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799A - 휴대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799A
KR20110068799A KR1020100060258A KR20100060258A KR20110068799A KR 20110068799 A KR20110068799 A KR 20110068799A KR 1020100060258 A KR1020100060258 A KR 1020100060258A KR 20100060258 A KR20100060258 A KR 20100060258A KR 20110068799 A KR20110068799 A KR 2011006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ver
panel
input device
pane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ublication of KR2011006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때 각각의 패널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견고하게 설계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접힘과 펼침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며, 이를 위하여,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은 회전 가능한 연결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의 두께가 연결축으로 갈수록 더 얇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의 지름도 두껍게 형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A POR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처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패널하우징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칙도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휴대용에서 화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 형상의 디스플레이라면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된은 당연하겠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별도의 패널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하우징 각각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때,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한 변을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디스플레이 사이에 발생하는 화면 비표시영역인 이음매를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한 변이 효과적으로 설계된 디스플레이를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함으로서 이음매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접힘과 펼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견고한 축의 구조가 필요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구조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이음매를 최소화하기 위해 광학 수단도 더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입력장치의 장착 필요성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패널하우징이 신뢰성 있게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의 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의 구조 및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은 회전 가능한 연결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의 두께가 연결축으로 갈수록 더 얇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의 지름도 패널하우징 두께의 0.25배 이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축에 측면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측면 커버는 축에 연동하여 움직인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은 회전 가능한 연결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가 연결되는 부분을 이음매부라고 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이음매를 옆에 두고 위쪽 혹은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서 이음매부와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는 3.5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본 발명은 패널하우징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때 각각의 패널하우징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견고하게 설계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신뢰성 있는 접힘과 펼침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입력장치나 광학수단도 신뢰성 잇게 패널하우징에 장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접힌 상태의 패널하우징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내지 도 4c는 측면 커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a내지 도 5c는 측면커버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와 도6b는 측면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a내지 도 7c는 창살 형태의 측면 커버가 이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내지 도 8c는 측면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내지 도9d는 축과 축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내지 도 10c는 패널하우징 내부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내지 도 11d는 패널하우징 측벽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15 a와 도 15c는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7a내지 도 17d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8a와 18b는 입력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도면이다.
도 19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1a와 도 21c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와 도 24c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a내지 도 25d는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6은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7a와 도 27b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2는 입력장치를 장착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6는 디스플레이 숫자를 줄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7과 도 38은 축의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9내지 도 52는 커버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3 내지 도 60은 두 개의 화면이 구비되고, 키 입력부가 두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1에서 도 71 두 개의 패널하우징과 두 개의 키 입력부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2내지 도 77은 디스플레이가 바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접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8과 내지 도 82는 추가로 키 입력부 혹은 제3의 패널하우징이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LCD, OLED, FED, PDP, 전자 종이(Electric Paper)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펼판 디스플레이 형상을 가진다면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됨은 당연하겠다.
본 발명은 2 개 이상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상호 연결되게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2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에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패널하우징(20)(40)에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거나 장착하기 위한 회로나 부품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연결축(61)(62)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축은 통상의 축을 의미하며 아울러 힌지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접혀진 외부면에도 보조 디스플레이(30)가 장착되며,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되었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는 당연히 보호창에 의해 보호된다.
아울러, 접혀진 외부면에 키 입력장치(100)가 더 구비되어 버튼에 의해 정보를 숫자나 문자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가 있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의 접혀진 부분의 측면에 측면커버(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측면 커버(50)는 패널하우징이 접혀지면 디스플레이 측면을 보호하면서 커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커버(50)는 입력장치가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입력장치의 측면도 보호한다.
상기 측면 커버(50)는 디스플레이 측면을 보호하는 보호수단(14) 혹은 보호부재가 얇게 형성되었을 때 디스플레이(2)(4)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 3a와 도 3b는 접힌 상태의 패널하우징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를 "A"라고 한다면, 연결축(61) 쪽으로 갈수록 패널하우징의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도 3b에서처럼 패널하우징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외부면(D) 축까지 연결되는 면은 곡면(C) 혹은 경사면(C)으로 연결된다.
한편, 축의 견고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두께감을 갖는 축이 신뢰성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축의 지름(B)이 패널하우징(20)(40)의 가장 두꺼운 부분(A)의 0.25배 이상은 되는 것이 좋다. 즉 "B"의 값이 "A"의 값의 0.25배 이상은 되는 것이 설계상 안정성을 가지고 온다. 당연히 "B"의 값이 "A"의 값보다 크지 않는 것이 좋다.
- 실시예 2-
도 4a내지 도 4c는 측면 커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a는 측면 커버(50)가 분리되기 전 상태이 도면이고, 도 4b는 측면 커버(50)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측면 커버(50)는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졌을 때 디스플레이(2)(4)이 혹은 입력장치 측면부를 커버하며 보호한다. 물론,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진 상태에서 측면 커버(50)가 없게 되면 연결축(61)(62)이 돌출된 형태(도4b의 경우처럼)로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관상의 효과도 의미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축(61)(62)은 두 개의 두분으로 구성되고 한쪽이 다른 한쪽에 삽입되는 통상의 축의 구조를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부분을 도시 생략되었다.
그리고, 하나의 패널하우징(20)은 한 개의 연결축(61)에만 고정되게 연결되고, 다른 패널하우징(40)의 다른 부분의 연결축(62)에만 고정되게 연결되어 서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당연히 각각 패널하우징과 연결축의 연결에서 (40)이 (61)에 연결되고 (20)이 (62)에 연결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4c는 측면커버(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측면커버(50)의 안쪽에는 끝 부분이 걸림 구조를 가진 고정핀(Pin)(5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51)에는 용수철 같은 탄성장치(51a)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51)은 안쪽에 구비된 연결축(62)의 측면에 마련된 연결 공간(63) 내에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연결 공간(63)에 벽(63a)이 존재하며 상기 벽(63a)으로 인해 고정핀(51)이 연결 공간(63)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도 5a내지 도 5c는 측면커버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지면 측면 커버(50)가 디스플레이(2)(4)의 측면부를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게 됨에 따라 측면 커버(50)는 뒤로 밀리게 되고, 패널하우징(20)(40)이 완전히 펼쳐지면 측면커버(50)는 패널하우징(20)(40)의 뒤쪽으로 밀려져 위치하게 된다.
즉,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지면 측면 커버(50)는 디스플레이(2)(4)의 측면부를 커버(입력장치가 구비될 경우 입력장치 측면부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광학 수단이 구비되었을 때에는 광학 수단의 측면부를 커버할 수가 있는 것이다.)하지만,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측면 커버는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 실시예 3 -
도 6a와 도6b는 측면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다수개의 창살(70)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창살(70) 끝 부분에 돌기가 있고 상기 돌기가 연결축(62)과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a내지 도 7c는 창살 형태의 측면 커버가 이동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도7a)에서는 창살 형태의 측면 커버(70)가 디스플레이(2)(4)의 측면을 커버하지만, 패널하우징(20)(40)이 열려지게 되면서 서로 엮여진 창살(70)이 수납부(72) 안으로 들어가게 되며, 패널하우징(20)(40)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창살(70)은 수납부(72)에 더 들어가게 되어 결국에는 디스플레이(2)(4)의 뒤 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같은 탄성장치(71)가 더 구비되어 창살(70)이 수납부(7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맨 가장자리에 위치한 창살(70)과 수납부(72) 안쪽과는 탄성장치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 실시예 4 -
도 8a내지 도 8c는 측면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측면커버(80)가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부를 감쌀 뿐아니라 연결축(61)(62)도 감싸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8a는 측면도로서, 측면 커버(80)의 양옆에 측면판(81)이 구비되어 연결축(61)의 측면을 덮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b는 측면 커버(80)를 분리한 도면이고, 도 8c는 측면 커버를 결합한 도면이다.
