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088249A2 -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088249A2
WO2009088249A2 PCT/KR2009/000122 KR2009000122W WO2009088249A2 WO 2009088249 A2 WO2009088249 A2 WO 2009088249A2 KR 2009000122 W KR2009000122 W KR 2009000122W WO 2009088249 A2 WO2009088249 A2 WO 200908824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ullerene
derivative
triarylamine
compound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01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088249A3 (ko
Inventor
Young-Kyoo Kim
Min-Jung Shin
In-Hyuk Lee
Hwa-Jeong Kim
Original Assigne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filed Critica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riority to US12/671,428 priority Critical patent/US8501958B2/en
Publication of WO200908824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088249A2/ko
Publication of WO200908824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08824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3/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or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11Fullerenes, e.g. C60
    • H10K85/215Fullerenes, e.g. C60 comprising substituents, e.g. PCB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that absorbs sunlight,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and an applica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wherein the compound is formed by combining a fullerene and at least one triarylamine derivative.
  • the fullerene (fullerene) is selected from any one of C 60 , C 70 , C 78 , C 82 and C 84
  •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at least one aliphatic or aromatic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which binds to a hydrocarbon and binds a dopant.
  • a solar cell is an optical cell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Solar cells are largely divided into 'solar cells' and 'solar cells'. If a solar cell is a device that uses the heat to generate the steam needed to spin a turbine, the solar cell converts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a semiconductor. Among these,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the solar cell.
  • the first semiconductor material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solar cell is single crystal silicon. Although the share of the current solar cell market has fallen a lot since then, it is still widely used in the market, especially in the field of large-scale power generation systems. This is because the efficiency of solar cells made of single crystal silico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materials.
  • the solar cell is manufactured with the organic material
  • the light conversion efficiency which is an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yield of the target material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to facilitate the mass synthesis process of the organic material for a lower production cos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ullerene (fullerene) and at least one triarylamine (triarylamine) derivative is made by combining,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at least one aliphatic or By combining with aromatic hydrocarbons and dopants are combined to control the length and doping ratio of the triarylamine moiety to absorb various wavelengths in the solar region, the light conversion efficiency is increased, and mass synthesis is eas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u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and an application thereof.
  • a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mpound that absorbs sunligh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the compound is a fullerene (fullerene) derivative and at least one triarylamine (triarylamine) derivative is combin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de.
  • the fullerene derivati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number of the fullerene (fullerene) is selected from any one of C 60 , C 70 , C 78 , C 82 and C 84 .
  •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bined with at least one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and dopant is bonded.
  • At least one triarylamine is bonded to the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 the dopant is an acid
  • the acid is selected from any one of benzenesulfonic acid, sulfuric acid (H 2 SO 4 ), and antimony fluoride (SbF 6 ). It is characterized by.
  •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for absorbing sunlight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comprises: a fullerene derivative synthesis step of synthesizing a fullerene derivative; A fullerene-triarylamine synthesis step of preparing a fullerene-triarylamine adduct by combining a triarylamine derivative to the fullerene derivative; An adduct solution preparing step of dissolving the adduct in an organic solvent to produce an adduct solution; And a doping reaction step of slowly adding dropwise acid to the additive product solution to perform a doping reaction.
  • the fullerene derivati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number of the fullerene (fullerene) is selected from any one of C 60 , C 70 , C 78 , C 82 and C 84 .
  • the fullerene derivative synthesis step is characterized by synthesizing a fullerene derivative by heating a fullerene with N-substituted glycine in toluene. .
  • the triarylamine derivative of the fullerene-triarylamine synthesis step is any one of bromotriarylamine, iotritriarylamine and chlorotriarylamine. And selecting a fullerene derivative of the fullerene derivative synthesis step, reacting the selected triarylamine and 2-phenylphenol in an organic solvent.
  • the molar ratio of fullerene and N-substituted glycine is 0.1 to 10: 1, and the mixture is heated and reacted with toluene at room temperature to 300 ° C. for 1 to 24 hours in fullerene. It is characterized by synthesizing a fullerene derivative.
  • the molar ratio of the fullerene derivative and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0.1 to 10: 1, and the rea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ction i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to 300 ° C. for 8 hours to 72 hours.
  • the organic solvent of the additive product preparation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oluene, xylene, xylene, chlorobenzene, dichlorobenzene.
  • the dopant in the doping reaction step is an acid
  • the acid is benzenesulfonic acid, sulfuric acid (H 2 SO 4 ), antimony fluoride (SbF 6 ) group. Any one is selected from.
  • a solar cell comprising a compound for absorbing sunlight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f the compounds described above.
  • a transistor including a compound for absorbing sunlight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al ener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f the compounds described above.
  • the solar cell is made of an organic material and thus mass production is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 it has the effect of accelerating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energy in preparation for energy shortage by converting infinite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the solar cell has an effect that is easy to process and convenient to move than when using an inorganic material.
