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42386A2 -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 Google Patents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42386A2
WO2009142386A2 PCT/KR2009/001502 KR2009001502W WO2009142386A2 WO 2009142386 A2 WO2009142386 A2 WO 2009142386A2 KR 2009001502 W KR2009001502 W KR 2009001502W WO 2009142386 A2 WO2009142386 A2 WO 200914238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d
tab member
bent
rive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5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42386A3 (ko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제이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제이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제이캔틱
Publication of WO200914238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42386A2/ko
Publication of WO200914238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4238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6Drums or barrels
    • B65D11/08Arrangements of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l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 lid having a tab member bending function that is easy to open and free from malfunction.
  • the can lid is provided with a tab member to open the can.
  • the tab member is opened in a full open type in which the opening piece forming the opening portion is pulled up to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n, and the can is opened without removing the opening piec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n.
  • types such as a type of opening leaving a connecting portion with the upper surface and a push open type for pushing the opening piece into the container.
  • This method is adapted to take in the beverage inside the can by opening the compartment defined by the perforation line while lifting upward the tab member joined by the riv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 a tab member in a flat form is firmly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can lid by rivets, and the tab member is completely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can lid. Therefore, conventionally, in order to pick up the can, the first end of the tab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is lifted up, which is not only difficult to grasp by hand the tab member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but also firmly fixed by rivets. It was difficult to lift the tab member up. In addition, the elderly, young children, or women often asked for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because it was hard and uncomfortable to drink the cans.
  • the Patent No. 0255317 is to be performed by the pressing operation to space the opener end por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body,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inlet portion by lifting the opener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n is separated and made sequentially
  • a weak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pener or by providing a pressing portion or a groove portion formed with a curved shot protrusion and a groove for pressing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pener, the opening of the end portion of the opener is facilitated.
  • it can be opened with a single force, and a one-touch can lid structure that improves hygiene problems is presented.
  • the incision portion 32 is formed on one side that is riveted to the upper surface 20 of the can body 10, the incision portion 32 and the distal end portion
  • the can is formed so as to form a circular shape so as to perform a smooth pressing opera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llet projecting portion 33 of the opener 30. It provides a can lid structure with improved practicalit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stant size groove portion 37 is formed (see Fig. 1).
  • the can lid formed with a conventional carburizing protrus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the actual product is manufactured.
  • the conventional can lid is pressed by the carburizing protrusion formed on the tab member when holding the ope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b member') to pick up the can, and lifts the hemisphere convexly formed carburizing protrusion.
  • a 'tab member' When pressed downward, it must be formed concave by the elasticity of the metal to perform a proper function was not properly exerted smooth pressing operation (see Figure 2).
  • the inversion of the shape was not easy, and many defects were generated.
  • the can lid formed with the carbon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ab member having a flat structure with a straight line is firm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by rivets, 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n lid.
  • the tab member having a flat structure with a straight line is firm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lid by rivets, 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n lid.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an lid that is easy to open and there is no malfunction.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 lid for pressing the tab member from above to allow the tab member to be bent upwar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ft the tab member.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flat flat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in order to be easy to press and bend the tab member, higher than the flat surface to know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t is to provide a formed can lid.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 lid formed with a bent line, a fixture and a bent groove so that the tab member is easily bent by pressing the tab member from above.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 lid reinforced with strength by bending a part of the cut surface of the fixture like a curl to the lower end of the tab member to prevent the tab member from being broken.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 lid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on the plate portion of the can lid when the tab member is pressed upward when the tab member is pressed.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 lid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on both edges of the bent portion of the tab member.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 lid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higher than one side of the tab member is fixed to the rivet plate.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 lid formed by pressing the groove and the fold line in the tab member score.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race integrally to the plate portion of the can lid when the tab member is bent upward when pressing the tab member, the tab member to be easily bent to the tab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n lid with a fold line, a fixture, and a fold groove.
  •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 circular body member having a rivet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rivet, and a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vet integrally. ;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rivet of the body member, the other side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e projectio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center of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both of the fold line It is provided at the end is provided with a can lid including; tab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end of the fixture and the edge.
  • the tab member is provided with a can lid, wherein a part of the cut surface of the fixture is bent to a lower end of the tab member in which the bent groove is formed.
  •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provides the can lid,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edge portions of the other side, respectively.
  • the support projection provides a can li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ne side fixed to the rivet.
  •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provides a can lid,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lat surface having a flat plate-like structure.
  • a can lid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has a pressing surface formed about 0.1 to 0.4 mm higher than the flat surface.
  •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provides a can lid,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has a pressing portion groove formed with at least one score.
  •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provides the can lid, wherein the broken line is formed as a score on the tab member.
  •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9 provides the can lid, wherein the bent groove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bent line.
  • bent groove is formed by cutting an upper portion of the tab member.
  • bent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ab member by a score, provides a can lid.
  • the fastener has a width and a length in the range of 2 to 8 mm, preferably a width of about 2 to 5 mm and a length of about 3 to 5 mm. to provide.
  • the body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old line of the tab member and the rivet, and provides a can li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the fixing projection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tab member. .
