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084A -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084A
KR980010084A KR1019960028930A KR19960028930A KR980010084A KR 980010084 A KR980010084 A KR 980010084A KR 1019960028930 A KR1019960028930 A KR 1019960028930A KR 19960028930 A KR19960028930 A KR 19960028930A KR 980010084 A KR980010084 A KR 980010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eel plate
metal pipe
metal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혁
Original Assignee
권태혁
세일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혁, 세일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태혁
Priority to KR101996002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0084A/ko
Publication of KR98001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084A/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이나 배수관에 사용하기 위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 강판에 다수개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보강함으로써, 직경의 대, 소에 관계없이 파이프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갖는 금속제 강판을 압연롤러에 통과시켜 강판의 내, 외측에 소정의 크기 및 형성된 강판의 양측 끝단부가 맞대어지도록 강판을 만곡시키는 제2공정과; 만곡된 원통 직경의 대, 소에 관계없이 파이프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얇은 금속판으로 제조되더라도 엠보싱의 강도를 보강해줌으로써 제조원가를 경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수관이나 배수관에 사용하기 위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강판에 다수개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보강함으로써, 직경의 대, 소에 관계없이 파이프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이나 배수관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피브이씨(PVC)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PVC관은 그의 직경이 상이할 경우 두께 역시 상이하다. 이렇게 직경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이유는 쉽게 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이럴 경우 재료가 많이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를 제조하는 상태를 개력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압연기나 프레스 금형을 통과하여 보강용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소형의 다각형 파이프용 강판의 평면도.
제5도는 제도4에 도시된 강판을 절곡시킨 뒤 용접한 다각형 금속파이프의 단면도.
제6도는 사각형상의 덕트로 된 금속파이프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 : 강판 1a : 엠보싱
2, 3 : 압연롤러 4 : 용접기
10 : 원통형 파이프 30 : 다각형 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가 갖는 금속제 강판을 압연롤러에 통과시키거나, 프레스흐작업을 하여 강판의 내, 외측에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엠보싱들을 형성시키고, 다수의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끝단부가 맞대어지도록 강판을 만곡시키며, 만곡된 원통형 강판의 맞대음면을 용접하여 금속파이프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은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을 원통형으로 만곡하여 원통형 파이프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을 강판의 양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만곡하여 다각형 파이프를 제조할 수도 있고 단면이 사각형상인 덕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갖는 금속제 강판(1)을 마련한 뒤 이 강판(1)을 다수개의 돌출편(2a),(3a)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압연롤러(2),(3)에 통과시킨다. 이렇게 압연롤러(2),(3)를 통과할 경우 강판(1)의 내, 외측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다수의 엠보싱들(1a)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요철면을 형성시켜 프레스로 작업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엠보싱(1a)을 지그재그 방향(인접하는 것에 대해 90°방향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만곡시 파이프의 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도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엠보싱(1a)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엠보싱(1a)의 형상 및 크기는 다른 것으로 대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엠보싱(1a)이 형성된 강판(1)은 도시하지 않은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양측 끝단부(1b),(1c)(도2 참2조)가 맞대어지도록 한 뒤, 막곡된 원통형 강판(1)의 맞대음면 즉, 양측 끝단부(1b),(1c)를 용접기(4)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용접하고 용접된 부위(5)를 핑요시에는 그라인딩 함으로써 완제품의 금속 파이프(10)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라인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강판(1)의 양측 끝단부(1b),(1c)를 용접하게됨으로써 금속파이프(10)는 다수의 엠보싱(1a)에 의해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얇은 강판으로써 직경이 큰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엠보싱(1a)이 형성된 강판(1)을 구부려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제조할 경우에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엠보싱(1a)이 있음으로써 강판(1)이 용이하게 구부려지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2도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엠보싱(1a)이 형성되어 있지만 강판(1)의 전체길이(즉, 끝단부(1b)로부터 끝단부(1c)까지의 거리)가 짧은 경우 이를 만곡시키려면 다수의 엠보싱들(1a) 때문에 강판(1)은 용이하게 구부려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엠보싱(1a)의 크기를 적게하면 가능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다각형의 금속파이프를 제조할 수도 있는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엠보싱들은 제2도에 도시한 엠보싱들(1a)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왜냐하면 엠보싱의 크기를 적게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4도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한 만곡선(그러나 이 만곡선은 명세서의 설명을 위한 가상의 선일 뿐 강판(20)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을 따라 강판(20)을 만곡시킴으로써 제5도와 같은 다각형 파이프(30)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덕트(40)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 덕트(40)는 제6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4도에서와 같은 만곡선을 따라 적곡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강판에 다수개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보강함으로써, 파이프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얇은 금속판으로 제조되더라도 엠보싱이 강도를 보강해줌으로써 제조원가를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많은 변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엠보싱의 형상과 크기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대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갖는 금속제 강판을 압연롤러에 통과시키거나 금형에 의한 프레스에 통과시켜 상기 강판의 내, 외측에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엠소싱들을 지그재그로 형성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다수의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끝단부가 맞대어지도록 상기 강판을 만곡시키는 제2공정과; 상기 만곡된 원통형 강판의 맞대음면을 용접하여 강도를 보강토록 한 금속파이프를 얻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의 제조방법.