  • FIG. 1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a compound that absorbs sunligh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at a dopant is bonded to a fullerene-triarylamine to which a fullerene derivative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are bonded;
  • FIG. 3 is a view showing an adduct produ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at a dopant is bonded to a fullerene-triarylamine bonded to a fullerene derivative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including a hydrocarbon derivative bonded to a benzene ring;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dopant bonded to a fullerene-triarylamine bonded to a fullerene derivative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bonded to two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s;
  • FIG. 6 shows that a dopant is bonded to a fullerene-triarylamine bonded to two fullerene derivatives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bonded to an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
  • FIG. 7 shows a dopant bonded to a fullerene-triarylamine bonded to a fullerene derivative bonded to an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bonded to a triarylamine;
  • FIG. 8 shows that a dopant is bonded to a fullerene-triarylamine bonded to a fullerene derivative bonded to an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bonded to a aryl of a triarylamine derivativ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imple compound that absorbs the sun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 Figure 2 is a fullerene-triaryl combined with a fullerene derivative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3 is a view showing a dopant bonded to an amine
  • FIG. 3 is a view showing an adduct produ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dopant is bonded to the fullerene-triarylamine combined with the fullerene derivative and the triarylamine derivative containing a hydrocarbon derivative bonded to the benzene ring
  • Figure 5 is a combination with two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 dopant is bonded to the fullerene-triarylamine which the fullerene derivative and the triarylamine derivative couple
  • FIG. 6 is the fullerene which the two fullerene derivative and triarylamine derivative couple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dopant bonded to a fullerene-triarylamine bonded to a fullerene derivative bound to an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 and a triarylamine derivative bound to a triarylamine
  • FIG. 8 shows an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 and The dopant is bonded to the fullerene-triarylamine which the triarylamine derivative which the triarylamine coup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that absorbs sunligh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 the sunlight absorbed by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rared rays, visible rays, and ultraviolet rays.
  • the ultraviolet rays include UVA long wavelength, UVB medium wavelength, and UVC short wavelength.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 light in a wide range of wavelengths, depending on the triarylamine derivative.
  • the compound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cluding a combination of a fullerene derivative and at least one triarylamine derivativ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the fullerene derivative and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n order to prepare the compound to absorb the sunlight.
  • the hexagonal carbon balls are made of fullerene, and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represented by A to G are hydrocarbon compounds bonded to the nitrogen atom (N). And denoted as d is a dopant.
  • n and o are natural numbers greater than 1, and l and m are nonnegative integers.
  • the fullerene is a substance found in the soot that remains when the laser is shot on a piece of graphite.
  • the fullerene is a stable material having a soccer ball-like structure.
  • the carbon atoms of the fullerenes form sp 2 hybrid orbits, and the fourth valence electrons of each carbon atom are contained in the p orbitals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phere.
  • the orbits overlap each other to form an electron cloud of ⁇ (pi) bond inside and outside the sphere.
  • the electron cloud is in the same form as the electron cloud of the ⁇ (pi) bond of benzene.
  • fullerene has a stable property.
  • the fullerenes do not react with other materials due to their stable properties and do not readily dissolve in solvents. Therefore, fullerene derivatives are needed to make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ullerene derivative may be composed of 60, 70, 78, 82 and 84 carbon atoms of the fullerene, respectively.
  •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bonded to the stable fullerene.
  • the triarylamine derivative may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depending on the length and polarity of the functional group, and has a hole transporting property according to the structure.
  •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al group to which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bonded affects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solar cell.
  •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combined with at least one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and the dopant is bonded.
  • the aliphatic hydrocarbons include unsaturated hydrocarbons and saturated hydrocarbons.
  • the saturated hydrocarbons include alkanes (C n H 2n + 2 ), and the unsaturated hydrocarbons include alkenes (C n H 2n ) and alkynes (C n H 2n-2 ).
  • cycloalkane (C n H 2n ) which is the saturated hydrocarbon but has a carbon skeleton, is included in this.
  • one or more hydrogen atoms of aliphatic hydrocarbon molecules include derivative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or radicals.
  • the isomers of the aliphatic hydrocarbons are also included.
  • the aromatic hydrocarbons include hydrocarbons including benzene groups and hydrocarbons other than benzene, such as naphthalene, anthracene, toluene, xylene, and styrene. do.
  • the aromatic hydrocarbons include phenols, aromatic carboxylic acids, aromatic nitro compounds, and aromatic amine-based compounds that are aromatic hydrocarbon derivatives.
  • At least one triarylamine derivative may be recombined to the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which is bonded to the triarylamine derivative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triarylamine derivative, and may form a crosslink.
  • the structure, polar length, and the like of the entire compound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polarity, length, and the like of the functional group to which the triarylamine is bonded. Since fullerene is a stable substance, it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tructure and type of the functional group to which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bonded.
  • the dopant is an acid, and the acid is selected from benzenesulfonic acid, sulfuric acid (H 2 SO 4 ), and antimony fluoride (SbF 6 ).
  • the dopant is an impurity that is intentionally added to chang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emiconductor.
  • the dopant reacts with a non-covalent pair of nitrogen atoms to be doped.
  • the compound is a fullerene derivative synthesis step of synthesizing a fullerene derivative, a fullerene-triaryl for preparing a fullerene-triarylamine adduct by combining a triarylamine derivative to the fullerene derivative
  • fullerene is a stable material, solubility in organic solvents is low, and thus, a fullerene derivative should be prepared because a phase separation phenomenon occurs when a solution mixed with a semiconductor polymer is produced. Most of the fullerene derivatives are organic substituents that occupy a relatively small portion compared to the fullerenes. In the fullerene derivative synthesis step, the fullerene derivative is prepared by selecting any one of C 60 , C 70 , C 78 , C 82 and C 84 of the fullerene.
