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37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374B1
KR102609374B1 KR1020180149931A KR20180149931A KR102609374B1 KR 102609374 B1 KR102609374 B1 KR 102609374B1 KR 1020180149931 A KR1020180149931 A KR 1020180149931A KR 20180149931 A KR20180149931 A KR 20180149931A KR 102609374 B1 KR102609374 B1 KR 10260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ssembly
display module
assem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786A (ko
Inventor
이재능
우병민
조철용
정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374B1/ko
Priority to US16/695,552 priority patent/US11016536B2/en
Priority to EP19212081.4A priority patent/EP3660819B1/en
Priority to CN201980077969.XA priority patent/CN113168791B/zh
Priority to PCT/KR2019/016530 priority patent/WO2020111800A1/en
Publication of KR2020006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이웃하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슬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이다.
최근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연이어 배치되어 대면적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하거나 하나의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일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체결도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결합시켜야 했고, 그 결합 방법 역시 단순하지 않아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과 신호 전달을 위한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최소한의 전원 케이블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전원 내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액세서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이웃하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슬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결합유닛이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의 슬릿에 결합되면,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결합유닛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결합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프론트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마주하고, 상기 결합유닛이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유닛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슬릿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제 1전원단자를 가지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벽에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호간에 전원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 1전원단자와 접촉하는 제 2전원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상신호 제어 보드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영상신호 제어 보드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 제어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전원 제어 보드에 결합되는 제 1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상호간에 신호 또는 전원을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 1커넥터와 결합하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조작유닛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유닛과 결합하는 회전부재,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릿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고, 절개부를 가지는 리어 커버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일 면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을 커버하도록 상기 절개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상하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측면 외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및 각각의 상기 복수의 슬릿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릿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프론트 프레임, 상기프론트 프레임과 마주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유닛이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 및상기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으로서, 상기 복수의 슬릿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서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복수의 결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슬릿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복수의 결합유닛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의 복수의 슬릿 중 어느 하나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제 1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벽에는 상기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호간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 1전원단자와 접촉하는 제 2전원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 제어 보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중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상신호 제어 보드 및 상기 영상신호 제어 보드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중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각각의 상기 복수의 결합유닛을 작동시키도록 각각의 상기 복수의 결합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조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이웃하고, 슬릿을 포함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액세서리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결합유닛이 상기 액세서리의 슬릿에 결합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액세서리는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조작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결합유닛의 조작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필요 없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된 전원을 제 1전원단자 및 제 2전원단자의 접촉을 통해 이웃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 케이블 없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결합유닛 및 액세서리의 슬릿 사이의 결합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액세서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적용된 다양한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스피커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결합유닛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결합유닛의 후방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결합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결합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유닛에 의해 락킹되기 전과 후를 도시한 도면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유닛에 의해 락킹되기 전과 후를 도 25a 및 도 25b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적용된 다양한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X"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후방향을 지칭하고, "Y"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좌우방향을 지칭하며, "Z"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하방향을 지칭한다. 참고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두께방향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후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화면(11a)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상호간에 영상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 1커넥터(18)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제 2커넉터(28)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11a)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11)과,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11)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11)은 지지 프레임(1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11)은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 프레임(12)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접착부재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결합에 관여하는 제 1자석(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자석(15)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11)과 마주하는 지지 프레임(12)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복수의 제 1자석(15)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복수의 제 1자석(15)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11)과 마주하는 지지 프레임(12)의 일 면의 코너(corner)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제 1자석(15)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전기적인 연결에 관여하는 제 1커넥터(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커넥터(18)는 지지 프레임(12)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커넥터(18)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제 2커넥터(28)와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2)의 중심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결합시키거나,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액세서리를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결합유닛(30)(도 3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액세서리는 선반, 스피커,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유닛(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결합유닛(30)을 작동시키도록 결합유닛(30)에 결합되는 조작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유닛(40)은 결합유닛(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작유닛(40)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유닛(40)은 노브(kno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조작유닛(4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마주하는 프론트 프레임(front frame)(21)과, 프론트 프레임(21)과 마주하는 리어 프레임(rear frame)(22)과, 프론트 프레임(21) 및 리어 프레임(22)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프론트 프레임(21), 리어 프레임(22) 및 사이드 프레임(23)에 의해 정의되는 서포터 내부공간(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1)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1)에는 조작유닛(40)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조작유닛 결합공(21a)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1)에는 제 2커넥터(28)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공(21b)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1)의 커넥터 결합공(21b)에 관통 결합된 제 2커넥터(28)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 