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062A - 유압식 4륜구동 차량 - Google Patents

유압식 4륜구동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062A
KR980010062A KR1019970026371A KR19970026371A KR980010062A KR 980010062 A KR980010062 A KR 980010062A KR 1019970026371 A KR1019970026371 A KR 1019970026371A KR 19970026371 A KR19970026371 A KR 19970026371A KR 980010062 A KR980010062 A KR 98001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wheel side
vehicle speed
hydraulic moto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058B1 (ko
Inventor
노보루 카나야마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카부시키가이샤 고마쓰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카부시키가이샤 고마쓰세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98001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5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fluid or electric motor, for driving one or mor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43Control of a bypass valve
    • F16H61/4052Control of a bypass valve by using a variable restriction, e.g. an orific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48Open loo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4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with more than one pump or motor in operation
    • F16H61/456Control of the balance of torque or speed between pumps or motors

Abstract

안정한 견인력과 주행속도가 얻어지고 유기를 장수화 할 수 있고 또한, 경제적인 유압식4륜구동차량을 제공한다.
가변용적식유압펌프(1)와, 이 가변용적식유압펌프(1)로부터의 압유을 받아서 회전하는 전륜측 양유압모터(2F) 및 후륜측 유압모터(2R)를 가지고 4륜구동주행하는 유압식4륜구동차량에 있어서, 전륜측유압모터(2F)에 대하여 설치된 크로즈드센터식 전륜측방향변환밸브(3F)와 후륜측유압모터(2R)에 대하여 설치한 크로즈드센터식 후륜측방향변환밸브(3R)와, 각각의 방향변환밸브(3F)(3R)의 전후차압(ΔP)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량으로 되도록, 펌프토출용량(Q)을 제어하는 펌프유량제어수단과, 전륜측방향변환밸브(3F)로부터 전륜측유압모터(2F)까지의 전륜측유로와, 후륜측방향변환밸브(3R)로부터 후륜측유압모터(2R)까지의 후륜측유로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이들 유로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연통밸브(5)를 가진다.

Description

유압식 4륜구동 차량
본 발명은 유압식4륜구동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4륜구동차량은,"유압펌프와, 이 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받아서 회전하는 전륜측유압모터와 후륜측유압모터를 가지고 4륜구동하는 것"이며, 다음의 기술이 알려지고 있다.
(1) 특개평3-103670호에는, 가변용적식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직접받는 후륜측유압모터와, 연통밸브를 개재하여 받는 전륜측유압모터를 구비하고, 연통밸브를 차단위치로하여 2륜구동주행으로하고, 한편,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하여 4륜구동주행으로하고, 또한 2륜구동주행시에 전륜측유압모터를 무부하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기재되고 있다. 즉, 연통밸브는 2륜4륜구동변환수단이다. 또, 상세한 설명에 의하면 유압모터는 전후륜측이 공히 고정용정식 유압모터이다.
(2) 실개소62-137129호에는, 가변용적식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직접받는 후륜측유압모터와, 연통밸브를 개재하여 받는 전륜측유압모터를 구비하고, 변속에의 속도단이 저속도단일때는 연통밸브를 연통시켜서(즉, 4륜구동주행으로하고), 고토오크를 얻고, 한편 고속단일때는 연통밸브를 차단시켜서(즉, 2륜구동주행으로하고), 고속주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즉, 연통밸브는 변속기의 속도단에 대하여 작동하는 2륜4륜구동변환수단이다. 또 상세한 설명에 의하면, 유압모터는 전후륜측이 공히 고정용적식유압모터이다.
(3) 실개평5-37542호 및 실개평5-44661호에는, 후륜측에 유압모터 및 가변용적식유압펌프와, 전륜측에 유압모터 및 가변용적식유압펌프를 설치하고, 또한 전륜측의 유압모터와 가변용적식유압펌프간에 후륜구동유압과 전륜구동유압을 일정비율로 하는 압력보상밸브를 구비하고, 이에 의하여 전후륜의 타이어지름이나 축하중이 달라도 안정한 주행을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륜이 서로 독립한 펌프·모터계로 되어 있고, 연통밸브를 갖지 않고 있다. 또, 상세한 설명에 의하면, 독립모터는, 전후륜측이 공히 고정용적식유압모터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특개평3-103670호는, 전륜측유압모터를 무부하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하여, 후륜구동에 의한 2륜구동주행시, 전륜으로부터 돌려지는 전륜측유압모터의 로스마력을 해소하고 있으나, 연통밸브는 단순한 이륜사륜구동변환수단이다. 한편, 4륜구동주행시에 대하여는 하등특별한 구성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
(2) 실개소62-137129호에 있어서의 연통밸브도 단순한 이륜사륜구동변환수단이다. 그리고, 연통밸브는, 변속기의 속도단이 저속도단일 때는 연통밸브를 연통시켜서 4륜구동주행으로하고, 고토오크가 얻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 4륜구동주행시에 대하여는 하등특별한 구성을 실시하고 있지 않다.