도 9a내지 도9d는 축과 축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내지 도 9c에 도시된 측면 커버(80)도, 도 5a내지 도 5c에 도시된 경우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9a에서처럼 연결축(61) 측면에 곡선 홈(66)이 구비되게 되고, 도 9b에서처럼 측면판(81) 안쪽에 이동 돌기(8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돌기(82)가 곡선 홈(66)에 결합되어 곡선 홈(66)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 돌기(82) 끝에 머리(82a)가 형성되어 곡선 홈(66)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 되었지만, 곡선 홈(66) 바닥에 머리(82a)가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가 만들어 짐은 당연하다.
도 9c는 이동 돌기(82)가 움직이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화살표 위에가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진 상태에서의 이동 돌기(82)의 위치이고, 화살표 아래가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이동 돌기(82)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즉, 패널하우징이 접혀짐과 펼쳐짐에 따라 이동 돌기(82)가 곡선 홈(6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9d는 축의 원리로서 캠이 장착된 힌지의 한 예를 나타낸다, 축(61) 내에 캠(67)을 삽입하고 캠 축(67a)에 스프링(67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캠(67)은 축의 삽입부(62a)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캠이 삽입되게 되면 단순히 원운동을 하게 되는 축에 원하는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이 일어날 때, 약간 떨어졌다가 다시 밀착되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캠 뿐 만 아니라 톱니 모양의 바퀴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 실시예 5 -
도 10a내지 도 10c는 패널하우징 내부 구조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2에서 화살표(M) 방향으로 절단함을 가정하여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10a는 상단에 위치한 패널하우징(40)을 나타낸 도면으로 보조 디스플레이(30)가 구비되고, 동일한 면에 버튼 혹은 자판 형태의 입력장치(100)가 구비된다. 아울러, 두 개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가 구비되며, 입력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공간에 메인 보드(4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보드(45)는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등 각종 회로 장치가 장착된 부품을 의미한다.
도 10b는 하단에 위치한 패널하우징(20)내의 배치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두 개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와 밧테리(25) 등이 구비된다. 당연히 상기 디스플레이(2)(4) 위(도면상으로 아래일 수도 있음)에 입려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부품들 이외에, 스피커, 마이크, 안테나, FPC(Flexible Printed Cable), 및 다른 부품들도 구성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메인 부품의 배치도로 이해하면 된다.
즉, 밧테리(25)와 메인 보드(45)를 분리하여 장착하도록 하므로서,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c는 도 10a의 사시도로서, 각각의 부품이 배치되는 입체도를 나타낸다. 이때 보조 디스플레이(30) 아래에 프레임이 존재할 수 있다.
- 실시예 6 -
도 11a내지 도 11c는 패널하우징 측벽의 고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된 상태에서 하나의 화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상호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되면 더 좋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서 물리적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1a에서처럼 상기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에 돌기(64) 혹은 홈(65)이 구비되어,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상기 돌기(64)와 홈(65)이 상호 맞 물리도록 된다.
그리고, 도 11b에서 나타낸 단면 구조처럼 상기 홈(65)과 돌기(64)는 경사 구조를 이루게 되어, 돌기(64)는 위쪽(64a)이 더 좁게 되고 홈(65)은 입구가 더 넓게 된다.
이러한 경사 구조의 이유는 홈(65)과 돌기(64)가 서로 맞 물릴 때,돌기(64)가 홈(65)과 잘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사, 경사도는 5도(°) 이상에서 85도 이상으로 당양한 구조를 정할 수 있지만, 적당하게는 30도에서 60도 정도가 좋게 된다.
한편, 홈(65)과 돌기(64)의 맞물림에 완충효과를 위해 도 11c에서 처럼, 돌기 중간쯤에 고무나 탄성 금속체등 탄성체(64b)를 부착할 수 있으며, 홈(65)의 중간에 탄성체 공간(65b)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11d는 홈과 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이다. 즉, 홈(65)과 돌기(64)가 측벽의 경계선에 구비된다. 이렇게 되므로서 홈(65)안에 이물질이 싸이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1a의 경우 홈(65)에 이물질이 쌓이면 제거하기 쉽지 않지만, 도 11d의 구조에서는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 실시예 7 -
도 12는 디스플레이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화살표 "P"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가정해서 나타낸 부품의 배치 도면이다.
도 12는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 상단에 디스플레이(2)(4)가 구비되는 도면을 나타낸 그림이다. 즉, 디스플레이(2)(4)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20)(40) 측벽 상단에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된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져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2)(4)는 서로 인접되게 되고, 입력장치(200)(400)도 서로 인접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 뿐 아니라 입력장치(200)(400)도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장치처럼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400)는 서로 직접 맞 닿을 수도 있고, 얇은 보호 필름(14)의 형태로 측면이 보호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필름(14)은 반드시 필름이 아니라 코팅막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불투명 코팅막이 사용됨은 당연하다. 즉, 입력장치(200)(400)의 주 베이스(Base) 기판을 강화유리로 하고 그 측면을 불투명한 코팅막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검은색이나 패널하우징 색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호필름으로 할 때도 무기물등이 코팅되거나 하드코팅(Hard coating)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졌을 때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가 서로 인접되도록 하기 위해서, 패널하우징(20)(4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인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 상단에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400)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패널하우징(20)(40) 내부에는 각종 회로 및 장치(25)(45)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2)(4)를 받치는 받침부(26)(46)가 또한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에 덮개(24)가 구비된다. 한편, 커버수단(18)은 편의상 도시 생략하였다.
그리고, 각종 회로 및 장치에 있어서, 한 부분은 밧테리로 할 수가 있다. 즉, 각종 회로 및 장치(25)(45) 중에서 한 곳을 밧테리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중심 A의 연장선은 덮개(24)의 표면과 만난다. 즉 회전 중심의 높이는 덮개의 높이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부합하기 위하여 패널하우징(20)(40)의 양 끝 모양이 곡면 형상을 가지지만 도 12의 배치는 반드시 곡면 형상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직각 모양등 다양한 모양의 패널하우징(20)(40)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입력장치대신 보호판이나 강화유리등이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처럼, “V”로 표시된 부분을 보호필름 형태로 할 때에는, 보호필름은 가급적 얇게 하면서 견고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속막이나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혹은 수지 필름에 금속 혹은 무기물 막을 코팅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V”로 표시된 부분을 보호필름 혹은 보호수단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금속, 합금 혹은 플라스틱이나 수지를 사용하며 두께는 0.005mm이상에서 0.5m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럴 경우에는 물리적인 충격에서 보호하기 보다는 밀봉 효과가 더 중요할 수 있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이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의 간격도 최소 0.01mm 이며 최대는 1mm가 된다.
이때, 상기 보호수단( 얇게 형성되어 물리적 충격에서 보호하는 기능 보다는 밀봉 효과의 기능이 더 클 경우에 대비하여,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측면커버(50)에 의해 디스플레이(2)(4) 측면 혹은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물리적 충격에서 더 확실히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보호수단(V로 표시된 부분)을 0.2mm 이상에서 1mm 이하로 하여 판 형태로 만들어 디스플레이(20)(40)와 입력장치(200)(400)의 측면을 물리적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이 최소 0.4mm 이며, 최대는 2mm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입력장치(200)(400)의 간격도 최소 0.4mm 이며 최대는 2mm가 된다.
한편 “V”로 표시된 부분을 별도의 보호수단으로 하지 않고 패널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렇게 되면 디스플레이(20)(40)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이 보호하게 된다.
즉, 이음매부에서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400)의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의 측벽이 보호하는 형태가 된다. 이때 도 13에서는 “V”로 표시된 부분을 패널하우징 측벽(20)(40) 보다 얇게 도시하였으며, 이는 가급적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기 위해서 이다. 즉, 얇게 할 경우 적당히는 최대 0.05mm 이내가 좋으나 최대 1mm 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V”로 표시된 부분을 패널하우징(20)(40) 측벽의 두께와 같게 하거나 약간 두껍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너무 두껍게 상품성이 저하되게 된다.