1커넥터(18)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결합공(21b)은 프론트 프레임(21)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커넥터 결합공(21b)은 조작유닛 결합공(21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프레임(21)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넥터 결합공(21b)은 복수의 조작유닛 결합공(21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1)에는 설치홈(21c)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21c)은 캡(29)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서포터 내부공간(24)을 향하는 프론트 프레임(21)의 일 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21c)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벽과 같은 설치면에 걸 때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측면(側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대략 액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상측 가장자리(23a)와, 상측 가장자리(23a)와 마주하는 하측 가장자리(23b)와, 상측 가장자리(23a) 및 하측 가장자리(23b)를 연결하고 서로 마주하는 좌측 가장자리(23c) 및 우측 가장자리(23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에는 슬릿(slit)(23e)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23e)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유닛(30)에 대응되도록 사이드 프레임(23)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23e)은 사이드 프레임(23)의 상측 가장자리(23a), 하측 가장자리(23b), 우측 가장자리(23d) 및 좌측 가장자리(23c)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프레임(23)의 상측 가장자리(23a), 하측 가장자리(23b), 우측 가장자리(23d) 및 좌측 가장자리(23c)에는 전후로 이웃하는 한 쌍의 슬릿(23e)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23e)은,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사이의 결합 또는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액세서리 사이의 결합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내부공간, 즉, 서포터 내부공간(24)에서 발생하는 열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에는 제 1전원단자(26)(도 6a참고)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전원단자(26)는 사이드 프레임(2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전원단자(26)는 슬릿(23e)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1전원단자(26)는 결합유닛(30)의 제 2전원단자(39a)와 함께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또는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액세서리 사이의 전원 전달에 관여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두께방향(X)으로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이 교대로 배열된 세레이션(serration)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사이드 프레임(23)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리어 프레임(22)에는 결합유닛(3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유닛(30)은 서포터 내부공간(24)에 위치하도록 리어 프레임(22)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복수의 결합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30)은 사이드 프레임(23)의 상측 가장자리(23a), 하측 가장자리(23b), 좌측 가장자리(23c) 및 우측 가장자리(23d)에 인접하도록 리어 프레임(22)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합유닛(30)이 사이드 프레임(23)의 각 가장자리(23a,23b,23c,23d)에 대응되게 설치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상하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22)에는 캡(29)이 결합되는 캡 결합공(22a)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 결합공(22a)은 리어 프레임(22)의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캡(29)은 리어 프레임(22)의 캡 결합공(2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후면(後面) 외관을 형성하도록 리어 프레임(22)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rear cover)(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27)는 절개부(27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어 커버(27)는 복수의 절개부(27a)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복수의 절개부(27a)는 리어 커버(27)의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리어 커버(27)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후면(後面) 외관을 형성하는 캡(cap)(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29)은 프론트 프레임(21)의 설치홈(21c)을 커버할 수 있도록 리어 커버(27)의 절개부(27a)에 배치될 수 있다. 캡(29)은 리어 커버(27)의 절개부(27a)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커버(27)의 절개부(27a)로부터 캡(29)을 분리할 경우, 프론트 프레임(21)의 설치홈(21c)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벽과 같은 설치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설치면에 스크루와 같은 고정부재를 고정시킨 후, 캡(29)을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로부터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설치홈(21c)을 고정부재에 걸 수 있다. 설치홈(21c) 및 캡(29)과 같은 구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용이하게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다. 캡(29)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캡(29)은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29)은 설치홈(21c)을 커버하도록 자력(磁力)에 의해 프론트 프레임(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29)은 자석(29b)이 장착되는 자석 장착부(29a)를 포함할 수 있다. 캡(29)은 자석 장착부(29a)에 장착되는 자석(29b) 및 프론트 프레임(21)에 마련되는 제 2자석(25)의 상호작용에 의해 프론트 프레임(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제 1자석(15)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결합에 관여하는 제 2자석(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자석(25)은 프론트 프레임(21)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는 제 1자석(15) 및 제 2자석(25)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자석(25)은 제 1자석(15)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사이의 결합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자석(29b)과 함께 캡(29) 및 프론트 프레임(21) 사이의 결합에도 관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 보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보드(50)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내부공간, 즉, 서포터 내부공간(24)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50)는 리어 프레임(22)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50)는 복수의 결합유닛(3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리어 프레임(22)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50)는 전원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커넥터(28)는 프론트 프레임(21)의 커넥터 결합공(21b)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 보드(5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미도시)에 의해 제어 보드(5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 보드(50)는 제 1커넥터(18) 및 제 2커넥터(28) 사이의 결합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에 마련되는 제 1전원단자(26) 및 결합유닛(30)의 체결부재(35,36)에 마련되는 제 2전원단자(39a)는 각각 케이블(80)(도 6a참고)에 의해 제어 보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가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 보드(50)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모듈(60)(도 6a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통신모듈(60)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내부공간, 즉, 서포터 내부공간(24)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60)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60)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는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60)은 사이드 프레임(2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복수의 무선통신모듈(60)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복수의 무선통신모듈(60)은 사이드 프레임(23)의 상측 가장자리(23a), 하측 가장자리(23b), 좌측 가장자리(23c) 및 우측 가장자리(23d)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결합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복수의 결합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30)은, 조작유닛(4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조작유닛(40)과 결합하는 제 1회전부재(31)와, 제 1회전부재(31)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 2회전부재(32)와, 조작유닛(40)의 조작에 따라 슬릿(23e)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재(35,36)와, 제 2회전부재(32) 및 체결부재(35,36)를 연결하는 링크부재(3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전부재(31)는 제 2회전부재(32)보다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부재(31) 및 제 2회전부재(32)는 각각 톱니부(31b,32b)(도 6a참고)를 포함하고, 제 1회전부재(31)의 톱니부(31b)의 톱니수는 제 2회전부재(32)의 톱니부(32b)의 톱니수보다 많을 수 있다. 제 1회전부재(31)는 제 1회전부재 회전축(31a)(도 6a참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 2회전부재(32)는 제 2회전부재 회전축(32a)(도 6a참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조작유닛(40)은 제 1회전부재(31)의 제 1회전부재 회전축(31a)에 결합되어 제 1회전부재(31)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체결부재(35,36)는 체결부재 회전축(37)(도 6a참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35,36)는 체결부재 바디(38) 및 체결부재 바디(38)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암(arm)(39)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암(39)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두께방향(X)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체결부재 회전축(37)은 체결부재 바디(38)에 관통 결합되어 리어 프레임(22)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35,36)의 복수의 암(39)은 조작유닛(40)의 조작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23)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슬릿(23e)에 각각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암(39)에는 제 2전원단자(39a)(도 6a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33,34)는 제 2회전부재(32) 및 체결부재(35,36)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부재(33,34)의 일 단부는 제 2회전부재(32)에 결합되고, 링크부재(33,34)의 타 단부는 체결부재(35,36)의 체결부재 바디(38)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33,34)는 제 2회전부재(32)의 움직임을 체결부재(35,3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30)은 복수의 체결부재(35,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부재(35,36)는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30)은 복수의 링크부재(33,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링크부재(33,34)는 제 2회전부재(32) 및 제 1체결부재(35)를 연결하는 제 