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34092A2 - 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 Google Patents

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34092A2
WO2009134092A2 PCT/KR2009/002291 KR2009002291W WO2009134092A2 WO 2009134092 A2 WO2009134092 A2 WO 2009134092A2 KR 2009002291 W KR2009002291 W KR 2009002291W WO 2009134092 A2 WO2009134092 A2 WO 200913409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 formulation
bdd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poorly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2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34092A3 (ko
Inventor
정봉현
임용택
한정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0913409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34092A2/ko
Publication of WO200913409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3409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4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amines, polyanhydrides
    • A61K9/5153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tained releas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containing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BDD), a poorly soluble drug.
  • BDD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 Chronic diseases should be taken for a long tim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 even a small amount of a single dose of the drug causes side effects due to long-term accumulation in the body.
  • the dissolution rate is low, so that a large dose is administered in a single dose, and the administration of poorly soluble drugs in chronic diseases is an important problem to prevent side effects.
  •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DD")-based drugs can treat hepatitis and hepatoprotective, and clinically serum transaminase, especially serum glutamine. It has a function of lowering the activity of pyruvate transaminase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 (Lee Hyo-seok et al., Journal of the Korean Internal Medicine, Vol. 40, No. 2, 1991).
  • the BDD-based liver disease treatment agent has a drawback of having to continuously take excessive doses when taking tablets because the bioavailability is extremely low due to the small amount of elution in the body.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38224 discloses poorly soluble drugs in "oral microemulsion compositions containing biphenyldimethylcarboxylate and cardios marianus extract or silybin purified therefrom, which are useful for treating liver disease.
  • additives cosurfactants, surfactants and oil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7-0058726 improves the initial release of large amounts of water-soluble drugs by uniformly dispersing the water-soluble protein drug in the biodegradable polymer and recoating the drug particles or the biodegradable polymer matrix with the biocompatible hydrophobic material.
  • One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is described.
  •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 BDD-based poorly soluble liver disease therapeutic drug in an oil- or crystalline-type formulation impregnated again inside an oil-based polymer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nanoparticle siz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DD-containing sustained-releas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which is a poorly soluble drug for treating liver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stained-releas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of a narrow and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impregnated in the poorly water-soluble drug BDD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s and coated with an emulsifier on the surface.
  • the BDD-containing sustained-releas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of the poorly soluble drug for treating liver disease improves the dissolution rate of the poorly soluble drug, BDD, increases the bioavailability, and gradually releases the drug to a constant concentration in the blood. By long-term maintenance,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cessive amount of BDD due to the decrease in the body dissolution and bioavailability of the conventional BDD-containing formulation.
  • Figure 2 shows a TEM picture of the nanoparticles containing poorly soluble BDD.
  • Figure 3 shows a particle size analysis picture of the nanoparticles containing poorly soluble BDD.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continuous therapeutic effect (measurement of ALT concentration in the liver)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s containing BDD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ontinuous therapeutic effect (measurement of AST concentration in the liver)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s containing BDD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dama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containing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DD"), a poorly soluble drug for treating liver disease.
  • BDD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 the BDD-containing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layer of amphipathic (having both hydrophilic and lipophilic groups) emulsifier on the surface.
  •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s containing BDD, a poorly soluble 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article size variation of 0 to 30 nm, more preferably, particle size variation of 5 to 25 nm, and an average of 200 nm or less. Have a particle size (see FIGS. 1-3).
  • the dissolution rat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poorly soluble drug contained in the nanoparticle formulation.
  • an amphiphilic emulsifier layer is added to the surfac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s in which oil-soluble drugs are dissolved, so that they may be uniform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us prepared in a very small size. It enables redispersion into particles and provides the advantage of ensuring uniformity in size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impregnated with BDD during storage.
  •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orm of oil-in-water (o / w) as an emulsion method, specifically in the oil phase or crystals inside the oil phase polymer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Impregnation of BDD, a poorly soluble drug in the stomach.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dissolved in a nonvolatile polar organic solvent (step 1), and then a dispersion is prepared by adding BDD, a poorly soluble drug, to water in oil or crystalline water (step 2), and then Under a stirring condition, the dispersion is added to an aqueous solution of an emulsifier (step 3) to prepare a dispersion in which nano-sized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BDD are dispersed. Filtration of this dispersion quickly removes the emulsifier and organic solvent through the membrane and separates the polymer nanoparticles. The separated nanoparticles are lyophilized to obtain nanoparticle powders.
  • the low mechanical energy level of agitation conditions is preferably 50 to 5000 rpm.
  • the poorly soluble drug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the drug is eluted due to low solubility and becomes a rate controlling step of bioavailability.