  • a fullerene derivative is synthesized by heating a fullerene with N-substituted glycine in toluene.
  • the molar ratio of the fullerene and N-substituted glycine is 0.1 to 10: 1, and the reaction i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to 300 ° C. for 1 hour to 24 hours in toluene.
  • the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within the above range because the reaction does not occur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room temperature, and the reaction product may be decomposed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reaches 300 ° C.
  • reaction time when the reaction time is less than 1 hour, the reaction does not occur sufficiently, and when the reaction time is more than 24 hours, the economic efficiency is lowered, so that the reaction occurs in the reaction time range.
  • the molar ratio of the fullerene is 0.1 or less, the unreacted fullerene remains when the synthesis product of the fullerene derivative is too small and becomes 10 or more, so that the reaction is performed within the molar ratio.
  • a fullerene-triarylamine synthesis step In order to bind the triarylamine derivative to the synthesized fullerene, a fullerene-triarylamine synthesis step must be performed.
  • the triarylamine derivative of the fullerene-triarylamine synthesis step is bromotriarylamine, the fullerene derivative of the fullerene derivative synthesis step, the bromotriarylamine and 2-phenylphenol. Is reacted in an organic solvent. Iotritriarylamine or chlorotriarylamine may be used instead of the bromotriarylamine.
  • the molar ratio of the fullerene derivative and the triarylamine derivative is 0.1 to 10: 1, and the reaction is allowed to react for 8 hours to 72 hours at room temperature to 300 ° C.
  • the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within the above range because the reaction does not occur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room temperature, and the reaction product may be decomposed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reaches 300 ° C.
  • the reaction time is less than 8 hours, the reaction does not occur sufficiently, and when the reaction time is 72 hours or more, the economic efficiency is lowered, so that the reaction occurs in the reaction time range.
  • the molar ratio of the fullerene derivative is less than 0.1
  • the synthesis product of the fullerene-triarylamine is too small and becomes 10 or more, unreacted fullerene derivative remains, and thus, within the molar ratio. It is preferable to react at.
  • Bromotriarylamine, iodotriarylamine, and bromine (Brom; Br), iodine (Iodine; I), and chlorine (Cl) of chlorotriarylamine have an electronegativity. It is strong and attracts electric charge, so it becomes ⁇ ⁇ , and the nitrogen element of the amine becomes ⁇ + , causing the reaction to occur.
  • Copper iodide (CuI) and potassium phosphate (K 3 PO 4 ) are used as catalysts to assist the reaction.
  • palladium (Pd) catalysts are used for allylation reactions, and when the copper (Cu) bonded with iodine (I) is used as a catalyst, the reaction occurs more easily and quickly. do.
  •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fullerene-triphenylamine adduct produced by the reaction can be seen. Since the adduct has no effect on the solar cell because the charge in the molecule is easily moved, the adduct should be prepared as a solution and then doped with a dopant.
  • the organic solvent of the additive product solution manufacturing step is selected from toluene, xylene, xylene, chlorobenzene, and dichlorobenzene.
  • the materials have a benzene group, and benzene has a double bond in a resonance structure, which facilitates a doping reaction by allowing charges of molecules to move easily.
  • the organic solvent serves to improve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compound.
  • the adduct solution is prepared and subjected to a doping reaction step.
  • An acid is used as a dopant in the doping reaction step, and the acid is selected from benzenesulfonic acid, sulfuric acid (H 2 SO 4 ), and antimony fluoride (SbF 6 ).
  • the compound prepa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solar cell, a transistor, a varistor, a semiconductor, etc. because it absorbs sunligh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 Iotritriarylamine or chlorotriarylamine may be used instead of the bromotriarylamine.
  • ioditriarylamine iodotriarylamine
  • 1.2 mmol of the fullerene derivative of the fullerene derivative synthesis step 1.0 mmol of the iotritriamine, and 2.0 mmol of 2-phenylphenol was reacted in an organic solvent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80 ° C. for 18 hours.
  • the adduct was produced through the above reaction. Since the generated adduct does not actively move electrons by light, the adduct should be doped by preparing the adduct as a solution and then performing a doping reaction.
  • the adduct is prepared as an adduct solution by dissolving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xylene, chlorobenzene, and dichlorobenzene.
  • the doping reaction proceeds by slowly dropwise adding a solution containing alkylbenzenesulfonic acid to the adduct solution.
  • the additive product solution subjected to the doping reaction is free to move the charge, so the energy is generated when the light is shot.
  • the doping reaction time is 1 hour or more, and the length of the reaction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adduct solution. Therefore, when the additive product solution is high concentration, the reaction time is lengthened.
  •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by the preparation method is doped by the reaction of alkylbenzenesulfonic acid to fullerene-triarylamine.
  • FIG. 4 it is a preferred embodiment that can be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triarylamine is bonded to fullerene to which a hydrocarbon chain including a benzene group is bonded, and benzenesulfonic acid is used as a dopant.