통상 패널하우징 측벽이 최대 1.5mm 를 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따라서“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도 최대 1.5 mm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V"로 표시된 부분이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보다 넓게 되더라도 2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결론적으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최고 0.1mm에서 최대 4mm가 될 수가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가 4mm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가 2mm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2)(4) 나 입력장치(200)(400) 측면이 “V”로 표시된 부분과 밀착되는 것이 좋지만 어느 정도 떨어져 있더도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로 “V”로 표시된 부분의 두께가 0.5 mm 밖에 안되어도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4 mm 가 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따라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가 최소 0.1mm 이상은 되고 4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그리고,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가 그대로 공간일 수도 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추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당연히 도 13은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와 입력장치(200)(400)의 사이의 거리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에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도 최소 0.1mm에서 최대 4mm가 되는 것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의 실시예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에 구비되 판을 "V1"이라 하고 디스플레이(2)(4) 사이에 구비된 판을 "V2"라고 하면, "V1"의 거리가 "V2"의 거리보다 작다. 즉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보다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이다.
이때, "V1"과 "V2" 모두를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패널하우징(20)(40) 이음매부 측벽에 2 개의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단차에 각각 입력장치(200)와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당연히, "V2" 만 패널하우징(20)(40)의 이음매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게 하고, "V1"은 별도의 보호 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이나 보호 수단으로 할 경우 도 13에서 설명된 보호 수단이나 필름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른다.
물론, "V1"과 "V2" 를 패널하우징과 별도의 보호 수단으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이음매부에서는 보호수단이 디스플레이(2)(4) 측면과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게 된다.
이 때 "V2"의 두께는 도 13의 실시예를 그대로 따르게 된다. 단지 "V2"의 두께다 더 얇게 된다. 예를 들어 필름의 형태로 될 경우에는 0.005mm에서 0.5mm이내가 될 수가 있고, 판의 형태로 될 경우에는 최대 1.5 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최소 0.01mm에서 3mm 이내가 된다. 당연히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3mm가 되기 위해 "V1"이 반드시 1.5mm가 될 필요는 없다.
"V1"이 0.5 mm이어도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는 3mm가 될 수가 있는 것이다. 입력장치(200)(400)와 "V1" 사이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사이가 그대로 공간일 수도 있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5 a와 도 15b는 광학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5a는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디스플레이(2)(4)를 밀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가 밀착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 측벽(20)(40)은 다른 부분 보다 얇게 형성되는 데, 그 이유는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하기 위해서 이다.
하지만, 도 12에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4)가 밀착되는 부분의 패널하우징(20)(40) 측벽이 더 얇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4) 사이의 거리는 앞의 실시예에 준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4) 상단에 광학 수단(27)이 구비될 수도 있다.상기 광학 수단은 렌즈, 마이크로 렌즈, 마이크로 프리즘 등과 같이 빛의 굴절을 바꾸는 광학 수단이며, 또는 빛의 경로를 이음매(8) 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광학 수단은 디스플레이 사이의 경계선인 화면 비표시 영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광학 수단은 상호 접촉될 수가 있도록 구비된다. 물론 광학 수단(27) 측면에 보호필름 등이 구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b는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사이에 “V3”와 “V4" 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 측벽과 일 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패널하우징(20)(40)과는 분리된 별도의 보호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호부재는 투명 혹은 불투명 플라스틱 수지나 합금 류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연히 “V3”와 “V4" 는 패널하우징(20)(40)보다 얇게 형성 될 수도 있고 같은 두께로 형성 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더 두꺼울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너무 거리가 멀면 안된다.
즉,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는 4mm이내가 적당하고, 광학수단(27) 사이의거리는 2mm이내가 적당하다.
도 15c는 디스플레이(2)(4)와 광학 수단(27) 보호필름(14)이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보호 필름을 구비하여, 최대한 거리를 가깝게 한 것이다. 당연히 상기 보호 필름은 0.5mm 이내가 된다.
- 실시예 8 -
도 16a와 도 16b는 디스플레이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들이 장착된 샤시(16) 상단에 입력장치(200)가 구비되며, 이를 위해 샤시(16) 측면에 부착부(16c)를 구비하여 입력장치가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부착부(16c)는 양면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접착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6a는 상호 분리된 도면이고, 16b는 디스플레이(2)(4)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샤시는 반드시 금속재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기구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재와 플라스틱 기구물의 혼용 형태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샤시는 디스플레이 부품이 장착되는 구조물을 통칭한다.
도 17a내지 도 17c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7a은 도16a에서 원으로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화면을 연결하여 이음매를 최소화 하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에서도 이음를 줄이기 위한 설계를 해야 한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에 가장 인접한 화소 2n이 있을 때, 상기 인접 화소(2n)와 격벽(2f) 사이의 거리(J)는 1mm 이내로 하며, 가장 근접할 경우에는 0.01mm 이내도 가능하다. 물론 J 값이 0이어도 크게 문제는 없다.
또한, 격벽(2f)의 두께(K)도 1mm 이내로 하며, 최소 0.01mm 이상으로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와 가장 인접된 화소(2n)와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소 0.02mm 이상에서 2mm 이내로 한다.
여기서 격벽(2f)은 디스플레이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의미한다. 즉, 실런트(Sealant)를 사용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기판이 유리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유리 재질 혹은 기판이 금속재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금속재가 될 수가 있다. 즉 디스플레이(2)(4) Panel(화면이 표시되는 기능을 하는 부품)측면 부에서 외부와 내부를 경계하는 부분을 통칭한다.
한편, 디스플레이(2)(4)는 통상 샤시(16)에 장착되는 데, 상기 샤시는 알루미늄 혹은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시에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구동부 혹은 백라이트 부품(디스플레이가 LCD로 되어 있을 경우) 등을 장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Module)을 구성한다.
이때 샤시는 반드시 금속재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기구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재와 플라스틱 기구물의 혼용 형태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샤시는 디스플레이 부품이 장착되는 구조물을 통칭한다.
아울러, 샤시(16)의 두께는 0.01mm이상 1 mm 이내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하지만 가장 효율적인 샤시(16)의 최대 두께는 0.5mm를 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 가장 인접한 화소(2n)와 샤시(16)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대 2.5mm이며 최소 0.03 mm 이상이 된다.
물론, 이음매부(8)의 경계선(2g)과 격벽(2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선(2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럴 경우 이음매부(8)에서 가장 인접한 화소(2n)와 샤시(16) 경계까지의 거리는 최대 3.0 mm 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음매 부분의 화면 비표시 영역은 J값과 K값과 샤시의 두께를 합한 값이 되며, 그 값이 최대 3.0mm가 된다는 것이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될 경우 그 값은 최대 6mm가 되는 것이다.
도 17b는 도 16a에서 원안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입력장치가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2)(4) 상단에 모두 입력장치를 장착할 경우 두 개의 입력장치도 하나의 입력장치(200)를 사용하는 것처럼 하기 위해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
통상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입력장치에서는 정전용량 값 혹은 저항 값을 읽는 리드선이 입력 장치의 각 변에 구비되게 되는데, 이때, 이음매부에 있는 리드선(250n)의 위치를 설계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격벽(250f)도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이음매부(8)에 있는 리드선(250n)과 격벽 사이의 간격(M)은 최소 0.01mm에서 1mm 이내로 하며, 그리고 격벽(250f)의 두께(L)도 0.01mm에서 1mm 이내로 한다. 물론 간격(M)이 0mm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는 리드선(250n)과 입력장치(150) 경계(250g)까지의 거리가 최소 0.02mm에서 2mm 이내가 되게 된다.
물론, 이음매부(8)의 경계(250g)와 격벽(250f)의 경계가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경계(250g)에서 0.5mm 이내의 범위 안에서 격벽(250f)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럴 경우에는 리드선(250n)과 경계선(250g)까지의 최대값은 2.5 mm가 된다.