즉, 상기 2사례에 의하면 어느 것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4륜구동주행시는, 예컨데 평탄노면에서도 전후륜에서의 토질의 차이(즉, 점착계수의 차이) 커브의 유무나 정도, 또 전후륜의 타이어지름이나 마모상태의 상위 등에 의하여 전후륜에 대한 부하가 다르다. 특히 요철노면을 주행하는 건설기기에서는, 4륜구동주행시에, 전후륜의 부하상태가 변동한다(예컨데, 어느 것인가 한쪽이 공중에 떠서 무부하로 되는 경우가 빈발한다). 이와 같은 경우, 유압은 경부하측의 유압모터에 흘러들어가고, 이것을 고속회전시킨다. 이 때문에 유압이 저하한다. 또 예컨데 일단공중에 떠서 무부하로 된 차륜이 접지하면, 돌연고부하로 되어 고속회전중의 유압모터를 급감속 또는 급정지시킨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안정한 견인력과 주행속도가 얻어지지 않을 뿐아니라 유기가 단명화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3) 실개평5-37542호 및 실개평5-44661호는, 먼저 서로 독립한 전륜측의 펌프·모터계와, 후륜측의 펌프·모터를 가지는 것을 기초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기초구성만이라면 전후륜측에 가변용적식유압펌프를 각각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극히 불경제적이나, 전후륜이 서로 독립해서 구동되기 때문에, 전후륜에 서로 독립한 강력한 견인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그런데, 본 2사례에서는, 상기기초구성에 대하여, 후륜구동유압과 전륜구동유압의 비율을 일정비율로 하고 있다. 이것은 후륜구동유압과 전륜구동유압의 비율이 "1대1(즉 동압)"인 상기 2사례와 완전히 같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2사례에서도, 상기 2사례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안정한 견인력과 주행속도가 얻어지고, 유기를 장수화 할 수 있고, 또한 경제적인 유압식4륜구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유압식 4륜구동차량은, 제1로, 가변용적식유압펌프와, 이 가변용적식유압펌프로부터 압유를 받아서 회전하는 전륜측유압모터 및 후륜측유압모터를 가진 4륜구동주행하는 유압식 4륜구동차량에 있어서 (1) 전륜측유압모터에 대하여 설치한 크로즈드센터식 전륜측방향변환밸브와, (2) 후륜측유압모터에 대하여 설치한 크로즈드센터식 후륜측방향변환밸브와, (3) 각각의 방향변환밸브의 전후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량이 되도록, 펌프토출유량을 제어하는 펌프유량제어수단과, (4) 전륜측방향변환밸브로부터 전륜측유압모터까지의 전륜측유로와, 후륜측방향변환밸브로부터 후륜측유압모터까지의 후륜측유로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이들 유로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연통밸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구성에 의하면, 방향변환밸브와, 가변용적식유압펌프에 의하여"방향변환밸브의 통과유량(즉, 주행속도)이 방향변환밸브의 개구면적만에 비례한다"는 "유량특성"이 각각 방향변환밸브에 있어서 얻어진다. 다만, 양방향변환밸브의 하류측유압이 상위할 때는, 작은 측의 방향변환밸브에 있어서 압력손실이 생긴다. 그래서, 상기 제1구성에서는, 연통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연통밸브를 차단위치로 하면, 상기한 압력손실이 생기는 기회가 늘어나나, 각각의 유압모터에 대하여, 독립하는 유량과 견인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한편,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하면, 상기한 압력손실을 해소하면서, 상기한 유량특성도 얻을 수가 있다.
또 제2에, 상기 제1구성의 유압식4륜구동차량에 있어서, (1)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2) 차속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차속을 받아서 검출차속이 기준차속이상일 때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구성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에,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어수단은 "검출차속≥기준차속"일때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한다. 즉, 제2구성은 제1구성을 보다 구체화한 것이며, "검출차속<기준차속"은 저속주행시로 치환된다.
한편, "검출차속≥기준차속"은 고속주행시로 치환된다. 즉, 저속주행시는 큰 견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 유량특성(Q∝A)을 채용함으로서 큰 견인력이 얻어진다. 한편 고속 주행시는 견인력보다는 양유압모터의 고속회전이 요청된다. 이와 같은 고속주행시에 그러한 압력손실이 생기는 것은 효율상 바람직하지 않다. 즉, 본 제2구성은, 차속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차속이라는 파라메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구성을 보다 구현화한 것이다.
또, 제3에, 상기 제1구성의 유압식 4륜구동차량에 있어서, (1)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2) 악셀밟음각을 검출하는 악셀밟음각검출수단 및 견인력을 검출하는 견인력검출수단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과 (3) 차속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차속을 받아서 검출차속이 기준차속으로 될때에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함과 아울러, 악셀밟음각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밟음각 및 견인력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견인력의 어느것인가 한 쪽 또는 양쪽을 받아서 검출밟음각 및 검출견인력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의 값에 따라서 그 기준차속을 변화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통상저속주행에서도 차량이나 노면상황에 따라서 기준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통밸브를 차단위치로 하는 것은 양유압모터를 차동잠김상태로 한 것에 상당한다.
한편,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하는 것은 양유압모터를 차동풀림작동상태로 한것에 상당한다.