  • the tab member is a can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the tab member from bending or bending when opening the opening by lifting the tab member. to provide.
  • the can lid is provided with a can lid, characterized in that letters for advertisement or explanation of use are printed or stamp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 the can lid is provided with a can lid, characterized in that letters for advertisement or explanation of use are printed or stamp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tab member.
  • the pressing portion of the tab member when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tab member is formed integrally on the plate portion of the can lid to bend the bent portion of the tab member, and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to the tab member so that the bent portion easily bent
  • the bent line, the fixture and the bent groove on the same line or the same lin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open, there is no malfunction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 the pressing force of the tab member is convex to concav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b member is pressed from the top, the tab memb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ivet is bent up by bending down the center of the fold line. By opening, opening is easy and there is no function malfunction.
  • 1 to 3 is a plan view showing a can lid and an opener formed with a conventional bullet protrus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can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n lid taken along line AA ′ of FIG. 4.
  • FIG. 6 is a plan view of a tab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b member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6.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tab member taken along line BB ′ of FIG. 6.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b member taken along the line CC ′ in FIG. 6.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pressing a tab member.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tab member is pressed from above.
  • FIG. 12 is a plan view of a can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can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 lid cut along the line AA 'of
  • FIG. 6 is a plan view of a tab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b member cut along the line B-B 'of FIG. 6, and
  • FIG. 8 is another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of a tab member
  • FIG. 9 is sectional drawing of the tab member which cut
  • the can lid is largely divided into a body member 10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tab member 20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00 by a rivet 110 to open the can.
  • the body member 100 includes a plate portion 101 having a recessed installation groove 102, an opening 103 part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02 by a cut line, and A rivet 110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groove 102, a fixing protrusion 104 forme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02 adjacent to the rivet 110,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xing protrusion 104.
  • the support protrusion 105 forme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02 and the curl portion (see 106 of FIG. 12)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101 are integrally formed.
  • the installation groove 102 is a place where the tab member 200 and the opening 103, etc. are installed, and when the tab member 200 is opened to open the opening 103, the plate portion 101 is opened. In order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ending down, the plate-shaped portion 101 is formed by concave by pressing.
  • the fixing protrusion 104 serves to prevent the tab member 200 from rotating from side to side when the tab member 200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 the configuration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bent portion 206 is bent inwardly of the tab member 200, o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edge of the tab member 200, the plate-shaped portion 101 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the fixing protrusion 104 is configured to a minimum size to prevent the tab member 200 from rotating to the left and right, and is configured so as not to interfere when the pressing portion 230 of the tab member 200 is pressed. do.
  • the support protrusion 105 is one of essenti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end of the tab member 200 is pressed by a pressing force when the pressing portion 230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ab member 200 is pressed from above.
  • the bent portion (220 of FIG. 6) formed in the serves to be bent up.
  • the support protrusion 105 prevents the tab member 200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portion 101, and moves the tab member 2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10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plays a role of holding up.
  • one or two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e protrusion 105 are below the fold line 203 of the tab member 200, that is, below the fold portion 220 of the tab member 200. It is formed in a dog, but preferably formed on both edge portions (border portions) of the bent portion (220).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05 is formed at both edges of the bent portion 105 than at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220, the bent portion 220 bends well and requires less force. Because it appeared.
  • the height of the support protrusion 105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tab member 220 is higher than the height coupled to the rivet 110.
  • the bent portion is pressed when the bent portion 230 is pressed. It is easy to break 220 and less power. In addition, since the angle of bending upward when the bending portion 220 is folded is large, it is easy for a user to lift the tab member 200 upward.
  • the rivet 110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with the plate-like portion 101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plate-like portion 101, and is fixed to the tab member 200 by pressing.
  • the tab member 200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02 of the plate portion 101 is bent portion 206 having an ellipt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nt inward. And a pressing part 210, a bending part 220, and a pressing part 230 according to its function.
  • the pressing unit 210 of the tab member 2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tab member 200, that is, the right side of the pressing unit 230 in FIG. 6, and on the rivet 110 of the plate portion 101.
  • a rivet hole 209 inserted into the tab member 200 and a semi-circular cutout 201 cut into a curved surfac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vet 110 are formed.
  • the cutout 201 is formed to make the tab member 200 more easily bent, and an end portion of the cutout is not cut when the tab member 200 is folded. Bend down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cutout 201 is treated with a curved surface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the same time.
  • the pressing portion 230 of the tab member 200 is formed between the cutout portion 20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 member 200 in the uneven portion 208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 member 200, the user
  • a flat plate-like flat surface is formed (see Fig. 7) or a slightly convex shape (see Fig. 8).
  • the press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slightly higher (for example, about 0.1 to 0.4 mm) than the flat surface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know the press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230 may not be perforated or formed convexly convexly as in the conventional tab member, so that the function of the tab member may be smoothly performed.
  • the pressing portion 230 is formed with a circular pressing portion groove 205 divided by a score.
  • the pressing portion groove 205 is shown in Figures 1 to 4, but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than one. In addition,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elliptical, curved, rectangular, as well as circular.