한편, 정전용량 방식 같이 입력장치 방식에 따라서는 반드시 격벽(250f)이 존재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방식에서도 경계선(250g)과 리드선(250n)사이의 거리는 0.01mm에서 2.5mm 이내로 한다.
250a는 입력장치의 정보 입력부분을 나타내며, 그 구조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에 따라 다르다. 즉, 입력부(250a)에 압력을 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는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혹은 유리의 평편한 판으로 구성되며, 평면에 전극도 형성되고, 평면에 압력을 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모든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그림 17c는 디스플레이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음매 부분에서는 화소 전극이 더 가깝게 위치한 형상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로서 LCD를 사용할 수고 있고, OLED 혹은 전자 종이등도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든지, 이음매부(8)에서는 디스플레이 경계(2g)와 가장 이웃하는 화소(2n) 사이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 설계한 설계 값은 모든 평판 디스플레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에서는 OLED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그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2)(4)는 기판(51)에 절연층(53), 전극(54), 코팅 전극(58), 유기 다층막(53) 등을 구비하며, 분리막(57)을 사이에 두고 흡습층(56)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덮개 기판(52)으로 기판(51)을 덮게 된다. 이때, 격벽(2f)은 접착제 등으로 형성한 실런트 일수도 있지만, 상기 기판이 격벽(2f)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기판 표면을 식각 공정으로 일부 제거하여 기판 표면 안쪽에 공간을 만든 다음, 절연층과 유기 다층막 혹은 전극등을 형성하게 되면, 식각 공정에서 남게 된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격벽(2f)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은 당연하다.
한편 이음매부에서는 샤시가 측면 만을 카버하게 되지만, 위 부분을 카버 할 때에는 화면 비표시영역에 해당되는 부분(P) 만을 카버하여야 한다,
17d는 액티브 에어리어와 입력장치 경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처럼 액티브 에어리(223)의 경계(223a)와 입력장치 경계(250g) 사이에 전극선 등이 구비되지 않는 구조이다. 그리고 액티브 에어리어 경계(223a)에서 입력장치 경계(250g)까지의 거리는 2.5mm 이내로 한다.
- 실시예 9 -
도 18a는 입력장치가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도면이다.
입력장치(200)가 구비되 디스플레이(2)(4)의 이음매부(8)는 패널하우징의 한 측벽(20a) 상단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는 "ㄷ" 자 형상의 덮개(24)가 패널하우징(20) 상단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2)(4)의 화면비표시 영역인 가장자리를 덮개 된다.
그리고, 덮개에 입역 버튼(110)이나 스피커(101)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8b 는 “ㅁ”자 형 덮개를 나타내지만 이음매 부분이 더 얇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경우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덮개(24)에서 24a 로 표시된 부분이 더 얇게 형성되며, 얇게 형성되는 이유는 도 17a에서 표시된 화면 비표시영역 이내에 24a로 표시된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 덮개(24)는 화면 비표시 영역을 덮으며, 화면 비표시 영역은 이음매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이 더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덮개도 이음매 부분이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19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2) 화면 비표시 영역 상단에 덮개가 장착되는 것이다. “ㄷ”모양 덮개(도18a)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는 화면 표시 영역이 존재하게 되며, 화면 표시 영역을 액티브 애리어(Active Area)라고 하다면, 상기 액티브 애리어가 이음매부에서는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음매 부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더 작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2)로 편의상 나타내었지만, 입력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의 디스플레이(2)를 의미하며 도면 부호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입력장치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락한 것이다.
“ㅁ” 모양 덮개(도18b)도 같은 원리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0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2)와 입력 장치(250)가 각각 분리되어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되고, 도 18과 도 19등에 도시된 덮개(24)는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장치(200)가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2) 표면을 보호하는 외부 보호판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에 "ㄷ" 자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Mask Printing)(16d)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프린팅(16d)은 디스플레이(2)(4) 가장자리 화면비표시 영역을 막아주게 된다. 이때 막아주는 효과는 시각적인 의미가 더 크다.
여기서 입력장치(200)에 마스크 프린팅을 한다는 것은 입력장치 상단의 보호필름 혹은 보호판에 마스크 프린팅을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원안의 또 다른 마스크 프린팅(16d)의 실시예에서처럼 마스크 프린팅(16d)를 “ㅁ” 자 모양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음매 부분에서는 더 얇게 형성되게 된다.
디스플레이에 존재하는 액티브 애리어(Active Area)가 이음매부에서는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되어, 이음매 부에서는 화면 비표시 영역이 더 작기 때문에 마스크 프린팅(16d)도 얇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는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 혹은 유리의 평편한 판으로 구성되며, 평면에 전극도 형성되고, 평면에 압력을 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통상의 모든 방식을 의미한다.
도 21a내지 도 21c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별도로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에 디스플레이(2)(4)를 장착하게 되고, 그 상단에 다시 입력장치(200)(4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400)는 “ㄷ”자형 덮개(24)와 어셈블리(Assembly)되어 디스플레이(20)(40)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다.
당연히 “ㄷ”자형 덮개(24)와 하부 패널하우징(20)(40)은 연결 나사 등으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이며, 이는 통상의 설계 결합구조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아울러 덮개(24)와 입력장치(200)(400) 사이에는 어느 정도는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며 그 단차의 정도는 2mm 이내로 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0)(400)에 절단부(6a)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6a)에 연결수단(6)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200)가 덮개(34)에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덮개의 구조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프레임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프레임 형태가 된다면 덮개 역할도 하지만지지 역할도 하기 때문에 측벽과 덮개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고 보면 된다.
도 21b는“ㅁ”모양의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모양을 나타내며 나태내며, 당연히 이음매 부에서는 더 얇게 형성되며 얇게 형성된 이유는 도 18과 도 20에 설명된 경우와 같다.
그리고, “ㅁ”모양의 덮개도 “ㄷ”자 모양의 덮개처럼 장착된다.
도 21c는 플레임(Frame) 형태의 덮개를 나타낸다. 즉, 도면에서처럼 덮개(24)의 양 가장자리에 덮개측벽(24a)이 구비된다. 즉 덮개 역할과 패널하우징 측벽 역할을 하는 플레임 형태의 덮개이다. 따라서, 이음매부(8)에서는 상기 덮개측벽(24a)이 디스플레이(2)(4) 측면이나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은 당연하다.
도 12에서 도 15c까지의 실시예는 패널하우징 측벽에 해당되는 실시예이지만, 마찬가지로 도 12에서 도 15c까지의 실시예가 덮개측벽(24a)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2)(4)나 입력장치(200)(4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덮개측벽(24a)이 절개되기도 하고, 덮개 측벽의 일부가 디스플레이(2)(4) 측면이나 입력장치(200)(400)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이나 보호필름으로 대체 될 수 있는 것이다.
당연히 디스플레이(2)(4) 측면은 패널하우징(20)(40) 측벽에 밀착되도록 하고, 입력장치(200)(400) 측면만 덮개측벽(24a)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혹은, 입력장치(200)(400) 측면과 디스플레이(2)(4)이 측면을 패널하우징(20)(40) 측벽과 덮개측벽(24a)이 각각 일정 비율로 나누어서 밀착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한편, 덮개측벽(24a)이 구비된 덮개(24)나 덮개측벽이 구비되지 않은 덮개(24)가 패널하우징(20)(40)과 결합될 때 단차가 형셩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고,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이러한 결합은 다. 즉결합 방법에 의하기 때문에 즉결합 방법에 의하기 때문다.
