 평균값 검출 횟수를 조정한다. 상기 화면해상도가 고해상도로 변경되면, 상기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크게 조정된다. 반대로 상기 화면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변경되면, 상기 평균값 검출 횟수는 이전에 설정된 값보다 더 작게 조정된다.
또한, 평균값 검출부(142)는 평균값 검출 횟수 조정부(143)에 의해 조정된 평균값 검출 횟수를 토대로 입력장치(250)로부터 전송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검출한다. 검출된 평균값은 조정된 패널 신호 발생부(144)로 전송된다.
조정된 패널 신호 발생부(144)는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4)의 변경된 화면 해상도 또는 가상 스크롤에 의해 변경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치 정보 및 현재 입력되는 패널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조정된 패널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 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가 구비되며, 따라서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140)에서는 제 1 입력장치(250-1)에 대한 신호 제어와 제 2 입력장치(250-2)의 신호 제어가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타임컨트롤러(125)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소자(145)는 제 1 입력장치(250-1)와 제 2 입력장치(250-2)가 교대로 입력장치 구동부(140))와 연결되도록 한다.
교대로 연결되도록 한다는 것은, 제 1 입력장치에(250-1)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한 다음 제 1 입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한다는 것이며, 시간을 나누어 교대로 각각의 입력장치(250-1)(250-2)의 신호를 처리한 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간 분할은 십분의 일초에서 만분의 일초 혹은 백만분의 일초등 매우 적은 시간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사람의 손으로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구동부를 한 개 사용하여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입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당연히 입력장치 숫자 만큼 입력장치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입력장치 구동부가 중앙처리장치와 별도의 부품일 수도 있지만, 중앙처리 장치와 일체로 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작동이 되면, 본체 제어부(105)도 기능이 작동되어 각각의 장치를 구동하게 된다.(400단계)
본체 제어부(105) 내의 제어부(110)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화면 표시 데이터 혹은 수신된 화면 표시 데이터를 분할하게 되며, 이때 이러한 기능은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구동부(130)와 타임 콘트롤러(125)가 수행하게 된다.(도 12 및 도 13의 설명 참조)
따라서, 본체 제어부(105)는 화면을 분할하여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에 해당되는 화면 데이터 정보를 각각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302 단계)
그런다음 도 14에 구비된 스위칭소자(145)에 의해 입력장치 구동부(140)는 제 1 입력장치(250-1)를 구동하게 된다. 즉, 제 1 입력장치에서 출력 되는 정보를 제어하게 된다.(404 단계) 그리고, 제 1 디스플레이(2)의 화면 표시 정보에 맞게 제 1 입력장치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한다.(406 단계)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정보에 맞게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14의 방법에 준한다.
마찬가지로 스위칭소자(145)에 의해 입력장치 구동부가 제 2 입력장치에서 나오는 출력 신호를 제어하고(408 단계), 제 2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 정보에 맞게 제 2 입력장치의 신호를 제어하게 된다.(410 단계) 이 단계도 마찬가지로 도 14의 방법에 준한다.
그리고, 정지 명령이 없으면 계속적으로 본체 제어부는 화면을 분할하고, 각각의 입력장치를 구동하게 되지만, 정지 명령이 있으면 이러한 일련의 수행 기능은 종료하게 된다.(412 및 414 단계)
즉,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 구동부는 제 1 디스플레이의 화면 정보에 맞게 제 1 입력 장치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 수행하고 제 2 디스플레이의 화면 정보에 맞게 제 2 입력 장치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 수행하며, 입력장치 구동부의 상기의 제어 수행 반복으로 인해 상기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6과 17은 구동 방법에 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의 도면처럼 게이트 전극부를 분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 1 디스플레이(2)는 게이트 전극이 제 1 라인부터 제 n 라인까지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게이트 전극이 제 n+1 라인부터 2n라인까지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부터 제 n라인까지의 구동 신호(제 1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와 제 n+1라인부터 제 2n라인까지의 구동 신호(제 2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정상상태(도면에서 가의 경우)로 판단되고, 디스플레이가 좌우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비정상 상태(도면에서 나의 경우)로 판단된다.
도 17은 도 13의 도면처럼 소스 전극부를 분할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 1 디스플레이(2)는 소스 전극이 제 1 라인부터 제 n 라인까지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소스 전극이 제 n+1 라인부터 2n라인까지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부터 제 n라인까지의 데이터 신호(제 1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와 제 n+1라인부터 제 2n라인까지의 데이터 신호(제 2 디스플레이 데이터 신호)는 각각 분리하여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가 상하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정상상태(도면에서 다의 경우)로 판단되고, 디스플레이가 좌우로 위치하면 중력센서에 의해 비정상 상태(도면에서 라의 경우)로 판단된다.
도 18 와 19는 화면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정상 상태일 경우 화면 패턴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8의 가(A)는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그림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텍스트 라인이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이음매인 경계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8의 나(B)는 화면을 상방향 혹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경계부가 글자의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리고, 도 19는 비 정상상태일 경우 화면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 19의 다(C)는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그림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텍스트 라인이 디스플레이(2)(4) 사이의 이음매인 경계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9의 라(D)는 화면을 좌방향 혹은 우방향으로 이동하여, 경계부가 줄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결과적으로, 화면이 제 1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제 1,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한 방향 표시는 도 18과 도 19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20내지 도 24는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텍스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 20을 먼저 보면, 중력센서의 구동으로 알고리즘이 시작(300 단계)되고, 중앙처리장치(105)는 중력센서가 출력되게 되면(320 단계) 정상상태인가 비정상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340 단계) 그리고, 정상상태와 비정상상태의 개념은 본 발명에서 설정한 것으로서 도 16과 도17의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05)는 정상 상태인 경우 화면을 상하로 분할하고(360 단계), 비정상 상태인 경우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게 된다.(380 단계)
그리고 정상상태 화면에서 화면 분할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하고,(400 단계) 있다면, 위 또는 아래로 그 다음 줄 간격까지 화면을 이동하게 된다.(420 단계)
마찬가지로 비정상 상태의 화면에서도 화면 분할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며,(440 단계) 있다면, 그 다음 줄 간격까지 화면을 좌 또는 우로 이동하게 된다.(460 단계)
당연히 두 경우 모두 화면 분할 경계부에 텍스트 라인이 없다면, 다시 중력 센서의 출력에 따라 알고리즘을 재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그다음 줄 간격까지 화면을 이동 시킨 다음에도 상기 알로리즘을 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입력장치 혹은 메뉴 버튼의 스위치 동작으로 화면 이동을 수동으로 할 수 있다. 즉, 화면 이동을 수동 변환 모드로 설정하면, 텍스크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 위치하게 되어도 화면이 자동으로는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21은 중력센서의 출력에 따른 화면 선택의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즉 도 20의 알고리즘이 내에서, 화면이 90 도 회전하여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중력센서의 출력 여부(480 단계)에 따라 알고리즘이 순환되며, 중력센서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면(485 단계) 화면이 회전 이동되어 표시되게 된다.(485 단계). 그러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되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490 단계)
즉, 본 발명에서는 중력센서에 의해 90도 회전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게 되는 데, 90도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485 단계) 중앙처리장치(200)는 화면을 90도 회전하여 표시하게 된다. 당연히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합쳐져서 하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체 화면을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면 표시 이동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340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도 22는 도20의 알고리즘 내에서 화면을 이동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즉, 도 20의 알고리즘 내에서 400 단계에서 460 단계까지의 알고리즘을 상세히 나타낸 단계이다. 제 1디스플레이는 제 1 라인부터 제 n 라인까지 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n + 1 라인부터 2n 라인까지 이다. 따라서 제 1디스플레이는 제 n 라인이 경계부이고, 제 2 디스플레이는 n + 1 라인이 경계부와 가장 인접하는 라인이다.