  • benzenesulfonic acid is used as a dopant.
  • compounds absorbing sunlight can be prepared.
  • 5 is a compound that combines two triarylamines to a fullerene derivative combined with two aliphatic hydrocarbon derivatives and absorbs the sunlight using benzenesulfonic acid as a dopant. Illustrates that it can be prepared.
  • FIG. 6 shows a compound in which triarylamine is bonded to two fullerene derivatives bonded to aliphatic hydrocarbon derivatives and absorbs the sunlight using benzenesulfonic acid as a dopant. Illustrate that it can be.
  • FIG. 7 binds triarylamine to fullerene to which an aliphatic hydrocarbon derivative is bound.
  • the triarylamine is combined with another triarylamine.
  • the compound that combines the triarylamine and absorbs the sunlight using benzenesulfonic acid as a dopant (dopant) can be prepared.
  • FIG. 8 illustrates triarylamine to be bonded to fullerene to which aliphatic hydrocarbon derivatives are bound, and to which triarylamine is bound to each of the benzene groups of the triarylamine. Shows that it can.
  • each of the triarylamine (triarylamine) by using a benze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as a dopant (dopant) illustrates that the compound can be prepared.
  • a compound that absorbs sun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uses organic materials.
  • the material is a plastic.
  • the solar cell may be bent or folded, unlike silicon, and thus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 the solar cell can be made of a thin film within a few hundred nanometers with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rganic solar cell of the present compound it is easy to large area on the advantage.
  • the feature of the polymer solar cell suitable for the flexible type of solar cell will enable the polymer solar cell to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power source of a mobile flexible information system in the future.
  • the solar cell is attached to the fabric, it is possible to develop a new concept of clothing that absorbs sunlight in winter and keeps warm.
  • plastic solar cells may be used to make the surface of the building curv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 portable electronic newspaper, and because it is used in disposable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used and discarded once because of low manufacturing cos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very useful and future-oriented.
  •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ss production of solar cells is possible,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in the industrial field related to solar cells, and thus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is lar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fullerene)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상기 풀러렌(fullerene)은 탄소수가 C60, C70, C78, C82 및 C84인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고,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결합하며, 도펀트(dopant)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풀러렌(fullerene)유도체합성단계,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를 결합시켜서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부가생성물(adduct)을 제조하는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합성단계, 상기 부가생성물(adduct)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부가생성물용액을 제조하는 부가생성물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에 산을 천천히 적가하여 도핑(doping)반응을 시키는 도핑반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fullerene)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상기 풀러렌(fullerene)은 탄소수가 C60, C70, C78, C82 및 C84인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고,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결합하며, 도펀트(dopant)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에너지는 양이 막대하여 고갈될 염려가 없으며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이 없다. 상기 태양에너지의 특성 때문에 상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에너지 전환을 하여 사용하고자 태양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상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태양전지를 사용하였다. 태양전지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光)전지를 말한다. 태양전지는 크게 '태양열 전지'와 '태양광 전지'로 나뉜다. 태양열 전지가 태양열을 이용해 터빈을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라면, 태양광 전지는 태양빛을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다. 이 가운데 활발한 연구개발이 이뤄지는 것은 태양광 전지이다.
상기 태양전지의 제조에 가장 먼저 사용된 반도체 재료가 단결정실리콘이다. 현재 태양전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이후 많이 떨어지긴 하였지만 현재로서도 시장, 특히 대규모 발전시스템 분야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단결정실리콘으로 만든 태양전지의 효율이 기타 재료로 만든 태양전지에 비해 변환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단결정실리콘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생산단가가 증가한다는 것과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 대한 문제점으로 유기물질을 재료로 하여 상기 태양전지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상기 유기물질로 태양전지를 제조할 경우 가격 면에서 생산단가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산업적 규모의 대량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유기물질을 재료로 하여 제조하는 경우 그 무게가 가벼워지므로 간편하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유기물질은 무기물질과 달리 유연성이 있으므로 형상에 구속을 받지 않으므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