  • the pressing part groove 205 is located at the center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art 230 by hand, and half of the circle divided by the score is formed in the bending part 220.
  • the bent line 203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b member 200, and the fasteners 20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ent line 203, respectively. It is.
  • the bent groove 204 on the other side of the fixture 202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b member 200 Formed.
  • the fold line 203 is to bend the tab member 200 to be bent down along the fold line 203 by the support protrusion 105 when the pressing portion 230 is pressed from above, It is formed to facilitate the flipping operation.
  • the broken line 203 is formed by processing a score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tab member 200.
  • the bent groove 204 is formed so that the tab member 200 is easily bent along the bent line 203, and the tab member 200 is formed along the bent line 203 in the fastener 202. It is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tab member 200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bent groove 204 is shown as an examp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 member 200 in Figures 4, 6 and 9, but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 member 200.
  • the bending groove 204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tab member 200 to a predetermined depth or by processing the score to a score that is not cut.
  • the bent groove 204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bent line 203 of the tab member 2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formed not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bent line 203. .
  • the bent groove 204 and the fixture 202 is formed on the same line, but the bent line 203 may be formed on the same line or may be formed on another line.
  • the fastener 202 facilitates the molding process of the tab member 200 and prevents the tab member 200 from breaking when the tab member 200 is bent along the fold line 203. It is formed, the size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r size of the tab member 200, but preferably has a minimum size required for mass production. For example, the fastener 202 has a width of about 2 to 8 mm (preferably about 2 to 5 mm) and a length of about 2 to 8 mm (preferably about 3 to 5 mm). It is preferable to form so that it may have.
  • the area of the pressing portion 230 formed between the fasteners 202 can be formed as large as that, so that the pressing area can be assured as much as possible.
  • the bending force of the bending portion 220 is reduc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05, the force is less and the angle of bending becomes larger.
  • the tab member 200 when the fastener 202 is formed in the tab member 200, the tab member 200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ab member 200 without limiting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astener 202. have.
  • the fastener 202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and a longer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 the fastener A part of the cut surface 207 of the 202 is bent like a curl to the lower end of the tab member 200 in which the bent groove 204 is formed to reinforce the strength (see FIG. 9).
  • the bending of the cutting surface 207 is preferably in the outward direction in which the bending grooves 204 are formed, but also in the opposite inward direction, and the cutting surface is bent like a curl on both the outside and the inside to be strong It can also be reinforced.
  • the fastener 202 is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fold line 203, but the formation position or the number of the fasteners 202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one or more in various positions. Can be formed into dogs.
  • the bent portion 220 of the tab member 200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tab member 200, that is, the left side of the bent line 203 in FIG. 6, and the pressing portion 230 is easy to press the user. It is formed as a flat surface of a flat plate-like structure, or a slightly convex shape.
  • the bent portion 20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b member 200.
  • a convex or concave portion 208 is formed along the convex or concave.
  • the tab member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ixes the position by inserting the rivet hole 209 into the rivet 110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102 of the plate portion 101, and then fixes the upper portion of the rivet 110. It is pressed by a press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plate-shaped portion 101 of the can li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 member 200 is fixed by the rivet 110, and the bent portion 220 formed on the other side is the support protrusion 105 formed on the plate portion 101 )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rotrusion 105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tab member 200, that is, the lower or both edge portions (border portions) of the bent portion 220.
  • One side of the tab member 200 is fixed by the rivet 110,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in a shape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05. At this time, the tab member 200 is formed higher toward the other side where the bent portion 220 is formed from one side fixed by the rivet 100.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tab member is pressed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when the tab member is pressed from above.
  • the pressing portion 230 is a flat plate-like between the cutout portion 20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ab member 200 in the uneven portion 208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 member 200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as a flat surface of the structure (see Fig. 7) or 0.1 to 0.4 mm higher than the flat surface so as to know the pressing position (see Fig. 8).
  • the pressing groove 205 processed by the score may be further formed integrally.
  • the pressing portion groove 205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6, half of the circle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220 on the basis of the bent line 203 formed in the center.
  • the fold line 203 is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groove 205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b member 200, and both ends of the fold line 203 are formed.
  • a fastener 202 is formed in the portion, and the bent groove 204 is formed from the fastener 202 to the edge end of the tab member 200.
  • the force is most appli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30 tha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upported by the rivet 11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05. Will receive.
  • the fold line 203, the fastener 202, and the fold groove 204 ar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30, and thus, the strength is weaker than that of other portions. 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portion 230 of the tab member 200 is pressed, the bent portion 203 is bent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ivet 11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05, and the bent portion 220 is rotated. It is bent up by the bracing 105.
  • the support protrusion 105 is formed higher than one side of the tab member 200 fixed to the rivet 110, it is easy to bend when the pressing portion 230 is pressed and the force is less.
  • the angle of bending upward when the bending portion 220 is folded is large, it is easy for a user to lift the tab member 200 upward.
  • the fastener 202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mold the tab member 200, the bending groove 204 when lifting the tab member 200 up It is formed to prevent the bending and breaking phenomenon.