그러므로 도 22는 제 1 디스플레이(2)의 경계부를 중심으로 텍스트(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 것을 확인하는 알고리즘인 것이다. 이때 텍스트는 실제 텍스트 파일에서 글자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고, 텍스트 이미지는 글자 모양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즉, 화면에 실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지만, 텍스트 모양을 나타내는 이미지 화면을 뛰울 수도 있는것이다.
순서도를 시작하기 위해 "k=0"을 정한다.(401 단계) 그리고, n-k 라인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402 단계) 만일 402 단계의 판단에서 아니오(no) 라면, 다시 "j=k"로 세팅(403 단계)한 후 n-j 라인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404 단계)
이 단계 후에 아니오(no)라면 j의 값이 3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고(405 단계), 작으면 j 값을 변화시키고(406 단계) 작지 않으면 화면을 이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표시한다.
404 단계의 판단에서 예(yes)라면 j 값이 3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407단계)이때, j의 값이 3보다 작으면, j의 값이 0,1,2 로 변함에 따라 S1의 값도 각각 3,2,1로 정해진다.(408 단계) 그러나 j의 값이 3보다 크면, 화면은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즉, 경계부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없으면, 경계부에서 제 1 라인씩 감소 시키면서 텍스트(혹 텍스트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3 라인까지 텍스트 (혹 텍스트 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때까지 텍스트(혹 텍스트 이미지)가 없으면 화면은 이동 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경계부에서 제 3 라인까지 텍스트 이미지가 없는 경우는, 첫째는 경계부 주위에 텍스트 이미지가 없는 경우-사진이나 그림 등 이미지-이거나, 둘째는 줄 간격 사이에 경계부가 위치하는 경우일 것이다. 이 경우는 당연히 화면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것을 알고리즘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407단계에서 아니오(no)이면, 경계부에서 적어도 3 라인은 떨어져서 텍스트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상황 설정을 하는 단계가 408 단계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서 제 1라인 만 떨어진 경우에는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와 너무 인접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시인성에 문제가 되므로 두 라인을 더 떨어트릴 수 있도록 화면을 이동하게 S1의 값이 정해지는 것이다. 즉, j=1이면 S1는 2가 되는 것이다.
한편, 402 단계 판단에서 예(yes) 라면 k 값을 변환한다.(410 단계) 그리고, n-k 라인에 텍스트 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411 단계) 판단이 예(yes)이면 411 단계를 계속 순환하고, 아니오(no)이면 k를 a 값으로 변환한다.(412 단계)
그리고, a 값이 D 값보다 크거나 같은가를 판단하여,(413 단계) 예(yes)이면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고(415 단계) 아니오(no)이면 경우에 따라 S1 값을 정하게 된다.(414 단계) 즉, S1 값은 a + 2 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S1 값이 정해지면, 화면은 상하 혹은 좌우로 S1 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되는 방향은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이다. 이러한 제 1,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한 방향 표시는 도 18과 도 19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D의 값은 정해진 일정한 수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D가 20 이라면, 경계부의 이음매가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큰 글자이므로 경계부의 이음매가 글자를 인식하는 데 방해되지 않을 수 있고 이럴 경우에는 화면을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표시한다는 것이다. 경계부로부터 20 라인까지 텍스트가 위치할 정도로 글자가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계부에서 D-1 라인까지 텍스트(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있을 경우에는 경계부에 텍스트(혹은 텍스트 이미지)가 없도록 화면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화면 이동 값을 a+2로 하므로서, 화면 이동 후 텍스트 이미지가 경계부에서 적어도 2 라인 이상은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화면 이동후 경계부 바로 이웃하게 텍스트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당연히 상황에 따라 이동 값을 a+3 혹은 a+4 로 할수도 있다. 즉 화면 픽셀이 작은 미세 화면일 경우에는 화면 이동 값의 변화를 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3은 제 2 디스플레이의 경계부의 화면 이동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이다.
원리는 제 1 디스플레이와 동일하며, 단지 제 n + 1 라인부터 시작하여 제 1 라인씩 더해가면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알고리즘에 의해 S2값이 정해지면, S2 값 만큼 제 1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화면이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하를 경계로 위치하고 있을 때나 좌우를 경계로 위치하고 있을 때 모두 알고리즘은 동일하다. 그리고 두 개의 화면이 분할 될 때, 게이트 부분이 분할 되거나 소스 부분이 분할 되어도 알고리즘은 또한 동일하다.
도 24는 구해진 값을 통한 화면 이동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이다.
도 22와 도 23의 알고리즘을 통해서 S1 값과 S2 값이 모두 구해졌는가를 판단한다.(442 단계) 두 개의 값이 모두 구해졌으면 S1 값과 S1 값 중에서 동일하거나 적은 값을 선택한다.(444 단계) 그리고, S1이 선택되면 제2디스플레이(4) 방향으로 S1 만큼 이동하고, S2가 선택되면 제1디스플레이(2) 방향으로 S2 만큼 이동한다(446 단계)
예를 들어 S1 값이 3이고 S2 값이 4 이면, S1의 3을 선택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3 라인(Line) 만큼 화면을 이동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S1 값과 S2값이 모두 4로 같으면,(444 단계) S1과 S2 두가지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해도 4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4 라인 만큼 화면을 이동하면 된다.
한편, S1 값과 S2 값 중에서 하나의 값만 구해졌는가를 판단하고,(448 단계) 하나의 값만 구해졌다면 그 하나의 값이 선택된다. 즉, S1값만 구해지면 제2디스플레이 방향으로 S1 만큼 이동하고, S2값만 구해지면 제1디스플레이 방향으로 S2 만큼 이동하면 된다.(450 단계)
즉, S1 값만 구해져서 S1 값이 3 이라면 3 라인 만큼만 제 2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움직이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448 단계에서 아니오(No)가 되면 S1 값과 S2 값이 모두 구해지지 않은 경우이므로, 이 경우에는 화면을 이동하지 않는 것이다. 즉 화면이 상하로도 혹은 좌우로도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스트립 형태의 이미지에 대해서도 도 20에서 도 24까지 설명된 알고리즘 적용할 수 있다. 즉, 반복적인 줄 무늬의 경우 이에 대한 이미지 인식을 해서 상기 알고리즘을 반영하여 화면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줄무늬 인식은 통상의 이미지 인식 방법에 따른다. 즉 각 라인별 화소에서 각각의 데이터 정보의 크기를 분석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처럼, V로 표시된 부분을 보호필름 형태로 할 때에는, 보호필름은 가급적 얇게 하면서 견고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속막이나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혹은 수지 필름에 금속 혹은 무기물 막을 코팅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V로 표시된 부분이 보호필름 혹은 보호수단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두께는 0.005mm이상에서 0.5m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럴 경우에는 물리적인 충격에서 보호하기 보다는 밀봉 효과가 더 중요할 수 있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이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이때, 상기 보호수단이 얇게 형성되어 물리적 충격에서 보호하는 기능 보다는 밀봉 효과의 기능이 더 클 경우에 대비하여,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도 2의 측면커버(18)에 의해 디스플레이(2)(4) 측면 혹은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물리적 충격에서 더 확실히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보호수단(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를 1mm 이하로 하여 판 형태로 만들어 디스플레이(20)(40)와 입력장치(200)(400)의 측면을 물리적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이 최소 0.1mm 이며, 최대는 2mm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의 간격도 최소 0.1mm 이며 최대는 2mm가 된다.
한편 V로 표시된 부분을 별도의 보호수단으로 하지 않고 패널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렇게 되면 디스플레이(20)(40)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이 보호하게 된다.