하지만, 상기 유기물질로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실리콘으로 제조하는 경우보다 에너지 전환효율인 광전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기물질로 제조하는 경우 목표물질의 수득율을 높여서 생산성을 증가시켜 보다 낮은 생산단가를 위한 보다 용이한 유기물질의 대량합성공정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풀러렌(fullerene)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결합하고, 도펀트(dopant)가 결합되어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부분의 길이 및 도핑비를 조절함으로써 태양광 영역의 다양한 파장을 흡수하여 광전환 효율이 증가하였으며, 대량합성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과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응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는 풀러렌(fullerene)의 탄소수가 C60, C70, C78, C82 및 C84인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결합하고, 도펀트(dopant)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펀트(dopant)는 산(acid)이고, 상기 산(acid)은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 황산(H2SO4), 플루오르화안티모니(SbF6)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를 결합시켜서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부가생성물(adduct)을 제조하는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합성단계; 상기 부가생성물(adduct)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부가생성물용액을 제조하는 부가생성물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에 산(acid)을 천천히 적가하여 도핑반응을 시키는 도핑반응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는 풀러렌(fullerene)의 탄소수가 C60, C70, C78, C82 및 C84인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는 풀러렌(fullerene)과 N-치환된 글리신(N-substituted glycine)을 톨루엔(toluene)에서 가열 반응시켜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합성단계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는 브롬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요오드트리아릴아민(iodotriarylamine) 및 클로로트리아릴아민(chlorotriarylamine)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의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와 상기 선택된 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및 2-페닐페놀(2-phenylphenol)을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풀러렌(fullerene)과 N-치환된 글리신(N-substituted glycine)의 몰비가 0.1 내지 10 : 1 이고, 톨루엔(toluene)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상온 내지 300 ℃로 가열 반응시켜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의 몰비가 0.1 내지 10 : 1 이고, 상기 반응은 상온 내지 300℃하에서 8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제조단계의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디클로로벤젠(dicliribenzene)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핑반응단계의 도펀트(dopant)는 산(acid)이고, 상기 산(acid)은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 황산(H2SO4), 플루오르화안티모니(SbF6) 군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는 상기에 기재된 화합물 중에서 어느 한 가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transistor)는 상기에 기재된 화합물 중에서 어느 한 가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에 따르면, 상기 태양전지를 유기물질로 제조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감소시키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무궁무진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켜 에너지부족에 대비한 대체에너지로서 개발을 가속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는 무기물질을 재료로 하는 경우보다 가공이 쉽고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부가생성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벤젠고리와 결합한 탄화수소 유도체를 포함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두 개의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두 개의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과 결합하고 있는 트리아릴아민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유도체의 벤젠 각각에 트리아릴아민이 결합하고 있는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dopant)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부가생성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벤젠고리와 결합한 탄화수소 유도체를 포함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두 개의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두 개의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더불어, 도 7은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과 결합하고 있는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의 벤젠기(benzene group) 각각에 트리아릴아민이 결합하고 있는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한 풀러렌-트리아릴아민에 도펀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하여 흡수되는 태양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은 UVA 장파장, UVB 중파장, UVC 단파장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에 따라 넓은 범위의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 유도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결합시켜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육각형의 탄소공처럼 생긴 것이 풀러렌이고, 대문자와 소문자로 표시되어 A 내지 G 로 나타낸 것은 상기 질소원자(N)와 결합한 탄화수소 화합물이다. 그리고, d로 나타낸 것은 도펀트이다. 상기 도면에서 n과 o는 자연수로서 1보다 크고, l, m 은 음이 아닌 정수이다.
상기 풀러렌은 흑연조각에 레이져를 쏘았을 때 남아있는 그을음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물질이다. 상기 풀러렌은 축구공 같은 구조로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풀러렌의 탄소원자는 sp2 혼성궤도를 형성하고 각 탄소원자의 4번째 원자가전자는 구의 표면에서 직각으로 뻗어 있는 p궤도함수에 들어있다. 상기 궤도는 서로 겹쳐져서 구의 안쪽과 바깥쪽에 π(파이)결합의 전자구름을 형성한다. 상기 전자구름은 벤젠의 π(파이)결합의 전자구름과 같은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풀러렌은 안정한 성질을 가진다. 상기 풀러렌은 안정한 성질 때문에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으며 용매에 쉽게 녹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만들려면 풀러렌 유도체가 필요하다. 상기 풀러렌 유도체는 풀러렌의 탄소수가 60개, 70개, 78개, 82개 및 84개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정한 풀러렌에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결합시킨다. 상기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는 관능기의 길이와 극성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며, 상기 구조에 따라 정공 수송체 특성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하고 있는 관능기의 구조에 따라 태양전지의 성능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결합하고, 도펀트가 결합된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에는 불포화 탄화수소와 포화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상기 포화 탄화수소에는 알칸족(CnH2n+2)이 포함되며,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에는 알켄족(CnH2n)과 알킨족(CnH2n-2)이 있다. 또한, 상기 포화 탄화수소이지만 탄소골격이 고리모양을 이루고 있는 시클로알칸(CnH2n)이 이에 포함된다. 상기 탄화 수소 외에도 지방족 탄화수소 분자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소 원자가 다른 원자나 라디칼(radical)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이외에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의 이성질체도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에는 벤젠기(benzene group)을 포함한 탄화수소와 벤젠(benzene) 이외의 탄화수소인 나프탈렌(naphthalene), 안트라센(anthrac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스티렌(stylene)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에는 방향족 탄화수소 유도체인 페놀류(phenoles), 방향족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nitro compound), 방향족 아민(amines) 계열의 화합물도 포함된다.