이 구체예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예컨데 차량의 적재중량이 과대 또는 과소에 의하여, 저속주행시의 차동풀림상태를 중속주행까지 늘리고 싶은 경우가 있다. 본 제3구성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상기한 적재중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견인력이나 악셀밟음각을 기초로 기준차속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제3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적재중량이 과대 또는 과소에 대응한 최적주행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제4에, 상기 제2 또는 제3구성의 유압식4륜구동차량에 있어서, (1) 전륜측유압모터 및 후륜측유압모터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은 가변용적식유압모터임과 아울러, (2) 제어수단은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한 때에 가변용적식유압모터의 밀어내는 용적을 변화시키는 제어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또는 제3구성에 있어서의 효과외에,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전륜측유압모터 및 후륜측유압모터의 어느 것인가 한쪽을 가변용적식유압모터로 하고, 또한 연통밸브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변용량펌프의 용적을 크게 함이 없이 4륜구동주행시의 차속을 높일 수가 있다.
(2) 전륜측유압모터 및 후륜측유압모터의 양쪽을 가변용적식의 유압모터로 하고 또한, 연통밸브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전후의 유압모터의 용적비가 일정하게 되지 않더라도 압력손실에 의한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제1도는 사례의 유압회로도이다.
제2도는 사례의 다른 유압회로도이다.
제3도는 사례의 다른 유압회로도이다.
제4도는 차속에 대한 연통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제5도는 차속에 대한 유압모터의 용적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제6도는 차속에 대한 전륜측유압모터의 유량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제7도는 차속에 대한 후륜측유압모터의 유량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제8도는 제6도 및 제7도를 결합시킨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가변용적식유압모터 2F:고정용적식유압모터
2R:가변용적식유압모터 3F:전륜측방향변환밸브
3R:후륜측방향변환밸브 5:연통밸브
6:제어기 7:차속센서
ΔP:방향변환밸브의 전후차 ΔPc:방향변환밸브의 일정차압,
V:차속 Vo:기준차속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알맞은 사례를 설명한다.
도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든 기기는 요철노면을 주행하는 장륜식유압굴식차량이며, 유압펌프(1)와, 이 유압펌프(1)로부터의 압유를 받아서 회전하는 전륜측(F)의 유압모터(2F) 및 후륜측(R)의 유압모터(2R)를 가지고 4륜구동주행하는 유압식4륜구동차량이기도 하다.
유압모터(2F)는 고정용적식이며 크로즈드센터식의 방향변환밸브(3F)로부터 압유를 받는다. 한편, 유압모터(2R)는 가변용적식이며 크로즈드센터식의 방향변환밸브(3R)로부터 압유를 받는다.
양방향변환밸브(3F)(3R)는, 운전석에 배치한 악셀페달(미도시)의 밟음각(θ)을 받아서 그 크기에 따라서 개구면적(A)(미도시)이 변화하고, 유압펌프(1)로부터의 압유를 양유압모터(2F)(2R)에 보내서 4륜구동주행시킨다. 유압펌프(1)는 가변용적식이고,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전후차압(ΔP)이 일정차압(ΔPc)으로 되도록, 토출량(Q)이 제어된 것"이다.
그리고, 방향변환밸브(3F)로부터 유압모터(2F)까지의 유로(4F)와, 방향변환밸브(3R)로부터 유압모터(2R)까지의 유로(4R)의 사이에는 연통밸브(5)를 설치하고 있다.
이 연통밸브(5)는, 차단위치(도시하측)와 연통위치(도시상측)을 가지며, 제어기(6)로부터 신호(S)를 받고 있는 사이는, 연통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즉, 유압모터(2R)의 회전은 차속(V)으로서 차속센서(7)에서 검출되고, 이것이 제어기(6)에 입력된다. 제어기(6)는 마이크로컴퓨터등이고 미리 기준차속(V0)을 기억하고, 차속센서(7)로부터 차속(V)을 받고, 차속(V)이 기준차속(V0)이상인 때(V≥V0), 연통밸브(5)에 신호(S)를 입력하여 연통밸브(5)를 연통상태로 한다. 또 제어기(6)은, 연통밸브(5)가 연통위치에 있을 때, 악셀페달의 밟음각(θ)을 받아서 그 크기에 반비례한 유압모터(2R)의 밀어내는 용적으로 하도록, 신호(M)를 유압모터(2R)의 가변용적용 서보기구(2R1)에 입력하고 있다. 상세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방향변환밸브(3F)(3R)가 크로즈드센터식인 이유를 설명한다.