이때 도 25에서는 V로 표시된 부분을 패널하우징 측벽(20)(40) 보다 얇게 도시하였으며, 이는 가급적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서 이다. 즉, 패널하우징 측벽보다 얇게 할 경우 적당히는 0.5mm 이내가 좋으나 최대 1mm 이내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V로 표시된 부분을 패널하우징(20)(40) 측벽의 두께와 같게 하거나 약간 두껍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너무 두껍게 상품성이 저하되게 된다.
통상 패널하우징 측벽이 최대 1.5mm 를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따라서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도 최대 1.5 mm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V"로 표시된 부분이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더라도 2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결론적으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최소 0.1mm에서 최대 4mm가 될 수가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가 4mm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가 2mm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2)(4)나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V(패널하우징 측벽이나 보호수단) 사이에 어느 정도 간격이 있어도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로 V의 두께가 0.5 mm 밖에 안되어도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4mm가 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가 최소 0.1mm 이상은 되고 4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측면 혹은 입력장치와 V가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가 그대로 공간일 수도 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추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당연히 이음매부(8)에서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도 최소 0.1mm에서 최대 4mm가 되는 것이다.
도 26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에 구비된 판을 "V1"이라 하고 디스플레이(2)(4) 사이에 구비된 판을 "V2"라고 하면, "V1"의 거리가 "V2"의 거리보다 작다. 즉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이다.
이때, "V1"과 "V2" 모두를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V2" 만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V1"은 별도의 보호 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경우 도 25에서 설명된 보호 수단이나 필름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른다.
물론, "V1"과 "V2" 모두를 패널하우징과는 구별되는 보호 수단으로 만들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이음매부에서는 보호수단이 디스플레이(2)(4)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V1"의 두께는 도 25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르게 된다. 단지 "V2"의 두께보다 얇게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필름의 형태로 될 경우에는 0.5mm이내가 될 수가 있고, 판의 형태로 될 경우에는 최대 1.5 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 26의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3mm 이내가 된다. 당연히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3mm가 되기 위해 "V1"이 반드시 1.5mm가 될 필요는 없다.
즉, "V1"이 0.5 mm이어도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는 3mm가 될 수가 있는 것이다. 입력장치(200)(400)와 "V1" 사이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가 그대로 공간일 수도 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그 사이의 거리가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지만, V2"도 "V1"의 실시예를 따른다.
또한, 같은V1이라도 제 1 디스플레이(2) 측면에 부착되는 경우와 제 2 디스플레이(4) 측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서로 두께가 같을 수도 있지만, 설계 상황에 따라 두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27내지 도 29는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7은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디스플레이(2)(4)를 밀착하고, 패널하우징 측벽 상단(8b) 광학수단을 장착한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가 밀착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 측벽(20)(40)은 다른 부분 보다 얇게 형성된다.
하지만, 도 25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4)가 밀착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20)(40) 측벽이 더 얇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앞의 실시예에 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 상단에 광학 수단(27)이 구비될 수도 있다.상기 광학 수단은 렌즈, 마이크로 렌즈, 마이크로 프리즘 등과 같이 빛의 굴절을 바꾸는 광학 수단이며, 또는 빛의 경로를 이음매(8) 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광학 수단은 디스플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화면 비표시 영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광학 수단은 상호 접촉될 수가 있도록 구비된다. 물론 광학 수단(27) 측면에 보호필름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8은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사이에 V3와 V4" 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 측벽과 일 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패널하우징(20)(40)과는 분리된 별도의 보호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호부재는 투명 혹은 불투명 플라스틱 수지나 합금 류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연히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보다 얇게 형성 될 수도 있고 같은 두께로 형성 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더 두꺼울 수도 있다.
V3와 V4" 가 투명할 경우 바깥쪽에 색을 코팅하거나 색을 가진 필름을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 패널하우징 측면과 색을 같게 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즉,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는 4mm이내가 적당하고, 광학수단(27) 사이의 거리는 2mm이내가 적당하다.
도 29는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보호필름(14)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보호 필름을 구비하여, 최대한 거리를 가깝게 한 것이다. 당연히 상기 보호 필름은 0.5mm 이내가 된다.
도 30와 31은 디스플레이와 부품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패널하우징(20)(40)은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케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하우징 중에서 하나의 패널하우징(20)에는 바닥 부분의 상부에 바로 디스플레이(2) 및 입력장치(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또 다른 패널하우징(40)에는 본체 제어부 혹은 중앙처리장치와 밧테리 등이 구비된다.
즉, 또 다른 패널하우징(40)의 디스플레이(4) 아래 부분에 밧테리나 본체 제어부와 같은 본체 기판등의 부품이 구비되게 된다.
도 31은 표시장치 두께가 얇게되는 패널하우징(20)의 바닥 부분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S)을 나타낸 도면으로, 완전히 밀착되어 간격이 0 일 수도 있지만,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너무 두껍게 할 수는 없으므로 간격(S)은 2.5mm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얇게 형성된 패널하우징(20) 바닥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도면에는 별도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플레이 받침부나 시트(Sheet) 모양의 충격 흡수 판을 삽입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2와 도 33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들이 장착된 샤시(16) 상단에 입력장치(200)가 구비되며, 이를 위해 샤시(16) 측면에 부착부(16c)를 구비하여 입력장치가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부착부(16c)는 양면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접착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2는 상호 분리된 도면이고, 도 33은 디스플레이(2)(4)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샤시는 반드시 금속재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기구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재와 플라스틱 기구물의 혼용 형태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샤시는 디스플레이 부품이 장착되는 구조물을 통칭한다.
도 34내지 도 36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4는 도 32에서 원으로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화면을 연결하여 이음매를 최소화 하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에서도 이음를 줄이기 위한 설계를 해야 한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에 가장 인접한 화소 2n이 있을 때, 상기 인접 화소(2n)와 격벽(2f) 사이의 거리(J)는 1mm 이내로 하며, J 값이 0이어도 크게 문제는 없다.
또한, 격벽(2f)의 두께(K)도 1mm 이내로 하며, 최소 0.01mm 이상으로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와 가장 인접된 화소(2n)에서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경계(2g)까지의 거리는 2mm 이내로 한다.
여기서 격벽(2f)은 디스플레이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의미한다. 즉, 실런트(Sealant)를 사용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기판이 유리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유리 재질 혹은 기판이 금속재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금속재가 될 수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2)(4) Panel(화면이 표시되는 기능을 하는 부품)측면 부에서 외부와 내부를 경계하는 부분을 통칭한다.
한편, 디스플레이(2)(4)는 통상 샤시(16)에 장착되는 데, 상기 샤시는 알루미늄 혹은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시에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구동부 혹은 백라이트 부품(디스플레이가 LCD로 되어 있을 경우) 등을 장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Module)을 구성한다.
이때 샤시는 반드시 금속재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기구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재와 플라스틱 기구물의 혼용 형태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샤시는 디스플레이 부품이 장착되는 구조물을 통칭한다.
아울러, 이음매부(8)에서 샤시(16)의 두께는 0.01mm이상 1 mm 이내로 한다. 하지만 가장 효율적인 샤시(16)의 최대 두께는 0.5mm를 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 가장 인접한 화소(2n)와 샤시(16)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대 2.5mm 이내가 된다.