  • the fastener A portion of the cut surface 207 of 202 is bent like a curl to the lower end of the tab member 200 in which the bent groove 204 is formed to reinforce the strength.
  • FIG. 12 is a plan view of a can lid 300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body member
  • 101 denotes a plate portion
  • 103 denotes an opening portion
  • 106 denotes a curl portion
  • 110 denotes a rivet
  • 200 denotes a tab member
  • 201 denotes an incision
  • 202 denotes a fixture
  • 203 denotes a fold line
  • 230 represents a pressing part.
  • the plate portion 101,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30 of the tab member 200 is printed or stamped to describe an advertisement or usage for explaining the usage. .
  • the can lid of FIG. 4 is used for advertisement or usage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s of the plate portion 101, the pressing portion 230 and / or the bending portion 220 of the tab member 200. You can print or imprint a pattern or phrase to describe it.
  • the can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support protrusion 105 to allow the bent portion 220 of the tab member 200 to be bent upward when the pressing portion 230 of the tab member 200 is pressed.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portion 101 of the lid, and when the pressing portion 230 is pressed, the fold line 203 and the fixture 202 and the fold line on the tab member 200 so that the fold portion 220 is easily bent.
  • the bent portion 200 and the pressing portion 230 to form a flat flat surface to form a groove 204, and to be easy to bend and press the tab member 200, the pressing portion 230 In order to be able to know the pressing position in), by forming a higher than the flat surfac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리벳과, 상기 리벳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리벳의 타측에 형성된 버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원형의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리벳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버팀돌기의 상부에 타측이 위치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꺽임선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선의 양쪽 끝에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테두리 끝단까지 폭방향으로 꺽임홈이 일체로 형성된 탭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캔 뚜껑은 탭 부재의 누름부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의 꺽임부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버팀돌기를 캔 뚜껑의 판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꺽임부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에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형성함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본 발명은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는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뚜껑에는 캔을 개봉할 수 있도록 탭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탭 부재를 개봉하는 형태는 개구부분을 형성하는 개구편(開口片)을 당겨 올려서 캔 상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개봉하는 풀 오픈 타입(Full open type)과, 개구편을 캔 상면으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캔 상면과의 연결접속 부분을 남기고 개구하는 타입과, 개구편을 용기 내부로 밀어내는 푸쉬 오픈 타입(Push open type)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 탭 부재를 당겨 일으키는 방식에다 상기 푸쉬 오픈 타입을 결합한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캔 뚜껑의 상면에 리벳에 의해 결합된 탭 부재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서 절취선으로 구획된 개구부를 아래로 밀어 개봉시킴으로써, 캔 내부에 있는 음료를 취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캔 뚜껑은 캔 뚜껑의 상면에 평면 형태의 탭 부재가 리벳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 있어 상기 캔 뚜껑의 상면에 탭 부재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캔을 따기 위해, 먼저 캔 뚜껑의 상면에 결합된 탭 부재의 끝부분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캔 뚜껑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된 탭 부재를 손으로 잡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리벳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 탭 부재를 위로 제쳐서 들어올리기가 힘이 들었다. 더구나, 노약자나 어린아이 또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캔을 따서 음료를 마시기가 여간 힘이 들고 불편한 게 아니어서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0355317호(등록일: 2002.09.23)에서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제0355317호는 캔몸체의 상면에서 오프너 말단부를 이격시키는 작업이 누름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며, 말단부가 캔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오프너를 들어 올리어 입구부를 개봉시키는 작업이 분리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오프너의 일정부위에 홈으로 이루어진 취약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오프너의 일정부위에 누름동작을 수행하는 누름부 또는 만곡상의 탄발돌출부와 홈으로 이루어진 홈부를 구비함으로써, 오프너 말단부의 당겨 일으키기를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적인 힘으로도 개봉할 수 있으며, 또 위생상의 문제점을 개선한 원터치식 캔뚜껑 구조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록특허 제0355317호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캔몸체(10)의 상면(20)에 리벳으로 결합되는 일측에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절개부(32)와 말단부(31) 사이에는 오프너(30)의 말단부(31)를 원활히 들어 올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발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오프너(30)를 이용하여 캔 상면(20)에 형성된 분할선(21)에 의해 구획된 입구부(22)를 압박하여 개봉토록 구성된 캔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30)의 탄발돌출부(33)의 하면에 원활한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원 형상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구분된 다수의 일정크기 홈부(3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도 1 참조).