  • BDD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 DDB Dimethyl Dimethoxy Biphenyl Dicarboxylate, dimethyldimethoxybiphenyldicarboxylate
  • liver disease treatment agents may be used.
  • the poorly soluble 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mixed with the biodegradable polymer and mixed in the organic solvent.
  • the organic solvent is a nonvolatile polar organic solvent.
  • the polarity is similar to water and i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olvent having a high affinity with water.
  • dimethyl sulfoxide DMSO
  • dimethyl foramide DF
  • dimethylacetamide Dimethyl acetamide
  • DMAc N-methyl-2-pyrrolidone
  • NMP N-methyl-2-pyrrolidone
  • pyrrolidone 1,3-dimethyl-3,4,5,6-tetrahydro-
  • Non-volatile solvents such as 2 (1H) -pyrimidinone [1,3-Dimethyl-3,4,5,6-tetrahydro-2 (1H) -pyrimidinone (DMPU), Hexamethylphosphoramide (HMPA)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dimethylacetamide DMAc
  • DMAc dimethylacetamide is more preferable.
  • the solvent is a non-volatile, polar, and particularly similar to water and has a high affinity with water
  • the mechanical dispersion medium of the polymer dispersion is low. Easily transferred to the water layer even under stirring conditions of energy, the drug may be impregnated again in the oily polymer inside the oily polymer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nanoparticle size by reacting with the emulsifier.
  • the biodegradable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ocompatible polymer that can be degraded in vivo, specifically, poly-L-lactic ac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A”), poly-glycolic acid (poly glycolic acid, "PGA”), poly-D-lactic acid-co-glycolic acid (hereinafter "PLGA”), poly-L-lactic acid-co-glycolic acid ( poly-L-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D, L-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D, L-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caprolactone , Alone or mixed with polyester-based polymers such as poly-valerolacton, poly-hydroxy butyrate, poly-hydroxy valerate, and the like It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LA poly-L-lactic acid
  • PGA poly glycolic acid
  • PLGA poly-D-lactic acid-co-glycolic acid
  • the PLGA is a polymer material approv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medical use, and thus has no toxicity problem, and thus, direct application of the PLGA is more readily available for medical use such as drug carriers or biomaterials compared to other polymers.
  •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release rate of the drug by changing the decomposition rate of the polym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raction or molecular weight of glycolide (glycolide) and lactide (Lactide) (Anderson JM et al.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8: 5-24, 1997).
  • the content ratio of the poorly soluble drug and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0.5 to 5: 10 to 100 parts by weight.
  • the emulsifier is an amphiphilic (having both hydrophilic and lipophilic groups) solvent, as long as it can easily disperse the oily dispersed phase in an aqueous solution.
  • Emulsifi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ropylene glycol (i.e. 1,2-dihydroxypropane), polyethylene glycol (especially polyethylene glycols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 to 600; hereafter "PEG”), propylene carbonate (i.e.
  • the emulsifier aqueous solu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the emulsifier in tertiary distilled water,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 PVA solution or a PVP solution.
  • Nanopartic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to make sustained release injectables by dispersing in solution for injections.
  • a solution for injection a buffered or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spersant or preservative in a buffered solution, or edible oil, mineral oil, squalene, squaanan, cod liver oil, mono-, di- and triglycerides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 edible oil jade oil, olive oil, soybean oil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with tablets, powders, or filled with hard capsules or soft capsules according to conventional pharmaceutical methods.
  •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ug efficacy duration of 2 weeks or more in vivo administration, the dissolution rate is improved 5 to 10 times or more.
  • the biodegradable polymer nanoparticles last longer even at a lower dose than the administration of BDD alone.
  • the nanoparticle and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continuously orally administered for 4 weeks.
  • the hepatic protective effect of the nanoparticle administration group was slightly lower than the active ingredient administration group, but was similar.
  • the liver protective effect of the nanoparticles was maintained for four weeks (see Tables 1 and 2).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slowly decreased after 4 weeks was confirmed to be surely reduced (see Figs. 4 and 5).
  • th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stained by the sustained release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more than two weeks.
  • the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LT and AST concentration-increasing inhibitory effect of the polymer nanoparticle-administered group containing BDD and BDD of Example 1 was about 2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effect of the BDD-containing polymer nanoparticle group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BDD group, but similar.
  • the polymer nanoparticles of Example 1 had a dose of 25 mg of the whole polymer nanoparticles containing BDD, and their drug content was 1/10, that is, 2.5 mg compared to the second group to which 25 mg of BDD itself was administered. do.
  • PLGA poly-D-lactic acid-co-glycolic acid
  • BDD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 Sprague Dawley rats were weighed by 20 male 6-week-old rats (Oriental Bio, Korea), and their average weight and variance were unifor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divided into five rats.