오리피스에서의 통과유량(Qo)(미도시)은, 오리피스의 개구면적(A)(미도시)과 오리피스의 전후차압(ΔP)의 평방근과의 적에 비례한다(Q∝A·ΔP1/2). 여기에서 전후차압(ΔP)을 일정차압(ΔPc)으로 할 수 있다면,"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Ao)만에 비례한다"라고 하는 "유량특성(Q∝A)"이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는 양방향변환밸브(3F)(3R)에 대응한다. 그런데 방향변환밸브는 오픈센터식과 크로즈드센터식으로 대별된다. 먼저, 오픈센터식은, 중립위치가 탱크에 접속되어서 전량드레인하기 때문에, 일정차압(ΔPc)를 초기치로하여 얻는 것이 곤란하다. 이어서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의 변환중에도, 일부유량이 탱크에 드레인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차압(ΔPc)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즉, 오픈센터식에서는 상기한 "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A)만에 비례한다"는 "유량특성(Q∝A)"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크로즈드센터식은, 중립위치 이외에서는 탱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기치로서의 일정차압(ΔPc)의 확보가 용이하다.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의 변환중에은, 언로드밸브가 닫히는 것에 의하여 전유량이 액추에이터에 흐르기 때문에, 이때의 일정차압(ΔPc)의 확보도 용이하다. 즉, 크로즈드센터식에서는, 상기한 "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Ao)만에 비례한다"고 하는"유량특성(Q∝A)"을 얻는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것이 양방향변환밸브(3F)(3R)가 크로즈드센터식인 이유이다.
다음에 상기"양방향변환밸브(3F)(3R)의 전후차압(ΔP)이 일정차압(ΔPc)으로 되도록 토출량(Q)이 제어된 것"인 상기 유압펌프(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펌프(1)로부터 방향제어밸브(3F)까지의 사이에는 감압밸브(1AF)가 달린 가변조리개(1BF)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제어밸브(3F)의 하류측의 유압(P1F)은 감압밸브(1AF)의 도시좌측에, 방향제어밸브(3F)의 상류측의 유압(P2F)은 가변조리개(1BF)의 우측에 그리고, 유압펌프(1)의 토출압(Pp)은 가변조리개(1BF)의 도시좌측에 각각 부세력을 부여하고 있다. 감압밸브(1AF)는, 유압(P1F)을 감압치 설정용의 스프링력으로서 받고, 유압펌프(1)의 토출압(Pp)을 감압하여 이 유압(P1F)과 같은 유압(P3F)을 생성한다(P3F=P1F). 이 유압(P3F)은 감압밸브(1AF)자체의 도시우측과 유압펌프(1)의 용적가변용서버기구(1C)에 부세력을 부여한다. 즉, 감압밸브(1AF)가 부착된 가변조리개(1BF)전체는, 상기 각 유압에 의하여"(P3F-P1F)=(Pp-P2F)"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도시좌우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변조리개(1BF)는 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열리고, 또 좌방향으로 이동하면 닫힌다.
한편 감압밸브(1AF)는 좌우수압면적이 동일하고, "P3F=P1F"인 때, 가변조리개(1BF)를 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전개(全開)로 되도록, 가변조리개(1BF)에서의 좌우의 수압면적이 조정되어 있다(그리고, 수압면적을 동일하게하여 도시 우방향으로 힘을 더하는 약한 스프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는 전륜측(F)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후륜측(R)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류측(F)와 동일구성이므로 대응하는 요소에는 대응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유압(P3F)과 유압(P3R)을 동일유로에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서보기구(1C)는, 상기한 일정차압(ΔPc)에 상당하는 힘을 더하는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함과 아울러, 유압(P3F)과 토출압(Pp)을 받아서"(ΔPc+P3F)=Pp"를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상세는 다음과 같다.
상기"(ΔPc+P3F)=Pp"는 "(Pp-P3F)=ΔPc"로 고쳐 쓸 수가 있다. 그리고, 가변조리개(1BF)는 전개이기 때문에"Pp=P2F", 또,"P3F=P1F"이므로"(P2F-P1F)=ΔPc"로 고쳐 쓸 수가 있다.
여기에서"(P2F-P1F)=ΔP"이므로,"ΔP=ΔPc"로 고처 쓸 수가 있다.
여기에서 가령 유압(P1F)이 승압하면, 전후차압(ΔP)이 작아지나(즉,"ΔP<ΔPc"로 되나), 이때 서보기구(1C)는 유압펌프(1)의 용적을 증가시켜서(즉, 토출량을 증가시켜서), 토출압(Pp)을 승압시킨다. 그리고 이 승압은,"ΔP=ΔPc"로 될때가지 행하여진다. 한편, 가령유압(P1F)이 감압하면, 전후차압(ΔP)은 크게 되나(즉,"ΔP>ΔPc"로 되나), 이때 서보기구(1C)는 유압펌프(1)의 용적을 감소시켜서(즉, 토출량을 감소시켜서), 토출압(Pp)을 감압시킨다. 이 감압은"ΔP=ΔPc"로 될 때까지 행하여진다.
즉, 서보기구(1C)는"ΔP=ΔPc"를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방향변환밸브(3F)는 상기한 "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 Ao만에 비례한다"는 "유량특성(Q∝A)"이 얻어지게 된다.
이상은, 전륜측(F)과 후륜측(R)이 동부하(P1F=P1R)인 때의 설명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동부하상태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도 현실적이지 않다.
현실은"P1F>P1R","P1F>>P1R","P1F<P1R" 또는 "P1F<<P1R"이다. 이러한 현실에 있어서의 서보기구(1C)와 감압밸브(1AF)가 달린 가변조리개(1BF)의 협조작동을 다음에 설명한다.