  2.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갖는 금속제 강판을 압연롤러에 통과시켜 상기 강판의 내, 외측에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엠보싱들을 지그재그로 형성시키고; 상기 다수의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끝단부가 맞대어지도록 상기 강판을 만곡시키며; 상기 만곡된 원통형 강판의 맞대음면을 용접시켜 강도를 보강토록 한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속파이프는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을 원통형으로 만곡하여서된 원통형 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속파이프는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을 강판의 양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만곡하여서된 다각형 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속파이프는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을 강판의 양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만곡하여서 단면이 사각형인 덕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930A 1996-07-18 1996-07-18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980010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930A KR980010084A (ko) 1996-07-18 1996-07-18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930A KR980010084A (ko) 1996-07-18 1996-07-18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084A true KR980010084A (ko) 1998-04-30

Family

ID=6624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930A KR980010084A (ko) 1996-07-18 1996-07-18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00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20A1 (ko) * 2012-05-19 2013-11-28 Chung In-Sun 내압용 호스
KR101579426B1 (ko) * 2014-07-17 2015-12-22 정우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파이프 제조용 플레이트 및 소음기용 파이프 제조방법
KR20230088111A (ko) * 2021-12-10 2023-06-19 김홍범 소형 원자로용 단열조립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20A1 (ko) * 2012-05-19 2013-11-28 Chung In-Sun 내압용 호스
KR101579426B1 (ko) * 2014-07-17 2015-12-22 정우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파이프 제조용 플레이트 및 소음기용 파이프 제조방법
KR20230088111A (ko) * 2021-12-10 2023-06-19 김홍범 소형 원자로용 단열조립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8467A1 (en) Multi-layer pip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07010719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ry drum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pressing device therefor
CA2046317A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welded steel pipes and method for handling the same machine
RU9910652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листа с гофрировкой и проходящей поперечно ей микроструктурой
US6769597B1 (en) Bent work and bending method and bending device used therefor
US3921883A (en) Apparatus for making welded corrugated tube
KR980010084A (ko) 엠보싱이 형성된 금속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CA2880661C (en) Method of producing steel pipe
JPS6240088B2 (ko)
US795876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ducing profile variations in sheet metal stock
KR101578500B1 (ko) 강판의 롤 굽힘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강판의 롤 굽힘 성형 방법
KR860000101A (ko) 주름 튜브를 성형하는 압연기
EP0074944A1 (en) Producing formations in continuously processed material
WO2021254884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forming a metal strip for the manufacture of roll formed and welded tubes
KR20000043158A (ko) 드럼통 밴드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S5865521A (ja) カ−リング成形方法
KR100514723B1 (ko) 철재 파렛트용 채널형 다리부와 그 제작 방법.
KR960028997A (ko) 각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환형강관의 제조방법
JPH05333A (ja) 短手および長手方向へ湾曲した金属板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3220419A (ja) 成形ロール及び成形方法
JP3929182B2 (ja) ロール成形装置
JPS58168455A (ja) 角形鋼管の製造方法
JPS61150722A (ja) 円筒複層軸受の整形方法
JPH08197285A (ja) リング状ろう材の成形方法
JPH054729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