상기 트리아릴아민 유도체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다시 결합하여 트리아릴아민 유도체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며, 가교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트리아릴아민이 결합하는 관능기의 구조, 극성, 길이 등의 변형에 따라 전체 화합물의 구조와 극성 길이 등을 변형할 수 있다. 상기 풀러렌은 안정한 물질이므로, 상기 트리아릴아민 유도체가 결합하는 관능기의 구조와 종류에 따라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상기 도펀트는 산이고, 상기 산은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 황산(H2SO4), 플루오르화안티모니(SbF6)에서 선택된다. 상기 도펀트(dopant)는 반도체의 전기전도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넣어주는 불순물이다. 상기 도펀트(dopant)는 질소원자의 비공유전자쌍과 반응하여 도핑(doping)이 되게 한다.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 유도체를 합성하는 풀러렌 유도체합성단계, 상기 풀러렌 유도체에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결합시켜서 풀러렌-트리아릴아민 부가생성물(adduct)을 제조하는 풀러렌-트리아릴아민합성단계, 상기 부가생성물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부가생성물용액을 제조하는 부가생성물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에 산(acid)을 천천히 적가하여 도핑반응을 시키는 도핑반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풀러렌은 안정한 물질이므로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반도체 고분자와 섞은 용액을 만들때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므로 풀러렌 유도체를 제조하여야 한다. 상기 풀러렌 유도체는 대부분 풀러렌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기치환기를 붙여 놓은 것이다. 상기 풀러렌 유도체 합성단계에서 상기 풀러렌 유도체는 풀러렌의 탄소수가 C60, C70, C78, C82 및 C84인 것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조한다.
상기 풀러렌 유도체합성단계는 풀러렌과 N-치환된 글리신(N-substituted glycine)을 톨루엔(toluene)에서 가열 반응시켜 풀러렌 유도체를 합성한다. 상기 풀러렌과 N-치환된 글리신의 몰비가 0.1 내지 10 : 1 이고, 톨루엔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상온 내지 300 ℃로 가열 반응시킨다. 상기 온도범위는 상온 이하가 되는 경우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300 ℃으로 되는 경우 과잉반응이 일어나 반응 산물이 분해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시간은 1시간 이하가 되는 경우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며, 24시간 이상으로 반응시키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반응시간 범위에서 반응이 일어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풀러렌의 몰비가 0.1이하로 하는 경우 풀러렌 유도체의 합성 산물이 너무 소량이고 10 이상으로 되는 경우 미반응 풀러렌이 남게되므로, 상기 몰비 내에서 반응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된 풀러렌에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풀러렌-트리아릴아민합성단계를 거쳐야 한다. 상기 풀러렌-트리아릴아민 합성단계의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는 브롬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이고, 상기 풀러렌 유도체합성단계의 풀러렌 유도체와 상기 브롬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및 2-페닐페놀(2-phenylphenol)을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킨다. 상기 브롬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대신에 요오드트리아릴아민(iodotriarylamine) 또는 클로로트리아릴아민(chlorotriarylam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풀러렌-트리아릴아민 합성단계는 풀러렌 유도체와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의 몰비가 0.1 내지 10 : 1 이고, 상기 반응은 상온 내지 300℃하에서 8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상기 온도범위는 상온 이하가 되는 경우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300 ℃으로 되는 경우 과잉반응이 일어나 반응 산물이 분해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시간은 8시간 이하가 되는 경우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며, 72시간 이상으로 반응시키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반응시간 범위에서 반응이 일어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의 몰비가 0.1이하로 하는 경우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의 합성 산물이 너무 소량이고 10 이상으로 되는 경우 미반응 풀러렌(fullerene) 유도체가 남게 되므로, 상기 몰비 내에서 반응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롬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요오드트리아릴아민(iodotriarylamine) 및 클로로트리아릴아민(chlorotriarylamine)의 브롬(Brom; Br), 요오드(Iodine; I), 염소(chlorine; Cl)는 전기음성도가 강하여 전하를 끌어들이는 성질이 강하므로 δ-가 되고, 아민의 질소원소는δ+가 되어 반응이 일어나게 한다. 상기 반응을 도와주기 위한 촉매로서 요오드화구리(CuI)와 인산화칼륨(K3PO4)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알릴화반응(arylation)에는 팔라듐(Pd) 촉매를 많이 사용하는데 상기 팔라듐(Pd) 촉매보다 요오드(I)와 결합되어 있는 구리(Cu)를 촉매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이 더 수월하고 빠르게 일어나게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풀러렌-트리페닐아민(fullerene-triphenylamine) 부가생성물(adduct)의 분자구조를 알 수 있다. 상기 부가생성물(adduct)은 분자 내의 전하가 용이하게 움직이여서 태양전지의 효과가 나지 않으므로, 부가생성물을 용액으로 제조한 다음 도펀트로 도핑반응을 실행하여야 한다.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제조단계의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디클로로벤젠(dicliribenzene)에서 선택한다. 상기 물질들은 벤젠기(benzene group)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써 벤젠(benzene)은 이중결합이 공명구조로 되어 있어 용이하게 분자들의 전하들이 움직이게 하여 도핑반응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화합물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을 제조하고 도핑반응단계를 거친다.
상기 도핑반응단계의 도펀트(dopant)로서 산(acid)를 사용하고 상기 산은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 황산(H2SO4), 플루오르화안티모니(SbF6)에서 선택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상기 화합물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므로 태양전지, 트랜지스터, 바리스터, 반도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로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 1 실시예로 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의 예시를 제 2 실시예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 것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제 1 실시예-
상기 풀러렌(fullerene)의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C60의 풀러렌 100㎎(0.14mmol), 알데히드(aldehyde) 0.70mmol, N-치환된 글리신(N-substituted glycine) 0.14mmol을 톨루엔(toluene) 50㎖에서 두 시간 동안 가열 반응시킨다. 상기 풀러렌(fullerene)과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과 결합시키기 위하여 요오드화구리(CuI)와 인산화칼륨(K3PO4)을 스쿠류 캡이 씌어진 시험관(screw-capped test tube)에 넣은 다음 시험관(test tube)을 비우고 아르곤(argon)으로 채운다. 상기 요오드화구리(CuI)와 인산화칼륨(K3PO4)은 금속촉매로서 사용되었다.