물론, 이음매부(8)에서 디스플레이 경계선(2g)과 격벽(2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선(2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럴 경우 이음매부(8)에서 가장 인접한 화소(2n)에서 샤시(16)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대 3.0 mm 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음매 부분의 화면 비표시 영역은 J값, K값 그리고 샤시의 두께를 모두 합한 값이 되며, 그 값이 최대 3.0mm가 된다는 것이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될 경우 그 값은 최대 6mm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4) 이음매부 측면의 경우 샤시(16)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샤시(16) 대신 간단한 보호 필름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4의 실시예는 평판 표시 장치의 형태를 가지게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모두 적용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5는 도 32에서 원안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가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모두 입력장치를 장착할 경우 두 개의 입력장치도 하나의 입력장치(200)를 사용하는 것처럼 하기 위해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
통상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입력장치에서는 저항 값을 읽는 리드선이 입력 장치의 측변에 구비되게 되는데, 이때, 이음매부에 있는 버스(전극선)(250n)의 위치를 설계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격벽(250f)도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도 35는 저항막 방식의 예를 들었는데, 저항막 방식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두 개의 기판(투명 플라스틱)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음매부(8)에 있는 버스(250n)와 격벽 사이의 간격(M)은 1mm 이내로 하며, 그리고 격벽(250f)의 두께(L)도 0.01mm에서 1mm 이내로 한다. 물론 간격(M)이 0mm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격벽은 도전체 필름(220)이 상호 결합되거나, 입력장치 내에 다른 판이 결합될 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는 전극선(250n)과 입력장치(200) 경계(250g)까지의 거리가 2mm 이내가 되게 된다. 혹은,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250a)의 경계에서 입력장치(200) 경계(250g)까지의 거리가 2mm 이내가 되게 된다. 여기서, 액티브 에어리어는 도전체가 코팅되어 정보가 입력 가능한 면적을 말한다.
물론, 이음매부(8)의 경계(250g)와 격벽(250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250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50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럴 경우에는 전극선(250n)과 경계선(250g)까지의 최대값은 2.5 mm가 된다.
한편, 정전용량 방식 같이 입력장치 방식에 따라서는 반드시 격벽(250f)이 존재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방식에서도 경계선(250g)과 전극선(250n)사이의 거리는 2mm 이내로 한다. 마찬가지로 액티브 에어리어 경계부터 경계선(250g)까지의 거리도 2mm 이내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는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혹은 유리의 평편한 판으로 구성되며, 평면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모든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그림 36은 디스플레이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음매 부분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 가깝게 위치한 형상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로서 LCD를 사용할 수고 있고, OLED 혹은 전자 종이등도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든지, 이음매부(8)에서는 디스플레이 경계(2g)와 가장 이웃하는 화소(2n) 사이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 설계한 설계 값은 모든 평판 디스플레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에서는 OLED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그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2)(4)는 기판(51)에 절연층(53), 전극(54), 코팅 전극(58), 유기 다층막(53) 등을 구비하며, 분리막(57)을 사이에 두고 흡습층(56)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덮개 기판(52)으로 기판(51)을 덮게 된다. 이때, 격벽(2f)은 접착제 등으로 형성한 실런트 일수도 있지만, 상기 기판이 격벽(2f)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기판 표면을 식각 공정으로 일부 제거하여 기판 표면 안쪽에 공간을 만든 다음, 절연층과 유기 다층막 혹은 전극등을 형성하게 되면, 식각 공정에서 남게 된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격벽(2f)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은 당연하다.
한편 이음매부에서는 샤시가 측면 만을 카버하게 되지만, 위 부분을 카버 할 때에는 화면 비표시영역에 해당되는 부분(P) 만을 카버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 36의 실시예는 OLED 방식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평판 형태의 표시장치는 모두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도 37과 도 38은 입력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도면이다.
도 37에서는 입력장치(200)가 구비되 디스플레이(2)(4)의 이음매부(8)는 패널하우징의 한 측벽(20a) 상단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는 "" 자 형상의 덮개(24)가 패널하우징(20) 상단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2)(4)의 화면비표시 영역인 가장자리를 덮개 된다.
그리고, 덮개에 입역 버튼(110)이나 스피커(101)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8은 자 형 덮개를 나타내지만 이음매 부분이 더 얇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경우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이음매 부분에서는 덮개(24)의 폭이 더 얇다.
즉, 본 발명에서 덮개(24)는 화면 비표시 영역을 덮으며, 화면 비표시 영역은 이음매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이 더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덮개도 이음매 부분은 그 폭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39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에는 화면 표시 영역이 존재하게 되며, 화면 표시 영역을 액티브 에어리어(Active Area)라고 하다면, 상기 액티브 에어리어가 이음매부 방향으로 더 가깝게 치우쳐져 있는 것이다. 즉, 이음매 부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더 작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2)로 편의상 나타내었지만, 입력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의 디스플레이(2)를 의미하며 도면 부호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입력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락한 것이다.
모양 덮개(도 38)도 같은 원리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지 이음매 부분에서는 덮개(24)의 폭이 더 얇다.
도 40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2)와 입력 장치(200)가 각각 분리되어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되고, 도 37에서 도 39등에 도시된 덮개(24)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장치(200)가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2) 표면을 보호하는 외부 보호판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에 "" 자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Mask Printing)(16d)혹은 문양 등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프린팅(16d)은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화면비표시 영역을 막아주게 된다. 이때 막아주는 효과는 시각적인 의미가 더 크다.
여기서 입력장치(200)에 마스크 프린팅을 한다는 것은 입력장치 상단의 보호필름, 보호판, 혹은 윈도우 판에 마스크 프린팅을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원안의 또 다른 마스크 프린팅(16d)의 실시예에서처럼 마스크 프린팅(16d)를 자 모양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음매 부분에서는 더 얇게 형성되게 된다.
디스플레이에 존재하는 액티브 애리어(Active Area)가 이음매부에서는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어, 이음매 부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더 작기 때문에 마스크 프린팅(16d)의 폭도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는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혹은 유리의 평편한 판으로 구성되며, 평면에 전극도 형성되거나, 혹은 평면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모든 방식을 의미한다.
도 41내지 도 44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에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하게 되고, 그 상단에 다시 입력장치(200)(4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400)는 자형 덮개(24)와 어셈블리(Assembly)되어 디스플레이(20)(40)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다.
당연히 자형 덮개(24)와 하부 패널하우징(20)(40)은 연결 나사 등으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이며, 이는 통상의 설계 결합구조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아울러 덮개(24)와 입력장치(200)(400) 사이에는 어느 정도는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며 그 단차의 정도는 2mm 이내로 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0)(400)에 절단부(6a)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6a)에 연결수단(6)이 위치하게 된다.
도 42는모양의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모양을 나타내며 나태내며, 당연히 이음매 부에서는 덮개의 폭이 더 작게 형성되며 그 이유는 도 37에서 도 40에 설명된 경우와 같다.
그리고, 모양의 덮개도 자 모양의 덮개처럼 장착된다.
도 43은 플레임(Frame) 형태의 덮개를 나타낸다. 즉, 도면에서처럼 덮개(24)의 가장자리에 덮개 측벽(24a)이 구비된다. 즉 덮개 역할과 패널하우징 측벽 역할을 하는 플레임 형태의 덮개이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는 상기 덮개측벽(24a)이 디스플레이(2)(4) 측면이나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은 당연하다.
도 44는 단면도(도 43에서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그림에서처럼 덮개(24)의 가장자리에 덮개 측벽(24a)이 구비된다.