1링크부재(33) 및 제 2회전부재(32) 및 제 2체결부재(36)를 연결하는 제 2링크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회전부재(32)에 결합되는 제 1링크부재(33)의 일 단부는 제 2회전부재(32)에 결합되는 제 2링크부재(34)의 일 단부와 제 2회전부재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재 회전축(37)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제 1회전부재 회전축(31a) 및 제 2회전부재 회전축(32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하나의 결합유닛(30)을 구성하는 제 1회전부재(31), 제 2회전부재(32) 및 체결부재(35,36)에 있어서, 체결부재 회전축(37)은 결합유닛(30)이 마주하는 사이드 프레임(23)의 일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타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으로 제 1회전부재 회전축(31a) 및 제 2회전부재 회전축(32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이드 프레임(23)의 상측 가장자리(23a)와 마주하는 결합유닛(30)을 구성하는 제 1회전부재(31), 제 2회전부재(32) 및 체결부재(35,36)의 경우, 체결부재 회전축(37)은 좌측 가장자리(23c) 또는 우측 가장자리(23d)의 길이방향으로 제 1회전부재 회전축(31a) 및 제 2회전부재 회전축(32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무선통신모듈(60)은 제 2회전부재(32)와 인접하도록 제 2회전부재(32)와 마주하는 사이드 프레임(2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무선통신모듈(60)은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 사이에 위치하도록 사이드 프레임(2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전원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 케이블(70)에 의해 전원 공급원과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는 제어 보드(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커넥터는 제어 보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커넥터는 리어 커버(27)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원 커넥터 커버(75)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와 이웃하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는 결합유닛(3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 중 어느 하나의 결합유닛(30)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 중 다른 하나의 슬릿(23e)에 결합되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는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결합유닛(30)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슬릿(23e)에 결합됨에 따라 좌우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각각의 조작유닛(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조작유닛(40)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회전부재(31)는 조작유닛(40)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회전부재(31)가 회전함에 따라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2회전부재(32)는 제 1회전부재(31)에 맞물려 제 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2회전부재(32)의 회전력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링크부재(33) 및 제 2링크부재(34)를 통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전달된다.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는 각각 체결부재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사이드 프레임(23)의 우측 가장자리(23d)에 형성된 슬릿(23e)을 통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외부로 돌출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사이드 프레임(23)의 좌측 가장자리(23c)에 형성된 슬릿(23e)에 삽입되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사이드 프레임(23)의 좌측 가장자리(23c)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26)에 접촉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사이의 결합이 완성되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결합되고,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원이 전원 케이블(70)에 의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에 연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원 공급원은 전원 케이블(70)에 의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전원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전원 커넥터에 연결되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어 보드(50)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는 케이블(80)에 의해 제어 보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 2전원단자(39a)는 제어 보드(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에 공급된 전원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와,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사이드 프레임(23)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26)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와 같은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 1커넥터(18) 및 제 2커넥터(28)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의 제어 보드(50)에 입력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에 입력된 신호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무선통신모듈(60) 사이의 송수신을 통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로 전달될 수 있다.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1b)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적용된 다양한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스피커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2a 및 도 12b는 도 8의 "A"부분의 결합 과정을 보여준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다양한 사용예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뿐만 아니라 도 1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00a,100b.100c,100d)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과 같은 설치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날짜, 시간, 온도, 습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다양한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인공지능(AI) 기능이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능이 탑재될 수도 있다.
도 8,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는 복수의 스피커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복수의 스피커 어셈블리(110)를 구비함에 따라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스피커 어셈블리(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코너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각각의 복수의 스피커 어셈블리(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20) 및 스피커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b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스피커 모듈(130)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30)은 도 1 내지 도 6b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되, 체결부재(35,36) 대신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피커 모듈(130)의 내부공간에는 체결부재(35,36) 대신 앰프(amplifier), 우퍼(woofer) 등과 같은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스피커 어셈블리(11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와 마찬가지로 제어 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보드(50)는 스피커 모듈(1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스피커 어셈블리(11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결합유닛(30)이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슬릿(23e)에 결합됨으로써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조작유닛(40)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회전부재(31)는 조작유닛(40)과 일체로 회전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회전부재(31)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2회전부재(32)는 제 1회전부재(31)에 맞물려 제 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2회전부재(32)의 회전력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링크부재(33) 및 제 2링크부재(34)를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전달된다.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는 각각 체결부재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사이드 프레임(23)의 우측 가장자리(23d)에 형성된 슬릿(23e)을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외부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는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사이드 프레임(23)의 좌측 가장자리(23c)에 형성된 슬릿(23e)에 삽입되어 스피커 어셈블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는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사이드 프레임(23)의 좌측 가장자리(23c)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26)에 접촉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스피커 어셈블리(1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원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연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어 보드(50)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는 제어 보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보드(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공급된 전원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와,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사이드 프레임(23)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26) 사이의 접촉에 의해 스피커 어셈블리(110)로 전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커넥터(18) 및 제 2커넥터(28) 사이의 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어 보드(50)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입력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무선통신모듈(60) 사이의 송수신을 통해 스피커 어셈블리(110)로 전달될 수 있다.