상기 시험관에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의 풀러렌 유도체 1.2m㏖과 상기 브롬트리아릴아민 1.0m㏖ 및 2-페닐페놀 2.0m㏖을 유기용매에서 18 내지 22 시간 동안 100℃의 반응온도에서 반응시킨다.
상기 브롬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대신에 요오드트리아릴아민(iodotriarylamine) 또는 클로로트리아릴아민(chlorotriarylami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트리아릴아민(iodotriarylamin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의 풀러렌(fullerene) 유도체 1.2m㏖과 상기 요오드트리아릴아민(iodotriarylamine) 1.0m㏖ 및 2-페닐페놀 2.0m㏖을 유기용매에서 18시간 동안 80℃의 반응온도에서 반응시킨다. 상기와 같은 반응을 통하여 부가생성물(adduct)이 생성되었다. 상기 생성된 부가생성물(adduct)은 빛에 의하여 전자가 활발히 움직이지 않으므로 상기 부가생성물(adduct)을 용액으로 제조한 다음에 도핑반응을 시켜 도핑(doping)하여야 한다.
상기 부가생성물(adduct)은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디클로로벤젠(dichlorobenzene)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부가생성물용액으로 제조한다.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에 알킬벤젠술폰닉산(alkylbenzenesulfonic acid)이 녹아있는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도핑반응을 진행시킨다. 상기 도핑반응을 거친 부가생성물용액은 전하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빛을 쏘이게 되면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도핑 반응시간은 1시간 이상이며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의 농도에 따라 반응시간의 길이가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이 고농도인 경우에는 반응시간을 길게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풀러렌 -트리아릴아민에 알킬벤젠술폰산이 반응하여 도핑된 것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4의 경우에는 벤젠기(benzene group)를 포함하고 있는 탄화수소 사슬이 결합하고 있는 풀러렌(fullerene)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을 결합시키고 도펀트(dopant)로서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예시하여 준다.
도 5는 두 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가 결합된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에 두 개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을 결합시키고 도펀트(dopant)로서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예시하여 준다.
도 6은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와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을 결합시키고 도펀트(dopant)로서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예시하여 준다.
도 7은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가 결합되어 있는 풀러렌(fullerene)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을 결합시키는데,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은 또 다른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을 결합시키고 도펀트(dopant)로서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예시하여 준다.
도 8은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가 결합되어 있는 풀러렌(fullerene)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을 결합시키는데,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의 벤젠기(benzene group) 각각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을 결합시킬 수 있음으로 보여준다. 또한, 상기 각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에 도펀트(dopant)로서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을 흡수하는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예시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의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은 유기물질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 유기물질을 사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소재가 플라스틱이라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 유기물질을 합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 태양전지는 실리콘과 달리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특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로 수백 나노미터 이내의 두께의 박막으로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 상기 본 화합물의 유기태양전지에서 장점 위에 대면적화가 용이하다. 상기 플렉시블한 형태의 태양전지에 적합한 고분자 태양전지의 특징은 향후 고분자 태양전지가 이동식 플렉시블 인포매이션 시스템의 전원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의 응용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만약에 옷감에 이 태양전지를 부착하면 겨울철에 태양광을 흡수해 보온 기능을 하는 새로운 개념의 옷의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한 빌딩을 설계할 경우 플라스틱 태양전지를 사용하면 빌딩의 겉면을 곡면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밖에 휴대용 전자신문에 부착할 수도 있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한 번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일회용 전자기기에도 쓰일 있으므로, 본 발명은 매우 유용하며 미래지향적인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이용하면 태양전지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태양전지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15)

  1.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는 풀러렌(fullerene)의 탄소수가 C60, C70, C78, C82 및 C84인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결합되고, 도펀트(dopant)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dopant)는 산(acid)이고, 상기 산(acid)은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 황산(H2SO4), 플루오르화안티모니(SbF6) 군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에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를 결합시켜서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부가생성물(adduct)을 제조하는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합성단계;
    상기 부가생성물(adduct)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부가생성물용액을 제조하는 부가생성물용액제조단계; 및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에 산(acid)을 천천히 적가하여 도핑(doping)반응을 시키는 도핑반응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는 풀러렌(fullerene)의 탄소수가 C60, C70, C78, C82 및 C84인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는 풀러렌(fullerene)과 N-치환된 글리신(N-substituted glycine)을 톨루엔(toluene)에서 가열 반응시켜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합성단계의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는 브롬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요오드트리아릴아민(iodotriarylamine) 및 클로로트리아릴아민(chlorotriarylamine)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의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와 상기 선택된 트리아릴아민(bromotriarylamine) 및 2-페닐페놀(2-phenylphenol)을 유기용매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합성단계는 풀러렌(fullerene)과 N-치환된 글리신(N-substituted glycine)의 몰비가 0.1 내지 10 : 1 이고, 톨루엔(toluene)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상온 내지 300 ℃로 가열 반응시켜 풀러렌(fullerene) 유도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fullerene) 유도체와 상기 트리아릴아민(triarylamine) 유도체의 몰비가 0.1 내지 10 : 1 이고, 상기 반응은 상온 내지 300℃하에서 8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생성물용액제조단계의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디클로로벤젠(dicliribenzene)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13. 제 6 항에 있어서 ,
    상기 도핑반응단계의 도펀트(dopant)는 산(acid)이고, 상기 산(acid)은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 황산(H2SO4), 플루오르화안티모니(SbF6)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 방법.