가령, 후륜측(R)의 부하(유압(P1R))만이 크게 되면(P1F<P1R), 이에 따라서 "P3F<P3R"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유압(P3F)과 유압(P3R)를 동일유로에 발생시키고 있다"라는 기재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유압(P3R)은 서보기구(1C)를 제어하여 방향변환밸브(3R)의 전후차압(ΔP)을 일정차압(ΔPc)으로 하도록, 토출압(Pp)을 승압시킨다.
그런데 이 토출압(Pp)은 방향변환밸브(3F)에도 가하고자 한다. 그런데 여기에서 감압밸브(1AF)에서는 우측에 유압(P3R)이, 좌측에 유압(P1F)이 부세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가변조리개(1BF)는 좌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가변조리개(1BF)가 토출압(Pp)의 관로를 닫게 되어, 그때까지"Pp=P2F"였던 것을,"Pp>P2F"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P3F-P1F)= (Pp-P2F)"에서 균형을 이루도록하는 조입위치에서 가변조리개(1BF)는 작동을 정지한다. 즉, 방향변환밸브(3F)에서도"ΔP=ΔPc"로 된다.
역으로, 가령 후륜측(R)의 부하(유압(P1R))만이 작아지게 되면(P1F〈P1R), 역작용에 의하여, 가변조리개(1BR)가 조여지고, 방향변환밸브(3R)에서"ΔP=ΔPc"로 되는 것을 설명을 요하지 않는다. 또 마찬가지로, 전륜측(F)의 부하(유압(P1F))만 다소 변화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양방향변환밸브(3F)(3R)에서,"ΔP=ΔPc"로 되는 것은 설명을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즉, 상기 유압회로에 의하면, 양방향변환밸브(3F)(3R)에서의 부하의 변화나 차이에 관계없이, 상기 "통과유량(Qo)가 개구면적(Ao)만에 비례한다"고 하는"유량특성(Q∝A)"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전후륜에 대한 토질의 차이, 커브의 유무나 정도, 노면의 요철, 또 전후륜의 타이어지름이나 마모상태의 상위 등에 의하여 전후륜의 부하가 다르더라도, 오직 악셀페달의 밟음각(θ)에 의존한 유량으로 4륜구동주행시킬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데 한쪽 또는 양쪽의 차륜이 경부하나 무부하로 되어도 이상 공전하는 일도 없고, 또 부하가 어떻게 변화하여도, 안정한 견인력과 주행속도가 얻어지고, 또한 유기를 장수화 할 수 있다는 제1효과가 얻어진다. 더욱이, 유압펌프는 1개로 족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라는 제2효과도 얻어진다. 이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유압회로에도 결점이 있다. 즉, 가변조리개(1BF), (1BR)가 작동한다고 하는 것은, 여기에서 큰 압력손실(에너지로서)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사례는 상기 제1, 제2효과를 유지하면서, 상기 압력손실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변환밸브(3F)로부터 유압모터(2F)까지의 유로(4F)와, 방향변환밸브(3R)로부터 유압모터(2R)까지의 유로(4R)의 사이에는 연통밸브(5)를 설치하고 있다.
즉, 연통밸브(5)를 차단위치로 하면, 상기"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Ao)만에 비례한다"고 하는 "유량특성(Q∝A)"이 얻어진다 (다만, 압력손실을 수반한다). 한편, 연통밸브(5)를 연통위치로 하면, 어떠한 경우에도 "P1F=P1R"로 되므로, 가변조리개(1BF)(1BR)가 작동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그 압력손실을 없앨 수 있다(즉, 제3효과가 생긴다). 더욱이 "P1F=P1R"의 상태는 상기한 "현실적이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Ao)만에 비례한다"고 하는 "유량특성(Q∝A)"의 확보에 상당하고 있기 때문에, 이 통과위치에서도 그 "유량특성 (Q∝A)"이 얻어지게 된다.
또 본 사례는, 제어기(6)에 의하여 연통밸브(5)의 최적작동제어구조도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차속센서(7)을 탑재하고 제어기(6)가 차속센서(7)로부터의 차속(V)을 받아서 기준차속(V0)과 비교하여"V<V0"인 때는 연통밸브(5)를 차단위치로 하고, "V≥V0"인 때는 연통밸브(5)를 연통위치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1) 저속주행시(V<Vo)는, 예컨데 주행개시시, 등판시, 요철노면주행시, 적재량과다시 등에서는, 예컨데 가변조리개(1BF)에서 압력손실이 생기고자하여도, 전후륜이 서로 독립해서 고견인력이 필요하다. 즉, 저속주행시(V<Vo)는, 연통밸브(5)를 차단위치로 한 것에 의하여, 전후륜에 대하여 서로 독립한 고견인력과 유량을 부여할 수가 있다.
(2) 한편, 고속주행시(V≥Vo)는, 전후륜이 서로 독립한 고견인력을 가질 필요는 없고, 저토오크에서도 양유압모터(2F)(2R)가 고속회전하면 좋다. 즉, 고속주행시(V≥Vo)는, 연통밸브(5)를 연통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양유압모터(2F)(2R)에 대하여 전후륜에 대하여 균형이 잡힌 견인력과, 고속주행에 알맞는 유량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연통밸브(5)의 변환(즉, 기준차속(Vo))은, 노면상황이나 주행형태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통밸브(5)의 차단위치는 이른바 차동잠김주행에 상당하고, 한편 연통밸브(5)의 연통상태는 차동풀림주행에 상당하나, 예컨데 과대적재량인때는 중속이라도 차동풀림주행하고 싶다.