하지만, 상기의 구성을 갖는 종래의 탄발돌출부를 형성된 캔 뚜껑은 실제 제품을 제조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캔 뚜껑은 캔을 따기 위해 상기 오프너(이하, '탭 부재'라 한다)를 잡고 위로 들어올릴 때 상기 탭 부재에 성형된 탄발돌출부를 누르게 되는데, 상기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탄발돌출부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금속의 탄성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되어야 제기능을 발휘하는데 원활한 누름조작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도 2 참조). 그리고, 상기 탄발돌출부를 성형하여 시험해 본 결과 형상의 반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 않았으며, 불량도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탄발돌출부를 형성된 캔 뚜껑은 종래의 캔 뚜껑과 마찬가지로, 일자(一字)로 평평한 구조의 탭 부재가 상기 캔 뚜껑의 상면에 리벳에 의해 단단히 결합되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탭 부재를 이용하여 캔을 따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와 상기 캔 뚜껑의 상면 사이에 공간이 없어 누르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와 같이 상기 캔 뚜껑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를 설치하여 상기 탭 부재를 누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였으나 이것도 상기 리벳에 의한 간섭 현상에 의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는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누르면 상기 탭 부재가 위로 꺽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탭 부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부재를 누르기 편리하고 잘 꺽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꺽임부와 누름부를 평탄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누름부에 누름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탄면보다 높게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누르면 상기 탭 부재가 쉽게 꺽이도록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구의 일부 절단면을 상기 탭 부재의 하단으로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가 위로 꺽이도록 캔 뚜껑의 판상부에 버팀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의 꺽임부 양쪽 가장자리 아래에 버팀돌기를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판상부의 리벳에 고정되는 탭 부재의 일측보다 버팀돌기를 더 높게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에 누름부홈과 꺽임선을 스코어로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탭 부재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버팀돌기를 캔 뚜껑의 판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탭 부재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에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형성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캔 뚜껑의 판상부의 표면, 탭 부재의 누름부 및/또는 꺽임부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중앙부에 형성된 리벳과, 상기 리벳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리벳의 타측에 형성된 버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원형의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리벳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버팀돌기의 상부에 타측이 위치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꺽임선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선의 양쪽 끝에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테두리 끝단까지 폭방향으로 꺽임홈이 일체로 형성된 탭 부재;를 포함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탭 부재는 상기 고정구의 일부 절단면을 상기 꺽임홈이 형성된 탭 부재의 하단으로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타측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리벳에 고정된 상기 일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누름부는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누름부에는 평탄면보다 0.1∼0.4㎜ 정도 높게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누름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코어로 형성된 누름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선은 상기 탭 부재에 스코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홈은 상기 꺽임선과 동일선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를 절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에 스코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고정구는 폭과 길이가 2∼8㎜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폭은 2∼5㎜ 정도, 길이는 3∼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탭 부재의 꺽임선과 상기 리벳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탭 부재의 테두리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탭 부재는 상기 탭 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개구부를 개봉할 때 상기 탭 부재가 휘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캔 뚜껑은 상기 몸체 부재의 상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탭 부재의 누름부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의 꺽임부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버팀돌기를 캔 뚜껑의 판상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꺽임부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에 꺽임선과 고정구 및 꺽임홈을 동일선 상 또는 미동일선 상에 형성함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캔 뚜껑의 판상부의 표면, 탭 부재의 누름부 및/또는 꺽임부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는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캔 뚜껑에서는 탭 부재의 누름을 볼록에서 오목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탭 부재를 상부에서 누르면 꺽임선을 중심으로 아래로 꺽여서 리벳의 반대쪽에 있는 탭 부재가 꺽여서 올라오도록 함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고 기능 불량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는 종래의 탄발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및 오프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의 평면도.
도 5은 도 4의 A-A'선을 절개한 캔 뚜껑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탭 부재의 평면도.
도 7는 도 6의 B-B'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을 절개한 다른 탭 부재의 단면도.
도 9은 도 6의 C-C'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탭 부재를 누르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눌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5은 도 4의 A-A'선을 절개한 캔 뚜껑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탭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7는 도 6의 B-B'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을 절개한 다른 탭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6의 C-C'선을 절개한 탭 부재의 단면도이다.
상기 캔 뚜껑은 외형을 이루는 몸체 부재(100)와, 상기 몸체 부재(100) 상면에 리벳(110)으로 결합되어 캔을 개봉하는 탭 부재(2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몸체 부재(10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하게 설치홈(102)이 형성된 판상부(101)와, 상기 설치홈(102)의 상면에 절취선으로 구획되는 개구부(103)와, 상기 설치홈(102)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리벳(110)과, 상기 리벳(110)과 인접한 상기 설치홈(102)의 상면에 나란히 형성된 고정돌기(104)와, 상기 고정돌기(104)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설치홈(102)의 상면에 나란히 형성된 버팀돌기(105)와, 상기 판상부(101)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컬부(도 12의 106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홈(102)은 상기 탭 부재(200)와 개구부(103) 등이 설치되는 곳으로, 상기 탭 부재(200)를 눌러서 상기 개구부(103)를 개봉할 때 상기 판상부(101)가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판상부(101)를 프레스 가공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104)는 상부에 상기 탭 부재(200)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탭 부재(200)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은 상기 탭 부재(200)의 테두리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06)의 안쪽에 2개로 형성되거나 상기 탭 부재(200)의 양쪽 테두리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판상부(10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04)는 상기 탭 부재(200)가 좌우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최소의 크기로 구성하고,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버팀돌기(105)는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 중의 하나로써, 상기 탭 부재(20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누름부(230)를 위에서 눌렀을 때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꺽임부(도 6의 220)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버팀돌기(105)는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판상부(101)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판상부(10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탭 부재(200)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팀돌기(10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선(203) 왼쪽, 즉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부(220) 아래에 1개 또는 좌우로 각각 2개로 형성하되, 상기 꺽임부(22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테두리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실험결과, 상기 버팀돌기(105)를 상기 꺽임부(220)의 안쪽 하부에 형성했을 때보다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했을 때 상기 꺽임부(220)가 잘 꺽임과 동시에 힘도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버팀돌기(105)의 높이는 상기 탭 부재(220)의 일측이 상기 리벳(110)에 결합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탭 부재(200)는 측면에서 볼때 상기 리벳(110)으로 고정된 일측에서 상기 꺽임부(220)가 형성된 타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상기 꺽임부(220)를 꺽기가 용이하고 힘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상기 꺽임부(220)를 꺽었을 때 위로 꺽이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리기가 용이하다.