  14.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15.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transistor)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PCT/KR2009/000122 2008-01-09 2009-01-09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9088249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71,428 US8501958B2 (en) 2008-01-09 2009-01-09 Compound absorbing sunlight and converting the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766A KR101045130B1 (ko) 2008-01-09 2008-01-09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 및 이의제조 방법
KR10-2008-0002766 2008-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8249A2 true WO2009088249A2 (ko) 2009-07-16
WO2009088249A3 WO2009088249A3 (ko) 2009-10-15

Family

ID=4085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0122 WO2009088249A2 (ko) 2008-01-09 2009-01-09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01958B2 (ko)
KR (1) KR101045130B1 (ko)
WO (1) WO20090882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338410B2 (en) 2015-10-14 2021-07-15 X-Therm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ice crystal for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202A (ja) * 1996-05-28 1997-12-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イ素系高分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62697A (ko) * 1997-12-01 1999-07-26 고또오 슈운기찌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JP2005263692A (ja) * 2004-03-18 2005-09-29 Mitsubishi Chemicals Corp フラーレン誘導体及び光電変換材料
JP2007063364A (ja) * 2005-08-30 2007-03-15 Osaka Prefecture Univ 新規ドナーアクセプター連結系誘導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9294A1 (en) * 2002-07-17 2004-02-02 Long Y. Chiang Fullerene compounds
US20070096066A1 (en) * 2003-06-18 2007-05-03 Kazuyoshi Yoshida Conductive composition, conductive coating material, conductive resin, capacitor, photoelectric transducer, and their production method
US8026510B2 (en) * 2004-10-20 2011-09-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887741B2 (ja) * 2005-11-07 2012-02-29 三菱化学株式会社 アルカリ金属原子及びフラーレン類を含有する層を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9293720B2 (en) * 2008-02-19 2016-03-22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Carbon nanotubes as charge carriers in organic and hybrid solar cel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202A (ja) * 1996-05-28 1997-12-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イ素系高分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62697A (ko) * 1997-12-01 1999-07-26 고또오 슈운기찌 트리아릴아민 유도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JP2005263692A (ja) * 2004-03-18 2005-09-29 Mitsubishi Chemicals Corp フラーレン誘導体及び光電変換材料
JP2007063364A (ja) * 2005-08-30 2007-03-15 Osaka Prefecture Univ 新規ドナーアクセプター連結系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4024A1 (en) 2010-10-28
KR101045130B1 (ko) 2011-06-30
KR20090076681A (ko) 2009-07-13
US8501958B2 (en) 2013-08-06
WO2009088249A3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973B2 (ja) 光電変換材料および光電池
CN103360604B (zh) 含功能化极性侧链基团的共轭金属聚合物光电材料及其应用
CN107141243B (zh) 一类五元含氮环取代的碗烯分子和衍生物及其制备与应用
CN101787020A (zh) 一种可溶液加工的有机共轭分子及在太阳能电池中的应用
CN102753598A (zh) 含蒽和苯并硒二唑类共聚物、其制造方法和应用
CN109880067A (zh) 一种含苯并二噻吩-噻吩并吡咯二酮型双缆共轭聚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686592A (zh) 含芴卟啉-蒽共聚物、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349252A (zh) 基于并引达省并二噻吩的化合物及其应用
JP2007063364A (ja) 新規ドナーアクセプター連結系誘導体
CN109516997B (zh) 类芴基风车状纳米格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686636A (zh) 含芴共轭聚合物、其制备方法和太阳能电池器件
CN112961169B (zh) 一种酰亚胺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钙钛矿太阳能电池应用
WO2009088249A2 (ko)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997116A (zh) 一种富勒烯丙烯酸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409755A (zh) 一种有机光电转换材料,其制备方法及应用
CN109134515B (zh) 苝二酰亚胺六聚体化合物及制备方法、组合物和有机太阳能电池
CN114621276B (zh) 一种苯并噻二唑硼氮衍生物及其应用
CN107759622B (zh) 一类三苯二噁嗪酰亚胺二倍体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292583B (zh) 一类二苯胺基-三聚茚-bodipy衍生物三元体系有机染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349771B (zh) 一种六苯并蔻基非富勒烯受体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12552318B (zh) 苝二酰亚胺衍生物的制备方法
CN110964041B (zh) 一种基于苯并酰亚胺的受体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786542B (zh) 一种卟啉/碳纳米管复合热电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534813A (zh) 多面体低聚倍半硅氧烷-有机/聚合二元体和其在有机光伏打电池中的应用
CN114249746A (zh) 一种螺芴氧杂蒽三芳胺类空穴传输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00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671428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00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