이 경우 그 판단은, 상기한"과대적재량"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고견인력의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를 기초로, 상기 기준차속(Vo)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표로서는 견인력자체인 유압펌프(1)의 토출압(Pp)(또는 양유압모터 (2F)(2R)의 입력유압)이나, 악셀페달의 밟음각(θ)를 들 수가 있다. 개요를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다음에 표시한다.
도2는, 제어기(6)이 기존의 악셀페달의 밟음각(θ)을 입력하여 기준차속(Vo)을 단계적으로 변경한 예이다. 도3은 제어기(6)가 다시 유압펌프(1)의 토출압(Pp)(양유압모터(2F)(2R)의 어느 것인가 한쪽의 입력유압)도 입력하고 유압이 고압인 때에 있어서의 경우와 저압인 때에 있어서의 경우와 나누어서 보다 치밀하게 단계적으로 변경한 예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제어기(6)는 악셀페달의 밟음각(θ)에 대신하여 유압펌프(1)의 토출압(Pp)(또는 양유압모터(2F)(2R)의 입력유압)만을 입력하여 기준차속(Vo)을 단계적으로 변경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주행조건에 적합한 주행을 행할 수 있는 것은 설명을 요하지 않는다.
도1로 설명을 되돌린다. 가령 유압펌프(1)의 크기를 차속(V)이 기준차속(Vo)이였더래도 최대용적으로 되지 않는 것으로 하면 연통위치 및 차단위치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손실을 받는 일이 없이 상기 "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Ao)만에 비례한다"고하는 "유량특성(Q∝A)"을 얻을 수 있는 제어를 행한다.
그런데 본 사례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더욱 미세한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즉, 유압펌프(1)가 1개라는 것은 그 자체가 경제적이기는 하나, 유압펌프(1)의 최대용적으로 보다 크게 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본 사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모터(2R)를 가변용적식 유압모터로 하고, 또한, 제어기(6)는 연통밸브(5)가 연통위치에 있을때, 차속센서(7)로부터의 차속(V)에 따라서 유압모터(2R)의 밀어내는 용적을 변화시키도록 신호(M)를 유압모터(2R)의 서보기구(2R1)에 입력하고 있다.
이 작용을 도4∼도8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그리고, 도4∼도8의 횡축(차속(V))은 서로 대응하는 크기로 하고 있다.
도4는 차속(V)에 대한 연통밸브(5)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고, 제어기(6)는 차속(V)이 저속측으로부터 기준차속Vo(=5.3㎞/h)로 되면, 연통밸브(5)를 차단위치 (OFF)로부터 연통위치(ON)로 변환한다. 즉, 제어기(6)는 기준차속Vo(=5.3㎞/h)를 미리 기억하고, "V<Vo"인 때는 OFF, "V≥V0"인 때는 온(ON)으로 된다.
도5는 차속(V)에 대한 유압모터(2F)의 용적변화를 표시한다. 제어기(6)는 "V<Vo"인 때, 유압모터(2R)의 용적을 최대로 고정하나, "V≥V0"인 때, 차속(V)이 크게 될수록, 용적이 차차 줄어들어 고속주행을 가능케 하고 있다. 그리고, 유압모터(2F)는 고정용적식이므로 용적은 일정하다.
도6은 차속(V)에 대한 유압모터(2F)의 유량(QF)을 표시한다. 유량(QF)은, "V<Vo"인 때에는, 제어기(6)로부터의 명령이 아니고, 악셀페달의 밟음각(θ)에 따른 방향변환밸브(3F)의 개구면적(A)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감한다.
한편, "V≥V0"인 때에는, 상세를 후술하는 유압모터(2R)의 용적의 증감분이 가산되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감한다. 그리고, 도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모터(2F)는 좌우에 각각 1개(합계2개)를 가지기 때문에, 같은 도의 유량예는 2개의 유압모터(2F)의 합계유량을 기재하고 있다.
도7은, 차속(V)에 대한 유압모터(2R)의 유량(QR)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V<Vo"일 때, 유압모터(2R)의 용적을 최대로 고정하고 있으나, 이 사이의 유량(QR)은, 제어기(6)로부터의 명령이 아니고, 악셀페달의 밟음각(θ)에 따르는 방향변환밸브(3F)의 개구면적(A)의 크기에 비례하여 같은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증감한다. 한편, "V≥V0"일 때(즉, 연통밸브(5)가 연통위치에 있을 때), 제어기(6)는, 상기와 같이 악셀페달의 밟음각(θ)을 받아서 그 크기에 반비례한 유압모터(2R)의 밀어내는 용적으로 하도록, 신호(M)를 유압모터(2R)의 용적가변용서보기구(2R1)에 입력하고 있다. 즉, 악셀페달을 밟음에 따라, 유압모터(2R)의 용적을 증감시켜서 차속을 고속화하고 있다.