또한, 상기 프레임 형태이 덮개는 패널하우징에 견고함을 주기 위한 구조로 착안 된 것임으로, 당연히 수이 지외에 합금 등의 금속재나 리퀴드 메탈(Liquid Metal)등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2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실제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편의상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와 두 개의 입력장치가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통상의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는 단말기 본체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위치를 설계 변경하게 된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8)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 구조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구비되게 된다. 여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입력장치를 커넥터(2d)(250d)와 연결하는 FPC(Flexable Printed Circuit)(2c)(4c)(250c)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FPC(2c)(4c)(250c)는 이음매부 반대쪽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200)의 커넥터(250d)는 디스플레이(2)(4)의 접합부(2e)(4e)와 납 땜등을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디스플레이(2)(4)의 커넥터(2d)(4d)와 본체부와의 연결로 입력장치(200)와 본체부 연결도 되는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 커넥터(2d)(4d)가 입력장치 커넥터의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의 한 변에 외부 신호선(FPC)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외부 신호선을 이음매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물론, 디스플레이(2)(4)와 입력장치(200)가 분리되어 각각 별개로 패널하우징(20)(40)에 장착될 경우(도 20과 도 21의 실시예)에는 입력장치(200)에 외부 신호선(FPC)를 연결할 때, 이음매부(8)를 제외한 다른 세 변중에서 한 변을 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23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개의 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는 통상 구동부화 패널부로 나뉘게 되며, 구동 드라이버와 백라이트(LCD의 경우) 등을 샤시 등에 장착한 것을 디스플레이 모듈(Module)이라고 한다.통상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리 기판으로 되어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투명 프라스틱 기판으로도 되어 있다.
이때, 도 23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4 개의 각 변을 각각 1, 2, 3, 4 변이라고 할 때, 제 1변을 이음매부분이라고 하면, 그 반때인 제 3변에 구동 드라이버(2k)를 실장하게 된다.
통상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Matrix) 구동으로 두 변에서 구동 신호를 보내게 된다. 하지만, 이럴 때에는 구동 드라이버가 적어도 2개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 2 변과 제 4변에서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g)를 제 3변까지 연결되도록 한다. 그래서 제 3 변에서 실장된 구동 드라이버(2k)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신호를 보낼 수가 있다.
도 24a내지 도 24c는 또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는 제 1 변이 이음매부일 때 구동 드라이버(2c)가 위치하는 부분이 제 4변이 된다. 즉 이음매부를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으로 할 때, 구동 드라이버(2k)가 위치하는 부분이 위쪽 혹은 아래쪽이 되게 된다.
제 4변에 구동 드라이버(2c)를 실장하기 위해 제 1변 혹은 제 3변의 패널 전극(2f)과 연결된 공급선(2g) 제 4변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공급선(2g)을 1변과 3변으로 나누어 제 4변에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공급선(2g)은 구동 드라이버(2k)와 연결되어 신호선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배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극(2f)이라고 간단히 표현했지만, 실제는 TFT(Thin Film Transister) 혹은 화소 전극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17a에서 도시된 "J"갑과 "k" 값의 합인 2mm 최대 갑에 1.5mm의 여유를 더 주게 된다. 즉, 공급선(2g)이 지나가기 위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이음매부(8)부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2)(4) 경계선까지의 거리는 최대 3.5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이 경우 1변과 3 변의 화면 비표시 영역이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지만 같게 하는 것이 디자인적 효과는 있다.
이때 제 3변의 화면 비표시 영역은 5.5mm 이내가 될 수 있다.
도 24b는 연결 공급선을 변경한 또 다른 실시예이 도면이다,
제 1변을 이음매부라고 할 때, 이음매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 1변에서는 공급선(2g)이 지나가지 않게된다. 그리고, 이음매부(8)와 반대 편인 제 3변에 공급선(2g)이 모두 지나가도록 하며, 상기 공급선(2g)이 구동 드라이버(2k)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 1변에서, 이음매부(8)부에서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2)(4) 경계선까지의 거리는 최대 2.0mm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4c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2)(4)의 이음매부(8)가 오른쪽(경우에 따라 왼쪽)이라면 구동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FPC(2c)(4c)나 외부 연결 커넥터(2d)(4d)가 아래쪽(경우에 따라 위쪽일 수도 있음)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입력장치 연결용 FPC(250c)와 커넥터(250d)도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 실시예 10 -
도 25a내지 도 25c는 디스플레이가 패널하우징에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5a는 도면에서 처럼 “?” 자형 덮개(34)가 패널하우징 상단을 덮개 된다. 즉,도 18a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에 도 25a와 도 25b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그 위에 “?”와 같은 모양의 덮개(34)가 장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2)에 입력장치(200)가 도 23의 경우처럼 장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이음매부(8)와 이음매 반대 부분은 디스플레이(2) 옆에 패널하우징(20) 측벽이나 보호수단이 구비되게 되고, 디스플레이(2) 위 쪽과 아래쪽의 화면 비표시 영역을 “=” 자형 덮개(34)가 덮개 되는 것이다.
도 25b는 덮개의 또 따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패널하우징(20)에 도 24a와 도 24b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고, "ㅁ" 와 같은 모양의 덮개가 장착된다. 단지 "ㅁ" 모양에서 좌우 부분이 아래 부분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아래 부분은 디스플레이(2)(4)에서 구동 드라이버(2k)가 장착된 부분이며, 따라서, 구동 드라이버가 장착된 부분이 위쪽에 있으면 덮개(34)의 좌우 부분이 위쪽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게 된다.
25c는 프레임 형태의 덮개(34)를 나타낸 모양이다. 도 21c에서처럼 덮개 가장자리에 덮개측벽(34a)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측벽(34a)은 도 21c의 덮개측벽(24a)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5d는 24a와 도 24b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연결축(61)(62)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디스플레이가 상호 연결된 이음매 부분이 작도록 한다.
“ㄷ”과 같은 모양의 덮개 보다 이음매는 다소 크지만 화면이 좌우로 확대되어 더 큰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가 있는 것이다.
도 26은 덮개에 입력장치가 장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지만, 위 혹은 아래 부분 보다 좌우가 얇게 형성된 덮개(34)에 입력장치(200)가 장착된 형태에서 상기 덮개(34)가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황에 따라서는 입력장치 대신 보호판을 사용하며 강화유리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입력장치(200)가 보호판의 구실을 할 수도 있고, 만일 입력장치가 필요 없는 휴대용 표시장치일 경우에는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보포판이 상기 입력장치(200) 위치에 대신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덮개는 플레임 형태를 갖추어 덮개보다 측면 보강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구조상 덮개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별도 도시는 생략한다, 단지 덮개에서 일부 측벽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연결형성될 수 있다고 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200)가 덮개(34)에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덮개의 구조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프레임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프레임 형태가 된다면 덮개 역할도 하지만지지 역할도 하기 때문에 측벽과 덮개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고 보면 된다.
도 27a와 도 27b는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7a는 보호판 기능도 하는 입력장치(200)가 패널하우징(20)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 와 같은 모양으로 마스크 프린팅(16d)되어 있는 입력장치가 패널하우징에 직접 장착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에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는 원리는 앞의 실시예와 같다.
도 27b는 “ㅁ” 와 같은 모양으로 마스크 프린팅(16d)되어 있는 입력장치(200)가 패널하우징(20)에 직접 장착된다. 하지만 좌우가 위 혹은 아래 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26 및 도27a와 27b의 실시예에서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면서도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 실시예 11 -
도 28 및 도 29는 입력장치를 장착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8은 입력장치(200)를 덮개 프레임(24)에 장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덮개 프레임(24)은 사각형 모양에서 이음매부(8)가 개방된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이음매부를 제외한 디스플레이(2)의 3 변의 가장자리를 덮개 프레임(24)이 커버하게 된다. 한편, 축이 위치할 수 있도록 덮개 프레임(24)에 절개부(24f)를 구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덮개 프레임(24)에도 이음매부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2) 이음매부(8)에 덮개 프레임(24)의 이음매부가 위치하도록 하며, 입력장치(200)의 이음매부(8)도 이곳에 위치하게 된다.