  • CCl 4 carbon tetrachloride
  • a hepatotoxic substance mixed with corn oil in a laboratory animal room set at a temperature of 23 ⁇ 2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 5%
  • the first group was administered with a compound of 0.74 ml / kg of carbon tetrachloride twice a week (Mon, Fri) for 4 weeks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 rats were dosed with 0.75 ml / kg of carbon tetrachloride twice weekly (Mon, Fri) for 4 weeks, and rats received 25 mg of BDD per kg of body weight (1% (w / v)) of CMC (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Sigma-Aldrich, USA) solution was orally administered for 4 weeks once a day, six times a week.
  • the fourth group did not receive carbon tetrachloride and the compound.
  •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PLGA-BDD nanoparticles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PT) and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
  • mice were anesthetized by injecting 4 ml of 4% chloral hydrate (BDH Laboratory Supplies, UK) solution intraperitoneally after 4 weeks, and blood was drawn from the heart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fter spin down for 20 minutes at 16000 rpm to obtain a serum, the ALT and AST using a reagent (TA-Test Wako; WAKO Pure Chemical, Japan) to measure the ALT and AST concentrations automatic blood biochemical equipment ( HITACHI 7080, HITACHI, Japan).
  • a reagent TA-Test Wako; WAKO Pure Chemical, Japan
  • the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LT and AST concentration increase inhibitory effect of the polymer nanoparticle-administered group containing BDD and BDD of Example 1 was about 2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the effect of the BDD-containing polymer nanoparticle-administered group of Example 1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BDD-administered group, but was similar.
  • the polymer nanoparticles of Example 1 had a dose of 25 mg of the whole polymer nanoparticles containing BDD, and their drug content was 1/10, that is, 2.5 mg compared to the second group to which 25 mg of BDD itself was administered. .
  • the first group was not administered any compound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for 4 weeks twice a month (Mon, Fri) at a dose of 0.75 ml / kg of carbon tetrachloride.
  • BDD 25 mg per kg of body weight was suspended in 1% (w / v) CMC solution with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twice a week for 4 weeks at a dose of 0.75 ml / kg of carbon tetrachloride. Once a day, six times a week, orally administered for two weeks.
  • Example 1 After two weeks, the animals were killed by a weekly unit to obtain serum by the method of Experimental Example 1-3, and then the ALT and AS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thereby maintain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PLGA-BDD nanoparticles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 the PLGA-BDD nanoparticles of Example 1 is very excellent in inhibiting the increase in liver ALT and AST concentration i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fatty liver even after 3 and 4 weeks
  • the concentration of ALT and AST in the liver increased after 4 weeks. It was found that the PLGA-BDD nanoparticle form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an the direct administration of BDD in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because the drug is slowly released continuously.
  • Acute toxicity following administration was investigated for each of BDD and PLGA-BDD nanoparticles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of 0.005 g, 0.1 g, 0.25 g, 0.5 g, 1 g of BDD and PLGA-BDD nanoparticles of Example 1 to each of 2 groups of 20 Ig-based mice weighing 20-25 g per kg of body weight Mortality was measu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mice that died one week after oral administration.
  •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 the capsule was prepared by filling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 the capsules were prepared by filling into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paring capsules.
  • the gammalinolenic acid complex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issolved in an appropriate volume of sodium chloride BP for injection, and the volume was adjusted using a sodium chloride BP for injection and thoroughly mixed.
  • the solution was filled into a 5 ml Type I ampoule made of clear glass, encapsulated under an upper grid of air by dissolving the glass, and sterilized by autoclaving at 120 ° C. for at least 15 minutes to prepare an injection sol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BDD)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용성 약물인 BDD가 생분해성 고분자에 함침되어 있고 표면에 유화제가 코팅되어 있는 좁은 범위의 입도분포를 갖는 나노 크기의 고분자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난용성 약물인 BDD의 용출률을 개선시켜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고,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여 혈액 내에서 약물이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간 질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종래 BDD 함유 제형의 체내 용출량 및 생체이용률의 저하로 인한 과량의 BDD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BDD)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에 관한 것이다.