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스피커 모듈(13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30)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는 스피커 어셈블리(110)의 사이드 프레임(23)에 형성된 슬릿(23e)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포함할 수 있고, 테이블(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테이블(140)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b)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결합유닛(30) 및 테이블(140)의 슬릿(미도시) 사이의 결합에 의해 테이블(140)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b)가 디스플레이 장치(100b)의 높이방향(H)으로 복수의 층을 이루어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포함하는 경우, 테이블(140)에 인접한 층에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유닛(30)이 테이블(140)의 슬릿과의 결합에 관여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c)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는 선반(15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15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프레임(151)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152)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 프레임(153) 및 우측 프레임(15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c)를 벽과 같은 설치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로부터 캡(29)을 분리한 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벽에 고정한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가 벽에 고정되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분리한 후, 조작유닛(40)을 조작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를 서로 결합시킨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가 서로 결합되면, 상측 프레임(151), 하측 프레임(152), 좌측 프레임(153) 및 우측 프레임(154) 중 일부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와 결합시킨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및 선반(150) 사이의 결합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의 결합유닛(30) 및 선반(150)의 슬릿(미도시)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가 서로 결합되면, 하측 프레임(152), 좌측 프레임(153) 및 우측 프레임(154)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 및 선반(150)의 일부가 결합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결합시킨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결합되면, 선반(150)의 나머지 일부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반(150)의 상측 프레임(151)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크루(screw)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를 선반(150)과 용이하게 조립 내지 결합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c)를 벽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c)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중 적어도 일부는 벽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선반(15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c)를 벽과 같은 설치면에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순서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d)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는 스피커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d)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스피커 모듈(160)을 구비함에 따라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6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61)과, 하우징(161)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앰프, 우퍼 등과 같이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들과,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어 보드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와 음향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와 마주하는 스피커 모듈(160)의 하우징(161)의 일 벽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일 벽의 내면에는 제 1전원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스피커 모듈(160) 사이의 결합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결합유닛(30) 및 스피커 모듈(160)의 슬릿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스피커 모듈(16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원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연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어 보드(50)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는 제어 보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보드(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공급된 전원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체결부재(35) 및 제 2체결부재(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39a)와, 스피커 모듈(160)의 일 벽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 사이의 접촉에 의해 스피커 모듈(160)로 전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 1커넥터(18) 및 제 2커넥터(28) 사이의 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제어 보드(50)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입력된 음향신호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 및 스피커 모듈(160)의 무선통신모듈(60) 사이의 송수신을 통해 스피커 모듈(130)로 전달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3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60)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는 스피커 모듈(160)의 하우징(161)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복수의 홀(162)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화면(211a)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자력(磁力)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전원을 주고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제 1커넥터(218)(도 15참고)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제 2커넉터(228)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를 결합시키거나,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및 액세서리를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결합유닛(230)(도 16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액세서리는 선반, 스피커,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유닛(2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결합유닛(230)을 작동시키도록 결합유닛(230)에 결합되는 조작유닛(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유닛(240)은 결합유닛(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작유닛(240)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유닛(240)은 노브(kno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조작유닛(24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화면(211a)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211)과,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211)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212,213,2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12,213,214)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211)이 배치되는 이너 지지 프레임(212)과,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면(後面)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과, 이너 지지 프레임(212) 및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을 연결하는 사이드 지지 프레임(2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 프레임(214)은 대략 액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지지 프레임(214)은,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두께방향(X)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이 교대로 배열된 세레이션(serration)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사이드 지지 프레임(214)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211)은 이너 지지 프레임(212)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211)은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이너 지지 프레임(212)에 결합되거나,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이너 지지 프레임(212), 사이드 지지 프레임(214) 및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에 의해 정의되는 모듈 내부공간(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전기적인 연결에 관여하는 제 1커넥터(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커넥터(218)는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커넥터(218)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제 2커넥터(228)와 결합할 수 있도록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의 중심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마주하는 프론트 프레임(221)과, 프론트 프레임(221)과 마주하는 리어 프레임(222)과, 프론트 프레임(221) 및 리어 프레임(222)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2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프론트 프레임(221), 리어 프레임(222) 및 사이드 프레임(223)에 의해 정의되는 서포터 내부공간(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21)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21)에는 조작유닛(240)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조작유닛 결합공(221a)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21)에는 제 2커넥터(228)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공(221b)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221)의 커넥터 결합공(221b)에 관통 결합된 제 2커넥터(228)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제 1커넥터(218)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결합공(221b)은 프론트 프레임(221)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커넥터 결합공(221b)은 조작유닛 결합공(221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프론트 프레임(221)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넥터 결합공(221b)은 복수의 조작유닛 결합공(221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23)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측면(側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23)은 대략 액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23)은 상측 가장자리(223a)와, 상측 가장자리(223a)와 마주하는 하측 가장자리(223b)와, 상측 가장자리(223a) 및 하측 가장자리(223b)를 연결하고 서로 마주하는 좌측 가장자리(223c) 및 우측 가장자리(223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23)에는 슬릿(slit)(223e)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223e)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유닛(230)에 대응되도록 사이드 프레임(223)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223e)은 사이드 프레임(223)의 상측 가장자리(223a), 하측 가장자리(223b), 우측 가장자리(223d) 및 좌측 가장자리(223c)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프레임(223)의 상측 가장자리(223a), 하측 가장자리(223b), 우측 가장자리(223d) 및 좌측 가장자리(223c)에는 전후로 이웃하는 한 쌍의 슬릿(223e)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223e)은,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사이의 결합 또는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및 액세서리 사이의 결합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내부공간, 즉, 서포터 내부공간(224)에서 발생하는 열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사이드 프레임(223)에는 제 1전원단자(226)(도 18a참고)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전원단자(226)는 사이드 프레임(22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전원단자(226)는 슬릿(223e)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1전원단자(226)는 결합유닛(230)의 제 2전원단자(239a)와 함께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또는 