즉, 덮개(24)의 이음매부 하단에는 디스플레이 측면, 입력장치 측면, 혹은 광학 수단 측면이 밀착되는 덮개 측벽(24a)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음매 부가 아닌 곳은 패널하우징(20)(40)의 케이스 측벽과 같은 역할을 하는 측벽(24b)이 존재한다. 물론 상기 케이스 측벽(24b)이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음매(8) 부분에서는 덮개(24)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음매 부분을 제외한 다른 곳에 만 덮개(2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 부분에서 설명된 패널하우징 측벽에 해당되는 실시예가 덮개 측벽(24a)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2)(4)나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덮개측벽(24a)이 절개되기도 하고, 덮개 측벽의 일부가 디스플레이(2)(4) 측면이나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이나 보호필름으로 대체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고려하면 몇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디스플레이(2)(4)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 모두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둘째는 입력장치(200)(400) 측면은 덮개측벽(24a)에 밀착되고, 디스플레이(2)(4) 측면은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셋째는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디스플레이(2)(4) 측면이 모두 덮개 측벽(24a)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넷째는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디스플레이(2)(4)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 측벽과 덮개측벽(24a)이 각각 일정 비율로 나누어서 밀착할 수 있다. 즉, 입력장치 측면의 일부만 덮개 측벽이 밀착할 수 있고, 또한 입력장치 측면과 디프플레이 측면의 일부만 덮개 측면이 밀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4 가지 경우 모두에, 본 발명에서 기술한 측벽이 절개되거나 측벽이 보호 수단으로 대체되는 실시예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에서 덮개 측벽이 밀착된다는 것은 덮개 측벽이 그대로 밀착될 수 있지만, 덮개 측벽이 절개 되어 밀착되거나 덮개 측벽이 보후 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대체되어 밀착되는 모든 경우를 전부 의미한다.
한편, 덮개측벽(24a)이 구비된 덮개(24)나 덮개측벽이 구비되지 않은 덮개(24)가 패널하우징(20)(40)과 결합될 때 돌기나 단차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이러한 결합은 통상의 결합 방법에 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프레임 형태이 덮개는 패널하우징에 견고함을 주기 위한 구조로 착안된 것임으로, 당연히 플라스틱 수지 이외에 합금 등의 금속재나 리퀴드 메탈(Liquid Metal)등의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5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의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는 단말기 본체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위치를 설계 변경하게 된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구조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장치를 커넥터(2d)(250d)와 연결하는 FPC(Flexable Printed Circuit)(2c)(4c)(250c)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FPC(2c)(4c)(250c)는 이음매부 반대쪽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의 커넥터(250d)는 디스플레이(2)(4)의 접합부(2e)(4e)와 납땜등을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디스플레이(2)(4)의 커넥터(2d)(4d)와 본체부와의 연결로 입력장치(200)와 본체부 연결도 되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커넥터(2d)(4d)가 입력장치 커넥터의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한 변에 외부 신호선(FPC)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 신호선을 이음매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물론,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분리되어 각각 별개로 패널하우징(20)(40)에 장착될 경우(도 40과 도 41의 실시예 참조)에는, 입력장치(200)에 외부 신호선(FPC)를 연결할 때 이음매부(8)를 제외한 다른 세 변중에서 한 변을 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46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는 통상 구동부화 패널부로 나뉘게 되며, 통상 디스 S레이 패널은 유리 기판으로 되어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 프라스틱 기판으로도 되어 있다.
이때, 도 46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4 개의 각 변을 각각 1, 2, 3, 4 변이라고 할 때, 제 1변을 이음매부분이라고 하면, 그 반때인 제 3변에 구동 드라이버(2k)를 실장하게 된다.
통상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Matrix) 구동으로 두 변에서 구동 신호를 보내게 된다. 하지만, 이럴 때에는 구동 드라이버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 2 변과 제 4변에서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i)를 제 3변까지 연결되도록 한다. 그래서 제 3 변에서 실장된 구동 드라이버(2k)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신호를 보낼 수가 있다.
도 47내지 도 4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7은 제 1 변이 이음매부일 때 구동 드라이버(2c)가 위치하는 부분이 제 4변이 된다. 즉 이음매부를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으로 할 때, 구동 드라이버(2k)가 위치하는 부분이 위쪽 혹은 아래쪽이 되게 된다.
제 4변에 구동 드라이버(2c)를 실장하기 위해 제 1변 혹은 제 3변의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i) 제 4변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공급선(2i)을 1변과 3변으로 나누어 제 4변에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공급선(2i)은 구동 드라이버(2k)와 연결되어 신호선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배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극(2f)이라고 간단히 표현했지만, 실제는 TFT(Thin Film Transister) 혹은 화소 전극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34에서 도시된 "J"갑과 "k" 값의 합인 2mm 의 값에 1.5mm의 여유를 더 주게 된다. 즉, 공급선(2i)이 지나가기 위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이음매부(8)부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2)(4) 경계선까지의 거리는 최대 3.5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도 48은 연결 공급선을 변경한 또 다른 실시예이 도면이다,
제 1변을 이음매부라고 할 때, 이음매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 1변에서는 공급선(2i)이 지나가지 않게된다. 그리고, 이음매부(8)와 반대 편인 제 3변에 공급선(2i)이 모두 지나가도록 하며, 상기 공급선(2i)이 구동 드라이버(2k)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 1변에서, 이음매부(8)부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2)(4) 경계선까지의 거리는 최대 2.0mm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설계 조건에 따라, 공급선(2i)이 3변에 많이 지나가게 하고, 제 1변에는 적게 지나가게 할 수 있다. 즉, 공급선(2i)이 지나가는 비율을 제 3변과 제 1변에 각각 일정 비율로 분배할 수 있다.
도 49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2)(4)의 이음매부(8)가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이라면 구동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FPC(2c)(4c)나 외부 연결 커넥터(2d)(4d)가 아래쪽(경우에 따라 위쪽일 수도 있음)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입력장치 연결용 FPC(250c)와 커넥터(250d)도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50내지 도 53은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0은 도면에서 처럼 = 모양 덮개(34)가 패널하우징 상단을 덮개 된다. 즉, 도 37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데, 도 47과 도 48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디스플레이가 장착된다. 그리고, 그 위에 =와 같은 모양의 덮개(34)가 장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2)에 입력장치(200)가 도 49의 경우처럼 장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 양 측면은 패널하우징(20) 측벽이나 보호수단이 구비되게 되고, 디스플레이(2) 위 쪽 혹은 아래쪽의 화면 비표시 영역을 = 모양 덮개(34)가 덮개 되는 것이다.
도 51은 덮개의 또 따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 와 같은 모양의 덮개가 장착된다. 단지 "" 모양에서 좌우 부분이 아래 부분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아래 부분은 디스플레이(2)(4)에서 구동 드라이버(2k)가 장착된 부분이며, 따라서, 구동 드라이버가 장착된 부분이 위쪽에 있으면 덮개(34)의 좌우 부분이 위쪽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도 47과 도 48에 설명된 제 1 변과 제 3 변의 두께에 따라 "" 모양의 덮개에서도, 덮개의 왼쪽 부분과 덮개의 오른쪽 부분의 폭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2는 프레임 형태의 덮개(34)를 나타낸 모양이다. 도 43에서처럼 덮개 가장자리에 덮개측벽(34a)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측벽(34a)은 도 43과 44의 덮개측벽(24a)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53은 47과 도 48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연결축(61)(62)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된 이음매 부분이 작도록 한다. 그리고, 화면이 좌우로 확대되어 더 큰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가 있는 것이다.
도 54은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는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되고, 입력장치(200)는 덮개(34)와 결합된 상태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덮개는 =모양 덮개이지만, 위 혹은 아래 부분 보다 좌우가 얇게 형성된 모양의 덮개(34) 형태도 가능하다.
이때, 입력장치가 필요 없는 상황에서는 입력장치 대신 보호판을 사용하며 강화유리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입력장치(200)가 보호판의 구실을 할 수도 있고, 만일 입력장치가 필요 없는 휴대용 표시장치일 경우에는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보포판이 상기 입력장치(200) 위치에 대신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4의 실시예에서 뿐아니라 입력장치가 디스플레이와 분리되어 패널하우징 가장 윗면에 구비될 때, 입력장치 위치에 보호판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200)가 덮개(34)에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덮개의 구조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프레임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프레임 형태가 된다면 덮개 역할도 하지만 측벽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덮개와 측벽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측벽의 기능을 가지는 덮개와 결합된 입력장치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5와 도 56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5는 보호판 기능도 하는 입력장치(200)가 패널하우징(20)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 와 같은 모양으로 마스크 프린팅(16d)되어 있는 입력장치가 패널하우징에 직접 장착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에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는 원리는 앞의 실시예와 같다.