만성질환은 그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서는 약을 장기간 복용하여야 한다. 이에 1회 투여시 약을 조금만 다량 투여하여도 장기간에 걸친 체내 축적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난용성 약물의 경우 용출률이 저조하여 1회 투여시 다량투여하게 되므로 만성질환에 난용성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부작용 방지를 위해서도 용출률의 개선이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장기간 복용해야 하므로 1일에 여러 번 투여하는 것은 복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므로, 서방형 제제를 개발하여 투여횟수를 줄이고 혈액 내 약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장기간 유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이하, "BDD")계 약물은 간염치료 및 간 보호 작용을 하며, 임상적으로 혈청트란스아미나제(Serum transaminase), 특히 혈청 글루타민 피루베이트 트란스아미나제(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의 활성을 저하하는 기능이 있다(이효석 등, 대한내과학회잡지, 제40권 제2호, 1991). 또한, 동물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사염화탄소 또는 티오아세트아마이드(thioacetamide) 독성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작용이 있으며,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2B1 mRNA와 벤질옥시 레조루핀-O-디알킬라제(benzyloxyresorufin-O-dealkyl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유리 라디칼(free radical) 제거 기능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은 물에 대해 매우 난용성(2.0 - 4.0 ㎍/㎖)이고 용출률이 극히 저조하며 정제 형태로 복용하는 경우 생체이용률이 20 - 3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HJ et al., J Kor Pharm Sci Vol.30, No.2:119-125, 2000). 이에 BDD 계열의 간질환치료제는 체내 용출량이 적어 생체 이용률이 극히 떨어지므로, 정제 복용 시 지속적으로 과량 복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난용성 약제들의 흡수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물리적 또는 화학적 개질을 통해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약물의 결정을 나노화 하는 물리적 개질을 통한 난용성 약물의 경구투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Khang KS et al.,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3(3)342-359, 2002).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 내부에 약물을 담지 시켜 약물의 생체 이용률 증가 및 장기간 효과를 지속시키는 다양한 실험들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제 2005-0038224 호에서는 간질환 치료에 유용한 "비페닐디메틸카복실레이트 및 카르두스 마리아누스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실리빈을 함유하는 경구용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서 난용성 약물에 첨가제(공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를 첨가하여 용출률이 증대됨으로써, 생체이용률 증가에 따른 간질환(만성질환) 치료효과가 증대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997-0058726호에서는 수용성 단백질 약물을 생분해성 고분자에 균일하게 분포시킨 것으로서 약물 입자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매트릭스를 생체적합성 소수성 물질로 다시 피복 하여 수용성 약물이 초기에 다량 방출되는 것을 개선한 서방 제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제제들의 용출 증대 효과, 지속적 방출 효과 등은 여전히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BDD 계열의 난용성 간질환 치료 약물을 나노입자 크기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수용액 내에 분산되는 오일상의 고분자 내부에 다시 오일상 또는 결정상의 상기 약물이 함침된 제형으로 제조하여, 표면적 증대에 따른 용출률을 개선하고 장시간 지속적으로 방출가능한 서방성 제제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BDD 계열의 난용성 약물의 체내 용출량이 적고 그 결과 생체이용률이 저하됨으로써 지속적으로 과량을 복용해야 했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약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질환 치료용 난용성 약물인 BDD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BDD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에 함침시키고 표면에 유화제가 코팅되어 있는 입도 분포가 좁고 균일한 크기의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질환 치료용 난용성 약물인 BDD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난용성 약물인 BDD의 용출률을 개선시켜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고,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여 혈액 내에서 약물이 일정한 농도로 장기간 유지시킴으로써, 간질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종래 BDD 함유 제형의 체내 용출량 및 생체이용률의 저하로 인한 과량의 BDD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난용성 BDD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난용성 BDD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난용성 BDD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입도분석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지속적인 치료효과(간 내 ALT 농도 측정)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지속적인 치료효과(간 내 AST 농도 측정)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간질환 치료용 난용성 약물인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이하, "BDD")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DD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표면에 양친매성(친수성 및 친유성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 유화제로 이루어진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인 BDD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입자크기의 편차가 0 ~ 3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자크기의 편차는 5 ~ 25 ㎚이며, 200 ㎚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도 1 내지 도 3 참조). 