상기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이것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은 상기 도6 및 도7을 포개맞춘것이며, 차속(V)에 대한 양유압모터(2F)(2R)의 유량Q(=QF+QR)를 표시한다.
여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Vo"일 때의 유량(Q)은 일정하다. 즉, 본사례에서는 차속(V)이 기준차속(Vo)으로 된때가 유압펌프(1)의 최대토출량(Q)이고, 바꾸어 말하면,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개구면적이 최대이고, 고속주행은 유압모터(2R)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것으로 달성하고 있다. 즉, 다음의 효과가 일어난다.
그리고, 양유압모터(2F)(2R)로부터 전후륜까지의 감속비를 각각 "1"로하여 설명한다.
(1) 전륜측 유압모터(2F) 및 후륜측 유압모터(2R)의 어느 것인가 한쪽을 가변용량식 유압모터로 하고, 또한 연통밸브(5)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변용량펌프(1)의 용적을 크게함이 없이, 4륜구동시의 차속을 높일 수가 있다.
가령, 연통밸브(5)가 없고, 또한 유압모터(2R)가 고정용적식인 경우에 있어서, 고속제어할 때에는 양방향변환밸브(3F)(3R)도 양유압모터(2F)(2R)도 전후륜측이 서로 동등사이즈로 할 필요가 있고, 또 상기 "통과유량(Qo)이 개구면적(Ao)만에 비례한다"에 의한 "유량특성(Q∝A)"만에 차속(V)이 의존하므로, 4륜구동에서의 차속을 높임에는 펌프노출유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유압펌프(1)도 대형화하므로, 극히 비경제적이다. 그런데 연통밸브(5)가 있고, 또한 유압모터(2R)가 가변용적식인 경우, 유압모터(2R)의 용적을 작게하고, 연통밸브(5)를 연통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펌프토출용량을 크게 함이 없이, 고속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2) 전륜측유압모터(2F) 및 후륜측유압모터(2R)의 양쪽을 가변용적식의 유압모터로 하고, 또한, 연통밸브(5)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전후의 유압모터(2F)(2R)의 용적비가 일정하게 되지 않더라도 압력손실에 의한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전륜측유압모터(2F) 및 후륜측유압모터(2R)의 양쪽을 가변용적식의 유압모터로 하고, 4륜구동에서의 차속을 높이는 경우, 양유압모터(2F)(2R)의 용적을 작게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으나, 양유압모터(2F)(2R)의 용적 및 용적비를 일정하게 하지 않으면, 압력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효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연통밸브(5)를 설치하여 양유압모터(2F)(2R)의 용량을 작게 함과 아울러 연통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압력손실의 방지효율이 좋은 4륜구동주행이 실현된다.
그리고, 상기 사례는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상류측에 가변조리개(1BF) (1BR)를 설치하고, 이들 가변조리개(1BF)(1BR)의 각각이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하류측의 유압중에서 최대유압을 받아서 그 조임 정도가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가변조리개(1BF)(1BR)로부터 양방향변환밸브(3F)(3R)까지의 유압을 승압하고, 이로써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전후의 전후차압(ΔP)을 일정차압(ΔPc)으로 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한 "유량특성(Q∝A)"을 확보하는 유압회로이나, 이와 같은 회로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컨데, 다음과 같은 회로라도 좋다. 그리고 각 유압회로에 연통밸브 (5)등을 설치하여도, 상기 사례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1)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하류측에 가변조리개(1BF)(1BR)를 설치하고, 이들 가변조리개(1BF)(1BR)의 각각이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하류측의 유압중에서 최대유압을 받아서 그 조임정도가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양방향변환밸브 (3F)(3R)로부터 가변조리개(1BF)(1BR)까지의 유압을 승압하고 이로써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전후의 차압(ΔP)을 일정차압(ΔPc)으로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한 "유량특성(Q∝A)"을 확보하는 유압회로.
(2) 양유압보우터(2F)(2R)의 미터인측에 각각의 방향변환밸브(3F)(3R)를 설치하고 미터아웃측에 양방향변환밸브(3F)(3R)의 하류측의 유압의 중에서 최대유압을 받아서 그 조임정도가 조정되는 가변조리개(1BF)(1BR)를 설치하고, 이에 의하여 미터아웃유압을 높여 전후의 차압(ΔP)을 일정차압(ΔPc)으로 하고, 이에 의해 상기한 "유량특성(Q∝A)"을 확보하는 유압회로.