도 56는 와 같은 모양으로 마스크 프린팅(16d)되어 있는 입력장치(200)가 패널하우징(20)에 직접 장착된다. 하지만 좌우가 위 혹은 아래 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54에서 도 56까지의 실시예도 도 53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연결축(61)(62)으로 연결되어,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가 필요 없을 때에는 입력장치의 위치에 보호판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7내지 도 59는 입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도 57에서처럼 윈도우 판 혹은 보호판(240)이 상단에 구비되고 그 아래에 투명도가 보장되는 도전체 층 혹은 ITO 층이 형성된 기능판(241)이 구비된다. 이때 도 20 등에 도시된 마스크 프린팅(16d)는 상기 보호판(240)의 상부면 혹은 하부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점선으로 광학수단(27)이 위치 가능한 지점을 나타내었다. 즉, 입력장치 각각의 판 사이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8은 기능판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 정전용량 방식의 기능판에는 도전체 코팅층(223)이 한층 형성될 수도 있고, 두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전체 층이 코팅된 기능판이 2 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9는 두 개의 기능판(241a)이 사용되고, 각각 안쪽에 도전체 층(223)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두 개의 기능판이 절연체 층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게 된다.
도 60내지 도 65는 기능판의 패턴과 리드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 는 도전체 층에 격자 모양의 전극 패턴(244)이 형성되고 각 패턴은 전극선(243)에 연결되고 각각의 네 모서리에 리드선(2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형상의 입력장치의 한 부분을 이음매부(8)로 할 때, 상기 이음매부에서는 도전체 층이 형성된 액티브 에어리어에서 입력장치 경계까지의 거리는 2mm 로 혹은 3mm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도 35 실시예 참조)
따라서, 이음매 부에서는 전극선(243)도 2mm 혹은 3mm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61는 또 다른 형태의 패턴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스트립(Stripe) 모양으로 도전체 층이 패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입력장치의 액티브 에어리어(223)가 패턴된 도전체(223a)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패턴된 도전체(223a) 양 옆에 리드선(222a)이 연결되게 된다. 당연히 한쪽 변이 이음매부(8)가 되는데, 이음매 부를 최대한 얇게 하기 위해 리드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이음매로 하는 것이 좋다.
물론 리드선이 형성되어도 이음매 부분의 간격을 2mm 이내로 할 수 있다면, 리드선이 형성된 부분의 변을 이음매부로 할 수도 있다.
도 62와 도 64는 기능판(241)이 두 개 층으로 형성될 때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 개 층은 도 62와 같이 패턴(223b)이 형성되고 한 끝에 리드선(222b)이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한 개 층도 도 63과 같이 패턴(223c)과 리드선(223c)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층이 결합된 형태의 모양이 도 64가 된다. 즉, 두 개의 패턴(223b,223c)와 리드선(222b, 222c)이 형성된다. 그리고 입력장치가 상호 인접되는 이음매부가 입력장치의 한변에 형성되게 된다. 이때 이음매부는 리드선(223b, 223c)이 형성되지 않는 변이 선택된다.
물론 액티브 에어리어에서 입력장치의 경계까지를 2mm 이내로 형성할 수 있을 때에는 리드선(223b, 223c)이 형성된 곳이 이음매부가 될 수가 있다.
물론, 리드선이 이음매 부에 적게 지나가고 다른 부분에 많이 지나가게 할 수도 있다.
당연히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입력장치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소개된 입력장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평편한 기판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에는 모두 다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5는 액티브 에어리어와 입력장치 경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액티브 에어리(223)의 경계(223a)와 입력장치 경계(250g) 사이에 전극선 등이 구비되지 않는 구조이다. 그리고 액티브 에어리어 경계(223a)에서 입력장치 경계(250g)까지의 거리는 2mm 이내로 한다.
도 66와 도 68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입력장치와 광학 수단을 모두 구비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6는 디스플레이(20)(40) 상단에 광학수단(27)이 구비되고 그 위에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4)는 격벽(혹은 시런트 2f)이나 샤시(16) 등과 같이 화면 비표시 영역이 존재하며, 당연히 광학 수단(27)은 화면 비표시 영역 내에 존재하여 이음매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2)(4), 광학수단(27) 그리고 입력장치(200)(400) 측면에 부착된 V5는 보호 필름 혹은 패널하우징 측벽을 나타낸다.
보호필름일 경우에는 코팅 형태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십 마이크로 미터 혹은 0.2mm 이내로 물리적 충격 보다는 밀봉 효과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0.5mm 혹은 1mm 이내로 보호수단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V5가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 만큼 될 수도 있고, 약간 더 두꺼울 수도 있으며, 더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7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더 먼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2)(4) 측면에 위치하게 된 V6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보호 수단으로 될 수도 있다. 두께는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과 작게 형성되지만, 같거나 약간 더 클 수도 있다.
그리고 광학수단(27)과 입력장치(200)(40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V7도 패널하우징(20)(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보호 수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두께는V6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도 68 은 V6혹은V7를 나타낸 도면으로,V6혹은V7가 투명 소재의 보호필름이나 보호수단의 형태로 만들어질 때에는, 도면에서 화살표가 표시된 부분인 바깥 부분에 색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바깥 부분(도면에서 화살표 표시)에 일정 색의 필름을 부착시킬 수도 있고 색을 코팅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패널하우징과 같은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9와 도 70은 광학수단이 맨 위에 구비하게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V8"은 도 66에서V5"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지 광학 수단(27)이 입력장치(200)(400) 상단에 구비되게 된다.
V9"와 "V10"은 도 67의 "V7"과 "V6"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단지 광학 수단(27)과 입력장치(200)(400)의 순서가 바뀌게 된다.
그리고 도 66에서 도 70까지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 광학수단(27)(27) 사이의 거리 그리고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는 도 25에서 도 31까지의 실시예의 경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학 수단(27)은 마이크로 렌즈, 마이크로 프리즘, 굴절 렌즈 등 뿐만 아니라 빛의 경로를 이음매 방향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모든 경우는 전부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66에서 도 70까지는 패널하우징 측벽으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덮개 측벽의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1내지 도 7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예로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1처럼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한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 상태로 있다가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면 도 72이 상태가 되고, 다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73의 형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인접된 구조가 된다.
즉, 도 71 내지 도 73은 모양의 덮개(24)(도면 37, 도면 39 참고)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40참고)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그리고, 74내지 76는 모양 혹은 = 모양의 덮개(34)(도 50에서 53 참조)가 가능한 실시예이며, 또한 모양 혹은 =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55, 도면 56 참조)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즉,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적층되어 형성된 상태(74)에서 화살표 방향처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75)를 거쳐, 두 개 혹은 두 개의 입력장치가 상호 인접된 상태(76)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단말기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7내지 도 8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각각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한 패널하우징(20)(40)이 바깥쪽으로 접히게 된다.
도 77과 도 78은모양의 덮개(24)(도면 37, 도면 39 참고)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40참고)이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78에서처럼 접혔을 때에는 디스플레이(2)(4)가 휴대용 표시장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79에서 82는 모양 혹은 = 모양의 덮개(34)(도면 50에서 53 참조)가 가능한 실시예이며, 또한 모양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 55, 도 56 참조)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즉, 완전히 펼친 상태는 도 76의 모양과 유사하고,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80)와 완전히 접힌 상태(79)가 있게 된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의 패널하우징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도면에서처럼 결합 장치(2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장치(21)(41)는 해당 부분에 N극과 S극의 자석을 각각 구비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홈과 돌기 구조를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60)은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2 패널하우징에 각각 연결된 2 개의 축을 감싼 구조이다. 즉, 두 개의 축으로 접힘과 펼침 동작을 하게 된다. 물론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축으로도 가능한 구조를 만들 수는 있다.