그 결과, 나노 입자 제형에 포함된 난용성 약물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용출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난용성 약물이 녹아있는 오일(oil)상의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표면에 양친매성의 유화제 층이 더하여져 수용액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매우 작은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시 수용액 중에 매우 작은 입자로 재분산될 수 있게 하고, 보존 중에도 BDD가 함침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크기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유화방법(Emulsion method)으로서 o/w(oil-in-water)의 형태를 이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용액 내에 분산되는 오일상의 고분자 내부에 다시 오일상 또는 결정상의 난용성 약물인 BDD를 함침시키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분해성 고분자를 비휘발성의 극성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단계 1), 오일상 또는 결정상의 물에 난용성 약물인 BDD를 첨가시켜 분산액을 만든 후(단계 2), 낮은 기계적 에너지 수준의 교반조건에서 상기 분산액을 유화제 수용액에 일괄 첨가하여(단계 3) BDD를 함유하는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가 분산된 분산액이 제조된다. 이 분산액을 여과하면 유화제와 유기용매는 분리막을 통해 빠르게 제거되며 고분자 나노입자가 분리된다. 이 분리된 나노입자를 동결건조하여 나노입자 분말을 얻는다. 상기 낮은 기계적 에너지 수준의 교반 조건은 50 내지 5000 r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용성 약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난용성 약물
상기 난용성 약물은 낮은 용해도로 인하여 약물의 용출이 흡수의 율속단계가 되어 생체이용률을 지배하는 약물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간질환 치료제인 BDD(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DDB(Dimethyl Dimethoxy Biphenyl Dicarboxylate, 디메틸디메톡시비페닐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글리세오풀빈(Griseofulvin), 디곡신(Digoxin), 디피리다몰(Dipyridamole), 스피로노락톤(Spironolactone), 시클로스포린(Cyclosporin), 암포테리신 비(Amphotericin B), 플루로유라실(Fluorouracil), 에토포시드(Etoposide), 6-머캅토퓨린(6-Mercaptopur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퍼페나진(Perphenasine) 등의 물에 난용성인 약물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결합하여 유기용매에 혼합되는 것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비휘발성의 극성 유기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극성이 물과 유사하여 물과의 친화력이 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이며, 예를 들면,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amide: DMF),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 acetamide; DMAc), 엔-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피롤리돈(pyrrolidone), 1,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2(1H)-피리미디논[1,3-Dimethyl-3,4,5,6-tetrahydro-2(1H)-pyrimidinone: DMPU], 헥사메틸 포스포르아마이드(Hexamethylphosphoramide: HMPA)와 같은 비휘발성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에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로서 비휘발성이고 극성이며, 특히 물과 유사한 극성이 있어 물과 친화력이 큰 용매를 사용하면, 이후 상기 약물이 함침된 고분자 분산액을 유화제 수용액에 재분산시키는 경우, 고분자 분산액의 분산매가 낮은 기계적 에너지의 교반 조건에서도 물 층으로 용이하게 전이됨으로써 유화제와 반응하여 나노입자 크기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수용액 내에 분산된 오일상의 고분자 내부에 다시 오일상 도는 결정상의 상기 약물이 함침될 수 있다.
(2) 생분해성 고분자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체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이며, 구체적으로,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이하 "PLA"), 폴리-글리콜산(poly glycolic acid, 이하 "PGA"), 폴리-D-락트산-co-글리콜산(poly-D-lactic acid-co-glycolic acid; 이하, "PLGA"), 폴리-L-락트산-co-글리콜산(poly-L-lactic acid-co-glycolic acid),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c acid-co-glycol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발레로락톤(poly-valerolacton),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poly-hydroxy butyrate),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poly-hydroxy valerate)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고분자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의 관점에서 PLGA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PLGA는 미국 식약청에서 의료용으로 승인된 고분자 재료로서 독성의 문제가 없어 다른 고분자에 비하여 약물전달체 또는 생체 재료와 같은 의료용으로서 직접적 응용이 보다 수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공중합 시 글리콜라이드(glycolide)와 락타이드(Lactide)의 분율 또는 분자량의 조절에 따른 고분자의 분해속도를 변화시켜 약물의 방출 거동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nderson JM et al.,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8:5-24, 1997).
본 발명에서 난용성 약물과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비는 0.5 ~ 5 : 10 ~ 100 중량부가 적합하다.
(3) 유화제