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및 액세서리 사이의 전원 전달에 관여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23)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두께방향(X)으로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과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이 교대로 배열된 세레이션(serration)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사이드 프레임(223)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리어 프레임(222)에는 결합유닛(23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유닛(230)은 서포터 내부공간(224)에 위치하도록 리어 프레임(222)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결합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230)은 사이드 프레임(223)의 상측 가장자리(223a), 하측 가장자리(223b), 좌측 가장자리(223c) 및 우측 가장자리(223d)에 인접하도록 리어 프레임(222)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합유닛(230)이 사이드 프레임(223)의 각 가장자리(223a,223b,223c,223d)에 대응되게 설치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상하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후면(後面) 외관을 형성하도록 리어 프레임(222)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rear cover)(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전원 및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보드(2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보드(251)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영상신호를 제어하는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 보드(251)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 중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제어 보드(251)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서포터 내부공간(224)에 배치될 수 있고,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모듈 내부공간(215)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제어 보드(251)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서포터 내부공간(224)에 배치되는 경우, 전원 제어 보드(251)는 리어 프레임(222)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제어 보드(251)는 복수의 결합유닛(23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리어 프레임(222)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커넥터(228)는 프론트 프레임(221)의 커넥터 결합공(221b)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원 제어 보드(251)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미도시)에 의해 전원 제어 보드(25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 제어 보드(251)는 제 1커넥터(218) 및 제 2커넥터(228) 사이의 결합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전원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23)에 마련되는 제 1전원단자(226) 및 결합유닛(230)의 체결부재(235,236)에 마련되는 제 2전원단자(239a)(도 18a참고)는 각각 케이블(280)에 의해 전원 제어 보드(2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가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모듈 내부공간(215)에 배치되는 경우,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에 설치될 수 있다.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커넥터(218)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에 설치될 수 있다.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제 1커넥터(218) 및 제 2커넥터(228) 사이의 결합을 통해 전원 제어 보드(2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내부공간, 즉, 모듈 내부공간(215)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260)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260)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는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260)은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무선통신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무선통신모듈(260)은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아우터 지지 프레임(213)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결합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결합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230)은, 조작유닛(24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조작유닛(240)과 결합하는 회전부재(231)와, 조작유닛(240)의 조작에 따라 슬릿(223e)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재(235,236)와, 회전부재(231) 및 체결부재(235,236)를 연결하는 링크부재(233,23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231)는 회전부재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조작유닛(240)은 회전부재(231)의 회전부재 회전축(231a)에 결합되어 회전부재(231)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체결부재(235,236)는 체결부재 회전축(23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235,236)는 체결부재 바디(238) 및 체결부재 바디(238)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암(arm)(239)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암(239)은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두께방향(X)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체결부재 회전축(237)은 체결부재 바디(238)에 관통 결합되어 리어 프레임(222)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235,236)의 복수의 암(239)은 조작유닛(240)의 조작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223)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슬릿(223e)에 각각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암(239)에는 제 2전원단자(239a)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233,234)는 회전부재(231) 및 체결부재(235,236)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부재(233,234)의 일 단부는 회전부재(231)에 결합되고, 링크부재(233,234)의 타 단부는 체결부재(235,236)의 체결부재 바디(238)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233,234)는 회전부재(231)의 움직임을 체결부재(235,23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230)은 복수의 체결부재(235,2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부재(235,236)는 제 1체결부재(235) 및 제 2체결부재(23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복수의 결합유닛(230)은 복수의 링크부재(233,2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링크부재(233,234)는 회전부재(231) 및 제 1체결부재(235)를 연결하는 제 1링크부재(233) 및 회전부재(231) 및 제 2체결부재(236)를 연결하는 제 2링크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231)에 결합되는 제 1링크부재(233)의 일 단부는 회전부재(231)에 결합되는 제 2링크부재(234)의 일 단부와 회전부재 회전축(231a)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부재 회전축(237)은 회전부재 회전축(231a)보다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도 17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와 이웃하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는 결합유닛(23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 중 어느 하나의 결합유닛(230)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 중 다른 하나의 슬릿(223e)에 결합되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는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결합유닛(230)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슬릿(223e)에 결합됨에 따라 좌우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각각의 조작유닛(2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조작유닛(240)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회전부재(231)는 조작유닛(240)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회전부재(231)의 회전력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제 1링크부재(233) 및 제 2링크부재(234)를 통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제 1체결부재(235) 및 제 2체결부재(236)에 전달된다. 제 1체결부재(235) 및 제 2체결부재(236)는 각각 체결부재 회전축(23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사이드 프레임(223)의 우측 가장자리(223d)에 형성된 슬릿(223e)을 통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외부로 돌출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제 1체결부재(235) 및 제 2체결부재(236)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사이드 프레임(223)의 좌측 가장자리(223c)에 형성된 슬릿(223e)에 삽입되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제 1체결부재(235) 및 제 2체결부재(2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239a)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사이드 프레임(223)의 좌측 가장자리(223c)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226)에 접촉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 사이의 결합이 완성되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에 결합되고,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원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에 연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전원 제어 보드(251)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제 1체결부재(235) 및 제 2체결부재(2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239a)는 케이블(280)에 의해 전원 제어 보드(2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 2전원단자(239a)는 전원 제어 보드(2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에 공급된 전원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제 1체결부재(235) 및 제 2체결부재(236)에 마련된 제 2전원단자(239a)와,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사이드 프레임(223)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226)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제 1커넥터(218) 및 제 2커넥터(228)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전원 제어 보드(2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전원 제어 보드(2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에 입력된 신호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무선통신모듈(260) 사이의 송수신을 통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로 전달될 수 있다.