한편, 도 81과 도 82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시 서로 맞 닿은 부분을 곡선으로 둥글에 하여 접힌과 펼침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82는 도 79에서 위 혹은 아래의 측면의 모양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패널하우징의 접히는 부분은 곡면 모양으로 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3내지 도 87은 결합식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3내지 도 86은 모양의 덮개(24)(도면 37, 도면 39 참고)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40참고)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83은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하고 결합수단(26)(46)과 덮개(25)(45)를 각각 구비한 패널하우징(20)(40)이 분리된 상태이다. 그리고 축(23)으로 연결된 덮개(25)(45)를 열수 있는 상태(도 84)가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패널하우징(20)(40)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도 85)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86에서처럼 덮개(25)(45)를 열지 않고 상기 패널하우징(20)(40)을 상호 결합하여 두 개의 화면을 사용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87는 모양 혹은 = 모양의 덮개(34)(도면 50에서 53 참조)가 가능한 실시예이며, 또한 모양 혹은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도면 55, 도면 56 참조)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87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처럼 결합 장치(21a)가 구비되어 결합시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 장치는 자석 혹은 홈과 돌기 구조를 가진다.
또한 결합된 상태는 도 76과 유사한 모양을 하게 된다.
도 88내지 도 90은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가 유무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중에 하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표시장치의 성능을 높이고자 두 개의 화면을 장착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개 의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5인치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는 휴대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휴대폰 기능을 하는 별도 단말기(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별도 단말기(150)에는 숫자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155)와 단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2)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도 88에 나타낸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표시장치는 앞 부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9는 원거리 통신 모듈이 두화면이 장착된 표시장치치에 구비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는 도 10에 나타낸 블록도에서 근거리 통신부(241)와 안테나(242)가 더 구비된 경우이다. 따라서, 다른 부품은 도시 편의상 생략하였다.
당연히 근거리 통신부(241)도 중앙 처리장치(105)와 결합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될 수 있다.
별도 단말기(150)에도 근거리 통신부(243)와 안테나(244)가 구비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램, 롬, 이피롬(20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04), 디스플레이(152), 입력장치(155) 등의 제어를 위한 별도 중앙처리 장치(203)가 구비된다.
그리고,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지만, 통화를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가 더 구비됨은 당연하다. 아울러, 도면에서처럼 버튼 방식의 입력 장치가 아니라 디스플레이 상단에 구비되는 터치형 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여기서 원거리 통신은 광역 통신망과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상의 통신 모듈을 의미의미한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241)는 별도 단말기(15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통상 근거리 통신 망은 블루트스(Bluetooth), UWB(Ultra-Wide Band, 초광대역통신), 지그비(Zigbee), 와이브리(Wibree), 바이너리 CDMA(Binary CDMA)적외선 통신 및 RS-232 포트 등이 있으며 그밖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별도 단말기(150)의 중앙처리장치(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43)는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별도 단말기 입력부(155)에서 입력된 정보가 근거리 통신부(241)(243)를 통해 중앙처리장치(200)에 전달되어 입력된 정보에 해당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문자나 숫자 입력 혹은 전화 개시나 종료 등 입력부에서 발생한 정보가 중앙처리장치(105)에 전달되는 것이다.
반대로 중앙처리장치(105)에서 제어된 정보가 별도 단말기에 송신되어 별도 단말기(105)의 디스플레이(152)나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정보 송수신에 사용되는 수단이 근거리 무선 통신(241)(243)과 안테나(242)(244)이다.
정보를 보내게 될 경우 정보 데이터를 인코딩하게 되고, 다시 인코딩된 정보를 변환하게 되며, 신호 송신부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정보가 보내지게 된다.
반면 정보를 받게 될 경우 안테나를 통해 들어온 정보가 신호 수신부를 거쳐 신호를 변환한 다음 신호를 디코딩하게 된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241)(243)에는 신호 송수신부, 신호 변환부, 신호 디코딩부 및 신호 인코딩부가 각각 존재하게 된다.
당연히 별도 단말기(150)에는 중앙처리장치(203) 대신 신호 분배기를 구비하도록 하여 무선 통신부(24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에 각각 분배하여 보내주도록 할 수 있다. 즉 반드시 중앙처리장치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90은 원거리 통신 모듈이 별도 단말기에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표시장치의 경우 도 10의 블록도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근거리 통신부만 추가로 더 도시하였다.
별도 단말기(150)에 구비된 원거리 통신용 R/F부(245)에서 출력된 신호가 중앙처리장치(203)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별도 단말기(150)의 중앙처리장치(203)에서 처리된 정보중에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인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부(241)(243)을 통해 대화면 디스플레이(2)(4)에 표시가 된다.
또한, 도 10의 블록도에 나타난 입력부(110) 및 입력장치(250-1)(250-2)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근거리 통신부(241)(243)을 통해 별도 단말기(150)의 중앙처리장치(203)에 전달되게 된다.
물론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표시장치의 기능을 단순 모니터 수준의 기능말 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도 10 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105) 대신 신호 분배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에서 나오는 정보를 해당 디스프레이 혹은 해당 스피커에 보내주게 된다.
그리고, 램, 롬, 이피롬 등도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별도 단말기(150)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203)가 실질적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2)(4)와 두 개의 입력장치(250-1)(250-2)도 제어하며, 별도 단말기(150)에 구비된 램, 롬, 및 이피롬(204)가 고성능의 기능을 하게 되게 된다.
그리고, 블록도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50-1)(250-2)는 본 발명의 다른 도면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00)(400)와 같은 부품을 의미한다.
이때, 두 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표시장치와 별도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유선으로도 연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 경우는 연결 잭을 사용하면 된다.