상기 유화제는 양친매성(친수성 및 친유성기를 모두 가짐) 용매로서, 유성 분산상을 수용액 중에 쉽게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화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즉, 1,2-디하이드록시프로판), 폴리에틸렌글리콜(특히, 분자량 200 내지 6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이하, "PEG"),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즉, 4-메틸-2-옥소-1,3-디옥솔란),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이하, "PVP")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로써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화제 수용액은 상기 유화제를 3차 증류수에 용해시켜 제조하며, 특히 PVA 용액 또는 PVP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주사제용 용액에 분산시켜 서방성 주사제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주사제용 용액으로는 완충 수용액 또는 완충 수용액에 분산제 또는 방부제가 포함된 용액, 또는 식용유, 미네랄 오일, 스쿠알렌, 스쿠알난, 대구 간유, 모노-, 디- 및 트리 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식용유로는 옥배유, 올리브유, 대두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나노입자를 경구투여할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점도 조절제, 항산화제, 방향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제학적 방법에 따라 정제, 산제로 제제화하거나, 경질캅셀 또는 연질캅셀에 충진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는 생체 투여시 약효 지속기간이 2주 이상이고, 용출률은 5 ~ 10 배 이상 개선되었다. 이에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는 1회 투여시 BDD 단독 투여보다 적은 투여량으로도 더 오래 약효가 지속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경구투여한 경우의 사염화탄소-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치료효과를 유효성분만 경구투여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나노입자와 유효성분만을 지속적으로 4주간 경구투여한 경우에서는 나노입자 투여군의 간 보호 효과가 유효성분 투여군보다 조금 낮았지만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상기 나노입자와 유효성분을 2주간만 경구투여하고 지속적으로 간 손상을 유발한 경우에서는 상기 나노입자의 간 보호 효과는 4주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지만(표 1 및 표 2 참조), 유효성분의 간 보호 효과는 서서히 감소하다가 4주째에 확실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및 도 5 참조). 즉,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서방화가 됨으로써 유효성분의 효과가 2주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BDD 및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투여군의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ALT 및 AST 농도 상승 억제 효과가 약 2 배 이상이었다. BDD를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투여군의 효과는 수치상으로는 BDD 투여군보다 조금 낮지만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실시예 1의 고분자 나노입자는 BDD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입자 전체의 투여량이 25 mg으로 이들의 약물 함량은 BDD 자체를 25 ㎎ 투여한 제2군에 비해 1/10 수준, 즉 2.5 ㎎이 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대한 제3군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2군의 투여량의 1/10의 약물을 투여하여 표 1에서는 제2군에 비하여 약 56%의 효과를, 표 2에서는 약 91%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실제 약물의 용출정도는 각각 5.6배 및 9.1배 개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와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LGA-BDD 나노입자의 제조
PLGA(poly-D-lactic acid-co-glycolic acid; Boehringer Ingelheim, 독일) 10 g을 DMSO(Dimethyl sulfoxide) 300 ㎖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BDD(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1 g을 첨가시켜 용해시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PLGA-BDD 분산액을 4% PVA(Polyvinyl alcohol; Sigma-Aldrich, USA) 유화제 용액 3 ℓ에 한 번에 일괄 첨가하면서 500 rpm의 낮은 교반 조건으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펌프 형 분리막 여과장치(Labscale™ TFF System, Millipore, USA)를 이용하여 나노입자용액을 용기 내에서 교반시키면서 순환펌프에 의해 용액이 분리관을 통하여 순환되면, 분리막에서 유화제, 유기용매 및 증류수는 분리막필터(Pellicon® XL Filter, 500K, Millipore, USA)를 통하여 빠르게 제거되고 나노입자는 계속 순환 농축되었다.
분리 농축된 나노입자는 동결건조(EYELA, 일본)를 통하여 나노 입자분말을 수득하여 4 ℃에서 보관하였다. 최종 수득한 나노입자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irion, 일본),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JEOL, 일본) 및 입도분석장치(OTSUKA ELECTRONICS, 일본)으로 관찰한 결과, 좁은 범위의 입도 분포와 평균입경 152 ㎚의 크기를 갖는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균일한 PLGA-BDD 나노입자를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실험예 1>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에 대한 치료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DD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나노입자의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에 대한 치료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1-1>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
스프라그-도울리(Sprague Dawley)계 랫트 6주령의 수컷 20마리(오리엔트바이오, 한국)의 체중을 측정하여 평균체중 및 분산을 균일하게 하여 4군으로 나누어 5마리씩 분배하였다. 온도 23±2℃, 상대습도 55±5%로 설정된 실험동물 실에서 상기 실험동물들에게 옥수수유와 혼합한 간독성 물질인 사염화탄소(CCl4) 50%(v/v)용액(Sigma-Aldrich, USA)을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총 4주간 복강투여 하였다.
<1-2> 화합물 처리
1. 제1군(대조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총 4주간 복강투여 후 별도의 화합물 투여를 하지 않았다.
2. 제2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4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랫트에게 체중 1 ㎏ 당 BDD 25 ㎎을 1%(w/v)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sodium salt, Sigma-Aldrich, USA)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총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3. 제3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4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랫트에게 체중 1 ㎏ 당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DD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나노입자 각 25 ㎎을 1%(w/v)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총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4. 제4군(비처리군)은 사염화탄소 및 화합물을 투여하지 않았다.