상기 리벳(110)은 상기 판상부(101)의 성형 가공시 상기 판상부(101)와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며, 상기 탭 부재(200)를 프레스 가공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판상부(101)의 설치홈(102)에 상기 리벳(110)으로 결합되는 상기 탭 부재(2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의 외주면이 하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06)를 형성하고 있고, 그 기능에 따라 압박부(210), 꺽임부(220), 누름부(230)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탭 부재(200)의 압박부(210)는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 즉 도 6에서 상기 누름부(230)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상기 판상부(101)의 리벳(110)에 삽입하여 상기 탭 부재(200)를 결합하는 리벳구멍(209)과, 상기 리벳(110)의 외주면을 따라 곡면으로 절개된 반고리 형상의 절개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201)는 상기 탭 부재(200)의 젖힘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상기 탭 부재(200)를 젖힐 때 절개된 부위가 절단되지 않도록 절개된 끝부분을 아래로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201)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처리하여 미관이 좋게 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는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요철부(208)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된 절개부(201)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꺽임부(220)와 같이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로 형성되거나(도 7 참조) 또는 약간 볼록한 형상(도 8 참조)으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30)에는 사용자가 누름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탄면보다 약간 높게(예를 들어, 0.1∼0.4㎜ 정도) 누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230)는 종래의 탭 부재에서와 같이 천공되거나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지 않아 탭 부재의 기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230)에는 스코어로 구획된 원형의 누름부홈(2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홈(205)은 도 4 내지 도 9에서 1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1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원형 뿐만 아니라 타원형, 곡선형, 장방형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누름부홈(205)은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중앙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스코어로 구획된 원형의 절반이 상기 꺽임부(22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홈(205)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탭 부재(200)의 폭 방향으로 꺽임선(203)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꺽임선(203)의 양쪽 끝부분에 고정구(2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꺽임선(203)이 연결된 상기 고정구(202)의 부분을 일측이라 하면, 상기 일측과 대응되는 상기 고정구(202)의 타측에 꺽임홈(204)이 상기 탭 부재(200)의 외주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꺽임선(203)은 상기 누름부(230)를 위에서 누를 때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아래로 꺽이도록 절곡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젖힘 동작이 쉽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꺽임선(203)은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스코어로 가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꺽임홈(204)은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쉽게 절곡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상기 고정구(202)에서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상기 탭 부재(200)의 외주면까지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꺽임홈(204)은 도 4와 도 6 및 도 9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지만, 상기 탭 부재(200)의 하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꺽임홈(204)은 상기 탭 부재(20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일정 깊이로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스코어로 가공하여 미절개된 상태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꺽임홈(204)은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선(203)과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꺽임선(203)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꺽임홈(204)과 고정구(202)는 동일선상에 형성되지만 상기 꺽임선(203)은 동일선상에 형성하거나 또는 다른 선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202)는 상기 탭 부재(200)의 성형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탭 부재(200)가 상기 꺽임선(203)을 따라 절곡될 때 상기 탭 부재(20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그 크기는 상기 탭 부재(200)의 모양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대량 생산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구(202)의 크기는 폭이 대략 2∼8㎜ 정도(바람직하게는 2∼5㎜ 정도), 길이가 대략 2∼8㎜ 정도(바람직하게는 3∼5㎜ 정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202)의 폭과 길이를 적게 형성할 경우, 상기 고정구(202)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누름부(230)의 면적을 그만큼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누르는 면적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상기 꺽임부(220)가 꺽이는 힘이 감소됨으로써 그 만큼 힘이 적게 들고 꺽이는 각도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탭 부재(200)에 상기 고정구(202)를 형성할 때 상기 고정구(202)의 폭과 길이를 제한하지 않고 상기 탭 부재(200)의 크기에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구(202)의 폭은 적게 형성하고 길이는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젖힐 때 상기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202)의 일부 절단면(207)을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된 상기 탭 부재(200)의 하단으로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하였다(도 9 참조). 