Claims (4)

  1. 가변용적식유압펌프(1)와, 이 가변용적식유압펌프(1)로부터의 압유를 받아서 회전하는 전륜측유압모터(2F) 및 후륜측유압모터(2R)를 가지고 4륜구동주행하는 유압식4륜구동차량에 있어서, (1) 전륜측유압모터(2F)에 대하여 설치한 크로즈드센터식 전륜측방향변환밸브(3F)와, (2) 후륜측유압모터(2R)에 대하여 설치한 크로즈드센터식 후륜측방향변환밸브(3R)와, (3) 각각의 방향변환밸브의 전후차압(ΔP)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량으로 되도록, 펌프토출유량(Q)을 제어하는 펌프유량제어수단과, (4) 전륜측방향변환밸브(3F)로부터 전륜측유압모터(2F)까지의 전륜측유로와 후륜측방향변환밸브(3R)로부터 후륜측유압모터(2R)까지의 후륜측유로와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이들 유로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연통밸브(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4륜구동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1)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2) 차속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차속을 받아서 검출차속이 기준차속이상인 때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구동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1)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2) 악셀밟음각을 검출하는 악셀밟음각 검출수단 및 견인력을 검출하는 견인력 검출수단의 한쪽 또는 양쪽과, (3) 차속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차속을 받아서 검출차속이 기준차속으로 된 때 연통밸브를 연통위치로 함과 아울러, 악셀밟음각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견인력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을 닫아서 검출밟음각 및 검출견인력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한 양쪽의 값에 따라서 그 기준차속을 변화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구동차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1) 전륜측유압모터 및 후륜측유압모터의 어느 것인가 한쪽 또는 양쪽은, 가변용적식 유압모터임과 아울러, (2) 제어수단은, 연통밸브(5)를 연통위치로하는 때에 가변용적식 유압모터를 밀어내는 용적을 변환시키는 제어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구동차량.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26371A 1996-07-31 1997-06-21 유압식4륜구동차량 KR100456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18019A JPH1044803A (ja) 1996-07-31 1996-07-31 油圧式四駆車両
JP96-218019 1996-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062A true KR980010062A (ko) 1998-04-30
KR100456058B1 KR100456058B1 (ko) 2005-06-10

Family

ID=1671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371A KR100456058B1 (ko) 1996-07-31 1997-06-21 유압식4륜구동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16541A1 (ko)
JP (1) JPH1044803A (ko)
KR (1) KR100456058B1 (ko)
WO (1) WO1998004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3516A1 (de) 1999-05-21 2000-11-23 Mannesmann Rexroth Ag Hydrostatischer Fahrantrieb
JP5097883B2 (ja) * 2004-09-02 2012-12-12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油圧駆動車両
DE102004045684A1 (de) * 2004-09-17 2006-04-06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Fahrantrieb eines Fahrzeugs
EP2336606B1 (en) 2009-12-10 2014-05-0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ydraulic motor unit and hydraulic four-wheel-drive working vehicle
DE102010014901A1 (de) 2010-04-14 2011-10-20 Bomag Gmbh Vorderantrieb eines Straßenfertiger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JP5581479B2 (ja) * 2010-07-05 2014-09-03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油圧四輪駆動作業車輌
CN105235508B (zh) * 2015-11-09 2018-08-14 青岛科瑞特激光设备有限公司 大型收割机用两档四轮液压无级变速驱动桥总成
CN107020949B (zh) * 2016-01-29 2023-08-01 中冶宝钢技术服务有限公司 具有合流差速和分流差速锁模块的静压驱动行走系统
KR102252901B1 (ko) * 2019-10-11 2021-05-18 주식회사 티와이엠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129U (ko) 1986-02-24 1987-08-29
JP2716543B2 (ja) 1989-09-18 1998-02-18 株式会社クボタ 車輌の走行駆動構造
JP2519789Y2 (ja) 1991-10-25 1996-12-11 住友建機株式会社 道路機械の走行装置
JP2519793Y2 (ja) 1991-11-18 1996-12-11 住友建機株式会社 道路機械の走行装置
JPH08132902A (ja) * 1994-11-09 1996-05-28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油圧駆動車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04428A1 (fr) 1998-02-05
EP0916541A1 (en) 1999-05-19
KR100456058B1 (ko) 2005-06-10
EP0916541A4 (ko) 1999-06-30
JPH1044803A (ja) 199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625B2 (en) 6×2 suspension control for automatic traction control
US4517800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off-highway self-propelled work machines
KR100456058B1 (ko) 유압식4륜구동차량
US4685527A (en) System for powering a trailer
US4841808A (en) Differential control device
MXPA01009652A (es) Valvula de transferencia de carga proporcional para control de suspension con control de traccion automatico 6x2.
JP3273373B2 (ja) 静油圧推進駆動装置
US4976331A (en) Process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torque transmitted by a tractor to a hydraulically powered trailer
AU755644B2 (en) Steering responsive power boost
JPS62131870A (ja) 大型車両に使用されるパワ−・ステアリング
US4295539A (en) Auxiliary drive system
AU2005220263A1 (en) A fluid control valve
JPS6296126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S63258223A (ja) 4輪駆動装置
JP2790744B2 (ja) Hst油圧走行駆動装置
EP0732528A1 (en) Automotive drive control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JPH06156104A (ja) 大型ダンプトラックの4輪走行装置
JPH10311424A (ja) 無段変速油圧走行駆動装置
JP2519793Y2 (ja) 道路機械の走行装置
JP2959351B2 (ja) 後輪2軸車エ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2519789Y2 (ja) 道路機械の走行装置
JP3376761B2 (ja) 車両用流体圧駆動装置
JPH06156103A (ja) 4輪走行装置の制御装置
JP3402638B2 (ja) 車両の駆動装置
JP3593785B2 (ja) 四輪駆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