<1-3> 치료효과 확인
4주 후 혈청을 수득한 다음, ALT(Alanine aminotransferase, GPT)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PLGA-BDD 나노입자의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4주 후 동물에게 4% 클로랄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BDH Laboratory Supplies, 영국) 용액 4 ㎖을 복강 내에 주사시켜 마취시킨 후 심장에서 혈액을 뽑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16000 rpm에서 20분 동안 스핀다운(spin down)하여 혈청을 수득한 다음, ALT 및 AST 측정시약(TA-Test Wako; WAKO Pure Chemical, 일본)을 이용하여 ALT 및 AST 농도를 자동혈액 생화학 장비(HITACHI 7080, HITACHI, 일본)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BDD 및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투여군의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ALT 및 AST 농도 상승 억제 효과가 약 2 배 이상이었다.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투여군의 효과는 수치상으로는 BDD 투여군보다 조금 낮지만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실시예 1의 고분자 나노입자는 BDD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입자 전체의 투여량이 25 ㎎으로 이들의 약물 함량은 BDD 자체를 25 ㎎ 투여한 제2군에 비해 1/10 수준, 즉 2.5 ㎎이 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대한 제3군의 결과를 살펴보면, 제2군의 투여량의 1/10의 약물을 투여하여 표 1에서는 제2군에 비하여 약 56%의 효과를, 표 2에서는 약 91%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실제 약물의 용출정도는 각각 5.6배 및 9.1배 개선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표 1
동 물 군 ALT*(SF IU/ℓ) 랫트의 수(마리) 대조군에 대한 ALT 농도의 비율(%)
제1군(대조군) 547.9±26.8 5 100
제2군(BDD) 229.6±99.7 5 42
제3군(실시예 2) 367.7±45.5 5 67.1
제4군(비처리군) 54.6±15.4 5 -
*:ALT 농도의 평균치 ± 표준편차; SF: Sigma-Frankel, 단위 부피당 효소의 활성도
표 2
동 물 군 AST*(SF IU/ℓ) 랫트의 수(마리) 대조군에 대한 AST 농도의 비율(%)
제1군(대조군) 906.6±92.0 5 100
제2군(BDD) 479.7±144.8 5 52.9
제3군(실시예 2) 516.1±37.0 5 56.9
제4군(비처리군) 194.3±14.5 5 -
*:AST농도의 평균치 ± 표준편차; SF: Sigma-Frankel, 단위 부피당 효소의 활성도
<실험예 2> 사염화탄소-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지속적인 치료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DD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나노입자의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에 대한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BDD 및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나노입자는 각각 2주간만 투여하고, 사염화탄소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면서 시간 변화에 따른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2-1>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5 마리씩 8군의 랫트에게 사염화탄소-유도 간 손상을 주었다.
<2-2> 화합물 처리
1. 제1군(대조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4주간 복강투여 후 어떠한 화합물도 투여하지 않았다.
2. 제2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2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체중 1 ㎏ 당 BDD 25 ㎎을 1%(w/v)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2주 간 경구투여 하였다.
3. 제3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3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체중 1 ㎏ 당 BDD 25 ㎎을 1%(w/v)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2주 간 경구투여 하였다.
4. 제4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4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체중 1 ㎏ 당 BDD 25 ㎎을 1%(w/v)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2주 간 경구투여 하였다.
5. 제5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2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체중 1 ㎏ 당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25 ㎎을 1%(w/v)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2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6. 제6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3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체중 1 ㎏ 당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25 ㎎을 1%(w/v)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2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7. 제7군에는 사염화탄소 0.75 ㎖/㎏의 용량으로 1주일에 2회(월,금) 4주간 복강투여와 함께 체중 1 ㎏ 당 실시예 1의 BDD를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입자 25 ㎎을 1%(w/v) CMC 용액에 현탁하여 1일 1회, 1주일에 6회, 2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8. 제8군(비처리군)에는 사염화탄소 및 화합물을 투여하지 않았다.
<2-3> 치료효과 확인
2주 후 1주일 단위로 동물을 치사시켜 실험예 1-3의 방법으로 혈청을 수득한 다음, ALT 및 AST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PLGA-BDD 나노입자의 치료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PLGA-BDD 나노입자의 경우 3주 및 4주 후에도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지방간에서 간 내 ALT 및 AST 농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나, BDD의 경우 4주 후에 간 내 ALT 및 AST의 농도가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PLGA-BDD 나노입자 형태가 지속적으로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므로 간질환 치료에 BDD 직접 투여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급성독성 실험
BDD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PLGA-BDD 나노입자 각각에 대하여 투여에 따른 급성 독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BDD 및 실시예 1의 PLGA-BDD 나노입자를 체중 20 내지 25 g의 ICR 계 마우스 각 10마리 2 군에게 체중 1 ㎏당 0.005 g, 0.1 g, 0.25 g, 0.5 g, 1 g의 양으로 각각 경구투여 한 다음 1주일 후에 사망한 마우스의 수를 세어 치사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PLGA-BDD 나노입자를 투여하여도 매우 안전하고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표 3
0.005 g 0.1 g 0.25 g 0.5 g 1 g LD50(g/㎏)
사망수(마리) 치사율(%) 사망수(마리) 치사율(%) 사망수(마리) 치사율(%) 사망수(마리) 치사율(%) 사망수(마리) 치사율(%) >2
BDD 0 0 0 0 0 0 0 0 0 0 >2
실시예1의 PLGA-BDD나노입자 0 0 0 0 0 0 0 0 0 0 >2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이 함침된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이 함침된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이 함침된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이 함침된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100 ㎎을 수용액에 녹여서 에멀젼화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이 함침된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입자 100 ㎎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4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의 감마리놀렌산 복합체를 용해시키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된 5㎖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난용성 약물인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이하, "BDD")가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D-락트산-co-글리콜산(poly-D-lactic acid-co-glycolic acid; 이하, "PLGA")에 함침되어 있는 고분자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DD와 상기 PLGA는 0.5 ~ 5 : 10 ~ 10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입자는 외각에 유화제 코팅층이 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양친매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프로필렌글리콜(즉, 1,2-디하이드록시프로판), 폴리에틸렌글리콜(특히, 분자량 200 내지 6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이하, "PEG"),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즉, 4-메틸-2-옥소-1,3-디옥솔란),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 Pyrrolidone: 이하, "PVP")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입자크기의 편차가 0 ~ 30 ㎚인 좁고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은 1회 투여시 BDD 단독 투여보다 적은 투여량으로도 더 오래 약효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8. 제1항의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을 함유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투여용 제제는 정제, 산제 또는 캡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10. 제1항의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이 주사제용 용액에 분산된 주사제.