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영상신호 제어 보드(252)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결합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결합유닛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결합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결합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결합유닛(400)에 의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결합유닛(400)에 의해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와 상하방향 내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일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결합유닛(400)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일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화면(310a)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310)과,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3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이너 프레임(320)과, 이너 프레임(32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후면(後面)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이너 프레임(320)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결합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공간(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320)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310)이 배치되는 제 1면(321)과, 아우터 프레임(330)과 마주하는 제 2면(322)(도 26a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320)은 결합유닛(400)을 가이드하도록 이너 프레임(3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323)는 이너 프레임(320)의 제 2면(32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복수의 가이드(323)는 이너 프레임(320)의 제 2면(322)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와,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323)는 서로 이격되도록 이너 프레임(320)의 제 2면(3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323)는 이너 프레임(32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외측 단부(323a)(도 26a참고)와,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과 마주하도록 이너 프레임(32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내측 단부(323b)(도 26a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단부(323b)는 외측 단부(323a)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323)는 복수의 가이드(323)를 따라 움직이는 결합유닛(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가이드(323)의 외측 단부(323a)는 복수의 가이드(323)의 내측 단부(323b)보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두께방향(X)으로 아우터 프레임(330)을 향하여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320)은 복수의 가이드(323)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벽(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은 복수의 가이드(32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내측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32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두께방향(X)으로 아우터 프레임(33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은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아우터 프레임(330)은, 이너 프레임(320)과 마주하는 제 1면(331)과,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후면(後面)을 정의하는 제 2면(33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은 이너 프레임(32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은 이너 프레임(320)의 복수의 가이드(333)와 함께 결합유닛(400)을 가이드하도록 아우터 프레임(3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3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은 이너 프레임(320)의 복수의 가이드(323)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복수의 가이드(333)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이너 프레임(320)의 복수의 가이드(323)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복수의 가이드(333)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의 복수의 가이드(333)는 아우터 프레임(330)의 제 1면(33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프레임(330)의 복수의 가이드(333)는 아우터 프레임(330)의 제 1면(33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와,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의 복수의 가이드(333)는 서로 이격되도록 아우터 프레임(330)의 제 1면(3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333)는 아우터 프레임(33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외측 단부(333a)(도 26a참고)와,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과 마주하도록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내측 단부(333b)(도 26a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단부(333b)는 외측 단부(333a)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333)는 복수의 가이드(333)를 따라 움직이는 결합유닛(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가이드(333)의 외측 단부(333a)는 복수의 가이드(333)의 내측 단부(333b)보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두께방향(X)으로 이너 프레임(320)을 향하여 더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은 복수의 가이드(333)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벽(3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은 복수의 가이드(33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내측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33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두께방향(X)으로 이너 프레임(32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은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결합유닛(400)이 이너 프레임(320)의 복수의 가이드(323)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복수의 가이드(333)를 따라 부드럽게 가이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350)는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롤러 장착부(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롤러(350)는, 일 부분이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으로부터 노출되어 결합유닛(400)과 접촉하도록 롤러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장착부는 이너 프레임(320)의 내벽(325)의 코너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내벽(335)의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롤러(350)가 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롤러(350)가 관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결합유닛(400)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좌측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유닛(400)은 일부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좌측방향을 향하여 노출된 두 개의 롤러(350)에 의해 부드럽게 가이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보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보드(37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내부공간(3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37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아우터 프레임(330)의 제 1면(3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370)는 전원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원(미도시)에 의해 제어 보드(37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 보드(370)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310)이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원에 의해 제어 보드(37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 보드(370)는 결합유닛(400)을 매개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전원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가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 보드(370)와 함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내부공간(340)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모듈(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380)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380)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신호는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380)은 아우터 프레임(33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복수의 무선통신모듈(38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무선통신모듈(380)은 제어 보드(370)를 둘러싸도록 아우터 프레임(33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전원 케이블(390)에 의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전원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은, 아우터 커버(410)와, 아우터 커버(4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420)와, 지지 플레이트(4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430)와, 이동부재(4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재(440)와, 이동부재(430)의 움직임에 따라 결합유닛(400)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락킹에 관여하는 락킹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410)는,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1아우터 커버(411)에 결합되는 제 2아우터 커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아우터 커버(41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아우터 프레임(330)과 마주할 수 있고, 제 2아우터 커버(412)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이너 프레임(320)과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아우터 커버(411)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아우터 프레임(330)의 제 1면(331)과 마주할 수 있고, 제 2아우터 커버(412)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의 이너 프레임(320)의 제 2면(332)과 마주할 수 있다. 