이때, 상기 절단면(207)의 절곡은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된 바깥쪽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반대의 안쪽 방향으로도 가능하며, 바깥쪽과 안쪽 모두에 절단면을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202)가 상기 꺽임선(203)의 양쪽 끝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구(202)의 형성 위치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부(220)는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 즉 도 6에서 상기 꺽임선(203)의 왼쪽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누름부(230)와 같이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로 형성되거나 또는 약간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꺽임부(200)에는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려 상기 개구부(103)를 개봉할 때 상기 탭 부재(200)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탭 부재(200)의 외주면을 따라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부(20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탭 부재(200)는, 상기 판상부(101)의 설치홈(102)에 형성된 상기 리벳(110)에 리벳구멍(209)을 끼워 위치를 고정한 후 상기 리벳(110)의 상부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도 4와 같이 캔 뚜껑의 판상부(101) 위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압박부(210)는 상기 리벳(11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 형성된 꺽임부(220)는 상기 판상부(101)에 형성된 버팀돌기(105)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버팀돌기(10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 즉 상기 꺽임부(220)의 하부 또는 양쪽 가장자리 부분(테두리 부분)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상기 탭 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리벳(110)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지지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탭 부재(200)는 상기 리벳(100)에 의해 고정된 일측에서 상기 꺽임부(220)가 형성된 타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탭 부재를 누르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는 탭 부재를 위에서 눌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캔을 개봉하기 위해,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른다. 이때, 상기 누름부(2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된 요철부(208)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타측에 형성된 절개부(201) 사이에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로 형성되거나(도 7 참조) 누름위치를 알 수 있도록 평탄면보다 0.1∼0.4㎜ 정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여기에, 스코어로 가공된 누름부홈(205)이 일체로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홈(205)은 도 6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 형성된 상기 꺽임선(203)을 기준으로 원형의 절반이 상기 꺽임부(220)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홈(205)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가운데 부분에 상기 꺽임선(203)이 상기 탭 부재(2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꺽임선(203)의 양쪽 끝부분에는 고정구(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202)에서 상기 탭 부재(200)의 가장자리 끝부분까지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리벳(110)과 버팀돌기(105)에 의해 지지되는 일측 및 타측보다 상기 누름부(230)가 있는 가운데 부분에서 힘을 가장 많이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230)가 있는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이 형성되어 있어 다른 부위보다 강도가 취약하다. 따라서,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리벳(110)과 버팀돌기(105)를 축으로 상기 꺽임선(203)이 아래로 꺽이면서 상기 꺽임부(220)가 상기 버팀돌기(105)에 의해 위로 꺽여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버팀돌기(105)는 상기 리벳(110)에 고정되는 상기 탭 부재(200)의 일측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230)를 눌렀을 때 꺽기가 용이하고 힘이 적게 들게 된다. 또한, 상기 꺽임부(220)를 꺽었을 때 위로 꺽이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리기가 용이하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상기 꺽임부(220)가 위로 꺽인 탭 부재(200)를 잡고 위로 들어올리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리벳(110)을 중심축으로 상기 탭 부재(200)의 압박부(210)가 아래로 향하면서 상기 개구부(103)를 눌러 개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구(20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탭 부재(200)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들어올릴 때 상기 꺽임홈(204)이 꺽이면서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탭 부재(200)를 위로 젖힐 때 상기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에 의해 상기 탭 부재(20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202)의 일부 절단면(207)을 상기 꺽임홈(204)이 형성된 상기 탭 부재(200)의 하단으로 컬부처럼 절곡시켜 강도를 보강하였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 뚜껑(30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몸체 부재, 101은 판상부, 103은 개구부, 106은 컬부, 110은 리벳, 200은 탭 부재, 201은 절개부, 202는 고정구, 203은 꺽임선, 204는 꺽임홈, 230는 누름부를 나타낸다.