도 29는 입력장치(200)가 프레임(20b)에 장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때 프레임(20b)에는 한변이 개방되거나 얇게 만들어진 이음매부가 형성되고, 입력장치(200)에는 마스크 프린팅(16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프린팅(16d)은 디스플레이(2) 위 부분의 가장자리를 막아줄 때 이음매부를 제외한 3 변의 가장자리를 막아주게 된다.
당연히 디스플레이(2)의 이음매부(8)에 프레임(20b)의 이음매부가 장착 되며, 입력장치(200)의 이음매부도 장착되게 된다. 한편, 덮개 측벽(24d)이 입력장치 이음매부(2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순히 보호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28의 실시예에 나타낸 덮개 프레임(24)의 이음매부에도 덮개 측벽(24d)이나 보호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스크 프린팅(16d)은 입력장치 상단 혹은 보호판에 빛을 차단하기 위해 문양이나 색으로 코팅을 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스크 프린팅(16d)이 형성된 부분은 불투명하게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개 프레임(24)혹은 프레임(20b)이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될 때, 홈과 돌기 혹은 나사 등으로 장착됨은 당연하지만, 이것은 덮개나 프레임이 케이스와 연결 결합되는 통상의 방법에 준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하였다.
도 30은 또 다른 형태의 프레임이다. 즉, 덮개 프레임(24)과 프레임(20b)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구조이다.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은 덮개(24) 형태로 구비되고, 측면 부분은 마스크 프린팅(16d)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덮개(24)와 입력장치(200)가 높이가 차이가 나서 단차가 형성되지만, 디자인에 따라 덮개(24)와 입력장치(200)의 높이를 같게 해서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은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 형태의 광학 수단(27)을 입력장치(200) 상단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보인다. 즉, 입력장치(200) 상단에 광학수단(27)이 놓여질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제거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서 광학 수단 하단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의 재질을 마찰 계수가 높아 유리나 판에 달라 붙는 성질을 갖는 물질로 만들 수 있다. 혹은 도면에서처럼 프레임(20b)이 다소 높게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 안쪽에 광학 수단을 구비하고 프레임이 광학 수단(27)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32는 덮개 프레임(24)과 마스크 프린팅(16d)이 혼용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덮개 프레임(24)의 두께를 줄이고 마스크 프린팅(16d)도 사용된 형태이다.
이러한 경우 당연히 덮개 프레임(24) 만 사용한 경우 보다 화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고 프레임(20b) 만 사용한 경우보다는 신뢰성 있는 패널하우징 구조를 만들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 입력장치 센서가 디스플레이(2)(4) 셀 안에 구비될 경우에는 입력장치(200)(400)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럴 경우에도 보호판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시예 11에 구비된 덮개 프레임(24)이나 프레임(20b) 형상에 입력장치(200)(400) 대신 보호판이 장착되게 된다.
- 실시예 12 -
도 33 내지 도 36는 디스플레이를 숫자를 줄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보조 디스플레이(30)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접이식 표시장치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표시장치의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외부에도 보조 디스플레이(2)가 장착되어야 한다.
그럴 경우 디스플레이는 3 개가 사용되게 된다. 하지만, 실시예 12에서처럼 디스플레이(2) 양면을 사용하므로서 보조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33은 부분적으로 접힌 형태로 외부 창(29)이 존재하고, 외부창(29)에 보호판(29a) 혹은 입력장치가 장착된다. 그리고 외부창(29)에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보호판(29a)대신 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에서도 터치패널 방식으로 휴대용 표시장치 제어가 가능하다.
도 34는 외부창(29)이 구비된 패널하우징(20)을 분해한 도면이다. 즉, 외부창(29)에 구비된 단차를 통해 보호판 혹은 입력장치(29a)가 장착되며, 패널하우징(20) 내부에는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2)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 34에서 볼 때에는 디스플레이(2)의 배면부를 덮는 형태이지만, 덮개(24)가 디스플레이를 덮개 된다. 이때 덮개(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20b)나 덮개 프레임(24)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덮개(24)에는 입력장치(200) 혹은 보호판이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장치(200)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형태의 입력장치가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OLED는 양면 표시가 가능하며, 패널하우징(20)(40)을 닫을 때에는 OLED(2)의 앞면(도면에서 볼 때)에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고, 패널하우징이 펼쳐졌을 때에는 OLED(2)의 뒷면(도면에서 볼 때)에서 정상적으로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즉 화면 표시의 데이터가 뒤집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 방식은 프로그램적으로 입력하여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 35와 도 36은 본 실시예의 블럭도 내지는 순서도이다.
도 35에서와 같이,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105)는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롬(121)은 표시장치의 수행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122)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123)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1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력부(110)는 각종 입력장치 및 숫자키와 메뉴키와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다.
중앙처리장치(105)의 출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a)(4a)가 있으며,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1, 2 디스플레이(2)(4)가 있다.
또한 센서(235)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235)는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 펼쳐진 상태인가 열려진 상태인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회전축에 감지 전극에 구비될 수도 있고, 광 센서가 있어 패널하우징이 열려지면 열려진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케이스가 열고 닫힘을 감지하는 통상의 센서를 의미한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제 1, 제2 입력장치 구동부(1401-1)(140-2)를 통해서 제 1, 제 2 입력장치(250-1)(250-2)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250-1)(250-2)가 각각 2 개 존재하므로 입력장치 구동부(1401-1)(140-2)도 2 개 존재하여 각각 해당되는 입력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10의 블록도에서 도시된 입력장치(250-1)(250-2)는 본 발명의 다른 도면에 도시된 입력장치(200)(400)와 동일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외부에 장착하는 입력장치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디스플레이 셀안에 구비되는 입력장치 센서에도 같은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6은 순서도이다. 휴대용 표시장치가 작동이 되면(300 단계) 센서(235)가 출력이 된다. 즉, 패널하우징(20)(40)이 닫혀진 상태인가 열려진 상태인가를 감지하는 것이다.
패널하우징이 열려진 상태이면(310 단계)(315단계), 두 화면 구동 모드가 선택이 된다. 즉, 메모리(121)(122)(123)에 저장된 화면 모드에는 두화면 구동 모드와 단일 화면 구동 모드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05)는 두화면 구동 모드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메모리(121)(122)(123)에는 디스플레이(2)의 배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 처리 정보와 앞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 처리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즉, 도 33과 도 34를 기준으로 볼 때, 디스플레이(2)의 앞면에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고 배면에 정보가 표시될 수가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5)는 디스플레이 1(2)의 배면에 정보가 표시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1(2)의 구동부(2a)에 보내게 된다. 그런 다음 휴대용 표시장치는 기능 수행을 하게 된다.(325 단계)
또한, 패널하우징(20)(40)이 닫혀진 상태이면, 중앙처리장치(105)는 메모리(121)(1220(123)에 저장된 정보중에서 단일화면 모드를 선택하고(330 단계), 디스플레이 1(2)의 앞면에 정보가 표시되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1의 구동부(2a)에 보내게 된다.(335 단계)
그리고 단일 화면 모드에서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340 단계)
아울러, 종료 혹 정지 명령(일정 시간 사용되지 않을 경우도 정지 명령에 포함된다.)이 있으면 휴대용 표시장치는 종료되거나 정지되고, 그렇지 않으면 처음의 센서 감지 상태로 되돌아 간다.
- 실시예 13 -
도 37과 도 38은 축의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축의 회전중심(C)과 패널하우징(20)(40) 경계(G)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일정 간격 d가 존재한다. 도 37은 펼친 상태의 평면 도면이고, 도 38은 접힌 상태의 측면 도면이다.
그리고, 도 37과 도 38은 간격 d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평면도와 측면도로서 나타내었다.
그리고 접힌 형태의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의 끝 부분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d 만큼 차이가 난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가지게 되면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 동작에서 신뢰성을 갖게 된다. 즉,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안에는 패널하우징(20)(40)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펼쳐지게 되면 디스플레이(2)(4)는 상호 인접된다.