제 1아우터 커버(411)는 아우터 프레임(33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33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아우터 커버(412)는 이너 프레임(32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32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2아우터 커버(412)에는 락킹부재(450)의 돌기(452)가 삽입되어 결합유닛(4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410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410a)를 통해 결합유닛(400)의 외부로 돌출된 락킹부재(450)의 돌기(452)는 이너 프레임(320)의 제 2면(322)에 함몰 형성된 고정홈(321a)(도 26a참고) 및 아우터 프레임(330)의 제 1면(331)에 함몰 형성된 고정홈(331a)(도 26a참고)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20)는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2아우터 커버(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420)는 일부가 결합유닛(4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2아우터 커버(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20)는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2아우터 커버(41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2아우터 커버(412) 중 어느 하나에는 체결 보스(415)가 마련되고,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2아우터 커버(412) 중 다른 하나에는 체결 보스(415)가 체결되는 체결홈(미도시)이 마련되며, 지지 플레이트(420)에는 체결 보스(415)가 관통 결합되는 보스 관통홀(4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아우터 커버(411), 지지 플레이트(420) 및 제 2아우터 커버(412)는 체결 보스(415)가 보스 관통홀(421)을 관통하여 체결홈에 결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20)에는 이동부재(43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 안착부(4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재 안착부(422)는 제 1아우터 커버(4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일 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430)는 결합유닛(4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 플레이트(420)의 이동부재 안착부(4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430)는 제 1아우터 커버(411)를 향하는 제 1면(431)과, 제 2아우터 커버(412)를 향하는 제 2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430)의 제 1면(431) 및 제 2면(432)에는 각각 함몰부(435)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재(440)는 이동부재(4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42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430)는 조작부재(440)에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부재(440)를 하방으로 가압할 경우, 이동부재(430)는 조작부재(440)에 의해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락킹부재(450)는 락킹부재 수용부(413,414)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락킹부재 수용부(413,414)는, 제 1아우터 커버(411) 및 제 1아우터 커버(4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일 면에 의해 정의되는 제 1락킹부재 수용부(413) 및 제 2아우터 커버(412) 및 제 2아우터 커버(412)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타 면에 의해 정의되는 제 2락킹부재 수용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재(450)는, 바디(451)와, 바디(45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452)와, 결합유닛(4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고, 바디(451)에 결합되는 회전축(453)을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재(450)가 이동부재(430)의 함몰부(435)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유닛(400)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사이의 락킹은 해제될 수 있다. 락킹부재(450)가 이동부재(430)의 함몰부(435)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유닛(400)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서로 락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유닛(400)은 복수의 락킹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유닛(400)은 이동부재(430)의 제 1면(431)과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 1락킹부재(450a)와, 이동부재(430)의 제 2면(432)과 상호작용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제 2락킹부재(45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1락킹부재(450a)는 각각 결합유닛(4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2락킹부재(450b)는 각각 결합유닛(4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마련되는 제 1전원단자(360)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 2전원단자(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전원단자(460)는 제 1아우터 커버(4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일 면 및 제 2아우터 커버(412)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420)의 타 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전원단자(460)는 제 2전원단자(460)의 일부가 결합유닛(4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 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은 결합유닛(4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결합유닛(400)은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 내지 락킹에 관여하는 제 1부분과,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중 다른 하나와의 결합 내지 락킹에 관여하는 제 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 및 제 2부분은 결합유닛(4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관계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아우터 커버(411)의 일부, 제 2아우터 커버(412)의 일부, 이동부재(430)의 일부, 조작부재(440)의 일부 및 락킹부재(450)의 일부는 각각 결합유닛(400)의 제 1부분에 해당하고, 제 1아우터 커버(411)의 나머지 일부, 제 2아우터 커버(412)의 나머지 일부, 이동부재(430)의 나머지 일부, 조작부재(440)의 나머지 일부 및 락킹부재(450)의 나머지 일부는 각각 결합유닛(400)의 제 2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의 제 1부분에 포함되는 이동부재(430)의 일부, 조작부재(440)의 일부 및 락킹부재(450)의 일부 및 결합유닛(400)의 제 2부분에 포함되는 이동부재(430)의 나머지 일부, 조작부재(440)의 나머지 일부 및 락킹부재(450)의 나머지 일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유닛에 의해 락킹되기 전과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결합유닛에 의해 락킹되기 전과 후를 도 25a 및 도 25b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 내지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와 이웃하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는 결합유닛(4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는 결합유닛(400)에 의해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의 물리적 결합 및 전기적 연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결합유닛(40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가 결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결합유닛(400)의 제 1부분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유닛(400)의 제 1부분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이너 프레임(320)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323) 및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아우터 프레임(330)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이드(333)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롤러(350)에 의해 부드럽게 가이드되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의 제 1부분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우측에 결합되면, 결합유닛(400)의 제 2부분에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의 좌측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을 매개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가 결합되면, 결합유닛(400)의 조작부재(440)를 가압하여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를 서로 락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유닛(400)의 조작부재(440)를 가압하면, 이동부재(430)가 하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락킹부재(450)가 이동부재(430)의 함몰부(435)를 벗어나게 된다. 락킹부재(450)가 이동부재(430)의 함몰부(435)를 벗어나면, 락킹부재(450)의 돌기(452)는 락킹부재(450)가 회전축(45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1아우터 커버(411)의 개구(410a) 및 제 2아우터 커버(412)의 개구(410a)를 통해 결합유닛(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에 형성되는 고정홈(321a,331a)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는 결합유닛(400)을 매개로 서로 락킹될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가 결합유닛(400)을 매개로 완전히 락킹되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는 갭(gap)이 없도록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원 공급원이 전원 케이블(390)에 의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에 연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원 공급원은 전원 케이블(390)에 의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에 연결되면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제어 보드(370)는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제 1전원단자(360)는 케이블(365)에 의해 제어 보드(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 1전원단자(360)는 제어 보드(3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에 공급된 전원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360)와, 결합유닛(400)에 마련되는 제 2전원단자(460)와,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에 마련된 제 1전원단자(360)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와 같은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제어 보드(370)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의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310)이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에 입력된 신호는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 및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의 무선통신모듈(380) 사이의 송수신을 통해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로 전달될 수 있다.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b)의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310)은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a)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적용된 다양한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500,500a,500b)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벽과 같은 설치면에 설치되어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벽과 같은 설치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결합유닛(4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브라켓(510)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는 결합유닛(400)에 결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벽에 설치된 브라켓(510)에 결합되어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결합유닛(400) 및 결합유닛(400)에 결합된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는 스탠드(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유닛(400)에 결합된 스탠드(5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를 설치면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500b)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500b)의 측면(側面) 외관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결합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는 베젤(5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530)은 결합유닛(4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젤(530)은 결합유닛(400)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결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0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500b)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a: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b: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 디스플레이 모듈
11: 엘이디 패널 11a: 화면
12: 지지 프레임 15: 제 1자석
18: 제 1커넥터 20: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21: 프론트 프레임 21a: 조작유닛 결합공
21b: 커넥터 결합공 21c: 설치홈
22: 리어 프레임 22a: 캡 결합공
23: 사이드 프레임 23a: 상측 가장자리
23b: 하측 가장자리 23c: 좌측 가장자리
23d: 우측 가장자리 23e: 슬릿
24: 서포터 내부공간 25: 제 2자석
26: 제 1전원단자 27: 리어 커버
27a: 절개부 28: 제 2커넥터
29: 캡 29a: 자석장착부
29b: 자석 30: 결합유닛
31: 제 1회전부재 31a: 회전축