Claims (5)
-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가 하나의 전체 화면을 수직 혹은 수평 분할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는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입력장치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의 출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입력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입력장치도 상호 인접되므로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하나의 입력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하우징에 중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중력센서의 출력에 의해 중앙처리 장치는 표시되는 화면을 상하로 분리하는 것 혹은 좌우로 분리 하는 것 중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은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5mm 미만이며, 상기 입력장치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4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광학 수단이 구비되었을 때 상기 광학 수단 사이의 최소 0.01mm 이상에서 최대 3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 경계부에 존재하면 화면이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경계부가 줄 간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4256 | 2009-01-19 | ||
KR20090004256 | 2009-01-19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5127A Division KR20150013790A (ko) | 2009-01-19 | 2010-01-18 | 휴대용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2832A true KR20110122832A (ko) | 2011-11-11 |
Family
ID=423402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0185A KR20110122832A (ko) | 2009-01-19 | 2010-01-18 | 휴대용 표시장치 |
KR1020147035127A KR20150013790A (ko) | 2009-01-19 | 2010-01-18 | 휴대용 표시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5127A KR20150013790A (ko) | 2009-01-19 | 2010-01-18 | 휴대용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4) | US20110285607A1 (ko) |
EP (2) | EP3734441A1 (ko) |
KR (2) | KR20110122832A (ko) |
CN (2) | CN105259976A (ko) |
WO (1) | WO2010082800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4752A (ko) * | 2017-02-28 | 2019-11-05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28186A (ja) * | 2010-11-25 | 2012-07-05 | Kyocera Corp | 電子機器 |
JP2012237868A (ja) * | 2011-05-11 | 2012-12-06 | Kyocera Display Corp | 液晶表示装置 |
KR101773088B1 (ko) | 2011-09-22 | 2017-08-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JP5974350B2 (ja) * | 2011-11-24 | 2016-08-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
EP2824500A4 (en) * | 2012-03-06 | 2016-08-31 | Lg Electronics Inc | MULTIPLE THREE-DIMENSIONAL DISPLAY |
CN103515410B (zh) * | 2012-06-29 | 2016-08-03 | 乐金显示有限公司 |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
KR101615791B1 (ko) * | 2012-11-14 | 2016-04-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
KR101967717B1 (ko) | 2012-12-27 | 2019-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50009070A (ko) * | 2013-07-12 | 2015-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KR102288238B1 (ko) | 2013-09-03 | 2021-08-09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발광 장치 |
CN104637886B (zh) * | 2013-11-12 | 2017-09-22 |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 折叠式封装结构 |
US9460688B2 (en) * | 2014-06-16 | 2016-10-04 | Rod G. Kosann | Electronic display locket and system |
US9880799B1 (en) * | 2014-08-26 | 2018-01-30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Extendable display screens of electronic devices |
WO2016174835A1 (ja) * | 2015-04-28 | 2016-11-03 | シャープ株式会社 | 電子機器 |
CN106249410B (zh) * | 2015-06-03 | 2019-05-28 | 李少瑛 | 3d观看装置及3d观看和互动系统 |
US10429892B1 (en) * | 2016-01-12 | 2019-10-01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with thin display housings |
CN109891859B (zh) * | 2016-10-11 | 2021-02-19 | 夏普株式会社 |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程序 |
KR20180062275A (ko) * | 2016-11-30 | 2018-06-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CN107168563A (zh) * | 2017-06-30 | 2017-09-15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鼠标切换的控制方法及装置 |
CN207381016U (zh) * | 2017-10-31 | 2018-05-18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一种可折叠显示屏 |
KR102529077B1 (ko) * | 2018-03-06 | 2023-05-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0916717B2 (en) * | 2018-05-29 | 2021-02-09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ssembly |
KR102483631B1 (ko) * | 2018-06-11 | 2023-0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578423B1 (ko) * | 2018-07-03 | 2023-09-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중패널 유기발광 표시장치 |
KR102609374B1 (ko) * | 2018-11-28 | 2023-1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JP6837106B2 (ja) * | 2019-08-27 | 2021-03-03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携帯用情報機器 |
KR102644207B1 (ko) * | 2019-10-15 | 2024-03-05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듀얼 디스플레이 플라스틱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클러스터 |
CN114402708B (zh) * | 2020-04-24 | 2024-10-15 | 宏启胜精密电子(秦皇岛)有限公司 | 电路板及其制造方法 |
CN114859591B (zh) * | 2021-02-05 | 2023-11-21 |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显示模组、显示系统和显示系统的控制方法 |
CN112817174A (zh) * | 2021-02-22 | 2021-05-18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拼接屏及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8832A (ko) * | 1999-08-11 | 1999-11-05 | 서치교 | 확장형 디스플레이장치 |
KR20010026059A (ko) * | 1999-09-02 | 2001-04-06 | 함상천 | 양면 표시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
US20080062625A1 (en) * | 1999-10-18 | 2008-03-13 | Jeffrey Batio | Portable computer for dual, rotatable screens |
AU2391901A (en) * | 2000-01-24 | 2001-07-31 | Spotware Technologies, Inc. | Compactable/convertible modular pda |
AU2001294286A1 (en) * | 2000-09-19 | 2002-04-02 | Si Han Kim | Multi display device |
WO2002088908A2 (en) * | 2001-05-02 | 2002-11-07 | Bitstream Inc. | Methods, systems, and programming for producing and displaying subpixel-optimized font bitmaps using non-linear color balancing |
KR100424468B1 (ko) * | 2001-12-03 | 2004-03-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
KR100921580B1 (ko) * | 2002-09-17 | 2009-10-13 | (주)폴딩모바일 | 멀티 디스프레이 장치 |
GB0223883D0 (en) * | 2002-10-15 | 2002-11-20 | Seamless Display Ltd |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
CN2641940Y (zh) * | 2003-04-29 | 2004-09-15 | 宏碁股份有限公司 | 掌上型信息通讯设备的滑置式输入输出机构 |
KR100537280B1 (ko) * | 2003-10-29 | 2005-1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
JP4408368B2 (ja) * | 2003-12-24 | 2010-02-03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およびこれらを用いる機器 |
KR100614898B1 (ko) * | 2004-06-01 | 2006-08-25 | 김시환 | 휴대용 표시장치 |
JP2006010811A (ja) * | 2004-06-23 | 2006-01-12 | Sony Corp | 表示装置 |
JP2006053678A (ja) * | 2004-08-10 | 2006-02-23 | Toshiba Corp |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
KR101034748B1 (ko) * | 2004-12-31 | 2011-05-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패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CN101194218A (zh) * | 2005-06-01 | 2008-06-04 | 金时焕 | 便携式显示装置 |
US20070046561A1 (en) * | 2005-08-23 | 2007-03-0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
US7844301B2 (en) * | 2005-10-14 | 2010-11-3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
CN2891038Y (zh) * | 2005-12-30 | 2007-04-18 | 英业达股份有限公司 | 具双面触控面板的屏幕信息装置及其双面触控面板 |
CN200947186Y (zh) * | 2006-01-19 | 2007-09-12 | 深圳市顶星数码网络技术有限公司 | 笔记本电脑的铰链及具有该铰链的笔记本电脑 |
US8223087B2 (en) * | 2006-09-25 | 2012-07-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101154133A (zh) * | 2006-09-25 | 2008-04-02 |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 屏幕切换装置 |
US20080247128A1 (en) * | 2007-04-03 | 2008-10-09 | Soon Huat Khoo | Composite Two Screen Digital Device |
US8860632B2 (en) * | 2008-09-08 | 2014-10-14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
US20110148934A1 (en) * | 2009-12-18 | 2011-06-23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an Information Item |
-
2010
- 2010-01-18 CN CN201510578291.7A patent/CN105259976A/zh active Pending
- 2010-01-18 US US13/144,946 patent/US2011028560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1-18 KR KR1020117020185A patent/KR201101228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1-18 EP EP20177432.0A patent/EP373444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1-18 CN CN2010800047953A patent/CN102282535A/zh active Pending
- 2010-01-18 EP EP10731415.5A patent/EP238868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1-18 KR KR1020147035127A patent/KR201500137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1-18 WO PCT/KR2010/000312 patent/WO2010082800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
- 2013-04-23 US US13/868,899 patent/US201302576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1-05 US US14/072,085 patent/US201400711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
- 2019-11-27 US US16/698,420 patent/US20200098325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4752A (ko) * | 2017-02-28 | 2019-11-05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82800A2 (ko) | 2010-07-22 |
US20130257685A1 (en) | 2013-10-03 |
EP2388687A4 (en) | 2013-07-24 |
CN105259976A (zh) | 2016-01-20 |
US20200098325A1 (en) | 2020-03-26 |
CN102282535A (zh) | 2011-12-14 |
US20140071101A1 (en) | 2014-03-13 |
KR20150013790A (ko) | 2015-02-05 |
WO2010082800A3 (ko) | 2010-09-23 |
US20110285607A1 (en) | 2011-11-24 |
EP2388687A2 (en) | 2011-11-23 |
EP3734441A1 (en) | 2020-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22832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US11640186B2 (en) | Portab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display panels as a single screen | |
US20130187833A1 (en) | Portable display device | |
KR20110038560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102180973B1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60124414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70130342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10101003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10068799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50008360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60039586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50008361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10000978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
KR20100083704A (ko) | 휴대용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