이때, d의 값은 0.05 mm 수준으로 매우 적게 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 화면 사이즈에 따라 또는 디자인의 구조에 따라 10 mm 정도 까지로도 할 수 있다.
- 실시예 14 -
도 39내지 도 52는 커버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디스플레이 뒤쪽에 위치하지만 패널하우징이 접혀지면 디스플레이(2)(4) 측면을 보호하는 커버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실시예 14는 이러한 커버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9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0과 도 41은 펼쳐진 상태의 배면부이다. 이때, 도 40은 측면 커버(85)를 제거하여 커버구조의 작동 원리를 알 수 있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와 도 43은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이며, 도 42는 측면 커버(85)를 제거한 도면이다. 또한, 도 44와 도 45는 닫혀진 상태이며, 도 44는 측면 커버(85)를 제거한 도면이다.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이 있고, 상기 축과 연결된 돌기축(61a)이 상하판(88a)에 구비된 일자형 홈(88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두 개의 홈이 구비된 연결바(87)가 패널하우징과 상하판(88a)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 구조에서 펼쳐진 패널하우징(20)(40)이 닫혀지게 되면, 돌기축(61a)이 일자형 홈(88b) 내에서 도면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지고 펼쳐짐에 따라 상하판(88a)이 앞뒤로 이동할 때에도 연결바(87)에 위해 연동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하판(88a)은 패널하우징(20)(40)의 측면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구비되고, 상기 상하판(88a)은 연결판(88)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연결판(88)이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그렇게 되면 상판(88a)과 하판(88a)이 각각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바(87)도 상하판(88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6은 각각의 구성 부품을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면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의 축과 연결된 축 돌기(61a)가 구비되고, 패널하우징(20)(40) 상하부에 연결 돌기(61b)가 구비된다. 한편, 상하판(88a)과 연결된 날개(88c) 상단에도 돌기(88d)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바(87)에 구비된 홈(87a)에는 각각 연결 돌기(61b)와 날개 돌기(88d)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각각의 홈과 돌기가 패널하우징(20)(40)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각각 연동되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도 47은 상하판(88a)과 측면 커버(85)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상하판(88a)의 끝 부분을 절개하고, 상기 절개 된 부분의 아래쪽에 지지대(88f)를 만들고 상기 지지대(88f)에 지지홈(88e)를 만든다. 또한, 측면 커버(85)에도 도면에서와 같이 결합부(85c)를 만들고 상기 결합부(85c)에 홈(85b)을 만든다.
그리고, 상하판(88a)의 절개 부분에 결합부(85c)가 결합된다, 그렇게 되면 지지홈(88e)과 결합홈(85b)은 정렬되고, 상기 지지홈(88e)과 결합홈(85b)에 나사(85e)가 장착되게 된다, 즉, 상하판(88a)의 홈과 커버수단(85)의 홈을 정렬시키고 상기 두 홈에 동일한 나사를 삽입하여, 상하판(88a)과 커버수단(85)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휴대용 표시장치에 물리적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 수단(85)에 결합홈(85d)을 만들기 위해 절개한 절개부를 막는 마개(85d)를 구비한다. 상기 마개는 고무나 수지류로 한다.
도 48과 도 49는 탄성부가 구비된 측면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하판(88a)의 홈(88b) 양편에 도면에서처럼 탄성장치(89)를 구비하게 된다. 즉, 홈(88b)의 중간은 상기 탄성장치(89)에 의해 이동 통로가 좁아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49와 같이 상하판 홈(88b) 내에서 이동하는 돌기축(61a)이 이동시에 탄력을 가지게 된다. 즉, 도 44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이 부분적으로 펼친 상태를 유지하기는 어렵게 되고,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는 유지하기가 쉽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구조를 갖게 되므로서, 고가의 스프링이 구비된 힌지축을 사용하지 않고도, 패널하우징(20)(40)의 접힘과 펼침의 과정에서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0은 패널하우징에 연결구(48)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를 통해 회로연결선(48a)이 지나가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회로연결선(48a)과 상기 연결구(48)는 디스플레이 측면을 커버하는 커버가 막아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회로 연결선(48a)은 패널하우징(20)(40)과 커버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도 51과 도 52는 커버수단(85)의 부분적 구조 변경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커버수단(85)과 패널하우징(20)(40) 사이에 틈이 존재하며, 커버수단(85)의 측면을 연장하므로서 상기 틈을 막아주는 구조를 제공한다. 측, 커버 수단(85)에 측면(85a)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하판(88a)과 연결바(87)의 크기를 앞의 도면의 실시예보다 줄여서 설계한다. 그렇게 하므로서 도 51에서처럼 측면커버(85)가 패널하우징(20)(40)에 결합되어도 돌출되지 않게 된다.
즉 접힌 상태의 패널하우징(20)(40)의 두께와 측면 커버(85)의 폭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게 한다. 예를 들면 서로 같거나 5mm 이내의 크기 차이를 보이게 하는 것이다.
- 실시예 15 -
도 53 내지 도 60은 두 개의 화면이 구비되고, 키 입력부가 두 부분으로 분리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3은 각각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하우징과, 두 부분으로 분리된 키 입력부(110)(120)가 구비된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2)(4)는 상호 인접되며 인접되는 구조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 예를 따른다. 그리고 키 입력부는 통상의 자판으로 형성된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은 연결축(80)에 의해 키입력부(110)(120)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다. 도 53은 부분적으로 펼쳐진 상태이지만, 패널하우징(20)(40)과 키입력부(110)(120)는 서로 완전히 펼쳐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54는 상기 키입력부(110)(120)와 패널하우징(20)(40)이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디스플레이(2)(4) 화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완전히 접히게 된다.
그리고, 도 54의 상태에서 키입력부(110)(120)가 바깥에 위치하고 패널하우징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또 다시 접을 수 있으며, 도 56은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이고, 도 58은 완전히 접힌 상태이다.
한편, 도 56을 보면 디스플레이(2)(4)가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측면 부분을 커버하는 측면커버(130)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커버(130)와 연결되는 부분 커버(131)는 패널하우징(20)(40)의 접혀지는 부분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위치한다.
아울러, 도 57에서처럼 패널하우징의 접혀지는 부분의 위쪽과 아래쪽에 공간(131a)이 마련되어, 상기 마련된 공간(131a)에 커버(131)가 구비된다. 그렇게 하므로서, 상기 커버(131)에 의해 돌출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키입력부(110)(120)에도 공간(130a)이 마련되어 상기 마련된 공간(130a)에 측면 커버(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키입력부(110)(120)가 펼쳐진 상태에서 볼 때, 도 54처럼 키입력부(110)(120)의 일부분 만 돌출될 수도 있고, 도 60에서처럼 키입력부(110)(120)가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130)는 디스플레이(2)(4)가 부분적으로 접혀지는 과정(도 56)에서도 디스플레이(2)(4) 측면 부분을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2)(4)가 접혀지고 펼쳐짐- 키입력부(110)(120)도 동시에 접혀지고 펼쳐진다.- 에 따라 상기 측면 커버는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2)(3)가 펼쳐지면 측면 커버(130)는 디스플레이(2)(4)의 뒷 부분에 위치하지만, 디스플레이가 접혀짐에 따라 측면 커버(130)는 디스플레이 측면 부분을 커버하게 된다.
도 55와 도 57 및 도 59는 키입력부(110)(120)와 측면 커버(13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키입력부(110)(120)에 형성된 공간(130a)에 커버 지지대(133)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 지지대(133)는 키입력부(110)(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지지대(133)와 상기 측면 커버(130)는 홈(135)과 돌기(133a)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측면 커버(130)의 위 덮개와 아래 덮개에 구비된 홈(135)이 상기 커버 지지대(133) 돌기(133a)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측면 커버(130) 양 측면에 측면 덮개(136)가 구비된다. 그리고, 날개(136a)가 더 구비되어 측면 덮개(136)가 덮어주지 못하는 부분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136a)는 키입력부(110)(120)가 접혀지고 펼쳐짐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즉, 키 입력부(110)(120)에 구비된 지지대(133)와 결합되어 키입력부(110)(120)가 움직일 때 같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접힘상태(도 58)에서 부분적으로 펼침 상태(도 56)와 완전히 펼침 상태(도 54)가 되는 동안 상기 날개(136a)도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0은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로 키 입력부(110)(120)가 펼쳐졌을 때 측면 커버(130)가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만들어진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돌출되더라고 그 크기를 4 - 5 mm 이내 정도로 한다는 것이다.