31b: 톱니부 32: 제 2회전부재
32a: 회전축 32b: 톱니부
33: 제 1링크부재 34: 제 2링크부재
35: 제 1체결부재 36: 제 2체결부재
37: 체결부재 회전축 38: 체결부재 바디
39: 암 40: 조작유닛
50: 제어 보드 60: 무선통신모듈
70: 전원 케이블 80: 케이블
100,100a,100b.100c,100d: 디스플레이 장치
110: 스피커 어셈블리 120: 디스플레이 모듈
130: 스피커 모듈 140: 테이블
150: 선반 151: 상측 프레임
152: 하측 프레임 153: 좌측 프레임
154: 우측 프레임 160: 스피커 모듈
161: 하우징 162: 홀
20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00a: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00b: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10: 디스플레이 모듈
211: 엘이디 패널 211a: 화면
212: 이너 지지 프레임 213: 아우터 지지 프레임
214: 사이드 지지 프레임 215: 모듈 내부공간
218: 제 1커넥터 220: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221: 프론트 프레임 221a: 조작유닛 결합공
221b: 커넥터 결합공 222: 리어 프레임
223: 사이드 프레임 223a: 상측 가장자리
223b: 하측 가장자리 223c: 좌측 가장자리
223d: 우측 가장자리 223e: 슬릿
224: 서포터 내부공간 225: 리어 커버
226: 제 1전원단자 228: 제 2커넥터
230: 결합유닛 231: 회전부재
231a: 회전축 233: 제 1링크부재
234: 제 2링크부재 235: 제 1체결부재
236: 제 2체결부재 237: 체결부재 회전축
238: 체결부재 바디 239: 암
240: 조작유닛 250: 제어 보드
251: 전원 제어 보드 252: 영상신호 제어 보드
260: 무선통신모듈 280: 케이블
30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00a: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00b: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10: 엘이디 패널
310a: 화면 320: 이너 프레임
321: 제 1면 321a: 고정홈
322: 제 2면 323: 가이드
323a: 외측 단부 323b: 내측 단부
325: 내벽 330: 아우터 프레임
331: 제 1면 331a: 고정홈
332: 제 2면 333: 가이드
333a: 외측 단부 333b: 내측 단부
335: 내벽 340: 내부공간
360: 제 1전원단자 365: 케이블
370: 제어 보드 380: 무선통신모듈
390: 전원 케이블 400: 결합유닛
410: 아우터 커버 410a: 개구
411: 제 1아우터 커버 412: 제 2아우터 커버
413: 제 1락킹부재 수용부 414: 제 2락킹부재 수용부
420: 지지 플레이트 421: 보스 관통홀
422: 이동부재 안착부 430: 이동부재
431: 제 1면 432: 제 2면
435: 함몰부 440: 조작부재
450: 락킹부재 450a: 제 1락킹부재
450b: 제 2락킹부재 451: 바디
452: 돌기 453: 회전축
460: 제 2전원단자 500,500a,500b: 디스플레이 장치
510: 브라켓 520: 스탠드
530: 베젤 75: 전원 커넥터 커버
39a: 제 2전원단자 239a: 제 2전원단자
415: 체결 보스 350: 롤러

Claims (20)

  1.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이웃하는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슬릿과, 상기 슬릿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2전원단자를 가지고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가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의 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제 2전원단자와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제 1전원단자가 접촉되어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결합유닛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결합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프론트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마주하고, 상기 결합유닛이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슬릿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결합유닛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단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벽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상신호 제어 보드; 및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영상신호 제어보드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제 2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 제어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전원 제어 보드에 결합되는 제 1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패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상호간에 신호 또는 전원을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 1커넥터와 결합하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릿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조작유닛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유닛과 결합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어 프레임에 결합되고, 절개부를 가지는 리어 커버;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일 면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을 커버하도록 상기 절개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이웃하고, 슬릿과, 상기 슬릿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액세서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슬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되고, 결합유닛 전원단자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슬릿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서포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액세서리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체결부재가 상기 액세서리의 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액세서리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결합유닛 전원단자와 상기 액세서리의 상기 액세서리 전원단자가 접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액세서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49931A 2018-11-28 2018-11-2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31A KR102609374B1 (ko) 2018-11-28 2018-11-28 디스플레이 장치
US16/695,552 US11016536B2 (en) 2018-11-28 2019-11-26 Display apparatus
EP19212081.4A EP3660819B1 (en) 2018-11-28 2019-11-28 Display apparatus
CN201980077969.XA CN113168791B (zh) 2018-11-28 2019-11-28 显示装置
PCT/KR2019/016530 WO2020111800A1 (en) 2018-11-28 2019-11-28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31A KR102609374B1 (ko) 2018-11-28 2018-11-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786A KR20200063786A (ko) 2020-06-05
KR102609374B1 true KR102609374B1 (ko) 2023-12-04

Family

ID=6873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931A KR102609374B1 (ko) 2018-11-28 2018-11-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16536B2 (ko)
EP (1) EP3660819B1 (ko)
KR (1) KR102609374B1 (ko)
CN (1) CN113168791B (ko)
WO (1) WO2020111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329B1 (ko) * 2018-12-20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CN112951097A (zh) * 2021-04-23 2021-06-11 东莞市中麒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单元及显示屏
CN115775488A (zh) 2021-09-06 2023-03-10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显示系统、显示器装置及其显示器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233B1 (ko) 2009-06-12 2011-10-19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멀티비젼 시스템의 단위 디스플레이 결합장치
CN203982709U (zh) * 2014-06-06 2014-12-03 深圳市奥蕾达科技有限公司 显示屏收容箱及其拼接箱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8323A (en) * 1969-07-16 1970-11-03 Robert M Ziegler Decorative light source
US5606816A (en) * 1995-05-01 1997-03-04 North American Enclosures Inc. Mobile of modular construction for displaying pictures
US20100016038A1 (en) * 2008-07-15 2010-01-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open channel hinge assembly
US20110285607A1 (en) * 2009-01-19 2011-11-24 Si Hwan Kim Portable display device
WO2012061375A1 (en) * 2010-11-05 2012-05-10 Inventive Media Llc Folding display unit with central member
KR101957241B1 (ko) 2012-05-04 2019-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열 자동 검출방법 및 비디오 월 시스템
KR101711123B1 (ko) * 2014-10-22 2017-02-28 주식회사 아이넥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774134B2 (en) * 2015-05-22 2017-09-26 Sunrise R&D Holdings, Llc Modular shelving systems,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s, conductor assemblies, and mounting inserts
KR101766764B1 (ko) * 2015-08-26 2017-08-09 주식회사 대한전광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49100A1 (en) * 2015-09-18 2017-03-23 Durant Silas Jeffre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sual features
KR101705510B1 (ko)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5508B1 (ko) * 2015-10-08 2017-02-13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23528A1 (en) 2016-01-12 2017-07-20 Southco, Inc. Panel attachment latch
KR102555836B1 (ko) * 2016-10-28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GB201620544D0 (en) 2016-12-02 2017-01-18 Barco Nv Front maintenance apparatus for flexible tiled LED display
KR101941882B1 (ko) * 2017-01-12 2019-01-25 문대식 멀티 디스플레이시스템
US10921851B2 (en) * 2018-03-22 2021-02-16 Silas Jeffrey Dura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sual fea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233B1 (ko) 2009-06-12 2011-10-19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멀티비젼 시스템의 단위 디스플레이 결합장치
CN203982709U (zh) * 2014-06-06 2014-12-03 深圳市奥蕾达科技有限公司 显示屏收容箱及其拼接箱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786A (ko) 2020-06-05
CN113168791B (zh) 2023-01-31
CN113168791A (zh) 2021-07-23
EP3660819A1 (en) 2020-06-03
US11016536B2 (en) 2021-05-25
WO2020111800A1 (en) 2020-06-04
US20200166966A1 (en) 2020-05-28
EP3660819B1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4153B2 (en) Display device
KR1026093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1796384B1 (en) Image display device
JP7302902B2 (ja) 形態変化可能な対話型情報端末
KR1017493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9980034366A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구조
US9084344B2 (en) Display apparatus
US20150189228A1 (en) Display apparatus
JP6403384B2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090052A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US881073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ulti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16217382U (zh) 条形音箱及显示设备
CN216134559U (zh) 条形音箱及显示设备
CN219999830U (zh) 一种安装边框、边框组件以及交互平板
CN113345316B (zh) 一种显示装置
KR200333168Y1 (ko) 모니터장치
CN219145836U (zh) 一种会议盒子
CN216134558U (zh) 条形音箱及显示设备
KR0134800Y1 (ko) 모니터의 설치간격 조절 스피커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