PCT/KR2009/002291 2008-05-01 2009-04-30 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WO200913409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18A KR20090115269A (ko) 2008-05-01 2008-05-01 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KR10-2008-0041018 2008-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4092A2 true WO2009134092A2 (ko) 2009-11-05
WO2009134092A3 WO2009134092A3 (ko) 2010-01-21

Family

ID=4125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2291 WO2009134092A2 (ko) 2008-05-01 2009-04-30 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115269A (ko)
WO (1) WO2009134092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379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US20050287196A1 (en) * 2002-09-04 2005-12-29 Kilwon Cho Block copolymer micelle composition having an enhanced drug-loading capacity and sustained rele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7196A1 (en) * 2002-09-04 2005-12-29 Kilwon Cho Block copolymer micelle composition having an enhanced drug-loading capacity and sustained release
KR20040062379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HAMED, F. ET AL.: 'Engineering biodegradable polyester particles with specific drug targeting and drug release properties' J. PHARM. SCI. vol. 97, no. 1, January 2008, pages 71 - 87 *
PANYAM, J. ET AL.: 'Polymer degradation and in vitro release of a model protein from poly (D,L-lactide-co-glycolide) nano-and microparticles' J. CONTROL. RELEASE vol. 92, no. 1-2, September 2003, pages 173 - 18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269A (ko) 2009-11-05
WO2009134092A3 (ko)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1884A1 (ko)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WO2021010719A1 (ko)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134091A2 (ko) 난용성 약물을 함유하는 균일한 크기의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방법
WO2014104788A1 (en) Sustained-release lipid pre-concentrate of anionic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0171491A1 (ko) 서방성 지질 전구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질 용액 형태의 서방성 주사용 약학 조성물
WO2015020240A1 (ko) 엔테카비어 미립구 및 이를 포함하는 비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0603278B2 (en) Microspheres containing anthelmintic macrocyclic lactones
Martinez-Sancho et al. Poly (D, L-lactide-co-glycolide) microspheres for long-term intravitreal delivery of aciclovir: influence of fatty and non-fatty additives
KR101411349B1 (ko) 생리활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0896527A1 (fr)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pour la liberation prolongee de principes actifs insolubles
KR102637828B1 (ko) Hcv의 치료를 위한 고형 약제학적 조성물
WO2020166820A1 (ko) 피나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한 피하 주사용 조성물
WO2009134092A2 (ko) 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형
CA2358361C (en) Stable composi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nd their use
WO2014169725A1 (zh) 一种艾塞那肽微球制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5163689A1 (ko) 활성 성분 (i)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96217A1 (ko) 졸-겔 조성물
WO2016163752A1 (ko) 난용성 약물 전달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KR102451185B1 (ko) 도네페질 함유 지속방출형 미립구
WO2023249461A1 (ko) 도네페질과 파모산을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
WO2023249465A1 (ko) 엔테카비르를 포함하는 장기지속성 미립구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HUE035543T2 (en) 6&#39;-fluoro- (N-methyl or N, N-dimethyl) -4-phenyl-4 &#39;, 9&#39;-dihydro-3&#39;H-spiro [cyclohexane-1,1&#39;-pyrano [3.4, B ] a pharmaceutical dosage form containing indole] -4-amine
WO2023249464A1 (ko) 약물과 파모산을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
CN1593392A (zh) 一种辅酶q10冻干粉针剂及其制备方法
WO2019203543A1 (ko) 데옥시콜린산을 포함하는 피하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389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389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