- 실시예 16 -
도 61에서 도 71 두 개의 패널하우징과 두 개의 키 입력부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두 개의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구비되고, 또한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키입력부(110)(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하우징(20)(40)가 상기 키입력부(110)(120)는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는 실시예이다.
도 61은 키입력부(110)(120)가 패널하우징(20)(40) 밖으로 슬라이딩 되어 나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2내지 도 64는 뒤에서 본 모양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키 입력부(110)(120)가 패널 하우징(20)(40) 밖으로 나오게 할 수 있고, 패널하우징(20)(40) 아래로 완전히 수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키 입력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도면에서처럼 2 개 세트(Set)의 술라이딩 힌지가 사용된다. 즉,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1 키입력부(110)를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는 슬라이딩 힌지(90)(91)가 구비되고,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2 키입력부(120)를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는 슬라이딩 힌지(90)(91)도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힌지는 키보드와 화면이 상호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통상의 휴대폰에서 사용되는 힌지의 원리와 구조가 그대로 사용된다. 즉, 팽창 혹은 압축이 가능한 스프링부(91)의 걸개 1(91a)은 키입력부 하단과 연결되고, 걸개 2(91b)는 고정판(90)과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판(90)의 양쪽에 있는 돌기(90a)는 키 입력부의 홈(111)을 통해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90)에 연결된 스프링부(91)의 압축과 팽창을 통해 키입력부(110)(120)가 패널하우징(20)(40)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2 키입력부(110)(120)는 측면 커버(130)를 통해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제 1 키입력부(110) 만 따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는 없다.
그리고 도 65과 도 66은 키 입력부(110)(120)가 패널하우징(20)(40) 하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접힌 도면과 완전히 접힌 도면이다. 즉, 디스플레이(2)(4)가 안쪽에 위치하고 키입력부(110)(120)가 바깥에 위치하도록 접히게 된다.
도 67내지 도 69는 측면커버(1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커버(130)가 동작되는 원리는 실시예 15에서 설명된 원리와 같게 된다.
또한, 도 70은 측면 커버(130)와 부분 커버(131)의 폭을 넓힌 실시예이다. 즉, 키입력부(110)(120)와 패널하우징(20)(40)이 모두 접힌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두께와 측면커버(130)의 폭을 같게 한 경우이다.(부분 커버(131)의 폭도 같게 하였다.)
아울러, 도 71은 측면커버(130)의 두께를 도 70에서처럼 두껍게 하지 않고 곡선과 경사 구조로 만들고, 상기 측면커버(130) 및 부분 커버(131)가 패널하우징(20)(40)과 곡선및 경사 구조로 연결되도록 만든 실시예이다. 따라서 측면커버(130)의 두께와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두께가 차이가 나는 부분을 곡선과 경사 구조로 보완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 실시예 17 -
도 72내지 도 77은 디스플레이가 바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접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2와 도 73은“ㄷ”모양의 덮개 프레임(24) 혹은 “ㄷ”모양의 프레임(20b)과 마스크 프린팅(16d)이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73에서처럼 접혔을 때에는 디스플레이(2)(4)가 휴대용 표시장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74와 75는 “ㅁ”모양 혹은 “=” 모양의 덮개(34)가 가능한 실시예이며, 또한 “ㅁ”모양 혹은 “=” 모양의 마스크 프린팅(16d)이 가능한 실시예이다. 완전히 접힌 상태와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모양이다.
도 76은 접혀진 상태의 단면 모양을 나타낸 도면으로, 접혀지는 부분의 패널하우징의 모서리를 곡선 구조로 하였음(도면에서 R로 표시함)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곡선 구조를 제공하므로서 점힘과 펼침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77에서처럼 펼쳐진 상태의 패널하우징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도면에서처럼 결합 장치(2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장치(21)(41)는 해당 부분에 N극과 S극의 자석을 각각 구비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홈과 돌기 구조를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60)은 제 1 패널하우징(20)에 구비된 제 1축과 제 2 패널하우징(40)에 구비된 제 2 축을 감싼 구조이다. 즉, 두 개의 축으로 접힘과 펼침 동작을 하게 되지만, 커버 축(60)으로 감싸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어서 두개 축이 도면에서는 생략되었다.
물론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축으로도 접힘과 펼침 구조가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 실시예 18 -
도 78과 내지 도 82는 추가로 키 입력부 혹은 제3의 패널하우징이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8과 도 79는 디스플레이(2)(4)가 각각 장착된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키입력부(115)가 추가로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상기 키입력부(115)는 사실상 본체 부분에 해당되며, 상기 키입력부(115)에 밧테리도 내장되고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된 회로부가 장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15)는 패널하우징(20)(40)하부에 완전히 수납되거나 바깥에 위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0과 도 81은 제 3 패널하우징(60)이 더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 제 3 패널하우징(60)에도 디스플레이(6)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2 패널하우징(40)은 디스플레이(2)(4)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구조를 갖게 되고,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3 패널하우징(60)은 디스플레이(4)(6)가 바깥에 위치하도록 접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80은 패널하우징(20)(40)(60)이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이고, 도 81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이다.
도 82는 슬라이딩 구조과 결합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2 패널하우징(40)은 접힘과 펼침의 구조를 가지고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3 패널하우징은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구조라 함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두개의 패널하우징이 겹쳐진 상태에서부터 출발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다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호 인접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도 82 상태에서 제 1 패널하우징(20)과 제 2 패널하우징(40)이 완전히 펼쳐지고, 제 2 패널하우징(40)과 제 3 패널하우징(60)이 슬라이딩되어 펼쳐지면 도 81의 형상처럼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4 : 디스플레이 20, 40 : 패널하우징
200, 400 : 입력장치 14 : 보후수단
50 : 측면 커버 61,62 : 연결축
70 : 창살 71 : 스프링 탄성장치
80 : 측면 커버 81 ; 측면판
25 : 밧테리 45 : 메인보드
24 : 덮개 프레임 20b : 프레임

Claims (5)

  1.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은 회전 가능한 연결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의 두께가 연결축으로 갈수록 더 얇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의 지름도 패널하우징 두께의 0.25배 이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에 측면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는 축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4. 적어도 두개의 패널하우징이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디스플레이가 각각 장착되며, 상기 패널하우징은 회전 가능한 연결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질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처럼 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가 연결되는 부분을 이음매부라고 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이음매를 옆에 두고 위쪽 혹은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서 이음매부와 가장 가까운 화소에서부터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는 3.5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100060258A 2009-12-14 2010-06-24 휴대용 표시장치 KR20110068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3893 2009-12-14
KR1020090123893 2009-12-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80257A Division KR20150008361A (ko) 2014-12-15 2014-12-15 휴대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799A true KR20110068799A (ko) 2011-06-22

Family

ID=4440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258A KR20110068799A (ko) 2009-12-14 2010-06-24 휴대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87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20B1 (ko) * 2012-06-26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20B1 (ko) * 2012-06-26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064431B2 (en) 2012-06-26 2015-06-23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fold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 memb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752B2 (ja) 携帯用マルチ表示装置
US20200098325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JP4405532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US7405777B2 (en) Back LCD impact absorbing structure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tructure
KR20160124414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2330827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70130342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10068799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60039586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150008361A (ko) 휴대용 표시장치
JP2008199575A (ja) 携帯端末装置
KR20110101003A (ko) 휴대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