도 12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상부(101),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캔 뚜껑에, 상기 판상부(101),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 및/또는 꺽임부(220)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문양이나 문구를 인쇄 또는 각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200)의 누름부(230)를 누를 경우 상기 탭 부재(200)의 꺽임부(220)가 위로 꺽이도록 하는 상기 버팀돌기(105)를 상기 캔 뚜껑의 판상부(101)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230)를 누르면 상기 꺽임부(220)가 쉽게 꺽이도록 상기 탭 부재(200)에 꺽임선(203)과 고정구(202) 및 꺽임홈(204)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탭부재(200)를 누르기 편리하고 잘 꺽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꺽임부(200)와 누름부(230)를 평탄한 평탄면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230)에 누름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탄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캔 뚜껑에 있어서,
    중앙부에 형성된 리벳과, 상기 리벳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리벳의 타측에 형성된 버팀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원형의 몸체 부재; 및
    상기 몸체 부재의 리벳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버팀돌기의 상부에 타측이 위치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누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꺽임선이 형성되고 상기 꺽임선의 양쪽 끝에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와 테두리 끝단까지 폭방향으로 꺽임홈이 일체로 형성된 탭 부재;
    를 포함하는 캔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는:
    상기 고정구의 일부 절단면을 상기 꺽임홈이 형성된 탭 부재의 하단으로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타측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돌기는:
    상기 리벳에 고정된 상기 일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평편한 판상 구조의 평탄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평탄면보다 0.1∼0.4㎜ 정도 높게 형성된 누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코어로 형성된 누름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선은:
    상기 탭 부재에 스코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홈은:
    상기 꺽임선과 동일선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를 절개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홈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에 스코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폭과 길이가 2∼8㎜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폭은 2∼5㎜ 정도, 길이는 3∼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탭 부재의 꺽임선과 상기 리벳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탭 부재의 테두리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는:
    상기 탭 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개구부를 개봉할 때 상기 탭 부재가 휘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은:
    상기 몸체 부재의 상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은:
    상기 탭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광고나 사용법 설명을 위한 문자가 인쇄 또는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PCT/KR2009/001502 2008-05-21 2009-03-24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WO2009142386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37 2008-05-21
KR20080047137 2008-05-21
KR10-2008-0073262 2008-07-25
KR20080073262 2008-07-25
KR20080091146 2008-09-17
KR10-2008-0091146 2008-09-17
KR10-2008-0092880 2008-09-22
KR20080092880 2008-09-22
KR10-2009-0022710 2009-03-17
KR1020090022710A KR100908477B1 (ko) 2008-05-21 2009-03-17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386A2 true WO2009142386A2 (ko) 2009-11-26
WO2009142386A3 WO2009142386A3 (ko) 2010-01-14

Family

ID=4133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502 WO2009142386A2 (ko) 2008-05-21 2009-03-24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8477B1 (ko)
WO (1) WO200914238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2386A (zh) * 2010-05-25 2012-10-03 徐振赫 可再密封的易开盖
WO2014073350A1 (ja) * 2012-11-07 2014-05-15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缶蓋および飲料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365B1 (ko) * 2010-12-29 2011-06-10 장영희 웃는 모양의 상면 구조를 갖는 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35U (ja) * 1991-07-31 1993-02-23 大和製罐株式会社 負圧缶詰用タブ非分離式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KR20000017742A (ko) * 1999-10-19 2000-04-06 조성호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의 구조
JP2000159228A (ja) * 1998-11-25 2000-06-13 Daiwa Can Co Ltd 負圧缶用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2002211561A (ja) * 2001-01-18 2002-07-31 Toyo Seikan Kaisha Ltd イージオープン缶蓋
JP2005075448A (ja) * 2003-09-03 2005-03-24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7241B2 (ja) * 1994-04-11 2004-08-25 北海製罐株式会社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の製造方法
JP3683023B2 (ja) * 1996-02-27 2005-08-17 北海製罐株式会社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35U (ja) * 1991-07-31 1993-02-23 大和製罐株式会社 負圧缶詰用タブ非分離式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2000159228A (ja) * 1998-11-25 2000-06-13 Daiwa Can Co Ltd 負圧缶用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KR20000017742A (ko) * 1999-10-19 2000-04-06 조성호 실용성이 개선된 캔뚜껑의 구조
JP2002211561A (ja) * 2001-01-18 2002-07-31 Toyo Seikan Kaisha Ltd イージオープン缶蓋
JP2005075448A (ja) * 2003-09-03 2005-03-24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2386A (zh) * 2010-05-25 2012-10-03 徐振赫 可再密封的易开盖
CN102712386B (zh) * 2010-05-25 2015-03-18 徐振赫 可再密封的易开盖
WO2014073350A1 (ja) * 2012-11-07 2014-05-15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缶蓋および飲料缶
JP2014094751A (ja) * 2012-11-07 2014-05-22 Showa Aluminum Kan Kk 缶蓋および飲料缶
US9850024B2 (en) 2012-11-07 2017-12-26 Showa Aluminum Can Corporation Can lid and beverage c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477B1 (ko) 2009-07-21
WO2009142386A3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25327A2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WO2009142386A2 (ko) 탭 부재 꺽임 기능을 구비한 캔 뚜껑
US6334531B1 (en) Plastic bottle carrier
JPS6340439Y2 (ko)
CN100396574C (zh) 带有铰接盖的容器
WO2020251317A1 (ko)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WO2020096266A1 (ko) 캔커버
DK0762981T3 (da) Flaskeholder med forbedret gribeanordning
WO2021078028A1 (zh) 一种便于单手开启的容器盖
NO905402L (no) Deksel som lett kan aapnes, av blikk, spesielt staalblikk.
WO2020153556A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비대칭 컵 홀더
WO2011122863A2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H074209Y2 (ja) キャップ
WO2017020151A1 (zh) 一种便于分辨产品的标签
WO2019013546A1 (ko) 자원 절약형 무접착 친환경 컵 캐리어
WO2024072187A1 (ko) 컵홀더
WO2018164308A1 (ko) 파지가 용이한 전개형 컵 홀더
JPS5924682Y2 (ja) 罐体容器の安全キヤツプ
JPH0137455Y2 (ko)
KR200311547Y1 (ko) 캔 따개
JPH0315482Y2 (ko)
JP3048839U (ja) 平型紙挟具
KR200328671Y1 (ko) 간편 케익상자
JP3051041U (ja) バインダー
KR200148188Y1 (ko) 오프너 겸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50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50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